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908B1 -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908B1
KR101491908B1 KR20130066926A KR20130066926A KR101491908B1 KR 101491908 B1 KR101491908 B1 KR 101491908B1 KR 20130066926 A KR20130066926 A KR 20130066926A KR 20130066926 A KR20130066926 A KR 20130066926A KR 101491908 B1 KR101491908 B1 KR 101491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crosswalk
lighting
sign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847A (ko
Inventor
정철우
Original Assignee
정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우 filed Critical 정철우
Priority to KR2013006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90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드 신호등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 다수개의 조명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몸체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조명부의 밝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횡단보도를 집중 조명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횡단보도에서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 다수개의 조명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조명의 밝기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조명부의 조명각도를 다양하게 조작함으로써 조명의 범위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센서의 감지신호나 신호등 제어함에서 전달되는 신호등 점등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집중 조명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FOCUSING A CROSSWALK}
본 발명은 횡단보드 신호등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 다수개의 조명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몸체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조명부의 밝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횡단보도를 집중 조명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횡단보도에서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해마다 교통사고로 5천 200여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부상자는 매년 35만 여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보행 중 사상자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보행 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 노면에 횡단보도와 신호등이 다수 설치되고 있으나, 횡단보도에 설치된 전조등의 밝기가 약하고 횡단보도가 설치된 곳과이 주변지역이 쉽게 구분되지 않아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0398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기둥(10), 클램프 조립체(20), 수평보(30), 조명모듈(40), 각도조절수단(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램프 조립체(20)는 횡단보도의 도로가에 설치되어 있는 기둥(10) 외면에 분히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수평보(30)는 일단이 클램프 조립체(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조명모듈(40)은 수평보(30)의 자유단에 설치되고 하우징(44)과 하우징(44) 내측에 장착된 조명(42)으로 이루어진다.
각도조절수단(50)은 안내구멍(54a)과 중심관통구멍(54b)이 구비된 제1 브라켓(52)과 제2 브라켓(54) 및 볼트 조인트(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제2 브라켓(54)은 조명모듈(40)을 지지하며, 제1 브라켓(52)의 안내구멍(54a) 및 중심관통구멍(54b)을 관통하는 볼트 조인트에 의해 제1 브라켓(52)과 나사체결된다. 그 결과 조명모듈(40)은 수평보(30)의 자유단상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조명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횡단보도의 가로등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조명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종래기술은 수평보(30)에 설치될 수 있는 조명모듈(40)의 수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어 조명의 밝기가 약하고, 자유단상에 설치된 조명모듈(40)의 회전 각도의 폭이 좁아 조명 각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횡단보도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구별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일정한 밝기로 조명되어, 운전자가 조명장치의 존재 또는 횡단보도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거나 간과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00398 Y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 다수개의 조명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조명의 밝기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조명부의 조명각도를 다양하게 조작함으로써 조명의 범위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광센서의 감지신호나 신호등 제어함에서 전달되는 신호등 점등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조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행신호와 정지신호를 구분하여 보행신호인 경우 최대출력으로 조명하고 정지신호인 경우 출력을 낮추어 조명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보행신호에 있어 녹색등화가 점등된 상태인 경우 조명램프의 점등상태를 최대출력으로 유지시키고, 녹색등화가 점멸상태인 경우 조명램프의 출력을 줄이거나 조명램프를 점멸하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기둥 또는 암에 설치되어 상기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로서, 상면 및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내부에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박스와, 양 끝단이 상기 조명박스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조명박스를 지지하는 U자 형태의 조명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레일홈 내부에 위치하는 나사부재와, 상기 레일홈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나사부재와 나사체결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 및 나사부재에 형성된 나사홀을 관통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지지부재는 중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원통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조명 체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는 두 개 내지 여섯 개의 조명부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밴드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명장치를 상기 기둥 또는 암에 고정시키는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신호등 제어함에서 전달되는 점등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인 경우 출력을 최대출력으로 하여 조명하고, 상기 신호등이 정지신호인 경우 출력을 최대출력의 0% 내지 50%로 하여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램프는 상기 보행신호의 녹색등화가 점등된 상태인 경우 최대출력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행신호의 녹색등화가 점멸상태인 경우 최대출력상태에서 점멸하거나 최대출력을 50% 내지 70% 하여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상면 및 양 측면에 다수개의 조명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조명의 밝기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조명부의 조명각도를 다양하게 조작함으로써 조명의 범위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센서의 감지신호나 신호등 제어함에서 전달되는 신호등 점등신호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집중 조명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조명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조명 체결부의 단면도.
도 6은 조명박스의 회전반경 및 조명부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조명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d)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조명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조명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이하 "조명장치"라 함)는 몸체(120), 조명부(140), 조명 체결부(160), 밴드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2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면 및 양 측면에는 조명부(140)가 몸체(1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22)이 형성된다.
레일홈(122)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단면을 기준으로 사각형태 내지 반타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레일홈(122)의 상단 양측에는 소정의 돌출부(122c)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어느 정도 감싸게 되며 돌출부(122c)의 윗면은 평탄한 레일면(122b)을 이루게 된다.
조명부(140)는 조명박스(144)와, 조명박스(144)를 지지하는 조명 지지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박스(144)는 바디 프레임(144-1), 측면 프레임(144-2) 및 보호유리(144-4)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부에 설치된 조명램프(144-3)로 포함할 수 있다.
조명박스(144)는 측면 프레임(144-2) 및 지지부재(142)의 양 끝단에 형성된 원통형 체결부재(미도시)의 나사체결에 의해 조명 지지부재(142)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조명램프(144-3)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조명램프(144-3)는 에너지 소모량이 적고 자연 친환경적인 LED 조명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형광램프나 백열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조명 지지부재(14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대략 U자 또는 V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U자 또는 V자 형태의 지지부재는 협소한 공간에 다수의 조명부(140)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명박스(144)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지부재(142)의 중단에는 지지부재(144)가 몸체(120)의 조명 체결부(16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체결공(142a)이 형성된다.
조명 체결부(160)는 레일홈(122) 내부에 위치하는 나사부재(161), 레일홈(122) 상부에 위치하는 원통부재(163), 나사부재(161)와 원통부재(163)를 나사체결하는 볼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체결부(16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120)의 상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2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조명 지지부재(142)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몸체(120)의 레일면(122b)상에 중공의 와셔(162)가 놓여지고, 와셔(162) 상측에 조명 지지부재(142)의 체결공(142a)이 위치하며, 체결공(142a) 내에는 원통부재(163)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원통부재(163)는 체결공(142a) 하단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조명 체결부(162)에 체결된 조명 지지부재(14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사부재(161)와 원통부재(163)를 나사체결하는 볼트는 원통부재(163)에 형성된 나사홀(163a) 및 나사부재(161)에 형성된 나사홀(161a)에 삽입된다. 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나사부재(161)와 원통부재(163)는 레일면(122b)상에 밀착, 고정되고 조명 지지부재(142)는 레일면(122b)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조명부(140)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볼트를 조여 몸체(120)에 체결함으로써 조명부(140)의 설치각도를 0°내지 360°범위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체결부(162)는 몸체(120)에 영구 부착된 것이 아니라 나사체결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조명부(140)는 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원통부재(163) 상부에는 조명 체결부(160)를 보호하는 볼트캡(16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밴드부(180)는 신호등의 기둥 또는 암을 감싸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 밴드(182)와, 밴드(182)의 양 끝단을 체결하는 클램프(184)로 구성된다.
밴드(182)는 몸체(120)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밴드 체결공(124)을 관통하고 신호등의 기둥 또는 암의 외주를 따라 감겨진 뒤, 클램프(184)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조명장치(100)는 신호등의 기둥 또는 암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조명박스의 회전반경 및 조명부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조명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c)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명부(140)는 조명 체결부(142)의 중심축인 A1 축을 중심으로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명박스(144)는 지지부재(142)의 양 끝단을 잇는 A2축을 중심으로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종래 조명장치와는 달리 조명부(140)의 조명각도를 폭넓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수개의 조명부(140)가 몸체(120)의 상면 및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40)의 개수는 횡단보도가 설치되는 장소적 특성에 따라 2개 내지 6개가 바람직할 것이다.
가령 횡단보도가 설치되는 장소가 어둡거나 주위에 장애물이 많은 경우 또는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사고가 빈번한 경우에는 조명의 밝기가 강한 (c), (d)의 조명장치(100)를 설치하고, 비교적 안전한 장소인 경우 (a), (b)의 조명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하나의 몸체(120)에 다수개의 조명부(140)를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조명의 밝기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조명부(140)의 조명 각도를 다양하게 조작함으로써 조명의 범위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다.
특히 집중조명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전자에게 횡단보도 내지 보행자의 존재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는 제어부(192), 광센서(196), 조명구동부(194), 전원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2)는 몸체(1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조명 구동부(194) 및 기타 내부장치를 제어하며,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196)의 감지신호 또는 신호등 제어함의 점등신호를 전송받아 조명 구동부(194)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광센서(196)는 신호등의 점등상태, 즉 보행신호의 녹색등화 내지 정지신호의 적색등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센서(196)는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잘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신호등 제어함은 신호등 또는 신호등 주변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점등신호(보행신호와 정지신호)를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신호등의 점등신호는 일반적으로 제어함에 내장된 제어부에 의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뀌게 된다. 조명장치(100)는 신호등 제어함과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신호를 시간적 간격 없이 곧바로 전송받게 된다.
전원부(198)는 조명 구동부(194) 및 기타 내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120)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외부전원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 구동부(194)는 제어부(192)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조명램프(144-3)를 구동하며, 조명램프(144-3)는 조명 구동부(194)에 의해 밝기를 조절하여 횡단보도를 조명한다. 여기서 조명 구동부(194)는 종래 LED 드라이버를 의미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램프(144-3)는 광센서(196)의 감지신호 또는 신호등의 점등신호가 보행신호인 경우 출력을 최대로 하여 조명하고, 정지신호인 경우 출력을 0% 내지 50%로 하여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보행신호인 경우 조명의 출력을 최대로 하여 조명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존재 내지 보행자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정지신호인 경우 출력을 낮추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조명램프(144-3)는 보행신호의 녹색등화가 점등된 상태인 경우 최대출력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녹색등화가 점멸상태인 경우 최대 출력상태에서 점멸하거나, 최대출력을 50% 내지 70%로 하여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행신호의 녹색등화가 점멸상태인 경우 조명장치의 조명램프(144-3)도 점멸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행자나 운전자로 하여금 점멸신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는 신속,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으며, 운행자는 점멸신호에 따라 정지선에 대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의 녹색등화와 적색등화는 그 조명의 밝기가 약해서 보행자나 운행자가 무심코 지나치는 경향이 있으나, 횡단보도에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설치될 경우 횡단보도를 집중조명함으로써 운전자나 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안전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도록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명장치 120: 몸체
122: 레일홈 140: 조명부
142: 조명 지지부 144: 조명박스
144-3: 조명램프 160: 조명 체결부 161: 나사부재 162: 와셔 163: 원통부재

Claims (7)

  1. 횡단보도 신호등의 기둥 또는 암에 설치되어 상기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로서,
    상면 및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22a)이 형성되는 몸체(120)와;
    내부에 조명램프(144-3)를 구비하는 조명박스(144)와, 양 끝단이 상기 조명박스(144)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조명박스(144)를 지지하는 U자 형태의 조명 지지부재(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20)의 상면 및 양 측면에 설치되는 조명부(140)와;
    상기 레일홈(122a) 내부에 위치하는 나사부재(161)와, 상기 레일홈(122a)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나사부재(161)와 나사체결되는 원통부재(163)와, 상기 원통부재(163) 및 나사부재(161)에 형성된 나사홀(163a, 161a)을 관통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홈(122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 체결부(160)와;
    상기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196);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지지부재(142)는 중단에 형성된 체결공(142a)에 상기 원통부재(163)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조명 체결부(16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조명램프(144-3)는 보행신호의 녹색등화가 점등된 상태인 경우 최대출력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행신호의 녹색등화가 점멸상태인 경우 최대출력상태에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상면 및 양 측면에는 두 개 내지 여섯 개의 조명부(14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밴드 체결공(124)을 관통하여 상기 조명장치를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기둥 또는 암에 고정시키는 밴드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30066926A 2013-06-12 2013-06-12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KR10149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926A KR101491908B1 (ko) 2013-06-12 2013-06-12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926A KR101491908B1 (ko) 2013-06-12 2013-06-12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47A KR20140144847A (ko) 2014-12-22
KR101491908B1 true KR101491908B1 (ko) 2015-02-23

Family

ID=5259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926A KR101491908B1 (ko) 2013-06-12 2013-06-12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699B1 (ko) * 2019-01-24 2020-01-08 심용철 횡단보도용 조사범위 가변형 제어 조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7190A (zh) * 2020-10-03 2020-12-18 杨灿 一种市政建设用智能路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80B1 (ko) * 2007-08-22 2009-01-30 라이텍코리아 (주) 절전형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44521B1 (ko) * 2007-10-29 2010-03-03 주식회사 웰라이트 가로등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80B1 (ko) * 2007-08-22 2009-01-30 라이텍코리아 (주) 절전형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44521B1 (ko) * 2007-10-29 2010-03-03 주식회사 웰라이트 가로등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699B1 (ko) * 2019-01-24 2020-01-08 심용철 횡단보도용 조사범위 가변형 제어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47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258B1 (ko) 케이블 일체형 조명등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2231298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101679673B1 (ko) 도로 조명용 등기구
KR101273322B1 (ko) 조사 범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헤드
KR101491908B1 (ko) 횡단보도용 집중 조명장치
KR101425515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20130139433A (ko) 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광도관의 광 발생장치
KR101506492B1 (ko) 터널등용 하우징
KR20170019841A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2256531B1 (ko) 횡단보도 야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근거리 스포트라이트 시스템
KR101425516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20100058110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90011424U (ko) 엘이디 램프 가로보안등
KR101646533B1 (ko) 호환성이 뛰어난 조사위치 조절형 실외용 엘이디램프
KR200344677Y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US9310058B2 (en) Lamp connector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200377499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1560142B1 (ko) 도로용 led모듈 조명장치
KR100337669B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367375Y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20021804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60020719A (ko)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20140118223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