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597A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597A
KR20140125597A KR1020130043588A KR20130043588A KR20140125597A KR 20140125597 A KR20140125597 A KR 20140125597A KR 1020130043588 A KR1020130043588 A KR 1020130043588A KR 20130043588 A KR20130043588 A KR 20130043588A KR 20140125597 A KR20140125597 A KR 2014012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display unit
image
input signal
digit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584B1 (ko
Inventor
박효림
이도영
김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84B1/ko
Priority to US13/900,059 priority patent/US9990103B2/en
Priority to PCT/KR2013/004702 priority patent/WO2014171580A1/en
Priority to EP13882125.1A priority patent/EP2987065B1/en
Priority to CN201380075756.6A priority patent/CN105164625B/zh
Publication of KR2014012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아이콘을 회전함으로써,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아이콘을 회전함으로써,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스플레이와 관련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전자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폰과 스마트 TV와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도 함께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있다.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콘텐츠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바로 옮겨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에서 더 나아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것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기 위한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하기 위한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필요하다.
일 실시예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 시키거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복사된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아이콘의 이미지에 따라 실행 위치, 실행 가능 여부, 실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 수 있도록, 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를 가지는 아이콘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반대편에 구비됨,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을 회전하고, 상기 회전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꾸되(converting),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됨,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고,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로 바꾸되,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을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꾸는 단계와,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로 바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간단한 입력 동작으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를 별도로 회전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하는 아이콘에 대한 입력으로,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 시키거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한 아이콘의 복사본(duplicate icon)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에 대한 간편한 입력만으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홈 화면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아이콘의 이미지(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에 따라 실행 위치, 실행 가능 여부, 실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쉽게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 및 제 1 후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복사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의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아이콘을 이동 또는 복사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된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1은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2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13은 멀티태스킹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아이콘의 이미지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다만,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 센서 유닛(130), 스토리지 유닛(140), 프로세서(15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120)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우, 전면은 사용자가 현재 보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후면은 전면의 반대쪽 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고,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편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설정하는 바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고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 또는 홈 버튼 등의 물리적 구성 요소의 위치 등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주변 환경을 센싱 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서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사용자 입력을 센싱 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수신한 많은 신호 중에서,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이하 '입력 신호'라고 함)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5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과 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전면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구비된 면일 수 있고, 후면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구비된 면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터치 인풋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는 센서 유닛(130),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신호를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150)는 구성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중에서 센서 유닛(130),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수신하는 많은 신호들 중에서, 특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130)이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면, 프로세서(150)는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가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포함된 구성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와 디지털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40)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140)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60)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출력하기 위한 버퍼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14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14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 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6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6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는 오디오 입출력 유닛 또는 파워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미도시)은 스피커,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은 프로세서(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또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유닛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실시예이다. 도 2의 (a)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원할 때면 언제든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통해서도 홈 화면을 제공하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통해서도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에서 제공하는 홈 화면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에서 제공하는 홈 화면은 동일한 홈 화면일 수 있고, 다른 홈 화면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통해 복수 개의 홈 화면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각각에서 복수 개의 홈 화면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홈 화면을 구성할 수 있고, 구성된 홈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홈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220) 간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 및 제 1 후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 실시예이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310)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1 입력 신호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특정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아이콘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310)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아이콘(310)을 회전할 수 있다. 제 1 입력 신호가 아이콘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310)을 왼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 신호가 아이콘의 세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310)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 신호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특정 아이콘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는 특정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플립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플립 방향에 따라 아이콘(310)을 회전할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310)의 회전 결과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310)을 뒤집을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310)의 전면 이미지를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320)로 바꿀 수 있다. 아이콘(310)의 제 1 후면 이미지(320)는 아이콘(3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후면 이미지(320)의 아이콘에 대하여 입력을 하면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복사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410)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할 수 있다. 제 2 입력 신호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드래그, 플립, 연속 터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410)를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420)로 바꿀 수 있다.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420)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를 가지는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이미지에 따라,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실행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의 일 실시예이다.
도 5의 (a)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면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기본 이미지이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디바이스가 설치되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홈 화면에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보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b)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이 회전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아이콘을 회전함으로써 아이콘을 뒤집을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하는 아이콘을 통해, 아이콘이 뒤집힘으로써 후면이 디스플레이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아이콘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도 5의 (c)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 1 후면 이미지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불가능한 경우에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5의 (d)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제 2 후면 이미지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이미지만 보고서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아이콘을 뒤집어 후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콘이 뒤집고, 뒤집힌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기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뒤집지 않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서 홈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특정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키거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홈 화면에 특정 아이콘의 복사 아이콘을 추가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아이콘을 이동 또는 복사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후면 이미지는 해당 아이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후면에서 실행 가능할 때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 1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610)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선택한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시키길 원할 수도 있지만,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아이콘을 이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한 아이콘(610)의 복사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생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이동 또는 복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숏 터치, 사용자의 롱 프레스 터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는 상술한 또는 후술할 다른 입력 신호들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또는 복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20)에 대한 입력을 통해, 아이콘(610)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키거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아이콘(610)의 복사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기 설정된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에 앞서, 디지털 디바이스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기 설정된 사용자에 위한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 아이콘의 복사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3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롱 프레스 터치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복사 아이콘을 생성하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생성한 복사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동일한 아이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모두에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된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일 실시예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후면 이미지(710)의 아이콘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4 입력 신호는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가지는 터치 입력, 또는 사용자의 롱 프레스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4 입력 신호는 설정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아이콘이 뒤로 밀리는 그래픽 효과(72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이므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이 후면 방향으로 밀리는 그래픽 효과(72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이 뒤로 밀리는 그래픽 효과(720)를 제공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을 삭제하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만으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간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하게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홈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도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고, 상술한 일 실시예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위치나 설정하는 바에 따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될 수 있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역시 사용자의 위치나 설정하는 바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을 통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도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홈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전면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전면 이미지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유닛에서 실행 가능하다는 표시이므로, 사용자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통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아이콘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810)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810)을 회전하고, 아이콘(8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할 수 있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를 후면 이미지(820)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의 후면 이미지(820)만 보고서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8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경우, 아이콘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을 180도 회전하면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회전 결과에 따라,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으로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다르게, 전면 이미지 및 후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이미지만을 가지는 아이콘을 제공한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후면 이미지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제 2 후면 이미지를 구분하지 않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모두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아이콘을 뒤집기 위한 입력을 디텍팅 하면, 아이콘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을 회전한 후 또는 회전과 동시에,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아이콘은 하나의 전면 이미지 및 하나의 후면 이미지만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이콘에 전면 이미지,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를 가지는 일 실시예를 대표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바라보는 사용자는 아이콘을 회전함으로써,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동시에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후면 이미지(910)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 사용자는 제 2 후면 이미지(910)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후면 이미지(910)의 아이콘에 대한 제 5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5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 제 5 입력 신호는 제 2 후면 이미지(910)의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910)를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920)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뀐 제 1 후면 이미지(920)를 통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되었고, 실행 가능한 상태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 및 제 2 후면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중지시킬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과 관련한 이미지로 설정하고, 제 2 후면 이미지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는 기능과 관련한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아이콘의 이미지만 봐도 직관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후면 이미지(1010)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 사용자는 제 2 후면 이미지(1010)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후면 이미지(1010)의 아이콘에 대한 제 6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6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1020)를 제공할 수 있다. 제 6 입력 신호는 제 2 후면 이미지(1010)의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입력 신호는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제 5 입력 신호 및 후술한 제 6 입력 신호 내지 제 8 입력 신호와는 구분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컨트롤 인터페이스(1020)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컨트롤 인터페이스(1020)의 구성 및 내용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이므로, 컨트롤 인터페이스(1020)는 재생 중인 음악 정지, 다음 곡 재생, 이전 곡 재생, 가사 정보 제공 및 앨범 정보 제공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서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일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110)은 제 2 후면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1110)에 대한 제 7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7 입력 신호는 제 2 후면 이미지(1110)의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정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할 때 디지털 디바이스를 뒤집지 않더라도, 쉽게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동일한 실행 화면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자원을 낭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210)은 제 2 후면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1210)에 대한 제 8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제 8 입력 신호는 제 2 후면 이미지(1210)의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정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위칭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1220)은 아이콘(12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1230)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위칭 함으로써,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해야 하는 경우 별도로 디지털 디바이스를 뒤집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추가적인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유용하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가 스위칭 된 이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없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간 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오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오프 상태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내부 이벤트 발생을 대기하는 상태로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블랭크(blank) 화면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상태를 인디케이팅 하기 위해서 제 1 후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에 대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하면 제 1 후면 이미지를 제 2 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하지 못하는 경우, 제 1 후면 이미지를 다시 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므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지 않도록 제 1 후면 이미지를 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추가 입력에 대한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사용자 의도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에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은 멀티태스킹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폰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우, 멀티태스킹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더라도, 홈 화면에서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 및 제 1 후면 이미지 또는 제 2 후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고 있는 아이콘은 별도의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멀티태스킹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아이콘의 이미지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310)은 제 2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보길 요청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13의 (b)와 같이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1320, 1330, 1340)을 제 2 후면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은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백 그라운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길 원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는 멀티태스킹 애플리케이션을 제 2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종료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멀티태스킹 애플리케이션을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그 외 별도로 설정한 이미지의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면 이미지는 아이콘이 현재 디스플레이 된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S1410). 제 1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아이콘에 대한 플립 터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을 회전할 수 있다(S1420). 회전 방향은 제 1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을 180도 회전하고, 회전 결과에 따라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를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S1430). 제 1 후면 이미지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S1440).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할 수 있다(S1450). 이때, 설정된 바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이외에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로 바꿀 수 있다(S1460). 제 2 후면 이미지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지 못하는 경우,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때까지 제 1 후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텍팅 하지 못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이 지나면 다시 전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아이콘의 복사 아이콘을 생성하고, 복사 아이콘을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아이콘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삭제하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10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120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130 센서 유닛 140 스토리지 유닛
150 프로세서 160 커뮤니케이션 유닛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반대편에 구비됨;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을 회전하고,
    상기 회전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꾸되(converting),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됨,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고,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로 바꾸되,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복사 아이콘(duplicate icon)을 생성하고,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상기 복사 아이콘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아이콘을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삭제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5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고,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꾸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6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7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8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위칭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전면 이미지로 바꾸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디텍팅 하고,
    상기 디텍팅 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제 2 후면 이미지로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1.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전면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디텍팅 된 아이콘을 회전하는 단계;
    상기 회전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꾸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가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됨;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로 바꾸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 중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됨;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복사 아이콘(duplicate icon)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상기 복사 아이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삭제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5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의 제 2 후면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로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6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7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면 이미지의 아이콘에 대한 제 8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위칭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의 제 1 후면 이미지를 전면 이미지로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디텍팅 하는 단계; 및
    상기 디텍팅 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제 2 후면 이미지로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도 실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30043588A 2013-04-19 2013-04-19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588A KR102072584B1 (ko) 2013-04-19 2013-04-19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3/900,059 US9990103B2 (en) 2013-04-19 2013-05-22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PCT/KR2013/004702 WO2014171580A1 (en) 2013-04-19 2013-05-29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13882125.1A EP2987065B1 (en) 2013-04-19 2013-05-29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201380075756.6A CN105164625B (zh) 2013-04-19 2013-05-29 数字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588A KR102072584B1 (ko) 2013-04-19 2013-04-19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97A true KR20140125597A (ko) 2014-10-29
KR102072584B1 KR102072584B1 (ko) 2020-02-03

Family

ID=5173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588A KR102072584B1 (ko) 2013-04-19 2013-04-19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90103B2 (ko)
EP (1) EP2987065B1 (ko)
KR (1) KR102072584B1 (ko)
CN (1) CN105164625B (ko)
WO (1) WO201417158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43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6250A (ko) * 2015-05-19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용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20170075486A (ko) * 2015-12-23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1142A (ko) * 2017-08-22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3759S1 (en) * 2012-11-23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3753S1 (en) * 2012-11-23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TWD161258S (zh) * 2013-01-03 2014-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之圖形化使用者介面
US20140346075A1 (en) * 2013-05-24 2014-11-27 Doveen Schecter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Designs
JP6271980B2 (ja) * 2013-12-06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U361975S (en) * 2014-08-27 2015-05-27 Janssen Pharmaceutica Nv Display screen with icon
KR102215997B1 (ko) * 2014-10-30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500582B2 (ja) * 2015-05-07 2019-04-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面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227427A (zh) * 2016-07-25 2016-12-1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显示切换方法和装置
CN108171065A (zh) * 2017-12-13 2018-06-15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应用加密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420A1 (en) *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 Dual Sided Gesture
WO2012053516A1 (ja) * 2010-10-18 2012-04-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91985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20120218191A1 (en) * 2011-02-25 2012-08-3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type device interactions
US20120260217A1 (en) * 2011-04-11 2012-10-11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cons for organizing, invoking, and using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789B1 (en) *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US6545669B1 (en)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KR100643293B1 (ko) 2005-05-0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하학적 변형을 통해 파일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8112770B2 (en) * 2006-12-20 2012-02-07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alternative content in a windowed environment
KR100900295B1 (ko) *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20100017023A (ko) * 2008-08-05 2010-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101526998B1 (ko) 2008-10-16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US8370762B2 (en)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US8497884B2 (en) * 2009-07-20 2013-07-3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graphic user interface elements
KR101692550B1 (ko) 2009-10-27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92826A (ko)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05444B2 (en) 2010-10-01 2016-08-02 Z124 User interface with independent drawer control
BR112013014402A2 (pt) 2010-12-10 2019-09-24 Yota Devices Ipr Ltd dispositivo móvel com interface de usuário
JP5683997B2 (ja) 2011-02-24 2015-03-1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899812B1 (ko) 2012-05-14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420A1 (en) *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 Dual Sided Gesture
WO2012053516A1 (ja) * 2010-10-18 2012-04-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91985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20120218191A1 (en) * 2011-02-25 2012-08-3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type device interactions
US20120260217A1 (en) * 2011-04-11 2012-10-11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cons for organizing, invoking, and using applic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43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6250A (ko) * 2015-05-19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용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20170075486A (ko) * 2015-12-23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1142A (ko) * 2017-08-22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7065A4 (en) 2016-11-30
CN105164625A (zh) 2015-12-16
KR102072584B1 (ko) 2020-02-03
EP2987065A1 (en) 2016-02-24
US9990103B2 (en) 2018-06-05
CN105164625B (zh) 2018-12-28
EP2987065B1 (en) 2018-01-03
WO2014171580A1 (en) 2014-10-23
US20140317572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584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47315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方法、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202872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EP272013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515640B (zh) 用於自一樣板產生使用者介面之裝置及方法
US9674445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photograph by using widget
CN110362246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2436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4005916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30179827A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JP2015531530A (ja) サムネイルおよび文書マップに基づく、文書内ナビゲーション
JP2014509422A (ja) 複数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装置及びその装置の画面変更方法
TW201346619A (zh) 用於存取鎖定裝置中的應用程式的裝置、方法及圖形使用者介面
TW201539219A (zh) 現代文件存檔及同步狀態
US20130179837A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KR20140119519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재생목록 표시 방법
KR20140000572A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34100A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TW201539298A (zh) 用於內容插入及修改之漸進式功能存取
JP202005306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方法、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WO2021104268A1 (zh) 内容分享方法及电子设备
CA2857232C (en) Actionable user input on displayed items
TW201608464A (zh) 以可編輯形式來全螢幕彈出物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