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350A - 폼 절연 전도체 - Google Patents

폼 절연 전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350A
KR20140120350A KR1020147023537A KR20147023537A KR20140120350A KR 20140120350 A KR20140120350 A KR 20140120350A KR 1020147023537 A KR1020147023537 A KR 1020147023537A KR 20147023537 A KR20147023537 A KR 20147023537A KR 20140120350 A KR20140120350 A KR 20140120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ils
insulator
conducto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리 투오트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4012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01B11/1839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of cellula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01B11/1843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of tubula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2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of cellula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epoxy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33Cables with a predominant gas dielectr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전도체, 및 전도체를 둘러싸는 발포 절연물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이 개시된다. 발포 절연물은 균일한 공극 크기 및 전도체에 대한 개선된 접착성을 갖는다. 전도체 두께가 0.5588 mm(22 밀) 미만인 전기 케이블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폼 절연 전도체{FOAM INSULATED CONDUCTORS}
본 발명은 폼 절연 전도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폼 절연 마이크로-케이블, 예를 들어, 마이크로-동축 케이블 및 기타 소규모 전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가 점점 더 작아짐에 따라, 그들 소형 장치를 위한 전기 케이블에 대한 증가하는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동 전화, 초경량 랩톱 컴퓨터, 및 기타 휴대용 장치(GPS 운행 유도 시스템, 태블릿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등)는 계속해서 더 작고, 더 가볍고, 휴대하기가 더 쉽도록 설계된다. 더 작은 장치를 향한 계속되는 경향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새로운 전기 전도체가 개발되어야 한다.
더 작은 전기 케이블은 또한 더 큰 데이터 처리량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검출기의 해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량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한다. 더 작은 전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필요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며, 또한 다중 케이블을 번들화하여 단일 케이블을 생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응용에서는, 수백개의 개별적인 전기 케이블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로 번들화할 수 있다.
전도체가 더 작아짐에 따라,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물은 신호 감쇠 및 케이블 귀환 손실과 같은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에 더 현저한 영향을 갖는다. 더 작은 전도체는 일반적으로 더 얇은 벽의 절연물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더 큰 전도체에 필요한 것보다 더 큰 정밀성을 동반하여 절연물 내부에 전도체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발포 절연물의 경우, 공극 크기의 큰 변동은 케이블의 유전 특성을 그의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큰 공극을 갖는 절연물 내의 영역은 더 작은 다중 공극을 갖는 영역보다 더 낮은 국소적 유전 상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케이블을 목적하는 응용에 부적합하게 만들 수 있다.
전기 케이블이 더 작아짐에 따라, 전도체와 절연물 사이의 접착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도체와 절연물 사이의 작은 접촉 면적은 낮은 접착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전도체를 갖는 절연 전기 케이블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전도체를 가진 전기 케이블에 적합한 전기적 특성을 제공하는 작은 벽 두께를 갖는 전기 케이블을 위한 발포 절연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은 전도체와 발포 절연물 사이에 양호한 접착성을 제공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약술하면,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를 둘러싸는 발포 절연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도체의 두께가 약 0.55 mm(22 밀) 이하인 전기 케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복수의 공극을 갖는 발포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며, 두께가 약 0.025 mm(1 밀) 내지 약 0.38 mm(15 밀)의 범위이고, 공극의 평균 크기가 약 0.0025 mm(0.1 밀) 내지 약 0.025 mm(1 밀)의 범위인, 전기 케이블을 위한 발포 절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발포 절연물은 발포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도 1은 발포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 절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사진이다.
<도 2>
도 2는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 절연물의 확대 사진이다.
본 발명이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을 그러한 실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균등물을 커버하고자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하기 실시 형태의 상세 사항을 다루기 전에, 하기의 용어를 정의하거나 해설한다.
용어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 "PFA 공중합체," 및 "PFA"는 본 명세서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PAVE")의 공중합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PFA 공중합체는 ASTM D3307-10 표준에 부합할 수 있다. PFA 공중합체는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 비닐 에테르)("PEVE"),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 퍼플루오로(부틸 비닐 에테르)("PBVE"),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FEP 공중합체," 및 "FEP"는 본 명세서에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과 TFE의 공중합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FEP 공중합체의 예는 ASTM D2116-07의 규격에 들어가는 것들을 포함한다.
용어 "용융 유속(melt flow rate)" 또는 "MFR"은, PFA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ASTM D-3307-93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FEP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ASTM D-2116-91a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융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상에 5 ㎏의 중량을 사용하여 372℃의 온도에서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공극 크기" 및 그의 변형은 공극의 최대 치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구형 공극의 공극 크기는 공극의 직경일 것이고, 편구면의 공극 크기는 주축의 길이일 것이다. 용어 "평균 공극 크기"는 각각의 공극의 공극 크기의 수학적 평균이다.
또한, 부정관사("a"또는 "an")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요소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는 단지 편의상 그리고 본 발명의 범주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행해진다. 이러한 기술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야 하며, 단수형은 그 수가 명백하게 단수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형을 또한 포함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실시 또는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후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특허, 및 다른 참조 문헌은 특정 구절이 인용되지 않으면 전체적으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라, 전기 케이블은 전도체, 및 전도체를 둘러싸는 발포 절연물을 포함한다. 전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및 구리 합금, 강철 및 코팅된 강철(예를 들어, 구리로 덮인 탄소강),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은 등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케이블의 목적하는 전기적 특성, 전기 케이블의 목적하는 기계적 특성, 전기 케이블을 사용할 위치 또는 응용과 더불어, 적합한 전도성 재료를 결정할 때 필요한 기타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전도성 재료를 선택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는 24 AWG 이하(약 0.55 mm(22 밀) 이하)이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는 32 AWG 이하(약 0.20 mm(8 밀) 이하)이다. 또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는 36 AWG 이하(약 0.13 mm(5 밀) 이하)이다. 하나 이상의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는 38 AWG 이하(약 0.10 mm(4 밀) 이하)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는 40 AWG 이하(약 0.076 mm(3 밀) 이하), 42 AWG 이하(약 0.063 mm(2.5 밀) 이하), 44 AWG 이하(약 0.050 mm(2 밀) 이하), 46 AWG 이하(약 0.038 mm(1.5 밀) 이하), 또는 48 AWG 이하(약 0.030 mm(1.2 밀) 이하)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의 두께는 약 38 AWG 내지 약 48 AWG의 범위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전도체의 두께는 약 40 AWG 내지 약 46 AWG의 범위일 수 있다.
용어 "두께"는 전도체의 최대 너비를 지칭한다. 본 개시에 따라 사용되는 전도체는 원형 단면, 정사각형 단면, 타원형 단면, 삼각형 단면, 또는 임의의 기타 다각형 단면 기하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케이블의 목적하는 응용 또는 전기 케이블의 목적하는 전기적 특성을 기반으로 전도체의 기하형태를 선택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발포 절연물은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중합체는 PFA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발포 절연물은 PFA 공중합체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라, PFA 공중합체의 PAVE 구성요소는 PMVE, PEVE, PPVE, 및 PBV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PFA 공중합체는 PPV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라, PFA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MFR")은 약 35 g/10 min 이상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PFA 공중합체의 MFR은 약 40 g/10 min 이상이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PFA 공중합체의 MFR은 약 42 g/10 min 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PFA 공중합체의 MFR은 약 35 g/10 min 내지 약 50 g/10 min, 예를 들어, 약 38 g/10 min 내지 약 47 g/10 min, 또는 약 40 g/10 min 내지 약 44 g/10 min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포 절연물은 평균 크기가 약 0.0025 mm(0.1 밀) 내지 약 0.025 mm(1 밀)의 범위인 공극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공극의 평균 크기는 약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절연물은 폐쇄 셀 폼이다.
발포 절연물 내의 공극은 좁은 범위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 절연물 내의 공극의 약 90% 이상의 크기가 약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공극의 95% 이상의 크기가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 실시 형태의 공극의 5% 미만 또는 10% 미만이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 바깥일 수 있다.
공극 크기의 일관성은 또한 평균 크기로부터의 편차로서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 절연물은 공극의 평균 크기로부터 2 표준 편차를 초과하여 변동되는 공극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모든 공극이 공극의 평균 크기로부터 1 표준 편차 미만으로 변동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모든 공극"은 공극에 의해 점유되는 총 부피 또는 절연물의 단면에서 공극에 의해 점유되는 총 면적의 98% 이상을 의미한다.
발포 절연물은, 폼의 공극 함량이 약 10% 내지 약 55%의 범위임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공극 함량은 약 20% 내지 약 40% 또는 약 40% 내지 약 50%의 범위일 수 있다.
전도체를 둘러싸는 발포 절연물의 벽 두께는 약 0.025 mm(1 밀) 내지 약 0.38 mm(15 밀)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벽 두께는 약 0.050 mm(2 밀) 내지 약 0.25 mm(10 밀)의 범위이다. 전기 케이블의 목적하는 전기적 특성(예를 들어, 목적하는 임피던스), 절연 재료의 유전 상수, 전도체의 반경 및/또는 외측 전도체의 반경(존재하는 경우) 등을 기반으로 발포 절연물의 벽 두께를 결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의 전기 케이블은 발포 절연물의 외측 표면 상에 중합체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중합체 층은 무공성(solid)(즉, 발포되지 않음) 층을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의 형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전도체 및 발포 절연물은 차폐 층 및 외측 자켓에 의해 추가로 둘러싸인다.
전기 케이블은 또한 꼬인 쌍(twisted pair)의 형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전기 케이블은 2개의 전도체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발포 절연물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어서 2개의 절연 전도체가 서로의 둘레에 꼬여 있다.
본 개시의 전기 케이블은 또한 번들화 케이블에 사용될 수 있다. 번들화 케이블은 복수의 폼 절연 전도체, 복수의 꼬인 쌍, 또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발포 절연물은 튜브의 형태일 수 있다. 튜브의 내경은 약 0.55 mm(22 밀) 이하일 수 있다. 많은 태양 및 실시 형태가 위에서 설명되었으며, 이는 단지 예시적이며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는 다른 태양 및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한다.
실시 형태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타 특징 및 이익이 하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념을 하기 실시예에 추가로 설명할 것인데, 하기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단선의, 단일-가닥 24 AWG 구리 전도체를 사용하여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전도체는, MFR이 42 g/10 min인 PFA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 절연물로 둘러싸였다. PFA 공중합체는 TFE 및 약 4.5 중량%의 PPVE(듀폰 컴퍼니(DuPont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듀폰(상표) 테플론(Teflon)(등록상표) PFA 416HP 플루오로중합체 수지)를 포함하였다.
절연 와이어는 하기와 같이 형성되었다. 질화붕소(91.1±0.5 중량%), 사중붕산칼슘(2.5±0.2 중량%), 및 조닐(Zonyl)(등록상표) BAS(6.4±0.2 중량%)를 포함하는 폼 기핵 패키지(foam nucleating package)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폼 기핵 패키지를 테플론(등록상표) PFA 416 플루오로중합체(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이.아이. 듀폰 드 네무르 & 컴퍼니(E.I. du Pont de Nemours & Co.) 제조), 용융 유속(MFR)이 42 g/10 min인 퍼플루오로중합체에 컴파운딩하여 질화붕소 함량이 생성된 조성물의 대략 4 중량%인 마스터 배치를 형성시켰다.
28 mm 트윈-스크류 압출기 및 38 mm 단일 스크류 압출기로 구성된 콤비-플라스트(Kombi-plast) 압출기 상에서 수행하는 컴파운딩 작업을 통해 펠렛을 형성시켰다. 마스터 배치 펠렛 및 기본 플루오로중합체(테플론(등록상표) PFA 416)의 펠렛을 약 9.5:0.5의 비율로 건조 블렌딩하여 발포성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시켰으며, 이어서 이를 노키아-메일레퍼(Nokia-Maillefer) 45 mm 압출 와이어-라인에 공급하여 24 AWG(.57 mm) 단선 구리 전도체 상에 절연물을 압출하였다. 압출기는 30:1의 길이/직경 비율을 가졌으며, 용융물 내에 균일한 온도 및 질소의 분산을 제공하기 위해 혼합 스크류가 장착되었다.
발포 열가소성 조성물 재료를 91 m/min(300 ft/min)의 속도에서 와이어 상에 압출하여 공극 함량이 30%인.36 mm 두께의 절연물을 생성시켰다. 16:1의 연신비(draw down ratio)(다이 면적의 단면적/완성된 압출물의 단면적)를 산출한 다이 및 가이더 팁(guider tip) 조합을 이용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 절연물을 고배율 하에 관찰하였다.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발포 절연물은 균일한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1의 전기 케이블의 25개 샘플을 시험하여 최대 부하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해 관찰된 평균 최대 부하, 또는 스트립 힘(strip force)은, ASTM D-3032-10에 따라 측정할 때 0.58 N(0.13 lbf)의 표준 편차를 동반하여 6.62 N(1.49 lbf)이었다.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전기 케이블은 또한 전도체와 발포 절연물 사이의 우월한 접착성을 입증한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단선의, 단일-가닥 구리 전도체를 사용하여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발포 절연물에 의해 둘러싸였다. 전도체 및 절연물의 치수는 실시예 1의 것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였다. 듀폰으로부터 입수가능한 테플론(등록상표) FFR 770 플루오로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여 비교예 1의 발포 절연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사용된 동일한 핵화제 패키지(nucleant package)를 사용하여 이러한 비교예 1을 위한 발포 절연물을 생성시켰다. 테플론(등록상표) FFR 770은 MFR이 30 g/10 min인 FEP 플루오로중합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발포 절연물을 배율 하에 관찰하였다.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발포 절연물은 실시예 1의 공극보다 더 크게 편차를 가진 공극 크기를 가졌으며, 훨씬 더 큰 공극을 포함하였다.
비교예 1의 전기 케이블의 25개 샘플을 시험하여 최대 부하를 결정하였다. 비교예 1에 대해 관찰된 평균 최대 부하는 0.93 N(0.21 lbf)의 표준 편차를 동반하여 5.20 N(1.17 lbf)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전기 케이블은, 더 낮은 표준 편차 또한 나타내면서도, 비교예 1보다 현저하게 더 높은 최대 응력 및 최대 부하를 나타냈다.

Claims (31)

  1.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를 둘러싸는 발포 절연물(foamed insulation)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도체의 두께가 약 0.55 mm(22 밀) 이하인 전기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의 두께가 약 0.20 mm(8 밀) 이하인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의 두께가 약 0.13 mm(5 밀) 이하인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의 두께가 약 0.10 mm(4 밀) 이하인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이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가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melt flow rate)이 약 35 g/10 min 이상인 케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약 40 g/10 min 이상인 케이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약 35 g/10 min 내지 약 50 g/10 min의 범위인 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약 38 g/10 min 내지 약 47 g/10 min의 범위인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약 40 g/10 min 내지 약 44 g/10 min의 범위인 케이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이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극의 평균 크기가 약 0.0025 mm(0.1 밀) 내지 약 0.025 mm(1 밀)의 범위인 케이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평균 크기가 약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인 케이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90% 이상의 크기가 약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인 케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95% 이상의 크기가 약 0.0063 mm(0.25 밀) 내지 약 0.013 mm(0.5 밀)의 범위인 케이블.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크기가 2 표준 편차 이하로 변동되는 케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크기가 1 표준 편차 이하로 변동되는 케이블.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의 벽 두께가 약 0.025 mm(1 밀) 내지 약 0.38 mm(15 밀)의 범위인 케이블.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의 벽 두께가 약 0.050 mm(2 밀) 내지 약 0.25 mm(10 밀)의 범위인 케이블.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의 공극 밀도가 약 25% 내지 약 75%의 범위인 케이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의 공극 밀도가 약 35% 내지 약 55%의 범위인 케이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의 공극 밀도가 약 40% 내지 약 50%의 범위인 케이블.
  23.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절연물의 외측 표면 상에 무공성 중합체 층(solid polymer layer)을 추가로 포함하는 케이블.
  24. 제1항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인 케이블.
  25. 복수의 공극을 갖는 발포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며, 두께가 약 0.025 mm(1 밀) 내지 약 0.38 mm(15 밀)의 범위이고, 공극의 평균 크기가 약 0.0025 mm(0.1 밀) 내지 약 0.025 mm(1 밀)의 범위인, 전기 케이블을 위한 발포 절연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크기가 2 표준 편차 이하로 변동되는 절연물.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절연물의 공극 밀도가 약 25% 내지 약 75%의 범위인 절연물.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가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절연물.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약 35 g/10 min 내지 약 50 g/10 min의 범위인 절연물.
  30. 제25항에 있어서, 튜브의 형태인 절연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절연물의 내경이 약 0.55 mm(22 밀) 이하인 절연물.
KR1020147023537A 2012-01-27 2013-01-25 폼 절연 전도체 KR20140120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1399P 2012-01-27 2012-01-27
US61/591,399 2012-01-27
PCT/US2013/023038 WO2013112774A1 (en) 2012-01-27 2013-01-25 Foam insulated conduc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350A true KR20140120350A (ko) 2014-10-13

Family

ID=4766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537A KR20140120350A (ko) 2012-01-27 2013-01-25 폼 절연 전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50027747A1 (ko)
EP (1) EP2807659A1 (ko)
JP (1) JP2015506570A (ko)
KR (1) KR20140120350A (ko)
CN (1) CN104094363A (ko)
WO (1) WO2013112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9802B2 (en) * 2016-08-22 2019-07-23 Cts Corporation Variable force electronic vehicle clutch pedal
US20190385969A1 (en) * 2018-06-14 2019-12-19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Coaxial wi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811A (en) * 1986-10-22 1987-1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in wall cover on foamed insulation on wire
CN1180363A (zh) * 1995-02-13 1998-04-29 雷伊化学公司 含氟聚合物的组合物
US5830923A (en) * 1996-05-22 1998-11-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oamed fluoropolymer
US6139957A (en) * 1998-08-28 2000-10-31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nductor insulated with foamed fluoropolym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4063369A (ja) * 2002-07-31 2004-02-26 Hitachi Cable Ltd 発泡フッ素樹脂同軸ケーブル
JP2004171942A (ja) * 2002-11-20 2004-06-17 Hitachi Cable Ltd 発泡電線
JP2005019336A (ja) * 2003-06-27 2005-01-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及び捕虫装置
WO2005019336A1 (ja) * 2003-08-25 2005-03-03 Daikin Industries, Ltd. 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高周波信号伝送用製品並びに高周波伝送ケーブル
JP4418201B2 (ja) * 2003-09-30 2010-02-17 ニチアス株式会社 配管の断熱保温構造および断熱保温用具キット
US20080161435A1 (en) * 2006-12-21 2008-07-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trusion of a Foamable Fluoropolymer
US20080149899A1 (en) * 2006-12-21 2008-06-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oamable Fluoropolymer Composition
US7633013B2 (en) * 2008-03-24 2009-12-15 Nexans Colored foaming polymer composition
JP5062200B2 (ja) * 2009-02-26 2012-10-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US8178592B2 (en) * 2009-05-15 2012-05-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oamable fluoropolym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7659A1 (en) 2014-12-03
WO2013112774A1 (en) 2013-08-01
US20170011818A1 (en) 2017-01-12
JP2015506570A (ja) 2015-03-02
US20150027747A1 (en) 2015-01-29
CN104094363A (zh)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6393B2 (en) Foamed resin molded product, foamed insulated wir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oamed resin molded product
US9064621B2 (en) Parallel foamed coaxial cable
JP5842780B2 (ja) 発泡樹脂組成物、電線、及びケーブル
JP2014058625A (ja) 発泡樹脂成形体、発泡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並びに発泡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WO2008133846A1 (en) Crush resistant twisted pair communications cable
US20100200268A1 (en) Foamed resin composition and wire/cable using the same
HU223994B1 (hu) Nagy teljesítmény átvitelére kiképezett kábel és eljárás az előállítására
JP2011162721A (ja) 発泡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泡樹脂体並びに発泡絶縁電線
JP2011009206A (ja) 発泡絶縁体を有する電線・ケーブル
JP2010513676A (ja) 発泡性フルオロポリマーの押出し成形
JP2012507832A (ja) 発泡電線
US20170011818A1 (en) Foam insulated conductors
KR20060094440A (ko) 케이블 절연재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구비하는 케이블
JP6940613B2 (ja) 変性高密度ポリエチレンを使用し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の発泡プロセス
JP2006022276A (ja) 絶縁体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高発泡絶縁体並びに高周波用同軸ケーブル。
JP6113823B2 (ja) GHz帯域の周波数の信号を伝送する絶縁電線用絶縁樹脂組成物、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JP2010215796A (ja) 発泡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発泡絶縁電線
JP5426948B2 (ja) 発泡電線及びこれ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JP5303639B2 (ja) 発泡電線の製造方法
JP5420662B2 (ja) 発泡電線及びこれ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US8129439B2 (en) Aqueous absorptive polymer-containing resin composition-producing method, aqueous absorptive polymer-containing resin composition, and porous substance-producing method using same and porous substance, insulated electric cable-producing method, insulated electric cable and coaxial cable
JP2005078835A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61283B2 (ja) 発泡プラスチック絶縁電線
JP5689692B2 (ja) 発泡電線及びこれ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JP2007035417A (ja) 同軸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