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18A -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18A
KR20140127018A KR20130045490A KR20130045490A KR20140127018A KR 20140127018 A KR20140127018 A KR 20140127018A KR 20130045490 A KR20130045490 A KR 20130045490A KR 20130045490 A KR20130045490 A KR 20130045490A KR 20140127018 A KR20140127018 A KR 2014012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accident
server
saf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453B1 (ko
Inventor
이민구
박용국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4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60W30/0953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the prediction being responsive to vehicle dynam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는, 일 차량의 위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판별부; 상기 일 차량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afe Driving}
본 발명은 사고 예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 위치에 기반하여 주변 차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사고다발지역 등이 표시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차량 내 내비게이션은 과속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과속 여부를 알려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운전 유도 방법은 도로상에 설치된 시설을 기반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위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주변 차량에 의한 사고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는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는, 일 차량의 위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판별부; 상기 일 차량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에 의한 안전 운전 지원 방법은, 일 차량의 위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일 차량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1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차량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안전 운전 정보 제공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안전 운전 정보 제공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10)는 촬영부(120), GPS 모듈(130), OBD-II 인터페이스부(110), 판별부(140), 통신부(150) 및 알림부(160)를 포함한다.
촬영부(120)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로서, 예컨대, 차량 전방의 일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20)는 차량 좌우 또는 후방의 일정 영역을 촬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GPS 모듈(130)은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OBD-II 인터페이스부(110)는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판별부(140)는 차량의 위치정보,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판별부(140)는 OBD-II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판별부(14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통신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WiFi, 3G나, LT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판별부(140)의 지시에 따라, 차량의 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한다. 예컨대, 차량의 식별정보는 차량 번호판에 기재된 차량 번호일 수 있으며, 차량 번호와 연계되는 다른 식별정보일 수도 있다.
이때,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차량으로부터 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의 식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자체 데이터베이스 또는 제2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된 다른 차량의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기반으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인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한다. 여기서,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관심영역 내의 다른 차량을 사고주의 차량정보의 생성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50)는 안전 가이드 서버(20)로부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수신하여 판별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판별부(140)는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사고주의 차량정보로부터 차량 번호판 인식범위 내에 있는 알림대상 차량을 선별하여 알림부(160)에 제공한다.
여기서, 판별부(140)는 촬영부(12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나, 사용자에 의해 영상 정보를 이용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등에는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알림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판별부(140)는 사고주의 차량정보에서 동일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선별하여, 그 중에서 차량 번호판 인식범위 내에 있는 차량을 알림대상 차량을 선별할 수도 있다.
알림부(160)는 표시부나 스피커 등이며, 알림대상 차량 또는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알린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차량 중에서,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에 따라 사고위험이 큰 차량이나, 과속, 급가속, 급정차 등에 해당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안전 운전 지원 장치(10)는 사고주의 차량정보에서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차량번호판을 인식 가능한 범위 내의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을 선별하고, 이를 알림대상 차량으로 선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160)는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면서, 그와 함께 알림대상 차량 또는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특정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
안전 운전 지원 장치(1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GPS 모듈(130) 및 OBD-II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서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 속도를 각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 속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 1b를 참고하여 해당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장치(10')는 촬영부(120'), 판별부(140'), 통신부(150') 및 알림부(160')를 포함한다.
촬영부(120')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로서, 차량 주변의 일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차량 내에 위치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GPS 위치정보 및 가속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판별부(140')로 제공한다.
판별부(140')는 GPS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GPS 위치정보 및 가속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를 확인한다.
알림부(160')는 판별부(15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사고주의 차량정보 또는 알림대상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안내한다.
촬영부(120'), 판별부(140') 및 통신부(150')의 다른 기능은 도 1a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도로상에 주행중인 차량에 주변 차량으로 야기될 수 있는 사고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이전에 운전자의 방어 운전을 유도함에 따라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간 영상에 기반하여 주변 차량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표시할 수 있어, 운전자의 정보인식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100)은 일 차량 내 장치(10), 안전 가이드 서버(20) 및 이력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일 차량 내 장치(10)로부터 차량의 식별정보와, 차량의 위치정보,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일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타 차량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이력 관리 서버(30)로 타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며, 타 차량의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요청하여 타 차량의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수신한다.
또한,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타 차량의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과 타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를 종합하여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생성하여 일 차량 내 장치(1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사고 횟수, 교통위반 횟수, 과속 빈도, 급가속 빈도 및 급감속 빈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횟수 이상인 타 차량 모두를 사고주위 차량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현재 과속, 급가속 및 급정차 중인 타 차량 모두를 사고주의 차량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차량 내 장치(10)는 일 차량의 식별정보와, 일 차량의 위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안전 가이드 서버(20)로 송신하고, 안전 가이드 서버(20)로부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수신한다.
일 차량 내 장치(10)는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번호판을 인식 가능한 범위 내 알림대상 차량을 선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린다.
한편, 일 차량 내 장치(10)의 구성은 도 1a 또는 도 1b와 함께 전술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력 관리 서버(30)는 안전 가이드 서버(20)로부터 차량의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검색하여 안전 가이드 서버(20)로 송신하다.
한편, 식별정보가 차량번호가 아닌 경우,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력 관리 서버(30)로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안전 가이드 서버(20)는 해당 서비스의 등록시 등의 경우에 일 차량 내 장치(10) 및 타 차량 내 장치의 식별정보를 차량번호와 연관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도로상에 주행중인 차량에 주변 차량으로 야기될 수 있는 사고 가능성을 경고할 수 있어, 사고 이전에 운전자의 방어 운전을 유도함에 따라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간 영상에 기반하여 주변 차량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표시할 수 있어, 운전자의 정보인식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 차량의 위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판별부;
    상기 일 차량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를 포함하는 안전 운전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고주의 차량정보로부터 차량 번호판 인식범위 내 알림대상 차량을 선별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사고주의 차량정보 중에서 상기 알림대상 차량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알림대상 차량의 식별기호를 겹쳐서 표시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차량의 OBD-I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받은 차량 속도를 확인하거나, GPS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속도를 확인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외부 기기 내 GPS 모듈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상기 장치에 구비된 GPS 모듈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일 차량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의 식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된 상기 다른 차량의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기반으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인 상기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다른 차량의 식별정보가 차량 번호가 아니면, 상기 다른 차량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다른 차량의 사고 이력 및 교통위반 이력을 확인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장치.
  9. 안전 운전 지원 장치에 의한 안전 운전 지원 방법으로서,
    일 차량의 위치, 과속 여부, 급가속 여부 및 급정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일 차량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1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사고주의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주위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 운전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일 차량의 주변에 대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고주의 차량정보로부터 차량 번호판 인식범위 내 알림대상 차량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대상 차량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 운전 지원 방법.
KR1020130045490A 2013-04-24 2013-04-24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47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90A KR101472453B1 (ko) 2013-04-24 2013-04-24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90A KR101472453B1 (ko) 2013-04-24 2013-04-24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18A true KR20140127018A (ko) 2014-11-03
KR101472453B1 KR101472453B1 (ko) 2014-12-16

Family

ID=5245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90A KR101472453B1 (ko) 2013-04-24 2013-04-24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597A (ko) * 2019-11-25 2021-06-02 한국자동차연구원 주변 차량 위험행동 이력 기반 안전운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265A (ja) * 2003-08-29 2005-03-24 Nec Commun Syst Ltd 交差点事故防止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597A (ko) * 2019-11-25 2021-06-02 한국자동차연구원 주변 차량 위험행동 이력 기반 안전운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453B1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471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9122933B2 (en) After market driving assistance system
KR1020279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CN106660482A (zh) 自动停车警告系统
JP2012230532A (ja) 車両検出システム、車載機およびセンター
JP2015177370A (ja) 車両通信装置
JP2009134704A (ja) 周辺監視装置、安全走行支援システム、及び車両
JP2016224867A (ja) 車載装置
KR20130054830A (ko) 운전자 시선추적과 교통정보를 이용한 도로상황 경보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9065A (ko)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892973B1 (ko) 차량 단말기에서의 차량 사고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73767B1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6139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변화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947473B1 (ko)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CN110610139A (zh) 障碍物预警方法、监控设备和监控系统
KR101472453B1 (ko)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635137B1 (ko)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20117442A (ko) 휴대용 운행상태 판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635136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KR20210020463A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JP5904341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12069154A (ja) 障害物監視装置
JP2017182311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101349763B1 (ko) 차량 사고위험 안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