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508A - 곡물건조기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508A
KR20140121508A KR1020130037159A KR20130037159A KR20140121508A KR 20140121508 A KR20140121508 A KR 20140121508A KR 1020130037159 A KR1020130037159 A KR 1020130037159A KR 20130037159 A KR20130037159 A KR 20130037159A KR 20140121508 A KR20140121508 A KR 20140121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s
unit
conveyor bel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807B1 (ko
Inventor
손창구
Original Assignee
대륙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륙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대륙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3003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8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6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4Coating with a protective layer;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의 함수율이 일정 수준이 되도록 이송되는 곡물을 건조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이 일정 함수율을 가지도록 건조하는 곡물건조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는 기능액공급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서 불순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불순물제거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열공기 및 곡물이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증기흡입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여, 곡물의 건조와 동시에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된 곡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며 살균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건조기{Grain drier}
본 발명은 곡물의 함수율이 일정 수준이 되도록 이송되는 곡물을 건조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이 일정 함수율을 가지도록 건조하는 곡물건조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는 기능액공급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서 불순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불순물제거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열공기 및 곡물이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증기흡입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여, 곡물의 건조와 동시에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된 곡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며 살균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에 대한 것이다.
바로 추수된 곡물은 높은 함수율을 가지는데 함수율이 높은 곡물을 보관하는 경우, 부패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곡물을 건조하여 보관하기에 적합한 함수율을 가지도록 곡물건조기가 사용된다.
아래 표시한 실용신안문헌을 참조하면, 종래 곡물건조기는 곡물이송콘베어(200)를 통해 곡물을 저장탱크(100) 내에 저장하고 열풍부(300)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 열풍을 불어넣어 곡물을 건조한다.
(실용신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8192(1999. 06. 05. 공개) "곡물건조기"
하지만, 종래의 곡물건조기는 곡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내에 열풍을 불어넣어 곡물을 건조하므로, 곡물에 열풍이 골고루 도달하지 못해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곡물건조기는 단순히 곡물을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어서, 건조과정에서 곡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곡물의 함수율이 일정 수준이 되도록 이송되는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의 공급시 진동에 의해 곡물이 분산되어 유입되고, 유입된 곡물의 이송시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곡물이 분산되며, 이송과정에서 곡물이 낙하하여 상하면이 바뀌게 되어, 곡물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건조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물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을 건조함과 동시에 곡물의 껍질, 부스러기 등의 불순물을 분리제거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를 위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여 건조된 곡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이 일정 함수율을 가지도록 건조하는 곡물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는 기능액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곡물이송부를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는 기능액이 도포되고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상기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외측면에는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은 일정 함수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곡물공급부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기 곡물이송부로 분산배출통과, 상기 분산배출통을 진동시키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은 진동하는 분산배출통을 통과하여 배출되므로 뭉치지 않고 분산되어 상기 곡물이송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서 불순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불순물제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열공기 및 곡물이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증기흡입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이송부는 구동부에 의해 순환하여 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순환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이벨트는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불순물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이송부는 곡물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유 낙하한 후에 다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변경하는 가이드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가이드축과, 상기 제1가이드축보다 구동축에 가깝게 상기 제1가이드축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축과, 상기 제1가이드축보다 종동축에 가깝게 상기 제1가이드축과 나라하게 위치하는 제3가이드축을 포함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1가이드축과 제2가이드축 사이에서는 구동축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축과 제3가이드축 사이에서는 종동축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곡물을 분산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풍기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공급부는 기능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기능액을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의해 공급된 기능액을 상기 곡물이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동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유입된 불순물을 이송시켜 배출하는 불순물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이송부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나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의 함수율이 일정 수준이 되도록 이송되는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의 공급시 진동에 의해 곡물이 분산되어 유입되고, 유입된 곡물의 이송시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곡물이 분산되며, 이송과정에서 곡물이 낙하하여 상하면이 바뀌게 되어, 곡물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건조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을 건조함과 동시에 곡물의 껍질, 부스러기 등의 불순물을 분리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를 위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여 건조된 곡물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와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면사시도.
도 3은 하우징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개략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곡물공급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를 사용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된 곡물의 부분절단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가이드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곡물공급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를 사용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된 곡물의 부분절단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가이드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건조기를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곡물건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2)와,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곡물공급부(2)에서 공급된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부(3)와,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는 기능액공급부(4)와,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곡물건조부(5)와, 상기 곡물이송부(3)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열공기 및 곡물이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증기흡입부(6)와,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7)와,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리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부(8)와, 상기 곡물건조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곡물의 함수율이 일정 수준이 되도록 이송되는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하우징(1)은 상기 곡물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곡물이송부(3), 곡물건조부(5), 자외선램프(7) 등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은 투입구(11), 증기배출구(12), 불순물배출덕트(13), 공기흡입구(14), 램프삽입구(15), 연결프레임(16), 가이드부제(17), 곡물배출덕트(18)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은 하면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9)에 의해 상기 곡물건조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과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은 일정 형상을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 상면에 관통형성되어 후술할 곡물공급부(2)에서 공급되는 곡물이 투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투입구(11)로 유입된 곡물은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위치하는 곡물이송부(3)에 의해 상기 하우징(1)의 말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증기배출구(12)는 상기 하우징(1)의 상면에 복수 개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곡물건조부(5)에의 공급된 가열공기 및 상기 가열공기에 의해 곡물이 건조되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배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증기배출구(12)는 후술할 배기덕트(61)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투입구(11)보다 말단측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불순물배출덕트(13)는 상기 하우징(1)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1)과 후술할 불순물제거부(8)의 케이싱(81)을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곡물이 이송되면서 분리된 껍질, 부스러기 등의 불순물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불순물배출덕트(13)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사각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공기흡입구(14)는 상기 하우징(1)의 일 측면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흡입구(14)에는 후술할 곡물건조부(5)의 송풍기(52)가 삽입되어 외부 공기가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램프삽입구(15)는 상기 하우징(1)의 말단측 상면에 관통형성되어 후술할 자외선램프(7)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힌지 등에 의해 결합된 도어(15a)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6)은 상기 하우징(1)의 내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프레임(16)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가 존재하며 후술할 기능액공급부(4)의 분사노즐(43)을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7)는 후술할 곡물이송부(3)의 컨베이어벨트(31)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송되는 곡물이 흐트러지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7)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은 뭉쳐있지 않고 분산되므로, 건조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7)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1)와 상하 간격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17)는 일정 간격을 복수 개가 설치되고, 중앙으로 갈수록 선단측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부재(171)와 중앙으로 갈수록 말단측으로 절곡된 제2가이드부재(172)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171)에 의해 전후측으로 퍼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172)에 의해 전후측으로 전후측의 중앙부근으로 퍼져, 상기 컨베이어벨(31)를 따라 흐르는 곡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곡물배출덕트(18)는 상기 하우징(1)의 말단측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1)과 연통되는 구성으로, 상기 곡물배출덕트(18)의 상측에는 상기 곡물이송부(3)의 컨베이어벨트(31)의 말단이 위치하여 건조된 곡물은 상기 곡물배출덕트(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곡물공급부(2)는 상기 하우징(1)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1)의 투입구(11)를 향해 곡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21)와, 상기 호퍼(21)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기 투입구(11)로 배출하는 분산배출통(22)과, 상기 분산배출통(22)을 진동시키는 진동부재(23)와, 상기 호퍼(21), 분산배출통(22) 및 진동부재(23)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24) 등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프레임(24)은 상기 하우징(1) 또는 상기 곡물건조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공급부(2)를 지지한다.
상기 분산배출통(22)은 상기 호퍼(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21)에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하며 후술할 진동부재(23)에 의해 상하진동하게 된다. 상기 분산배출통(22)은 선단이 상기 호퍼(21)의 하단에 위치하고 말단이 상기 투입구(11)의 상측에 위치하며, 말단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분산배출통(22)은 일정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면 및 말단의 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분산배출통(22)에 유입된 곡물을 상기 분산배출통(22)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분산배출통(22)의 말단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분산배출통(22)은 상기 진동부재(23)에 의해 진동되므로 상기 분산배출통(22) 내의 곡물은 뭉치지 않고 분산되어 상기 투입구(11)에 유입되게 된다.
상기 진동부재(23)는 상기 분산배출통(22)을 상하진동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결합프레임(24)과 스프링(231)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지지브라켓(232)과, 상기 지지브라켓(232)과 결합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233)와, 상기 지지브라켓(232)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분산배출통(22)의 하면에 접하는 접촉편(234)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자(233)가 진동을 발생시키면 상기 진동자(233)와 연결된 지지브라켓(232)은 스프링(231)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지브라켓(232)에 결합한 접촉편(234)은 상기 분산배출통(22)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진동자(233)는 예컨대 전자석, 실린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곡물이송부(3)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곡물을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컨베이어벨트(31), 구동부(3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31)는 상기 구동부(32)에 의해 순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31) 상면에 위치하는 곡물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가열공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311)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의 껍질, 부스러기 등의 불순물을 상기 관통공(311)을 통해 자유 낙하하여, 상기 불순물배출덕트(13)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21)와 상기 구동모터(321)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322)과, 상기 구동축(322)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종동축(323)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31)는 상기 구동축(322)와 종동축(323)에 연결되어 순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축(33)은 상기 구동축(322)과 종동축(323) 사이에 위치하여 컨베이어벨트(31)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축(322)과 종동축(323)의 사이 상기 구동축(322)과 종동축(323)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가이드축(331)와, 상기 제1가이드축(331)보다 선단측에 상기 제1가이드축(33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축(332)와, 상기 제1가이드축(331)보다 선단측에 상기 제1가이드축(331)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가이드축(333)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31)는 상기 제1가이드축(331), 제2가이드축(332) 및 제3가이드축(333)를 따라 이동하므로, 말단방향으로 이동하다 상기 제1가이드축(331)과 제2가이드축(332) 사이에서는 선단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축(332)와 제3가이드축(333) 사이에서는 말단방향으로 상향하도록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축(331) 상측의 컨베이어벨트(31)에서 이송되는 곡물은 자유 낙하하여 곡물의 상하면이 다음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송하게 된다.
상기 기능액공급부(4)는 상기 곡물이송부(3)의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송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는 구성으로, 저장탱크(41), 이송관(42), 분사노즐(43), 조절밸브(4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41)는 상기 하우징(1)의 일 측에 위치하여 기능액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저장탱크(41)는 원통형, 장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플라스틱 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크기와 용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41)에 저장되는 기능액은 특정 약용성분을 함유한 액체로, 예컨대 홍삼 희석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42)은 상기 저장탱크(41)와 분사노즐(43)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41)에 저장된 기능액을 상기 분사노즐(4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관(42)의 일 측에는 조절밸브(44)가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43)에 공급되는 기능액의 양이 조절된다. 상기 조절밸브(44)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된다.
상기 분사노즐(43)은 상기 연결프레임(1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저장탱크(41)에 공급된 기능액을 상기 곡물이송부(3)의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에 분사한다. 상기 분사노즐(43)에 의해 분사된 기능액은 상기 곡물의 표면에 도포되고, 이송이 계속되면서 후술할 곡물건조부(5)에 의해 수증기 건조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물(100)의 표면에는 기능성 코팅층(11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곡물건조부(5)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구성으로, 가열기(51), 송풍기(52), 온도센서(53)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51)는 상기 하우징(1)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컨베이어벨트(3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후술할 송풍기(52)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열기(51)에 의해 가열되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관통공(311)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31) 상면의 곡물은 건조되게 된다.
상기 송풍기(52)는 상기 공기흡입구(14)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송풍기(52)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가열기(51)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53)는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온도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상기 가열기(51)의 작동을 상기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증기흡입부(6)는 상기 곡물이송부(3)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열공기 및 곡물이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증기배출구(12)를 커버하는 배기덕트(61)와, 상기 배기덕트(61)의 말단에 연결되는 연결관(62)과, 상기 연결관(62)의 말단에 연결되는 배출관(63)과, 상기 증기배출구(12)가 개폐되도록 상기 배기덕트(61)를 회동시키는 개페수단(64)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덕트(61)는 상기 하우징(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페수단(64)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증기배출구(12)를 커버하는 구성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후드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결관(62)은 일단은 배기덕트(6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관(63)과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61)와 배출관(63)을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63)은 복수 개의 연결관(62)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각각의 연결관(62)을 통해 이송된 가열공기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으로, 상기 배출관(63)의 일 측에는 유체를 흡입하는 가압기(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페수단(64)은 일단은 하우징(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덕트(61)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61)가 상기 하우징(1)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유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곡물건조부(5)에 공급된 가열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을 건조하므로, 상기 증기배출구(12)를 통해 가열공기 및 수증기가 배출되어 상기 가열공기 및 수증기는 배기덕트(61), 연결관(62) 및 배출관(63)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자외선램프(7)는 상기 램프삽입구(15)를 통해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자외선램프(7)에 의해 곡물이 살균되므로, 상기 곡물건조기는 곡물을 건조와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불순물제거부(8)는 상기 하우징(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곡물이송부(3)에 의해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리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케이싱(81), 불순물이송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81)은 상기 하우징(1)은 하측에 위치하여 구동축(822) 및 나선판(823)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불순물배출덕트(13)와 연통되는 유입구(811)와, 내부에 모여진 불순물이 배출되는 배출구(812)를 포함한다.
상기 불순물이송부(82)는 상기 케이싱(81) 내로 유입된 불순물을 배출구(812)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축(82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821)의 작동에 의해 나선판(823)이 형성된 구동축(822)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유입구(811)를 통해 유입된 불순물은 이동하여 배출구(81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불순물제거부(8)에 의해서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곡물건조기는 곡물을 건조함과 동시에 불순물을 분리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곡물건조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곡물공급부(2), 곡물이송부(3), 기능액공급부(4), 곡물건조부(5), 증기흡입부(6), 자외선램프(7), 불순물제거부(8)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곡물건조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1)에서 배출된 곡물은 진동하는 분산배출통(2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의 투입구(11)에 유입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11)에 유입된 곡물은 순환하는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말단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사노즐(43)에서 분사되는 기능액에 적셔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곡물건조부(5)에서 생성된 가열공기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관통공(311)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이송하는 곡물을 건조하게 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1)는 선단측으로 하향하게 이동하다가 다시 말단측으로 상향하게 이동하므로, 상기 곡물은 이송과정에서 자유 낙하하여 상하면이 바뀌어 상기 컨베이어벨트(31)를 따라 계속하여 이송되면서 건조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분사노즐(43)에 의해 도포된 기능액에 의해 다시 적셔지고 건조되면서 자외선 살균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31)에 이탈하여 곡물배출덕트(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곡물배출덕트(18)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성 코팅층(110)이 형성되며 목적하는 함수율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건조과정에서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여 곡물의 외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곡물건조기는 기능액을 도포하지 않고 곡물의 건조하는 것만도 가능하다.
상기 곡물건조기는 곡물의 공급시 진동에 의해 곡물이 분산되어 유입되고, 유입된 곡물의 이송시 가이드부재(17)에 의해서 곡물이 분산되며, 이송과정에서 곡물이 낙하하여 상하면이 바뀌게 되어, 곡물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건조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우징 11: 투입구 12: 증기배출구
13: 불순물배출덕트 14: 공기흡입구 15: 램프삽입구
16: 연결프레임 17: 가이드부재 18: 곡물배출턱트
19: 지지프레임
2: 곡물공급부 21: 호퍼 22: 분산배출통
23: 진동부재 24: 결합프레임
3: 곡물이송부 31: 컨베이이벨트 32: 구동부
33: 가이드축
4: 기능액공급부 41: 저장탱크 42: 이송관
43: 분사노즐 44: 조절밸브
5: 곡물건조부 51: 가열기 52: 송풍기
53: 온도센서
6: 증기흡입부 61: 배기덕트 62: 연결관
63: 배출관 64: 개폐수단
7: 자외선램프 8: 불순물제거부 9: 곡물배출부

Claims (13)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이송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여 곡물이 일정 함수율을 가지도록 건조하는 곡물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기능액을 도포하는 기능액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곡물이송부를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는 기능액이 도포되고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상기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외측면에는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은 일정 함수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곡물공급부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기 곡물이송부로 분산배출통과, 상기 분산배출통을 진동시키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은 진동하는 분산배출통을 통과하여 배출되므로 뭉치지 않고 분산되어 상기 곡물이송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서 불순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불순물제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기는
    상기 곡물이송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열공기 및 곡물이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생성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증기흡입부와, 상기 곡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이송부는 구동부에 의해 순환하여 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순환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이벨트는 다수 개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불순물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이송부는 곡물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유 낙하한 후에 다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변경하는 가이드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가이드축과, 상기 제1가이드축보다 구동축에 가깝게 상기 제1가이드축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축과, 상기 제1가이드축보다 종동축에 가깝게 상기 제1가이드축과 나라하게 위치하는 제3가이드축을 포함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1가이드축과 제2가이드축 사이에서는 구동축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축과 제3가이드축 사이에서는 종동축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곡물을 분산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건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풍기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공급부는
    기능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기능액을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의해 공급된 기능액을 상기 곡물이송부를 따라 이동하는 곡물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동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유입된 불순물을 이송시켜 배출하는 불순물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이송부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나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컨베이어벨트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중앙으로 갈수록 선단측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보다 말단측에 위치하며 중앙으로 갈수록 말단측으로 절곡된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KR1020130037159A 2013-04-05 2013-04-05 곡물건조기 KR10151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159A KR101514807B1 (ko) 2013-04-05 2013-04-05 곡물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159A KR101514807B1 (ko) 2013-04-05 2013-04-05 곡물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08A true KR20140121508A (ko) 2014-10-16
KR101514807B1 KR101514807B1 (ko) 2015-04-27

Family

ID=5199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159A KR101514807B1 (ko) 2013-04-05 2013-04-05 곡물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80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84U (ko) 2015-01-23 2016-08-02 이성근 살균기능을 갖는 곡물 건조장치
CN105865180A (zh) * 2016-05-23 2016-08-17 汪安瑞 一种燃烧机加热分段温控隧道式烘道
KR20180051040A (ko) * 2016-11-08 2018-05-16 이광희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
KR20190051292A (ko) 2017-11-06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산물 건조 장치
KR102189599B1 (ko) * 2020-04-21 2020-12-11 주식회사 케이엠디 곤충 전용 건조 및 살균 장치
WO2022036342A1 (en) * 2020-08-11 2022-02-17 KSi Conveyor, Inc. Liquid treating conveyor system
KR20220111495A (ko) * 2021-02-02 2022-08-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성그린팩토리 식물의 급속냉동장치
CN116105463A (zh) * 2023-02-07 2023-05-12 安徽兴林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实验用烘干一体机
US11758834B2 (en) 2019-07-29 2023-09-19 KSi Conveyor, Inc. Method for mixing a stream of particulate material by inducing backflow within an inclined belt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84B1 (ko) 2006-08-09 2007-09-04 (주)광하테크놀로지 연속식 농수축산물 건조 시스템
KR100912761B1 (ko) * 2008-12-05 2009-08-18 최재호 식품의 보존 처리 장치
KR101347018B1 (ko) * 2010-10-21 2014-01-02 이낙수 곡물 퍼핑 머신의 재료 공급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84U (ko) 2015-01-23 2016-08-02 이성근 살균기능을 갖는 곡물 건조장치
CN105865180A (zh) * 2016-05-23 2016-08-17 汪安瑞 一种燃烧机加热分段温控隧道式烘道
KR20180051040A (ko) * 2016-11-08 2018-05-16 이광희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
KR20190051292A (ko) 2017-11-06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산물 건조 장치
US11758834B2 (en) 2019-07-29 2023-09-19 KSi Conveyor, Inc. Method for mixing a stream of particulate material by inducing backflow within an inclined belt conveyor
KR102189599B1 (ko) * 2020-04-21 2020-12-11 주식회사 케이엠디 곤충 전용 건조 및 살균 장치
WO2022036342A1 (en) * 2020-08-11 2022-02-17 KSi Conveyor, Inc. Liquid treating conveyor system
KR20220111495A (ko) * 2021-02-02 2022-08-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성그린팩토리 식물의 급속냉동장치
CN116105463A (zh) * 2023-02-07 2023-05-12 安徽兴林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实验用烘干一体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807B1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807B1 (ko) 곡물건조기
US9861028B2 (en) Seed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fluid application
CN101766537B (zh) 干法包衣机
CN1305418C (zh) 原料的湿度调节方法和湿度调节机
KR20180116220A (ko)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일체형 다단식 마이크로파 유동상 건조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N111006446A (zh) 一种卧式微波加热流化床
CN207445614U (zh) 一种用于酵母的离心式喷雾干燥塔
KR101347938B1 (ko) 고춧가루 및 곡물 건조 장치
CN212457827U (zh) 一种农产品储存用干燥装置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CN116264878A (zh) 一种储存环境可控的粮食储存装置
CN208170957U (zh) 一种红外热风组合式烘干机
CN209201805U (zh) 一种带粪便清理功能的肉兔自动喂养生产线
KR20120096785A (ko) 원통형 연속식 유동층 건조기
CN218936851U (zh) 一种粉料仓均匀受热干燥机构
CN112503910A (zh) 茶叶烘干设备
CN109329465A (zh) 一种茶叶烘干机
CN111076526A (zh) 一种批式粮食循环烘干机
CN209270344U (zh) 覆膜设备及药品生产系统
JP2633975B2 (ja) 固体培養装置
CN207570237U (zh) 一种谷元粉干燥设备
CN219868990U (zh) 中药材烘干装置
CN213631318U (zh) 用于烟草专用肥生产的干燥机装置
RU2542112C2 (ru) Линия микронизации фуражного зерна
CN217830633U (zh) 烘烤设备及涂布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