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112A -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112A
KR20140126112A KR20130044235A KR20130044235A KR20140126112A KR 20140126112 A KR20140126112 A KR 20140126112A KR 20130044235 A KR20130044235 A KR 20130044235A KR 20130044235 A KR20130044235 A KR 20130044235A KR 20140126112 A KR20140126112 A KR 2014012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eat
sheet
sli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366B1 (ko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3004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3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5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78Fluid exchange between hydrostatic circuits and external sources or consumers
    • F16H61/4096Fluid exchange between hydrostatic circuits and external sources or consumers with pressure 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회전제한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변속기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추에이터는, 일단에 록킹홀이 형성된 중공의 홀더와, 상기 록킹홀에 장착된 록킹볼과, 상기 홀더의 일단 측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와, 상기 홀더의 일단 측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홀더의 타단 측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로드와, 상기 시트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유압저장장치는 유체 출입용 포트가 일단에 형성된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일단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액추에이터 측 일면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ACTUATOR AND HYDRAULIC IMPULSE OIL STORAGE HAVING ACTUATOR}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회전제한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변속기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회전제한시스템(Idle Stop & Go; ISG)은, 신호대기 상황과 같이 차량이 정차하였을 때 엔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출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인 공회전제한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은, 변속기의 내부에 보조 오일펌프를 설치되어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도 변속기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즉, 엔진이 정지할 경우 보조 오일펌프가 작동하여 변속기에 유압을 공급하고, 엔진의 재시동이 완료되는 시점에 보조 오일펌프의 작동이 중지되어 변속기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 오일펌프를 이용하는 공회전제한시스템은, 엔진이 정지한 경우 기어 단수 및 엔진 정지 시간에 관계없이 보조 오일펌프가 작동하여 필요 이상의 유압을 생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 오일펌프가 작동할 때 엔진이 정지하고 있어 발전기를 통한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에 많은 부하를 주어 배터리의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변속기의 유압회로에서 필요한 유압을 유압저장장치(Hydraulic Impulse oil Storage; HIS)에 미리 저장했다가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조 오일펌프(전동식 오일펌프)의 도움 없이도 변속기의 초기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17542호(2012.02.29.)
본 발명은 엔진의 재시동이 필요한 유압을 효과적으로 저장 및 공급하여 변속기의 초기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변속기의 유압저장장치(Hydraulic Impulse oil Storage; HIS)에 설치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일단에 록킹홀이 형성된 중공의 홀더와, 상기 록킹홀에 장착된 록킹볼과, 상기 홀더의 일단 측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와, 상기 홀더의 일단 측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홀더의 타단 측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로드와, 상기 시트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홀더의 중단에 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제2스프링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절곡(bending)된다.
상술한 구성 중 상기 시트는 중공의 관(pipe) 형상이고,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홈이 상기 록킹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경우 상기 록킹볼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시트의 일단은 상기 안착홈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바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일단은 상기 시트의 타단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시트의 내부에 상기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제3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일단과 상기 시트의 타단에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의 일단 측 내부에 접촉구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이 상기 시트의 일단 내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접촉구는 상기 제3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일부가 상기 시트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홀더의 타단 내부에 마련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과,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보빈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로드의 타단이 상기 플런저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유압저장장치는, 유체 출입용 포트가 일단에 형성된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일단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액추에이터 측 일면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의 작동 및 제1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시트가 이동하고, 시트와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록킹볼이 홀더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홀더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시트와 로드가 상대 운동을 하는 구조이므로 시트와 로드의 중심축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록킹볼을 돌출시키는 시트의 일단이 테이퍼 형상의 돌기 형태이고, 록킹볼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테이퍼 형상의 홈 형태이므로 록킹볼(120)의 작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시트가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 형상일 경우 홀더와 시트 사이에 록킹볼이 낄 우려가 없으며, 이로 인한 액추에이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저장장치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저장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00)는 변속기(특히, 자동변속기)의 유압저장장치(Hydraulic Impulse oil Storage; HIS)에 설치되어 피스톤(300)의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수단이다(도 3 참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1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액추에이터(100)는, 홀더(110)와, 홀더(1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돌출 또는 삽입되는 록킹볼(120)과, 홀더(110)의 상단 내부에서 이동하는 시트(130)와, 홀더(110)의 상단 외부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더(140)와, 홀더(110)의 중단 외부에 결합된 가이드(150)와, 홀더(110)의 하단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60)와, 홀더(1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로드(170)와, 시트(130)와 솔레노이드(160) 사이에 개재된 제1스프링(180a)을 포함한다.
홀더(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pipe) 형상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면상 상부에 위치된 소경부(111)와, 도면상 하부에 위치된 대경부(112)로 이루어진 다단의 관 형상이다.
소경부(111)는 대경부(11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시트(130)의 이동을 위한 작동 공간(113)이 형성된다. 소경부(111)의 상단에는 소경부(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록킹홀(114)이 형성되며, 록킹홀(114)에는 록킹볼(120)이 장착된다.
대경부(112)는 소경부(1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대경부(112)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160)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115)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액추에이터(100)를 어큐뮬레이터(도 3의 200)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116)가 형성된다.
홀더(110)의 내부는 상술한 것처럼 작동 공간(113)과 설치 공간(115)으로 구획되고, 작동 공간(113)과 설치 공간(115) 사이에는 베플(baffle, 117)이 형성된다. 베플(117)의 중앙에는 안내공(118)이 형성되며, 안내공(118)에는 로드(17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킹볼(120)은 록킹홀(11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금속구(球)이다. 록킹볼(120)은 록킹홀(114)에 장착되어 시트(130)와 슬라이더(140)의 이동시 홀더(1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홀더(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즉, 시트(130)와 슬라이더(140)가 하강하면 록킹볼(120)이 홀더(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피스톤(도 3의 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반면, 시트(130)와 슬라이더(140)가 상승하면 록킹볼(120)이 홀더(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피스톤(도 3의 300)의 이동을 허용한다.
시트(130)는 록킹볼(120)을 홀더(11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록킹볼(120)이 홀더(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그 형상을 살펴보면, 시트(130)는 중단 외주면에 안착홈(132)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이다. 시트(130)의 상단 내부에는 접촉구(190)가 설치되고, 시트(130)의 하단 내부에는 로드(170)의 상단이 위치된다. 접촉구(190)와 로드(170) 사이에는 접촉구(190)와 로드(170)를 탄성 지지하는 제3스프링(180c)이 설치된다. 또한, 시트(130)의 상단 내주면에는 접촉구(19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134)이 장착되고, 하단 내주면에는 로드(1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36)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시트(130)는 소경부(111)의 작동 공간(1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스프링(180a)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단 일부가 소경부(11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시트(130)의 안착홈(132)은 록킹홀(114)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므로 홀더(110)의 내부로 삽입된 록킹볼(120)이 안착홈(132)에 삽입된다(도 1참조). 반면, 시트(130)가 하강할 경우 록킹볼(120)은 안착홈(132)에서 벗어나 시트(130)의 상단 외주면에 접촉되므로 홀더(110)의 외부로 점점 돌출된다(도 2 참조).
한편, 시트(130)의 상단(안착홈(132)의 상부)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홈(132)은 바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130)의 상단과 안착홈(132)을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록킹볼(120)의 작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시트(130)가 이동함에 따라 록킹볼(120)이 안착홈(132)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거나 안착홈(132)에서 부드럽게 벗어나게 된다. 특히, 시트(130)의 상단이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 형상일 경우 록킹볼(120)의 돌출 또는 삽입과정에서 록킹볼(120)이 홀더(110)와 시트(130) 사이에 낄 우려가 없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130)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 중 접촉구(190)와 제3스프링(180c)는, 피스톤(도 3의 300)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3스프링(180c)은 시트(130)와 로드(170)를 일체로 만드는 구성요소이다.
접촉구(190)는 중단 외주면에 스토퍼(192)가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이다. 접촉구(190)는 제3스프링(138)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스톱링(134)에 밀착되고, 스톱링(134)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단 일부가 시트(1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접촉구(190)는, 피스톤(도 3의 300)이 액추에이터(100) 측으로 이동할 경우 시트(130)보다 먼저 접촉하여 피스톤(300)의 이동속도를 줄임으로써 시트(130)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한다. 따라서 피스톤(300)과 시트(130)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소음의 우려가 없다.
제3스프링(138)은 접촉구(190)와 함께 로드(170)을 탄성 지지하여 로드(170)가 시트(13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3스프링(138)을 이용하여 로드(170)를 시트(130)에 밀착시킬 경우, 시트(130)와 로드(170)를 일체로 제작한 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130)와 로드(170)가 일체로 제작된 구조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시트(130)와 로드(170)의 중심축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더(140)는 록킹볼(120)을 홀더(110)의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록킹볼(120)의 돌출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슬라이더(140)는 소경부(111)를 감싸는 관 형상이다. 슬라이더(140)의 상단은 소경부(1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절곡(bending)된 C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더(140)의 하단은 가이드(15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L자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150)는 슬라이더(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이드(150)는 홀더(110)의 중단 및 소경부(110)의 하단을 감싸는 관 형상이다. 가이드(150)의 상단은 슬라이더(1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L자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150)의 하단에는 홀더(11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돌기(152)가 형성된다.
상술한 슬라이더(140)는 가이드(14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가이드(150)의 내부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40)와 가이드(15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140)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180b)이 설치된다. 즉, 슬라이더(140)는 제2스프링(180b)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돌출되고, 외력이 인가될 경우 가이드(14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슬라이더(140)가 가이드(140)의 외부로 돌출되면 슬라이더(140)의 상단이 록킹볼(120)을 홀더(110)의 내부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록킹홀(114)을 덮어 록킹볼(120)의 돌출을 제한한다(도 1 참조). 반면, 외력에 의해 슬라이더(140)가 가이드(150)의 내부로 삽입되면 슬라이더(140)의 상단이 록킹홀(114)을 개방하므로 록킹볼(120)의 돌출을 허용한다(도 2 참조).
솔레노이드(160)는, 홀더(110)의 하단 내부에 마련된 보빈(162)과, 보빈(162)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164)과, 보빈(164)의 하단에 결합된 요크(166)와, 보빈(164)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168)와, 요크(166)의 외측에 결합된 커넥터(169)를 포함한다.
로드(170)는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이다. 로드(170)의 상단은 시트(130)의 하단을 관통하여 시트(130)의 내부에 위치된다. 로드(170)의 상단 둘레에는 걸림턱(136)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72)가 형성되고, 걸림돌기(172)는 제3스프링(180c)에 의해 걸림턱(136)에 밀착된다. 로드(170)의 하단은 플런저(168)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의 솔레노이드(160)는 전원 인가시 시트(130)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도 3의 300)과의 접촉에 의해 시트(130)가 하강할 경우 시트(130)에 밀착된 로드(170) 및 로드(170)의 하단에 결합된 플런저(168)도 함께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169)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168)가 해당 위치(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로드(130) 및 시트(130) 또한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반면, 피스톤(도 3의 300)이 시트(130)에서 이격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제1스프링(180a)에 의해 시트(130)가 상승하며 로드(170) 및 플런저(168)를 함께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저장장치는, 변속기의 유압회로에서 필요한 유압을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할 경우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유압저장장치(1)에 대해 살펴보면, 어큐뮬레이터(200)와, 어큐뮬레이터(2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300)과, 피스톤(300)을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400)과, 피스톤(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액추에이터(100)를 포함한다.
어큐뮬레이터(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 형상이다. 어큐뮬레이터(200)의 좌측 일단에는 액추에이터(100)가 설치되고, 우측 타단에는 유체 출입용 포트(210)가 형성된다.
피스톤(300)은 좌측 일면이 폐쇄된 중공의 관 형상이다. 피스톤(300)의 좌측 일면에는 연장부(310)가 형성되고, 연장부(310)의 선단에는 고정돌기(330)가 내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피스톤(300)의 우측 타단에는 플랜지(320)가 형성된다.
탄성수단(400)은 액추에이터(100)와 피스톤(300)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300)을 일 방향(도 3의 우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유압저장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유압회로의 오일은 포트(210)를 통해 유압저장장치(1)로 공급된다. 즉, 포트(21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300)의 내부에 충전된다. 피스톤(300)의 내부에 충전된 오일은 피스톤(300)을 액추에이터(100)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피스톤(300)과 어큐뮬레이터(200) 사이의 공간(220)에 충전된다.
포트(210)를 통해 오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공간(220)의 내부압력이 점점 상승하고, 피스톤(300)이 액추에이터(100) 측으로 더 이동하여 슬라이더(140)와 접촉된다. 이때, 슬라이더(140)가 가이드(150)의 내부로 삽입되며, 홀더(110)에 형성된 록킹홀(114)이 개방된다. 따라서 록킹홀(114)에 장착된 록킹볼(120)이 자유롭게 돌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도 5 참조).
액추에이터(100) 측으로 이동한 피스톤(300)은 접촉구(190)와 시트(130)에 차례로 접촉하여 시트(130)를 솔레노이드(160)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와 동시에, 시트(130)에 결합된 로드(170) 및 로드(170)에 고정된 플런저(168)가 시트(130)와 함께 이동한다. 이처럼 시트(130)가 솔레노이드(160) 측으로 이동하면 안착홈(132)에 삽입된 록킹볼(120)이 홀더(110)의 외부로 돌출된다(도 6 참조).
상술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60)에 전원을 인가하면, 플런저(168), 로드(170), 시트(130)가 해당 위치에서 고정되어 록킹볼(120)이 홀더(1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오일의 공급이 중단되어 탄성수단(400)에 의해 피스톤(300)이 포트(210) 측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고정돌기(330)가 록킹볼(120)에 걸려 피스톤(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피스톤(300)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어큐뮬레이터(200)의 공간(220)에 충전된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도 7 참조).
반면, 솔레노이드(160)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제1스프링(180a)과 제2스프링(180b)에 의해 시트(130)와 슬라이더(140)가 포트(210) 측으로 이동하며 록킹볼(120)을 안착홈(132)에 삽입시킨다. 그와 동시에, 피스톤(300)은 탄성수단(400)에 의해 포트(210) 측으로 이동하며 공간(220)에 충전된 오일을 변속기의 유압회로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저장장치(1)를 이용하면 변속기의 유압회로의 유압을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조 오일펌프의 도움 없이도 변속기의 초기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액추에이터 110: 홀더
120: 록킹볼 130: 시트
140: 슬라이더 150: 가이드
160: 솔레노이드 170: 로드
180a: 제1스프링 180b: 제2스프링
180c: 제3스프링 190: 접촉구
200: 어큐뮬레이터 300: 피스톤
400: 탄성수단

Claims (20)

  1. 변속기의 유압저장장치(Hydraulic Impulse oil Storage; HIS)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일단에 록킹홀이 형성된 중공의 홀더;
    상기 록킹홀에 장착된 록킹볼;
    상기 홀더의 일단 측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
    상기 홀더의 일단 측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상기 홀더의 타단 측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상기 홀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로드; 및
    상기 시트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볼이 상기 홀더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홀더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중단에 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제2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절곡(bend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중공의 관(pipe) 형상이고,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홈이 상기 록킹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경우 상기 록킹볼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일단은 상기 안착홈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시트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바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이 상기 시트의 타단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시트의 내부에 상기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제3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일단과 상기 시트의 타단에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일단 측 내부에 접촉구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이 상기 시트의 일단 내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접촉구는 상기 제3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일부가 상기 시트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홀더의 타단 내부에 마련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된 요크;
    상기 보빈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 및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타단이 상기 플런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10. 유체 출입용 포트가 일단에 형성된 어큐뮬레이터;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일단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액추에이터 측 일면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일단에 록킹홀이 형성된 중공의 홀더;
    상기 록킹홀에 장착된 록킹볼;
    상기 홀더의 일단 측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
    상기 홀더의 일단 측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상기 홀더의 타단 측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상기 홀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로드; 및
    상기 시트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볼이 상기 홀더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홀더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중단에 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제2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절곡(bend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중공의 관(pipe) 형상이고,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홈이 상기 록킹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경우 상기 록킹볼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일단은 상기 안착홈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시트의 일단은 상기 홀더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바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이 상기 시트의 타단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시트의 내부에 상기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제3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일단과 상기 시트의 타단에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일단 측 내부에 접촉구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이 상기 시트의 일단 내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접촉구는 상기 제3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일부가 상기 시트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홀더의 타단 내부에 마련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된 요크;
    상기 보빈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 및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타단이 상기 플런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저장장치.
KR1020130044235A 2013-04-22 2013-04-22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KR10145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35A KR101457366B1 (ko) 2013-04-22 2013-04-22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35A KR101457366B1 (ko) 2013-04-22 2013-04-22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112A true KR20140126112A (ko) 2014-10-30
KR101457366B1 KR101457366B1 (ko) 2014-11-03

Family

ID=5199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235A KR101457366B1 (ko) 2013-04-22 2013-04-22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382A (zh) * 2018-12-13 2021-07-23 肯德隆(菲林根)有限公司 锁定致动器和具有这种锁定致动器的驻车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15B1 (ko) 2016-04-11 2018-05-09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스텝 모터를 이용한 his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0007A1 (de) 2004-06-22 2006-03-02 Zf Friedrichshafen Ag Aktuator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riegelungsmechanismus
KR100989042B1 (ko) * 2010-01-29 2010-10-20 주식회사 유니크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KR100994104B1 (ko) * 2010-08-02 2010-11-12 주식회사 유니크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382A (zh) * 2018-12-13 2021-07-23 肯德隆(菲林根)有限公司 锁定致动器和具有这种锁定致动器的驻车锁
CN113167382B (zh) * 2018-12-13 2023-12-01 肯德隆(菲林根)有限公司 锁定致动器和具有这种锁定致动器的驻车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366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1115B2 (ja) オイルポンプ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5120419B2 (ja) 常閉型電磁弁
EP2789844A1 (en) Direct injection fuel injector
US20060107930A1 (en) Pump module for fuel tank
KR101457366B1 (ko)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CN109215932A (zh) 燃料泵螺线管组件和方法
US8994484B2 (en) Linear solenoid
CA2956781C (en) Oil pump control valve
US7918197B2 (en) Variable valve system
KR101517067B1 (ko)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US9297472B2 (en) Electro-valve for discharging common rail
US20110186018A1 (en) High-pressure pump
KR102383480B1 (ko)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CN107542612B (zh) 用于喷射阀的阀组件以及喷射阀
JP5644819B2 (ja) 燃料噴射弁
JP5932572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2006152992A (ja) 燃料供給装置
CN111677930A (zh) 一种电磁阀常开先导头组件
JP2013096496A (ja) 逆止弁
JP4268095B2 (ja)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2019019709A (ja) 燃料ポンプ
KR101736103B1 (ko) 자동차 변속기용 리니어 액추에이터
JP2019019694A (ja) 燃料ポンプ
CN204783404U (zh) 一种缸内直喷高压燃油泵
KR101581304B1 (ko) 유로 제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