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547A - 칼날 - Google Patents

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547A
KR20140118547A KR1020130034682A KR20130034682A KR20140118547A KR 20140118547 A KR20140118547 A KR 20140118547A KR 1020130034682 A KR1020130034682 A KR 1020130034682A KR 20130034682 A KR20130034682 A KR 20130034682A KR 20140118547 A KR20140118547 A KR 20140118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surgical
skin
tip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달용
신재규
김봉준
Original Assignee
전달용
김봉준
신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달용, 김봉준, 신재규 filed Critical 전달용
Priority to KR102013003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547A/ko
Publication of KR2014011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2017/32116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blade, e.g. with a reinforcing ri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들이 환자수술용으로 사용하는 메스에 관한 것으로 수술기술의 발전 및 검사기구의 발달에 비해 수술도구는 발달을 하지 못하였다. 특히, 외과 및 내과의 수술과 다른데 비해 그 도구는 예전과 다르지 않다. 이에 성형수술 뿐 아니라 수술의 특징과 사용자 및 환자의 특징에 맞는 칼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의 특징을 연구하여 그 특성에 맞는 이상적인 칼날의 구조와 제공하여 수술시의 절개가 부드럽게 되며, 피부 절개면을 최소로 하여 수술 후 피부의 재생에 효과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칼날{MESS}
본 발명은 칼날의 구조를 수술에 형태에 최적화 하여 수술 전 후를 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칼날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술용 칼날의 구조를 개선하여 환자의 상태 및 수술형태에 맞는 칼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술용 칼날의 구조를 변경하여 더 날카롭고 정교하게 피부를 절개(切開)할 수 있는 수술용 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술은 수술형태 및 방법에 따라 칼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칼의 종류를 보고 그에 맞게 선택을 하여 수술을 하는 형식이었다.
이로 인해 수술 시 다양한 칼이 존재 하였고, 특정한 시술을 하는 의사는 특정한 칼을 획일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그 칼의 특정부위만 쓰이게 되어 사용을 오래 못하는 상황이 발생을 하게 되었다.
또한, 절개 시 처음 살을 대는 부분에는 약간 강한 힘이 들어가 첫 절개한 부분이 그 이후에 절개된 부분보다 절개한 부분이 굵거나 깊이 들어가게 된다.
이때 처음 절개된 부분이 크기가 굵어 수술 후 수술 자국이 남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수술용 칼의 구성인 면, 날, 날 끝으로 정의를 하고 날 끝부분을 유선형(라운드)형 형태로 들어가게 하여 수술용 칼이 피부에 닿는 면을 최소화 하고 날 끝의 표면처리를 통하여 기존의 날 끝 보다 얇게 하고 수술시 날 끝에 처음 살을 댈 때 힘이 최소로 들어가도록 하여 피부와 수술용 칼이 닿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절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칼에 관한 것이다.
날 끝 혹은 날의 부분을 기존의 날보다 얇고 정교화하기 위하여 날의 한쪽 혹은 양쪽 면을 유선형의 라운드로 처리를 하여 기존의 날보다 얇고 가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날 부분과 별도로 날 끝 부분만 따로 처리 할 수도 있다.
또한 날 끝의 표면처리로 인하여 피부에 닿는 날 끝의 거친 부분을 제거하여 수술 시에 피부와 닿는 면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절개가 더욱 수월하게 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한 부위의 수술인데도 불구하고 수술의 부위상의 특징 및 수술의 특징으로 인해서 다른 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칼을 간호사와 주고받는 상황에서도 떨어뜨리거나 잘못 전달하는 상황이 발생을 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위의 수술용 칼에 다른 용도의 칼을 양 날로 하여 하나로 두 가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양 날을 구성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칼의 한쪽 면은 직선형의 30~45도의 라운드의 각을 이루고 다른 면은 50~60도의 직선의 각을 이루어 한 면은 자르는 용(선을 긋듯이 자르는 용도)으로 다른 하나는 절개용(?는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면을 직선형을 이루게 하거나 양쪽 면은 라운드 형태로 만들어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용도가 비슷한 수술 중일 경우 주고받는 행위를 적게 함으로써 수술시간 및 수술을 더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자 한다.
이때 한 면과 다른 한 면을 이루는 곳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곳은 날이 다른 면보다 굵게 되어 있다. 이를 라운드 형태로 처리하여 그 면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구성을 한다.
트임용으로 다른 한 면은 절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부위의 성형수술시의 트임(앞트임용과 뒤트임용)용으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술용 칼의 날
끝 부분을 유선형 한 쪽 혹은 양쪽으로 들어가도록 처리하여 날끝 부분을 얇게 함과 동시에 날 끝의 표면처리로 인하여 날 끝 면이 수술 시에 칼끝이 피부에 닿을 때 힘이 최소로 들어가게 하고 수술용 칼이 피부에 닿는 면을 최소화 하고,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술 후 절개된 부위가 표시가 나지 않도록 하여 효과적인 수술을 하기 위한 수술용 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날 혹은 날 끝을 유선형 형태로 처리를 하는 구성을 위하여 가장 얇고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각도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유선형의 가공을 할 수 있도록 처리를 한다. 또한 양쪽 날이 마주치는 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라운드 형태로 처리하여 마주보는 면의 굵기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방법으로써,
상기의 칼의 한쪽 면은 일정한 각을 가지며 다른 한쪽도 다른 것을 가지는 유선형의 날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유선형의 날은 자르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직선형의 날은 절개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양쪽의 날이 유선형형태로 할 수도 있고, 칼의 양쪽이 직선형의 형태로 서로 다른 각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절개 및 자르는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칼의 끝부분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수술용칼은 절개시의 시작점이 굵게 ?어지게 되는데, 이를 시작과 중간 그리고 끝 부분까지 가는 선의 형태로 절개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칼끝을 정교하게 하고 표면처리를 한 수술용 칼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술 전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 할 수 있다.
도1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칼의 구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칼(메스:MES)는 칼을 구성함에 있어서 칼면과 칼날 그리고 칼끝의 세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칼은 칼날과 칼끝이 하나로 메끄럽게 갈려 있으나 수술용 칼은 칼날의 끝부분(칼끝이라 칭한다.)이 한 번 더 날카롭게 갈려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현재 기존의 날은 칼날과 칼끝이 일자형(삼각형모양)으로 모서리가 맞게 되어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게 되어있어 그 부분으로 피부를 절개하거나 자르는 등의 용도로 사용이 된다.
일반적인 수술에서는 수술용 칼의 날카로운 부분이 수술 내에서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으나, 그 수술이 성형이나 피부 등의 미용이나 여성의 민감한 부분의 수술에서는 그 날카로움과 정교함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피부 절개면이 날카롭거나 정교하면 수술 후의 부위가 매끄럽게 잘 붙을 수 있어 수술의 흔적이 남지 않기 때문이다.
도-2는 현재 사용되는 수술용 칼을 그린 것으로 칼날의 면 그리고 칼날, 칼끝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도-2는 양날의 구조를 표시하는데, 한쪽 날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도-3은 칼날의 면은 일자로 구성이 되고, 칼날과 칼끝은 라운드형으로 처리된 것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시에 칼끝이 피부에 닿고 그 부분의 피부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칼끝이 피부에 닿는 부위가 적어지면 피부와 수술용 칼끝의 마찰력 또한 줄어들어 피부를 절개하는데 수월해진다.
이때 칼날에 일정한 구멍을 내어 수술시 빛이 통과 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도3을 더욱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
실제 일상에서의 사례를 살펴보면, 종이를 자를 때 자를 대고 종이를 펴서 자르거나 손으로 잡고 자를 때를 가정하면, 우리는 칼을 잡고 칼끝에 힘을 주고 자르는데 이때 첫 칼끝이 닿는 부분이 자른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굵게 잘리게 된다.
이는 처음에 힘을 주어야 칼끝을 피부를 절개할 수 있는데, 이때 칼끝이 날카롭지 않으면, 더 많은 힘을 주게 되고, 힘이 실리면서 절개면이 더 깊게 들어갈 수밖에 없게 된다. 피부의 절개면이 깊어지면 절개된 피부사이가 넓어지게 되어 추후 수술 후 수술자국이 남게 된다.
칼끝을 세워 정면으로 보면 칼끝의 단면인 도-1(일반적인 수술용 칼끝과 발명을 할 칼끝)을 참고하면 칼끝이 날카롭지 않다.
이 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처리하여 칼끝을 날카롭고 정교하게 하여 칼끝이 처음 피부에 닿는 부분에 힘이 들지 않도록 하여 피부를 절개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검증은 성형전문병원인 김형진 성형외과원장인 김형진원장(02-544-5222)과 성형전문병원인 에스라인성형외과 원장인 남상재원장(02-515-2425)이 실제 사용한 결과를 피드백 해 주었다.
도-6는 메스의 날면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할 시에 각진 모서리가 없거나 크지 않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이때, 날면은 직선형태로 되어 있고, 날끝만을 라운드 형태로 할 수 도 있다.
도-7은 라운드의 형태가 오목 혹은 볼록의 형태로 구성이 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도-8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날 끝을 확대한 것으로 좌측은 한쪽 면을 사용하는 수술용 칼을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은 양쪽 면을 사용하는 수술용 칼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9는 도-8의 칼끝을 굵기를 더 얇고 정교하게 하는 라운드 처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칼끝의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칼을 사용할 시에 피부에 닿는 칼끝은 한정이 되어 있는데,
도-8,도-9,도-10의 상하단의 원부분이 주로 사용이 된다. 즉 그 원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수술 시에 피부를 절개하는 주요부위가 된다.
이때 좌우의 칼끝의 굵기가 피부를 절개하는 넓이와 같으므로 수술 후 피부가 완벽하게 재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원형 부위를 최소한의 굵기로 하여 수술 시 피부 절개면을 최소화하여 수술 후 완벽하게 재생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10은 칼끝을 정교하게하기 위하여 칼끝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칼끝이 구성이 되면 칼끝이 정교하교 날카롭게 되어 피부 절개면이 최소로 절개가 된다. 이렇게 절개된 면은 수술 후의 회복력 및 재생력이 뛰어나 흉터가 남지 않게 된다.
이때 칼날에 일정한 구멍을 내어 수술시 빛이 통과 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도-11은 칼 끝 및 칼면과 칼끝을 라운드로 구성하여 수술용 메스의 절개능력 및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수술용칼을 더욱 정교하고 날카롭게 만드는 방법으로써,
    칼날 및 칼끝의 형태를 라운드형으로 하여 더 날카롭고 정교하게 피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칼날 및 칼끝의 구성 및 형태로써,
    상기 수술용 칼은 칼면과 칼날 그리고 칼끝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칼끝은 한 번 라운드형으로 날카롭게 갈려있어 칼끝이 피부에 닿는 부위가 적어지게하고 피부와 수술용 칼의 칼끝 마찰력을 줄여 피부절개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수술용 칼의 형태 및 구성
  2. 제1항에 있어서,
    수술용 칼의 칼끝 및 칼면의 부분은 라운드 형태로 갈려 있거나, 칼끝은 라운드로 구성이 되고, 칼면은 직선형태로 되어 있으며,
    단면 혹은 양면, 앞면 혹은 뒷면으로 구성이 가능한 수술용 칼의 형태 및 구성
  3. 제1항에 있어서,
    수술용 칼날에 일정한 구멍을 내어 수술시 빛이나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여 수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형태 및 구성

    칼면의 형태(수술용 칼의 칼끝부분과 피부에 닿는 면을 날카롭게 구성)
  4. 수술용칼의 칼면을 오목 혹은 볼록한 형태로 구성하여 각진 부분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라운드의 형태를 취하며, 칼끝은 라운드 형태로 날카롭고 정교하게 함에 있어서,
    칼끝의 전체가 날카로울 필요가 없으며, 수술시에 수술용칼이 피부에 닿는 실제면을 더욱 날카롭게 오목한 형태의 라운드 형으로 처리하는 수술용칼의 구성 및 형태
  5. 제4항에 있어서,
    이때 수술용칼의 칼날에 일정한 구멍을 내어 수술시 빛이 통과 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수술용칼의 칼끝의 굵기가 피부를 절개하는 넓이와 같으므로 수술 후 피부가 완벽하게 재생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원형 부위를 최소한의 굵기로 하여 수술 시 피부 절개면을 최소화하여 수술 후 완벽하게 재생이 될 수 있도록 칼끝을 정교하게하기 위하여 칼끝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하여, 칼끝이 정교하교 날카롭게 되어 피부 절개면이 최소로 절개가 되며, 칼끝이 처음 피부에 닿는 부분에 힘이 들지 않도록 하여 피부를 절개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칼의 칼끝 및 칼날의 처리하며,이렇게 절개된 면은 수술 후의 회복력 및 재생력이 뛰어나 흉터가 남지 않게 하도록 하는 수술용칼의 칼날 및 칼끝 의 구성 및 처리방법.


KR1020130034682A 2013-03-29 2013-03-29 칼날 KR20140118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682A KR20140118547A (ko) 2013-03-29 2013-03-29 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682A KR20140118547A (ko) 2013-03-29 2013-03-29 칼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547A true KR20140118547A (ko) 2014-10-08

Family

ID=5199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682A KR20140118547A (ko) 2013-03-29 2013-03-29 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5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9212A (zh) * 2014-12-03 2016-06-29 王剑云 使用信息技术对围术期手术安全管理的方法
CN109730753A (zh) * 2019-01-03 2019-05-10 陈春鹏 一种微整手术专用刀及微整手术破皮方法
KR20200035680A (ko) * 2018-09-27 2020-04-06 대경 이 새로운 형태의 수술용 메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9212A (zh) * 2014-12-03 2016-06-29 王剑云 使用信息技术对围术期手术安全管理的方法
KR20200035680A (ko) * 2018-09-27 2020-04-06 대경 이 새로운 형태의 수술용 메스
CN109730753A (zh) * 2019-01-03 2019-05-10 陈春鹏 一种微整手术专用刀及微整手术破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60133B2 (en) Fine membrane forceps with integral scraping feature
TR201815810T1 (tr) Ultrasonik osteotom için torna kalemi.
KR20140118547A (ko) 칼날
Harris Follicular unit extraction
TWM339296U (en) Forceps for a double eyelid
JPWO2019146632A1 (ja) 鼻用ナイフ
ATE426381T1 (de) Chirurgische messerklinge mit hohlfase
JP2009061015A (ja) 手術用刃物
CN202342142U (zh) 组合式手术刀
CN207768479U (zh) 螺旋线手术刀
KR102264307B1 (ko) 새로운 형태의 수술용 메스
KR20160041237A (ko)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RU2681723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топластики
CN104000638A (zh) 一种剪切血管的专用手术剪
RU204722U1 (ru) Скальпель с опорной площадкой для пальца
CN211484811U (zh) 一种高性能锆瓷手术刀
CN211156098U (zh) 一种腔镜手术体表戳孔刀片
CN204121116U (zh) 一种拾取式手术剪
CN215079353U (zh) 一种手术刀片
CN201870806U (zh) 眼科手术刀
JP7305223B1 (ja) 眼科手術用ナイフ
CN209734085U (zh) 一种外科用手术钳
CN207768477U (zh) 螺旋线手术刀片
RU192026U1 (ru) Разволокняющий скальпель для операций у пациентов с дисплазие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ткани
CN212853570U (zh) 一种肋软骨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