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227A - 횡단보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227A
KR20140118227A KR1020130033767A KR20130033767A KR20140118227A KR 20140118227 A KR20140118227 A KR 20140118227A KR 1020130033767 A KR1020130033767 A KR 1020130033767A KR 20130033767 A KR20130033767 A KR 20130033767A KR 20140118227 A KR20140118227 A KR 2014011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portion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준섭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227A/ko
Publication of KR2014011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횡단보도의 인도에서부터 도로까지 조명하여 횡단하는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반사부를 이용한 간접조명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직접적으로 조광되지 않도록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가로등 기둥에서 도로를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의 일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여 인도와 도로에 간접적으로 조광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하여, 횡단보도의 인도와 도로를 모두 조광하여 보행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시계가 불량한 경우, 또는 고속주행으로 접근하는 상태에서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조명장치{CROSSWALK LIGHTING DEVICES}
본 발명은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가 그려져 있는 도로의 인도에서부터 도로까지 조명을 균일하게 비출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상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 노면에 횡단보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통행량이 많고 보행자의 횡단이 많은 도로에 위치한 횡단보도에는 보행자용 신호등을 설치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주고 있다.
한편, 횡단보도 주변을 포함하는 도로변에는 일몰시에 점등되고 일출시에 소등되는 가로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주행 및 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가로등은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의 시야에 혼란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함에 따라 그 밝기가 비교적 어두울 수 밖에 없어 근거리의 사람 또는 물체는 식별이 가능하지만, 조금만 거리를 두게 되면 그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6419호의 도 1, 도 4 및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행자 보호용 조명등을 부착한 신호등 철주 조립체'가 제공된 바 있다.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차량통제용 신호등에 횡단보도를 조명할 용도의 조명등을 부착하여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조명등을 부착한 신호등 철주 조립체는 신호등이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와 상당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횡단보도를 조명하기 위해서 구비된 조명등의 각도가 조절되어야만 하고, 이렇게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 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은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안전운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며, 더불어 신호등이 설치되는 횡단보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횡단보도가 도로상에 표시되어 있으나 보행인이 많지 않고 차량의 통행량 또한 많지 아니하여 차량용 및 보행자용 신호등이 설치되지 아니한 한적한 도로의 경우,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의 횡단보도 유무 자체를 인식하기 어려워 차량이 고속주행하는 경우 자칫하면 되돌릴 수 없는 인명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횡단보도의 인도에서부터 도로까지 조명하여 횡단하는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반사부를 이용한 간접조명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직접적으로 조광되지 않도록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가로등 기둥에서 도로를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의 일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여 인도와 도로에 간접적으로 조광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며, 제1 발광부와 일정한 각을 가지는 제2 발광부의 빛을 받아 인도쪽으로 반사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호(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발광부의 출력은 제1 발광부의 출력보다 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의 렌즈 발광 각도는 제1 발광부의 LED 렌즈 발광 각도보다 크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반사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10ㅀ~15ㅀ의 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 사이의 각도는 95ㅀ~105ㅀ이고,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간격은 300mm일 때 가장 좋은 효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인도와 도로를 모두 조광할 수 있어 보행자가 인도부터 도로까지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자가 야간이나 악천후 등 시계가 불량한 경우, 고속주행으로 접근하는 상태에서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횡단보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반사부를 이용한 간접조명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가 느낄 수 있는 빛에 의한 눈부심 등을 줄여 보행자가 편하게 횡단보도를 지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부의 각도와,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조도 및 균일한 조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로등 기둥 및 상기 제1 발광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발광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결부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발광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등 기둥 및 상기 반사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반사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연결부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반사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과 연동되어 신호등이 켜지는 동안은 출력을 높혀 높은 휘도로 조도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 조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반사부의 각도는 지면과 15ㅀ의 각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반사부의 반지름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조도를 측정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반사부의 각도는 지면과 10ㅀ의 각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반사부의 반지름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조도를 측정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제1 발광부(110), 제2 발광부(120), 반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10)는 가로등 기둥(300)에서 도로를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된다. 제2 발광부(120)는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일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와 제2 발광부(120) 사이의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변경시킬 수 있다.
반사부(200)는 상기 제1 발광부(110)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110)와 제2 발광부(1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여 인도와 도로에 간접적으로 조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200)의 형상은 호(arc)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부(200)는 지면을 기준으로 인도쪽에서 도로쪽으로 높아지도록 일정한 각도(b)를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발광부(110)는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어 지면을 항햐여 직접 인도쪽을 조광하게 된다. 한편, 제2 발광부(120)는 상기 제1 발광부(110)와 일정한 각도(a)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발광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은 반사부(200)에 반사되어 도로쪽을 조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광을 하게 되면, 인도쪽을 직접 조광하는 제1 발광부(110)는 조광면적이 좁고, 도로쪽을 조광하는 제2 발광부(120)는 조광면적이 제1 발광부에 의한 조광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횡단보도의 전체적인 조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출력이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출력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넓은 범위를 조광해야 하는 제2 발광부(120)의 출력은 높이고, 좁은 면적을 조광해야 하는 제1 발광부(110)의 출력은 제2 발광부(120)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횡단보도의 인도쪽 방향과 도로쪽 방향의 조도가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로쪽을 조광하는 경우 조광 범위가 크기 때문에 제2 발광부(110)의 LED 렌즈는 발광각도가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도쪽은 도로쪽에 비해 좁은 범위로 조광되기 때문에 제1 발광부(120)의 LED 렌즈는 상대적으로 제1 발광부(110)의 LED 렌즈의 발광각도보다 작은 각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부(2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이 조광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가로등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반사부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반사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200)는 호(arc) 형상의 반사부(200)를 두 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하나의 호(arc) 형상을 가지는 반사부를 둘 수 있다. 상기 호(arc) 형상의 반사부(200)의 내부에서 빛을 반사하여 간접적으로 조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회전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빛이 조광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부(20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 발광부(12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는 도로의 폭에 맞추어 횡단보도 전체에 빛이 균일하게 조광될 수 있도록 반사부(200)와 제2 발광부(1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조광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로등 기둥 및 상기 제1 발광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발광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연결부(130)와, 상기 가로등 기둥 및 상기 반사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반사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연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0)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발광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230)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반사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23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조도의 방향 및 조도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평상시에는 인도에만 조도가 되도록 하다가, 신호등이 켜지는 순간 도로쪽에도 같이 조도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또한, 도로쪽으로 조광되는 것을 보고 차량 운전자가 신호등이 켜진 것으로 인지하기가 쉽기 때문에 사고의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과 연동되어 신호등이 켜지는 동안은 출력을 높혀 높은 휘도로 조도를 할 수 있다. 이는 평상시에는 휘도가 낮게 조도를 하여 차량 운전자가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등이 켜졌을 때에는 출력을 높여 휘도록 높게 설정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람들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 조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반사부(200)는 하단부가 도로(20)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 발광부(110)는 상기 반사부(200) 하단에 배치되고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발광부(120)는 상기 제1 발광부(110)에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발광부(110)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조명장치에서 반사되어 조광되는 범위가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발광부(110)는 하부로 직접 빛을 발광하여 인도(10)쪽을 조광하게 된다. 제2 발광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은 반사부(200)에 반사되어 도로(10)쪽을 조광하게 된다. 이때, 제2 발광부(120)는 넓은 범위의 조광을 위하여 빛이 멀리까지 전달되야 하게 때문에 발광 각도가 큰 LED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도 높은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1 발광부(110)가 조광하는 빛의 범위가 제2 발광부(120)가 조광하는 빛의 범위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2 발광부(120)와 비교하여 각도가 작은 LED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도 제1 발광부보다 작은 출력을 가지는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횡단보도 조명장치가 횡단보도 전체에 걸쳐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하는 최적의 조건을 찾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횡단보도 조명장치의 다양한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도로 기준 4차선인 시내 영역의 횡단보도에서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볼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조건은 제1 발광부(110)와 반사부(200)까지의 거리는 30cm로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제2 발광부(120)는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하며, 반사부(200)의 기울기에 따라 반사부(200)의 반지름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조도의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반사부의 각도는 지면과 15ㅀ의 각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반사판의 반지름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조도를 측정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반사부의 각도는 지면과 10ㅀ의 각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반사판의 반지름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조도를 측정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도 6에서 보여지는 시뮬레이션 결과인 28~36번의 발광부 사이의 각도와 반사부의 각도에서 횡단보도에 최적의 조도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여지는 시뮬에이션 결과인 19~27번의 발광부 사이의 각도와 반사부 각도에서 횡단보도와 인도에서 최적의 조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1,2,3,4,8,9의 조건에서의 조도 균일도가 좋은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반사부의 반지름의 길이는 200~280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부(200)의 각도는 지면과 10ㅀ~15ㅀ의 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횡단보도의 인도와 도로를 모두 조광하여 보행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시계가 불량한 경우, 또는 고속주행으로 접근하는 상태에서도 횡단보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접조명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가 느낄 수 있는 빛에 의한 눈부심 등의 분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발광부의 각도와,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도로의 폭에 따른 최적의 조도 환경을 용이하게 설계하고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인도 20: 도로
110: 제1 발광부 120: 제2 발광부
130: 제1 연결부 200: 반사부
230: 제2 연결부 300: 가로등

Claims (12)

  1. 가로등 기둥에서 도로를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여 도로에 간접적으로 조광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는 인도쪽을 향하여 조광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반사부를 향하여 빛을 조광하여 횡단보도 쪽으로 조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호(arc)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의 출력은 제1 발광부의 출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의 렌즈 발광 각도는 제1 발광부의 LED 렌즈 발광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깁 반사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10ㅀ~15ㅀ의 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 사이의 각도는 95ㅀ~105ㅀ이고,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간격은 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기둥 및 상기 제1 발광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발광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발광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기둥 및 상기 반사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반사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반사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과 연동되어 신호등이 켜지는 동안은 출력을 높혀 높은 휘도로 조도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0130033767A 2013-03-28 2013-03-28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40118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67A KR20140118227A (ko) 2013-03-28 2013-03-28 횡단보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67A KR20140118227A (ko) 2013-03-28 2013-03-28 횡단보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27A true KR20140118227A (ko) 2014-10-08

Family

ID=5199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767A KR20140118227A (ko) 2013-03-28 2013-03-28 횡단보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2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71B1 (ko) * 2017-10-13 2019-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염 방지를 위한 led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71B1 (ko) * 2017-10-13 2019-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염 방지를 위한 led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4886B (zh) 车辆用前照灯以及车辆用前照灯装置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0971611B1 (ko) 도로 조명등
KR20080113119A (ko) 적응성 정면 조명 시스템, 차량용 적응성 정면 조명 시스템의 램프 장치, 및 적응성 정면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0986736B1 (ko) 배광분포 가변형가로등기구
JP2009286199A (ja) 歩行者照射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CN207122846U (zh) 一种防眩光路灯
KR20180106649A (ko) 횡단 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조명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344677Y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40118227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40118223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202289B1 (ko) 가로등유닛
JP6142541B2 (ja) 車両用前照灯
KR20090011424U (ko) 엘이디 램프 가로보안등
CN205424735U (zh) 一种照明区域可调的前照灯
KR102256531B1 (ko) 횡단보도 야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근거리 스포트라이트 시스템
KR101646533B1 (ko) 호환성이 뛰어난 조사위치 조절형 실외용 엘이디램프
KR20140118226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JP2002170401A (ja) トンネル照明装置、道路照明装置
KR101531462B1 (ko) 엘이디용 반사장치
KR101491908B1 (ko)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KR101692391B1 (ko) 빛 조사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KR20040110782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EP2230445B1 (en)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lighting pedestrian cros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