KR20140128229A -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 Google Patents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229A
KR20140128229A KR1020140038988A KR20140038988A KR20140128229A KR 20140128229 A KR20140128229 A KR 20140128229A KR 1020140038988 A KR1020140038988 A KR 1020140038988A KR 20140038988 A KR20140038988 A KR 20140038988A KR 20140128229 A KR20140128229 A KR 20140128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disease
diagnostic kit
misfold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동진
김혜연
조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4/0036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75693A1/ko
Priority to CN201480036335.7A priority patent/CN105339798A/zh
Priority to EP14788047.0A priority patent/EP2990801B1/en
Priority to JP2016510622A priority patent/JP6189526B2/ja
Priority to US14/787,146 priority patent/US10006920B2/en
Priority to KR1020140050001A priority patent/KR101619238B1/ko
Priority to CN201810037524.6A priority patent/CN108089012A/zh
Priority to CN201810037521.2A priority patent/CN108387738B/zh
Publication of KR2014012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229A/ko
Priority to KR1020150173690A priority patent/KR20150141925A/ko
Priority to KR1020170024145A priority patent/KR20170024600A/ko
Priority to KR1020190140267A priority patent/KR20190126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27Total protein determination, e.g. albumin in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16Amyloid plaque core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1Alzheimer's disease; Amyloid plaque cor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09Amyloid plaque cor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 G01N2800/2821Alzheim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E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베타아밀로이드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과 후의 혈장 내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베타아밀로이드 및 단백질의 집적을 막아주는 기전의 약물들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체내의 베타아밀로이드 및 단백질을 단량체화 하여 혈액학적으로 진단하므로 분석의 정확성이 높다.

Description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BLOOD DIAGNOSTIC KIT FOR DIAGNOSIS OF PROTEIN AGGREGATION AND MISFOLDING RELATED DISEASES OR DISORDERS USING THE DISSOCIATION OF PROTEIN AGGREGATES IN BODY}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혈액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신경세포 기능장애 및 손상은 독성의 응집되기 쉬운 단백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다수의 신경계 질환은 그러한 용태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프리온 질병, 폴리글루타민 확장증, 척수소뇌성 실조증, 척수 및 연수 근육위축, 해면 뇌병증, 타우증(tauopathy), 헌팅톤 병, 또는 근육긴장 이상과 같은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질환을 유발하는, 독성의 응집되기 쉬운 단백질을 코딩하는 단백질, 및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정되었다. 정상적인 대사 효소는 합성 및 분해의 영구적인 순환을 형성하는 단백질을 재순환시킨다. 상기 유전자가 돌연변이화될 경우, 미스폴딩된 단백질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고 분해된다. 이러한 미스폴딩된 단백질이 신경세포 손상의 지시일 수 있는 신경세포 봉입체 및 플라크를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세포 기전을 이해하고, 상기 미스폴딩된 단백질을 감소시키고, 저해하고, 호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분자 수단을 동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단백질 미스폴딩 및 응집이 신경세포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이들 질환에 대한 합리적이고 유효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알츠하이머 병이란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인지기능인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능력 및 판단력을 포함한 전두엽 집행기능 등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서,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본인의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지역 주민 등 주변인에게도 치명적 영향을 주어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알츠하이머 병은 50세 이후 유병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노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질환이지만 사망에 이르는 시간까지 병의 진행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치료 관리 시간과 금액에 부담이 큰 질환이다. 이에 따라 고령화 사회로 진행됨에 따라 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 부담이 증가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 환자의 뇌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는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는 APP라는 단백질이 단백질 분해효소(secretase)에 의해 대사되어 나타나는 펩타이드인 베타아밀로이드가 응집하여 나타나는 것으로서, 응집형태에 따라 단량체(monomer), 중합체(oligomer), 피브릴 전구체(proto-fibril), 피브릴(fibril), 플라크 (plaque)와 같이 특이한 복합적 구조를 띠게 된다. 상기 구조 중 변형이 활발한 중합체와 피브릴 전구체가 뇌세포를 파괴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알츠하이머 병의 확진은 사후에 뇌 내의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와 타우 단백질 병변의 확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임상적인 진단에는 신체검사와 신경학적 검사, 정신상태 검사 등 간접적인 증상에 관한 검사를 시행하는 진단법과 뇌척수액 내의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을 측정하는 진단법, 그리고 가장 정확하게는 뇌 영상검사를 통해 뇌의 구조적 변화나 기능적 변화를 확인하며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확인하는 진단법이 있으나, 확진을 위해서는 매우 침습적이며 고가의 진단을 진행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뇌 영상검사는 조기에 알츠하이머 병을 진단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여러 연구자들이 비교적 저침습적이고 저비용으로 조기진단이 가능한 혈액진단을 연구하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 증상이 발생하기 10 내지 15년 전부터 뇌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의 비정상적인 응집이 나타난다.
베타아밀로이드는 단량체(혹은 작은 크기의 중합체)들만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에 존재하는 RAGE 및 LRP에 의하여 뇌와 혈액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혈액 중 베타아밀로이드의 농도 변화는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과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혈액 내의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이용한 진단법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과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 중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에 따라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van Oijen M, Hofman A, Soares HD, Koudstaal PJ, Breteler MM. “Plasma Abeta(140) and Abeta(142) and the risk of dementia: a prospective case-cohort study.” Lancet Neurol. 2006;8:655660, Mayeux R, Honig LS, Tang MX, Manly J, Stern Y, Schupf N, Mehta PD. “Plasma A[beta]40 and A[beta]42 and Alzheimer’s disease: relation to age, mortality, and risk.” Neurology. 2003;8:11851190); 이와 반대로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에 따라 혈액 중 베타아밀로이드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Sundstrom J, Ingelsson E, Ronnemaa E, Arnlov J, Gunnarsson MD, Hyman BT, Basun H. et al. “Plasma beta amyloid and the risk of Alzheimer disease and dementia in elderly men: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Arch Neurol. 2008;8:256263).
또한,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에 따른 임상증상들과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다(Hansson O, Zetterberg H, Vanmechelen E, Vanderstichele H, Andreasson U, Londos E, Wallin A, Minthon L, Blennow K. “Evaluation of plasma Abeta(40) and Abeta(42) as predictors of conversion to Alzheimer’s diseas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biol aging. 2010;8:357367, Lopez OL, Kuller LH, Mehta PD, Becker JT, Gach HM, Sweet RA, Chang YF, Tracy R, DeKosky ST. “Plasma amyloid levels and the risk of AD in normal subjects i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Neurology. 2008;8:16641671).
이러한 상반되는 결과는,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가 다른 단백질이나 세포에 부착이 되거나 분해, 대사되는 기전들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이 매우 적어 농도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알츠하이머 병이 진행됨에 따라 뇌척수액 내에 있는 베타아밀로이드가 응집하여 뇌 실질에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형성하기 때문에 뇌척수액으로나 혈액 내로 이동할 수 있는 베타아밀로이드의 단량체의 양이 점점 감소하게 되어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3677호
미국 공개특허 US2011/01660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혈액진단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진단키트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과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는 (a)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b)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c)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제2 측정부에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다음 20 내지 450시간 후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은 뇌 내의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가 분해되어 혈액 내로 이동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값이 양(+)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으로 진단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를 단량체로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 투여 전과 후의 단백질의 농도를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 특히 체내에 집적된 형태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간접적으로 혈장에서 단백질 농도를 측정부에서 측정함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을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진단키트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각종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침습적이고 병의 진행이 많이 된 경우에만 진단이 가능하다. 단백질의 집적은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 환자가 증상을 나타내기 훨씬 이전에 일어나기 때문에 병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단백질의 집적을 저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약물의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단백질의 집적을 막아주는 기전의 약물들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단백질이 뇌 내에서 집적되고 있는 시점을 알아내야 한다. 즉,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및 투여 후의 혈장 내 단백질 농도를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정상 뇌 및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에 의하여 단백질이 집적된 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및 투여 24시간 후의 혈장 내 베타아밀로이드 42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및 투여 1일, 5일, 19일 및 33일 후의 혈장 내 베타아밀로이드 42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혈액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스폰지폼 뇌질환(Spongiform encephalopathies), 파킨슨 질환, 헌팅톤 질환(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서핀 결핍증(Serpin deficiency), 경변증(cirrhosis), 제 II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s),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hereditary cerebral amyloid angiopathy),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알츠하이머 병,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radiotherapy induced dementia), 축색 돌기 상해(axon injury), 급성확산성 피질억제(acute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alpha-synucleinopathies), 뇌허혈(brain ischemia), 영구 중뇌 허혈(permanent focal cerebralischemia), 말초 신경 재생(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중첩성 간질 후 모델(post-status epilepticusmodel),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산발성 루게릭병(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및 전염성 해면양뇌증(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딩은 단백질이 가능은 하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입체형태의 배열로부터 하나의 특정 구조를 취할 것을 요한다. 폴리펩티드가 그의 적합한 구조를 채용하지 못한 것이 세포 작용 및 생육성에 대한 주된 위협이 된다. 미스폴딩된 단백질은 그 자체로, 및 그 스스로 독성일 수 있고 매우 중증이거나 심지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교한 시스템은 미스폴딩된 단백질의 유해 효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도록 진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백질 응집"은 폴리펩티드중 하나가 탈용매화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2개의 폴리펩티드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현상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폴리펩티드 본래의 작용 또는 활성의 손실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베타아밀로이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단키트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과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는 (a)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b)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c)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수학식 1]로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정부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의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A)한다.
또한, 상기 제2 측정부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경구 또는 비경구 형태로 투여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B)한다.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의 투여 후의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시간이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A)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B)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1]로 계산된 값은 양(+)의 값과 음(-)의 값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1]로 계산된 값이 0 이거나 음(-)의 값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정상이며; 양(+)의 값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로 계산된 값이 양(+)의 값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 후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뇌 내에 단백질의 집적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과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진단 또는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정상의 뇌 내에는 단백질이 단량체로 존재하는데(도 2, 오른쪽),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증상이 발생하기 10 내지 15년 전부터는 뇌 내에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중합체, 피브릴, 플라크 등)이 나타나므로(도 2, 왼쪽)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면, 정상의 경우에는 뇌 내에서 단량체로 분해될 중합체의 단백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혈장 내에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하지 않으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뇌 내에서 중합체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혈장 내에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뇌 내의 단백질 농도를 간접적으로 혈장에서 측정하는 것은 뇌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뇌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단량체, 이량체, 삼량체 등이 뇌혈관장벽(BBB)에 존재하는 RAGE 및 LRP를 통하여 뇌, 뇌척수액 그리고 혈액 사이를 이동하는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 혈장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뇌 내의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가 분해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 혈장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단량체 및/또는 뇌혈관장벽(BBB)에 존재하는 RAGE 및 LRP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량체, 삼량체 등의 집적체일 수도 있다.
또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증가하던 혈액 내 단백질 집적체의 양은 점차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진단키트로 뇌 내 혹은 체 내의 단백질 집적체가 줄어들고 있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으나, 단백질 중합체를 단량체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EPPS외에 다른 단백질 중합체를 단량체로 분해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EPPS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의 EPPS는 SDS-PAGE를 이용한 결과, Aβ40의 단량체 크기인 4.3 KD 부근에서 밴드가 나타나 베타아밀로이드 피브릴이 단량체로 분해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집적된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를 분해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된 형태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집적된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를 분해하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EPPS를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EPPS를 약 0.1 내지 1,500 ㎎의 단위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 내지 500 ㎎ 범위가 보통이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 회 투여량으로는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5 내지 300 ㎎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마우스 준비
실험동물로는 APP/PS1 형질전환 마우스 암컷을 이용하였으며 5~6 개월(11마리), 7.2~8.6개월 및 13개월령(21마리)의 개체 총 32마리를 이용하였다. 5개월부터 베타아밀로이드가 뇌 안에 집적되어 플라크를 형성하는 모델이므로, 5개월령부터 실험에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형질전환 마우스 APP/PS1 모델은 B6C3-Tg(APPswe,PSEN1dE9)85Dbo/Mmjax이며, 미국 잭슨 실험동물 센터(The Jackson Laboratory, USA)에서 구입하여 실험동물 윤리 규정 하에 관리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32마리의 마우스를 실험에 이용하기 위하여 마우스 각각에 1,000 mg/kg/day 용량의 EPPS를 투여하였다.
2. 마우스 채혈 및 베타아밀로이드 농도 측정
상기 마우스의 채혈은 80 iu/mL의 헤파린이 처리된 미세관(Msrienfeld, Germany)으로 안와채혈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EPPS 투여 전 및 투여 후에 걸쳐 진행하였다. 상기 EPPS 투여 후는 EPPS를 투여한지 각각 1일, 5일, 19일 및 33일후를 의미한다.
상기 혈액은 에펜도르프튜브에 수집하고 13,500 rpm, 4 ℃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으며, 혈장은 세포 분획에서 분리하여 수집하고 에펜도르프 튜브에 담아 바로 실험하거나 -80 ℃에서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EPPS 투여 전, 투여 후 수집된 혈장에서 베타아밀로이드 농도의 측정은 각각 키트의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농도를 연산부에서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값을 얻었다.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얻은 값의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day
구분 young (5-6 month)
1 2 3 4 5 6 7 8 9 10 11
A-B
52.151 20.430 191.398 124.731 108.065 102.326 89.535 94.186 146.802 22.674 98.547
구분 aged (7.2 month 이상)
1 2 3 4 5 6 7 8 9 10 11
A-B
78.802 12.442 15.385 7.373 182.867 10.138 13.364 7.373 11.060 41.434 20.276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A-B
4.147 16.129 194.580 18.894 6.119 345.979 19.816 156294 180.594 140.559 -
5 day
구분 aged (7.2 month 이상)
1 2 3 4 5 6 7 8 9 10 11
A-B
93.531 76.049 170.979 86.122 108.916 311.820 134.965 170.656 207.692 163.986 51.584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A-B
55.115 88.441 105.420 130.096 118.007 70.105 185.315 66.259 214.549 209.711
19 day
구분 aged (7.2 month 이상)
1 2 3 4 5 6 7 8 9 10 11
A-B
298.504 70.596 86.108 129.025 57.487 53.294 43.826 101.221 82.444 52.809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A-B
- 131.569 88.695 61.725 27.070 32.708 22.406 20.515 59.409 136.814 -
33 day
구분 aged (7.2 month 이상)
1 2 3 4 5 6 7 8 9 10 11
A-B
114.33 148.154 21.599 71.410 4.797 24.240 11.079 42.621 31.969 23.509 -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A-B
- 39.237 23.448 33.902 41.596 59.545 31.762 51.292 78.101 60.179 -
위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EPPS를 24시간(1 일) 이후 키트에서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측정하여 계산된 A-B 값은 모든 마우스가 양(+)의 값을 나타내어 EPPS 투여 전보다 투여 후의 베타아밀로이드의 혈중 농도가 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사용된 마우스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체를 형성하는 동물 모델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체가 형성된 동물의 혈장을 본 발명에 따른 키트에 이용하면 EPPS 투여 후 베타아밀로이드가 농도가 증가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진단키트를 사용하면 알츠하이머 병, 치매 등의 진단 또는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월령의 마우스(young) 및 7.2개월령 이상의 마우스(aged)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츠하이머 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로 측정한 결과 EPPS를 투여한 후에는 EPPS를 투여하기 전에 비하여 베타아밀로이드 42 농도가 상당량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체의 차이는 있지만 EPPS 투여 19일 후부터는 키트에서 얻은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뇌 내의 단백질 집적체가 약물에 의해 혈액으로 많이 빠져나오면서 뇌 내의 집적체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오랜시간 약물을 투여하게되면 뇌 내에서 혈액으로 빠져나오는 단백질 집적체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즉, EPPS를 투여하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던 혈액 내 단백질 집적체의 양은 일정시간 이후에 감소하게 되며, 이는 뇌 내에 단백질 집적체가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약물투여와 혈액검사를 통해 뇌 내의 병인 단백질 집적체가 줄어들고 있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7.2개월령 이상의 마우스(aged)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로 장기투여한 후 측정한 결과, EPPS를 투여한 후에는 EPPS를 투여하기 전에 비하여 베타아밀로이드 42 농도가 상당량 증가 후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뇌 내 집적체 형태로 있던 베타아밀로이드가 용해되면서 혈액 내로 이동하여 진단키트로 관찰되었다. 또한, 장기투여 후 뇌 내에 집적되어 있던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이 점점 감소하여 혈액 내에서 관찰되는 농도 역시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어 병의 진단뿐 아니라, 단백질의 집적체가 뇌 안에서 줄고 있음을 혈액진단키트로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Claims (9)

  1.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과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2. (a)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A)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b)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 혈장 내 단백질의 농도(B)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c)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 차이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수학식 1]
    Figure pat00005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부에서는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다음 20 내지 450시간 후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값이 양(+)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으로 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을 투여한 후의 혈장 내 단백질은 뇌 내의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가 분해되어 단량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화학식 1]
    Figure pat00006
    .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및 플라크를 단량체로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스폰지폼 뇌질환(Spongiform encephalopathies), 파킨슨 질환, 헌팅톤 질환(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서핀 결핍증(Serpin deficiency), 경변증(cirrhosis), 제 II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s),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hereditary cerebral amyloid angiopathy),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알츠하이머 병,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radiotherapy induced dementia), 축색 돌기 상해(axon injury), 급성확산성 피질억제(acute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alpha-synucleinopathies), 뇌허혈(brain ischemia), 영구 중뇌 허혈(permanent focal cerebralischemia), 말초 신경 재생(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중첩성 간질 후 모델(post-status epilepticusmodel),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산발성 루게릭병(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및 전염성 해면양뇌증(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KR1020140038988A 2013-04-26 2014-04-02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20140128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01A KR101619238B1 (ko) 2013-04-26 2014-04-2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CN201480036335.7A CN105339798A (zh) 2013-04-26 2014-04-25 利用蛋白质聚集物的解离来诊断与异常蛋白质聚集或错误折叠相关之疾病的诊断试剂盒
EP14788047.0A EP2990801B1 (en) 2013-04-26 2014-04-25 Diagnostic kit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dissociation of protein aggregates
JP2016510622A JP6189526B2 (ja) 2013-04-26 2014-04-25 タンパク質凝集体の溶解を用いたタンパク質の非正常な凝集またはミスフォールディングと関連した疾患または疾病を診断する診断キット
US14/787,146 US10006920B2 (en) 2013-04-26 2014-04-25 Diagnostic kit for diagnosis of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or misfolding-related diseases using dissociation of protein aggregates
PCT/KR2014/003643 WO2014175693A1 (ko) 2013-04-26 2014-04-25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CN201810037524.6A CN108089012A (zh) 2013-04-26 2014-04-25 利用蛋白质聚集物的解离来诊断与异常蛋白质聚集或错误折叠相关之疾病的诊断试剂盒
CN201810037521.2A CN108387738B (zh) 2013-04-26 2014-04-25 利用蛋白质聚集物的解离来诊断与异常蛋白质聚集或错误折叠相关之疾病的诊断试剂盒
KR1020150173690A KR20150141925A (ko) 2013-04-26 2015-12-08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5A KR20170024600A (ko) 2013-04-26 2017-02-23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90140267A KR20190126754A (ko) 2013-04-26 2019-11-0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6343P 2013-04-26 2013-04-26
US61/816,343 2013-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229A true KR20140128229A (ko) 2014-11-05

Family

ID=52452150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989A KR20140128230A (ko) 2013-04-26 2014-04-02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40038988A KR20140128229A (ko) 2013-04-26 2014-04-02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40050001A KR101619238B1 (ko) 2013-04-26 2014-04-2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40050002A KR101621935B1 (ko) 2013-04-26 2014-04-25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69084A KR20150139487A (ko) 2013-04-26 2015-11-30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73690A KR20150141925A (ko) 2013-04-26 2015-12-08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5A KR20170024600A (ko) 2013-04-26 2017-02-23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6A KR20170023915A (ko) 2013-04-26 2017-02-23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90140267A KR20190126754A (ko) 2013-04-26 2019-11-0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989A KR20140128230A (ko) 2013-04-26 2014-04-02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001A KR101619238B1 (ko) 2013-04-26 2014-04-2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40050002A KR101621935B1 (ko) 2013-04-26 2014-04-25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69084A KR20150139487A (ko) 2013-04-26 2015-11-30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73690A KR20150141925A (ko) 2013-04-26 2015-12-08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5A KR20170024600A (ko) 2013-04-26 2017-02-23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6A KR20170023915A (ko) 2013-04-26 2017-02-23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90140267A KR20190126754A (ko) 2013-04-26 2019-11-0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6920B2 (ko)
EP (1) EP2990801B1 (ko)
JP (1) JP6189526B2 (ko)
KR (9) KR20140128230A (ko)
CN (3) CN108387738B (ko)
WO (1) WO2014175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696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캔티스 단백질 응집형의 검출 방법, 전기화학적 검출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정상 단백질 응집 관련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전기화학적 진단 키트
WO2017181790A1 (zh) * 2016-04-19 2017-10-26 南京中硼联康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消除β淀粉样蛋白沉积斑块的中子捕获治疗系统
CA3062876A1 (en) * 2017-05-16 2018-11-22 Amprion, Inc. Detection of misfolded tau protein
KR101934475B1 (ko) 2017-06-12 2019-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우린 포함 단백질 단량체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392B1 (en) * 1994-11-14 2008-09-23 Ela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aiding in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y measuring amyloid-β peptide (x-≧41) and tau
AU4984400A (en) * 1999-05-07 2000-11-21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Method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KR100595494B1 (ko) * 2003-02-24 2006-07-03 (주) 디지탈바이오텍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 항체 농도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진단키트
DE602004022284D1 (de) * 2003-05-15 2009-09-10 Roskamp R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dikamenten zur verringerung der amyloid-abscheidung, amyloid-neurotoxizität und mikrogliosis
JP2005104975A (ja) * 2003-09-09 2005-04-21 Takeda Chem Ind Ltd 抗体の用途
BRPI0513959A (pt) * 2004-07-30 2008-05-20 Rinat Neuroscience Corp anticorpos dirigidos contra o peptìdeo beta-amilóide, sua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kit e métodos de fabricação dos mesmos
EP1820019A4 (en) * 2004-11-12 2008-05-14 Pfizer METHOD FOR MEASURING BETA-AMYLOID PEPTIDES
WO2007103683A2 (en) 2006-03-01 2007-09-13 Roskamp Research Llc Compounds for inhibiting beta-amyloid production
WO2011064225A1 (en) * 2009-11-24 2011-06-03 Probiodrug Ag Novel diagnostic method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or mild cgnitive impairment
KR20120116416A (ko) * 2009-11-30 2012-10-22 노파르티스 아게 뇌척수액에서 알츠하이머 병에 대한 생체 마커로서의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
KR101173677B1 (ko) * 2009-12-11 2012-08-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31949B1 (ko) * 2009-12-11 2015-06-26 아라클론 바이오테크, 에스.엘.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의 개선된 검출 방법 및 시약
JP5400903B2 (ja) * 2010-01-28 2014-0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ミロイドβ測定方法
CN104662423A (zh) * 2012-03-13 2015-05-27 杨森阿尔茨海默氏症免疫治疗公司 阿兹海默氏病的诊断、预后和监测中的寡聚体A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87738A (zh) 2018-08-10
KR20140128265A (ko) 2014-11-05
KR101621935B1 (ko) 2016-05-17
JP6189526B2 (ja) 2017-08-30
CN105339798A (zh) 2016-02-17
CN108387738B (zh) 2020-08-11
KR20190126754A (ko) 2019-11-12
KR20170024600A (ko) 2017-03-07
KR20150139487A (ko) 2015-12-11
US10006920B2 (en) 2018-06-26
KR101619238B1 (ko) 2016-05-10
US20160103139A1 (en) 2016-04-14
WO2014175693A1 (ko) 2014-10-30
KR20140128230A (ko) 2014-11-05
EP2990801A1 (en) 2016-03-02
JP2016537609A (ja) 2016-12-01
KR20170023915A (ko) 2017-03-06
EP2990801A4 (en) 2016-11-30
KR20150141925A (ko) 2015-12-21
KR20140128266A (ko) 2014-11-05
CN108089012A (zh) 2018-05-29
EP2990801B1 (en)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Amyloid-β and Parkinson’s disease
KR20190126754A (ko)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Liu et al. Inhaled sevoflurane may promote progress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rospective, randomized parallel-group study
Javanshiri et al. Atherosclerosis,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mixed dementia: prevalence and presentation
Coan et al. An assessment of possible neuropathology and clinical relationships in 46 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 autopsies
Huang et al. Clinical trials of new drugs for Alzheimer disease: a 2020–2023 update
Lu et al. Body fluid biomarkers in Alzheimer’s disease
Bennett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of R (+) pramipexole in mild-to-moderate Alzheimer’s disease
Rinne et al. [11C] PIB PET is associated with the brain biopsy amyloid-β load in subjects examined for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Nichols et al. Imaging and in vivo quantitation of β-amyloid: An exemplary bio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KR20150119089A (ko) 알츠하이머병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헬리카제-프리마제 억제제
Johnson Amyloid imaging of Alzheimer’s disease using Pittsburgh Compound B
DK2424513T3 (en) Quinone derivative-2,3-dimethoxy-5-methyl-6- (10-hydroxydecyl) -1,4-benzoquinone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Blasko et al. Effects of medications on plasma amyloid beta (Aβ) 42: longitudinal data from the VITA cohort
Nordberg et al. Correlations between Alzheimer’s disease cerebrospinal fluid biomarkers and cerebral glucose metabolism after 12 months of phenserine treatment
KR20110066623A (ko)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Yamada et al. Cross-sectional examination of homocysteine levels with sarcopenia and its components in memory clinic outpatients
Wisniewski et al. Gait dysfunction in Alzheimer disease
WO2019165049A1 (en) Methods for detec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KR101934475B1 (ko) 타우린 포함 단백질 단량체화 조성물
WO2024011094A1 (en) Regimen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aving onset 24 months prior to treatment
WO2023086468A1 (en) Method of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dosing regimen for same
Gaddam Check for updates Bio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Mareechika Gaddam, Esther Rani Motamarri, and Abha Sharma
WO2024011093A1 (en)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aving onset 24 months prior to treatment
WO2023063959A1 (en) Method of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