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974A -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974A
KR20140126974A KR20130045351A KR20130045351A KR20140126974A KR 20140126974 A KR20140126974 A KR 20140126974A KR 20130045351 A KR20130045351 A KR 20130045351A KR 20130045351 A KR20130045351 A KR 20130045351A KR 20140126974 A KR20140126974 A KR 2014012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outer diameter
distal end
flexible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20130045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974A/ko
Publication of KR2014012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2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netration dep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부의 외경을, 대장으로의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변화시켜, 양호한 삽입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연성부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에, 외경이 거의 동일한 세경부와, 이 세경부보다 주변측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세경부의 외경보다 굵은 외경을 갖는 태경부와, 상기 세경부와 상기 태경부를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 선단으로부터 70㎝보다 전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내의 삽입이 용이한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의 삽입부에는 가요성을 갖는 연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성부의 선단에 만곡부를 통해 선단부가 연속되어 있다. 이 선단부의 선단면에는 관찰창이나 조명창, 처치구 삽통 채널 개구부 등이 소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성부는 선단(先端) 근처 부분의 가요성을 크게 하여 유연하게 구부러지기 쉽게 되고, 한편 기단(基端) 근처 부분은 가요성을 작게 하여 삽입성이 좋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1-190494호 공보에는 연성부의 외경을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점차 크게 형성하여 선단측 근처 부분에 비해 기단 근처 부분의 가요성을 작게 하여, 선단측 근처의 가요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삽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연성부의 외경을 전체에 걸쳐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점차 크게 형성하는 점이 기재되어 있을 뿐, 예컨대 삽입의 대상이 대장인 경우, 이 대장에 대해 어떠한 길이 관계로 변화시키는 것이 대장으로의 삽입시에 유효한지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가 없어, 대장으로의 삽입성을 개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성부의 외경을, 대장으로의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변화시켜, 양호한 삽입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은 연성부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에, 외경이 거의 동일한 세경부와, 이 세경부보다 주변측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세경부의 외경보다 굵은 외경을 갖는 태경부와, 상기 세경부와 상기 태경부를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 선단으로부터 70㎝보다 전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연성부의 외경을, 대장으로의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변화시켜, 양호한 삽입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측을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연성부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의 연성부에 피착하는 가요관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5a 내지 도 5d는 다른 태양에 의한 연성부에 피착하는 가요관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가요관의 표면에 지표를 인쇄한 상태의 설명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삽입부의 대장내로의 삽입을 상태별로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선단 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은 CCD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선단에 내장하는 삽입부(2)와, 이 삽입부(2)의 기단측에 접속되고, 관찰자가 쥐고 여러가지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3)와, 이 조작부(3)에서 연장된 유니버설 코드(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니버설 코드(4)의 단부에 커넥터부(5)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부(5)에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6)나 카메라 커넥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6)나 카메라 커넥터(7)가 광원 장치나 카메라 컨트롤 유닛 등의 주변 기기에 접속된다.
상기 삽입부(2)는 선단측부터 선단부(8)와 만곡이 자유로운 만곡부(9)와 가요성을 갖는 연성부(10)를 갖고, 이 연성부(10)의 기단이 조작부(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선단부(8)의 선단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관찰창이나 조명창, 처치구 삽통 채널 개구부, 송기 송수 노즐 등이 소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3)에는 만곡부(9)의 만곡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만곡 조작 레버(11), 겸자 등의 처치구를 삽입하는 처치구 삽입구(12), 화상의 프리즈나 릴리스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13)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성부(10)는 선단측에 형성되며 전체 길이에 걸쳐 외경이 거의 동일한 세경부(10a)와, 이 세경부(10a)의 주변측에 형성된 세경부(10a)보다 굵은 외경의 태경부(10b)와, 세경부(10a)와 태경부(10b) 사이를 매끄럽게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10c)를 갖고 있다. 또, 도2에 있어서는 세경부(10a)와 테이퍼부(10c)의 경계를 화살표 A, 테이퍼부(10c)와 태경부(10b)의 경계를 화살표 B로 나타낸다.
상기 삽입부(2)의 선단인 선단부(8)의 선단면으로부터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세경부(10a)의 후단 위치까지의 길이는 30㎝나 40㎝나 50㎝ 등 사용하는 내시경(1)의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의 것이 존재하는데, 통상 70㎝에 이르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세경부(10a)의 후단은 선단부(8)의 선단면에서 7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연성부(10)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연성부(10)의 외곽인 가요관(20)은 내측부터 서로 감기 방향이 반대인 나선관(21a, 21b)과 망상관(22)과 외피 수지(24)를 갖고 있다. 나선관(21a, 21b), 망상관(22)은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한 내외경을 갖고 있고, 외피 수지(24)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세경부(10a), 태경부(10b) 및 이들을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나선관(21a, 21b)을 2층으로 하고 있으나, 나선관은 1층 또는 3층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가요관(20)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소정으로 맞붙여진 나선관(21a, 21b), 망상관(22)을 심형으로 하여 압출 성형에 의해 외피 수지(24)를 망상관(22) 위에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심형의 인발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세경부(10a), 테이퍼부(10c) 및 태경부(10b)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심형의 인발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세경부(10a)를 형성하고, 또한 심형의 인발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태경부(10b)를 형성하고, 추가로 세경부(10a)로부터 태경부(10b)에 또는 태경부(10b)로부터 세경부(10a)에 이르는 동안의 인발 속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테이퍼부(10c)를 형성한다.
단, 이 성형 방법은 동일한 내경의 다이스를 사용하여 행하기 때문에, 각 부(10a∼10c)의 외경을 정밀도 좋게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외경으로 제작한 막대 형상의 가요관 소재(20')에 대해 복수의 테이퍼 형상 연마 지석(23)을 이용한 센터리스 연마를 실시함으로써 세경부(10a) 및 테이퍼부(10c)를 형성하면, 각 부(10a∼10c)의 외경을 높은 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외경이 태경부(10b)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가요관 소재(20')를 원주상에 배치된 복수의 테이퍼 형상 연마 지석(23)의 축심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고,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테이퍼 형상 연마 지석(23)에 대해 가요관 소재(20')을 상대적으로 가압하여 가요관 소재(20')의 표면을 복수의 테이퍼 형상 연마 지석(23)을 따른 형상으로 연마하여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관 소재(20')의 선단에 세경부(10a)와 테이퍼부(10c)를 소정으로 형성한다.
이 센터리스 연마에 의하면, 세경부(10a), 테이퍼부(10c), 태경부(10b)를 각각 높은 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출 성형에 의해 세경부(10a), 테이퍼부(10c), 태경부(10b)를 각각 높은 정밀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성형 방법에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나선관(21a, 21b), 망상관(22), 제1 외피 수지(24a)로 이루어지는 전체 길이의 외경이 세경부(10a)와 동일한 치수의 가요관 소재(20")를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고, 이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경부(10a)에 상당하는 부분에 열수축 튜브 등의 튜브체(25)를 피착하고, 이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다이스를 변경하여 압출 성형을 행하고, 튜브체(25)에 이어서 가요관 소재(20")의 외주에 태경부(10b)와 동일한 외경의 제2 외피 수지(24b)를 형성한다.
그 후,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체(25)를 가요관 소재(20")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하고, 제2 외피 수지(24b)의 테이퍼부(10c)에 상당하는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마기 등으로 연마함으로써,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경부(10a), 테이퍼부(10c), 태경부(10b)를 갖는 가요관(20)을 형성한다.
이어서, 가요관(20)을 가열하여 제 1 외피 수지(24a)와 제 2 외피 수지(24b)와 망상관(22)을 각각 열용착시킴으로써 각 부재를 확실하게 밀착시킨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공정에 있어서 가요관(20)의 표면에 지표(26)를 인쇄하고, 그 위에 박막의 톱 코트(27)를 코팅하도록 해도 된다. 지표(26)를 톱 코트(27)로 코팅함으로써 제 1 외피 수지(24a)와 제 2 외피 수지(24b)의 경계를 더욱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연성부(10)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지표(26) 사이에 테이퍼부(10c)가 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지표(2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시경 선단부(8)의 선단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40」은 선단면으로부터 40㎝, 「50」은 선단면으로부터 50㎝의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퍼부(10c)가 선단면으로부터 약 43∼48㎝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10c)를 등간격으로 부착된 복수의 지표(26)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테이퍼부(10c)에 지표(26)를 인쇄할 필요가 없어진다. 테이퍼부(10c)로의 인쇄는 번잡하기 때문에 이를 생략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세경부(10a)는 최소 반경으로 만곡시킨 경우, 도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80°이상 만곡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최소 반경이란, 세경부(10a)를 자연스럽게 만곡시켰을 때에 도 3에 도시한 나선관(21a, 21b) 중의 하나의 띠형상선끼리가 서로 맞부딪쳐서, 그 이상 만곡시킬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1)의 삽입부(2)를 대장내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대장은 주로 항문(28), 직장(29), S상 결장(30), 하행 결장(31), 지라 만곡(32), 횡행 결장(33), 간 만곡(34), 상행 결장(35), 맹장(36)으로 이루어진다.
도 7a는 내시경(1)의 삽입부(2)를 S상 결장(30)내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S상 결장(30)은 대장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게 꼬불꼬불 구부러져 있고, 또한 부드러우면서 가동성을 갖고 있다. 이 S상 결장(30)의 형상에 어느 정도 따르도록 삽입부(2)를 이동시키면서 삽입하는 경우, 연성부(10)의 선단측은 가능한 한 부드럽게 또한 작게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S상 결장(30) 등 복잡하게 꼬불꼬불 구부러져 있는 부위에 대한 삽입시에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내시경(1)과 같이 연성부(10)의 선단에 세경부(10a)를 형성함으로써 S상 결장(30)과 같은 복잡하게 꼬불꼬불 구부러져 있는 부위라도 삽입부(2)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의 선단부(8)가 하행 결장(31)을 통과하여 지라 만곡(32)에 침입할 때에 삽입부(2)를 일단 당기듯이 조작하면, 부드럽고 또한 가동성을 갖는 S상 결장(30)이 접혀서 단축화될 뿐만 아니라, 거의 직선화된다.
이와 같이, S상 결장(30)을 단축화·직선화한 상태에서 삽입부(2)의 선단부(8)를 지라 만곡(32)보다 더 안쪽으로 진행시켜 간다. 삽입부(2)의 선단부(8)를 안쪽으로 진행시킬 때에 삽입부(2) 전체가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성부(10)가 휘기 때문에, 단축화·직선화되어 있는 S상 결장(30)이 다시 원래의 꼬불꼬불 구부러진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한다.
이 S상 결장(30)의 복원력에 의해 시술자 주변에서의 조작이 선단부(8)측으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 삽입부(2)의 삽입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연성부(10)의 대장내에 침입하고 있는 부위는 비교적 굵고 또한 단단한 편이 휘기 어렵기 때문에 조작하기 쉽다. 따라서, 연성부(10)의 선단측에 형성한 세경부(10a)와 주변측에 형성한 태경부(10b) 사이를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10c)의 적어도 일부가 대장내에 침입해 있으면, 그 곳부터 연성부(10)의 외경이 점차 굵어지기 때문에, 시술자의 예컨대 항문(28) 부근에서 행해지는 주변측에서의 조작이 삽입부(2)의 선단부(8)측으로 전달되기 쉬워져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선단부(8)가 지라 만곡(32)에 들어가서 S상 결장(30)을 단축화·직선화하면, 항문(28)으로부터 내시경 선단부(8)까지의 길이는 약 40∼45㎝로 되는 것이 “1인 조작법에 의한 토털 콜로노스코피 -좌우결장곡 통과에 대해-”(소화기 내시경 Vol.5 No.5 1993 629∼633페이지) 등에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테이퍼부(10c)의 적어도 일부가 내시경 선단부(8)의 선단면으로부터 45㎝ 위치보다 전방에 있으면 항문(28) 부근에서 행해지는 주변측에서의 조작을, 삽입부(2)의 선단부(8)측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선단부(8)가 맹장(36)에 도달하면, S상 결장(30) 뿐만 아니라 횡행 결장(33)도 단축화·직선화된다. 이와 같이 항문(28)에서 맹장(36)까지 삽입부(2)가 최단 거리로 삽입되면, 항문(28)에 있어서의 연성부(10)는 내시경 선단부(8)로부터 약 60∼70㎝로 되는 것이 상술한 문헌 등에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성부(10)의 주변측을 굵게 하여 더욱 휘기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더 적은 힘으로 필요량 비틀 수 있게 하고, 또한 시술자의 이러한 비틀림 조작을 내시경 선단부(8)측으로 전달되기 쉽게 하고자 하기 위해서는, 테이퍼부(10c)의 적어도 일부는 내시경 선단부(8)로부터 70㎝보다 전방에 있지 않으면, 환자에 따라서는 테이퍼부(10c)나 태경부(10b)가 대장내로 거의 들어가지 않아서 기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부(10c)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 선단부(8)의 선단면으로부터 70㎝ 위치보다 전방에 설정함으로써, 대부분의 환자에게 있어서 내시경 선단부(8)를 대장내의 안쪽으로 침입시켰을 때 테이퍼부(10c)나 태경부(10b)를 단축화된 S상 결장(30)으로 침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성부(10)가 더 휘기 어려워져서 S상 결장(30)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 동작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손으로 쥐는 위치가 연성부(10)의 테이퍼부(10c)나 태경부(10b)로 됨으로써 비틀림 조작을 행하기 쉬워지고 그 비틀림 조작이 내시경 선단부(8)로 전달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연성부(10)에 형성한 선단측의 세경부(10a)와 주변측의 태경부(10b)를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10c)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 선단부(8)의 선단면으로부터 45㎝ 또는 70㎝보다 전방에 설정하는 등, 테이퍼부(10c)의 형성 위치를 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내시경 삽입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d에 S상 결장(30)의 일부가 예각적으로 굴곡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벽끼리가 맞닿을(또는 유착할) 정도로 예각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경우, 그 굴곡부의 굴곡각은 최대 약 180°에 달한다.
이러한 가장 예각적으로 굴곡되어 있는 부위를 내시경 선단부(8) 및 이에 연속하는 만곡부(9)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만곡부(9)가 180°정도로 만곡 조작 가능함과 아울러, 그 만곡부(9)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연성부(10)의 선단측인 세경부(10a)도 180°까지는 외력을 받아 자연스럽게 가능한 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세경부(10a)를 최소 반경으로 구부렸을 때에, 180°만곡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장 예각적인 대장 굴곡부도 비교적 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퍼부(10c)나 태경부(10b)는 세경부(10a)보다 단단하기 때문에, 세경부(10a)가 지나치게 짧으면, 연성부(10)를 180°까지 만곡시킬 수 없어, 대장내의 예각적인 굴곡부를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세경부(10a), 테이퍼부(10c), 태경부(10b)의 축방향의 길이 관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가장 예각적인 굴곡부도 비교적 쉽게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내시경 삽입부(2)의 삽입성이 향상된다.
도 8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내시경 장치(41)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내시경(1A, 1B, 1C)과, 이 각 내시경(1A, 1B, 1C)에 대해 공통으로 접속 가능한 광원 장치(42), 비디오 프로세서(43) 및 모니터(44)를 구비하고 있다. 각 내시경(1A, 1B, 1C)은 이들의 조작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유니버설 코드(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부(5)를 광원 장치(42)나 비디오 프로세서(43)에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사용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3종류의 내시경(1A, 1B, 1C)이 도시되어 있으나, 4종류 이상의 내시경을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 1 내시경(1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내시경(1)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연성부(10)에는 세경부(10a), 태경부(10b) 및 세경부(10a)와 태경부(10b)를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제 3 내시경(1B, 1C)의 연성부(45, 46)는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다.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는 비교적 굵은 외경을 갖고 있고, 한편 제 3 내시경(1C)의 연성부(46)는 비교적 가는 외경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제 1 내시경(1A)의 연성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태경부(10b)의 외경은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의 외경과 거의 동일(±5% 이내)하거나 그 이하이고, 또는 제 3 내시경(1C)의 연성부(46)의 외경에 대해서는 거의 동일(±5%이내)하거나 그 이상이고, 즉 태경부(10b)의 외경은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의 외경과 제 3 내시경(1C)의 연성부(46)의 외경의 범위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제 1 내시경(1A)의 연성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세경부(10a)의 외경을 제 3 내시경(1C)의 연성부(46)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또한 태경부(10b)의 외경을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내시경(1A)의 삽입부(2)를 대장으로 삽입하는 조작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내시경(1A)의 삽입부(2)를 대장내로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삽입부(2) 자체의 구조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이것을 조작하는 시술자의 피로가 적다는 점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대장 내시경(예컨대, 제 1 내시경(1A))을 조작할 경우, 오른손으로 삽입부(2)를 쥐고, 왼손으로 조작부(3)를 쥐면서, 그 협조 조작으로 삽입, 관찰, 처치를 실시해 간다. 오른손은 삽입부(2)를 밀고 당기거나 비트는데, 일반적으로 연성부(10)가 굵은 외경인 편이 특히 비틀림 조작에 있어서는 적은 힘으로 필요한 비틀림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피로가 적다.
또한, 한편으로, 각 시술자에게는 평소 친숙해진 연성부(10)의 외경이라는 것이 있다. 연성부(10)의 외경은 굵은 편이 피로감이 적다고 해서 지금까지 다룬 적이 없는 극단적으로 굵은 연성부(10)를 조작할 경우에는 반대로 위화감이 강해져서 피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내시경(1A)의 태경부(10b)의 외경을 다른 제 2, 제 3 내시경(1B, 1C)의 연성부(45, 46)의 가장 굵은 외경과 가장 가는 외경의 범위내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시술자는 제 1 내시경(1A)을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시경(1A)의 태경부(10b)의 외경을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더 위화감이 없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시경(1A)의 연성부(10)에 형성한 테이퍼부(10c) 및 태경부(10b)가 삽입부 전체 길이(유효 길이)의 절반 이상을 갖고 있는 경우, 시술자가 쥐는 부분은 그 대부분이 테이퍼부(10c)나 태경부(10b)로 되기 때문에, 가령 세경부(10a)의 외경이 제 3 내시경(1C)의 연성부(46)의 외경보다 가는 경우라 하더라도, 적어도 테이퍼부(10c)나 태경부(10b)의 외경이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의 외경과 제 3 내시경(1C)의 연성부(46)의 외경의 범위내로 설정됨으로써, 시술자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물론, 세경부(10a)도 삽입의 초기나 발거의 마지막에서는 쥐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세경부(10a)의 외경도 제 2 내시경(1B)의 연성부(45)와 상행 결장(35)(도 7 참조)의 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세경부(10a)의 외경을 제3내시경(1C)의 연성부(46)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면, 위화감이 없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시술자가 제1 내시경(1A)의 삽입부(2)를 조작할 때의 위화감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도 9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을 나타낸다. 또, 삽입부의 형상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삽입부(2)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2)의 선단부(8) 및 만곡부(9) 사이와 만곡부(9) 및 연성부(10)의 선단측에 형성한 세경부(10a) 사이의 적어도 한 쪽에 각 부위를 접속하는 접속부 외피(48, 49)를 배치한 것이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접속부 외피(48,49)를 배치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접속부 외피(48, 49)는 경질의 관형상부나 접착제나 연성의 열수축 튜브 등 여러가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은 연성부(10)의 주변측에 형성한 태경부(10b)의 외경이 접속부 외피(48, 49)의 외경과 거의 동일(±5%)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접속부 외피(48, 49)의 외경이 12.8㎜인 경우, 태경부(10b)의 외경을 12.8㎜로 설정하고 또한 세경부(10a)의 외경을 11.5㎜로 설정한다.
종래,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연성부(10)의 외경보다 접속부 외피(48, 49)의 외경이 굵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장에 내시경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우선 선단부(8)에서 관찰한 관강에 대해, 선단부(8)나 만곡부(9)가 통과한 대장 부위는 그 뒤에 이어지는 연성부(10)가 통과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연성부(10)의 외경이 만약 태경부(10b)나 접속부 외피(48, 49)의 외경보다 분명히 큰 경우, 대장의 임의의 부위를 선단부(8)나 만곡부(9)가 통과하였다 해도, 대장의 내벽과 선단부(8)나 만곡부(9) 사이의 틈이 매우 좁은 경우, 그 뒤에 이어지는 태경부(10b)가 통과할 수 없거나 혹은 통과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상술한 도 7a에서 S상 결장(30)의 일부에 좁은 부분이 있어 선단부(8)나 만곡부(9)를 통과시킬 수 있었으나, 태경부(10b)를 통과시키기 어려운 경우, 도 7b의 상태에서는 삽입부(2)를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없게 된다. 이 때, 시술자는 삽입부(2)를 전진시키기 어려운 원인을 적절하게 판단할 수 없어 적절한 대처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태경부(10b)의 외경을 접속부 외피(48이나 49)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접속부 외피(48이나 49)가 통과한 부위는 태경부(10b)도 통과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삽입부(2)를 원활하게 전진시키기가 어려워진 경우 그 원인이 태경부(10b)의 굵기는 아니라는 점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내시경 삽입부(2)와 동일한 원인 추측으로 대처해 가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삽입부(2)의 선단부(8) 및 만곡부(9) 사이와 만곡부(9) 및 연성부(10)의 선단측에 형성한 세경부(10a) 사이의 적어도 한 쪽에 각 부위를 접속하는 접속부 외피(48, 49)를 배치하고, 또한 이 접속부 외피(48, 49)의 외경에 대해 연성부(10)의 주변측에 형성한 태경부(10b)의 외경을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하였기 때문에, 삽입부(2)를 삽입할 때에 태경부(10b)의 굵기가 원인이 되어 삽입을 방해받는 일이 없어, 양호한 삽입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내시경 2 : 삽입부
3 : 조작부 4 : 유니버설 코드
5 : 커넥터부 6 :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
7 : 카메라 커넥터 8 : 선단부
9 : 만곡부 10 : 연성부
11 : 만곡 조작 레버 12 : 처치구 삽입구
13 : 스위치

Claims (6)

  1. 연성부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에, 외경이 거의 동일한 세경부와, 상기 세경부보다 주변측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세경부의 외경보다 굵은 외경을 갖는 태경부와, 상기 세경부와 상기 태경부를 연달아 설치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 선단으로부터 70㎝ 이내의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경부는 최소 반경으로 180°만곡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적어도 일부는 내시경 선단으로부터 45㎝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에 상기 내시경 선단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사이에 상기 테이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KR20130045351A 2013-04-24 2013-04-24 내시경 KR20140126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351A KR20140126974A (ko) 2013-04-24 2013-04-24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351A KR20140126974A (ko) 2013-04-24 2013-04-24 내시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74A true KR20140126974A (ko) 2014-11-03

Family

ID=5245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351A KR20140126974A (ko) 2013-04-24 2013-04-24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9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467B1 (ko) 내시경
JP5016152B2 (ja) 挿入補助具及び内視鏡装置
JP4477519B2 (ja) 内視鏡
EP2702925B1 (en) Endoscope system
US11559191B2 (en) Insertion unit for medical instruments and an intubation system thereof
JP2007054400A (ja) 内視鏡
CN108348135B (zh) 内窥镜系统
JP2002143084A (ja) 内視鏡装置
JP3934593B2 (ja) 内視鏡システム
KR20140126974A (ko) 내시경
JP4005080B2 (ja) 内視鏡装置
JP3706229B2 (ja) 内視鏡装置
JP2004230189A (ja) 内視鏡装置
JPH10314106A (ja) 内視鏡
JP4766959B2 (ja) 内視鏡用挿入補助具
JP4715378B2 (ja) 内視鏡の挿入部
JPH1099264A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