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16B1 -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16B1
KR101425516B1 KR1020120094971A KR20120094971A KR101425516B1 KR 101425516 B1 KR101425516 B1 KR 101425516B1 KR 1020120094971 A KR1020120094971 A KR 1020120094971A KR 20120094971 A KR20120094971 A KR 20120094971A KR 101425516 B1 KR101425516 B1 KR 10142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divided
source plates
led
street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692A (ko
Inventor
이점식
Original Assignee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1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나 자동차들이 다닐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있어서, 특히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 등기구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엘이디 광원을 다수의 분할광원판으로 각기 구분 형성하여 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분할광원판은 등기구 본체로부터 다양한 각도를 갖고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각의 분할광원판을 이용하여 기존의 가로등용 등기구에서 사용되어 오던 차광판이 없어도 조사범위 및 조사각의 제어와 변경이 가능하므로 가로등의 인접지에 농지 및 축사나 주택이 있는 경우 조사각의 조정이나 조사 범위에 대한 변경을 통해 도로 및 인접지의 특성이나 상황을 감안하여 가장 최선의 차광 및 조사 범위를 이용함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 빛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고, 열주식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에 대한 균제도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어 균제도 저하로 인한 운전 중의 피로감이나 혼란스러움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LED lamp for streetlight}
본 발명은 사람이나 자동차들이 다닐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있어서, 특히 등기구의 내부 광원을 엘이디(LED)로 구성하되, 상기 엘이디 광원판을 다수로 분할 형성하고, 각각의 분할광원판은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분할광원판을 통해 점등 빛의 조사 범위나 조사 방향 등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어 기존의 차광판이 불필요한 것은 물론 열주식 가로등의 균제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도록 한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들이 통행할 수 있게 한 자동차 도로 또는 사람이나 자전거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한 인도나 자전거 도로와 같은 다양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의 도로를 밝게 비춰주기 위한 가로등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각종 유원지나 놀이공원 또는 산책로 및 아파트 단지 내부에는 야간에 어두운 곳을 밝혀주기 위한 공원등이나 보안등이 설치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공원등 및 보안등은 사람이 통행하는 도로의 주변이나 놀이터 또는 휴게시설 등의 주변에 설치되어 이들 다양한 시설을 야간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로등이나 공원등 및 보안등은 대부분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도 1의 도시와 같이 공통적으로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기둥(100)의 선단으로부터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아암(110) 및 상기 아암(110)의 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하향의 등기구(1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가로등 및 공원등과 보안등은 야간에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와 자전거 및 사람이 안전하게 통행 및 주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편적인 가로등 및 공원등과 보안등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기둥의 상측 끝부분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의 지지아암을 횡방향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아암의 끝단부에 램프가 내장되는 등기구를 결합 형성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의 등기구는 불투명의 본체 하측으로 투명의 투광체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의 본체 내측에는 고광도의 램프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의 램프에 기둥의 내측을 통해 연결되는 전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램프가 점등하면서 램프의 빛이 전기한 투광체를 통해 지면에 위치하는 도로 및 공원 등의 주변을 밝게 비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로등용 등기구는 통상적으로 고압방전램프가 광원으로 적용되는 것인데, 고압방전램프는 우수한 조도를 연출하면서도 수명이 길어 유지 및 관리가 어렵고 까다로운 가로등기구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로등이나 공원등 및 보안등의 주변에 유실수나 각종 채소 등의 작물에 대한 재배지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 상기 가로등 및 공원등과 보안등의 불빛이 과일 및 채소 등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결국 이들의 성장과 발육을 방해하므로 수확량이 감소하는 동시에 생산 품질 역시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유실수에 의한 각종 과일 및 채소 등은 밤과 낮의 반복적인 주기를 갖고 낮 시간에는 햇빛과 적절한 온도 등을 통해 활발한 성장과 발육이 이루어지는 반면 밤 시간에는 휴식기에 접어들어 성장과 발육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밤과 낮의 반복적인 리듬에 따라 과일 및 각종 채소류는 건강하고 풍성한 발육 및 성장상태를 갖고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일종의 바이오 리듬을 갖고 성장하여야 하는 과일과 채소 등은 인접지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공원등 및 보안등의 불빛에 영향을 받을 경우 상기의 불빛에 의해 주간과 야간에 대한 혼동이 발생하므로 건강한 성장과 발육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확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도로변에 인접한 하우스 농가에서는 상기의 가로등에 대한 피해를 지속적으로 호소하고 있는 동시에 그에 따른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로변에는 다양한 돼지나 닭 또는 소를 키우기 위한 축사가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인데, 상기의 축사 내의 가축 역시 가로등의 불빛을 야간에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 경우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어 역시 성장 속도가 떨어짐은 물론 자가 면역력이 약화되므로 질병으로부터 취약한 상태가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가로등의 인접지에 단독 또는 공동 주택이 위치하는 경우 이들 주택 내부에서 야간에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가로등의 불빛이 지나치게 밝은 상태로 실내를 조명하므로 실내 생활자의 숙면에 방해가 되어 그에 따른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가로등의 불빛에 의한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상기 램프 헤드에 불투명의 인쇄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등록특허 제0903195호와 같이 별도의 차광판 또는 시트 등을 부분적으로 부착하여 이들 불투명부에 의해 도로가 아닌 인접 지역으로 램프의 빛이 비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로등 램프 헤드에 대한 조사각 조절수단은 이미 만들어진 램프 헤드에 추가로 별도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불투명 차광판 또는 차단필름 등을 부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상 매우 번거로운 것이고, 외관을 통해 상기의 인쇄부 또는 차광판이나 차단필름이 그대로 노출되어 보이므로 외관을 해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투명 인쇄부 또는 차광판이나 차단필름은 위치 가변성이 전혀 없어 인접 주변의 상황이나 도로의 형태 등을 고려한 조사각의 가변 조정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므로 적절하고 효율적인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좁은 조사각을 갖게 되거나 인접 주변에 대한 효과적인 광 차단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고압방전램프 보다 사용 수명이 길고 다양한 조도의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엘이디가 적용된 등기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12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방열 효과가 우수한 소재로 만들어진 본체(121)의 내부에 지면을 향하도록 엘이디 광원판(122)의 내장하여 고정 형성하고, 개방된 본체(121)의 하부 저면에는 투명커버판(123)을 수밀 상태로 결합 고정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의 광원판(122)은 각기 개별적인 점멸이 가능한 엘이디를 이용하여 농지 또는 축사 및 주택과 인접하고 있는 부분의 엘이디는 소등시켜 별도의 차광판이 없이도 야간 점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는 엘이디 소자의 점멸 형태를 이용하여 기존 고압방전램프의 차광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엘이디 소자의 점등 상태로 인해 차광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소등 상태의 엘이디 소자로 인해 등기구 전체의 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모든 개체 수의 엘이디가 점등된 상태에서의 등기구에 대한 조도 설계가 이루어질 것이나, 농지 및 축사와 주택 등의 이유로 인해 부분적으로 엘이디의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소등 상태의 엘이디 개체수와 비례하여 등기구의 조도가 떨어질 것은 자명한 것으로 이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는 기존의 차광판이 불필요한 장점을 갖고 있지만 등기구의 조도 저하는 피할 수 없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 역시 기존의 고압방전램프에서 사용되던 차광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차광판은 엘이디 등기구의 전체 크기와 높이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지극히 비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도로에 대하여 연속으로 나열 설치되어 있는 열주식 가로등의 경우 가로등 간의 점등 빛에 의한 균제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인데, 상기의 균제도라 함은 도로 표면의 밝음에 따른 얼룩짐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얼룩짐은 가로등기구의 간격과 설치 높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인데 통상적으로 가로등기구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균제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가로등용 등기구의 바로 밑은 조도가 매우 높은 반면에 가로 등기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와 같은 조도 차이로 인한 얼룩짐이 심하면 눈부심을 일으키게 되고 혼란스럽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열주 형태의 가로등용 등기구에서 나타나는 균제도 저하의 문제점을 회피하고자 내장된 등기구 내부의 광원에 대하여 엘이디 소자의 각각에 렌즈를 부착 형성하거나 하부 투명 커버체를 렌즈 형태로 장착 형성함에 따라 열주 형태의 가로등에 대한 균제도 저하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엘이디 등기구는 엘이디의 직진성에 의해 기존의 고압방전램프에 비하여 명암 대비가 더욱 확실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열주 형태의 가로등은 균제도를 위하여 가로등의 간격과 높이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균제도 저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므로, 극심한 균제도의 차이로 인해 안전운전에 심각한 지장을 받게 되는 것이고, 이는 차량의 운전자를 포함한 동승자 역시 눈에 심한 피로감을 받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 등기구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엘이디 광원을 다수의 분할광원판으로 각기 구분 형성하여 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분할광원판은 등기구 본체로부터 다양한 각도를 갖고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각각의 분할광원에 대한 각도 조절을 통해 조사각 및 조사범위의 조절 및 제한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차광판이 없더라도 농지 및 축사나 주택과 같은 인접지에 대한 점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고,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각각의 분할광원으로 인해 열주 형태의 가로등에 대한 균제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로 된 본체와 본체의 저면에 안착되는 엘이디 광원과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커버로 이루어진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광원을 적어도 2개체 이상의 분할광원판으로 구비하여 이들 분할광원판을 본체의 저면에 배열 형성하고, 상기 분할광원판은 본체로부터 각도 조절되게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분할광원판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볼케이스를 갖는 고정판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분할광원판에는 상기 볼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스터드를 갖는 밀착판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볼케이스 및 볼스터드의 결합구조로 인해 분할광원판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각의 분할광원판을 이용하여 기존의 가로등용 등기구에서 사용되어 오던 차광판이 없어도 조사범위 및 조사각의 제어와 변경이 가능하므로 가로등의 인접지에 농지 및 축사나 주택이 있는 경우 조사각의 조정이나 조사 범위에 대한 변경을 통해 도로 및 인접지의 특성이나 상황을 감안하여 가장 최선의 차광 및 조사 범위를 이용함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 빛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고, 열주식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에 대한 균제도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어 균제도 저하로 인한 운전 중의 피로감이나 혼란스러움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이디 가로등에 대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편향 조사상태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집중 조사상태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확산 조사상태의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등기구는 알루미늄과 같이 방열 효율이 우수한 소재로 된 본체(10)를 구비하되, 상기와 같은 본체(10)는 상부면에 돌출 형태의 방열핀이 나열 형성되게 하여 엘이디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를 빠르게 방출함에 따라 엘이디 효율 증대는 물론 엘이디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고, 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엘이디 광원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저면에 엘이디 광원판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엘이디 광원판은 기존과 같이 단일 개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2분할 내지 6 분할된 형태의 분할광원판(20)(20')으로 구성하고, 이들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은 별도의 각도 조절수단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분할광원판(20)(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의 하부에는 별도의 투광커버(30)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보호 및 투광커버(30)를 이용한 점등 빛의 확산 및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내부에 크롬 도금판과 같은 반사판 혹은 반사필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분할광원판(20)(20')은 본체(10)의 내부 면적으로부터 적어도 2개체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4분할의 구성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고, 상기의 등기구가 적용된 가로등의 설치 장소 및 여건에 따라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개체수의 조절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2분할된 상태의 분할광원판(20)(20')은 좌,우 방향 혹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들의 각도 조절을 통해 조사범위에 대한 변경 및 균제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3분할된 상태의 분할광원판(20)(20')은 하나의 기다란 분할광원판(20)(20')의 일측에 이를 2등분하는 형태의 분할광원판(20)(20')을 배치시켜 다양한 방향으로의 조사각도 및 범위에 대한 변경과 균제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4분할의 형태 및 5분할과 6분할 형태로 된 분할광원판(20)(20')의 개체수 역시 다양한 방향으로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각도 조절을 수행함에 따라 이들로부터 해당 방향으로의 조사각도와 범위에 대한 변경 및 균제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각도 조절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별도의 고정판(40)을 나사 고정 방식을 통해 결합 형성하고, 상기 분할광원판(20)(20')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밀착판(50)을 나사 고정 방식 혹은 후크 결합 방식 등을 이용하여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고정판(40)에는 분할광원판(20)(20')을 향하여 볼케이스(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밀착판(50)에는 본체(10)를 향하여 볼스터드(5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의 볼케이스(41)에는 볼스터드(51)의 탄력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절개홈(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판(40)은 분할광원판(20)(20')의 개체수와 동일한 수를 갖고 본체(10)에 결합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의 분할광원판(20)(20') 모두에는 역시 상기의 밀착판(50)이 고정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분할광원판(20)(20')의 밀착판(50)에 형성되어 있는 볼스터드(51)를 본체(10)의 고정판(40)에 형성된 볼케이스(41)의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 고정하게 되면 볼스터드(51)가 볼케이스(41)로부터 회전 자재되면서 상기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체(10)에 고정판(40)이 형성되고 분할광원판(20)(20')에는 밀착판(50)이 고정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10)에 볼스터드(51)를 갖는 밀착판(50)을 고정하고 분할광원판(20)(20')에는 볼케이스(41)를 갖는 고정판을 결합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은 각각의 고정판(40)과 밀착판(50)에 의해 볼 죠인트 상태를 연출하게 되므로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수평 상태로의 조절은 물론 각기 개별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등기구가 적용되는 가로등의 설치 위치나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상기의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각도 조절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와 같은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각도를 미세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로등의 설치 인접지에 농지나 축사 및 주택 등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를 회피하여 점등될 수 있도록 조사 방향과 범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고, 도로에 대하여 열주 형태로 가로등이 세워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개별적인 각도 조절을 통해 열주 형태의 가로등으로부터 우수한 수준의 균제도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도 6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분할광원판(20)(20')을 도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절하는 경우에는 분할광원판(20)(20')의 경사각으로 인해 엘이디의 점등 빛이 도로 주변이 아닌 도로를 향하여 직접 조사되므로 도로 주변에 농지나 축사 및 주택 등이 위치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형태의 설치가 될 수 있는 것이고, 도 7의 도시와 같이 분할광원판(20)(20')의 각도 조절을 통해 점등 빛이 중앙부로 모이도록 하면 집중광에 의해 하이라이트 효과 또는 제한된 범위에 대한 집중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분할광원판(20)(20')이 모두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조사 범위의 겹침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우수한 균제도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상기와 같이 가로등이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이나 여건에 따라 내부의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각각의 각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함에 따라 기존 등기구의 차광판 역할은 물론 열주식 가로등에 있어서의 균제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본체 11, 11' : 조절나사축
20,20' : 분할광원판
30 : 투광커버
40 : 고정판 41 : 볼케이스
42 : 절개홈
50 : 밀착판 51 : 볼스터드

Claims (7)

  1. 금속재로 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저면에 안착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각도 조절되게 한 적어도 2개체 이상의 분할광원판(20)(20')과,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커버(30)로 이루어진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분할광원판(20)(2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볼케이스(41)를 갖는 고정판(40)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분할광원판(20)(20')에는 상기 볼케이스(41)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스터드(51)를 갖는 밀착판(50)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볼케이스(41) 및 볼스터드(51)의 결합구조로 인해 분할광원판(20)(20')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볼케이스(41)는 볼스터드(51)가 탄력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절개홈(42)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94971A 2012-08-29 2012-08-29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42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971A KR101425516B1 (ko) 2012-08-29 2012-08-29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971A KR101425516B1 (ko) 2012-08-29 2012-08-29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92A KR20140029692A (ko) 2014-03-11
KR101425516B1 true KR101425516B1 (ko) 2014-07-31

Family

ID=5064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9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5516B1 (ko) 2012-08-29 2012-08-29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83B1 (ko) * 2017-04-21 2018-07-09 백순진 형광등 교체형 엘이디패널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4332B1 (en) 2014-03-28 2018-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llumination device that switches light emission direction
KR20160000069U (ko) 2014-06-27 2016-01-07 엘이디조명생산자협동조합 가로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930Y1 (ko) * 2001-12-20 2002-03-18 김성보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100944366B1 (ko) * 2009-07-17 2010-03-02 빌트조명(주)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46590A (ko) * 2010-11-02 2012-05-10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차량용 다목적 모니터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930Y1 (ko) * 2001-12-20 2002-03-18 김성보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100944366B1 (ko) * 2009-07-17 2010-03-02 빌트조명(주)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46590A (ko) * 2010-11-02 2012-05-10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차량용 다목적 모니터 거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83B1 (ko) * 2017-04-21 2018-07-09 백순진 형광등 교체형 엘이디패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92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15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0972757B1 (ko) 엘이디 가로등
CN102047036B (zh) Led照明灯
JP4210707B2 (ja) 屋外用照明器具及び照明方法
KR101612865B1 (ko) 각도조절 및 차광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101425516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690597B1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등 조사범위 조절장치
KR101103600B1 (ko) 조사각 제한을 위한 가로등의 램프 헤드용 차광기구
KR101027438B1 (ko) 엘이디조명등기구의 반원구조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장치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004786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100921633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0927868B1 (ko) Led램프가 적용된 횡단보도용 조명등
KR20080005356U (ko) 투웨이 가로등
KR101531462B1 (ko) 엘이디용 반사장치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KR101911908B1 (ko)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KR20200031396A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배광각도 조절형 가로등 조명장치
KR101744135B1 (ko) 빛 공해방지 및 배광구역 조절이 가능한 조명기구
KR101580617B1 (ko) 빛의 조사구간 선택이 용이한 실외용 엘이디등기구
KR200456453Y1 (ko) 엘이디 가로등장치의 연결부재
JP2014503111A (ja) 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有する照明器具
CN208720112U (zh) 一种防眩光led低空免杆灯透镜
KR102737858B1 (ko) 빛공해 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가로등 기구
KR101159184B1 (ko) 가로등 및 그의 도로 조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