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514A -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514A
KR20140119514A KR1020130035290A KR20130035290A KR20140119514A KR 20140119514 A KR20140119514 A KR 20140119514A KR 1020130035290 A KR1020130035290 A KR 1020130035290A KR 20130035290 A KR20130035290 A KR 20130035290A KR 20140119514 A KR20140119514 A KR 2014011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group
lipid
lipid bilay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188B1 (ko
Inventor
김현령
김민상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188B1/ko
Priority to US14/242,602 priority patent/US9439858B2/en
Publication of KR2014011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3Double-stranded 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with substantial amounts of non-phosphatidyl, i.e. non-acylglycerophosphate,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음이온성 약물을 표적부위에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Temperature sensitive liposome comprising cationic lipid and use thereof}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을 표적부위에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약물 전달체로서 리포좀, 폴리머, 펩타이드 등의 다양한 생체재료가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리포좀이 널리 사용되어 상품화 되었다.
리포좀은 수성 내부 구획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 막으로 구성된다. 리포좀은 막 타입 및 그 크기에 의하여 특징될 수 있다. 작은 유니라멜라 소포 (SUV)는 단일막을 갖고 20nm 내지 5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큰 유니라멜라 소포 (LUV)는 50nm이상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올리고라멜라 큰 소포 및 멀티라멜라 큰 소포는 다중, 일반적으로 동심원, 막 층을 가지고 직경이 100nm 이상일 수 있다. 여러 비동심원 막을 가진 리포좀, 즉 더 큰 소포 내에 포함된 여러 작은 소포는 멀티소포성 소포 (multivesicular vesicle)라고 한다.
리포좀은 제형화되어 수성 내부 공간 (interior space) 내에 (수용성 활성성분) 또는 지질 이중층 내에 (수불용성 활성성분) 분배된 치료 제제, 약물 또는 다른 활성제를 가질 수 있다.
혈류 중에서 짧은 반감기를 갖는 활성성분은 리포좀을 통한 전달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면, 많은 항암제 (anti-neoplastic agents)는 혈류 중에서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비경구 투여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혈류를 통한 활성성분의 부위 특이적 전달을 위한 리포좀의 사용은 세내피 시스템 (reticuloendothelial system: RES)의 세포에 의하여 혈액으로부터 리포좀을 빠르게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리포좀은 정상적으로는 리키(leaky)하지 않지만, 리포좀 막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막이 분해되거나 용해되거나, 막 온도가 상전이 온도까지 증가되면, 리키하게 될 수 있다. 환자의 표적부위에서의 온도의 상승 (hyperthermia)은 리포좀 온도를 상전이 온도 이상으로 올리고, 그에 따라 리포좀 내용물의 방출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치료적 제제의 선택적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리포좀의 상전이 온도가 정상 조직 온도보다 현저하게 높은 경우 이 기법은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현재 리포좀은 혈관외유출(extravasation)을 이용한 EPR(enhanced permeation and retention) 효과에 의해 종양에서 축적되는데(tumor accumulation), 이 경우, 고형암 특이적 표적화 효율이 높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표면에 표적화 부위(targeting moiety)를 도입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항체나 항체 단편을 리포좀 표면에 부착한 이뮤노리포좀(immunoliposome)은 종양 축적을 증가시키지만, 항체 제작에 있어서의 고비용 및 낮은 재현성에 의한 QC(quality control)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정 내부자극에 의해서, 약물이 분출되는 나노전달체(nanocarrier)가 연구되고 있다. 고형암의 종양 부위의 산도가 낮거나 특정 효소가 과발현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낮은 pH 나 특정 효소에 의해서만 약물이 방출되는 나노전달체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고형암의 특성은 환자 개인, 암종, 암 단계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나노전달체는 모든 경우에 보편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활성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달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예는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리포좀 및 음이온성 약물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리포좀을 이용하여 표적 부위에 음이온성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약물 중에서 음이온성 약물(anionic drug)은 신장에서 제거(renal clearance)되어 혈중 반감기가 매우 짧을 뿐만 아니라, 세포 안으로 흡수(uptake) 되는 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을 갖는다.
양이온성 리포좀을 이용하여 음이온성 약물을 봉입함으로써, 체내 전달 시, 혈중 반감기를 연장시키고 세포 흡수(cellular uptake)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외부 열자극에 반응하여 약물을 분출시키는 온도민감성 리포좀(thermosensitive liposome)으로 설계됨으로써, 특정 외부 열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봉입된 음이온성 약물을 방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기존의 리포좀 제제가 갖는 전신 투여시의 낮은 고형암 표적화 효율의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좀은 지질 이중층,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 (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elastin-like polypetide: ELP), 및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에서,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지질 이중층에 충진되어 있고, 여기에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와 같은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는 리포좀 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2 참조).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지질 이중층 (lipid bi-layer)"은 지질 분자의 2개 층으로 구성된 막을 나타낸다. 지질 이중층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막, 예를 들면, 세포막, 핵막, 및 바이러스 엔벨로프와 유사한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질 이중층의 두께는 10nm 이하, 예를 들면, 1nm 내지 9nm, 2nm 내지 8nm, 2nm 내지 6nm, 2nm 내지 4nm 또는 2.5 nm 내지 3.5 nm 정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질 이중층은 이온, 단백질, 및 그 외 분자가 그들이 있어야 할 곳에 유지되게 하고, 있을 필요가 없는 곳으로 확산하여 가지 못하도록 하는 장벽 (barrier) 역할을 한다. 지질 이중층은 지질분자, 예컨대, 인지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지질 이중층은 대부분 인지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인지질은 친수성 헤드 (head)와 2개의 소수성 테일을 갖는다. 인지질이 수성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두 개의 인지질 분자의 소수성 테일 부분은 서로 마주보고 친수성인 헤드는 수성 환경과 접촉하는 바깥쪽을 향하는 이중 구조를 기본 단위로 하여 2층 시트 (이중층)로 배열되고, 이러한 지질 이중층은 다시 리포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소수성 테일이 존재하는 지질 이중층의 내부는 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고 물에 용해되나 오일에 용해되지 않는 당 또는 염과 같은 분자를 또한 배제한다. 특정 헤드 그룹을 가진 인지질은 이중층의 표면의 화학적 성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지질의 테일은, 예를 들면, 이중층의 상을 결정함으로써 막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질 이중층은 낮은 온도에서 고체의 겔 상을 취하지만,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는 유동상 (fluid state)으로 상전이를 할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을 이루는 지질 사이사이에 다른 종류 지질을 충진(packing)시킴으로써, 스트레칭 및 굽힘 (bending)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한, 지질 이중층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함가능한 다른 종류의 지질은 동물세포에 존재하는 여러 지질 타입들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콜레스테롤일 수 있다. 콜레스테롤은 지질 이중층을 강화하고 투과도를 낮추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 (lipid bilayer)을 구성하는 "지질 분자"는 친수성 헤드와 소수성 테일을 가진 모든 지질 분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질 분자는 C12 내지 C50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인지질, 스핑고 지질, 당지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질 분자는 인지질일 수 있으며, 상기 인지질은 C12 내지 C22, 예컨대 C14 내지 C20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2개의 아실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질은 약 10℃ 내지 약 70℃,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약 65℃, 예컨대, 약 24℃ 내지 약 55℃, 약 35℃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2℃, 약 39℃ 내지 약 45℃ 또는 약 39℃ 내지 약 42℃의 상전이 온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아실기가 포화된 것 또는 불포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2 이상의 인지질 분자의 혼합물일 수 있다. 2 이상의 인지질 분자의 혼합에 의하여 다양한 상전이 온도를 갖는 지질 이중층이 생성될 수 있다.
인지질 분자는 예를 들면, 2개의 아실기를 갖는 것으로서, C12 포화된 사슬 인지질 (예컨대, Tc = 약 10℃), C14 포화된 사슬 인지질 (예컨대, Tc = 약 24℃), C16 포화된 사슬 인지질 (예컨대, Tc = 약 41℃), C18 포화된 사슬 인지질 (예컨대, Tc = 약 55℃), C20 포화된 사슬 인지질 (예컨대, Tc = 약 65℃), C22 포화된 사슬 인지질 (예컨대, Tc = 약 70℃),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질 분자로서 인지질과 유사한 사슬 길이에 따른 상전이 온도 변화 양상을 갖는, 스핑고미엘린과 같은 스핑고지질, 강글리오시드와 같인 당지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C16 포화된 사슬 인지질의 예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PPC)일 수 있다. DPPC는 약 41.5℃의 상전이 온도를 갖는 포화 사슬 (C16) 인지질이다. C18 포화된 사슬 인지질의 예는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SPC)일 수 있다. DSPC는 약 55.10℃의 상전이 온도를 갖는 포화 사슬 (C18) 인지질이다. C14 포화된 사슬 인지질의 예로서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MPC)을 들 수 있다. 상기 DMPC는 약 23℃의 상전이 온도를 갖는 포화사슬 인지질(C14)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질 분자는 DPPC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은 소망하는 상전이 온도를 갖도록 2종 이상이 혼합된 인지질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은 인지질 외에 다른 막-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질 이중층은 고상 막을 형성하는 볼라 지질, 박테리아 지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질 이중층은 수용성 폴리머 (예,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수불용성 폴리머 (예,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에틸에틸렌 등)을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주 지질 (primary lipid)"은 리포좀 이중층에서 리포좀 이중층 물질의 주요 지질 성분 (main lipid component)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인지질 70%와 양이온성 지질 30%로 구성된 리포좀 이중층에서, 인지질은 주 지질이다. 구체예에서, 전체 지질 이중층 (100 몰%) 중의 주 지질 (예컨대 인지질)의 함량은 약 51 내지 100 몰%, 예컨대 약 85 내지 100 몰%일 수 있다.
지질 이중층은 온도에 따라 다른 상 거동(phase behavior)을 나타낼 수 있다. 주어진 온도에서 지질 이중층은 액체 또는 젤 (고체) 중 하나로 존재할 수 있다. 지질 분자는 젤상으로부터 액체상으로 전이하는 특성 온도 (characteristic temperature)를 갖는다. 젤 상 이중층에서 지질 분자는 상기 이중층을 가로질러 뒤집히는 것(flip-flopping)이 저해되고 있으나, 액체상 이중층에서 주어진 지질분자는 이웃하는 분자와 위치를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무작위 교환 (random walk exchange)은 지질분자가 막의 표면을 가로질러 확산하고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한다. 액체상 이중층과는 달리, 젤상 이중층 중의 지질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지질 이중층의 상 거동은 이웃하는 지질 분자 사이의 친화성 (attractive) 반데르 발스 상호작용의 강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더 긴 테일을 가진 지질 분자는 상호작용하는 면적이 더 커서 상호작용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지질 분자 운동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주어진 온도에서, 테일의 길이가 짧은 지질분자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테일의 길이가 긴 지질분자에 비하여 더 유동적일 수 있다.
상전이온도는 지질 분자 테일의 불포화의 정도에 의하여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불포화된 이중결합은 알칸 사슬에서 뒤틀림 (kink)를 생성하여, 지질 충진 (packing)을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파괴는 이중층 내에 추가의 자유 공간 (free space)을 생성하여 이웃하는 사슬에 부가적 유연성 (flexibility)를 부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천연 막은 서로 다른 지질 분자의 복합 혼합물이다. 상기 복합 혼합물의 성분들 중 일부가 주어진 온도에서 액체이고, 다른 성분은 젤 상인 경우, 바다에 떠 있는 빙산과 같이, 두 상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영역에서 공존한다.
용어 "상전이온도 (phase transition temperature)"는 물질이 고체상에서 액체상으로 (용융 온도 (melting temperature)라고도 함) 또는 액체상에서 고체상으로 상 변이를 일으키는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물질은 지질분자,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 (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은 지질 이중층 또는 리포좀, 또는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 (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한 지질 이중층 또는 리포좀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리포좀은 간 및 이자 (세포내피계 (endothelial system) 또는 RES(reticuloendothelial system)의 기관)의 마크로파아지에 의한 빠른 섭취로 인하여 혈중 반감기가 상대적으로 짧아, 리키(leaky)한 종양 조직에서 축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리포좀은 빠른 RES 섭취를 회피하여 혈중 순환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고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질 이중층은 예컨대,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지질 유도체, 예를 들면,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및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 100,000 Da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된 지질 유도체는 C4-C30, 예를 들면 C16-C24의 인지질에 PEG가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체는 DPPC-PEG, 또는 DSPE(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PEG 일 수 있다. 상기 PEG는 분자량 180 내지 50,000 Da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리포좀은 온도에 따라서 상전이 특징을 갖는 지질 이중층을 가지므로,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지질 분자 중 용융 온도에 도달한 지질 분자가 액체상으로 변이되어 지질 이중층 구조가 분해되면서, 내부에 봉입된 물질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리포좀 내부에 활성성분을 봉입하여 투여 하는 경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부위에서 특이적으로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 구조가 분해되어 내부에 봉입된 활성 성분이 방출되게 되므로, 전신 투여에 경우에도 원하는 부위에서의 활성 성분의 표적 방출이 용이하다.
상기 리포좀은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지질 이중층에 충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펩타이드 분자 내 (intra-molecular) 또는 분자 간 (inter-molecular) 수소 결합이 변화함으로써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는 모든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 변화에 의하여 Random coil이 α-helix 또는 β-turn로 변화하여, 리포좀의 상전이에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는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elastin-like polypeptide; ELP), 류신 지퍼 모티프 (Leucine zipper motif), 실크-유사 펩타이드 (silk-like pept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구체적으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elastin-like polypeptide; ELP) 또는 류신 지퍼 모티프 (Leucine zipper motif)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소수성 효과에 의하여 상기 지질 이중층의 지질 분자 사이사이에, 즉 지질 이중층의 내부(지질 이중층의 각 층의 소수성 테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충진되어 지질 이중층의 구성에 참여하고, 거기에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를 상기 지질 이중층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소수성 특성을 가진 분자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지질 분자와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지질 분자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소수성 부분으로만 구성된 소수성 분자 및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분자의 경우, 소수성 부분은 지질 이중층의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친수성 부분은 지질 이중층의 외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상기 친수성 부분에 접합되어 지질 이중층의 외부 (즉 리포좀의 외부 또는 내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소수성 분자와 온도감응성 펩타이드가 접합된 경우에는 소수성 분자가 지질 이중층의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고,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지질 이중층의 외부 방향에 위치하여 리포좀 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방향"이라는 지질 이중층의 내부(지질 이중층의 각 층의 소수성 테일이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외부(친수성 헤드가 위치하는 부위)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리포좀의 내부 방향 또는 리포좀의 외부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생체막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지질 분자이거나 생체막에 천연적으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지질 이중층을 구성할 수 있는 지질 분자들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생체막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지질 분자는 인지질 또는 그의 유도체, 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스핑고지질 또는 그 유도체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 또는 그 유도체는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는 콜레스테롤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스쿠알렌 또는 그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스핑코지질은 스핑고미엘린 또는 강글리오시드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로서의 상기 인지질, 스테롤 또는 스핑고지질은 생체내 합성과정에서 생성되는 중간체 또는 전구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포스포글리세리드, 스핀고신, 세라미드, 세레브로시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C4-C30, 예를 들면, C14-C24의 탄소수, 또는 C16-C24의 탄소수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분자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알콕시 분자일 수 있다.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접합은 생리적 또는 병적 조건에서 절단 가능한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절단 가능한 결합의 예는, pH 절단가능한 링커, 열전달가능한 링커, 광 (radiation) 절단가능한 링커, 수용액에서 전달되는 링커를 매개하여 이루어진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측쇄 또는 측쇄가 아닌 말단에 접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N 말단의 N 또는 C 말단의 카르보닐 (-C(O)-)기와의 결합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측쇄의 작용기, 예를 들면, 아미노기, 카르보닐기, 히드록시기, 티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기와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N 원자와의 아민 또는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C 말단의 카르보닐기와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하나의 사슬을 가진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소수성기 부분이 C4-C30, 예를 들면, C14-C24의 탄소수, 또는 C16-C24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예를 들면, 미리스토일 (C14), 팔미토일 (C16), 스테아로일 (C18), 아라키도닐 (C20), 베헤노닐 (C22) 또는 리그노세로일 (C24)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소수성 효과 (hydrophobic effect)에 의하여 지질 이중층에 충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에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상기 리포좀에 고정되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온도에 따라 구조 (conformation) 변화를 하는 아미노산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elastin-like polypeptide; ELP)", "류신 지퍼 모티프(Leucine zipper motif)" 및 "실크-유사 펩타이드(silk-like pept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류신 지퍼 모티프, 및 실크-유사 펩타이드 등의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역상전이 거동 (inverse phase transitioning behavior)"를 갖는 폴리머일 수 있다. 역상전이 거동이란 "역상전이 온도 (invers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t)" 이하의 온도에서는 수성 용액에 용해성이고, 온도가 역상전이 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상승하는 경우, 불용성으로 되는 것을 나타낸다.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도로 용해성인 긴 사슬 (elongated chain)으로부터 크게 감소된 용해도를 갖는 단단하게 접혀진 응집체 (tightly folded aggregate)로 전이할 수 있다. 이러한 역상전이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구조가 β-턴 (turn) 및 찌그러진 β-구조 (distorted β-structure)를 더 많이 가지게 됨으로써 유도되는 것일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상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는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 범위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경우에, 상기 상전이는 약 10℃ 내지 약 70℃, 예컨대 약 35℃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5℃, 약 39℃ 내지 45℃, 약 38℃ 내지 약 42℃, 또는 약 39℃ 내지 약 42℃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
역상전이 거동 특성은 온도감응성 펩타이드가 지질 이중층의 구성 성분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온도가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Tt 보다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상승함에 따라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수축 및 자가 조립으로 인하여, β 지질 이중층을 파괴할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의 파괴는 지질 이중층의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는 리포좀에 봉입된 활성성분은 더 높은 효율(투과도)로 리포좀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에서의 활성성분의 방출이 이러한 특정 작용 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역상전이 거동에 의한 리포좀을 구성하는 지질 이중층의 파괴는 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지질 분자들, 즉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질 이중층은 그의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는 젤상, 그 이상에서는 액체 (결정성) 상으로 존재한다. 지질 이중층이 젤상으로 존재하는 경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가 역상전이 거동에 의하여 β-턴 구조를 갖는 구조로 변경되더라도, 지질 이중충의 파괴는 일어나지 않거나 제한적일 수 있다. 반면, 지질 이중층이 액체 상으로 존재하는 경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 역상전이 거동에 의하여 β-턴 구조를 갖는 구조로 변경됨에 따라, 지질 이중충의 파괴가 유도될 수 있다. 즉, 지질 이중층이 젤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경우,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역상전이는 지질 이중층의 파괴를 더 효율적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리포좀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방출 온도는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온도 및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역상전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를 포함한, 지질 이중층 또는 리포좀의 상전이 온도는 약 10℃ 내지 약 70℃,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5℃, 약 10℃ 내지 약 45℃, 약 20℃ 내지 약 60℃, 약 20℃ 내지 약 55℃, 약 30℃ 내지 약 55℃, 약 30℃ 내지 약 45℃, 약 35℃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5℃, 약 39℃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2℃, 또는 약 39℃ 내지 약 42℃일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리포좀은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지질 이중층만을 포함하는 리포좀에 비하여, 리포좀에 포함된 활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지질 이중층의 지질 분자의 상전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리포좀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리포좀 외부로의 방출은 지질 분자의 확산(상전이에 의한 분해)에 의하여 유도되는 반면,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경우, 지질 분자의 확산에 의하여 유도되는 것에 더하여,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역상전이 거동, 즉 수축 및 조립 (assembly)에 의한 지질 이중층 파괴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활성성분의 방출이 유도되기 때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 성분은 리포좀의 내부 공간 또는 지질 이중층의 내부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일부분 또는 전체가 VPGXG (서열번호 1), PGXGV (서열번호 2), GXGVP (서열번호 3), XGVPG (서열번호 4), GVPGX (서열번호 5)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복 단위를 1개 이상 포함하고, 여기서 V는 발린, P는 프롤린, G는 글리신, X는 프롤린이 아닌 아미노산(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발린, 아스파라긴,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라이신,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라이신)으로, 천연 아미노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일 수 있다. 여기서, 각 반복 단위의 X는 동일하거나 다른 아미노산일 수 있다. 예컨대, 각 반복 단위의 X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린 또는 알라닌일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는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의 상전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다른 링커 모이어티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거나, 말단이 부분이 상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다른 링커 모이어티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에 포함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5의 반복단위 중 하나 이상에서 X로서 아민을 측쇄로 갖는 아미노산, 예컨대, 라이신, 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치환된 아민기를 측쇄로 갖는 아미노산의 말단의 아민기에 지질 또는 지질과 같이 리포좀 멤브레인에 끼어들어갈 수 있는 링커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상기 X는 발린, 알라닌 또는 측쇄에 아민기를 갖는 아미노산, 예컨대,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일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 대 측쇄에 아민기를 갖는 아미노산 또는 링커 모이어티의 비율은 상기 반복 단위와 측쇄에 아민기를 갖는 아미노산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99.9%의 상기 반복 단위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반복 단위는 2 이상 반복, 예를 들면 2 내지 200회 반복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VPGXG, PGXGV, GXGVP, XGVPG, GVPGX 또는 이들의 조합이 1회 이상 직렬 반복된 블록 (tandemly-repeated blocks)이거나 또는 VPGXG, PGXGV, GXGVP, XGVPG, GVPGX 또는 이들의 조합이 1회 이상 직렬 반복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역상전이 거동 현상이 유지되는 한, VPGXG, PGXGV, GXGVP, XGVPG, GVPGX 또는 이들의 조합만으로 구성된 것뿐만 아니라, 분자 내부에 그외의 다른 부분 (portion),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링커 및/또는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N 말단 또는 C 말단이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 중의 반응성기 또는 말단과의 결합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측쇄 중의 반응성기는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티올기 또는 카르복실기일 수 있다.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에서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반대편 말단은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의 N 말단을 통하여 결합된 경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의 C 말단의 카르복실기는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생체적합하거나, 면역원성이 없거나, 특이적 전달에 도움을 주거나, 생체 분해 시스템으로부터 회피될 수 있는 물질과 결합 또는 반응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의 C 말단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의 결합에 의하여 아미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는 암모니아 분자, 일차 아민,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일 수 있다. 상기 일차 아민,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은 각각 C1-C10, 예를 C1-C6의 탄소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는 서로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회 반복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복회수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200, 1 내지 100, 1 내지 80, 1 내지 60, 1 내지 40, 1 내지 10, 1 내지 12, 1 내지 8, 1 내지 6, 2 내지 200, 2 내지 100, 2 내지 80, 2 내지 60, 2 내지 40, 2 내지 10, 2 내지 12, 2 내지 8, 2 내지 6, 4 내지 100, 8 내지 80, 10 내지 60, 12 내지 40, 20 내지 40, 4 내지 10, 4 내지 8, 또는 4 내지 6의 정수인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팔미토일-(VPGXG)n 또는 스테아로일-(VPGXG)n (n은 1 내지 12의 정수, 예컨대 2 내지 6의 정수)일 수 있다.
한편, 류신 지퍼(Leucin zipper)는 7개의 아미노산 heptad repeat (abcdefg로 표현)로 구성되어 있으며, a와 d 위치에 소수성 아미노산이 위치하고, 보통 d 위치에 류신이 위치한다. 류신 지퍼는 상전이온도(Transition temperature)에서 α-helix conformation 으로 변하고 이때 a와 d 는 helix 구조의 한쪽 면에 위치하면서 coiled-coil 구조를 형성한다.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는 coiled-coil 구조가 dissociation 되고 disordered peptide 가 된다.
상기 류신 지퍼는 N 말단 또는 C 말단에서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결합될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류신 지퍼의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 중의 반응성기 또는 말단과의 결합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측쇄 중의 반응성기는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티올기 또는 카르복실기일 수 있다. 류신 지퍼에서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반대편 말단은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와 류신 지퍼의 N 말단을 통하여 결합된 경우, 류신 지퍼의 C 말단의 카르복실기는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생체 적합하거나, 면역원성이 없거나, 특이적 전달에 도움을 주거나, 생체 분해 시스템으로부터 회피될 수 있는 물질과 결합 또는 반응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류신 지퍼의 C 말단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의 결합에 의하여 아미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는 암모니아 분자, 일차 아민,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일 수 있다. 상기 일차 아민,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은 각각 C1-C10, 예를 C1-C6의 탄소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류신 지퍼는 반복단위 [XSZLESK](서열번호 6)이 n회 반복된 [XSZLESK]n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반복단위에 있어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린(V) 또는 라이신(K)일 수 있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세린(S) 또는 라이신(K)일 수 있으며, n은 반복 단위의 반복 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가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각각의 반복되는 반복 단위는[XSYLESK]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복회수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200, 1 내지 100, 1 내지 80, 1 내지 60, 1 내지 40, 1 내지 10, 1 내지 12, 1 내지 8, 1 내지 6, 2 내지 200, 2 내지 100, 2 내지 80, 2 내지 60, 2 내지 40, 2 내지 12, 2 내지 10, 2 내지 8, 2 내지 6, 4 내지 100, 8 내지 80, 10 내지 60, 12 내지 40, 20 내지 40, 4 내지 10, 4 내지 8, 또는 4 내지 6의 정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류신 지퍼는, 예를 들면, [VSSLESKVSKLESKKSKLESKVSKLESKVSSLESK]-NH2 (서열번호 7-NH2)일수 있다.
상기 리포좀에 있어서, 지질 이중층의 주 지질 분자(예컨대, 인지질):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 (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또는 류신 지퍼)의 몰비는 선택되는 지질 이중층의 특성 및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지질 분자: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의 몰비는 50 내지 99.9:0.1 내지 50의 몰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지질 분자 (DPPC 또는 DPPC와 DSPC의 혼합물):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팔미토일(VPGXG)m 또는 스테아로일(VPGXG)n, n은 각 반복 단위의 반복 회수로서 2 내지 12의 정수) 또는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류신 지퍼 (팔미토일[XSZLESK]n 또는 스테아로일[XSZLESK]n, X는 발린(V) 또는 라이신(K), Y는 세린(S) 또는 라이신(K), n은 반복 회수로서 2 내지 12의 정수)의 몰비는 50 내지 99.9: 0.1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음이온성 약물(특히, siRNA)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인력)에 의해 결합되어 복합체를 형성하여, 음이온성 약물을 리포좀 내부에 봉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지질 이중층이 분해되는 경우에도 음이온성 약물에 정전기적 인력이 어느 정도 미쳐서 약물이 급속하게 방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음이온성 약물을 봉입하는 역할 뿐 아니라, 표적 부위에서 지질 이중층이 분해되어 약물이 방출되는 경우에 급속한 초기 방출을 방지하고, 그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참조).
따라서,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음이온성 약물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지질 종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예컨대, 1,2-디팔미토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1,2-dipalmitoyl-3-trimethylammonium-propane; DPTAP), 1,2-디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1,2-dioleoyl-3-trimethylammonium-propane; DOTAP),
N,N-디올레일-N,N-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ODAC), N,N-디스테아릴-N,N-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DDAB), N-(1-(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N,N-디메틸-(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아민(DODMA), N,N,N-트리메틸-(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아민(DOTMA), 1,2-디아실-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TAP), 1,2-디아실-3-디메틸암모늄-프로판(DAP), 3베타-[N-(N',N',N'-트리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TC-콜레스테롤), 3베타[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DC-콜레스테롤), 3베타[N-(N'-모노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MC-콜레스테롤), 3베타[N-(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AC-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옥시프로판-1-아민 (COPA), N-(N'-아미노에탄)카바모일프로파노익 토코페롤(AC-토코페롤), N-(N'-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프로파노익 토코페롤(MC-토코페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성 아미노산이 1 내지 10개, 예컨대 1 내지 9개, 3 내지 9개, 또는 3 내지 5개 반복된 펩타이드가 C12 내지 C22, 예컨대, C14 내지 C20 또는 C16 내지 C18의 지방산과 접합된 지질 접합체 형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DPTAP, DOTAP, 또는 양이온성 펩타이드(예컨대, 아르기닌)가 1 내지 9개 반복된 펩타이드와 C16 내지 C18의 지방산(예컨대 스테아릴산)이 접합된 지질 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음이온성 약물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양이온성 지질과 음이온성 약물의 복합체 중의 양이온성 지질 부분은 상기 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지질 분자 사이사이에 배치되고, 음이온성 약물은 리포좀 내부에 배치되어, 음이온성 약물이 리포좀에 봉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양이온성 지질과 음이온성 약물과의 복합체 형성은 표적 부위에서 지질 이중층 분해시에 약물의 급속한 초기 방출을 방지하고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지질과 음이온성 약물이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하여 음이온성 약물과 양이온성 지질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음이온성 약물(N)과 양이온성 지질(P)의 전하량의 비율(N/P; 음이온성 약물의 음이온 전하에 대한 양이온성 지질의 양이온 전하 비율)은, 0.1 내지 128이며,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32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6일 수 있다. 상기 비율(N/P)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약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0.1 이상이어야 충분한 양의 음이온 약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반면, 비율(N/P)이 128 초과시에는 독성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128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포좀은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류신 지퍼 등의 온도감응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경우, 지질 이중층 중에 지질 이중층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입된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가 존재하는 경우, 활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온도 이상의 상전이 온도, 예컨대,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온도보다 높은 상전이 온도를 갖는 지질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는 스테로이드, 당지질, 스핑코지질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는 지질 이중층에 삽입 (incorporation)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스테로이드 계열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스테로이드 (steroid)"란 융합된 4개의 시클로알칸 고리의 형태 즉,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A, B 및 C 고리로 명명된 3개의 시클로헥산 고리와 하나의 시클로펜탄 고리 (D 고리)를 포함하는 고난 (gonane)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골격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로부터 유래된 골격"이란 상기 고간 골격에 불포화 결합이 도입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4개의 고리에 부착된 관능기 및 고리의 산화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테로이드는 상기 고리에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테로이드는 상기 고리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테로이드는 스테롤일 수 있다. 용어 "스테롤(sterol)"이란 스테로이드의 한 형태로서, 3번 위치에 히드록실기를 갖고 콜레스탄 (cholestane)으로부터 유래된 골격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유래된 골격"이란 콜레스탄 골격에 불포화 결합이 도입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식물, 동물 및 곰팡이에서 발견되고 있는 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동물 또는 곰팡이에서와 같이 라노스테롤 또는 식물에서와 같이 시클로아르테놀 (cycloartenol)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테롤은 콜레스테롤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여기서 "유도체 (derivative)"란 콜레스테롤의 유도체로서 지질 이중층에 삽입되는 성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안정화제는 콜레스테롤, 시스토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4,22-스티그마스타디엔-3-온, 스티그마스테롤 아세테이트, 라노스테롤, 시클로아르테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은 지질 이중층을 강화하고 투과도를 낮추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정화제,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은 정상적인 체내 온도에서 리포좀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또는 류신 지퍼)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단순 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상기 안정화제,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이 포함되면 경우, 활성성분의 방출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감응성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경우,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지질 이중층 또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활성성분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좁은 온도 범위에서, 예를 들면 약 39℃ 내지 약 45℃의 범위에서 약물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성분이 수성 환경에서 소망하는 리포좀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성분 간의 함량비가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좋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 내의 지질 이중층의 주 지질(예컨대, 인지질)과 양이온성 지질의 합계: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 (예컨대,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또는 류신 지퍼)의 몰비는 100:0.1 내지 5, 구체적으로 100:0.2 내지 3, 보다 구체적으로 100:0.5 내지 2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이 지질 이중층에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포좀 내의 지질 이중층의 주 지질과 양이온성 지질의 합계: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지질 유도체(예컨대, DPPC-PEG, 또는 DSPE-PEG 등)의 몰비는 100:0.5 내지 20, 구체적으로 100:1 내지 10, 보다 구체적으로, 100:2 내지 5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이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포좀 내의 지질 이중층의 주 지질과 양이온성 지질의 합계:지질 이중층 안정화제 (예컨대 콜레스테롤 등)의 몰비는 100:5 내지 50, 구체적으로 100:10 내지 40, 보다 구체적으로, 100:15 내지 35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의 주 지질과 양이온성 지질의 합계 100몰 중의 지질 이중층의 주지질:양이온성 지질의 몰비는 85 내지 99:1 내지 15, 구체적으로 90 내지 99:1 내지 1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은 표적화 효능 및/또는 표적 부위 (예컨대 종양 또는 염증 부위)에의 축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표적화 모이어티(targeting moiety)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RGD, RGD 유도체, 비오틴 또는 그의 유도체, 폴레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 암 세포 또는 염증 부위에 특이적인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유도체, 상기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그 유도체, 암 세포 또는 염증 부위에 특이적인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 또는 그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RGD 유도체는 시클릭 R*GDYK* 펩티드(*는 고리화된 아미드 결합 (-CO-NH-) 위치를 나타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도체는 RGD 서열을 포함하는 시클릭 펩티드로서, RGD 서열, 고리화된 아미드 결합(-CO-NH-) 및 시스테인 말단에서 활성 히드로술피드 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시클릭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X*YRGDYZ*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때, *는 고리화 위치를 나타내고, X는 유리 히드로술피드기를 포함하는 시스테인 잔기를 나타내고, Y는 하나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적절한 길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고, Z는 시스테인 잔기와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시클릭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X*GRGDSPZ*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때, *는 고리화 위치를 나타내고, X는 유리 히드로술피드기를 포함하는 시스테인 잔기를 나타내고, Z는 하나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적절한 길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시클릭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X*GRGSPK*로서 표현될 수 있고, 이 때, *는 고리화 위치를 나타내고, X는 유리 히드로술피드기를 포함하는 시스테인 잔기를 나타낸다. 상기 RGD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표적화 모이어티는 -숙시닐-과 같은 적절한 링커에 의하여 지질분자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지질 분자에 연결되어 DSPE-cRGDYK 분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표적화 모이어티는 RGD 유도체에 링커가 연결된 cRGDYK-CO-(CH2)3-(CO)-일 수 있다 (아래 화학식 1 참조).
Figure pat00001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DSPE-cRGDyK 분자뿐만 아니라, cRGDyK(cyclic RGD)와 같은 표적화 모이어티 그 자체 또는 -CO-(CH2)3-(CO)-와 같은 링커를 통하여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을 형성하는 인지질과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링커는 PEG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C12 내지 C24의 하나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링커로서 PEG를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DSPE-PEG-cRGDyK 형태로 지질 분자(예컨대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인지질)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의 DSPE-PEG2000-cRGDyK의 형태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적화를 위하여 사용된 펩타이드 (구체적으로, cRGDyK)는 약 60개 이하(예컨대, 약 2 내지 6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고 CRGRRST(서열번호 8), CRSRKG(서열번호 9), 및 CKAAKNK(서열번호 1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펩티드로서, 상기 펩티드는 전악성 췌장 혈관 (premalignant pancreatic vasculature), 악성 췌장 혈관 또는 췌장 종양 세포에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home)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상기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지질 유도체(예컨대, DPPC-PEG, 또는 DSPE-PEG)의 친수성 중합체(예컨대, PEG)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표적화 모이어티는 표적화 모이어티를 제외한 지질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mol%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유니라멜라 소포 (unilamellar vesicle: SUV) 또는 멀티소포성 소포 (multivesicular vesicles)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직경 50nm 내지 500nm, 예를 들면, 50nm 내지 400nm, 50nm 내지 300nm, 50nm 내지 200nm, 100nm 내지 500nm, 100nm 내지 400nm, 100nm 내지 300nm, 또는 100nm 내지 200nm일 수 있다.
일 구체예는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감응성 펩타이드,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인지질 유도체, 콜레스테롤, 및 양이온성 지질(예컨대, DPTAP, DOTAP, 또는 양이온성 아미노산과 지방산이 접합된 지질 접합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성분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은 DPPC 또는 DPPC와 DSPC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DPPC: DSPC가 1: 0 내지 0.5, 예를 들면, 1: 0.1 내지 0.5의 몰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의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아실기이고,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VPGXG)n 또는 (GVPGX)m를 포함하고, X는 프롤린이 아닌 아미노산이고, n 또는 m은 반복 회수로서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X는 발린 또는 알라닌일 수 있다. n은 1 내지 12 또는 2 내지 12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12 또는 2 내지 12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스테아로일-(GVPGX)2-6인 것일 수 있다. 스테아로일-(GVPGX)2-6의 카르복실 말단의 카르복실기는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 (예, 암모니아)의 결합에 의한 아미드 결합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인지질 유도체는 DPPC-PEG, 또는 DSPE-PEG일 수 있다. 상기 PEG는 분자량 180 내지 50,000 Da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DPTAP, DOTAP, 또는 스테아릴산-(아르기닌)n (n은 3, 6 또는 9)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는 콜레스테롤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약 10℃ 내지 약 70℃의 상전이 온도,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5℃, 약 10℃ 내지 약 45℃, 약 20℃ 내지 약 60℃, 약 20℃ 내지 약 55℃, 약 30℃ 내지 약 55℃, 약 30℃ 내지 약 45℃, 약 35℃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5℃, 약 39℃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2℃, 또는 약 39℃ 내지 약 42℃의 상전이 온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전이 온도는 주 지질 분자의 탄소 사슬 길이, 불포화 결합의 수, 지질분자의 혼합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전이 온도가 낮은 DPPC에 DPPC 보다 높은 DSPC를 혼합하는 경우, DPPC와 DSPC의 혼합물로 구성된 리포좀은 DPPC만으로 구성된 리포좀 보다 상전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실온에서 젤상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상기 리포좀 및 음이온성 약물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에서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상기 리포좀 내부(interior) 및/또는 지질 이중층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항염제, 항암제, 핵산 물질 등의 음이온을 띠는 모든 약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카르복실레이트기(예컨대, 모노카르복실레이트기, 다이카르복실레이트기, 트리카르복실레이트기, 멀티카르복실레이트기 등), 설페이트기, 시트레이트기, 포스페이트기, 포스포릴레이트화된 작용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관능기를 갖는 화학 약물, 및 siRNA, 올리고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ODN), DNA 등을 포함하는 핵산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약물에 속하는 화학 약물로서 칼세인(calcein, 모델 약물),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MTX; 다이카르복실레이트 약물) 등이 사용되고, 핵산 물질로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microRNA, DNA, non coding RNA, siRN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상기 리포좀 성분 중 하나인 양이온성 지질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고, 음이온성 약물이 결합된 양이온성 지질이 다른 구성 성분들과 함께 리포좀을 형성하면서 음이온성 약물은 리포좀 내부(interior) 및/또는 지질 이중층 내부에 봉입되게 된다.
음이온성 약물의 봉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리포좀은 양전위값을 갖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양전위는 양이온성 지질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포좀의 순수한 물에서의 제타 전위는 1 내지 70 mV, 예컨대 1 내지 50 mV, 또는 1 내지 45 m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음이온성 약물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양전위값을 나타내면 된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희석제는 물 예를 들면, 식염수 및 멸균수, 링거액, 완충제,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포좀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리포좀은 수성 매질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성 매질은 생리식염수 또는 PB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상기 리포좀의 내부 공간에 포집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상기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 내부 (지질 이중층의 각 층의 소수성 테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포집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38℃ 내지 45℃ 또는 39℃ 내지 45℃의 상전이 온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실온에서 젤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에서,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가 되면 지질 이중층이 액체상으로 전환되면서 분해가 시작되고, 이에 의하여 내부에 포함된 음이온성 약물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음이온성 약물이 작용하여야 하는 표적 부위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표적 부위에서의 특이적 약물 방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의 약물 방출 원리를 도 1 및 도 2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 음이온성 약물, 도 2: 음이온성 약물이 siRNA인 경우).
상리 리포좀은 수화(hydration) 및/또는 압출(extrusion)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수화시에 리포좀 내에 봉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상기한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 방법은 상기 환자의 병변 부위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 병변 부위의 특성 또는 상태, 목적하는 치료 효과 등을 고려하여, 상기 열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투여 단계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병변 부위는 병 또는 이에 따른 증상이 발생한 부위로서, 예컨대 종양 부위(예컨대 고형 종양), 염증 부위 등일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에 포함된 음이온성 약물이 적용되어야 하는 표적 부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은 부위에서 여기에 포함된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이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액체상으로 전환되어 지질 이중층이 분해됨으로써 리포좀 내부 또는 지질 이중층 내부에 봉입된 음이온성 약물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환자의 병변 부위가 염증 등에 의하여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 온도 이상으로 발열된 상태이거나, 상기 병변 부위에 인위적으로 열을 가하는 단계에 의하여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 온도 이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 병변 부위에서만 특이적으로 음이온성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 방법은 환자의 체내의 병변 부위(표적 부위)에 음이온성 약물을 특이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에 포함된 리포좀은 상전이 온도 39℃ 내지 4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투여, 피하, 근육내, 체강내 (복강, 관절, 또는 안강), 또는 직접 주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직접 주사는 병변 부위 예를 들면, 종양 부위에 직접 주사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투여는 정맥과 같은 혈액 내 투여에 의하여 수행되고, 혈류에 의하여 종양 부위와 같은 치료 표적 부위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적 부위는 리키한(leaky)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환자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특히 인간일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음이온성 약물에 의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일 수 있다.
상기 상기 환자의 병변 부위에 열을 가하는 단계는 직접적 열전달, 예를 들면, 고온 또는 발열 매질(예컨대, 더운 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재(예컨대, 핫팩)에 병변 부위 (표적 부위)를 접촉시키는 것, 표적 부위에 초음파, 예를 들면, 고강도 집중된 초음파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를 가하는 것, 또는 자기장, 예를 들면, 증폭된 자기장 (amplified magnetic field: AMF), 초단파 (microwave) 및/또는 고주파 (rafiofrequency)를 가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을 가하는 단계는 병변 부위가 약 35℃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5℃, 약 39℃ 내지 약 45℃, 약 38℃ 내지 약 42℃, 또는 약 39℃ 내지 약 42℃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상기한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가열 수단은 환자의 병변 부위, 즉 상기 음이온성 약물의 치료 표적 부위에 열을 가하여 상기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지질 이중층의 상전이 온도 이상 (액체상으로 전환)이 되도록 만들기 위한 것으로, 생체에 적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모든 가열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열 수단은 고온 또는 발열 매질(예컨대, 더운 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기구(내부에 포함된 고온 또는 발열 매질로부터 열을 서서히 방출시켜 생체에 적용 가능한 온도로 열을 전달하는 기구; 예컨대, 핫팩), 또는 초음파, 자기장, 초단파 (microwave) 및/또는 고주파 (rafiofrequency) 발생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양이온성 및 온도민감성 리포좀은 내부에 음이온성 약물의 봉입이 용이하고, 봉입된 음이온성 약물의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고 세포 흡수를 촉진시킬 뿐 아니라, 표적 부위로의 특이적 약물 전달이 용이하여, 다양한 음이온성 약물, 예컨대, 항염제, 항암제, 핵산 물질 등의 전달에 응용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이 일반적인 음이온성 약물을 포함하는 경우의 약물 방출 원리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이 음이온성 약물로서 siRNA를 포함하는 경우의 약물 방출 원리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DPPC/DSPC/DPTAP/DSPE-PEG/cholester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의 평균 직경을 인지질+DPTAP 내의 DPTAP 함량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3a: DPTAP 함량 0 몰%; 3b: DPTAP 함량 5 몰%; 3c: DPTAP 함량 10 몰%; 3d: DPTAP 함량 15 몰%).
도 4a 내지 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DPPC/DSPC/SA-(R)3/DSPE-PEG-cRGD/cholesteol/SA-V3-NH2 또는 DPPC/DSPC/SA-(R)4/DSPE-PEG/choleste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의 평균 직경을 인지질+SA-(R)3내의 SA-(R)3 함량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4a: SA-(R)3 함량 5 몰%; 4b: SA-(R)3함량 10 몰%, 4c: SA-(R)4 함량 7.5 몰%; 4b: SA-(R)4함량 10 몰%,)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DPPC/DSPC/DPTAP/DSPE-PEG/cholester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의 온도에 따른 칼세인 양상을 DPTAP 함량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DPPC/DSPC/DSPE-PEG/cholesterol/SA-V3-NH2 또는 DPPC/DSPC/SA-(R)3/DSPE-PEG/cholester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의 온도에 따른 칼세인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pty 리포좀(DPPC/DSPC/SA-(R)3/DSPE-PEG/cholesterol/SA-V3-NH2)의 SA-(R)3 /siRNA 함량비에 따른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Empty 리포좀은 세포독성이 없음을 보여 준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를 리포좀 (DPPC/DSPC/SA-(R)3/cholesterol 또는 DPPC/DSPC/SA-(R)3/cholesteol/SA-V3-NH2) 에 봉입한 후 메토트렉세이트의 봉입량을 비교한 그래프 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siRNA 와 리포좀(DPPC/DSPC/DSPE-PEG-cRGD/cholesteol/SA-V3-NH2 또는 DPPC/DSPC/SA-(R)3/DSPE-PEG-cRGD/cholesteol/SA-V3-NH2 또는 DPPC/DSPC/SA-(R)4/DSPE-PEG/cholesteol/SA-V3-NH2)의 complexation 을 나타낸 gel retardation 결과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 (DPPC/DSPC/SA-(R)3/DSPE-PEG/cholesterol/SA-V3-NH2)/siRNA complex의 온도별 GFP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준 그래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을 세포에 처리한 후 얻어진 세포 사진이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에 약물이 내부에 봉입된 형태와 표면에 흡착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포좀의 제조
인지질+양이온성 지질,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지질 유도체,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 및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를 55:2:10:0.55의 몰비로 사용하여 유니라멜라 소포 형태 (unilamellar vesicle)의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지질로서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PPC)과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SPC)을 사용하고, 상기 양이온성 지질로서 DPTAP, 스테아릴산-(아르기닌)3, 스테아릴산-(아르기닌)4, 스테아릴산-(아르기닌)6, 또는 스테아릴산-(아르기닌)9를 사용하고, 상기 친수성 중합체로서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2000] (암모늄 염)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methoxy(polyethylene glycol)-2000] (ammonium salt)] (DSPE-PEG; PEG 평균분자량: 2000) 또는 DSPE-PEG-cRGD(cyclic RGD)를 사용하고,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로서 스테아로일-VPGVG VPGVG VPGVG-NH2(이하, 'SA-V3-NH2')를 사용하였다.
상기 인지질+양이온성 지질 100 몰 중의 인지질 DPPC와 DSPC, 양이온성 지질(DPTAP, 스테아릴산-(아르기닌)3[SA-(R)3], 스테아릴산-(아르기닌)3[SA-(R)4], 스테아릴산-(아르기닌)6[SA-(R)6], 또는 스테아릴산-(아르기닌)9[SA-(R)9])의 함량은 몰비로 75:25:0 (대조군), 70:25:5, 67.5:25:7.5, 또는 60:25:10, (DPPC 몰수: DSPC 몰수:양이온성 지질 몰수)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SA-V3-NH2을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DPPC, DSPC, DSPE-PEG 또는 DSPE-PEG-cRGD, 및 콜레스테롤은 클로로포름 중에 용해시켰다. 양이온성 지질은 메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에탄올 용액과 클로로포름 용액 및 메탄올 용액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혼합한 후 회전 증발기 (rotary evaporater)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상기 용기의 내벽 상에 지질 박막을 형성시켰다.
상기 지질 박막이 형성된 용기에 생리 식염수(pH 7.3-7.6)를 상온에서 첨가하여 수화시켰다. 상기 얻어진 수화된 용액을 상온에서 공극 크기 100nm 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막을 통과시켜 유니라멜라 소포 형태의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음이온성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얻어진 지질 박막이 형성된 용기에 수용성 형광분자인 200mM 칼세인 (calcein)이 녹아 있는 생리식염수(pH 7.3-7.6)를 상온에서 첨가하여, 상기 지질 박막을 수화시켰다. 상기 수화된 용액을 상온에서 공극 크기 100nm 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막을 통과시켜 유니라멜라 소포 형태의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리포좀 용액을 PD-10 (GE Healthcare) 탈염 칼럼을 생리식염수를 흘리면서 통과시켜 봉입되지 않은 칼세인을 제거하였다. 그 결과, 칼세인 이 리포좀의 수성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Zetasizer (Zetasizer nano-ZS, Malvern inst.) 기기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제조된 리포좀의 평균 직경은 약 100 내지 200 nm 정도였다.
MTX(Methotrexate) 봉입을 위하여, 상기 기술한 칼세인 대신, 1mg/ml MTX 로 리포좀을 수화한 후, 100nm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막을 통과 시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리포좀 용액을 gel filtration 컬럼 (Sepadex G-50) 을 이용하여 MTX 봉입된 리포좀과 free MTX를 분리하여 MTX 봉입된 리포좀을 정제하였다. 그결과, MTX 가 리포좀의 수성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리포좀이 제조 되었다.
siRNA loading을 위하여, 생리식염수로 상온에서 수화하여 공극 크기100nm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막을 통과시켜 리포좀을 제조한 후, 생성된 리포좀에 siRNA을 complexation 시켰다. 이때 사용한 siRNA는 GFP siRNA (sense 5'-AAC UUC AGG GUC AGC UUG CdTdT-3'(서열번호 11-dTdT), antisense 5'-GCA AGC UGA CCC UGA AGU UdTdT-3'(서열번호 12-dTdT)) 또는 VEGR siRNA (sense 5'-GGA GUA CCC UGA UGA GAU CdTdT-3'(서열번호 13-dTdT), antisense 5'-GAU CUC AUC AGG GUA CUC CdTdT-3'(서열번호 14-dTdT))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 측정된 리포좀(DPPC/DPTAP/DSPE-PEG/cholester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의 평균 직경을 인지질+DPTAP 내의 DPTAP 함유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측정된 리포좀(DPPC/SA-(R)3/DSPE-PEG/choleste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의 평균 직경을 인지질+SA-(R)3 또는 인지질+SA-(R)4 내의 SA-(R)3 또는 SA-(R)4 함유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a 내지 4d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 지질의 첨가 유무 및 첨가량에 관계없이 리포좀의 평균 직경은 균일한 양상을 나타냈으며, 이는 양이온성 지질의 첨가가 리포좀의 크기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3: 리포좀의 제타 전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리포좀의 제타전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리포좀의 표면 전위는 Zetasizer (Zetasizer nano-ZS, Malvern inst.)와 Zeta cell (DTS-1060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Zeta cell(DTS-1060C)에 준비한 시료 600ul(microliter)를 bubble이 생기지 않도록 넣고 이 cell을 Zetasizer 기기에 넣은 후 측정하여 zeta potential(mv) 값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리포좀(DPPC/DSPC/DPTAP/DSPE-PEG/cholesterol/SA-V3-NH2)의 인지질+DPTAP 내의 DPTAP 함량에 따른 제타 전위(Zeta potential) 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고, 리포좀(DPPC/DSPC/SA-(R)3/DSPE-PEG-cRGD/cholesteol/SA-V3-NH2)의 인지질+SA-(R)3 내의 SA-(R)3 함량에 따른 제타 전위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리포좀(DPPC/DSPC/SA-(R)4/DSPE-PEG-cRGD/cholesteol/SA-V3-NH2)의 인지질+SA-(R)4 내의 SA-(R)4 함량에 따른 제타 전위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리포좀(DPPC/DSPC/DPTAP/DSPE-PEG/cholesterol/SA-V3-NH2)의 DPTAP 함량에 따른 제타 전위
인지질+DPTAP 내의 DPTAP 함량 (몰%) 제타 전위(mV)
0 (대조군) -61.6
5 19.0
10 39.2
15 42.0
리포좀(DPPC/DSPC/SA-(R)3/DSPE-PEG-cRGD/cholesteol/SA-V3-NH2)의 SA-(R)3 함량에 따른 제타 전위
인지질+SA-(R)3내의 SA-(R)3함량 (몰%) 제타 전위(mV)
0 (대조군) -23.4
5 44.6
10 49.2
리포좀(DPPC/DSPC/SA-(R)4/DSPE-PEG/cholesteol/SA-V3-NH2)의 SA-(R)4 함량에 따른 제타 전위
인지질+ SA-(R)4내의 SA-(R)4함량 (몰%) 제타 전위(mV)
0 (대조군) -53.8
5 33.8
10 42.8
상기 표 1 내지 표 3 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 지질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제타 전위가 음의 값이어서, 음이온성 약물과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복합체 형성이 불가능 하지만, 양이온성 지질이 포함됨으로써 제타 전위가 양의 값이 되어 음이온성 약물과의 복합체 형성 및 이로 인한 약물 봉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제타 전위 값은 양이온성 지질의 함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함량 범위에서 음이온성 지질과의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생체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인 1 내지 50 mV의 제타 전위를 나타내어, 상기 리포좀은 생체 적합하면서 효과적으로 음이온성 약물을 봉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양이온성 지질 함량에 따른 음이온성 약물의 방출 양상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음이온성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DPPC/DPTAP/DSPE-PEG/cholesterol/SA-V3-NH2, 음이온성 모델 약물: 칼세인)을 이용하여 양이온성 지질(DPTAP) 함량에 따른 음이온성 모델 약물(칼세인)의 방출 양상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리포좀 제형의 열 민감성 약물분출 패턴은 생리식염수의 존재하에서 25℃ 내지 55℃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상기 리포좀의 수성 내부로부터 주변 용액으로 방출되는 칼세인의 백분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상기 시료의 형광 강도는 리포좀으로부터 방출된 칼세인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절히 희석 후 여기 파장 (λex) = 485nm 및 방출 파장 (λem)= 535nm에서 측정되었다. 특정 온도에서 인큐베이션에 따른 상대적 백분율 형광 강도는 1% Triton X-100 (DMSO)의 첨가에 의하여 상기 리포좀 시료의 파괴 후 얻어진 포집된 물질의 총 방출량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계산되었다.
도 5는 실시예 4에 따라 DPPC/DSPC/DOTAP,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NH2의 몰비가 55 (75/25/0): 2: 10: 0.55, 55 (70/25/5): 2: 10: 0.55, 55 (65/25/10): 2: 10: 0.55, 55 (60/25/15): 2: 10: 0.55, 55 (55/25/5): 2: 10: 0.55 로 제조된 리포좀으로부터 온도에 따른 칼세인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DOTAP 를 포함하는 리포좀은, 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전이 온도 부근에서의 약물이 급속하게 방출되는 경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OTAP 를 포함하는 리포좀이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급속한 약물의 초기 방출을 방지하여 약물의 방출 조절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4에 따라 DPPC/DSPC/SA-(R)3,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의 몰비가 55 (75/25/0): 2: 10: 0.55, 55 (65/25/10): 2: 10: 0.55 로 제조된 리포좀으로부터 온도에 따른 칼세인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는 상전이 온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 5: 음이온성 약물의 봉입 확인
실시예 2를 참조하여 DPPC/DSPC/SA-(R)3: DSPE-PEG:cholesterol: SA-V3-NH2 =55(75/25/0):2:10:0.55, 55(65/25/10):2:10:0.55의 구성 성분과 구성비를 가지는 MTX 봉입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HPLC (Waters e2695 separation module, detector Waters2489)에 의하여 상기 제조된 리포좀 내의 MTX 봉입량을 분석하였다. Free MTX 용액을 다양한 농도 (0.003mg/ml~0.384mg/ml)로 준비(standard curve 용액)하고, MTX 봉입 리포좀은 DMSO (최종농도 50%, v:v =1:1)에 녹여서 준비(측정할 sample 용액)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한 이동상으로 Distilled water 에 녹인 0.1%(v/v) TFA (trifluoroacetic acid) 용액 (A)와 ACN(acetonitrile)에 녹인 0.1%(v/v) TFA 용액 (B)을 사용하여 약물을 용출 시키고, 303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MTX 고유 피크가 관찰 되어, 이들 약물이 리포좀에 포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tandard MTX 농도별 peak area 로 plot 하여 standard curve를 완성하였다. 샘플의 peak area를 계산하여 완성된 plot 을 참고하여 최종적으로 봉입된 MTX를 계산하였다.
도 7a는 HPLC를 이용하여 free MTX 를 농도별로 303 nm 에서 detection 하여 plot한 standard curve 이고, 도 7b는 양이온성 지질인 SA-R3 를 함유하지 않은 리포좀과 주 지질의 10% 를 함유한 리포좀의 MTX 봉입량을 비교한 그래프 이다. 도 7a 및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R3 가 없을 때 대비 주지질의 10%의 SA-R3가 있을때, MTX의 봉입량이 4배 정도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Gel retardation assay 를 통한 siRNA / 리포좀 complexation 확인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DPPC/DSPC/SA-(R)3,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의 몰비가 55 (75/25/0): 2: 10: 0.55 또는 55 (65/25/10): 2: 10: 0.55 로 구성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또한 DPPC/DSPC/SA-(R)4,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의 몰비가 55 (67.5/25/7.5): 2: 10: 0.55 또는 55 (65/25/10): 2: 10: 0.55 제조된 리포좀을 제조 하였다. SA-(R)3/siRNA, 또는 SA-(R)4/siRNA 질량비가 3.2, 3.9, 5.2, 6.4, 13, 19, 26, 32 가 되도록 siRNA와 리포좀을 complexation 시키기 위하여, 상기 질량비로 섞은 후, 상온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2% agarose gel을 이용하여 110 V에서 20분간 running 시켰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리포좀에 siRNA를 complexation 시킨 후 얻은 gel retardation assay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성 지질이 없이 제조된 리포좀에서는 free siRNA 만 detection 되었고, SA-R3가 주지질의 10% 를 함유 하였을 때는 SA-(R)3/siRNA 질량비가 13에서 gel retardation 현상이 시작되어 이때부터 siRNA/리포좀 complexation이 완전히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SA-(R)4가 주지질의 7.5% 또는 10% 함유 하였을때는 SA-(R)4/siRNA 질량비가 각각 6.4와 5.2부터 siRNA/리포좀 complexation이 완전히 일어남을 알수 있다.
실시예 7. Empty 리포좀의 세포독성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DPPC/DSPC/SA-(R)3,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의 몰비가 55 (65/25/10): 2: 10: 0.55이 되도록 제조된 empty 리포좀의 MDAMB435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104개의 MDAMB-435세포(ATCC)를 96 웰에서 10% (v/v) FBS (Fetal bovine serum)와 1%(w/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 준비된 empty 리포좀을 배양된 MDAMB435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세포는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CK-8 (Dojindo) kit를 처리 하였다. 세포는 37℃에서 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상대적인 비율로 세포 독성 (cell cytotoxicity)을 측정하였다.
도 9는 상기 측정된 empty 리포좀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X축은 SA-V3의 농도(uM)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SA-(R)3의 함유량이 siRNA와 충분히 complexation을 유도하는 SA-(R)3/siRNA 질량비 13에서 사용한 양과 동일량의 리포좀에서도(즉, siRNA와 결합하는데 필요한 전달체 자체로는) 세포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리포좀 자체로는 독성이 전혀 없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8. GFP ( Green Fluorescence Protein ) 발현 시험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DPPC/DSPC/SA-(R)3,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의 몰비가 55 (65/25/10): 2: 10: 0.55 로 제조된 리포좀으로 GFP (Green Fluorescence Protein) 과발현된 MDAMB435 세포에서 GFP 발현 시험을 실시하였다. 2X105개의 MDAMB-435세포를 12 웰에서 10%(v/v) FBS (Fetal bovine serum)와 1%(w/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3번 washing하였다. 그 후 배지를 Serum free media (360 ul/well)로 바꾸어 주었다. 리포좀을 구성하는 구성성분 중 양이온성 지질인 SA-R3와 siRNA의 질량비 SA-R3/siRNA를 13으로 complexation시킨 siRNA/리포좀 complex를 40 ul/well의 양으로 세포에 처리 하였다. 상기 세포를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Thermoshaker에 넣고 42℃에서 30분간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 후에 10% FBS가 포함된 배지로 바꾸어 주고 (2ml/well), 37℃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를 lysis하였다. 1% Triton 용액을 넣고 4℃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이때 10분마다 vortex 시켜 주어 세포가 lysis 되는 것을 도와주었다. Cell lysate를 4℃에서 14,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만 분리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상등액의 형광 강도는 여기 파장 (λex) = 488nm 및 방출 파장 (λem)= 525nm에서 측정하였다.
도 10은 상기 방법으로 SA-R3/siRNA 질량비 13 에서 리포좀과 siRNA를 complexation 시킨 후에 GFP 과발현 MDAMB435 세포에서의 GFP 발현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GFP는 37 ℃ 에서 80% 발현되어 20%의 단백질 발현 억제를 보였고, 42℃ 에서는 68%가 발현되어 32%의 단백질 발현 억제를 보였다.
실시예 9. 세포 독성( Cell cytotoxicity ) 시험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DPPC/DSPC/SA-(R)3, DSPE-PEG, 콜레스테롤 및 SA-V3-NH2의 몰비가 55 (65/25/10): 2: 10: 0.55 로 제조된 리포좀에 MTX를 봉입하였다. 1X104개의 HeLa 세포(ATCC)를 96 well plate에서 10%(v/v) FBS (Fetal bovin serum)와 1%(w/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와 함께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100 ul의 MTX 봉입 리포좀 (10.7ug/ml)을 세포에 처리하였다. 세포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 Thermoshaker에 넣고 각각 37℃와 42℃에서 30분간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후에 10% FBS가 포함된 배지로 바꾸어 주고 (2ml/well)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사진을 관찰하였다.
도 11은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세포 사진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7℃에서는 cell viability가 높은 반면, 42℃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서 세포수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120> Temperature sensitive liposome comprising cationic lipid and use thereof <130> DPP20127510KR <160> 1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t of elastin-like polypetide, wherein Xaa is an amino acid except proline <400> 1 Val Pro Gly Xaa Gly 1 5 <210> 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t of elastin-like polypetide, wherein Xaa is an amino acid except proline <400> 2 Pro Gly Xaa Gly Val 1 5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t of elastin-like polypetide, wherein Xaa is an amino acid except proline <400> 3 Gly Xaa Gly Val Pro 1 5 <210> 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t of elastin-like polypetide, wherein Xaa is an amino acid except proline <400> 4 Xaa Gly Val Pro Gly 1 5 <210> 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t of elastin-like polypetide, wherein Xaa is an amino acid except proline <400> 5 Gly Val Pro Gly Xaa 1 5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t of Leucin zipper, wherein Xaa at 1st position is Val or Lys and Xaa at 3rd position is Ser or Lys <400> 6 Xaa Ser Xaa Leu Glu Ser Lys 1 5 <210> 7 <211> 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cin zipper <400> 7 Val Ser Ser Leu Glu Ser Lys Val Ser Lys Leu Glu Ser Lys Lys Ser 1 5 10 15 Lys Leu Glu Ser Lys Val Ser Lys Leu Glu Ser Lys Val Ser Ser Leu 20 25 30 Glu Ser Lys 3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comprised in a peptide for targeting <400> 8 Cys Arg Gly Arg Arg Ser Thr 1 5 <210> 9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comprised in a peptide for targeting <400> 9 Cys Arg Ser Arg Lys Gly 1 5 <210> 1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comprised in a peptide for targeting <400> 10 Cys Lys Ala Ala Lys Asn Lys 1 5 <210> 11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of GFP siRNA <400> 11 aacuucaggg ucagcuugc 19 <210> 12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of GFP siRNA <400> 12 gcaagcugac ccugaaguu 19 <210> 13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trand of VEGR siRNA <400> 13 ggaguacccu gaugagauc 19 <210> 14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trand of VEGR siRNA <400> 14 gaucucauca ggguacucc 19

Claims (18)

  1. 지질 이중층,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 및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상기 지질 이중층에 충진되어 있는 것인, 리포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1,2-디팔미토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DPTAP), 1,2-디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DOTAP), N,N-디올레일-N,N-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ODAC), N,N-디스테아릴-N,N-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DDAB), N-(1-(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N,N-디메틸-(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아민(DODMA), N,N,N-트리메틸-(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아민(DOTMA), 1,2-디아실-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TAP), 1,2-디아실-3-디메틸암모늄-프로판(DAP), 3베타-[N-(N',N',N'-트리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TC-콜레스테롤), 3베타[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DC-콜레스테롤), 3베타[N-(N'-모노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MC-콜레스테롤), 3베타[N-(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AC-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옥시프로판-1-아민 (COPA), N-(N'-아미노에탄)카바모일프로파노익 토코페롤(AC-토코페롤) 및 N-(N'-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프로파노익 토코페롤(MC-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성 아미노산이 1 내지 10개 반복된 펩타이드가 C12 내지 C22의 지방산과 접합된 지질 접합체인,
    리포좀.
  3. 제1항에 있어서,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지질 이중층 안정화제는 상기 지질 이중층에 삽입될 수 있는 스테로이드, 당지질, 및 스핑코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콜레스테롤, 시스토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4,22-스티그마스타디엔-3-온, 스티그마스테롤 아세테이트, 라노스테롤, 및 시클로아르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응성 펩타이드는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 (elastin-like polypeptide; ELP) 및 류신 지퍼 (Leucine zipp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타이드는 VPGXG, PGXGV, GXGVP, XGVPG, GVPGX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반복 단위가 1 내지 200회 반복된 것이고, V는 발린이고, P는 프롤린이고, G는 글리신이고, 각 반복단위의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발린, 아스파라긴,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라이신,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및 라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리포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류신 지퍼는 반복단위 [XSZLESK]이 n회 반복된 [XSZLESK]n으로 표현되며, 각 반복단위에 있어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린 또는 라이신이고,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세린 또는 라이신이고, n은 1 내지 200의 정수인,
    리포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는 인지질, 스테롤, 스핑고지질, C4-C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C4-C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분자, 또는 포화 또는 C4-C30의 불포화 알콕시 분자인, 리포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이중층은 C12-C22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포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중합체로 유도체화된 인지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리포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및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리포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38℃ 내지 45℃의 상전이 온도를 갖는 것인, 리포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평균 직경 50nm 내지 500nm인, 리포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및 음이온성 약물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상기 리포좀의 내부, 지질 이중층 내부 또는 리포좀 내부 및 지질 이중층 내부 모두에 봉입된 것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약물은 카르복실레이트기, 설페이트기, 시트레이트기, 포스페이트기, 및 포스포릴레이트화된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관능기를 갖는 화학 약물, 또는 핵산 물질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
  17. 제15항의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약학 조성물 및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고온 또는 발열 매질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열전달 기구, 또는 초음파, 자기장, 초단파 (microwave) 또는 고주파 (rafiofrequency) 발생기인,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키트.
KR1020130035290A 2013-04-01 2013-04-01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KR10210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290A KR102109188B1 (ko) 2013-04-01 2013-04-01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US14/242,602 US9439858B2 (en) 2013-04-01 2014-04-01 Temperature sensitive liposome including cationic lipid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290A KR102109188B1 (ko) 2013-04-01 2013-04-01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14A true KR20140119514A (ko) 2014-10-10
KR102109188B1 KR102109188B1 (ko) 2020-05-11

Family

ID=5162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290A KR102109188B1 (ko) 2013-04-01 2013-04-01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9858B2 (ko)
KR (1) KR102109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64A1 (ko) * 2022-08-30 2024-03-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막 유래 핵산 전달용 나노소낭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532A (ko) * 2002-03-30 2003-10-08 곽해수 치즈의 콜레스테롤 제거방법
US20130210747A1 (en) 2012-02-13 2013-08-1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thods and Therapeutics Comprising Ligand-Targeted ELPs
US9107904B2 (en) * 2012-04-05 2015-08-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mmunostimul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4026054A2 (en) 2012-08-10 2014-02-1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D20 scFv-ELPs METHODS AND THERAPEUTICS
US9718921B2 (en) 2013-02-26 2017-08-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mphiphilic derivatives of thioether containing block copolypeptides
US10392611B2 (en) 2013-05-30 2019-08-27 Duke University Polymer conjugates having reduced antigenicit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364451B2 (en) 2013-05-30 2019-07-30 Duke University Polymer conjugates having reduced antigenicit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60168228A1 (en) 2014-12-10 2016-06-16 S-Aima Holding Company, Llc Generation of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s using elastin-like polypeptides
WO2016154120A1 (en) 2015-03-20 2016-09-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lypeptides, peptides, and proteins functionalized by alkylation of thioether groups via ring-opening reactions
WO2016154530A1 (en) 2015-03-26 2016-09-29 Duke University Targeted therapeutic agents comprising multivalent protein-biopolymer fusions
US10710044B2 (en) * 2015-04-02 2020-07-14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Tubular and vesicular architectures formed from polymer-lipid blend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16191556A1 (en) * 2015-05-26 2016-12-0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Liposomal nanoconstru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799456B2 (en) 2015-06-15 2020-10-13 University Of Washington Multiple drug lipid nanoparticle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s for extended drug levels in blood and lymph tissue
EP3124495A1 (en) * 2015-07-31 2017-02-01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Derivatives of elastin-like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CA2994279A1 (en) 2015-08-04 2017-02-09 Duke University Genetically encoded intrinsically disordered stealth polymers for delivery and methods of using same
MX2018003096A (es) 2015-09-15 2018-05-11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ntiene farmaco anionico, y metodo de preparacion para la misma.
WO2017062502A1 (en) * 2015-10-05 2017-04-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go, A Body Corporate Lipoplexes formulated for catalytic delivery
US11752213B2 (en) 2015-12-21 2023-09-12 Duke University Surfaces having reduced non-specific binding and antigenicity
US11732008B2 (en) 2016-04-27 2023-08-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paration of functional homocysteine residues in polypeptides and peptides
US11467156B2 (en) 2016-06-01 2022-10-11 Duke University Nonfouling biosensors
WO2017210693A1 (en) * 2016-06-03 2017-12-07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otein polymer fusions for subcutaneous delivery of small molecules
US10300145B2 (en) 2016-07-15 2019-05-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nthetic nanoparticles for delivery of immunomodulatory compounds
WO2018053201A1 (en) 2016-09-14 2018-03-22 Duke University Triblock polypeptide-based nanoparticles for the delivery of hydrophilic drugs
KR20190064600A (ko) 2016-09-23 2019-06-10 듀크 유니버시티 Lcst 거동을 갖는 비구조화된 비-반복적 폴리펩티드
US11648200B2 (en) 2017-01-12 2023-05-16 Duke University Genetically encoded lipid-polypeptide hybrid biomaterials that exhibit temperature triggered hierarchical self-assembly
US11554097B2 (en) 2017-05-15 2023-01-17 Duke University Recombinant production of hybrid lipid-biopolymer materials that self-assemble and encapsulate agents
WO2019006374A1 (en) 2017-06-30 2019-01-03 Duke University ORDER AND DISORDER AS A DESIGN PRINCIPLE FOR STIMULI-SENSITIVE BIOPOLYMER NETWORKS
JP7246730B2 (ja) * 2017-07-11 2023-03-28 学校法人東京薬科大学 核酸送達用組成物及び核酸含有組成物
US20200163880A1 (en) * 2017-07-13 2020-05-28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Cationic liposomes
US11464867B2 (en) 2018-02-13 2022-10-1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ultimeric elastin-like polypeptides
WO2020028806A1 (en) 2018-08-02 2020-02-06 Duke University Dual agonist fusion proteins
PT3864163T (pt) 2018-10-09 2024-04-30 Univ British Columbia Composições e sistemas que compreendem vesículas competentes para transfeção isentas de solventes orgânicos e detergentes e métodos relacionados com as mesmas
US11512314B2 (en) 2019-07-12 2022-11-29 Duke University Amphiphilic polynucleotid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336A (ja) * 1996-05-22 2000-10-10 ディバーシファイ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薬物の経皮送達のための組成物、方法及びデバイス
JP2003212755A (ja) * 2002-01-24 2003-07-30 Kansai Tlo Kk 温度感受性リポソーム
KR20050111301A (ko) * 2004-05-21 2005-11-24 한국화학연구원 국부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7818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426B2 (ja) 2004-06-07 2011-09-07 プロチバ バイオ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カチオン性脂質および使用方法
ATE472998T1 (de) 2006-05-18 2010-07-15 Medigene Ag Kationische liposomale zubereitungen zur behandlung von rheumatoider arthritis
KR101131107B1 (ko) 2006-06-26 2012-04-0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민감성 면역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794449B1 (ko) 2007-03-29 2008-0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핵산 전달용 양이온성 인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WO2009059449A1 (en) 2007-11-05 2009-05-14 Celsion Corporation Novel thermosensitive liposomes containing therapeutic agents
CN102300556B (zh) 2008-12-26 2015-04-29 株式会社三养生物制药 含有阴离子药物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336A (ja) * 1996-05-22 2000-10-10 ディバーシファイ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薬物の経皮送達のための組成物、方法及びデバイス
JP2003212755A (ja) * 2002-01-24 2003-07-30 Kansai Tlo Kk 温度感受性リポソーム
KR20050111301A (ko) * 2004-05-21 2005-11-24 한국화학연구원 국부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7818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약물 전달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COLSURFB, 2011* *
NANO LETT, 201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64A1 (ko) * 2022-08-30 2024-03-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막 유래 핵산 전달용 나노소낭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188B1 (ko) 2020-05-11
US20140294932A1 (en) 2014-10-02
US9439858B2 (en)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188B1 (ko)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온도민감성 리포좀 및 그의 용도
Liu et al. Targeted liposomal drug delivery: a nanoscience and biophysical perspective
Wu et al. Extracellular vesicles: A bright star of nanomedicine
US9775803B2 (en) Liposome comprising elastin-like polypeptide and tumor cell targeting material and use thereof
ElBayoumi et al. Current trends in liposome research
Jhaveri et al. Intracellular delivery of nanocarriers and targeting to subcellular organelles
Karanth et al. pH‐Sensitive liposomes‐principle and application in cancer therapy
Ferreira et al. pH-sensitive liposomes for drug delivery in cancer treatment
Park et al. Novel temperature-triggered liposome with high stability: formulation, in vitro evaluation, and in vivo study combined with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Sawant et al. Liposomes as ‘smart’pharmaceutical nanocarriers
US9956175B2 (en) Nanoparticles delivery system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US20150272885A1 (en) Porous nanoparticle-supported lipid bilayers (protocells) for targeted delivery including transdermal delivery of cargo and methods thereof
EP2583689B1 (en) Liposome including elastin-like polypeptides and use thereof
US20150182627A1 (en) Liposome including active ingredient and imaging agent and use thereof
JPWO2008105178A1 (ja) リポソーム用生体成分抵抗性増強剤及びこれにより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
WO2012082382A1 (en) Carrier-linked magnetic nanoparticle drug delivery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WO2013140643A1 (ja) 機能性タンパク質を細胞内に送達するためのキャリア
Li et al. Smart liposomes for drug delivery
US20130195962A1 (en) Lipid membrane structure
EP2583690B1 (en) Liposomes including an elastin-like polypeptide conjugated to a hydrophobic group, a chemosensitizer and an anticancer agent, and the use thereof
JP2008031142A (ja) 脂肪組織標的化ペプチド及び該ペプチドを有するリポソーム
KR101933623B1 (ko)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티드 및 암 세포 표적화 물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JP5818319B2 (ja) 脂質膜構造体に細胞透過能を付与および/または脂質膜構造体の細胞透過能を増強するペプチド、ならびにそれらペプチドと結合した脂質を構成脂質として含む、細胞透過能を有するまたは細胞透過能が増強された脂質膜構造体
KR20140041304A (ko)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가 접합된 엘라스틴-유사 폴리펩티드, 화학 감응제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VYAS pH-sensitive liposomes in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