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230A -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230A
KR20140128230A KR1020140038989A KR20140038989A KR20140128230A KR 20140128230 A KR20140128230 A KR 20140128230A KR 1020140038989 A KR1020140038989 A KR 1020140038989A KR 20140038989 A KR20140038989 A KR 20140038989A KR 20140128230 A KR20140128230 A KR 2014012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disease
concentration
misfolding
diagnostic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동진
김혜연
조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CN201810037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387738B/zh
Priority to EP14788047.0A priority patent/EP2990801B1/en
Priority to PCT/KR2014/003643 priority patent/WO2014175693A1/ko
Priority to JP2016510622A priority patent/JP6189526B2/ja
Priority to US14/787,146 priority patent/US10006920B2/en
Priority to CN201810037524.6A priority patent/CN108089012A/zh
Priority to CN201480036335.7A priority patent/CN105339798A/zh
Priority to KR1020140050002A priority patent/KR1016219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230A/ko
Priority to KR1020150169084A priority patent/KR20150139487A/ko
Priority to KR1020170024146A priority patent/KR20170023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27Total protein determination, e.g. albumin in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16Amyloid plaque core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1Alzheimer's disease; Amyloid plaque cor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09Amyloid plaque cor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 G01N2800/2821Alzheimer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후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 및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후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전혈에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랑체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혈액 중에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DIAGNOSTIC KIT FOR DIAGNOSIS OF PROTEIN AGGREGATION AND MISFOLDING RELATED DISEASES OR DISORDERS USING DISSOCIATION OF PROTEIN AGGREGATES IN BLOOD}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혈액 중에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신경세포 기능장애 및 손상은 독성의 응집되기 쉬운 단백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다수의 신경계 질환은 그러한 용태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프리온 질병, 폴리글루타민 확장증, 척수소뇌성 실조증, 척수 및 연수 근육위축, 해면 뇌병증, 타우증(tauopathy), 헌팅톤 병, 또는 근육긴장 이상과 같은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질환을 유발하는, 독성의 응집되기 쉬운 단백질을 코딩하는 단백질, 및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정되었다. 정상적인 대사 효소는 합성 및 분해의 영구적인 순환을 형성하는 단백질을 재순환시킨다. 상기 유전자가 돌연변이화될 경우, 미스폴딩된 단백질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고 분해된다. 이러한 미스폴딩된 단백질이 신경세포 손상의 지시일 수 있는 신경세포 봉입체 및 플라크를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세포 기전을 이해하고, 상기 미스폴딩된 단백질을 감소시키고, 저해하고, 호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분자 수단을 동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단백질 미스폴딩 및 응집이 신경세포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이들 질환에 대한 합리적이고 유효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치매 중 특히 알츠하이머 병이란 뇌 내 정상적으로 존재하던 베타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응집하여 각각 아밀로이드 플라크(Aβ plaque)와 신경섬유매듭(neurofibrillary tangle)을 형성하고, 신경세포 및 신경세포 연접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신경계 퇴행성 질병이다.
이러한 알츠하이머 병은 뇌혈관 질환, 암 다음으로 3 번째로 높은 노화에 관련된 사망원인이며, 발생 시 평균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이 되므로 보호자의 정신적,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 환자의 뇌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는 베타아밀로이드는 단백질 분해효소(secretase)에 의해 대사되어 나타나는 펩타이드로, 질병의 진행에 따라 단량체(monomer), 중합체(oligomer), 피브릴 전구체(proto-fibril), 피브릴(fibril) 및 플라크(plaque)와 같이 특이한 복합구조를 띄게 되며 그 중 동적 변형이 활발한 중합체와 피브릴 전구체가 뇌세포를 파괴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 시험에 나타나듯 사람에서 알츠하이머 병 증상이 발생하기 10 내지 15년 전부터 뇌에서 베타아밀로이드의 비정상적인 응집이 나타난다(Perrin RJ, Fagan AM, Holtzman DM. “Multimodal techniques for diagnosis and prognosis of Alzheimer’s disease.” Nature. 2009;461:916-22). 이러한 베타아밀로이드는 단량체, 작은 이량체 및 삼량체의 형태로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에 존재하는 RAGE 및 LRP에 의하여 뇌와 혈액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혈액 중 베타아밀로이드의 농도 변화는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과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혈액 내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이용해 알츠하이머 병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한 여러 견해가 있다. 우선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에 따라 베타아밀로이드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van Oijen M, Hofman A, Soares HD, Koudstaal PJ, Breteler MM. “Plasma Abeta(140) and Abeta(142) and the risk of dementia: a prospective case-cohort study.” Lancet Neurol. 2006;8:655660, Mayeux R, Honig LS, Tang MX, Manly J, Stern Y, Schupf N, Mehta PD. “Plasma A[beta]40 and A[beta]42 and Alzheimer’s disease: relation to age, mortality, and risk.” Neurology. 2003;8:11851190), 이와 반대로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에 따라 혈액 중 베타아밀로이드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Sundstrom J, Ingelsson E, Ronnemaa E, Arnlov J, Gunnarsson MD, Hyman BT, Basun H. et al. “Plasma beta amyloid and the risk of Alzheimer disease and dementia in elderly men: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Arch Neurol. 2008;8:256263). 그리고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에 따른 인지능력 저하와 혈액 중 베타아밀로이드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다(Hansson O, Zetterberg H, Vanmechelen E, Vanderstichele H, Andreasson U, Londos E, Wallin A, Minthon L, Blennow K. “Evaluation of plasma Abeta(40) and Abeta(42) as predictors of conversion to Alzheimer’s diseas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biol aging. 2010;8:357367, Lopez OL, Kuller LH, Mehta PD, Becker JT, Gacㄴh HM, Sweet RA, Chang YF, Tracy R, DeKosky ST. “Plasma amyloid levels and the risk of AD in normal subjects i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Neurology. 2008;8:16641671). 이러한 연구 결과의 차이는 혈액 내로 들어온 베타아밀로이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현재 알츠하이머 병의 확진은 사후검사로만 인정이 되며 진행정도 등에 대한 진단은 신체검사와 신경학적 검사 정신상태 검사 등 간접적인 증상에 관한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 뇌척수액 내의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및 가장 정확하게는 뇌 영상검사를 통해 뇌의 구조적 변화나 기능적 변화를 확인하며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매우 침습적이며 고가의 진단을 진행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정확하게 알츠하이머 병을 진단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3677호
미국 공개특허 US2011/01660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혈액 중에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진단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키트는 전혈에서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로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후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 및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후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는 (a)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된 혈장의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b)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된 전혈의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및 (c)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측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하고 23 내지 25시간 후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화된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 이량체,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플라크, 베타아밀로이드 40번 및 42번의 집적체, 타 단백질과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및 혈액세포와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가 분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산부에 측정된 값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으로 진단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는 전혈에서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가 감소하며; 전혈 및 혈장 내에서 집적된 단백질이 단량체화되는 것을 이용하고, 타 단백질 및 혈액 세포에 결합되어 있는 단백질도 분리되어 혈장 및 전혈 내 함유된 단백질의 단량체 농도를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함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을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단키트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각종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침습적이고 병의 진행이 많이 된 경우에만 진단이 가능하다. 단백질의 집적은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 환자가 증상을 나타내기 훨씬 이전에 일어나기 때문에 병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단백질의 집적을 저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약물의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단백질의 집적을 막아주는 기전의 약물들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단백질이 뇌 내에서 집적되고 있는 시점을 알아내야 한다. 즉,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혈장 및 전혈의 단백질 단량체 농도를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 또는 PBS 투여 24시간 후의 혈장 또는 전혈 내 베타아밀로이드 42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와 상이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본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 또는 PBS 투여 24시간 후의 혈장 또는 전혈 내 베타아밀로이드 42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원인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병 등의 질병 또는 질환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다른 질병 또는 질환의 혈액 중에 응집된 단백질의 용해를 통한 농도 분석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스폰지폼 뇌질환(Spongiform encephalopathies), 파킨슨 질환, 헌팅톤 질환(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서핀 결핍증(Serpin deficiency), 경변증(cirrhosis), 제 II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s),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hereditary cerebral amyloid angiopathy),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알츠하이머 병,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radiotherapy induced dementia), 축색 돌기 상해(axon injury), 급성확산성 피질억제(acute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alpha-synucleinopathies), 뇌허혈(brain ischemia), 영구 중뇌 허혈(permanent focal cerebralischemia), 말초 신경 재생(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중첩성 간질 후 모델(post-status epilepticusmodel),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산발성 루게릭병(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및 전염성 해면양뇌증(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딩은 단백질이 가능은 하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입체형태의 배열로부터 하나의 특정 구조를 취할 것을 요한다. 폴리펩티드가 그의 적합한 구조를 채용하지 못한 것이 세포 작용 및 생육성에 대한 주된 위협이 된다. 미스폴딩된 단백질은 그 자체로, 및 그 스스로 독성일 수 있고 매우 중증이거나 심지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교한 시스템은 미스폴딩된 단백질의 유해 효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도록 진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백질 응집"은 폴리펩티드중 하나가 탈용매화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2개의 폴리펩티드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현상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폴리펩티드 본래의 작용 또는 활성의 손실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혈액 중 단백질은 뇌 내의 단백질이 단량체의 형태로 있을 때에 유입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집적이 많이 이루어진 형태는 혈액 내로 유입되기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단백질이 단량체 형태로 혈액 내로 유입되어도, 혈액 내에서 집적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혈액 내 타 단백질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 혈액 중 혈장만 단순히 분리하여 단백질의 단량체를 측정하는 방법만으로는 정확한 혈액 내의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단순 혈장 내 단백질의 단량체 농도만으로 정상인과 환자를 구분하기 어렵게 된다. 이는, 혈액 내 단백질을 단량체화 함과 동시에, 타 단백질과 혈액세포 등에서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를 분리하여,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해결된다. 하지만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안정성이 혈장에서 보다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는데(Slemmon JR1, Painter CL, Nadanaciva S, Catana F, Cook A, Motter R, Seubert P. “Distribution of Abeta peptide in whole blood.”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07 ;846(1-2):24-31) 이는 단백질 단량체가 혈구 구성분에 의해 대사되거나 탐식되는 등에 의한 현상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전혈에서의 단백질 단량체와 혈장에서의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비교하면 정확하게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타 단백질로는 락토페린(Lactoferrin), 클러스테린(Clusterin), 알파-1-항트립신(Alpha-1-antitrypsin), 아포지방단백 A-IV(Apolipoprotein A-IV), 아포지방단백 E(Apolipoprotein E) 및 아포지방단백 A-I(Apolipoprotein A-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혈장 및 전혈의 단백질 단량체 농도를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는 (a)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된 혈장의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b)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된 전혈의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및 (c)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측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정부에서는 전혈에서 분리한 혈장을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하고 23 내지 25시간 후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2 측정부에서는 전혈을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하고 23 내지 25시간 후 혈장을 분리하여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와 제2 측정부에 측정된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이용하여 연산부에서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1]로 계산된 값은 MB/MP < 1.0 및 MB/MP ≥ 1.0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B/MP < 1.0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을 수 있으며; MB/MP ≥ 1.0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적거나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정상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MB/MP < 1.0인 경우에는 상기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MP)와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MB)의 차이(MP-MB)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단백질 집적체 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을 수 있는 것이다.
혈장에서는 단백질 집적체 및 단백질 단량체가 존재하던 중 단백질 집적체를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하여 단량체화하므로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MP)가 증가하며; 전혈에서는 단백질 단량체가 혈구나 타 단백질 등에 의해 탐식되거나 대사되므로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하여 집적체를 단량체화하면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MB)가 감소한다. 따라서 ‘MP-MB = 집적체의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클수록 혈액 내 단백질 양이 많아지고 상대적으로 집적체로 집적되는 양이 많아진다. 이로 인해 혈장 내 단량체화 단백질의 농도(MP)가 높아지고 전혈 내 단백질의 농도(MB)가 대사 및 탐식으로 인해 감소하므로 MP-MB값이 커지고, MB/MP값이 1.0 미만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서 단량체화된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 이량체,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플라크, 베타아밀로이드 40번 및 42번의 집적체, 타 단백질과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및 혈액세포와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가 분해된 것이다.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으나, 단백질 중합체를 단량체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EPPS외에 다른 단백질 중합체를 단량체로 분해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EPPS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의 EPPS는 SDS-PAGE를 이용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40의 단량체 크기인 4.3 KD 부근에서 밴드가 나타나 베타아밀로이드 피브릴이 단량체로 분해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집적된 베타아밀로이드 이량체,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플라크, 베타아밀로이드 40번 및 42번의 집적체, 타 단백질과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및 혈액세포와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를 분해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피브릴이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집적된 베타아밀로이드 이량체,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플라크, 베타아밀로이드 40번 및 42번의 집적체, 타 단백질과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및 혈액세포와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를 분해하는 활성을 갖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1> APP / PS1 / Tau 형질전환 마우스를 이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농도 측정 및 알츠하이머 병의 진단
1. 마우스 준비
실험동물로는 APP/PS1/Tau 형질전환 마우스 암컷을 이용하였으며 5개월령의 동일 주령 개체를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형질전환 마우스 APP/PS1/Tau 모델은 B6;129-Psen1tm1Mpm Tg(APPSwe,tauP301L)1Lfa/Mmjax이며, 미국 잭슨 실험동물 센터(The Jackson Laboratory, USA)에서 구입하여 실험동물 윤리 규정 하에 관리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2. 혈장 및 전혈 처리
혈액은 K2 EDTA가 처리된 진공튜브에 Roche cOmplete Mini(protease inhibitor) 용액을 첨가한 후 수집하여 원심분리 하였으며, 혈장은 세포 분획에서 분리하여 수집하고 에펜도르프 튜브에 0.1 mL 표본으로 나누어 바로 실험 또는 80 ℃에서 보관하였고, 전혈은 바로 EPPS 등을 처리하여 혈장을 세포 분획에서 분리하여 수집하고 에펜도르프 튜브에 0.1 mL 표본으로 나누어 바로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측정하거나 80 ℃에서 보관하였다.
3. 샘플처리 및 베타아밀로이드 농도 측정
상기 혈장을 PBS로 처리한 대조군과 EPPS로 처리한 EPPS 처리군으로 나누어 처리한다.
상기 EPPS 처리군은 혈장 15 μL에 400 mM EPPS로 5 μL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100 mM EPPS가 처리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대조군은 혈장 15 μL에 PBS 5 μL로 처리하여 EPPS 처리군과 동일 농도가 되도록 한 다음 대조군과 EPPS 처리군을 각각 4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전혈은 EPPS처리 후 분석한다.
상기 전혈 15 μL에 500 mM EPPS로 5 μL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100 mM EPPS가 처리되도록 한 후 4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베타아밀로이드 농도 측정 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집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수집된 각 혈장에서 베타아밀로이드 농도의 측정은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하였으며, 연산부에서 [수학식 1]에 따라 3회 계산한 후 그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대조군(UP Aβ), EPPS 처리군 혈장의 단량체 농도(MP Aβ), EPPS 처리군 전혈의 단량체 농도(MB Aβ) 및 상기 MP와 MB에 대한 MB/MP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UP Aβ MP Aβ MB Aβ MB/MP
농도 45.52±17.10 49.53±19.92 30.00±5.32 0.61
p value
(paired t-test with MP)
0.00675 - 0.00004 -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혈장의 농도(UP Aβ)에 비하여 EPPS 처리군 혈장의 단량체 농도(MP Aβ)가 높으므로 EPPS를 사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단량체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PPS 처리군 전혈의 단량체 농도(MB Aβ)는 오히려 UP Aβ보다도 감소되었다(도 2).
또한, 상기 EPPS 처리군 혈장의 단량체 농도(MP Aβ)와 EPPS 처리군 전혈의 단량체 농도(MB Aβ)를 이용하여 측정된 MB/MP값은 0.61로서 1.0보다 작으므로 알츠하이머 병의 위험군이거나 치매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사용된 마우스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체를 형성하는 동물 모델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체가 형성된 동물의 혈장을 본 발명에 따른 키트에 이용하면 EPPS 투여 후 전혈 내 베타아밀로이드가 농도가 감소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키트를 사용하면 알츠하이머 병, 치매 등의 진단 또는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UP Aβ, MP Aβ 및 MB Aβ에 대하여 더 설명하자면, UP Aβ는 여러 형태(예컨대, 베타아밀로이드 이량체,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플라크, 베타아밀로이드 40번 및 42번의 집적체, 타 단백질과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및 혈액세포와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가 혼합되어있는 베타아밀로이드를 포함한 혈장을 의미하며, MP Aβ는 UP Aβ의 혼합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을 분리하여 단량체화한 베타아밀로이드를 포함하는 혈장을 의미하고, MB Aβ는 전혈에 EPPS를 처리하여 베타아밀로이드를 단량체화한 후 분리한 혈장을 의미한다. 이때, UP Aβ = [헤테로 Aβ]; MP Aβ = [총 Aβ 단량체]; MP Aβ- MB Aβ = [집적체 Aβ]이다.
< 실시예 2> APP / PS1 형질전환 마우스를 이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농도 측정
1. 마우스 준비
실험동물로는 APP/PS1 형질전환 마우스 암컷을 이용하였으며 9개월령의 동일 주령 개체를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형질전환 마우스 APP/PS1 모델은 B6C3-Tg(APPswe,PSEN1dE9)85Dbo/Mmjax이며, 미국 잭슨 실험동물 센터(The Jackson Laboratory, USA)에서 구입하여 실험동물 윤리 규정 하에 관리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혈장 및 전혈 처리; 샘플처리 및 베타아밀로이드 농도 측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2]는 대조군(UP Aβ), EPPS 처리군 혈장의 단량체 농도(MP Aβ), EPPS 처리군 전혈의 단량체 농도(MB Aβ) 및 상기 MP와 MB에 대한 MB/MP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 2의 값은 3회 측정 후 그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UP Aβ MP Aβ MB Aβ MB/MP
농도 151.35±20.35 151.58±24.03 118.92±10.22 0.79
p value
(paired t-test with MP)
0.480 - 0.015 -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PPS 처리군 전혈의 단량체 농도(MB Aβ)가 오히려 UP Aβ보다도 감소되었으며(도 3), 상기 EPPS 처리군 혈장의 단량체 농도(MP Aβ)와 EPPS 처리군 전혈의 단량체 농도(MB Aβ)를 이용하여 측정된 MB/MP값은 0.79로서 1.0보다 작으므로 알츠하이머 병의 위험군이거나 치매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사용된 마우스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체를 형성하는 동물 모델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체가 형성된 동물의 혈장을 본 발명에 따른 키트에 이용하면 EPPS 투여 후 전혈 내 베타아밀로이드가 농도가 감소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키트를 사용하면 알츠하이머 병, 치매 등의 진단 또는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전혈에서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로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후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 및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한 후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2. (a)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된 혈장의 혈장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b)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된 전혈의 전혈 내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및
    (c)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와 상기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수학식 1]
    Figure pat00005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 및 제2 측정부에서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로 처리하고 23 내지 25시간 후 단백질 단량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 측정된 값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으로 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화된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 이량체, 중합체, 피브릴 전구체, 피브릴, 플라크, 베타아밀로이드 40번 및 42번의 집적체, 타 단백질과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 및 혈액세포와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 단량체가 분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단량체화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화학식 1]
    Figure pat00006
    .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스폰지폼 뇌질환(Spongiform encephalopathies), 파킨슨 질환, 헌팅톤 질환(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서핀 결핍증(Serpin deficiency), 경변증(cirrhosis), 제 II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s),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hereditary cerebral amyloid angiopathy),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알츠하이머 병,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radiotherapy induced dementia), 축색 돌기 상해(axon injury), 급성확산성 피질억제(acute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alpha-synucleinopathies), 뇌허혈(brain ischemia), 영구 중뇌 허혈(permanent focal cerebralischemia), 말초 신경 재생(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중첩성 간질 후 모델(post-status epilepticusmodel),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산발성 루게릭병(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및 전염성 해면양뇌증(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KR1020140038989A 2013-04-26 2014-04-02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20140128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37521.2A CN108387738B (zh) 2013-04-26 2014-04-25 利用蛋白质聚集物的解离来诊断与异常蛋白质聚集或错误折叠相关之疾病的诊断试剂盒
EP14788047.0A EP2990801B1 (en) 2013-04-26 2014-04-25 Diagnostic kit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dissociation of protein aggregates
PCT/KR2014/003643 WO2014175693A1 (ko) 2013-04-26 2014-04-25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JP2016510622A JP6189526B2 (ja) 2013-04-26 2014-04-25 タンパク質凝集体の溶解を用いたタンパク質の非正常な凝集またはミスフォールディングと関連した疾患または疾病を診断する診断キット
US14/787,146 US10006920B2 (en) 2013-04-26 2014-04-25 Diagnostic kit for diagnosis of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or misfolding-related diseases using dissociation of protein aggregates
CN201810037524.6A CN108089012A (zh) 2013-04-26 2014-04-25 利用蛋白质聚集物的解离来诊断与异常蛋白质聚集或错误折叠相关之疾病的诊断试剂盒
CN201480036335.7A CN105339798A (zh) 2013-04-26 2014-04-25 利用蛋白质聚集物的解离来诊断与异常蛋白质聚集或错误折叠相关之疾病的诊断试剂盒
KR1020140050002A KR101621935B1 (ko) 2013-04-26 2014-04-25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69084A KR20150139487A (ko) 2013-04-26 2015-11-30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70024146A KR20170023915A (ko) 2013-04-26 2017-02-23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6343P 2013-04-26 2013-04-26
US61/816,343 2013-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230A true KR20140128230A (ko) 2014-11-05

Family

ID=52452150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989A KR20140128230A (ko) 2013-04-26 2014-04-02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40038988A KR20140128229A (ko) 2013-04-26 2014-04-02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40050002A KR101621935B1 (ko) 2013-04-26 2014-04-25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40050001A KR101619238B1 (ko) 2013-04-26 2014-04-2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50169084A KR20150139487A (ko) 2013-04-26 2015-11-30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73690A KR20150141925A (ko) 2013-04-26 2015-12-08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5A KR20170024600A (ko) 2013-04-26 2017-02-23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6A KR20170023915A (ko) 2013-04-26 2017-02-23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90140267A KR20190126754A (ko) 2013-04-26 2019-11-0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988A KR20140128229A (ko) 2013-04-26 2014-04-02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40050002A KR101621935B1 (ko) 2013-04-26 2014-04-25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40050001A KR101619238B1 (ko) 2013-04-26 2014-04-2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50169084A KR20150139487A (ko) 2013-04-26 2015-11-30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50173690A KR20150141925A (ko) 2013-04-26 2015-12-08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5A KR20170024600A (ko) 2013-04-26 2017-02-23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KR1020170024146A KR20170023915A (ko) 2013-04-26 2017-02-23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KR1020190140267A KR20190126754A (ko) 2013-04-26 2019-11-05 체내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이용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혈액진단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6920B2 (ko)
EP (1) EP2990801B1 (ko)
JP (1) JP6189526B2 (ko)
KR (9) KR20140128230A (ko)
CN (3) CN108089012A (ko)
WO (1) WO2014175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696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캔티스 단백질 응집형의 검출 방법, 전기화학적 검출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정상 단백질 응집 관련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전기화학적 진단 키트
JP6754846B2 (ja) * 2016-04-19 2020-09-16 南京中硼▲聯▼康医▲療▼科技有限公司Neuboron Medtech Ltd. βアミロイド沈着プラークを除去するための中性子捕捉治療システム
BR112019024138A2 (pt) * 2017-05-16 2020-06-02 Amprion, Inc. Método para determinar uma presença ou ausência em uma amostra de um primeiro agregado de proteínas mal enoveladas
KR101934475B1 (ko) 2017-06-12 2019-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우린 포함 단백질 단량체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392B1 (en) * 1994-11-14 2008-09-23 Ela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aiding in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y measuring amyloid-β peptide (x-≧41) and tau
CA2373150A1 (en) 1999-05-07 2000-11-16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Method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20060188951A1 (en) * 2003-02-24 2006-08-24 In Hee Mook Method for measuring the level of anti-beta-amyloid antibody in body fluids and diagnostic kit for alzheimer's disease using same
ATE437641T1 (de) 2003-05-15 2009-08-15 Roskamp R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dikamenten zur verringerung der amyloid-abscheidung, amyloid- neurotoxizität und mikrogliosis
JP2005104975A (ja) 2003-09-09 2005-04-21 Takeda Chem Ind Ltd 抗体の用途
EA016357B1 (ru) 2004-07-30 2012-04-30 Ринат Ньюросайенс Корп. Антитела, направленные против бета-амилоидного пептид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2008519988A (ja) 2004-11-12 2008-06-12 ファイザー・インク アミロイド−ベータペプチドを測定する方法
WO2007103683A2 (en) 2006-03-01 2007-09-13 Roskamp Research Llc Compounds for inhibiting beta-amyloid production
CN102666577A (zh) * 2009-11-24 2012-09-12 前体生物药物股份公司 诊断阿尔茨海默病或轻度认知损害的新的诊断方法
RU2012127250A (ru) * 2009-11-30 2014-01-20 Новартис Аг Бета-амилоидные агрегаты в спиномозговой жидкости в качестве биомаркеров болезни альцгеймера
KR101173677B1 (ko) 2009-12-11 2012-08-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Ep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MX2012006512A (es) 2009-12-11 2012-08-17 Araclon Biotech Sl Metodos y reactivos para la deteccion mejorada de peptidos beta amiloides.
US20130137120A1 (en) * 2010-01-28 2013-05-30 Panasonic Corporation Amyloid b measurement method
CN104662423A (zh) 2012-03-13 2015-05-27 杨森阿尔茨海默氏症免疫治疗公司 阿兹海默氏病的诊断、预后和监测中的寡聚体A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0801B1 (en) 2019-01-02
EP2990801A4 (en) 2016-11-30
CN108089012A (zh) 2018-05-29
WO2014175693A1 (ko) 2014-10-30
CN105339798A (zh) 2016-02-17
KR20140128229A (ko) 2014-11-05
KR20170024600A (ko) 2017-03-07
JP2016537609A (ja) 2016-12-01
KR101621935B1 (ko) 2016-05-17
US10006920B2 (en) 2018-06-26
KR20140128265A (ko) 2014-11-05
JP6189526B2 (ja) 2017-08-30
KR20150141925A (ko) 2015-12-21
EP2990801A1 (en) 2016-03-02
CN108387738B (zh) 2020-08-11
KR20170023915A (ko) 2017-03-06
KR20140128266A (ko) 2014-11-05
US20160103139A1 (en) 2016-04-14
KR101619238B1 (ko) 2016-05-10
KR20190126754A (ko) 2019-11-12
CN108387738A (zh) 2018-08-10
KR20150139487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pp et al. Cerebral and extracerebral cholesterol metabolism and CSF markers of Alzheimer's disease
Villemagne et al. Blood-borne amyloid-β dimer correlates with clinical markers of Alzheimer's disease
US9588129B2 (en) Methods for analyzing blood to detect diseases associated with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Bangen et al. Aggregate effects of vascular risk factors on cerebrovascular changes in autopsy-confirmed Alzheimer's disease
Glodzik et al. Blood pressure decrease correlates with tau pathology and memory decline in hypertensive elderly
Krut et al. Cerebrospinal fluid Alzheimer's biomarker profiles in CNS infections
Wahlund et al. Cerebrospinal fluid biomarkers for disease stage and intensity in cognitively impaired patients
Lista et al. CSF Aβ1-42 combined with neuroimaging biomarkers in the early detection, diagnosis and prediction of Alzheimer's disease
Mehta et al. Advances in biomarker research in Parkinson’s disease
Serrano-Pozo et al. Stable size distribution of amyloid plaques over the course of Alzheimer disease
Schmitz et al. Cytokine profiles and the role of cellular prion protein in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and vascular encephalopathy
KR20170023915A (ko) 혈액 중 단백질 응집체의 용해를 통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 또는 미스폴딩과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키트
Wearn et al. T2 heterogeneity: a novel marker of microstructural integrity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in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Ye et al. The discriminative capacity of CSF β-amyloid 42 and Tau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the Chinese population
Rinne et al. [11C] PIB PET is associated with the brain biopsy amyloid-β load in subjects examined for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Luebke et al. Fluid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Nordberg et al. Correlations between Alzheimer’s disease cerebrospinal fluid biomarkers and cerebral glucose metabolism after 12 months of phenserine treatment
Sheu et al. Reduction of AHI1 in the serum of Taiwanese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Black et al.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from Circulating Blood Leukocytes Using a Fluorescent Amyloid Probe
KR101934475B1 (ko) 타우린 포함 단백질 단량체화 조성물
Altuna et al. Role of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prion diseases
Nuti et al. Use of cerebrospinal fluid in diagnosis of dement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