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086A - 회전식 펠릿 난로 - Google Patents

회전식 펠릿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086A
KR20140121086A KR20130037289A KR20130037289A KR20140121086A KR 20140121086 A KR20140121086 A KR 20140121086A KR 20130037289 A KR20130037289 A KR 20130037289A KR 20130037289 A KR20130037289 A KR 20130037289A KR 20140121086 A KR20140121086 A KR 2014012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stove
combustion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
Original Assignee
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 filed Critical 권현
Priority to KR2013003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086A/ko
Publication of KR2014012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23K3/18Spreader stokers
    • F23K3/20Spreader stokers with movin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펠릿을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펠릿 난로가 개시된다. 이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 난로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개구를 갖는 펠릿 연소부, 펠릿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배출하도록 난로 몸체의 일측에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기통, 펠릿 연소부의 상부에서 펠릿 연소부로 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 공급부 및 난로 몸체 상에서 펠릿 연소부의 개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회전 축을 포함하며, 펠릿 공급부는 이 회전 축을 기준으로 하여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 또는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회전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식 펠릿 난로{ROTARY PELLET STOVE}
본 발명은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펠릿 공급을 위한 호퍼를 회전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높은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회전식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
연료로 사용되는 목재 펠릿(wood pellet)은 목재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연료화한 친환경 연료로서, 근래에 들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목재 펠릿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나 난로와 같은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 펠릿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나 난로는 공기를 강제로 투입하기 위한 장치와 목재 펠릿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해 난로의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동력원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 20-2011-0010431에는 목재 펠릿을 연료로 사용함에 있어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 펠릿 연료가 중력에 의하여 공급되며 자연대류로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운용 비용을 절감시키는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공개실용신안 20-2011-0010431과 같은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개시된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는 연료차단판(303)을 이용하여 호퍼(300)를 통해 공급된 연료를 난로 몸체(100) 내에 구비된 연소부(200)에서 연소시켜서 난방을 할 수 있는 중력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들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다.
먼저, 종래의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들은 호퍼, 즉 목재 펠릿의 공급을 위한 펠릿 공급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불편함이 많이 따른다. 즉, 펠릿 난로 본체의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뤄지는 부분들을 청소하고자 하거나 펠릿 난로를 점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펠릿 공급부를 직접 손으로 들어서 분리한 후 청소나 점화 작업 및 재결합 작업을 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시 펠릿 공급부 내에 있는 펠릿 연료가 쏟아질 우려도 있으며, 점화 작업시에도 또한 불편함이 많이 따른다.
또한,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의 특성상 자연대류를 이용하므로 종래의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들은 난로 본체 내의 연소 부분으로 외기를 원활히 공급할 수 없으므로, 펠릿 연로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방된 형태의 실내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는 목재 펠릿 난로의 사용 환경 특성에 맞춰 원하는 수준까지 화력을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난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펠릿 공급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펠릿 난로의 난로 본체 상에서 펠릿 공급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직접 들지 않고서도 펠릿 공급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난로 본체 내의 펠릿 연소부 측으로 외기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여 펠릿의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율 높은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난로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난로 몸체의 내부로 펠릿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펠릿 공급부를 포함하는 펠릿 난로에 있어서, 상기 펠릿 공급부는, 펠릿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연통되고, 상기 난로 몸체 상에서 회전이동되어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와 마주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난로 몸체 내로 공급되는 펠릿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펠릿 공급 조절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부가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펠릿 공급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를 덮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이동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여 롤링(rolling)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 롤러 조립체(ball roller assembly)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공급 조절부는 상기 호퍼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부가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제1 높이의 제1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박스와, 상기 통로를 덮도록 상기 상부 박스에 결합되어, 제2 높이의 제2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상부 박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제1 높이의 제1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박스와, 상기 통로를 덮도록 상기 상부 박스에 결합되어, 제2 높이의 제2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상부 박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개구와 마주하는 면의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하부 박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 차단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 롤러 조립체는 상기 불꽃 차단판을 관통하고 상기 상부 박스에 고정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펠릿 연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 연소부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2, 3 및 4 연소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하부가 상기 제1 연소판에 일체로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소판보다 높은 위치에 정점을 가지되 상기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수렴형 입체 형상의 점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소판은 상기 펠릿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펠릿 연료가 상기 점화 헤드의 주변으로 모이도록 영역을 한정하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에는 외기와 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펠릿 연소부의 아래에 연소된 펠릿 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재받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받이 내에 상기 제4 연소판이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연소판은 중앙에 형성되고 펠릿 연료가 상기 제3 연소판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 낙하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라 펠릿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펠릿 연소부; 및 상기 펠릿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에 상기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기통을 포함하되, 상기 펠릿 연소부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2, 3 및 4 연소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하부가 상기 제1 연소판에 일체로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소판보다 높은 위치에 정점을 가지되 상기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수렴형 입체 형상의 점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소판은 내부로 투입되는 펠릿 연료가 상기 점화 헤드의 주변으로 모이도록 영역을 한정하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에는 외기와 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펠릿 연소부의 아래에 연소된 펠릿 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재받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받이 내에 상기 제4 연소판이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난로 몸체와 상기 배기통이 결합된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은 상기 배기통 측으로 더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챔버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챔버 내에 투입되는 가열 대상물을 상기 보조 챔버 내로 전달되는 열로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펠릿 난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구분되는 제1 열 보유 챔버 및 제2 열 보유 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와 상기 펠릿 연소부 사이에는, 상기 펠릿 연소부로부터 발생된 열 및 연기를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1차 열 유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통은 상기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배기통에서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 내부를 경유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배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와 상기 제2 열 보유 챔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열 유입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 펠릿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개구를 갖는 펠릿 연소부; 상기 펠릿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에 상기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기통; 상기 펠릿 연소부의 상부에서 상기 펠릿 연소부로 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 공급부; 상기 난로 몸체 상에서 상기 펠릿 연소부의 개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회전 축; 및 상기 난로 몸체와 상기 배기통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난로 몸체 내부로 그리고 상기 배기통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 공급부는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회전이동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펠릿 난로는 펠릿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여 펠릿 연소부 내부에서 펠릿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을 관찰하거나 내부 상황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 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찰 창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을음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는 난로 본체 상에서 펠릿 공급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직접 들지 않고서도 펠릿 공급부의 위치를 난로 본체 상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켜 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는 난로 본체 내의 펠릿 연소부 측으로 외기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펠릿 연소부 내에서 펠릿의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 높은 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로서, 펠릿 공급부가 제2 위치에 놓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로서, 펠릿 공급부가 제1 위치에 놓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펠릿 난로의 펠릿 공급부를 펠릿 난로로부터 분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펠릿 공급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펠릿 난로의 제1 연소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펠릿 난로의 연소판들의 수직 어레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펠릿 난로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펠릿 난로의 보조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의 열 보유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무동력 목재 펠릿 난로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새로운 구조의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개구를 갖는 펠릿 연소부, 펠릿 연소부의 상부에서 펠릿 연소부로 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 공급부 및 난로 몸체 상에서 펠릿 연소부의 개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회전 축을 포함하여, 펠릿 공급부가 회전 축을 기준으로 하여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 또는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예시되고 한정된 것이므로, 이러한 설명 및 도면들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로서, 특히, 도 2는 펠릿 공급부가 제2 위치에 놓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펠릿 공급부가 제1 위치에 놓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펠릿을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10), 펠릿 연소부(20), 배기통(30), 펠릿 공급부(40a, 40b1, 40b2, 40c1, 40c2, 40c3, 40d ; 이하 총괄하여 40으로 표시함) 및 회전 축(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펠릿 난로는 재받이(50) 및 회전 제한부(60)를 더 포함한다.
난로 몸체(10)는 열 전도성이 좋은 재료로 구성된다. 난로 몸체()의 크기는 사용 장소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난로 몸체()의 측면들에는 난로 몸체(1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난로 몸체(10)의 표면들과 이격되게 안전판(미도시) 또는 안전망(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난로의 가동 중 사용자가 난로 몸체(10)를 손으로 직접 만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화상과 같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펠릿 연소부(20)는 난로 몸체(10)의 내부에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측으로 개구(opening)(2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0e)의 상부에 펠릿 공급부(40)가 위치하게 되고, 펠릿 공급부(40)가 개구(20e)의 상부를 덮는 위치를 본 명세서 내에서는 제1 위치로 정의한다.
배기통(30)은 펠릿 연소부(20) 내에서 펠릿 연료의 연소 중에 발생하는 가스(연기,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을 포함함)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난로 몸체(10)의 일측으로 펠릿 연소부(2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펠릿 공급부(40)는 펠릿 연소부(20)의 상부에서 펠릿 연소부(20)로 펠릿 연료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도 2의 예에서는 사각 기둥 형상과 절두된 역피라미드 형상의 깔때기 구조의 결합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원 기둥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고 그 밖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회전 축(C)은 난로 몸체(10) 상에서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 도 8 참조)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펠릿 공급부(40)가 이 회전 축(C)을 기준으로 하여 펠릿 연소부(20)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도 3의 상태) 또는 펠릿 연소부(20)의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도 2의 상태)로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위치는 펠릿 공급부(40)가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의 상부를 완전히 덮는 위치로서, 이 제1 위치에서 펠릿 연소부(20)는 펠릿 공급부(40)의 베이스부(40c1, 40c2, 40c3 ; 이하 총괄하여 40c로 표시함)에 형성된 복수 개의 외기 출입구(40c3)를 통해서 외기와 통하게 되고, 이를 통해 펠릿 연소부(20) 내부로 외기가 공급된다. 한편, 제2 위치는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를 개방시킬 수 있는 위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가 완전히 개방되는 위치이다. 요컨대, 펠릿 공급부(40)는 회전 축(C)을 기준으로 하여, 난로 몸체(10) 상에서 제1 위치에서부터 제2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펠릿 공급부(40)는 펠릿 연료를 저장하는 호퍼(40a), 호퍼(40a)에 연통된 베이스부(40c), 호퍼(40a)와 베이스부(40c) 사이에 위치하는 펠릿 공급 조절부(40b1, 40b2 ; 이하 총괄하여 40b로 표시함)를 포함한다.
호퍼(40a)는 사용자에 의해 펠릿 연료를 공급받아 이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호퍼(40a)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12시간, 24시간 등) 동안 펠릿 연소부(20)에서 연소시킬 수 있는 적정량의 펠릿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남아 있는 펠릿 량을 관찰하여 수시로 펠릿 연료를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베이스부(40c)는 펠릿 공급부(40)의 아래에 위치하여 펠릿 공급부(40)의 회전운동에 의한 제1 위치로의 이동시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베이스부(40c)의 저면은 펠릿 연소부(20)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와 마주하게 된다.
펠릿 공급 조절부(40b)는 호퍼(40a)와 베이스부(40c) 사이에 위치하여, 호퍼(40b)로부터 펠릿 연소부(20) 측으로 공급되는 펠릿 연료의 양을 조절한다. 즉, 펠릿 공급 조절부(40b)는 적정량의 펠릿 연료가 펠릿 연소부(20) 내로 투입된 경우, 차단판(40b2)을 이용하여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의 펠릿 연료가 펠릿 연소부(20) 측으로 더 이상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차단판(40b2)의 조절은 예를 들어 이송 스크류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손잡이를 이용하여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차단판(40b2)은 전진 또는 후진의 병진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펠릿 연료의 공급이 차단 또는 차단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펠릿 공급 조절부(40b)는 차단판(40b2)과 차단판(40b2)을 이동시킬 수 있는 차단판 이송부(40b1)를 포함한다. 차단판 이송부(40b1)는 이송 스크류가 채용된다. 차단판 이송부(40b1)는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차단판(40b2)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는데, 차단판(40b2)을 전진시키는 경우, 펠릿 공급부(40) 내에 형성된 통로가 차단되어 펠릿 연소부(20)로의 펠릿 연료 공급이 차단되고, 반면에 차단판(40b2)을 후진시키는 경우, 펠릿 공급부(40) 내에 형성된 통로가 일부 또는 전부 개방되어 펠릿 연소부(20)로 펠릿 연료가 공급된다.
호퍼(40a)의 일측에는 회전 축(C)을 기준으로 하여 펠릿 연소부(20)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 또는 펠릿 연소부(20)의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회전이동이 용이하도록 회전이동 손잡이(40a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펠릿 난로의 사용자는 펠릿 공급부(4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또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필요에 따라 난로 몸체(40)의 상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난로 몸체(10) 상에서 회전 축(C)을 기준으로 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의 펠릿 공급부(40)의 회전이동은 베이스부(40c)의 바닥에 설치된 볼 롤러 조립체(ball roller assembly)(도 5의 70a, 70b ; 이하 총괄하여 70으로 표시함)의 롤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볼 롤러 조립체(70)에 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재받이(50)는 펠릿 연소부(20)로부터 연소가 완료된 이후의 재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주기적으로 빼내어 깨끗이 비울 수 있다. 회전 제한부(60)는 사용자가 연로 공급부(40)를 회전시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나아가, 펠릿 몸체(10)의 일측에는 펠릿 연소부(20) 내부에서 펠릿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을 관찰하거나 내부 상황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 창(W)이 더 구비된다. 관찰 창(W)은 난로 몸체(10)에 형성된 틀(12)에 결합된다. 관찰 창(W)과 창틀(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을음 방지 플레이트(14)가 개재된다. 적어도 하나의 그을음 방지 플레이트(14)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이 복수 개의 홀들에 의해 관찰 창(W)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펠릿 난로의 펠릿 공급부를 펠릿 난로로부터 분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펠릿 공급부(40)가 회전 축(C)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 측에 제1 파트(C1)와 난로 몸체(10)의 상부에 제2 파트(C2)가 쌍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난로 몸체(10)의 상부의 제2 파트(C2)가 홀 타입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 측의 제1 파트(C1)가 로드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서로 반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축(C)에 고정된 채 수직으로 이동한 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도 변경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펠릿 공급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40c)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도 2와 함께 참조하여, 베이스부(40c)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부(40c)는 크게 하부 박스(40c1)와 상부 박스(40c2)로 구분된다. 하부 박스(40c1)는 상면에 통로를 구비하며,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로부터 제1 높이((h1)의 제1 외기 보충 공간(41)을 한정한다. 상부 박스(40c2)는 상기 통로를 덮도록 하부 박스(40c2)에 결합되어, 제2 높이(h2)의 제2 외기 보충 공간(43)을 한정한다. 제1 높이(h1)의 제1 외기 보충 공간(41)과 제2 높이(h2)의 제2 외기 보충 공간(43)은 서로 연결되어 서로 간에 외기가 자유롭게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 박스(40c1)와 상부 박스(40c2)는, 예를 들어, 용접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중앙에 펠릿 연료의 투입을 허용하도록 통로가 형성된 하부 박스(40c1) 및 상부 박스(40c2)의 전체적인 형상은 NC(Numerical Control) 가공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참조부호 42b는 상부 박스(42c2)와 하부 박스(42c1)의 폭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바깥 부분은 도 2의 42a로 표시되어 있다. 두 개의 박스(42c1, 42c2) 간의 폭 차이, 특히, 상부 박스(42c2)의 폭은 상부 박스(42c2)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외기 출입구(40c3)을 통하여 외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에 호퍼(40a)와 연결된 펠릿 연료의 출입 통로(H)가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면 충분하다. 하부 박스(42c1) 및 상부 박스(42c2)의 높이(h1, h2)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부 박스(42c1) 및 상부 박스(42c2)의 이중 구조로 내부 공간이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펠릿 연료의 원활한 연소에 필요한 외기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박스(40c1)는 펠릿 연소부(20)의 개구(20e)와 마주하는 면의 일부를 가리도록 하부 박스(42c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 차단판(80)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베이스부(40c)를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살펴보면(도 5는 뒤집혀진 상태임), 펠릿 공급 조절부(40b)의 아래에 상부 박스(40c2)가 위치하고, 그 아래에 내부가 연통되게 하부 박스(40c1)가 위치한다. 그리고, 불꽃 차단판(80)은 하부 박스(40c1)의 하부에 결합된다. 불꽃 차단판(80)은 하부 박스(40c1)의 하부에서 불꽃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불꽃 차단판(80)이 하부 박스(40c1)의 하부에 결합되더라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퍼(40a)와 상부/하부 박스(40c2, 40c1)는 그 내부가 통로로 연결되어 펠릿 연료 통로를 통해 펠릿 연소부(20)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이다. 불꽃 차단판(80)과 하부 박스(40c1) 간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예컨대, 나사 결합될 수도 있음). 하부 박스(40c1)에 결합된 불꽃 차단판(80)에 의해, 윗 방향으로 향하는 불꽃이 차단되어 아래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그리하여, 펠릿 연소부(20)에서 나오는 불꽃 또는 그로 인한 열기가 베이스부(40c)를 거쳐 통로를 통해 베이스부(40) 상측의 호퍼(40a)까지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불꽃 차단판(80)이 결합된 상태에서 볼 롤러 조립체(70)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볼 롤러 조립체(70)는 상부 박스(40c1)에 고정 결합되고 불꽃 차단판(80)을 관통한다. 즉, 불꽃 차단판(80)은 적어도 롤링하는 볼 롤러 부분이 노출되어 난로 몸체(10)의 상면(10a)에 접하여 롤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된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볼 롤러 조립체(70)는 열에 강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롤러 조립체(7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난로 몸체(10) 상에서 펠릿 공급부(40)가 난로 몸체(10)에 대체로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베이스부(40c)를 지지하여 회전 축(C)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롤링(rolling)한다. 화살표(A, 도 2 참조)는 회전이동시 롤링하는 볼 롤러(70a)의 궤적을 도시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이동시키는 방식은, 회전 축(C)에 고정된 채 볼 롤러 조립체(70)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것과는 다르게, 회전 축(C)에 고정된 채 수직으로 이동 한 후 회전 축(C)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시켜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회전이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난로 몸체(10) 상면(10a)에 접하여 롤링될 필요가 없으므로, 볼 롤러 조립체(70)는 생략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펠릿 난로의 제1 연소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펠릿 난로의 연소판들의 수직 어레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펠릿 난로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난로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펠릿 연소부(20)의 제1 연소판(20a)과 연소판들의 어레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펠릿 연소부(20)는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 2, 3 및 4 연소판(20a, 20b, 20c, 20d)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연소판(20a, 20b, 20c, 20d)에는 각각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된다. 이 홀들에 의해 펠릿 연료, 펠릿 조각들, 불꽃, 재 등이 중력의 영향으로 아랫 단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펠릿 연료가 효과적으로 연소된다. 즉, 제1 연소판(20a)에서 펠릿 연소가 진행되다가 일부 펠릿 연료, 펠릿 조각들, 연소 중인 펠릿 또는 연소된 펠릿의 재(이하 '펠릿 재'라고 함)는 그 다음 단인 제2 연소판(20b)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펠릿 연료, 펠릿 조각들, 또는 연소 중인 펠릿은 제2 연소판(20b) 상에서 연소가 이뤄지며, 마찬가지로 제2 연소판(20b) 상에서 펠릿 연소가 진행되다가 일부 펠릿 연료, 펠릿 조각들, 연소 중인 펠릿 연료, 또는 펠릿 재는 그 다음 단인 제3 연소판(20c)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펠릿 연료, 펠릿 조각들 또는 연소 중인 펠릿은 제3 연소판(20c) 상에서 연소가 이뤄지며, 마찬가지로 제3 연소판(20c) 상에서 펠릿 연소가 진행되다가 일부 펠릿 연료, 펠릿 조각들, 연소 중인 펠릿 또는 펠릿 재는 그 다음 단인 제4 연소판(20d)으로 낙하하게 된다. 마지막 단인 제4 연소판(20d)에서는 펠릿의 최종적인 연소가 이뤄지며, 최종적인 연소가 이뤄진 후 펠릿 재 상태로 되어 맨 하단의 재받이(80)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는 점화 헤드(90)를 더 구비한다. 점화 헤드(90)는 측면에 복수 개의 홀(90a)이 형성되며 또한 제1 연소판(20a)보다 높은 위치에 정점을 가지되 이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수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렴형 입체 형상의 예로는, 원뿔, 삼각뿔, 사각뿔 등의 다각 뿔, 또는 반구형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90a)이 형성된 점화 헤드(90)는 펠릿 연료의 점화 또는 착화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줌으로써 점화 또는 착화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연소판(20a)은 펠릿 공급부(40)로부터 제공되는 펠릿 연료가 점화 헤드(90)의 주변과 제1 연소판(20a) 상의 일정 영역 내로 모일 수 있도록 영역을 한정하는 테두리(20a2)가 더 형성된다. 또한, 이 테두리(20a2)에는 외기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홀(20a4)이 형성된다.
제2 연소판(20b)은 제2 연소판(20b)의 중앙에 다음 단의 제3 연소판(20c)으로 펠릿 연료가 잘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 낙하 홀(20b1)을 포함한다. 펠릿 낙하 홀(20b1)의 형상은 마름모,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소판(20b)에는 중앙의 펠릿 낙하 홀(20b1) 이외에도 펠릿 낙하 홀(20b1) 주변으로 복수 개의 작은 홀들(20b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작은 홀들(20b2)을 통해 펠릿 조각, 연료 중인 펠릿 또는 펠릿 재 등이 그 다음 단으로 전달된다.
제3 연소판(20c)에는 제2 연소판(20b)과는 달리 중앙에 펠릿 낙하 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3 연소판(20c)에는 이처럼 제2 연소판(20b)과 같은 펠릿 낙하 홀이 없으므로, 제3 연소판(20c) 상에 연소 중인 펠릿이 더 많이 머물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꽃도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더 퍼지도록 하여 화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재받이(50)는 펠릿 연소부(20)의 아래에 위치하여 펠릿 연소부(20)에서 연소되고 남은 펠릿 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펠릿 연소부(20)에서 제4 연소판(20d)은 재받이(50) 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펠릿 연소부(20)의 4단에 걸친 연소판들(20a, 20b, 20c, 20d)의 구성을 통해, 종래의 중력을 이용한 무동력 펠릿 난로에 비해 월등히 높은 화력(대체로 500℃ 이상으로 상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펠릿 난로의 보조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10)의 일측, 즉 난로 몸체(10)와 배기통(30)이 결합된 측면이 배기통(30)이 횡으로 뻗어 있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장된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챔버(AC1, AC2)를 구비하여 보조 챔버(AC1, AC2) 내에 투입되는 가열 대상물을 펠릿 연소부(20)로부터 상기 보조 챔버(AC1, AC2) 내로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보조 챔버(AC1, AC2)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고구마, 감자 또는 고기 등을 투입하여 굽는 용도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의 열 보유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의 일측에는 상하로 구분되는 제1 열 보유 챔버(15a) 및 제2 열 보유 챔버(15b)가 형성된다.
제1 열 보유 챔버(15a)와 펠릿 연소부(20) 사이에는 펠릿 연소부(20)로부터 발생된 열과 연기가 제1 열 보유 챔버(15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차 열 유입 홀(f4, f5)이 형성된다. 물론, 1차 열 유입 홀(f4, f5)로는 펠릿 연소부(20)와 직접 연통되어 있으므로, 열뿐만이 아니라 연기도 함께 유입된다. 따라서, 배기통(30)에는 제1 열 보유 챔버(15a) 내로 유입된 연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연기 배출 홀(32)이 형성된다. 즉, 배기통(30)은 펠릿 연소부(20)와 연통되고 제1 열 보유 챔버(15a)의 내부를 경유하며, 이 경유하는 부분에는 연기 배출 홀(32)이 형성된다. 제1 열 보유 챔버(15a)와 제2 열 보유 챔버(15b) 사이에는 2차 열 유입 홀(f1, f3, f3)이 형성된다. 열 유입 홀의 개수 및 연기 배출 홀의 개수는 도시된 개수(2개 또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차 열 유입 홀(f4, f5)을 통해 제1 열 보유 챔버(15a) 내로 유입된 열 및 연기는 2차 열 유입 홀(f1, f2, f3)을 통해 제2 열 보유 챔버(15b) 내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연기는 연기 배출 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열 보유 챔버(15a) 및 제2 열 보유 챔버(15b), 그리고 열 유입 홀(f1, f2, f3, f4, f5) 및 연기 배출 홀(32)에 의해, 펠릿 연소부(20)에서 펠릿 연소로부터 발생된 열이 더 오랫동안 펠릿 난로 내에서 머무르게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펠릿 난로는 실내에서 고정시켜 사용하는 실내용 난로(대형) 뿐만이 아니라,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펠릿 난로(소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10 : 난로 몸체 20 : 펠릿 연소부
30 : 배기통 40 : 펠릿 공급부
50 : 재받이 C : 회전 축
60 : 회전 제한부 70 : 볼 롤러 조립체
80 : 불꽃 차단판 90 : 연소 헤드
AC1, AC2 : 보조 챔버

Claims (19)

  1. 난로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난로 몸체의 내부로 펠릿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펠릿 공급부를 포함하는 펠릿 난로로서, 상기 펠릿 공급부는,
    펠릿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연통되고, 상기 난로 몸체 상에서 회전이동되어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와 마주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난로 몸체 내로 공급되는 펠릿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펠릿 공급 조절부를 포함하는, 펠릿 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부가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펠릿 공급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를 덮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펠릿 난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여 롤링(rolling)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 롤러 조립체(ball roller assembly)를 더 포함하는, 펠릿 난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펠릿 공급 조절부는 상기 호퍼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는, 펠릿 난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부가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제1 높이의 제1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박스와, 상기 통로를 덮도록 상기 상부 박스에 결합되어, 제2 높이의 제2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상부 박스를 포함하는, 펠릿 난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제1 높이의 제1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박스와, 상기 통로를 덮도록 상기 상부 박스에 결합되어, 제2 높이의 제2 외기 보충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 상부 박스를 포함하는, 펠릿 난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개구와 마주하는 면의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하부 박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 차단판을 포함하는, 펠릿 난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볼 롤러 조립체는 상기 불꽃 차단판을 관통하고 상기 상부 박스에 고정 결합되는, 펠릿 난로.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내부에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펠릿 연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 연소부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2, 3 및 4 연소판을 포함하는, 펠릿 난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하부가 상기 제1 연소판에 일체로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소판보다 높은 위치에 정점을 가지되 상기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수렴형 입체 형상의 점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소판은 상기 펠릿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펠릿 연료가 상기 점화 헤드의 주변으로 모이도록 영역을 한정하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에는 외기와 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홀이 형성되는, 펠릿 난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펠릿 연소부의 아래에 연소된 펠릿 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재받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받이 내에 상기 제4 연소판이 결합되는, 펠릿 난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소판은 중앙에 형성되고 펠릿 연료가 상기 제3 연소판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 낙하 홀을 포함하는, 펠릿 난로.
  13. 펠릿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펠릿 난로로서,
    내부에서 펠릿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펠릿 연소부; 및
    상기 펠릿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에 상기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기통을 포함하되,
    상기 펠릿 연소부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2, 3 및 4 연소판을 포함하는, 펠릿 난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하부가 상기 제1 연소판에 일체로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소판보다 높은 위치에 정점을 가지되 상기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수렴형 입체 형상의 점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소판은 내부로 투입되는 펠릿 연료가 상기 점화 헤드의 주변으로 모이도록 영역을 한정하는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에는 외기와 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홀이 형성되는, 펠릿 난로.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펠릿 연소부의 아래에 연소된 펠릿 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재받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받이 내에 상기 제4 연소판이 결합되는, 펠릿 난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난로 몸체와 상기 배기통이 결합된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은 상기 배기통 측으로 더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챔버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챔버 내에 투입되는 가열 대상물을 상기 보조 챔버 내로 전달되는 열로 가열할 수 있는, 펠릿 난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상기 펠릿 난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구분되는 제1 열 보유 챔버 및 제2 열 보유 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와 상기 펠릿 연소부 사이에는, 상기 펠릿 연소부로부터 발생된 열 및 연기를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1차 열 유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통은 상기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배기통에서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 내부를 경유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배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열 보유 챔버와 상기 제2 열 보유 챔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열 유입 홀이 형성되는, 펠릿 난로.
  18. 펠릿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펠릿 난로로서,
    난로 몸체;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개구를 갖는 펠릿 연소부;
    상기 펠릿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난로 몸체의 일측에 상기 펠릿 연소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기통;
    상기 펠릿 연소부의 상부에서 상기 펠릿 연소부로 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 공급부;
    상기 난로 몸체 상에서 상기 펠릿 연소부의 개구로부터 이격 설치된 회전 축; 및
    상기 난로 몸체와 상기 배기통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난로 몸체 내부로 그리고 상기 배기통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 공급부는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펠릿 연소부의 개구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펠릿 난로.
  19. 청구항 1, 13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난로는 펠릿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여 펠릿 연소부 내부에서 펠릿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을 관찰하거나 내부 상황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 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찰 창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을음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펠릿 난로.
KR20130037289A 2013-04-05 2013-04-05 회전식 펠릿 난로 KR20140121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7289A KR20140121086A (ko) 2013-04-05 2013-04-05 회전식 펠릿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7289A KR20140121086A (ko) 2013-04-05 2013-04-05 회전식 펠릿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86A true KR20140121086A (ko) 2014-10-15

Family

ID=5199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7289A KR20140121086A (ko) 2013-04-05 2013-04-05 회전식 펠릿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0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17U (ko) * 2014-11-06 2016-05-16 김광철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CN108045862A (zh) * 2018-01-18 2018-05-18 洛阳理工学院 一种悬浮燃烧炉用垃圾下料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17U (ko) * 2014-11-06 2016-05-16 김광철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CN108045862A (zh) * 2018-01-18 2018-05-18 洛阳理工学院 一种悬浮燃烧炉用垃圾下料阀
CN108045862B (zh) * 2018-01-18 2024-02-13 洛阳理工学院 一种悬浮燃烧炉用垃圾下料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US20160377297A1 (en) Biomass fuel stove
KR101524436B1 (ko)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101303457B1 (ko) 열 보유 챔버를 갖는 펠릿 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EP1826483A2 (en) Combustion method and combustion device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PL198756B1 (pl) Palnik na paliwo stałe
KR20140121086A (ko) 회전식 펠릿 난로
KR101295328B1 (ko) 회전가능한 화격자 구조를 가지는 펠릿 보일러
US20170347836A1 (en) Solid-fuel combustion device having a fuel reservoir
KR101270293B1 (ko) 회전식 펠릿 난로
KR200484000Y1 (ko) 펠렛 연소기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KR101708370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무동력 바베큐 장치
KR101771678B1 (ko) 구들침대
PL226498B1 (pl) Mechanizm napowietrzania komory paleniskowej w palniku peletów
KR101645933B1 (ko) 완전연소 촉진을 통해 연소효율을 향상한 연탄난로 화덕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101349913B1 (ko) 펠렛 보일러용 공기 분산형 연소장치
KR101273480B1 (ko) 이중난로
KR20180010457A (ko) 이동식 화격자가 구비된 펠릿보일러
JP2011002183A (ja) ペレットストーブ用ペレットバーナー、ペレットストーブ及び農作物栽培用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