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573A -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4573A KR20140124573A KR20130042266A KR20130042266A KR20140124573A KR 20140124573 A KR20140124573 A KR 20140124573A KR 20130042266 A KR20130042266 A KR 20130042266A KR 20130042266 A KR20130042266 A KR 20130042266A KR 20140124573 A KR20140124573 A KR 20140124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mirror
- vehicle
- stop bar
- pinion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상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연결된 이동바디와 메인바디와 미러를 포함한다.
차체 내부로 완전히 수납 보관하여 차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이드미러가 다른 차량과 통행인 및 주변 장애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체 내부로 완전히 수납 보관하여 차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이드미러가 다른 차량과 통행인 및 주변 장애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는 차량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 상황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이를 위해 차량의 실내에는 루프의 앞쪽 중앙에 룸미러(room mirror)가 설치되고, 실외에는 차체의 양쪽 측부에 사이드미러(side-view mirror)가 설치된다.
사이드미러는 차체의 양측 표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주차시나 좁은 통로를 빠져나갈 때 다른 차량, 통행인, 주변의 장애물 등과 종종 충돌한다. 따라서, 주행 중 임시로 차폭을 감소시켜야 할 때나 주차시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 사이드미러를 후방으로 접어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동식 사이드미러가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6-005717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이드미러를 후방으로 접어 놓은 상태라 할지라도 여전히 차체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상당량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이나 통행인과의 간섭 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른 차량이나 통행인 및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이 방지되고, 차량의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바디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이동바디쪽으로 접히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메인바디쪽으로 접히는 미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바디에 형성된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바디가 차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사이드미러출입구를 막아주는 커버패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바디에 형성된 플랜지 외주면의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미러를 상향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러를 상기 메인바디쪽으로 당겨주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미러 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차단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막을 인입시키는 리트랙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막의 단부에 스톱바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바에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권취휠에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벽체에 상기 스톱바가 삽입 안착되는 스톱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미러를 차체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관상태에서 사이드미러 설치위치에 차체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골목길에서 다른 차량과 교행하는 경우, 차량 주위에 인접한 자연 또는 인공의 장애물을 피해서 주행해야 하는 경우, 차량을 주차해두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차폭을 최대한 줄여 외부 물체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사이드미러 및 피간섭물(또는 인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 상태에서 차체의 외부로 돌출된 사이드미러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의 외관미가 향상된다.
한편, 사이드미러의 수납 및 보관을 위한 부품이 차량의 실내 공간쪽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의한 실내 공간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실내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윈도우글래스의 양쪽 하부를 가리지 않음으로써 전방 시야의 일부가 차단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운전자 및 보조석 탑승자에게 답답한 느낌을 주지 않게 되며, 실내 미관 특히 대쉬보드 상부쪽 미관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미러가 차체 내부로 수납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이드미러 설치부 확대도.
도 3은 사이드미러를 차외측 또는 차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사이드미러가 차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이드미러를 후방(A방향)에서 도시한 것으로, 메인바디의 회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미러의 회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미러의 앞쪽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차단막 전개를 위한 와이어의 설치 상태도.
도 9는 안착홈 형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바디의 사시도.
도 10은 차단막이 전개된 사이드미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이드미러 설치부 확대도.
도 3은 사이드미러를 차외측 또는 차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사이드미러가 차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이드미러를 후방(A방향)에서 도시한 것으로, 메인바디의 회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미러의 회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미러의 앞쪽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차단막 전개를 위한 와이어의 설치 상태도.
도 9는 안착홈 형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바디의 사시도.
도 10은 차단막이 전개된 사이드미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사이드미러 설치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왼쪽이 실내쪽 방향이고 오른쪽이 실외쪽 방향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1)는 프론트도어(2) 도어프레임(2a)의 윈도우부 전방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사이드미러(1)는 도어프레임(2a)의 너비에 해당되는 공간 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프론트필라(front-pillar)(3)쪽으로 소량 돌출될 수 있으나, 프론트필라(3)의 너비 공간을 초과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쪽으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사이드미러(1)는 도어프레임(2a)의 너비에 해당되는 공간으로부터 좌우방향(차량의 실내쪽 방향과 실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바디(10)와, 이동바디(10)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바디(20)를 포함하며, 메인바디(20)에 이후 설명할 미러(mirror)(50)가 설치된다.
이동바디(10)는 직사각형의 판재로서 그 하면에 랙기어(1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직으로 메인바디(20)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커버패널(12)이 형성된다.
커버패널(12)은 사이드미러(1)가 실외로 이동하였을 때 보관위치에 있던 메인바디(20)의 측면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메인바디(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1)가 보관위치(도 3)에서 사용위치(도 4)로 이동하더라도 사이드미러 출입구(사이드미러 설치로 인해 도어글래스가 커버하지 못하는 개구부로서 별도의 도시는 생략함)를 항상 막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이드미러(1)를 실내 또는 실외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구동모터(30)가 도어(2) 또는 도어프레임(2a)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제1피니언기어(31)가 설치되며, 제1피니언기어(31)는 이동바디(10)의 랙기어(11)에 치합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3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미러(1)가 도어프레임(2a)의 너비 범위 내의 보관위치와 도어프레임(2a)의 너비 범위 외부로 돌출된 사용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제1구동모터(30)가 도어(2)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것과 같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랙기어(11)와 제1피니언기어(31)의 치합 상태 및 제1구동모터(30)가 잘 보일 수 있도록 도시하여 이들 구성과 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랙기어(11)의 형성위치를 변경하거나 랙기어(11)와 제1피니언기어(31)의 연결구조를 변경(예;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추가로 사용함)하여 제1구동모터(30)의 설치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제1구동모터(30)를 도어(2)의 범위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도 4의 사이드미러(1)를 후방(A방향)에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20)는 핀(13)을 매개로 이동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바디(10)의 차외측 방향의 단부에 원호 형상의 플랜지(14)가 형성되고, 플랜지(14)와 메인바디(20)의 일측 모서리부가 핀(13)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바디(10)의 반대쪽 부분에도 플랜지(14)에 대응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에 메인바디(20)의 전방 빗면의 하부도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바디(20)의 회동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14)의 외주면은 핀(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기어(14a)가 형성된다.(전방쪽 플랜지에는 기어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메인바디(20)의 플랜지(14)에 인접한 내측 부분에 제2구동모터(40)가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40)의 회전축은 메인바디(20)의 후방 벽면을 관통하여 플랜지(14)쪽으로 돌출되며, 그 회전축의 단부에 제2피니언기어(41)가 장착되고, 제2피니언기어(41)는 플랜지(14)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4a)에 치합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40)가 작동되면 제2피니언기어(41)가 회전되어 플랜지(14)의 외주면 기어(14a)를 따라 진행하게 되므로 메인바디(20)가 직립상태에서 핀(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펼쳐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20)는 밑면이 직각 삼각형이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서,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차량 후방쪽의 벽면에 미러(50)가 힌지(5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미러(50)는 메인바디(2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직각 삼각형 형상이고, 메인바디(20)의 바닥판(메인바디(20)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의 바닥판이며, 도 3 내지 5에서와 같이 직립 상태일 때는 차량 외측방향을 향한 면에 해당된다.)과 미러(50)의 사이에 바닥판에 대해서 미러(50)를 밀어주는 액츄에이터(60)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60)는 솔레노이드 타입으로서 실린더(61)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전원 인가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아마튜어와, 그 아마튜어에 의해 실린더(61)의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62)가 구비된 것이다. 아마튜어는 원통형 자성체로서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솔레노이드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이동한다.
액츄에이터(60)의 실린더(61)와 로드(62)는 각각 메인바디(20)의 바닥판과 미러(50)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미러(50)측 연결부는 미러(5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과 같은 슬라이딩부(미도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러(50)와 액츄에이터(60)의 작동시 발생하는 간섭 문제를 해결하여 액츄에이터(60)에 의해 미러(50)가 원활히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바디(20)의 바닥판과 미러(50)의 사이에는 미러(50)를 메인바디(20)의 바닥판쪽으로 당겨주는 인장스프링(70)이 설치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60)에 전원이 공급되면 로드(62)가 돌출되면서 미러(50)를 밀어줌으로써 미러(50)가 차량 후방쪽을 향해 상향 회동하여 직립 상태로 전환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인장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미러(50)가 메인바디(20)쪽으로 당겨져서 메인바디(2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미러(50)가 직립되면 운전자가 미러(50)를 통해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50)의 배면(반사면의 반대쪽면으로서 도면에 보이는 면)에는 빗변쪽 단부에 차단막(81)을 구비한 리트랙터(80)가 설치된다.
리트랙터(80)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와 같은 작동 방식을 갖는 것으로 차단막(81)을 잡아 당겨 인출할 수 있고,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자력으로 차단막(81)을 내부로 말아 들일 수 있는 것이다.
차단막(81)의 리트랙터(80) 외측 단부에는 스톱바(82)가 구비되는데, 스톱바(82)는 차단막(81)의 단부에 고정되어 차단막(81)이 리트랙터(80)의 내부로 말려들어갈 때 차단막출입구에 걸려짐으로써 차단막(81)이 리트랙터(80) 안으로 완전히 끌려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스톱바(82)의 일측 단부는 메인바디(20)의 일측 모서리에 장착된 볼조인트(90)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톱바(82)는 볼조인트(90)를 중심으로 각변위를 가지면서 메인바디(20)의 상부공간에서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다.
스톱바(82)의 타측 단부에는 와이어(100)가 연결되고, 와이어(100)의 타단은 메인바디(20)의 빗변쪽 벽체 즉, 전방벽체(21)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3구동모터(110)의 권취휠(111)에 감겨진다.
권취휠(111)은 제3구동모터(110)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으로, 실패 형상과 같이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3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오목한 외주면에 와이어(100)가 감겨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20)의 전방벽체(21) 상면에는 스톱바(82)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스톱바홈(22)이 형성된다.
스톱바홈(22)의 내측벽체(메인바디(20)의 내부 공간쪽 벽체로서 제3구동모터(110)에 인접한 벽체)에는 와이어홀(23)이 형성되며, 와이어(100)는 와이어홀(23)을 통하여 권취휠(111)에 감겨진다. 와이어(100)가 와이어홀(23)을 통해 당겨짐으로써 스톱바(82)가 스톱바홈(22)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바홈(22)의 볼조인트(90)쪽 부분에는 메인바디(20)의 내측 공간으로 개방된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이는 스톱바(82)의 일단이 볼조인트(9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톱바(82)가 스톱바홈(22)에 삽입될 때 스톱바(82)의 볼조인트(90)쪽 부분이 스톱바홈(22)의 후방벽체에 걸려서 스톱바홈(22)의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톱바(82)가 스톱바홈(22)에 삽입 안착되는 작동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하여 스톱바홈(22)은 전방벽체(21)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일측 단부가 볼조인트(90)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벌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구동모터(110)가 작동되면 권취휠(111)에 와이어(100)가 감겨지면서 와이어(100)에 의해 스톱바(82)가 당겨지고, 리트랙터(80)로부터 차단막(81)이 인출되며, 스톱바(82)가 계속 당겨져서 스톱바홈(22)에 삽입 안착되면, 도 10과 같이, 차단막(81)이 미러(50)의 상단부와 메인바디(20)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여 미러(50)의 앞쪽 공간을 주행풍에 대해 차단한다.
한편, 제1구동모터(30)와, 제2구동모터(40)와, 액츄에이터(60) 및 제3구동모터(110)는 도어의 실내측면에 마련된 사이드미러스위치를 on/off 조작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또는 그 역순으로 작동하거나 작동 해제되도록 제어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이드미러(1)가 차내측으로 접혀져 수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스위치를 on시키면, 제1구동모터(30)가 작동하여 제1피니언기어(31)가 회전하면서 랙기어(11)를 밀어주고, 이에 도 4와 같이 이동바디(10)가 차외쪽으로 이동하여 메인바디(20)가 차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이동바디(10)에 형성된 커버패널(12)이 사이드미러 출입구를 막아주어 사이드미러 출입구가 외부에 보임으로써 발생하는 외관미 저하 및 공기 저항과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바디(20)의 돌출이 완료되면, 제2구동모터(40)가 작동된다. 제2구동모터(40)의 작동에 의해 제2피니언기어(41)가 회전되고, 제2피니언기어(41)는 플랜지(14) 외주면의 기어(14a)를 따라 진행한다. 여기서, 플랜지(14)의 외주면이 플랜지(14)와 메인바디(20)를 결합시킨 핀(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이고 제2피니언기어(41)의 회전축이 메인바디(20)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핀(13)에 대한 제2피니언기어(41)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2피니언기어(41)가 플랜지(14)의 외주면 기어(14a)를 따라 치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2피니언기어(41)가 플랜지(14)의 외주면 기어(14a)를 따라 진행하고, 제2구동모터(40)가 메인바디(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메인바디(2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바디(20)가 수평상태로 펼쳐진 이후, 도 6과 같이, 액츄에이터(60)가 작동하고, 액츄에이터(60)의 로드(61)가 미러(50)를 밀어줌으로써 미러(50)가 상향 회동되어 직립 상태로 펼쳐진다.
이후, 제3구동모터(110)가 작동되어 권취휠(111)에 와이어(100)가 감겨짐으로써 스톱바(82)가 당겨지면서 리트랙터(80)로부터 차단막(81)이 인출된다.
스톱바(82)는 와이어(100)가 메인바디(20)의 와이어홀(23)을 통해 계속 당겨짐으로써 최종적으로 메인바디(20)의 전방벽체(21)에 형성된 스톱바홈(22)에 삽입 안착된다. 이때 스톱바(82)의 일단이 메인바디(20)의 최외측 모서리에 볼조인트(90)로 고정되어 있으나, 스톱바홈(22)의 볼조인트(90)측 단부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스톱바홈(22) 자체가 볼조인트(90)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톱바(82)는 스톱바홈(22)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와 같이 스톱바홈(22)에 스톱바(82)가 안착되면 리트랙터(80)로부터 인출된 차단막(81)이, 도 10과 같이, 미러(50)의 상단부와 메인바디(20)의 전방단부를 연결하여 미러(50)와 메인바디(20) 사이의 공간을 외부에 대해 차단하게 된다.
또한, 차단막(81)이 자동차가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행풍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주행풍이 미러(50)의 배면(도 6 및 도 7에서 보이는 면으로 반사면의 반대쪽 면)에 충돌하여 공기 저항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미러(50)에 주행풍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스위치를 off시키면, 제3구동모터(110)에 의한 와이어(100) 당김상태가 해제되면서 차단막(81)이 리트랙터(80)의 내부로 말려 들어가고, 이후 액츄에이터(60)에 의한 미러(50) 지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인장스프링(70)에 의해 미러(50)가 하향 회동되어 메인바디(20)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태로 접혀진다.
이후, 제2구동모터(4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제2피니언기어(41)가 플랜지(14)의 외주면 기어(14a)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평상태의 메인바디(20)가 수직상태로 접혀진다.
마지막으로 제1구동모터(3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제1피니언기어(31)와 랙기어(11)의 작용에 의해 이동바디(10)가 차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메인바디(20)가 차내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원위치로 복귀한 메인바디(20)는 사이드미러출입구를 막아주면서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미러는 도어프레임의 폭에 해당되는 공간에 접힌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차외측으로 돌출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확보하는 사이드미러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내쪽으로 완전히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상태에서는 사이드미러 관련 부품이 차체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좁은 도로에서 다른 차량과 교행할 때나, 주변에 통행인이 많을 때, 또한 차량 진행 방향에 인접한 장애물이 많을 때는 사이드미러를 차내쪽으로 접어 수납함으로써 다른 차량이나 통행인 또는 장애물과 사이드미러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외측으로 사이드미러 관련 부품이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주택가의 이면도로 주차시 주택의 담이나 벽에 보다 근접하여 주차할 수 있게 되어 통행인 또는 차량의 통행공간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며, 이에 따라 통행인 또는 통행 차량에 의해 주차중인 차량의 사이드미러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미러 관련 부품이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의 차내측 수납에 의해 차량의 실내 공간이 감소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사이드미러 관련 부품이 전방 윈도우글래스의 하측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방 시야 확보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고, 심리적으로도 시원한 느낌이 들며, 대쉬보드의 양측 상단에 큰 돌출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실내 미관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사이드미러 2 : 프론트도어
2a : 도어프레임 10 : 이동바디
12 : 커버패널 20 : 메인바디
22 : 스톱바홈 30 : 제1구동모터
40 : 제2구동모터 50 : 미러
60 : 액츄에이터 70 : 인장스프링
80 : 리트랙터 81 : 차단막
82 : 스톱바 90 : 볼조인트
100 : 와이어 110 : 제3구동모터
2a : 도어프레임 10 : 이동바디
12 : 커버패널 20 : 메인바디
22 : 스톱바홈 30 : 제1구동모터
40 : 제2구동모터 50 : 미러
60 : 액츄에이터 70 : 인장스프링
80 : 리트랙터 81 : 차단막
82 : 스톱바 90 : 볼조인트
100 : 와이어 110 : 제3구동모터
Claims (10)
- 차체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바디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이동바디쪽으로 접히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메인바디쪽으로 접히는 미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디에 형성된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디가 차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사이드미러출입구를 막아주는 커버패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디에 형성된 플랜지 외주면의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미러를 상향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5 있어서,
상기 미러를 상기 메인바디쪽으로 당겨주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미러 사이의 공간을 덮어주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인입시키는 리트랙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단부에 스톱바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바에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권취휠에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벽체에 상기 스톱바가 삽입 안착되는 스톱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2266A KR20140124573A (ko) | 2013-04-17 | 2013-04-17 |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2266A KR20140124573A (ko) | 2013-04-17 | 2013-04-17 |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4573A true KR20140124573A (ko) | 2014-10-27 |
Family
ID=5199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2266A KR20140124573A (ko) | 2013-04-17 | 2013-04-17 |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457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50738A (zh) * | 2018-08-23 | 2018-12-21 | 杭州容大智造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有隐藏式后视镜的物流车 |
CN114435245A (zh) * | 2022-02-28 | 2022-05-06 | 英业达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折叠车内后视镜 |
-
2013
- 2013-04-17 KR KR20130042266A patent/KR201401245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50738A (zh) * | 2018-08-23 | 2018-12-21 | 杭州容大智造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有隐藏式后视镜的物流车 |
CN114435245A (zh) * | 2022-02-28 | 2022-05-06 | 英业达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折叠车内后视镜 |
CN114435245B (zh) * | 2022-02-28 | 2023-11-10 | 英业达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折叠车内后视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21410B2 (en) | Pivoting mechanism for movably attaching a camera to a vehicle | |
US8308217B2 (en) | Automobile sun visor with electromechanical sun sha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JP5050793B2 (ja) |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 |
US7581775B2 (en) | Side window roller blind | |
KR101439011B1 (ko) | 인비저블 슬라이딩 도어 트림 구조 | |
KR101592729B1 (ko) | 폴딩이 가능한 차량 | |
JP4182142B2 (ja) |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 |
KR20140124573A (ko) |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
US6976761B2 (en) | Exterior vehicle mirror with forward folding feature | |
WO2002046000A1 (en) | Auto-retractable side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 |
JP2008238933A (ja) | 車両用ステップ装置、及び車両用ステップ装置の配置構造 | |
KR101219396B1 (ko) | 파노라마 선루프의 연동형 롤블라인드 장치 | |
KR101551103B1 (ko) |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링크유닛 | |
JP2008062674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CN114604183A (zh) | 包含显示装置的车顶构造以及车辆 | |
CN219737992U (zh) | 一种车载投影系统及车辆 | |
KR200433237Y1 (ko) | 자동차용 비가리개 | |
JP2007022109A (ja) | 車両用乗降ステップ装置 | |
US20230202271A1 (en) |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 |
CN219487128U (zh) | 一种遮光装置以及车辆 | |
JPH09142149A (ja) | 車両用雨除け装置 | |
CN220764236U (zh) | 一种汽车后视镜隐藏用收纳仓的盖板组件 | |
US20230220719A1 (en) |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 |
US20240247532A1 (en) |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 |
JP3093873U (ja) | 自動車のロール式雨よけ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