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657A -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657A
KR20140119657A KR1020140038586A KR20140038586A KR20140119657A KR 20140119657 A KR20140119657 A KR 20140119657A KR 1020140038586 A KR1020140038586 A KR 1020140038586A KR 20140038586 A KR20140038586 A KR 20140038586A KR 20140119657 A KR20140119657 A KR 20140119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953B1 (ko
Inventor
이연근
박상준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4011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5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6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61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2013년 4월 1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3-003539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유기발광현상이란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시켜 주는 현상을 말한다. 즉, 애노드과 캐소드 사이에 적절한 유기물층을 위치시켰을 때,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양극에서는 정공이, 캐소드에서는 전자가 상기 유기물층에 주입되게 된다. 이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만났을 때 여기자(exciton) 가 형성되고, 이 여기자가 다시 바닥상태로 떨어질 때 빛을 생성하게 된다.
애노드와 캐소드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유기발광소자는 단락 결함을 갖게 되기 쉽다. 핀홀, 균열, 유기발광소자의 구조에서의 단(step) 및 코팅의 조도(roughness) 등에 의하여 애노드와 캐소드가 직접 접촉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유기층 두께가 이들 결함 구역에서 더 얇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들 결함 구역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저-저항 경로를 제공하여, 유기발광소자를 통해 전류가 거의 또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전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출력이 감소되거나 없어지게 된다. 다중-화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단락 결함이 광을 방출하지 않거나 또는 평균 광 강도 미만의 광을 방출하는 죽은 화소를 생성시켜 디스플레이 품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조명 또는 다른 저해상도 용도에서는, 단락 결함으로 인해 해당 구역 중 상당 부분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단락 결함에 대한 우려 때문에,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는 전형적으로 청정실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아무리 청정한 환경이라 해도 단락 결함을 없애는데 효과적일 수 없다. 많은 경우에는, 두 전극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단락 결함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기층의 두께를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유기발광소자 제조에 비용을 추가시키게 되고, 심지어 이러한 방법으로는 단락 결함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0729호 (2006.12.19 공개)
본 발명자들은 단락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 요인이 있는 경우, 즉 단락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 범위에서 작동이 가능한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는 2 이상의 전도성 유닛 및 상기 전도성 유닛 각각에 연결된 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상기 전도성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는 상기 전도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타 말단부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길이가 이에 수직 방향의 폭보다 더 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전도성 연결부를 갖는 전도성 유닛을 2 이상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는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는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유기발광소자는 기판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단락이 발생한 경우라도 유기발광소자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유기발광소자는 단락 발생 지점의 면적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누설 전류량이 증가하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터닝된 제1 전극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터닝된 제1 전극 및 이를 보조 전극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전도성 연결부에 있어서, 길이와 폭의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의 백색 OLED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2의 I-V curve(전류-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 및 2의 광속-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1 및 2의 전압-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상태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상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상태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는 2 이상의 전도성 유닛 및 상기 전도성 유닛 각각에 연결된 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상기 전도성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는 상기 전도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타 말단부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길이가 이에 수직 방향의 폭보다 더 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는 각각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전도성 연결부를 통하여 각 전도성 유닛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은 상기 전도성 유닛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및 보조 전극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를 통하여 상기 전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 상"이라 함은, 반드시 통전부의 상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전부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전부 상이라 함은 상기 통전부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의 일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전부 상이라 함은 통전부의 상면의 일 영역 및 측면의 일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통전부의 하면의 일 영역 및 측면의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은 상기 제1 전극의 패터닝 과정을 통하여 제1 전극의 통전부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는, 패터닝된 제1 전극이 전도성 유닛(1) 및 전도성 연결부(2)를 포함하고, 패터닝된 제1 전극이 제1 전극의 통전부(6)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또는,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은 상기 제1 전극의 패터닝 과정을 통하여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지고, 각각의 전도성 유닛은 전도성 연결부 및 보조 전극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는 패터닝된 제1 전극이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보조 전극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2에서는, 도 1에서의 제1 전극의 통전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보조 전극이 위치하여 각각의 전도성 유닛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4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예시하였다. 도 4에서는 상기 전도성 유닛이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지며, 전도성 연결부가 보조 전극으로 전기적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또는,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은 상기 제1 전극의 패터닝 과정을 통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 상에 보조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예시하였다. 도 5에서는 상기 전도성 연결부(2)가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6)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6) 상에 보조 전극(3)이 구비되어 있는 유기발광소자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을 이루는 영역 상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에서 발광 현상이 일어나고, 상기 전도성 유닛을 통하여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전류 흐름은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상기 전도성 연결부, 상기 전도성 유닛, 상기 유기물층, 상기 제2 전극으로 흐를 수 있으며, 이의 역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전류흐름은 상기 보조 전극, 상기 전도성 연결부, 상기 전도성 유닛, 상기 유기물층, 상기 제2 전극으로 흐를 수 있으며, 이의 역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전도성 유닛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보조 전극 또는 제1 전극의 통전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발광 영역은 유기물층의 발광층에서 발광하는 빛이 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을 통하여 방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은 기판 상에 제1 전극이 형성된 영역 중 전도성 연결부, 보조 전극 및/또는 단락 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 전극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보조 전극 및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비발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전도성 유닛으로 흘러야하는 전류가 단락이 발생한 전도성 유닛으로 흐르게 되어, 유기발광소자 전체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제1 전극에서 상기 전도성 유닛의 단부일 수 있으며, 그 형태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도성 유닛이 ㄷ자 또는 ㄴ자형으로 형성된 경우 그의 말단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의 전도성 유닛의 일 꼭지점, 일 모서리 또는 일 변의 중간부분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길이가 이에 수직 방향의 폭보다 더 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길이와 상기 폭의 비가 10:1 이상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전도성 유닛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에서 단락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유기발광소자의 단락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 결함에도 불구하고 소자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재료는 상기 전도성 유닛의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전도성 연결부 및 상기 전도성 유닛은 상기 제1 전극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단락 결함은 제2 전극이 직접 제1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물층의 두께 감소 또는 변성 등에 의하여 유기물층의 기능을 상실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단락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유기발광소자 전류에 낮은 경로를 제공하여, 유기발광소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단락 결함에 의하여 제1 전극에서 제2 전극으로 직접 전류가 흐르게 되는 누설 전류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전류는 무결함 구역을 피하여 흐를 수 있다. 이는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당한 경우에 유기발광소자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넓은 면적의 유기물에 분산되어 흐르던 전류가 단락 발생지점으로 집중되어 흐르게 되면 국부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어, 소자가 깨지거나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전도성 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단락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전도성 연결부에 의하여 모든 작동 전류가 단락 결함 부위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누설 전류의 양이 무한정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일부의 전도성 유닛에 단락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단락 결함이 없는 나머지 전도성 유닛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높은 저항값을 가지므로, 단락 결함 발생시 적정한 저항을 부가하여 전류가 단락 결함 부위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단락 결함으로 인한 누설 전류 및 그와 관련한 발광 효율 손실을 감소시키기에 적절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길이와 폭의 비가 10:1 이상인 부분을 포함하여 단락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와 폭의 비가 10:1 이상인 부분이 상기 전도성 연결부 전체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길이와 폭의 비가 10:1 이상인 부분이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일부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길이와 폭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길이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한 끝에서 다른 끝까지의 공간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직선의 조합이거나 곡선을 포함하더라도 일직선으로 가정하여 길이를 측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상기 폭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양 끝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상기 폭이 변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 폭의 평균값일 수 있다. 상기 길이와 폭의 하나의 예시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상기 길이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치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기 폭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치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기 길이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상기 보조 전극에서 상기 전도성 유닛에 이르기까지의 전류가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폭은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길이는 a와 b의 합일 수 있으며, 상기 폭은 c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 ㎃/㎠ 내지 5 ㎃/㎠ 중 어느 한 값의 전류 밀도에서,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하기 식 1의 작동 전압 상승률 및 하기 식 2의 작동 전류 대비 누설 전류의 수치가 동시에 0.03 이하를 만족하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식 2]
Figure pat00002
(상기 Vt(V)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이고,
상기 Vo(V)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지 않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이며,
상기 It(mA)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류이고,
상기 Is(mA)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어느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단락 결함이 있는 유기발광소자에서의 누설 전류이다.)
상기 Vo(V)는 본 명세서의 전도성 연결부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유기발광소자에서 단락 결함이 없는 경우의 작동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 또는 저항값은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로부터 타 말단부까지의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 또는 저항값은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보조전극까지의 저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 또는 저항값은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제1 전극의 통전부까지의 저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 또는 저항값은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단락 방지층까지의 저항일 수 있다.
상기 식 1의 작동 전압 상승률 및 상기 식 2의 작동 전류 대비 누설 전류의 수치가 동시에 0.03 이하를 만족하는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값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은 하기와 같다.
단락 결함이 없는 상태에서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류(It)(mA)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ncell은 유기발광소자에서 발광 영역에 해당하는 전도성 유닛의 개수를 의미한다.
상기 Icell은 유기발광소자가 정상 작동시의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작동하는 전류(mA)를 의미한다.
각각의 전도성 유닛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유기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저항(Rorg)(Ω)은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Rcell - org(Ω)는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서의 유기물 저항(Ω)을 의미한다.
상기 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는 전도성 연결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도성 연결부를 적용하더라도, 전도성 연결부에 의한 유기발광소자의 효율 저하가 크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정상 작동 상태에서 전도성 연결부가 추가되어 발생하는 작동 전압 상승률은 하기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 1에서, 상기 Vt(V)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이고, 상기 Vo(V)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지 않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이다.
상기 작동 전압 상승률((Vt-Vo)/Vo)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상기 Rcell - spl은 1개의 전도성 유닛에서의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Ω)을 의미한다.
상기 Rcell - org는 1개의 전도성 유닛에서의 유기물 저항(Ω)을 의미한다.
상기 작동 전압 상승률((Vt-Vo)/Vo)은 하기의 식을 통하여 유도가 가능하다.
Figure pat00007
전도성 연결부가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단락 발생시의 정상적인 유기물층을 통해 흐르는 전류(mA)를 In이라고 하고, 단락 발생 지점으로 흐르는 누설 전류(mA)를 Is로 하며, 단락이 발생한 지점의 유기물의 저항(Ω)을 Rorg -s로 정의하는 경우, In 및 Is는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즉, 전도성 연결부가 없는 유기발광소자에서 일부 영역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Rorg -s의 값이 0에 가깝게 떨어지면서 설정된 모든 전류가 단락 영역(Is)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전도성 연결부가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단락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유기물층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유기발광소자는 발광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구비된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In - cell을 단락 발생시 정상적인 발광 영역을 통해 흐르는 전류(㎃)로 정의할 때, 각 병렬 연결된 전도성 유닛의 전압은 동일하고, 모든 병렬 연결된 전도성 유닛에서의 전류의 합은 소자의 작동 전류(It)와 같다. 이는 하기의 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또한,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구비된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단락 발생 지점으로 흐르는 누설 전류는 하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구비된 유기발광소자에서, 어느 하나의 전도성 유닛의 유기물층이 단락(Rcell -s=0)이 되더라도,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분모의 값이 충분히 커지면 누설 전류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구비된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류(It) 대비 누설 전류(Is) 수치는 하기의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12
상기 식 2에서, It(mA)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류이고, 상기 Is(mA)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어느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단락 결함이 있는 유기발광소자에서의 누설 전류이다.
나아가,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구비된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류(It) 대비 누설 전류(Is)의 적절한 수치 범위는 하기의 식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 상승률((Vt-Vo)/Vo) 및 작동 전류 대비 누설 전류 수치(Is/It)가 동시에 0.03 이하를 만족하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작동 전압 상승률((Vt-Vo)/Vo) 및 작동 전류 대비 누설 전류 수치(Is/It) 가 동시에 0.01 이하를 만족하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에서 유기발광소자 작동시의 전류 밀도는 1 ㎃/㎠ 내지 5 ㎃/㎠ 중 어느 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은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전도성 연결부의 길이 ÷ 전도성 연결부의 폭) × 전도성 연결부의 면저항 ≥ 400 Ω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길이는 전도성 연결부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길이로서,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에서 타 말단부까지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의 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전도성 연결부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폭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은 400 Ω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은 1,0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단락 결함 발생시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적절한 단락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이 400 Ω 이상인 경우, 단락 결함이 있는 영역으로 누설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까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은 각각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들이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하기의 전도성 유닛간의 저항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전도성 유닛까지의 저항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 저항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전도성 유닛과 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전도성 유닛간의 통전 경로가 오로지 전도성 연결부 및 보조 전극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전도성 유닛과 이에 인접하는 전도성 유닛은 보조 전극 및 전도성 연결부를 2번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보조 전극의 저항값을 무시하더라도, 전도성 유닛간의 저항은 적어도 전도성 연결부의 2배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의 상기 전도성 유닛과 다른 전도성 유닛간의 저항은 800 Ω 이상 6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값은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서부터 상기 단락 방지부를 거쳐 인접하는 다른 전도성 유닛까지의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로 다른 상기 전도성 유닛간의 저항이 800 Ω 이상 600,000 Ω 이하인 것은, 각각의 전도성 유닛이 단락 방지부와 전기적으로 접하고, 이에 의하여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보조 전극 또는 제1 전극의 통전부까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고, 전도성 유닛간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직접 연결되는 영역의 저항값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값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유닛이 서로 완전히 이격 배치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단락 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전도성 유닛까지의 저항은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과 이에 접하는 전도성 연결부 및/또는 단락 방지층, 보조 전극, 다른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 및/또는 단락 방지층, 및 이에 접하는 다른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이르기까지의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식 3은 상기 전도성 유닛이 전도성 연결부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도성 연결부가 단락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저항의 하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서로 이격된 1,000개 이상의 상기 전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은 서로 이격된 1,000 이상 1,000,000 이하의 상기 전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2 이상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패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유닛은 전도성 연결부를 제외한 영역이 서로 이격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패턴은 패쇄도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 될 수 있으며, 무정형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수가 1,000개 이상인 경우,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정상 작동시에 전압 상승폭을 최소화하면서, 단락 발생시의 누설 전류량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수가 1,000,000개 이하까지 증가할수록 개구율을 유지하며, 상기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유닛의 수가 1,000,000개를 넘는 경우, 보조 전극의 개수 증가로 인한 개구율의 저하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들이 상기 유기발광소자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전체 유기발광소자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50 % 이상 9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유닛은 발광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전체 유기발광소자가 빛을 방출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도성 유닛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유기발광소자의 개구율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전극은 각각의 전도성 유닛들이 상기 전도성 연결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소자의 구동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연결부에 의한 구동 전압 상승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은 1,000개 이상의 상기 전도성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추는 동시에 상기 전도성 연결부에 의한 단락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의 면적은 0.01 ㎜2 이상 25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의 면적을 작게하는 경우, 단락 방지를 위하여 도입된 전도성 연결부에 따른 작동 전압 상승률 및 작동 전류 대비 누설 전류의 값을 동시에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락이 발생하여 발광을 하지 않는 전도성 유닛이 발생하는 경우, 비발광 영역을 최소화하여 제품 품질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전도성 유닛의 면적을 지나치게 작게 하는 경우, 소자 전체 영역에서 발광영역의 비율이 크게 줄어 개구율 감소로 인한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적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기술한 단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언급한 장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전도성 연결부와 상기 전도성 유닛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은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2 이상의 발광층은 각각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전도성 유닛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발광층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전도성 유닛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발광층이 동일한 전류밀도에서 작동하는 경우, 저항값은 발광층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의 면적이 작아지고 수가 늘어나는 경우, 상기 각각의 발광층의 면적도 작아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작동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에 인가되는 전압에 비하여 상기 유기물층에 직렬 연결된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전압의 비율은 줄어든다.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 누설 전류량은 전도성 유닛의 수와는 관계 없이 보조 전극에서 전도성 유닛까지의 저항값과 작동 전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성 유닛의 수를 증가시키면 정상 작동시의 전도성 연결부에 의한 전압상승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단락 발생시의 누설 전류량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의 면저항은 3 Ω/□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저항은 1 Ω/□이하일 수 있다.
넓은 면적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의 면저항이 필요 수준 이상으로 높을 경우, 전극의 위치별로 전압이 달라지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기물층을 사이에 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전위차이가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면, 유기발광소자의 휘도 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 수준 이상으로 높은 면저항을 갖는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면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보조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보조 전극의 면저항은 3 Ω/□이하, 구체적으로는 1 Ω/□이하일 수 있고, 상기의 범위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휘도 균일성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의 면저항은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면저항 값보다 높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전극의 면저항 값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보조 전극을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전극의 면저항을 상기 보조 전극의 면저항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발광 영역 이외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전극은 제1 전극의 통전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전극은 제1 전극의 통전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전극의 통전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라인은 전도성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상기 보조 전극의 적어도 한 부위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체 보조 전극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OLED 조명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OLED 조명의 경우, 전체 발광 영역, 즉 모든 상기 유기발광소자에서 균일한 밝기의 발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OLED 조명에서 균일한 밝기를 실현하기 위하여는, 상기 OLED 조명에 포함된 모든 유기발광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전극이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금속 전극인 경우, 각 유기발광소자의 제2 전극은 충분히 면저항이 낮아서 각 유기발광소자의 제2 전극의 전압차가 거의 없으나, 제1 전극의 경우 각 유기발광소자의 전압차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각 유기발광소자의 제1 전극 전압차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전극, 구체적으로는 금속 보조 전극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보조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전극이 전도성 라인을 형성하여 각 유기발광소자의 제1 전극 전압차를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은 1 Ω/□ 이상, 또는 3 Ω/□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은 10,000 Ω/□ 이하, 또는 1,000 Ω/□ 이하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은 1 Ω/□이상 10,000 Ω/□이하, 또는 10 Ω/□ 이상 1,000 Ω/□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유닛에 요구되는 면저항 수준은 발광 면적에 해당하는 전도성 유닛의 면적에 반비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유닛이 100 ㎠ 면적의 발광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전도성 유닛에 요구되는 면저항은 1 Ω/□ 내외일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유닛에 요구되는 면저항은 1 Ω/□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전극을 ITO와 같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을 1 Ω/□ 이상으로 만족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전극은 금속 보조 전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은 전도성 유닛을 형성하는 재료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또한,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 전극의 면저항 수준까지 낮추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상기 유기발광소자에서 요구되는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값은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전도성 유닛의 재료에 의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구비된 단락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단락 방지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은 보조 전극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은 보조 전극이 형성되는 상면, 하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단락 방지층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가 없는 경우,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단락 방지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 1 및 2에서의 전도성 연결부는 전도성 연결부 및 단락 방지층을 포함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보조 전극으로부터 제1 전극까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락 방지층의 상기 보조 전극으로부터 제1 전극까지의 저항은 상기 보조전극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까지의 저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구비된 단락 방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극으로부터 제1 전극까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으로 인한 저항 증가로 인하여, 상기 단락 방지층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전도성 유닛간의 저항은 8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락 방지층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전도성 유닛간의 저항은 800 Ω 내지 300,000 Ω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및/또는 상기 두께 방향 저항 범위 내에서 단락 방지층은 유기발광소자가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정상적인 작동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범위 및/또는 상기 저항 범위 내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도 유기발광소자가 정상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저항은 상기 보조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연결부까지의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저항은 상기 보조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까지의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락 방지층의 저항은 상기 보조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연결부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거리에 따른 저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체적저항률(ρslp)(Ω㎝)은 하기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상기 Aspl(㎠)는 보조 전극에서 단락 방지층을 통해 1개의 전도성 연결부까지 두께 방향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Rcell - spl은 1개의 전도성 유닛에 대한 단락 방지층의 저항(Ω)을 의미한다.
상기 tslp(㎛)는 단락 방지층의 두께, 또는 보조 전극으로부터 전도성 연결부까지 전기가 이동하는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이라 함은 단락 방지층에서 전기가 이동하는 일 예에 따른 것으로서, 단락 방지층의 일영역으로부터 타영역으로 전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대한 단락 방지층의 체적 저항률(ρslp)은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대한 단락 방지층의 저항(Rcell - spl), 보조 전극에서 단락 방지층을 통해 1개의 전도성 연결부까지 두께 방향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면적 (Aspl) 및 단락 방지층의 두께 (tslp)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체적 저항률은 0.63 Ω㎝ 이상 8.1 × 1010 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단락 방지층은 유기발광소자가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정상적인 작동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락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도 유기발광소자가 정상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체적 저항률은 하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의 저항 범위는 7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이고, 상기 단락 방지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이며, 하나의 전도성 유닛의 면적은 300 × 300 ㎛2 내지 3 × 3 ㎜2인 경우, 상기 하나의 전도성 연결부 상에 형성된 보조전극에서 단락 방지층을 통해 1개 전도성 유닛까지 두께 방향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면적(Aspl)은 하나의 전도성 유닛 면적의 1 % 내지 30 %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대한 보조전극에서 단락 방지층을 통해 1개 셀의 제1 전극까지 두께 방향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면적(Aspl)은 9 × 10-6 cm2 (300㎛ × 300㎛ × 0.01) 내지 2.7 × 10-2 cm2 (0.3㎝ × 0.3cm × 0.3)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락 방지층의 체적 저항률은 하기의 식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15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은 탄소 분말; 탄소 피막; 전도성 고분자; 유기 고분자; 금속; 금속 산화물; 무기 산화물; 금속 황화물; 및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르코늄 산화물(ZrO2), 니크롬(nichrome), 인듐 주석 산화물(ITO) 아연 황화물(ZnS) 및 실리콘 이산화물(S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단락 방지층이 구비된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투명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이 투명전극인 경우, 상기 제1 전극은 산화주석인듐(ITO) 또는 산화아연인듐(IZO) 등과 같은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전극은 반투명 전극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이 반투명 전극인 경우, Ag, Au, Mg, Ca 또는 이들의 합금 같은 반투명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투명 금속이 제1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미세공동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전극은 금속 전극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은 일반적으로 모든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구리 및/또는 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은 투명전극과의 부착력 및 포토공정에서 안정성을 위하여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몰리브데늄/알루미늄/몰리브데늄 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정공 차단층; 전하 발생층; 전자 차단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발생층(Charge Generating layer)은 전압을 걸면 정공과 전자가 발생하는 층을 말한다.
상기 기판은 투명성, 표면평활성, 취급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 박막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및 PI(Polyimide) 등의 필름이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기판 자체에 광산란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발광소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은 캐소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애노드일 수 있다.
상기 애노드로는 통상 유기물층으로 정공주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일함수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애노드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바나듐, 크롬, 구리, 아연,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아연산화물, 인듐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과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조합;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애노드 재료는 애노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캐소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로는 통상 유기물층으로 전자 주입이 용이하도록 일함수가 작은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소드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타이타늄, 인듐, 이트륨, 리튬, 가돌리늄, 알루미늄, 은, 주석 및 납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LiF/Al 또는 LiO2/Al과 같은 다층 구조 물질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캐소드의 재료는 캐소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애노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정공 수송층 물질로는 애노드나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정공을 수송 받아 발광층으로 옮겨줄 수 있는 물질로 정공에 대한 이동성이 큰 물질이 적합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아릴아민 계열의 유기물, 전도성 고분자, 및 공액 부분과 비공액 부분이 함께 있는 블록 공중합체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발광층 물질로는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으로부터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8-히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 착물 (Alq3); 카르바졸 계열 화합물; 이량체화 스티릴(dimerized styryl) 화합물; BAlq; 10-히드록시벤조 퀴놀린-금속 화합물; 벤족사졸, 벤즈티아졸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화합물;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계열의 고분자; 스피로(spiro) 화합물; 폴리플루오렌; 루브렌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전자 수송층 물질로는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잘 주입 받아 발광층으로 옮겨줄 수 있는 물질로서, 전자에 대한 이동성이 큰 물질이 적합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8-히드록시퀴놀린의 Al 착물; Alq3를 포함한 착물; 유기 라디칼 화합물; 히드록시플라본-금속 착물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비발광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비발광 영역에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 및 보조 전극을 상기 유기물층과 절연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본원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예시를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봉지층으로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투명한 수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산소 및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저해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투명은 60 % 이상 빛을 투과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75 % 이상 빛을 투과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색온도 2,000 K 이상 12,000 K 이하의 백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광산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의 유기물층이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구비된 광산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층은 평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광산란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의 제1 전극이 구비된 면에 대향하는 면에 광산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층은 광산란을 유도하여,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광산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층은 바인더 내에 산란입자가 분산된 구조, 요철을 가진 필름, 및/또는 헤이즈(hazeness)를 갖는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층은 기판 위에 스핀 코팅, 바 코팅, 슬릿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하여 직접 형성되거나,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플랙시블(flexible)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은 플랙시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은 휘어질 수 있는 박막 형태의 글래스,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 형태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및 PI(Polyimide) 등의 필름을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화소 또는 백라이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명 장치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발광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 외, 조명 장치에 필요한 구성들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전도성 연결부를 갖는 전도성 유닛을 2 이상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1 전극 물질을 도포한 후 패터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을 패터닝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극은 2 이상의 상기 전도성 유닛, 상기 전도성 연결부 및/또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도성 유닛에 이격되도록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상에 보조 전극을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 상에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구비되도록 단락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상에 상기 단락 방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락 방지층 상에 상기 보조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극이 서로 이격된 상기 전도성 유닛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락 방지층 및 상기 전도성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2이상의 전도성 유닛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기판 상에 ITO를 사용하여 제1 전극을 형성하여 전도성 유닛을 49 × 49 개로 패터닝한 후, 보조 전극으로서 구리(Cu)를 두께 500 ㎚, 폭 20 ㎛로 형성하였다. 또한, 보조 전극의 간격은 0.84 ㎜로 제작하였다. 또한, 전도성 연결부는 길이 800 ㎛, 폭 20 ㎛인 영역을 포함하고,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은 480 Ω이상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나아가, 발광층을 포함한 유기물층 및 제2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41 × 41 ㎟의 발광 영역을 갖는 백색 OLED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2 전극은 알루미늄(Al)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유기발광층, 전자전달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상기 유기발광층은 형광물질을 이용한 청색 발광층과, 인광물질을 이용한 녹색 및 적색 발광층을 갖는 2 스택(stack) 구조로 형성하였다. 상기 각 적층구조에서 사용된 소재는 백색 OLED의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하였고, 그 형성방법 역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백색 OLED를 제조한 후, 제2 전극에 국부적 압력을 가하여, 단락 결함을 발생시켰다.
도 8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의 백색 OLED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단락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실시예 1의 소자는 모든 발광 영역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단락 결함이 발생한 실시예 2의 소자는 단락이 발생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 영역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비교예 1]
제1 전극을 패턴화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백색 OLED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백색 OLED를 제조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2 전극에 국부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단락 결함을 발생시켰다.
도 9는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2의 I-V curve(current-voltage curve)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은 동일한 I-V 특성을 보이나, 단락 발생시 실시예 2는 소자가 정상 작동을 할 수 있는 반면, 비교예 2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 1 및 2의 광속-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1 및 2의 전압-전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따르면, 단락 방기 기능이 도입된 본 명세서의 유기발광소자는 단락 발생시에도 정상적인 작동을 하며, 전도성 연결부의 수준에 따라 유기발광소자의 효율 감소의 폭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1: 전도성 유닛
2: 전도성 연결부
3: 보조 전극
4: 절연층
5: 기판
6: 제1 전극의 통전부
7: 단락 방지층

Claims (40)

  1. 2 이상의 전도성 유닛 및 상기 전도성 유닛 각각에 연결된 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상기 전도성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일 말단부는 상기 전도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타 말단부는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길이가 이에 수직 방향의 폭보다 더 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유닛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것인 유기발광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길이와 상기 폭의 비가 10:1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1 ㎃/㎠ 내지 5 ㎃/㎠ 중 어느 한 값의 전류 밀도에서, 상기 전도성 연결부는 하기 식 1의 작동 전압 상승률 및 하기 식 2의 작동 전류 대비 누설 전류의 수치가 동시에 0.03 이하를 만족하는 저항값을 갖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식 1]
    Figure pat00016

    [식 2]
    Figure pat00017

    (상기 Vt(V)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이고,
    상기 Vo(V)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지 않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압이며,
    상기 It(mA)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단락 결함이 없는 유기발광소자의 작동 전류이고,
    상기 Is(mA)는 전도성 연결부가 적용되고 어느 하나의 전도성 유닛에 단락 결함이 있는 유기발광소자에서의 누설 전류이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서로 이격된 1,000개 이상의 상기 전도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의 면적은 0.01 ㎜2 이상 25 ㎜2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유닛의 면저항은 1 Ω/□ 이상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전도성 유닛까지의 저항은 상기 전도성 연결부 저항의 2배 이상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도성 유닛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전도성 유닛까지의 저항은 800 Ω 이상 600,000 Ω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연결부의 재료는 상기 전도성 유닛의 재료와 동일한 것인 유기발광소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또는 보조 전극은 상기 전도성 유닛과 이격되어 구비된 것인 유기발광소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의 면저항은 3 Ω/□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도성 유닛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통전부, 보조 전극 및 전도성 연결부는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유닛들이 상기 유기발광소자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전체 유기발광소자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50 % 이상 90 %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구비된 단락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으로부터 제1 전극까지의 저항은 400 Ω 이상 300,000 Ω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단락 방지층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방지층은 상기 보조 전극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방지층은 보조 전극이 형성되는 상면, 하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방지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방지층의 체적저항률은 0.63 Ω㎝ 이상 8.1 × 1010 Ω㎝ 이하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24.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방지층은 탄소 분말; 탄소 피막; 전도성 고분자; 유기 고분자; 금속; 금속 산화물; 무기 산화물; 금속 황화물; 및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금속 전극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인 유기발광소자.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정공 차단층; 전하 발생층; 전자 차단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전극이 구비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색온도 2,000 K 이상 12,000 K 이하의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유기물층이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구비된 광산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층은 평탄층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유기물층이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제1 전극이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광산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플랙시블(flexible) 유기발광소자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35. 청구항 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청구항 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37. 청구항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전도성 연결부를 갖는 전도성 유닛을 2 이상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1 전극 물질을 도포한 후 패터닝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39.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유닛에 이격되도록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 사이에 구비되도록 단락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40038586A 2013-04-01 2014-04-01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7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399 2013-04-01
KR1020130035399 2013-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657A true KR20140119657A (ko) 2014-10-10
KR101477953B1 KR101477953B1 (ko) 2014-12-30

Family

ID=5165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586A KR101477953B1 (ko) 2013-04-01 2014-04-01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5249B2 (ko)
EP (1) EP2960961B1 (ko)
JP (1) JP6608354B2 (ko)
KR (1) KR101477953B1 (ko)
CN (1) CN105103330B (ko)
TW (1) TWI552411B (ko)
WO (1) WO2014163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4475B (zh) * 2013-05-16 2017-08-01 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裝置、其製造方法及其應用
KR101946999B1 (ko) * 2014-05-12 2019-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6905B1 (ko) * 2014-05-13 2019-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TWI629811B (zh) * 2017-03-21 2018-07-11 機光科技股份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09000B1 (ko) * 2017-05-19 2020-05-12 주성엔지니어링(주)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5040B1 (ko) * 2017-07-11 2021-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724B1 (ko) 2017-07-11 2021-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677123B (zh) * 2018-11-29 2019-11-11 機光科技股份有限公司 去定位器及使用該去定位器的發光裝置
CN109698222B (zh) * 2018-12-25 2021-03-26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高稳定oled照明屏体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057B2 (ja) * 1996-12-28 2006-04-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
JPH10294491A (ja) * 1997-04-22 1998-11-04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光装置
JPH11339970A (ja) * 1998-05-26 1999-12-10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
JP3878365B2 (ja) 1999-09-09 2007-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1196191A (ja) * 2000-01-14 2001-07-19 Fuji Electric Co Ltd 有機薄膜発光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59594B2 (en) * 2000-02-03 2003-05-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6791114B2 (en) * 2001-07-12 2004-09-14 Intel Corporation Fused passiv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JP2004095388A (ja) * 2002-08-30 2004-03-25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el素子
US6870196B2 (en) * 2003-03-19 2005-03-22 Eastman Kodak Company Series/parallel OLED light source
JP2004296154A (ja) * 2003-03-26 2004-10-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極と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50039014A (ko) 2003-10-23 2005-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US7012585B2 (en) * 2004-02-06 2006-03-14 Eastman Kodak Company OLED apparatus having improved fault tolerance
JP4817730B2 (ja) * 2004-07-09 2011-11-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7960908B2 (en) * 2005-07-15 2011-06-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Organic EL display
CN101606250A (zh) * 2007-02-12 2009-12-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大面积发光二极管光源
KR100818466B1 (ko) * 2007-02-13 2008-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KR100887072B1 (ko) * 2007-10-19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KR101428053B1 (ko) * 2007-12-13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E102008013031B4 (de) * 2008-03-07 2019-07-25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JP5178431B2 (ja) * 2008-09-26 2013-04-10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008683B2 (en) * 2008-10-22 2011-08-30 Samsung Led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20110193066A1 (en) * 2009-08-13 2011-08-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urrent limiting element for pixels in electronic devices
KR101065409B1 (ko) * 2009-11-04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조명 장치
JP4935910B2 (ja) * 2010-01-07 2012-05-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薄膜太陽電池
JP5456525B2 (ja) 2010-03-17 2014-04-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装置
JP5620217B2 (ja) * 2010-10-04 2014-11-05 株式会社カネカ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JP5707928B2 (ja) * 2010-12-21 2015-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WO2012091487A2 (ko) * 2010-12-30 2012-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US9698140B2 (en) * 2011-01-12 2017-07-0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lighting device with short tolerant structure
CN103348477B (zh) * 2011-01-12 2017-02-08 环球展览公司 具有短路容许结构的oled照明装置
JP5698993B2 (ja) * 2011-01-27 2015-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層形成材料、及び光取り出し部材、並びに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46480B2 (ja) 2011-03-08 2014-07-09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927308B2 (en) * 2011-05-12 2015-01-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bus line designs for large-area OLED lighting
EP2551865A3 (en) * 2011-07-29 2016-05-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solar cell
WO2013030919A1 (ja) * 2011-08-29 2013-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US8836223B2 (en) * 2012-04-18 2014-09-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panel with fuses
US9035420B2 (en) * 2012-05-31 2015-05-19 Lg Chem,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illu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14077627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29536A1 (ja) * 2013-02-22 2014-08-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5249B2 (en) 2017-11-21
WO2014163369A1 (ko) 2014-10-09
EP2960961A1 (en) 2015-12-30
TW201448315A (zh) 2014-12-16
CN105103330A (zh) 2015-11-25
EP2960961A4 (en) 2017-01-11
EP2960961B1 (en) 2022-03-09
JP2016518000A (ja) 2016-06-20
US20160005993A1 (en) 2016-01-07
KR101477953B1 (ko) 2014-12-30
JP6608354B2 (ja) 2019-11-20
CN105103330B (zh) 2019-06-11
TWI552411B (zh) 201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55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9413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7953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821B1 (ko) 유기발광소자
KR101477929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6999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1644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0252B1 (ko) 유기발광소자
KR101925574B1 (ko) 유기발광소자
KR101946905B1 (ko) 유기발광소자
KR102063476B1 (ko) 조명장치
KR101938697B1 (ko) 유기발광소자의 수리방법
KR101938695B1 (ko) 유기발광소자의 단락 결함 영역의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