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861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861A
KR20140118861A KR1020140035451A KR20140035451A KR20140118861A KR 20140118861 A KR20140118861 A KR 20140118861A KR 1020140035451 A KR1020140035451 A KR 1020140035451A KR 20140035451 A KR20140035451 A KR 20140035451A KR 20140118861 A KR20140118861 A KR 2014011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air
cleaning
gas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114B1 (ko
Inventor
유타 도이
마사시 후지타
고지 야마나카
마사유키 이와타
도시마루 이구치
Original Assignee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과제) 외부 도입 공기를 세정수와 접촉시켜 세정하는 세정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순환 공기의 일부를 환기하면서 운전할 때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다.
(해결 수단) 공기 조화 장치 (1(1A)) 는, 외부로부터 분리된 공간 (100) 을 순환하는 순환 공기를 형성하고, 순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공간 (100) 에 공급하는 공기 조화 유닛 (3) 과,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 (OA) 를 세정수와 접촉시켜 세정하는 세정 수단 (9) 과, 순환 공기의 환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환기 (RA1) 로서 받아들일 수 있고, 세정된 외부 공기 (OA) 를 제 1 환기 (RA1) 와 혼합하여 공기 조화 유닛 (3) 에 공급하는 혼합 수단 (6) 과, 순환 공기의 환기의 일부를 제 2 환기 (RA2) 로서 받아들일 수 있고, 받아들여진 제 2 환기 (RA2) 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수단 (5) 과, 세정수 또는 세정 전 혹은 세정 후의 외부 공기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 수단 (31) 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도입 공기를 세정수와 접촉시켜 세정하는 세정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에어 워셔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공기를 세정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정화하는 기액 접촉실을 구비한 에어 워셔가 개시되어 있다. 기액 접촉실에는 상부로부터 세정수가 분무되고, 하방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공급된 공기는 기액 접촉실을 통과할 때, 기액 접촉실의 표면에 부착된 분무수와 접촉한다. 이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 (塵埃) 가 제거된다. 분무수는 기액 접촉실의 하방으로 낙하하여 일단 저수조에 저류되고, 그 후 순환 배관에 의해 다시 기액 접촉실에 분무된다.
특허문헌 2 에는,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순환 배관을 통과하는 세정수와 외부 열원 사이에서 히트 펌프를 사용하여 열교환을 실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분무수의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세정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예비적으로 조정하여, 후단의 공기 조화 유닛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기액 접촉실에 분무되는 세정수만이 가열 또는 냉각되기 때문에, 저수조 전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것보다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2009-1033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2011-38723호
공기 조화 장치는,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운전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최근에는,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환기하면서, 즉 공기 조화 장치에 환류하는 순환 공기의 일부를 밀폐된 공간의 외부로 방출하면서 운전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순환 공기는 여름철에는 외부의 공기에 비해 저온 (또한 일반적으로는 저습도) 이고, 겨울철에는 외부의 공기에 비해 고온이므로, 내기를 완전히 순환시키는 운전 방법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는 순환 공기의 일부를 환기하면서 운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이와 같은 운전 방법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없다.
본 발명은, 외부 도입 공기를 세정수와 접촉시켜 세정하는 세정 수단을 구비하고, 순환 공기의 일부를 환기하면서 운전할 때의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외부로부터 분리된 공간을 순환하는 순환 공기를 형성하고, 순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공간에 공급하는 공기 조화 유닛과,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를 세정수와 접촉시켜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순환 공기의 환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환기로서 받아들일 수 있고, 세정된 외부 공기를 제 1 환기와 혼합하여 공기 조화 유닛에 공급하는 혼합 수단과, 순환 공기의 환기의 일부를 제 2 환기로서 받아들일 수 있고, 받아들여진 제 2 환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수단과, 세정수 또는 세정 전 혹은 세정 후의 외부 공기와,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 수단을 갖고 있다.
제 2 환기는 외부로부터 분리된 공간을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이고,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있다. 즉, 제 2 환기는 통상적으로 여름철에는 외부 공기에 비해 저온이고, 겨울철에는 외부 공기에 비해 고온이다. 한편, 세정수는 외부 공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온도의 영향을 쉽게 받아, 여름철에는 고온이고 겨울철에는 저온이다. 이 때문에, 세정수가 열교환 수단에 의해 제 2 환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세정수는 여름철이면 냉각되고 겨울철이면 가열된다. 그 결과, 세정수와 접촉하는 외부 공기도 여름철이면 냉각되고 겨울철이면 가열된다. 이와 같이 온도 조정된 외부 공기는, 순환 공기의 환기의 적어도 일부인 제 1 환기와 혼합 수단에 의해 혼합되어, 공기 조화 유닛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환기와 세정 전 혹은 세정 후의 외부 공기의 열교환에 의해서도 외부 공기의 온도 조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 유닛의 부하가 저감되어, 순환 공기의 일부를 환기하면서 운전할 때의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l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a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b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b 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 (1) 의 각 실시형태 1A ∼ 1M 에 공통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기술한다. 공기 조화 장치 (1) 는 공기 조화 유닛 (2) 과,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과, 공기 조화 유닛 (2) 과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사이에 위치하는 혼합부 (6) 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조화 유닛 (2) 은 케이스 (11) 에,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은 케이스 (11') 에, 혼합부 (6) 는 케이스 (11") 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은 외부 공기 (OA) 의 세정 수단인 에어 워셔 (4) 와 환기 수단 (5) 이 1 개의 케이스 (11') 내에 일체화된 것으로, 에어 워셔 (4) 와 환기 수단 (5) 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갖고 있다. 공기 조화 유닛 (2) 과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과 혼합부 (6)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독립된 장치이고, 이들 장치가 연결되어 건물의 벽, 바닥, 천장 등의 구체 (軀體) (102) 에 의해 외부로부터 분리된 공간 (이하, 실내 (100) 라고 한다) 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유닛 (2) 과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과 혼합부 (6) 는 1 개의 케이스 내에 일체화된 장치여도 된다.
공기 조화 유닛 (2) 및 혼합부 (6) 는 바람직하게는 실내 (100) 에 설치되고,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은 실내 (100), 실외 (101) 의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다. 또,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으로부터 혼합부 (6) 로의 공급 공기 (IA) 는 덕트 또는 배관 (도시 생략) 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실외 (101) 에는, 실내 (100) 가 위치하고 있는 건물의 외부 (옥외) 뿐만 아니라, 실내 (100) 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한, 당해 건물의 다른 공간, 지하실, 지붕 밑 등도 포함된다.
공기 조화 유닛 (2) 은 급기 송풍기 (10) 를 갖고, 실내 (100) 를 순환하는 순환 공기 (CA) 를 형성한다. 공기 조화 유닛 (2) 은, 받아들여진 순환 공기 (CA) 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교환기 (8) 를 갖고 있다. 공기 조화 유닛 (2) 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 밸브를 갖고, 가열 사이클의 경우 응축기가, 냉각 사이클의 경우 증발기가 도시된 열교환기 (8) 로서 기능한다. 급기 송풍기 (10) 는, 열교환기 (8) 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순환 공기 (CA) 를 공급 공기 (SA) 로서 실내 (100) 에 공급한다.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의 에어 워셔 (4) 는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 (OA) 를 받아들일 수 있다. 받아들여진 외부 공기 (OA) 는, 기액 접촉실 (9) 에서 정화되어, 공급 공기 (IA) 로서 혼합부 (6) 에 공급된다. 기액 접촉실 (9) 에서는,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 (OA) 를 세정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세정한다.
혼합부 (6) 는 순환 공기 (CA) 의 환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환기 (RA1) 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혼합부 (6) 는 세정된 공급 공기 (IA) 를 제 1 환기 (RA1) 와 혼합하여 공기 조화 유닛 (2) 에 공급하는 혼합 수단 (6) 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 1 환기 (RA1) 와 공급 공기 (IA) 의 혼합기가 공기 조화 유닛 (2) 의 열교환기 (8) 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급기 송풍기 (10) 에 의해 실내 (100) 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혼합부 (6) 는 공기 조화 장치 (1) 의 케이스 (11") 내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구획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공기 조화 장치 (1) 에 접속되는 덕트 또는 배관 (도시 생략) 의 일부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에어 워셔/환기 유닛 (3) 의 환기 수단 (5) 은, 순환 공기 (CA) 의 환기의 일부를 제 2 환기 (RA2) 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제 2 환기 (RA2) 는 배기 (EA) 로서 실외 (101) 로 배출되고, 이로써 실내 (100) 의 환기가 실시된다. 제 2 환기 (RA2) 는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고, 그 경우 순환 공기 (CA) 의 환기의 전체량이 제 1 환기 (RA1) 로서 받아들여진다. 제 2 환기 (RA2) 가 받아들여질 때에는, 순환 공기 (CA) 의 환기의 일부가 제 1 환기 (RA1) 로서 받아들여진다.
케이스 (11, 11', 11") 는 금속제가 바람직하지만, 적절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수지제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케이스 (11, 11', 11") 내부의 설비의 장착이나 메인터넌스를 위해, 케이스 (11, 11', 11") 는 분해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 구조는, 설비의 장착이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금속제 프레임을 상하로 서로 접속하는 형태여도 되고, 케이스 (11, 11', 11") 의 각 면을 별도의 금속판으로 구성하는 형태여도 된다. 분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 이들 금속제 프레임 혹은 금속판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 ∼ 7 을 참조하여 각 실시형태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2 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A)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세정 수단인 에어 워셔 (4) 는, 케이스 (11') 내부에 도입된 외부 공기 (OA) 를 세정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외부 공기 (OA) 를 정화 내지 세정한다. 이 때문에, 에어 워셔 (4) 는 충전탑을 구비한 기액 접촉실 (9) 을 갖고 있다. 세정수는 청정한 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도물, 정수 (井水), 증류수, 순수, 전해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어 워셔 (4) 는 또한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저수조 (12) 와, 기액 접촉실 (9) 에 세정수를 산포 내지 분무하는 분무 장치 (13) 와, 세정수를 세정수 저수조 (12) 로부터 분무 장치 (13) 에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 (14) 을 갖고 있다. 세정수 저수조 (12) 는 기액 접촉실 (9) 의 하방,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11') 의 저부에 형성되고, 기액 접촉실 (9) 로부터 낙하한 세정수를 회수하여 저류한다. 순환 배관 (14) 의 도중, 바람직하게는 세정수 저수조 (12) 의 측방 또는 하방에, 세정수를 분무 장치 (13) 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 (15) 가 형성되어 있다.
기액 접촉실 (9) 을 구성하는 충전탑은, 지지체 (도시 생략) 에 의해 지지되고, 충전재로서 라시히 링이 충전되어 있다. 상방의 분무 장치 (13) 로부터 산포되는 세정수가 라시히 링의 표면에 부착되고, 그 표면에서 하방으로부터 상승해 오는 공기와의 기액 접촉이 실시된다. 충전재로는 그 이외에도, 레싱 링, 폴 링, 새들, 슐저 패킹 등의 충전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플랫한 상면과 거칠고 까칠까칠한 하면을 갖는 매트상의 섬유 집합체를 충전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섬유 집합체로는, 아사히 화성 홈 프로덕츠 주식회사의 사란 록 (등록상표) 을 들 수 있다. 충전탑 대신에 트레이탑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분무 장치 (13) 는 예를 들어, 다수의 구멍이 뚫린 배관이고, 구멍으로부터 세정수가 토출된다. 이 배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충전탑에 세정수가 균일하게 산포되면, 직선상 또는 동심원상의 복수의 관, 나선상의 관 등 임의의 형상의 관을 선택할 수 있다. 분무 장치 (13) 는, 조로, 샤워, 스프링 쿨러, 스프레이 타입 등, 공지된 살수 노즐 중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타입이다. 스프레이 타입은, 산포되는 물이 안개상이고, 입경이 미세하다. 그 때문에, 충전탑의 충전재를 효율적으로 적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로부터 산포되는 안개상의 물 자체가 외부 공기 (OA) 와 접촉하여 외부 공기 (OA) 를 정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기액 접촉 효율이 높아진다. 또, 1 개의 노즐로부터 광범위하게 물을 살수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기액 접촉실 (9) 의 상방에는, 기액 접촉 방식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포함되는 대량의 습분을 제거하기 위한 습도 조절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습도 조절 수단으로서 데시칸트 로터 (16) 가 사용되고 있다. 데시칸트 로터 (16) 는 생략할 수도 있다.
환기 수단 (5) 은, 제 2 환기 (RA2) 를 도입하여 배기 (EA) 로서 배출한다. 환기 수단 (5) 은 제 2 환기 (RA2) 의 도입구 (18) 및 배기구 (19) 와, 도입구 (18) 와 배기구 (19) 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 (20) 를 갖고 있다. 배기구 (19) 의 근방에는 배기 송풍기 (17) 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 유로 (20) 는 케이스 (11) 내의 독립된 구획으로서 형성되어, 외부 공기 (OA) 나 제 1 환기 (RA1) 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외부 공기 (OA) 는 기액 접촉실 (9) 의 출구측 (보다 정확하게는, 데시칸트 로터 (16) 의 출구측) 에 형성된 급기 송풍기 (22) 에 의해 급기구 (21) 로부터 급기 유로 (27) 에 도입되고, 다음으로 기액 접촉실 (9) 과 세정수 저수조 (12)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고, 그곳으로부터 상승하여 기액 접촉실 (9) 을 통과하여 진애가 제거된다. 외부 공기 (OA) 는 또한 데시칸트 로터 (16) 를 통과하여 습분이 제거되고, 급기 송풍기 (22) 에 의해 승압되어, 급기구 (24) 를 통해 공급 공기 (IA) 로서 혼합부 (6) 에 들어간다. 실내 (100) 의 순환 공기 (CA) 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 1 환기 (RA1) 로서 도입구 (25) 로부터 혼합부 (6) 에 들어가 외부 공기 (OA) (공급 공기 (IA)) 와 혼합된다. 제 1 환기 (RA1) 와 공급 공기 (IA) 의 혼합 공기는 열교환기 (8) 에 의해 온도, 습도가 조정되고, 급기 송풍기 (10) 에 의해 승압되어 급기구 (23) 로부터 실내 (100) 에 공급된다. 급기 송풍기 (22) 는 급기구 (21) 의 근방 등, 데시칸트 로터 (16) 의 입구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환 배관 (14) 을 흐르는 세정수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이 실시된다. 그것을 위한 열교환 수단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기 유로 (20) 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31) 를 갖고 있다. 라디에이터 (31) 는 콜게이트 타입, 핀 타입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 (31) 로의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라디에이터 (31) 로부터의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이 순환 배관 (14) 으로부터 분기되어 있고, 일부의 세정수가 바이패스류가 되어 라디에이터 (31) 에 공급된다.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은 제 2 순환 배관을 구성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순환 배관 (14) 의 일부를 환기 유로 (20) 에 통과시키고, 순환 배관 (14) 을 통과하는 세정수의 전체량을 라디에이터 (31) 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 세정수 공급 배관 (32) 및 세정수 복귀 배관 (33) 상에 밸브 또는 유량 조정 기구 (도시 생략) 를 설치하여, 라디에이터 (31) 로의 바이패스류의 유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순환 배관 (14) 을 통과하는 세정수는 외부 공기 (OA) 와의 기액 접촉에 의해, 외부 공기 (OA) 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있다. 여름철이면, 세정수는 외부 공기 (OA) 에 의해 가온되어 고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수의 온도 조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세정수에 접촉한 외부 공기 (OA) 의 온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아 고온 상태이다. 고온의 공기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외부 공기 (OA) 는 기액 접촉실 (9) 에서의 기액 접촉에 의해 대량의 습분을 수중에 받아들이기 때문에, 외부 공기 (OA) 는 고온 고습도의 상태로 (요컨대 엔탈피가 높은 상태로) 혼합부 (6) 에 보내진다. 그 결과, 공기 조화 유닛의 냉각 제습 부하 및 운전 비용이 증가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가 제 2 환기 (RA2) 에 의해 냉각된다. 제 2 환기 (RA2) 는 통상 외부 공기 (OA) 보다 저온이므로, 세정수에 접촉한 외부 공기 (OA) 가 냉각되어 온도가 저하됨과 함께, 포화 수증기량을 초과하는 습분은 응축되어 제거된다. 이에 수반하여 외부 공기 (OA) 에 포함되는 수증기량도 감소하여, 저온 저습도의 상태로 (즉 엔탈피가 낮은 상태로) 혼합부 (6) 에 보내진다. 그 결과, 공기 조화 유닛 (2) 의 냉각 제습 부하 및 운전 비용이 억제된다.
겨울철의 경우에는, 세정수는 외부 공기 (OA) 에 의해 냉각되어 저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수의 온도 조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세정수에 접촉한 외부 공기 (OA) 의 온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아 저온 상태이다. 외부 공기 (OA) 는 저온으로 혼합부 (6) 에 보내지기 때문에 공기 조화 유닛 (2) 의 난방 부하 및 운전 비용이 증가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가 제 2 환기 (RA2) 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외부 공기 (OA) 가 가열되어 보다 고온인 상태로 혼합부 (6) 에 보내진다. 또, 고온의 외부 공기 (OA) 는 기액 접촉실 (9) 에서의 기액 접촉에 의해 대량의 습분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고온 고습도의 공기를 실내 (100) 에 공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 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B)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순환 배관 (14) 과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의 열교환 수단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 수단은, 기액 접촉실 (9) 과 동일한 구성이고 또한 기액 접촉실 (9) 보다 소규모의 제 2 기액 접촉실 (35) 을 갖고 있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은 환기 유로 (20) 에 위치하고 있다. 환기 유로 (20) 의 제 2 기액 접촉 (35) 의 상부에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에 물을 분무하는 제 2 분무 장치 (36) 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 유로 (20) 의 제 2 기액 접촉실 (35) 의 하방에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로부터 낙하한 물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제 2 세정수 저수조 (37)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세정수 저수조 (37) 에는 제 2 분무 장치 (36) 로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제 2 순환 배관 (38)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순환 배관 (38) 의 도중, 바람직하게는 제 2 세정수 저수조 (37) 의 측방 또는 하방에, 제 2 분무 장치 (36) 에 분무되는 물을 제 2 분무 장치 (36) 에 공급하는 제 2 순환 펌프 (39)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및 제 2 분무 장치 (36) 의 구성은 기액 접촉실 (9) 및 분무 장치 (13) 와 동일하다.
순환 배관 (14) 과 제 2 순환 배관 (38) 사이에는, 이들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 (40)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을 흐르는 물은 제 2 환기 (RA2) 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여, 여름철이면 냉각되고 겨울철이면 가열된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은 열교환기 (40) 에 있어서, 세정수와의 사이에서 추가로 열교환을 실시한다. 따라서, 세정수는 여름철이면 냉각되고 겨울철이면 가열된다. 또한, 외부 공기 (OA) 는, 세정수와의 기액 접촉시에, 여름철이면 냉각되고 겨울철이면 가열된다. 그 결과,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공기 조화 유닛 (2) 의 냉각 제습 부하 내지 난방 부하 및 운전 비용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순환 펌프 (39)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분무 장치 (36) 에 공급되는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세정수의 냉각 또는 가열을 조정할 수 있고, 외부 온도나 공기 조화 유닛 (2) 의 운전 요구에 따른 세정수의 세밀한 온도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환기 (RA2) 는 정화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는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규제된 용도에도 유효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4 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C)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세정수 저수조 (12)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의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 수단으로서 환기 유로 (20) 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31) 를 구비하고 있다. 세정수 저수조 (12)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기 위해서, 라디에이터 (31) 로의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라디에이터 (31) 로부터의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이, 세정수 저수조 (12) 와 라디에이터 (31)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은 제 2 순환 배관을 구성한다. 세정수 공급 배관 (32) 의 도중, 바람직하게는 세정수 저수조 (12) 의 측방 또는 하방에, 세정수를 라디에이터 (31) 에 공급하는 제 2 순환 펌프 (43)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제 2 순환 펌프 (43) 가 순환 펌프 (15) 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 (31) 에 순환시키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부 온도나 공기 조화 유닛 (2) 의 운전 요구에 따른 세정수의 치밀한 온도 조정을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5 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D)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세정수 저수조 (12)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의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 수단은, 기액 접촉실 (9) 과 동일한 구성이고 또한 기액 접촉실 (9) 보다 소규모의 제 2 기액 접촉실 (35) 을 갖고 있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은 환기 유로 (20) 에 위치하고 있다. 환기 유로 (20) 의 제 2 기액 접촉실 (35) 의 상부에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에 세정수를 분무하는 제 2 분무 장치 (36) 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수 저수조 (12) 는 제 1 실시형태보다 확장되어, 제 2 기액 접촉실 (35) 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수 저수조 (12) 는 제 1 기액 접촉실 (9) 로부터 낙하한 세정수와 제 2 기액 접촉실 (35) 로부터 낙하한 세정수를 함께 회수하여 저류한다. 환기 유로 (20) 내지 환기 수단 (5) 을 에어 워셔 (4) 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환기 유로 (20) 의 격벽 (42) 은 세정수 저수조 (12) 의 수중까지 연장되어 있다. 세정수 저수조 (12) 에는 제 2 분무 장치 (36) 에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제 2 순환 배관 (38)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순환 배관 (38) 의 도중, 바람직하게는 세정수 저수조 (12) 의 측방 또는 하방에, 세정수를 제 2 분무 장치 (36) 에 공급하는 제 2 순환 펌프 (39)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및 제 2 분무 장치 (36) 의 구성은 기액 접촉실 (9) 및 분무 장치 (13) 와 동일하다. 제 2 순환 배관 (38) 은 순환 펌프 (15) 의 출구측에서 순환 배관 (14) 으로부터 분기되도 되고, 그 경우 제 2 순환 펌프 (39) 는 생략할 수 있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을 흐르는 세정수는 제 2 환기 (RA2) 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고, 여름철이면 냉각되고 겨울철이면 가열된다. 제 2 기액 접촉실 (35) 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세정수는 세정수 저수조 (12) 에 회수되어, 세정수 저수조 (12) 에 저류되어 있는 세정수와 혼합된다. 그 결과, 세정수 저수조 (12) 에 저류되어 있는 세정수의 평균 온도가 여름철이면 낮아지고, 겨울철이면 상승한다. 기액 접촉실 (9) 에는 냉각 또는 가열된 세정수가 공급되어, 외부 공기 (OA) 를 여름철이면 냉각하고 겨울철이면 가열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공기 조화 유닛 (2) 의 냉각 제습 부하 내지 난방 부하 및 운전 비용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달리, 기액 접촉실 (9) 을 흐르는 세정수와 제 2 기액 접촉실 (35) 을 흐르는 세정수 사이의 열교환이 세정수 저수조 (12) 를 통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 형성한 열교환기는 불필요하다.
(제 5 실시형태)
도 6 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E)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의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 수단 (51) 은,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전열 (全熱) 열교환 소자 (51) 이다. 전열 열교환 소자 (51) 는 데시칸트 로터 (16) 의 상방 공간의 환기 유로 (20) 와의 교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열 열교환 소자 (51) 는 회전형 전열 교환기와 정지형 전열 교환기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열 열교환 소자 (51) 의 제 2 환기 (RA2) 의 입구측에는,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 (52)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형 전열 교환기는, 회전 가능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고,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방향으로 2 개로 분리한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공기 (OA) 의 유입부 및 유출부, 그리고 제 2 환기 (RA2) 의 유입부 및 유출부는 고정되어 있고, 어느 타이밍에서는 외부 공기 (OA) 가 케이싱의 일방의 구획에 유입되고 유출된다. 케이싱이 회전 (예를 들어 반회전) 하면, 제 2 환기 (RA2) 가 당해 일방의 구획에 유입되고 유출된다. 타방의 구획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구획에는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가 교대로 유입되고 유출되기 때문에, 케이싱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구획은 열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을 반복하고,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이 실시된다.
정지형 전열 교환기는, 종이로 이루어진 평면 시트를 사이에 칸막이를 개재하여 적층한 것이다. 칸막이는 파형상으로 가공되어 있고, 2 개의 평면 시트의 사이에 유로가 형성된다. 외부 공기 (OA) 의 유로와 제 2 환기 (RA2) 의 유로는 적층 방향으로 교대로 인접하고 있고, 평면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이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를 제 2 환기 (RA2) 와의 사이에서 직접 열교환이 실시되므로, 제 2 환기 (RA2) 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에 전달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제 6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가 전열 교환기에 유입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 (OA) 를 위한 필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열 열교환기의 전단에 형성하는 필터가 1 개여도 된다.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 유로 (20) 내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라디에이터 (31)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순환 배관 (14) 으로부터는, 라디에이터 (31) 로의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라디에이터 (31) 로부터의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이 분기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은 제 2 순환 배관을 구성한다. 제 2 환기 (RA2) 와 세정수 사이, 및 제 2 환기 (RA2) 와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사이의 2 단계로 순차 열교환함으로써, 제 2 환기 (RA2) 의 열에너지를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6 의 구성 (상기 점선부의 요소를 제외한다) 에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제 2 분무 장치 (36), 제 2 세정수 저수조 (37), 제 2 순환 배관 (38), 제 2 순환 펌프 (39) 및 열교환기 (40) 를 부가할 수도 있다. 도 6 의 구성 (상기 점선부의 요소를 제외한다) 에 도 4 에 나타내는 라디에이터 (31), 세정수 공급 배관 (32), 세정수 복귀 배관 (33) 및 제 2 순환 펌프 (43) 를 부가할 수도 있다. 도 6 의 구성 (상기 점선부의 요소를 제외한다) 에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제 2 분무 장치 (36), 제 2 순환 배관 (38) 및 제 2 순환 펌프 (39) 를 부가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확장된 세정수 저수조 (12)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서도, 제 2 환기 (RA2) 가 액체 및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와의 사이에서 2 단계의 열교환을 실시함으로써, 제 2 환기 (RA2) 의 열에너지를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부 공기 (OA) 는 여름철에는 저온 저습도로 냉각되고, 겨울철에는 고온 고습도로 가열되기 때문에, 공기 조화 유닛 (2) 의 냉각 제습 부하 및 운전 비용이 억제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7 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F)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세정 전의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의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정지형 전열 교환기 (51) 의 구성은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 수단 (51) 은, 세정 전의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전열 열교환 소자 (51) 이다. 이 때문에, 전열 열교환 소자 (51) 의 제 2 환기 (RA2) 의 입구측의 필터 (52)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 (OA) 의 입구측에도 필터 (53) 가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 수단으로서 현열 (顯熱) 만을 열교환하는 현열 교환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도,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부 공기 (OA) 와 제 2 환기 (RA2) 사이에 직접 열교환이 실시되므로, 제 2 환기 (RA2) 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외부 공기 (OA) 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공기 (OA) 가 기액 접촉실 (9) 에서 습분이 부여되기 전에 열교환을 실시하기 때문에, 효율이 양호한 조습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여름철에는 에어 워셔 (4) 에 도입되기 전의 외부 공기를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워셔 (4) 에 의한 가습이 억제된다. 겨울철에는 에어 워셔 (4) 에 도입되기 전의 외부 공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에어 워셔 (4) 에 의한 가습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 유로 (20) 내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라디에이터 (31) 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 배관 (14) 으로부터는, 라디에이터 (31) 로의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라디에이터 (31) 로부터의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이 분기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 배관 (32) 과 세정수 복귀 배관 (33) 은 제 2 순환 배관을 구성한다. 제 2 환기 (RA2) 와 세정수 사이, 및 제 2 환기 (RA2) 와 세정 전의 외부 공기 (OA) 사이의 2 단계로 순차 열교환함으로써, 제 2 환기 (RA2) 의 열에너지를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7 의 구성 (상기 점선부의 요소를 제외한다) 에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제 2 분무 장치 (36), 제 2 세정수 저수조 (37), 제 2 순환 배관 (38), 제 2 순환 펌프 (39) 및 열교환기 (40) 을 부가할 수도 있다. 도 7 의 구성 (상기 점선부의 요소를 제외한다) 에 도 4 에 나타내는 라디에이터 (31), 세정수 공급 배관 (32), 세정수 복귀 배관 (33) 및 제 2 순환 펌프 (43) 를 부가할 수도 있다. 도 7 의 구성 (상기 점선부의 요소를 제외한다) 에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기액 접촉실 (35), 제 2 분무 장치 (36), 제 2 순환 배관 (38) 및 제 2 순환 펌프 (39) 를 부가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확장된 세정수 저수조 (12)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서도, 제 2 환기 (RA2) 가 액체 및 세정 전의 외부 공기 (OA) 와의 사이에서 2 단계의 열교환을 실시함으로써, 제 2 환기 (RA2) 의 열에너지를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8 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G)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공기 조화 유닛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 수단 (34) 이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 복귀 배관 (33) 과의 합류점과 분무 장치 (13) 사이의 순환 배관 (14) 상에, 제 2 열교환 수단 (3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열교환 수단 (34) 은 라디에이터 (31) 와 동일한 라디에이터 (34) 여도 된다. 제 2 열교환 수단 (34) 은 공기 조화 유닛 (2) 의 열교환기 (8) 와 급기 송풍기 (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환기 (RA2) 와 열교환한 세정수는 또한 급기 송풍기 (10) 의 입구측의 공급 공기 (SA) 와 열교환을 실시한다. 제 2 열교환 수단 (34) 에 의해 열교환을 실시한 세정수는 순환 배관 (14) 에 의해 분무 장치 (13) 에 공급된다. 세정수는 라디에이터 (31) 와 제 2 열교환 수단 (34) 의 쌍방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기 때문에, 세정수의 냉각 효율 또는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제 8 실시형태)
도 9 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H)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공기 조화 유닛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제 1 환기의 일부가 제 2 환기로서 받아들여지는 것 이외에는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환기 (RA2) 의 도입구 (18) 및 환기 유로 (20) 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공기 조화 유닛 (2) 의 열교환기 (8) 와 급기 송풍기 (10) 사이에 분기로 (49) 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로 (49) 는 제 1 환기 (RA1) (정확하게는 제 1 환기 (RA1) 와 공급 공기 (IA) 의 혼합 공기) 의 일부를 제 2 환기 (RA2) 로서 받아들인다. 제 2 환기 (RA2) 는 전열 열교환 소자 (51) 에 공급되고, 세정 후의 외부 공기 (OA) 와 열교환하여 배기구 (19) 로부터 배출된다. 환기 유로 (20) 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도입구 (18) 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제약이 작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전열 열교환 소자 (51) 의 입구측에 환기 (RA2) 의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를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환기 (RA2) 는, 전열 열교환 소자 (51) 에 있어서,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세정 전의 외부 공기 (OA) 와 열교환해도 된다.
(제 9 실시형태)
도 10 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J)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와 공기 조화 유닛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 수단 (44) 을 갖고 있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본 실시형태는 제 1 ∼ 제 6 실시형태의 어느 것에나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구 (21) 와 기액 접촉실 (9) 사이의 급기 유로 (27) 에 열교환기 (4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공기 조화 유닛 (2) 의 열교환기 (8) 와 급기 송풍기 (10) 사이에 열교환기 (45) 가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기 (44, 45) 는 라디에이터 (31) 와 동일한 라디에이터 (44, 45) 여도 된다. 열교환기 (44) 와 열교환기 (45) 사이는 배관 (46, 47) 으로 접속되고, 배관 (46, 47) 중 어느 것에 형성된 순환 펌프 (48) 에 의해 냉매가 순환할 수 있다. 냉매로는 부동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공기 (OA) 와 공급 공기 (SA) 가 직접 열교환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 (OA) 가 예랭 또는 예열되어, 라디에이터 (31) 의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도 11 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K)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공급 공기 (SA) 와 외부 공기 (OA)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 (50) 를 갖고 있다. 그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본 실시형태는 제 1 ∼ 제 6 실시형태의 어느 것에나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유닛 (2) 의 열교환기 (8) 와 급기 송풍기 (10) 사이의 제 1 중간 위치 (52) 와, 외부 공기 (OA) 의 급기구 (21) 와 기액 접촉실 (9) 사이의 제 2 중간 위치 (53) 사이에 바이패스 유로 (50) 가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 유로 (50) 의 도중에는 송풍기 (51) 가 형성되고, 제 1 중간 위치 (52) 에서 분기되는 공급 공기 (SA) 의 일부를 제 2 중간 위치 (53) 에 공급하여, 외부 공기 (OA) 와 혼합시킨다. 급기 송풍기 (22) 의 용량에 따라서는 송풍기 (51) 를 생략할 수도 있다. 바이패스 유로 (50) 는, 공급 공기 (SA) 의 일부가 기액 접촉실 (9) 을 통과하여 순환하는 순환 루프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 (1K) 내를 유통하는 공기는 기액 접촉실 (9) 에서 기액 접촉을 실시할 기회가 증가하여, 공급 공기 (SA) 의 습도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도 12a, 12b 에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L)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바이패스 유로의 개폐 수단 (54) 과, 제 1 환기의 일부를 열교환기의 입구측에서 받아들이고, 세정 수단을 통하여 제 2 중간 위치까지 이송하는 수단 (55) 을 갖는 것 이외에는 제 10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0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이패스 유로 (50) 에 댐퍼 (54) 등의 개폐 수단 (5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액 접촉실 (9) 과 급기구 (24) 사이의 유로 내에, 공기를 급기구 (24) 로부터 기액 접촉실 (9) 을 향하여 송풍하는 송풍기 (5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운전시에는 댐퍼 (54) 는 닫혀져 있어 바이패스 유로 (50) 가 없는 제 1 실시형태 (도 2) 와 동일한 구성이 실현된다.
이에 대하여,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54) 가 열리면 송풍기 (22) 가 정지하고, 송풍기 (55) 가 기동한다. 송풍기 (55) 는 제 1 환기 (RA1) 의 일부를 급기구 (24) 로부터 받아들여, 기액 접촉실 (9) 에 공급한다. 공기는 기액 접촉실 (9) 에서 가습되어, 기액 접촉실 (9) 의 하방으로부터 급기 유로 (27) 에 공급되고, 외부 공기 (OA) 와 합류된 후 바이패스 유로 (50) 를 통과하여, 급기 송풍기 (10) 의 입구측에서 공기 조화 유닛 (2) 에 합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환기 (RA) 의 일부가 공기 조화 유닛 (2) 의 열교환기 (8) 를 바이패스하고, 기액 접촉실 (9) 에 도입된다. 외부 공기 (OA) 가 기액 접촉실 (9) 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제 1 환기 (RA1) 와 합류하기 때문에, 진애의 제거 효과는 다른 실시형태보다 열등하지만, 가습 효과는 동등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는 실내의 순환 공기 (CA) 의 가습을 실시할 때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 12 실시형태)
도 13a, 13b 에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 (1M)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송풍기 (55) 대신에 3 개의 댐퍼 (56 ∼ 58) 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 1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및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요소의 구성은 제 1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공기 (OA) 의 급기 유로 (27) 와 세정 수단 (기액 접촉실 (9)) 의 입구 사이에 제 1 개폐 수단 (제 1 댐퍼) (56) 이, 혼합부 (6) 와 세정 수단 (기액 접촉실 (9)) 의 입구 사이에 제 2 개폐 수단 (제 2 댐퍼) (57) 이, 바이패스 유로 (50) 와 세정 수단 (기액 접촉실 (9)) 의 출구 사이에 제 3 개폐 수단 (제 3 댐퍼) (58)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댐퍼 (54) 및 제 1 ∼ 제 3 댐퍼 (56 ∼ 58) 는 외부 공기 (OA) 와 제 1 환기 (RA1) 를 선택적으로 기액 접촉실 (9) 에 유통시킬 수 있다. 즉, 통상 운전시에는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댐퍼 (56) 가 열리고, 제 2, 제 3 댐퍼 (57, 58) 및 댐퍼 (54) 가 닫혀져 있어, 바이패스 유로 (50) 가 없는 제 1 실시형태 (도 2) 와 동일한 구성이 실현된다. 한편,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댐퍼 (56) 가 닫혀지고, 제 2, 제 3 댐퍼 (57, 58) 및 댐퍼 (54) 가 열리면, 제 1 환기 (RA1) 를 기액 접촉실 (9) 에 유통시켜 가습을 실시할 수 있다. 외부 공기 (OA) 는 제 1 의 댐퍼 (56) 에 의해 차단되어 기액 접촉실 (9) 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댐퍼 (54) 및 제 1 ∼ 제 3 댐퍼 (56 ∼ 58) 는 도시 생략된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제 1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추가 송풍기 (55) 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비용면에서 유리해지는 경우가 있다.
1, 1A ∼ 1M : 공기 조화 장치
2 : 공기 조화 유닛
3 : 에어 워셔/환기 유닛
4 : 에어 워셔
5 : 환기 수단
6 : 혼합부
9 : 기액 접촉실
10 : 급기 송풍기
12 : 세정수 저수조
13 : 분무 장치
14 : 순환 배관
15 : 순환 펌프
20 : 환기 유로
31 : 라디에이터
35 : 제 2 에어 워셔
40 : 열교환기
51 : 전열 열교환 소자
CA : 순환 공기
EA : 배기
OA : 외부 공기
RA1 : 제 1 환기
RA2 : 제 2 환기
SA : 공급 공기

Claims (17)

  1. 외부로부터 분리된 공간을 순환하는 순환 공기를 형성하고, 상기 순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공간에 공급하는 공기 조화 유닛과,
    상기 외부로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를 세정수와 접촉시켜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상기 순환 공기의 환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환기로서 받아들일 수 있고, 세정된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제 1 환기와 혼합하여 상기 공기 조화 유닛에 공급하는 혼합 수단과,
    상기 순환 공기의 환기의 일부를 제 2 환기로서 받아들일 수 있고, 받아들여진 상기 제 2 환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수단과,
    상기 세정수 또는 세정 전 혹은 세정 후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 수단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수단은, 상기 세정수를 접촉시켜 상기 외부 공기를 세정하는 기액 접촉실과, 상기 세정수를 상기 기액 접촉실에 분무하는 분무 장치와, 상기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한 상기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분무 장치를 연결하는 순환 배관과, 상기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분무 장치에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순환 배관을 흐르는 상기 세정수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를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화 유닛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 수단을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수단은, 상기 세정수를 접촉시켜 상기 외부 공기를 세정하는 기액 접촉실과, 상기 기액 접촉실에 상기 세정수를 분무하는 분무 장치와, 상기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분무 장치를 연결하는 순환 배관과, 상기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분무 장치에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갖고,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로부터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여 상기 세정수 저수조로 되돌아오는 제 2 순환 배관과, 상기 제 2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제 2 순환 펌프를 갖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라디에이터를 흐르는 상기 세정수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수단은, 상기 세정수를 접촉시켜 상기 외부 공기를 세정하는 기액 접촉실과, 상기 기액 접촉실에 상기 세정수를 분무하는 분무 장치와, 상기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분무 장치를 연결하는 순환 배관과, 상기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분무 장치에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갖고,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 2 기액 접촉실과, 상기 제 2 기액 접촉실에 상기 세정수를 분무하는 제 2 분무 장치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제 2 분무 장치를 연결하는 제 2 순환 배관과, 상기 제 2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제 2 분무 장치에 순환시키는 제 2 순환 펌프를 갖고, 상기 세정수 저수조는, 상기 제 2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하고, 상기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와 혼합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수단은, 상기 세정수를 접촉시켜 상기 외부 공기를 세정하는 기액 접촉실과, 상기 기액 접촉실에 상기 세정수를 분무하는 분무 장치와, 상기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분무 장치를 연결하는 순환 배관과, 상기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분무 장치에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갖고,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 2 기액 접촉실과, 상기 제 2 기액 접촉실에 상기 세정수를 분무하는 제 2 분무 장치와, 상기 순환 펌프의 출구측에서 상기 순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분무 장치까지 연장되는 제 2 순환 배관을 갖고, 상기 세정수 저수조는, 상기 제 2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하고, 상기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세정수와 혼합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 2 기액 접촉실과, 상기 제 2 기액 접촉실에 물을 분무하는 제 2 분무 장치와, 상기 제 2 기액 접촉실로부터 낙하한 상기 물을 저류하는 제 2 저수조와, 상기 제 2 저수조와 상기 제 2 분무 장치를 연결하는 제 2 순환 배관과, 상기 제 2 순환 배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물을 상기 제 2 분무 장치에 순환시키는 제 2 순환 펌프와, 상기 순환 배관과 상기 제 2 순환 배관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를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은, 세정 후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전열 열교환 소자를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를 추가로 갖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순환 배관을 흐르는 상기 세정수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수단은, 세정 전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전열 또는 현열 열교환 소자를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제 2 환기의 도입구 및 배기구와, 상기 도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환기 유로를 갖고,
    상기 열교환 수단은, 상기 환기 유로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를 추가로 갖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순환 배관을 흐르는 상기 세정수와 상기 제 2 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유닛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상기 제 1 환기의 일부를 상기 제 2 환기로서 받아들이는 공기 조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도입된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공기 조화 유닛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 수단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세정된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제 1 환기의 혼합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측에 위치하고, 가열 또는 냉각된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공간에 공급하는 급기 송풍기를 갖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급기 송풍기 사이의 제 1 중간 위치와, 상기 외부 공기의 급기구와 상기 세정 수단 사이의 제 2 중간 위치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추가로 갖는 공기 조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개폐 수단과, 상기 제 1 환기의 일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에서 받아들이고, 상기 세정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 2 중간 위치까지 이송하는 수단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하는 수단은, 상기 외부 공기의 급기 유로와 상기 세정 수단의 입구 사이의 제 1 개폐 수단과, 상기 혼합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의 입구 사이의 제 2 개폐 수단과,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세정 수단의 출구 사이의 제 3 개폐 수단을 갖고, 상기 제 1 ∼ 제 3 개폐 수단은, 상기 제 1 개폐 수단이 열렸을 때 상기 제 2 및 제 3 개폐 수단이 닫히고, 상기 제 1 개폐 수단이 닫혔을 때 상기 제 2 및 제 3 개폐 수단이 열리도록 제어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140035451A 2013-03-28 2014-03-26 공기 조화 장치 KR101526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9210 2013-03-28
JP2013069210A JP6147537B2 (ja) 2013-03-28 2013-03-28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861A true KR20140118861A (ko) 2014-10-08
KR101526114B1 KR101526114B1 (ko) 2015-06-04

Family

ID=515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451A KR101526114B1 (ko) 2013-03-28 2014-03-26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47537B2 (ko)
KR (1) KR101526114B1 (ko)
CN (1) CN1040753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283B1 (ko) * 2019-01-15 2019-08-09 김수현 간접증발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4344A (zh) * 2016-11-30 2017-03-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除尘方法、换热机构及空调器
CN106705233A (zh) * 2017-01-17 2017-05-24 北京博源恒升高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换气换热消毒装置
JP2018115806A (ja) * 2017-01-18 2018-07-26 清水建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1919068A (zh) 2018-04-05 2020-11-10 开利公司 空气处理器单元
JP2020034174A (ja) * 2018-08-27 2020-03-05 清水建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10057019B (zh) * 2019-04-26 2024-03-19 武汉东昌仓贮技术有限公司 一种烟叶仓库调控装置及其气流调控方法
JP6881623B1 (ja) * 2020-01-20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空調機
WO2022054616A1 (ja) * 2020-09-10 2022-03-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浄化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14576743A (zh) * 2020-11-30 2022-06-03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热天气的间接蒸发冷机组
CN112984653B (zh) * 2021-02-08 2022-10-04 珠海格力电器科技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
CN113701270A (zh) * 2021-08-16 2021-11-26 广州市越秀区州深电器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空调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61Y2 (ko) * 1972-10-03 1975-03-13
WO1987001436A1 (en) * 1985-08-30 1987-03-12 Dricon Air Pty Limited Air conditioning means and method
JP4997830B2 (ja) * 2006-05-26 2012-08-08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KR20080013585A (ko) * 2006-08-09 2008-02-13 박남규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환기유닛
JP4954018B2 (ja) * 2007-10-24 2012-06-13 オルガノ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191350B2 (ja) * 2008-10-31 2013-05-08 オルガノ株式会社 車両用空気浄化装置
CN101509683A (zh) * 2009-03-02 2009-08-19 严国忠 一种混合制冷环保空调
JP5518678B2 (ja) * 2010-11-10 2014-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化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CN102679472B (zh) * 2011-03-07 2015-04-08 上海三因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境气氛控制系统
CN102305447B (zh) * 2011-09-15 2013-12-18 上海腾邦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降温控湿系统
KR101258390B1 (ko) * 2013-02-21 2013-04-30 (주)귀뚜라미 열교환 매체 감시 기능을 갖는 제습 냉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283B1 (ko) * 2019-01-15 2019-08-09 김수현 간접증발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75391B (zh) 2017-04-12
JP2014190672A (ja) 2014-10-06
JP6147537B2 (ja) 2017-06-14
CN104075391A (zh) 2014-10-01
KR101526114B1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114B1 (ko) 공기 조화 장치
US10823436B2 (en) Air conditioning method using a staged process using a liquid desiccant
CN107300230B (zh) 蒸发冷却系统
ES2759926T3 (es)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desecante líquido
CN110594883B (zh) 组合热交换器和注水系统
JP6395801B2 (ja) 液体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後付け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099693B1 (ko) 소형-분할형 액체 흡수제 공조 방법 및 시스템
US6405543B2 (en) High-efficiency air-conditioning system with high-volume air distribution
US20130340449A1 (en) Indirect evaporative cooler using membrane-contained liquid desiccant for dehumidification and flocked surfaces to provide coolant flow
KR20170086496A (ko) 미니-스플릿 액체 데시컨트 공기 조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2878A (ko) 이슬점 냉각 장치
KR20110076737A (ko) 냉난방 기능이 일체화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KR20110105037A (ko) 냉난방 기능이 일체화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CN105402834A (zh) 一种全品质空气调节处理系统
JP4911968B2 (ja) 外気冷熱利用方法及び空調システム
JP2913020B2 (ja) 調湿換気空調機
CN105202670B (zh) 吸收制冷与蒸发冷却相结合的冬夏两用空调系统
KR102532056B1 (ko) 액체식 올인원 냉·난방 공기청정조화 장치
CN213066393U (zh) 一种空调系统及其间接蒸发冷却机组
JP2008025963A (ja) 空調システム
JPH0972626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