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851A -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851A
KR20140120851A KR20140039807A KR20140039807A KR20140120851A KR 20140120851 A KR20140120851 A KR 20140120851A KR 20140039807 A KR20140039807 A KR 20140039807A KR 20140039807 A KR20140039807 A KR 20140039807A KR 20140120851 A KR20140120851 A KR 2014012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lower body
moving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473B1 (ko
Inventor
박종혁
Original Assignee
박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혁 filed Critical 박종혁
Publication of KR2014012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맞게 운동기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며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모두 저항을 받게하여 하체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쌀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한 쌍의 고정대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대가 고정되어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압력을 극복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하체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of lower body}
본 발명은 양방향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맞게 운동기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며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모두 저항을 받게 하여 하체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양의 근력이 필요하며 근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였다.
더욱이 현대화가 가속되면서 사무직에 종사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교통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시 자가용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활동력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하체근육이 점차적으로 쇠퇴되면서 근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451767호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가 제안되었다.
상기의 휴대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는 내측에 장형의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개방부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편이 후방측에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으로 거치편이 절곡형성된 2개의 조임부와; 상기 2개의 조임부 후방측에 연장형성된 걸림편에 일측이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몸체의 개방부 내측면에 걸어진 인장스프링과; 상기 몸체와 2개의 조임부 사이에 구성되어 조임부들의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좌/우측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조임부 사이에는 이 2개의 조임부를 연결하여 2개의 조임부의 거리가 좁아질 때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는 인장스프링이나 압축스프링을 압력을 조절할 수 없어 하체운동기구의 저항력이 일정하여 사용자의 근력에 따라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리를 오므릴 때만 힘을 가할 수 있고 다리를 벌릴 때는 벌어지는 하체운동기구를 잡아주는 역할만 할 수 있어 하체의 안쪽 근육과 바깥쪽 근육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에 맞게 운동기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며 여성이나 남성 및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모두 저항을 받게하여 하체의 안쪽 근육과 바깥쪽 근육을 골고루 발달하게 할 수 있어 하체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쌀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한 쌍의 고정대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대가 고정되어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압력을 극복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운동부는 양방향실린더로 형성하며 상기 양방향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실린더의 단부는 고정부의 고정대와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의 고정대의 상측으로 밀판을 형성하고 상기 밀판이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부는 하측으로 이동홀이 형성된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경에는 밀판 중앙과 양측에 압축스프링을 내장하고 몸체 양단에는 외측단에 조절핸들을 형성하고 내측단에는 조절판 또는 조절너트가 형성된 조절나사를 체결하여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의 고정대 상측으로 밀판을 형성하고 상기 밀판이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부는 하측으로 이동홀이 형성된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경에는 밀판 중앙과 양측에 압축스프링을 내장하고 몸체 양단에는 조절마개를 체결하여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의 고정대 상단에는 캠을 형성하여 몸체에 내장되어 회전하도록 축 연결하고 상기 캠의 상측에는 캠의 회전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이동판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판의 상측으로는 다수의 압축스프링을 형성하되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몸체의 상단에 조절나사를 체결하고 조절나사의 외측 상단에는 조절핸들과 내측 하단에는 조절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맞게 운동기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며 여성이나 남성 및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모두 저항을 받게 하여 하체의 안쪽 근육과 바깥쪽 근육을 골고루 발달하게 할 수 있어 하체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조절너트를 적용한 양방향 하체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마개를 적용한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이 적용된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방향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고정된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저항을 받게 하여 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부(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0)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쌀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호 형상의 고정대(11)를 한 쌍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대(11)는 운동부(20)에 연결 고정된다.
고정대(11)에 연결된 운동부(20)는 고정되어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압력을 극복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운동부(20)는 양방향실린더(21)로 형성하며 상기 양방향실린더(21)의 실린더 로드(211)와 실린더(212)의 단부는 고정부(10)의 고정대(11)와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로 연결된다.
이러한 양방향실린더(21)는 압력조절스위치가 있어 실린더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양방향실린더 두개를 수평으로 설치하되 두 실린더의 좌우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고정대(11)의 상측으로 밀판(12)을 연장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판(1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부(20)는 하측으로 이동홀(22)이 형성된 몸체(23)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3)의 내경에는 밀판(12) 중앙과 양측에 압축스프링(24)을 내장한다.
또한, 상기 몸체(23) 양단에는 외측단에 조절핸들(25)을 형성하고 내측단에는 조절판(26)이 형성된 조절나사(27)을 체결하여 조절핸들(25)의 회전에 의해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26)의 역할을 하는 조절나사(27)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절너트(28)로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고정대(11)의 상측으로 밀판(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판(1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부(20)는 하측으로 이동홀(22)이 형성된 몸체(23)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23)의 내경에는 밀판(12) 중앙과 양측에 압축스프링(24)을 내장하고 몸체(23) 양단에는 조절마개(29)를 체결하여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1) 상단에 캠(13)을 형성하여 몸체(23)에 내장되어 회전하도록 축 연결하고 상기 캠(13)의 상측에는 캠(13)의 회전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이동판(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판(30)의 상측으로는 다수의 압축스프링(24)을 형성하되 상기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몸체(23)의 상단에 조절나사(27)를 체결하고 조절나사(27)의 외측 상단에는 조절핸들(25)과 내측 하단에는 조절판(26)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허벅지의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정부(10)의 고정대(11)를 허벅지 상측에 씌여지도록 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허벅지를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허벅지를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양방향 실린더(21)와 같이 허벅지를 벌릴 때나 오므릴 때 실린더의 저항을 받게되며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면서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하체의 근력을 키우게 된다.
이때 저항의 강도는 압력조절스위치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허벅지의 저항력을 얻을 수 있는 운동부(20)는 압축스프링(24)에 의해서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축스프링(24)은 고정부(10)의 고정대(11)의 단부에 형성된 밀판(12) 중앙과 양측에 설치하여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하체의 근력을 키우게 된다.
이러한 압축스프링(24)의 저항력 조절은 조절핸들(25)의 회전이나 조절너트(28)의 회전 또는 조절마개(29)의 회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11)의 상측에 캠(13)을 형성하여 허벅지에 의해 고정대(11)를 움직일 때 캠(13)이 회전하면서 이동판(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24)의 저항력 조절은 몸체(23) 상측에 형성된 조절핸들(25)을 회전시켜 조절판(26)의 승하강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방향으로 저항력을 갖는 운동기구에 의해 허벅지의 안쪽은 물론 바깥쪽 까지 근력을 키울 수 있다.
10 : 고정부 11 : 고정대
12 : 밀판 13 : 캡
20 : 운동부 21 : 양방향실린더
22 : 이동홀 23 : 몸체
24 : 압축스프링 25 : 조절핸들
26 : 조절판 27 : 조절나사
28 : 조절너트 29 : 조절마개
30 : 이동판 211 : 로드
212 : 실린더

Claims (6)

  1.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쌀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한 쌍의 고정대(11)로 형성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고정대(11)가 고정되어 허벅지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압력을 극복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운동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20)는 양방향실린더(21)로 형성하며 상기 양방향실린더(21)의 실린더 로드(211)와 실린더(212)의 단부는 고정부(10)의 고정대(11)와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의 고정대(11)의 상측으로 밀판(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판(1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부(20)는 하측으로 이동홀(22)이 형성된 몸체(23)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23)의 내경에는 밀판(12) 중앙과 양측에 압축스프링(24)을 내장하고 몸체(23) 양단에는 외측단에 조절핸들(25)을 형성하고 내측단에는 조절판(26)이 형성된 조절나사(27)을 체결하여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의 고정대(11)의 상측으로 밀판(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판(1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부(20)는 하측으로 이동홀(22)이 형성된 몸체(23)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23)의 내경에는 밀판(12) 중앙과 양측에 압축스프링(24)을 내장하고 몸체(23) 양단에는 조절마개(29)를 체결하여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의 고정대(11) 상단에는 캠(13)을 형성하여 몸체(23)에 내장되어 회전하도록 축 연결하고 상기 캠(13)의 상측에는 캠(13)의 회전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이동판(30)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판(30)의 상측으로는 다수의 압축스프링(24)을 형성하되 상기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몸체(23)의 상단에 조절나사(27)를 체결하고 조절나사(27)의 외측 상단에는 조절핸들(25)과 내측하단에는 조절판(2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26)은 조절나사(27)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절너트(2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KR1020140039807A 2013-04-03 2014-04-03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KR101594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570 2013-04-03
KR1020130036570 2013-04-03
KR1020130055388 2013-05-15
KR20130055388 2013-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51A true KR20140120851A (ko) 2014-10-14
KR101594473B1 KR101594473B1 (ko) 2016-02-17

Family

ID=5199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807A KR101594473B1 (ko) 2013-04-03 2014-04-03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0958A (zh) * 2021-01-26 2021-05-14 代梦龙 一种可对活动范围精确调节和固定的骨科治疗康复装置
CN114569934A (zh) * 2022-03-03 2022-06-03 龙岩学院 一种青少年课间休息用腿部锻炼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9904A (ja) * 1999-03-27 2002-11-26 ポケット ジム リミテッド エクササイズ用具
KR200418040Y1 (ko) * 2006-03-16 2006-06-07 한의경 괄약근 운동기구
KR100963099B1 (ko) * 2008-02-25 2010-06-10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9904A (ja) * 1999-03-27 2002-11-26 ポケット ジム リミテッド エクササイズ用具
KR200418040Y1 (ko) * 2006-03-16 2006-06-07 한의경 괄약근 운동기구
KR100963099B1 (ko) * 2008-02-25 2010-06-10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0958A (zh) * 2021-01-26 2021-05-14 代梦龙 一种可对活动范围精确调节和固定的骨科治疗康复装置
CN114569934A (zh) * 2022-03-03 2022-06-03 龙岩学院 一种青少年课间休息用腿部锻炼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73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960B1 (ko)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JP6198928B2 (ja) 筋肉運動装置
CN104841097B (zh) 一种带按摩装置的横劈叉锻炼器
CN106726351B (zh) 颞颌关节训练器
US20160106613A1 (en) Whole body exercise machine capable of circular orbital movement of waist
JP2014507239A (ja) 改良型エクササイズ装置
CN211158425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装置
CN205073233U (zh) 下肢康复机器人用可转动式外骨骼机械腿
US20160263428A1 (en) Gait tread simulation fitness equipment
KR101594473B1 (ko) 양방향 하체운동기구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1463757B1 (ko) 다기능 슬라이드 운동기구
CN103933706A (zh) 仰卧式引体向上装置
KR20190094791A (ko) 하지 근육 운동 장치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20130094619A (ko) 다기능 상지 운동기
CN106535998B (zh) 运动器材的调节装置
CN208176838U (zh) 神经内科腿部康复训练装置
KR101323261B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20160082667A (ko)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JP3045412U (ja) 多機能運動器具
JP3070503U (ja) 運動機能強化器具
KR200476829Y1 (ko)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KR101408910B1 (ko) 다리운동기구가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