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842A -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 Google Patents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842A
KR20140122842A KR20130039763A KR20130039763A KR20140122842A KR 20140122842 A KR20140122842 A KR 20140122842A KR 20130039763 A KR20130039763 A KR 20130039763A KR 20130039763 A KR20130039763 A KR 20130039763A KR 20140122842 A KR20140122842 A KR 2014012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diaphragm
pressur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384B1 (ko
Inventor
정경열
박창대
임병주
이후락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3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piezo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An air operated valve with dedicated self-condition sensing elements}
본 발명은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물질을 이용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각 구성의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공기 구동 밸브(air operated valve)는 발전소와 같은 대형의 플랜트에 설치된 각종 관로 내부로 흐르는 고온ㆍ고압의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적인 밸브 시스템 중의 하나로서, 밸브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구동력으로 이용하여 밸브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관로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 압력, 방향 등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유로 개폐, 교축, 역지, 과압방지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 구동 밸브는 그 구동부의 형태에 따라 다이아프램형, 실린더형으로 구분되고, 또한 공기유입방식에 따라 싱글 구동방식(single acting)과, 더블 구동방식(double acting)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압전물질(piezo-electric material)이라 함은 기계적 변형(mechanical deformation) 내지 압력에 의해 전하의 분극 현상(polarization of the charge)이 생성되거나, 반대로 전기장(electric field)에 의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물질을 말한다. 수정 단결정(Single crystal Quartz)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Perovskite 구조를 갖는 세라믹(무기재료)에서 이러한 특성이 발견된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구동 밸브의 외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하며, 도 2는 공기 압력에 따른 다이아프램의 팽창과 그에 따른 스템의 구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구동 밸브는 일반적으로 공기 공급부로부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구동력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스템부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다이아프램의 팽창이 야기되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라 일단에 고정된 스템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다이아프램 방식의 공기 구동 밸브의 경우 다이아프램 자체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이아프램을 복원시키는 별도의 탄성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반복되는 작동에 따라 다이아프램 자체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에 소성변형이 야기되며, 그 결과 성능 저하가 발생되고, 최종적으로는 교체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구동 밸브의 경우 성능 내지 운전상태를 측정할 수 없어, 소형변형에 따른 성능 저하 및 그에 따른 구동 특성을 반영한 공기 압력의 추가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며, 나아가 다이아프램 자체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의 교체 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성 변형 내지 성능 저하를 모니터링하여 다이아프램 등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종래의 공기 구동 밸브의 경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공기 공급 배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력센서는 공기 공급압력을 조절하여 밸브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공기 구동 밸브의 운전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밸브의 경우 밸브의 구동력을 압전물질의 기계적 변형으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압전물질을 이용하여 밸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등 운전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
선행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327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이아프램 내지 별도의 탄성 부재의 소성 변형에 따른 구동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을 결정할 수 있어 공기 구동 밸브 성능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소성변형에 따른 다이아프램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체결수단 내부에 마련된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볼트의 내부에 마련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은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트 내부에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볼트 외에도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각종 핀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제2다이아프램, 상기 제2다이아프램을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2다이아프램과 상기 케이스 내측면을 연결하는 압력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상기 스템부는 그 내부에 압전물질(piezo material)로 이루어지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를 둘러싸는 스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템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의 수평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스템부가 상기 압력감지부를 압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 사이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마련하여 상기 팽창부의 팽창에 따른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부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위를 따라 둘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세부 구성의 압력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공기 구동 밸브의 소모성 부품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성변형의 정도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보정함으로써 밸브 성능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소모성 부품의 교체 시기 및 밸브 전체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어, 공기 구동 밸브가 사용되는 설비 전체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구동 밸브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다이아프램의 변위에 따른 스템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의 케이스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의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내부에 마련된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확대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와 스템부 내부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와 스템부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공기를 주입하여 주입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팽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변위를 팽창되어 변위를 발생시키는 다이아프램(14)을 그 일면에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14)은 공기 압력이 낮아졌을 때 최초의 위치로 복원가능하도록 그 자체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프링 등의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를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자체가 탄성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진 경우의 다이아프램(14)을 '탄성 다이아프램'이라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팽창부는 케이스부(11, 12)의 일부에 의해 둘러싸여 그 외관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케이스부(11, 12) 및 상기 다이아프램(14)에 의해 둘러싸여 그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밀폐된 공간을 팽창부라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11, 12)는 그 일측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의 케이스부(11, 12)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사시도에 해당한다. 상기 케이스부(11, 12)는 상부 몸체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11)와 상기 제1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몸체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는 체결수단(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30)에 압력감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1)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부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서 팽창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압력에 비례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4)의 이동 또는 팽창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소성변형에 따라 동일한 운전조건 하에서 상기 압력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은 미세하게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의 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성변형의 정도를 감안하여 공기의 공급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적으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11, 12)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동 밸브는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결합되는 결합면에 와이어 형태의 압전소자(4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공급에 따라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 사이의 결합면에 부가되는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소성 변형에 따라 동일 운전 조건에서 상기 결합면에 부가되는 압력에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압력변화를 상기 압력감지부를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 소성변형의 정도를 감안하여 공급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적으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케이스부(11, 12)와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의 압력감지부는 케이스부(11, 12)의 내측에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된다. 엄밀하게는 팽창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 압력 변화를 측정하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케이스부(11, 12)의 내측에 설치된다고도 볼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부는 팽창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위가 발생되는 제2다이아프램(52)과 상기 제2다이아프램(52)을 케이스부(11, 12)의 내측에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다이아프램(52)과 케이스부(11, 12) 사이를 연결하는 압전소자(43)를 마련하여 상기 제2다이아프램(52)의 변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 소성변형의 정도를 감안하여 공기의 공급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적으로 탄성 다이아프램(14)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20)와 스템부(20) 내부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상기 스템부(20)는 일단이 다이아프램(14)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배관(20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21)에 고정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4)의 변위를 상기 개폐부(2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템부(2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44)가 삽입되어 상기 스템부(20)에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개폐부(21)를 구동함에 있어서, 최대한 하강되어 배관(200)의 하부에 개폐부(21)가 닿게 되는 경우, 그리고 최대한 상승되어 배관(200)의 상부에 개폐부(21)가 닿게 되는 경우 각각 상기 스템부(20) 내부의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 동작 중에도 배관(200)에 흐르는 유체의 영향으로 개폐정도에 따라 스템부(20) 내부 압력의 변화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부는 이러한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성능 변화를 관찰하고, 다이아프램 등의 소모성 부품 교체시기, 밸브 전체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템부(20)의 일단에는 코일형태의 전선(60)이 연결되어 압력변화에 따른 전기신호를 케이스부(11, 12)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은 다이아프램(14)의 상면으로 부터 케이스부(11, 12)의 상부로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형태로 이루어진 것은 다이아프램(14)의 이동 변위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의 스템부(20)와 스템부(20)에 마련된 압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부는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압전소자(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템부(20)와 상기 스템부(20)를 둘러싸는 스템 케이스(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스템부(20)의 수평방향 변위 및 스러스트를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이 스템 케이스(13)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스템부(20)가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접촉되거나,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인접된다.
배관(200)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스템부(20)의 수평방향 변위 및 스러스트에 변화가 발생되며, 상기 압력감지부는 이러한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한다.
한편,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언급된 상기 압전소자(41, 42, 43, 44, 45)는 그 일측 및 타측에 전극이 마련되어, 압전소자에 주어지는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별도로 마련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극은 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용하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공기 구동 밸브의 내부 구성의 압력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공기 구동 밸브의 소모성 부품의 소성변형의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성변형의 정도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보정함으로써 성능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소모성 부품의 교체 시기 및 밸브 전체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어, 공기 구동 밸브가 사용되는 설비 전체의 안전성을 도모한다.
11: 제1케이스
12: 제2케이스
13: 스템 케이스
14: 다이아프램
20: 스템부
21: 개폐부
30: 체결수단
31: 볼트
41, 42, 43, 44, 45: 압전소자
50: 압력감지부
51: 지지부재
52: 제2다이아프램
60: 전선
100: 공기 공급부
200: 배관

Claims (11)

  1.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그 일측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체결수단 내부에 마련된 상기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볼트의 내부에 마련된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트 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제2다이아프램;
    상기 제2다이아프램을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2다이아프램과 상기 케이스 내측면을 연결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6.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부는 그 내부에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8.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를 둘러싸는 스템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스템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는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스템부의 수평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스템부가 상기 압력감지부를 압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10.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구동 밸브에 있어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일면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부풀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를 내부에 마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팽창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밀폐된 형태의 상기 케이스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부위 사이에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마련하여 상기 팽창부의 팽창에 따른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와이어 형태의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결합부위를 따라 둘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KR20130039763A 2013-04-11 2013-04-11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KR10148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ko) 2013-04-11 2013-04-11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ko) 2013-04-11 2013-04-11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842A true KR20140122842A (ko) 2014-10-21
KR101480384B1 KR101480384B1 (ko) 2015-01-09

Family

ID=5199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763A KR101480384B1 (ko) 2013-04-11 2013-04-11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3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56A (ja) * 1992-03-25 1993-10-19 Nissan Motor Co Ltd 圧力制御弁
GB2272524B (en) 1992-11-10 1994-11-09 Christopher Philip Sperring Joints
US7254983B2 (en) * 2001-10-16 2007-08-14 Hera Usa Inc. Fuel gauge for hydrogen storage media
JP2007079996A (ja) * 2005-09-14 2007-03-29 Tokiko Techno Kk 圧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384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6051B (zh) 包含壓力感測器之真空閥
EP2717031B1 (en) Multi-range field full-automatic pressure and electric signal calibrating instrument
JP4765746B2 (ja) 遮断弁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質量流量制御装置
CN101622482B (zh) 用于监视隔膜状况的方法和装置
CN110114601A (zh) 压电元件驱动式阀以及流量控制装置
TWI654508B (zh) 壓力式流量控制裝置
CN108351270B (zh) 监视装置以及异常诊断装置
MX2021011942A (es) Elemento de potencia para valvula moduladora de refrigerante.
KR101480384B1 (ko) 일체형 자가 상태 감지 공기 구동 밸브
JP2012531556A (ja) 遠隔に位置する装置のパラメータの大きさの測定及び読取り
WO2017175849A1 (ja) 監視装置
WO2019102882A1 (ja) バルブ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を用いた制御方法、流体制御装置および半導体製造装置
KR20120092585A (ko) 유량 조정 밸브 및 매스 플로우 콘트롤러
JP4721807B2 (ja) 稼動回数表示器搭載油圧シリンダ
JP7002493B2 (ja) 舌圧測定装置および舌圧測定方法
JP4784338B2 (ja) 質量流量制御装置
KR101062516B1 (ko) 원격표시장치상에 정확한 밸브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장치
JP5035740B2 (ja) 空気駆動弁の校正装置
JPH09178586A (ja) 高耐圧性感圧装置
JP2018080929A (ja) 流体機器
JPH0392687A (ja) 方向制御弁の動作確認機構
KR101454204B1 (ko) 탄성체를 이용한 가변압력 공급장치, 방법, 가상혈압발생장치 및 혈압계 성능시험방법
KR20120051600A (ko) 원격 위치된 디바이스의 파라미터를 측정 및 판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피스톤 챔버 조합체
JP7161157B2 (ja) アクチュエータ、流体制御弁及び弁監視装置
JPH0979204A (ja) 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