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533A -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533A
KR20140119533A KR1020130035335A KR20130035335A KR20140119533A KR 20140119533 A KR20140119533 A KR 20140119533A KR 1020130035335 A KR1020130035335 A KR 1020130035335A KR 20130035335 A KR20130035335 A KR 20130035335A KR 20140119533 A KR20140119533 A KR 20140119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xed cap
lens holder
condenser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혁
윤찬영
권재욱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9533A/ko
Publication of KR2014011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46Positional adjustment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다발을 생성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광원부는 상기 광다발을 일 방향으로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캡,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다발을 모으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이오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집광렌즈 및 상기 집광렌즈와 결합하고, 상기 고정캡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집광렌즈가 상기 발광부와 상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캡과 결합하는 집광렌즈 홀더를 구비하는 광학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LIGHT SOURC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투사장치에 포함되는 광학유닛에 관한 발명입니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대화면을 구현하는 기기의 일 예로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기능을 갖춘 프로젝터가 있다.
최근에는 프로젝터 또는 초소형 광학장치의 고해상, 고화질에 과한 시장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단색성, 집광성 및 방향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레이저 다이오드가 광학유닛의 일 구성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laser beam)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해상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빛(laser beam)과 렌즈(lens)들 간의 초점거리가 맞춰져야 하며, 상기 초점거리의 오차에 의하여 광손실이 발생할 수 잇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광학장치는 복수의 광학부품들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품들이 조립되는 과정에서의 오차 등에 의하여 광학부품들의 광학축의 정렬불량(misalignment)이 발생할 수 있다. 광학축의 정렬불량으로 인하여 상기 빛이 스크린 상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화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린상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빛이 손실되고, 영상을 투영하기 위하여 보다 광파워를 향상시켜 구동하므로 영상투영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발열발생으로 광원의 수명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표시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광학부품들의 광축이 보다 정확하게 배열된 광학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다발을 생성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다발을 일 방향으로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캡,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다발을 모으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이오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집광렌즈 및 상기 집광렌즈와 결합하고, 상기 고정캡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집광렌즈가 상기 발광부와 상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캡과 결합하는 집광렌즈 홀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고정캡이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 사이에 제1 갭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결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고정캡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집광렌즈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집광렌즈 홀더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고정캡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캡의 일 영역 및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상기 고정캡이 접촉되는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상기 고정캡이 접촉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갭에 상기 접착부재가 충진되며, 상기 접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집광렌즈 홀더 및 상기 고정캡의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상기 고정캡이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광원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기 광원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다발 중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필터링(filtering)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미러 및 상기 필터링 미러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바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터링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외면이 곡면을 갖는 볼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볼고정부의 일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원형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볼고정부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접하는 면은 제1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홀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제2 갭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면이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유닛의 제조방법은 일단에 집광렌즈가 고정된 집광렌즈 홀더의 내부공간에 발광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캡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고정캡을 이동시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집광렌즈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고정캡이 삽입된 상기 집광렌즈 홀더를 베이스부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집광렌즈 홀더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원형홀에 필터링 미러가 장착된 바디부의 볼고정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투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영상투사장치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영상투사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3 의 광원부 및 필터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도 4의 광원부 및 필터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는 광원부의 사시도.
도 7은 광원부의 분해도.
도 8은 도 6의 광원부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9는 6의 광원부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고정캡과 집광렌즈 홀더의 결합체를 베이스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필터링 미러를 관통하여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광다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은 베이스부와 분리된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필터부를 C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
도 14는 도 12의 필터부를 D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5는 필터링 미러가 장착된 바디부를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투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영상투사장치(100)는 스크린(S)과 초근거리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S)에 대화면의 영상을 투사한다.
영상투사장치(100)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투사장치(100)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영상투사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에 내장되는 투사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시에 의하면, 영상투사장치(100)는 스크린(S)의 하단측(또는 상단측)에 인접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S)에 대화면의 영상을 결상시키도록 형성된다.
이하, 이러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투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영상투사장치(100)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영상투사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영상투사장치(100)의 외관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광학부품 및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111)에는 조작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영상투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기능적인 면에서, 조작부(113)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3)는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Out) 동작을 하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포커싱(Focusing)을 하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2)에는 공기 유동부(114), 인터페이스(115), 전원 공급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부(114)는 복수의 관통공들로 이루어져 영상투사장치(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강제 대류를 이용한 영상투사장치(100)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인터페이스(115)는 영상투사장치(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할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115)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전자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 디브디(DVD) 플레이어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6)는 상기 영상투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6)는, 예를 들어 교류인 가정용 전원을 공급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원공급부(116)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 중 어느 하나에는 음향 출력부가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투사부(117)는 영상을 상부 케이스(111)의 상면에서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투사부(117)는,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들 및 미러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투사계(140, 또는 투사광학계,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투사부(117)는 조작부(113)의 조작에 의하여 복수의 렌즈들 및 미러의 간격이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영상투사장치(100)의 줌 또는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투사장치(100)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유닛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영상투사장치의 분해도이다.
광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광원유닛의 부분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투사장치(100)는 상부 케이스(111), 하부 케이스(112), 제어 회로기판(121), 광원유닛(500), 이미지 변환장치(미도시) 및 투사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121)은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121)은 영상투사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300)은 상기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300)은 영상투사장치(100)에서 광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학부품들의 체계를 의미한다. 상기 광원유닛(300)과 하부 케이스(112) 사이에는 광원유닛(300)이 조립될 수 있는 구조물(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변환장치(미도시)는 상기 광원유닛(3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변환장치(미도시)는 생성된 광을 색변환 또는 색분리하고,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학계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변환장치(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투사렌즈(미도시)를 통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된다.
상기 광원유닛(300)은 전기 에너지에 의한 광다발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광원부 및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3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광원유닛(300)은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빛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필터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 및 필터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3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필터부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 의 광원부 및 필터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광원부 및 필터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상기 광원유닛(300)은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원부(500) 및 상기 광원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필터부(600)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600)를 통과한 빛은 기 설정된 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프리즘(미도시)을 통하여 그의 크기가 조절되고, PBS(Polarizing beam splitter, 미도시) 및 wave plate(미도시)를 통과하여 기 설정된 파형의 원형 편광의 광다발로 방출된다. 상기 빛은 복수의 미러(mirror, 700)에 의하여 반사되고, 스캐닝 미러(scanning mirror, 700), 미도시)의 표면에 도달한다. 상기 스캐닝 미러(scanning mirror, 700), 미도시)의 기 설정된 영역이외의 영역에 상기 광다발이 도달하지 아니하면, 광효율이 떨어지고 화면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화면으로 투영되는 각각의 파장을 갖는 빛들이 상기 스캐닝 미러(scanning mirror, 700), 미도시) 상의 기 설정된 영역에 투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유닛(300)의 구성들의 광학축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원부(500)에 포함되는 발광부 및 집광렌즈간의 초점거리 조절을 통하여 상기 광학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광원부(5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6는 광원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광원부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광원부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9는 6의 광원부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부(500)는 세 개 이상의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500)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5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발광부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유닛(300)은 각각 레드광을 방출하는 발광부(510), 그린광을 방출하는 발광부(510) 및 블루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3개의 광원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510)는 x방향으로 각각 레드광, 그린광 및 블루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 상에 배열되고, 상기 x방향과 수직한 y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다발(레드광, 그린광 및 블루광)의 강도(intensity)와 균일도(uniformity)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광다발을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집광렌즈(5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오드(510)에서 방출되는 광다발은 일반적으로 레이저 칩(laser chip)의 회절현상으로 인하여 빔확산각(beam laser divergence full angle)에 의하여 파장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약 7-15도, 수직방향으로 약 25-50도로 퍼져나가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집광렌즈(520)는 상기 일정 각도로 퍼져나가는 광다발을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다발의 방출방향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50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집광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510)를 고정하는 고정캡(540) 및 상기 집광렌즈(520)을 고정하는 집광렌즈 홀더(holder, 530)을 포함한다. 상기 집광렌즈 홀더(53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고정캡(540)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발광부(510)를 고정하는 고정캡(530)은 상기 집광렌즈 홀더(520)에 삽입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540)은 상기 발광부(510)의 일 영역을 수용하기 위하여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즉, 상기 발광부(510)가 끼워지도록 상기 발광부(510)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540)의 외관은 원통형, 사각기둥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캡(540)의 내주면은 상기 발광부(51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510)에서 방출되는 광다발이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캡(540)의 일 면에는 제1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540)은 상기 발광부(510)가 상기 고정캡(5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캡(540) 내부로 삽입된 발광부(510)의 상기 고정캡(540) 내부에서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32)는 상기 고정캡(5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복수의 가이드돌기(532)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510)의 상기 고정캡(54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532)가 끼워지도록 리세스 되는 가이드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32)가 가이드홈(미도시)에 끼워져 상기 발광부(510)의 상기 고정캡(540) 내부에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광다발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고정캡(54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는 상기 집광렌즈(520)과 결합한다.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는 상기 x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집광렌즈(520)가 배치되도록 상기 집광렌즈(520)를 고정한다. 상기 집광렌즈(520)는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집광렌즈(520)의 일단부는 상기 집광렌즈(520)를 관통한 광다발이 방출되도록 상기 집광렌즈(52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520)는 일정한 초점거리(effective focal length)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며, 비구면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는 상기 발광부(510)를 고정하는 고정캡(5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삽입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집광렌즈(520)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캡(530)이 상기 x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510)와 결합된 상기 고정캡(530)은 상기 x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내주면은 상기 고정캡(53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내주는 상기 고정캡(530)의 외주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캡(530)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 사이에 기 설정된 제1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캡(530)은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x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갭(g1)은 약 1.0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캡(530)이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에 고정되면, 상기 발광부(510)의 상기 광다발이 방출되는 일단부와 상기 집광렌즈(520)는 기 설정된 간격(d)으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기 설정된 간격(d)은 초점거리(focal length)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광부(510)와 상기 집광렌즈(520)가 상기 기 설정된 간격(d)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캡(530)은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내부공간 상에서 상기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530)이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내부에서 상기 x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광다발이 도달하는 상기 스캐닝 미러(700)의 영역이 변하게 된다. 상기 스캐닝 미러(700)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광다발이 도달하면,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고정한다. 상기 기 설정된 간격(d)은 상기 스캐닝 미러(700)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광다발이 도달하는 때의 상기 발광부(510) 및 상기 집광렌즈(520) 사이의 간격에 해당된다.
상기 발광부(510)와 상기 집광렌즈(520)가 기 설정된 간격(d)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에 형성되는 고정홀(541) 및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에 형성되는 홈부(542)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542)는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고정캡(53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홀(541)을 통하여 상기 고정캡(530)의 일 영역과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접촉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와 고정된 상기 고정캡(530)을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고정캡(530)에 형성되는 리세스부(5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을 고정하고 이를 베이스부(10)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고정캡과 집광렌즈 홀더의 결합체를 베이스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510)가 장착된 상기 고정캡(530)을 상기 x방향으로 이동 시켜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에 삽입한다. 상기 발광부(510)는 상기 고정캡(530)에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부착되고, 상기 집광렌즈(520) 또한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에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된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상대이동 시키기 위한 외부장치(30)에 장착된다.
상기 외부장치(30)는 돌출되는 고정벽(3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벽(31)은 상기 고정캡(530)의 리세스부(531)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벽(31)은 상기 리세스부(53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3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32)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32)은 상기 홈부(54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캡(530)은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는 상기 외부장치(30)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장치(30)의 상기 측벽(32)는 마이크로스테이지(40)에 의하여 상기 x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스테이지(40)에 의하여 이동 하는 상기 측벽(32)에 끼워진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가 상기 x축방향으로 왕복이동 하게 된다. 여기에서 마이크로스테이지(40)는 일 방향으로 미세하게 힘을 가하는 장치로서, 상기 마이크로스테이지(4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외부장치(30) 중 일 영역이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가 상기 x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스캐닝 미러(700)에 투영되는 광다발을 관찰하면서, 상기 스캐닝 미러(700)의 기 설정된 영역에 광다발이 도달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스테이지(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초점을 별도의 촬상수단(예를 들어, CCD) 또는 육안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510)와 상기 집광렌즈(520)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간격(d)이 되면(즉, 초점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캡(530) 및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고정홀(541)에 자외선을 조사(20)하여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고정시킨다. 상기 자외선 조사(20)에 의하여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가 열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상기 자외선에 더불어 상기 자외선에 의하여 변형되는 접착제를 상기 고정홀(541)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외선이 상기 고정홀(541)에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고정홀(54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장착물(3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홀(541)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는 복수의 고정홀(5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에 의하여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 사이의 제1 갭(g1)이 접착제 등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캡(530)은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x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기설정 된 간격(d)으로 상기 고정캡(530)과 집광렌즈 홀더(540)가 결합되면, 상기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외부장치(30)로부터 상기 광원부가 분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스캐닝 미러(700)에 투영되는 광다발을 확인하면서, 상기 초점거리를 조절한 뒤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고정하는 고정캡과 상기 집광렌즈를 고정하는 집광렌즈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집광렌즈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초점거리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집광렌즈는 각각을 고정하는 고정캡 및 상기 집광렌즈 홀더에 의하여 먼저 결합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집광렌즈 홀더에 상기 고정캡이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광학축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x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의 조절은 불필요하다.
또한, 집광렌즈 홀더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조절이 가능하고 이는 상기 스캐닝 미러에 투영되는 광다발을 확인함과 함께 진행될 수 있으므로 공정이 용이하고 보다 정확하게 광학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필터링 미러를 관통하여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광다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어세 필터링 미러는 특정 파장의 광다발을 필터링하는 다이크로익 미러로 구현될 수 있다.
도3,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510)에서 방출된 광다발은 상기 초점거리(focal length)만큼 이동하여 상기 집광렌즈(520)에 의하여 집광된다. 상기 집광렌즈(520)를 통과한 상기 광다발은상기 필터링 미러(610, 도 12참조)를 구비하는 필터부(600)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링 미러(610)으로부터 L만큼 떨어진 스크린으로 투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510)와 상기 집광렌즈(520)의 초점거리가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z축 방향으로 δ만큼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 상에는 δ'만큼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x축 및 z축방향과 수직한 y축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오차는 상기 고정캡(530)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540)를 결합하는 단계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필터링 미러(610)는 오차각(θ)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 미러(610)를 오차각의 반(θ/2)만큼 조절하여 상기 스크린 상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베이스부(10)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링 미처(6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필터부(6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은 베이스부와 분리된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필터부를 C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필터부를 D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600)는 필터링 미러(610) 및 이를 고정하는 미러홀더(620) 및 상기 미러홀더(620)를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시키는 볼고정부(6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볼고정부(622)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원형홀(11)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600)는 상기 필터링 미러(610)에 상기 광다발이 입사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바람직한 각도를 조절된 후에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필터링 미러(610)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표면은 레드, 그린, 블루 등의 파장에 따라 반사 및 투과여부가 다르게 설게된다. 즉, 상기 필터링 미러(610)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레드광, 그린광 및 블루광 중 어떤 광을 방출하는지에 의하여 상기 필터링 미러(610)에 코팅층이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표면은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사방지코팅층(AR coat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600)는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일 영역에 상기 광다발이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링 미러(610)를 고정하는 바디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620)는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부(624) 및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측부 모서리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측벽부(621a, 621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624)는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상기 기 설정된 너두께만큼의 하부 모서리와 접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624)는 상기 하부 모서리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넓은 접착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부(621a, 621b)는 상기 지지부(624)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벽부(621a)는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측부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2 측벽부(621b)는 L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측벽부(621b)는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리세스되는 단차부(6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621b')에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일부가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621b')의 부착면(621b)에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일부가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 미러(610)가 상기 제2 측벽부(621b)에 고정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기 부착면(621b)은 L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면(621b)과 상기 필터링 미러(610)는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부(620)에 상기 필터링 미러(610)를 고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측벽부(621b')에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에 상기 필터링 미러(610)를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부(621a) 및 상기 지지부(624)의 일면과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일 모서리가 상기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24)의 하부에 볼고정부(622)가 형성된다. 상기 볼고정부(622)는 기 설정된 지름을 갖는 구의 절단된 일영역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고정부(622)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고정부(622)의 상기 지지부(624)와 마주보는 면은 제1 지름(R1)을 갖는 원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곡면은 기설정된 곡률로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는 제2 지름(R2)를 갖는 원형홀(11)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홀(11)에 상기 볼고정부(622)가 안착된다. 상기 제2 지름(R2)는 상기 제1 지름(R1)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볼고정부(622)의 일부가 상기 원형홀(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름(R1, R2)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624)와 상기 베이스부(10) 사이에 제2 갭(g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갭(g2)에 의하여 상기 서로 수직하는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축으로 상기 바디부(6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갭(g2)은 상기 바디부(620)가 기울어지면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링 미러(610)의 위치 및 상기 필터링 미러(610)에 입사되는 광다발과의 광축오차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축오차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620)가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면, 상기 볼고정부(622)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624)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부(10)를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광축오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볼고정부(622)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링 미러(610)를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하는 광정을 설명한다. 상기 필터링 미러(610)는 상기 발광부(510) 및 상기 집광렌즈(520)가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된 후, 상기 발광부(510)에서 방출되고 상기 집광렌즈(520)를 관통한 광다발이 상기 필터링 미러(610)를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투영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된다. 즉,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광원부(500)를 고정한 뒤 상기 필터부(600)를 장착한다.
도 15는 필터링 미러가 장착된 바디부를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측벽부(621a, 621b)의 상기 필터링 미러(610)가 안착되는 내면과 마주보는 각각의 외면으로부터 리세스 되어 지지홈(6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623)은 상기 z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623)에 의하여 외부기구물(50)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 기구물(50)은 각도계 및 상기 필터부(600)를 상기 베이스부(10)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구물(50)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600)의 상기 볼고정부(622)가 상기 원형홀(11)에 안착된다.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600)가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되고, 상시 스캐닝 미러(700)에 투영된 광다발을 확인하고 상기 각도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미러(700)에 투영된 광다발은 육안으로 파악하거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구물(50)에 의하여 상기 스캐닝 미러(7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광다발이 도달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다발이 상기 스캐닝 미러(7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600)가 안착되는 베이스부(1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20)한다. 상기 자외선 조사(20)에 의하여 상기 볼고정부(622)와 상기 베이스부(10)가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과 함께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원형홀(11)의 상기 볼고정부(622)가 차지하는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볼고정부(622)와 상기 원형홀(11)이 고정되면, 상기 지지홈(623)으로부터 상기 외부기구물(50)을 분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500)가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된 후 발생할 수 있는 광축의 오차를 상기 필터부(600)의 위치 조절에 의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스캐닝 미러(700)에 투영되는 광다발을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축을 맞추기 위한 반복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광축을 보다 정교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스캐닝 미러 에 도달하는 광다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광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와 조명장치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광다발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다발을 일 방향으로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캡;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다발을 모으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이오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집광렌즈; 및
    상기 집광렌즈와 결합하고, 상기 고정캡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집광렌즈가 상기 발광부와 상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캡과 결합하는 집광렌즈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이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과 상기 집광렌즈 홀더 사이에 제1 갭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고정캡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집광렌즈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 홀더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고정캡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캡의 일 영역 및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상기 고정캡이 접촉되는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상기 고정캡이 접촉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자외선에 의한 접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갭에 상기 접착부재가 충진되며,
    상기 접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집광렌즈 홀더 및 상기 고정캡의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집광렌즈 홀더와 상기 고정캡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기 광원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다발 중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필터링(filtering)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미러; 및
    상기 필터링 미러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터링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외면이 곡면을 갖는 볼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볼고정부의 일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원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학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고정부의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접하는 면은 제1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홀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제2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면이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10. 일단에 집광렌즈가 고정된 집광렌즈 홀더의 내부공간에 발광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캡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고정캡을 이동시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집광렌즈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고정캡이 삽입된 상기 집광렌즈 홀더를 베이스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집광렌즈 홀더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원형홀에 필터링 미러가 장착된 바디부의 볼고정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유닛의 제조방법.
KR1020130035335A 2013-04-01 2013-04-01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9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335A KR20140119533A (ko) 2013-04-01 2013-04-01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335A KR20140119533A (ko) 2013-04-01 2013-04-01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33A true KR20140119533A (ko) 2014-10-10

Family

ID=5199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335A KR20140119533A (ko) 2013-04-01 2013-04-01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95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545B2 (en) Projector having holders arranged in a light emitting direction
US9857672B2 (en) Light source unit, lighting apparatus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EP2570851B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6106683A (ja) 光学エンジン、及び、該光学エンジンを具有するイメージプロジェクタ
US2007009147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emented lens, cemented lens and projector apparatus
CN109690887A (zh) 光输出模块和lidar
JP2008134468A (ja) 集光光学系および光加工装置
KR20070086099A (ko) 검사용 광학 장치, 이 광학 장치를 구비한 검사 장치 및검사 방법
JP5880924B2 (ja) 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US9285664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holders for holding the light sources
KR102135356B1 (ko) 영상투사장치
US9726884B2 (en) Displaying apparatus unit and projection type displaying apparatus
JP2011170271A (ja) 光学装置、光学部品の位置調整固定方法、及びレーザプロジェクタ
KR20140119533A (ko) 광원유닛과 이의 제조방법
TW200907454A (en) Device and method for center aligning
JP2008190905A (ja) 紫外線照度測定装置、および光学装置の製造装置
JP2006220840A (ja) 光学装置の製造装置
JP5434328B2 (ja) プロジェクタ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光源位置調整方法
JP2006243139A (ja) 光学装置の製造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装置
JP2009104041A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22045958A (ja) 保持部材、光源装置、投影装置及び光学部材の保持方法
JP2022045956A (ja) 保持部材、光源装置、投影装置及び光学部材の保持方法
JP2006220839A (ja) 紫外線照射装置、および光学装置の製造装置
JP4978395B2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22049750A (ja) レンズホルダ、光源装置及び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