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871A -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871A
KR20140117871A KR1020130032720A KR20130032720A KR20140117871A KR 20140117871 A KR20140117871 A KR 20140117871A KR 1020130032720 A KR1020130032720 A KR 1020130032720A KR 20130032720 A KR20130032720 A KR 20130032720A KR 20140117871 A KR20140117871 A KR 2014011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outer tube
insertion guide
prostate
b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887B1 (ko
Inventor
박종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3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8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6Balloons formed between concentric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에 관한 거으로서, 요도 손상이나 요도 협착증을 가지는 환자에게 시술전, 내시경으로 협착된 부위를 먼저 보고 내시경을 통해 삽입 가이드를 방광에 넣어 놓고 내시경을 제거한 다음 방광과 요도에 넣어져 있는 삽입 가이드를 통해 본 발명의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므로, 요도의 손상이 없이 카테터의 간편한 삽입이 가능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CATHETER AND METHOD FOR INSERTING CATHETER}
본 발명은,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에 관한 거으로서, 요도 손상이나 요도 협착증을 가지는 환자에게 시술전, 내시경으로 협착된 부위를 먼저 보고 내시경을 통해 삽입 가이드를 방광에 넣어 놓고 내시경을 제거한 다음 방광과 요도에 넣어져 있는 삽입 가이드를 통해 본 발명의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므로, 요도의 손상이 없이 카테터의 간편한 삽입이 가능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 치료용 카테터는 요도에 삽입되어 전립선에 약물을 주입 또는 소변, 혈괴, 체액을 배출시키는 기기이다.
전립선은 무게는 약 20g이며, 밤톨 모양이다. 방광 바로 밑에 위치하며, 전립선 가운데에 나 있는 구멍으로 사정관과 요도가 통과한다.
오줌이 배출되는 통로인 요도가 전립선의 가운데를 통과하기 때문에, 전립선이 커지게 되면 요도가 좁아져서 오줌이 통과하기 힘들게 된다. 이러한 전립선 비대증은 중년 남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다. 또한 같은 증상으로 드물게 전립선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전립선암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연령과 남성호르몬이 유발인자로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외에도 전립선염 등 전립선에 관련된 질환은 다양하다.
전립선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치료와 외과적 치료등이 병행되고 있는데, 약물치료는 치료의 효과가 높으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치료비용도 저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전립선 수술후 치료 과정 중 일 예로, 전립선 부위를 압박하여 출혈을 막고, 방광에 수용된 혈괴를 포함한 체액을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종래, 이러한 체액의 배출을 위해 카테터가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카테터는 전립선 부위를 압박하기 위한 벌룬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테터는 벌룬이 전립선 부위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치료자 등의 부주의나 실수 등으로 인해 카테터를 요도 외측으로 잡아 당길 경우 벌룬의 전립선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카테터가 어느 정도 요도 외측으로 빠져나와서 체액의 원활한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게 된다.
특히, 요도가 손상되거나 협착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카테터를 삽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무리하게 카테터를 요도로 밀어 넣으면 요도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도가 손상되거나 협착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에 카테터를 손쉽게 넣을 수 있는 방법 및 그러한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요도에 먼저 삽입된 삽입 가이드(70)에 의해 요도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제거한 후에 방광에 수용된 체액을 배출하도록 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로서,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 상기 체액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튜브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 상기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상기 전립선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5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끝단이 절개되어 상기 내튜브의 중공과 방광을 연결시키는 전방 관통공(51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가이드(70)가 상기 전방 관통공(510)을 통하여 상기 내튜브의 중공에 삽입되면서 카테터가 요도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이웃하는 서로간에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300)이 마련된 상기 외튜브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300)의 내부영역과 연통하도록 제1 관통공이 마련되며,상기 외튜브(100)와 내튜브(200) 사이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하여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1 공기공급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은, 팽창시 상기 방광을 향하는 일측부위로부터 타측부위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터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데,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 상기 체액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튜브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 상기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상기 전립선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5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끝단이 절개되어 상기 내튜브의 중공과 방광을 연결시키는 전방 관통공(510)을 포함하는 카테터 삽입 방법에 있어서, 내시경을 통하여 와이어 형태의 삽입 가이드(70)를 요도를 통하여 방광 내부에 삽입하는 제1 단계; 내시경을 제거하는 제2 단계; 상기 전방 관통공(510)에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삽입한 후,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따라 상기 전방 관통공(510)을 전진시키면서 카테터를 요도를 통해 방광까지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도 손상이나 요도 협착증을 가지는 환자에게 시술전, 내시경으로 협착된 부위를 먼저 보고 내시경을 통해 삽입 가이드(가이드 와이어)를 방광에 넣어 놓고 내시경을 제거한 다음 방광과 요도에 넣어져 있는 삽입 가이드를 통해 본 발명의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므로, 요도의 손상이 없이 카테터의 간편한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여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삽입하는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A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이하, '카테터')는, 요도(10)에 삽입되어 방광(20)에 수용된 혈괴를 포함한 체액을 배출하도록 하는 전립선 치료용으로서, 요도에 먼저 삽입된 삽입 가이드(70)에 의해 요도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제거한 후에 방광에 수용된 체액을 배출하도록 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이다.
본 카테터의 삽입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요도 손상이나 요도 협착증을 가지는 환자에게 시술전, 내시경으로 협착된 부위를 먼저 보고 내시경을 통해 삽입 가이드(가이드 와이어)를 방광에 넣어 놓고 내시경을 제거한 다음 방광과 요도에 넣어져 있는 삽입 가이드를 통해 본 발명의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므로, 요도의 손상이 없이 카테터의 간편한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와, 상기 체액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튜브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와, 상기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상기 전립선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과,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500)과,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끝단이 절개되어 상기 내튜브의 중공과 방광을 연결시키는 전방 관통공(510)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 가이드(70)가 상기 전방 관통공(510)을 통하여 상기 내튜브의 중공에 삽입되면서 카테터가 요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끝단부에 내부의 중공과 연결되어 관통되는 전방 관통공(51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카테터를 요도를 통하여 방광에 삽입하기 위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먼저 삽입 가이드(70)를 요도를 통하여 방광까지 삽입을 시킨다. 이후 내시경을 제거한다. 삽입 가이드(70)는 방광부터 요도를 통하여 외부까지 연장되어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삽입 가이드(70)의 외부의 끝단을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전방 관통공(510)에 삽입시키고, 카테터를 요도 내로 밀어 삽입을 시키게 된다. 카테터는 전방 관통공(510)이 삽입 가이드(70)를 따라서 계속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안전하게 방광까지 삽입된다. 이후, 삽입 가이드(70)는 외부에서 잡아다니면, 중공부를 통과하여 카테터의 다른 쪽 끝단에 위치된 체액 배출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카테터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데,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 상기 체액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튜브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 상기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상기 전립선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5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끝단이 절개되어 상기 내튜브의 중공과 방광을 연결시키는 전방 관통공(510)을 포함하는 카테터 삽입 방법에 있어서, 내시경을 통하여 와이어 형태의 삽입 가이드(70)를 요도를 통하여 방광 내부에 삽입하는 제1 단계; 내시경을 제거하는 제2 단계; 상기 전방 관통공(510)에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삽입한 후,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따라 상기 전방 관통공(510)을 전진시키면서 카테터를 요도를 통해 방광까지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도 2와 같이 전립선압박 벌룬(300)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3 이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립선압박 벌룬(300) 뿐만 아니라, 방광걸림 벌룬(400)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요도(10)에 삽입되어 방광(20)에 수용된 혈괴를 포함한 체액을 배출하도록 하는 전립선 치료용으로서,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 체액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외튜브(100)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전립선(30)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 및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방광(20)의 내벽에 걸림 가능하도록 팽창되는 방광걸림 벌룬(400)을 포함한다.
먼저, 외튜브(100) 및 내튜브(200)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며, 단부에는 내튜브(2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체액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미도시), 전립선압박 벌룬(300)으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전립선압박 공기공급부(미도시), 방광걸림 벌룬(400)으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방광걸림 공기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술한 3개의 구성은 현재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광(20) 측으로 삽입 가능한 내튜브(200)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는 체액을 배출하도록 복수의 배출공(500)이 이격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배출공(500)은, 이웃하는 서로간에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방광(20) 내에서 외튜브(100)를 기준으로 주변 360도 영역에 있는 대부분의 체액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배출공(500)은, 내튜브(200)와 외튜브(100)가 융착, 핫실링 공정 등의 별도 실링공정을 통해 서로 특정부위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외튜브(100)와 내튜브(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이격 공간에 미세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 공기공급관(600,700)이 배치되도록 일정의 이격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튜브(20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배출공(500)을 통해 유입된 방광 내의 체액 등은 내튜브(200)를 따라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체액의 배출시, 전립선(30)에 의해 외튜브(100) 및 내튜브(200)가 내측으로 압박되는 경우, 체액 배출경로 즉, 내튜브(200)의 내경이 협소해짐으로 인해 체액이 원활하게 배출되기 힘들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전립선(30)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이 마련된다. 이러한 전립선압박 벌룬(300)은 팽창함으로써 전립선의 내벽을 외측으로 밀어서 내튜브(200)의 경로가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립선압박 벌룬(300)은, 팽창시 방광(20)을 향하는 일측부위로부터 타측부위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단면 형상의 변화는, 통상적으로 전립선 수술시 전립선의 내벽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전립선압박 벌룬(300)의 단면적을 위치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전립선의 내벽을 충분히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립선압박 벌룬(300)이 마련된 외튜브(100)의 일 영역에는 전립선압박 벌룬(300)의 내부영역과 연통하도록 제1 관통공(110)이 마련된다.
또한, 외튜브(100)와 내튜브(200) 사이에는 제1 관통공(110)과 연통하여 전립선압박 벌룬(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1 공기공급관(60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 공기공급관(600)은 전립선압박 공기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전립선압박 벌룬(300)은 대략 '사과'같은 형태로 완전 팽창하게 되며, 이때 외튜브(100)의 길이 방향상 팽창 상태의 전립선압박 벌룬(300) 길이는 대략 5 ~ 6 cm, 직경은 5 ~ 8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방광걸림 벌룬(400)은, 전립선압박 벌룬(300)이 전립선을 가압하도록 팽창된 상태에서 치료자가 부주의나 실수 등으로 인해 외튜브(100) 등을 잡아당길때 외튜브(100)가 요도(10)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광걸림 벌룬(400)은 최대한 팽창된 상태시, 전립선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타원 또는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이자면, 방광걸림 벌룬(400)은 팽창시 8 ~ 11 cm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방광(20)의 내벽에 충분히 걸림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최대로 팽창된 상태의 방광걸림 벌룬(400)은 일 예로 '호떡'과 같이 납작하면서도 충분한 직경을 갖게 되며, 방광(20)의 내벽과 충분한 접촉 면적을 형성하여 외튜브(100) 및 내튜브(200)에 요도(10) 외측으로의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방광(20)의 내벽에 충분히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광걸림 벌룬(400)이 마련된 외튜브(100)의 일 영역에는 방광걸림 벌룬(400)의 내부영역과 연통하도록 제2 관통공(120)이 마련된다.
또한, 외튜브(100)와 내튜브(200) 사이에는 제2 관통공(120)과 연통하여 방광걸림 벌룬(4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2 공기공급관(70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2 공기공급관(700)은 방광걸림 공기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외튜브 200: 내튜브
300: 전립선압박 벌룬 400: 방광걸림 벌룬
500: 배출공 600: 제1 공기공급관
700: 제2 공기공급관

Claims (5)

  1. 요도에 먼저 삽입된 삽입 가이드(70)에 의해 요도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제거한 후에 방광에 수용된 체액을 배출하도록 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로서,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
    상기 체액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튜브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
    상기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상기 전립선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5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끝단이 절개되어 상기 내튜브의 중공과 방광을 연결시키는 전방 관통공(51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가이드(70)가 상기 전방 관통공(510)을 통하여 상기 내튜브의 중공에 삽입되면서 카테터가 요도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이웃하는 서로간에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300)이 마련된 상기 외튜브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300)의 내부영역과 연통하도록 제1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외튜브(100)와 내튜브(200) 사이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하여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1 공기공급관이 마련되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압박 벌룬은, 팽창시 상기 방광을 향하는 일측부위로부터 타측부위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5.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외튜브(100); 상기 체액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튜브의 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튜브(100)의 내면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튜브(200); 상기 외튜브(100)에 부착되어 상기 전립선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전립선압박 벌룬(3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단부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액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500); 상기 내튜브 및 외튜브의 끝단이 절개되어 상기 내튜브의 중공과 방광을 연결시키는 전방 관통공(510)을 포함하는 카테터 삽입 방법에 있어서,
    내시경을 통하여 와이어 형태의 삽입 가이드(70)를 요도를 통하여 방광 내부에 삽입하는 제1 단계;
    내시경을 제거하는 제2 단계;
    상기 전방 관통공(510)에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삽입한 후,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따라 상기 전방 관통공(510)을 전진시키면서 카테터를 요도를 통해 방광까지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삽입 가이드(70)를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카테터 삽입 방법.
KR20130032720A 2013-03-27 2013-03-27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KR10148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720A KR101481887B1 (ko) 2013-03-27 2013-03-27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720A KR101481887B1 (ko) 2013-03-27 2013-03-27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71A true KR20140117871A (ko) 2014-10-08
KR101481887B1 KR101481887B1 (ko) 2015-01-21

Family

ID=5199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2720A KR101481887B1 (ko) 2013-03-27 2013-03-27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8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05A1 (ko) * 2016-09-02 2018-03-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CN109464738A (zh) * 2018-12-21 2019-03-15 尚楠 一种导尿管和男性导尿管
KR20200055522A (ko) * 2018-11-13 2020-05-21 정승찬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KR102317280B1 (ko) * 2021-06-16 2021-10-25 (주)더스탠다드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721A (ko) 2015-03-17 2016-09-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 카테터 삽입용 가이더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요도 카테터 키트
KR101664348B1 (ko) 2015-11-02 2016-10-11 전북대학교병원 접힘부를 갖는 요도카테터
KR102161349B1 (ko) * 2018-10-29 2020-09-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배액을 위한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102254946B1 (ko) * 2019-01-25 2021-05-2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요도 스텐트
KR20220091184A (ko) * 2020-12-23 2022-06-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요도절제술용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6434A1 (en) * 1996-02-12 1997-08-14 Mentor Urology, Inc. Prostatic tissue expander
GB2465334B (en) * 2008-10-31 2013-02-13 Daniela Andrich Catheteris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05A1 (ko) * 2016-09-02 2018-03-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KR20200055522A (ko) * 2018-11-13 2020-05-21 정승찬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CN109464738A (zh) * 2018-12-21 2019-03-15 尚楠 一种导尿管和男性导尿管
KR102317280B1 (ko) * 2021-06-16 2021-10-25 (주)더스탠다드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887B1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887B1 (ko)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US1084964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removing material from body lumens
US1062465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obstructions within body lumens
JP4718450B2 (ja) 尿管アクセスシース
JP5438025B2 (ja) 二部構成摘出バルーン
CN102497824B (zh) 医疗用装置
JP2019511338A (ja) 安全な導尿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461655B2 (ja) 吐出装置
WO20090390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peripheral vascular disease procedures using a novel anchor balloon catheter
US20110160704A1 (en) Aseptic adjustable aspiration catheter device
ES2869142T3 (es) Dispositivo electroquirúrgico
US20210085931A1 (en) Balloon basket catheter device
US11571239B2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medication delivery system
KR101487594B1 (ko) 전립선 치료용 벌룬 카테터
JP2009542413A (ja) 脈管カテーテル装置および方法
JP2005046598A (ja) エア・トラップ付きシース
KR102136930B1 (ko) 이중 내강 시스 구조를 갖는 스텐트 로딩 장치 및 이의 스텐트 로딩 방법
CN217285965U (zh) 一种防结石遗漏的取石气囊
US11547475B2 (en) System for its use in the treatment of vascular stenosis and occlusions
WO2022176299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3618027B2 (ja) 内視鏡下に誘導可能な拡張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21153849A (ja) 治療デバイス
US20160022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thiasis treatment
JP2007202614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