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522A -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 Google Patents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522A
KR20200055522A KR1020180139262A KR20180139262A KR20200055522A KR 20200055522 A KR20200055522 A KR 20200055522A KR 1020180139262 A KR1020180139262 A KR 1020180139262A KR 20180139262 A KR20180139262 A KR 20180139262A KR 20200055522 A KR20200055522 A KR 20200055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ladder
catheter
urin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294B1 (ko
Inventor
정승찬
Original Assignee
정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찬 filed Critical 정승찬
Priority to KR102018013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catheter, e.g. slots, flaps, valves, cuffs, apertures, notches, grooves or rapid exchange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1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a plug, e.g. an inflatable plug for closing catheter lumens

Abstract

본 발명은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식으로 배뇨를 할 수 있도록 요도 및 방광에 시술되는 도뇨관으로서, 상기 방광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요도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되게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방광의 내부에 배치되며 끝단은 상기 요도의 외부에 배치되는 배출관본체와, 상기 배출통로에 이동되는 소변을 차단 또는 이동시키는 단속밸브와 상기 단속밸브를 제어하는 단속버튼으로 구성된 제어밸브와, 상기 방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출관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튜브와, 상기 걸림튜브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충진재주입부로 이루어져, 방광을 연결하며 요도에 배치되는 도뇨관에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마련하여, 별도의 연결관과 소변주머니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소변의 배출이 가능해지고 서서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소변주머니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활한 일상생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 Button controlled catheter having a urination function }
본 발명은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광을 연결하며 요도에 배치되는 도뇨관에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마련하여, 별도의 연결관과 소변주머니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소변의 배출이 가능해지고 서서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소변 주머니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활한 일상생활이 가능해지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뇨관은 비뇨기과 질환으로 인해 사용자의 배뇨를 할 수 없는 경우, 인위적으로 배뇨를 할 수 있도록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도뇨관은 일단이 방광에 연결되어 충진되는 소변을 이동시키게 되고, 타단은 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도뇨관을 따라 안내되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뇨관은 방광에 삽입된 단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광에서 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방광에서 빠진 도뇨관의 단부가 전립선과 마찰되어 전립선에 염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뇨관이 빠질 때마다 재차 방광에 끼우는 시술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410123호에서와 같이 도뇨관에 단부에 식염수나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구조의 팽창부재를 마련하고, 팽창부재에 식염수나 공기를 공급하는 호스를 마련하여, 방광에 인입된 팽창부재가 팽창하여 걸림되도록 함으로서, 도뇨관이 방광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팽창부재를 갖는 도뇨관은 외부로 노출된 도뇨관의 단부에 별도의 연결관을 형성하고, 연결관에 소변주머니를 연결하며 도뇨관을 통해 배출되는 소변을 소변주머니에 충진시키게 되는데, 사용자가 소변주머니를 상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소변주머니를 의복의 내부에 둘 수 없어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생활해야 하므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41012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방광을 연결하며 요도에 배치되는 도뇨관에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마련하여, 별도의 연결관과 소변주머니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소변의 배출이 가능해지고 서서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소변주머니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활한 일상생활이 가능해지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식으로 배뇨를 할 수 있도록 요도 및 방광에 시술되는 도뇨관으로서, 상기 방광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요도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되게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방광의 내부에 배치되며 끝단은 상기 요도의 외부에 배치되는 배출관본체와, 상기 배출통로에 이동되는 소변을 차단 또는 이동시키는 단속밸브와 상기 단속밸브를 제어하는 단속버튼으로 구성된 제어밸브와, 상기 방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출관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튜브와, 상기 걸림튜브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충진재주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본체에는 사용자의 전립선에 배치되도록 안내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목부의 외경은 상기 배출관본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본체의 끝단부에는 사용자의 귀두에 걸림되도록, 안착홈을 갖는 헤드유닛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에는 의복의 착용시 마찰이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곡선의 만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본체에는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배출관본체에 끼움되고, 상기 요도에 배치되는 팽창튜브관과, 상기 팽창튜브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팽창시키는 공기주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은 방광을 연결하며 요도에 배치되는 도뇨관에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마련하여, 별도의 연결관과 소변주머니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소변의 배출이 가능해지고 서서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소변주머니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활한 일상생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뇨관이라 명명함)는 사용자가 입식으로 배뇨를 할 수 있도록 요도(200) 및 방광(100)에 시술되는 도뇨관(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도뇨관(10)은 배출관본체(20)와 제어밸브(30)와 걸림튜브(40)와 충진재주입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본체(20)는 상기 방광(100)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요도(200)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되게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방광(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끝단은 상기 요도(2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배출관본체(20)를 플랙시블한 구조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관본체(20)의 선단을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방광(100)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끝단은 상기 요도(200)의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본체(20)의 끝단부에는 사용자의 귀두에 걸림되도록, 안착홈(221)을 갖는 헤드유닛(22)이 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유닛(22)은 상기 배출관본체(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안착홈(221)은 사용자의 귀두 단부가 인입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곡선지게 형성시킴으로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사용자의 귀두와 밀착되도록 하고 이물감을 줄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221)의 내측면에는 귀두를 탄성에 의해 지지도록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상기 탄성패드의 탄성에 의해 귀두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22)에는 의복의 착용시 마찰이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곡선의 만곡부(222)를 더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만곡부(222)에 의해 배뇨를 위해 의복에서 외부로 노출시 의복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물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만곡부(222)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유닛(22)에는 상기 만곡부(222)와 상기 안착홈(221)이 연통되게 통기공들을 더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221)에 맞닿는 귀두가 통풍이되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면적을 줄여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본체(20)에는 사용자의 전립선(300)에 배치되도록 안내목부(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목부(21)의 외경은 상기 배출관본체(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전립선(300)과의 마찰을 줄여 전립선(300)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며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안내목부(21)에는 환형의 지지돌부를 일체로 더 형성하여, 상기 전립선(30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안내목부(21)가 전립선(300)의 통로에서 이동하면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안내목부(21)를 지지함과 아울러 마찰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밸브(30)는 상기 배출통로에 이동되는 소변을 차단 또는 이동시키는 단속밸브(31)와 상기 단속밸브(31)를 제어하는 단속버튼(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속밸브(31)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가 상기 배출통로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단속버튼(32)을 도면상 하향으로 가압하면 닫혀 배출통로를 차단하게 되고, 도면상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배출통로를 개방시켜 소변을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유닛(22)에는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게 작동실이 마련되어 상기 단속밸브(31)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헤드의 외면과 상기 작동실은 연결통로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단속버튼(32)은 하단부가 상기 단속밸브(3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바(33)와, 상기 연결바(3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단속버튼(32)을 도면상 상향으로 이동시켜 배출통로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배뇨를 하게 되고, 이후 단속버튼(32)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배출통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튜브(40)는 상기 배출관본체(20)의 선단 외면에 내측면이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방광(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튜브(4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본체(20)를 감싸면서 융착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재주입부(50)는 상기 걸림튜브(40)에 충진재를 주입하여 상기 걸림튜브(40)를 팽창시켜 상기 방광(100)에 삽입된 상기 배출관본체(20)의 선단 및 상기 걸림튜브(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충진재는 식염수 또는 공기이며 이외에 걸림튜브(40)를 팽창시킬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충진재주입부(50)는 상기 배출관본체(20)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튜브(4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헤드의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의 타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관을 통해 충진재를 상기 걸림튜브(40)에 공급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관본체(20)에는 팽창부(23)가 마련되고, 상기 팽창부(23)는 상기 배출관본체(20)에 끼움되고, 상기 요도(200)에 배치되는 팽창튜브관(231)과, 상기 팽창튜브관(231)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공기주입부(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부(23)는 환형의 관구조로 이루어진 튜브로서, 내면이 상기 배출관본체(20)의 외면에 융착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공기주입부(232)는 호스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배출관본체(20)를 관통하여 상기 팽창부(23)의 내부에 연통되게 융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헤드유닛(22)의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헤드유닛(22)의 외면에 노출되는 상기 공기주입부(232)에는 마개를 탈착가능하게 끼우게 된다.
상기 공기주입부(232)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부(23)를 팽창시킴으로서, 배뇨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고 성생활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에는 남자의 발기는 음경해면체와 요도해면체가 관여를 하는데 음경해면체의 인위적 발기를 위해서는 해면체 조직을 다 제거 후 1천만원 이상의 고가의 인공적인 팽창기구를 삽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경해면체가 아닌 요도해면체를 팽창시켜 발기능에 도움이 되며, 요도부위의 튜브 팽창은 배뇨기능과는 큰 관련성이 없으며, 이물감을 유발하기에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다가 성관계가 필요한 상황에서 발기능의 도움을 받고자 할 경우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본체(20)의 내측면에는 진동기를 더 융착하여 고정시켜, 상기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배출관본체(2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배출관본체(20)를 따라 이동하는 소변이 정체되거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본체(20)의 중간 부분에는 자바라부를 더 마련하여, 상기 배출관본체(20)의 길이가 신장된 후 복귀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성기가 발기시 상기 배출관본체(20)가 함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서, 발기되는 과정에서 배출관본체(20)가 늘어나지 않아 성기에 상처가 나거나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유닛(22)에는 연결홈(223)을 더 형성하여 기존 소변주머니의 호스와 연결되어 호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바(33)에는 탄성스프링(331)이 끼움되어, 단속밸브를 개방시 탄성스프링(331)이 압축되고 그 탄성에 의해 단속밸브(31)를 도면상 하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관본체(20)을 폐쇄시키도록 하게 되고, 상기 연결바(33)에는 체결돌부(333)를 갖는 탄성바(332)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33)가 이동되는 통로에 체결홈(34)을 형성하여, 단속밸브(31)를 개방시 상기 체결돌부(333)가 상기 체결홈(34)에 끼움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은 소변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연결관과 소변봉투를 휴대해야 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도뇨관 20 : 배출관본체
30 : 제어밸브 40 : 걸림튜브
50 : 충진재주입부
21 : 안내목부 22 : 헤드유닛
221 : 안착홈 222 : 만곡부
223 : 연결홈
23 : 팽창부 231 : 팽창튜브관
232 : 공기주입부
31 : 단속밸브 32 : 단속버튼
33 : 연결바 331 : 탄성스프링
332 : 탄성바 333 : 체결돌부
34 : 체결홈
100 : 방광 200 : 요도
300 : 전립선

Claims (5)

  1. 사용자가 입식으로 배뇨를 할 수 있도록 요도 및 방광에 시술되는 도뇨관으로서,
    상기 방광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요도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되게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방광의 내부에 배치되며 끝단은 상기 요도의 외부에 배치되는 배출관본체;
    상기 배출통로에 이동되는 소변을 차단 또는 이동시키는 단속밸브와 상기 단속밸브를 제어하는 단속버튼으로 구성된 제어밸브;
    상기 방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출관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튜브; 및
    상기 걸림튜브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충진재주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본체에는 사용자의 전립선에 배치되도록 안내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목부의 외경은 상기 배출관본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본체의 끝단부에는 사용자의 귀두에 걸림되도록, 안착홈을 갖는 헤드유닛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에는 의복의 착용시 마찰이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곡선의 만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본체에는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배출관본체에 끼움되고, 상기 요도에 배치되는 팽창튜브관과, 상기 팽창튜브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팽창시키는 공기주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KR1020180139262A 2018-11-13 2018-11-13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KR102176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62A KR102176294B1 (ko) 2018-11-13 2018-11-13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62A KR102176294B1 (ko) 2018-11-13 2018-11-13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22A true KR20200055522A (ko) 2020-05-21
KR102176294B1 KR102176294B1 (ko) 2020-11-09

Family

ID=7091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62A KR102176294B1 (ko) 2018-11-13 2018-11-13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326A (ko) * 2020-12-07 2022-06-14 정승찬 귀두 거치형 도료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619U (ko) * 1990-08-06 1992-04-07
JPH0614950A (ja) * 1990-02-27 1994-01-25 Cabot Technol Corp 女性用失禁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410123B1 (ko) 2001-07-24 2003-12-12 김기웅 안전 방광내 유치 풍선형 도뇨관
KR20140117871A (ko) * 2013-03-27 2014-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50A (ja) * 1990-02-27 1994-01-25 Cabot Technol Corp 女性用失禁コントロール装置
JPH0440619U (ko) * 1990-08-06 1992-04-07
JP2523436Y2 (ja) * 1990-08-06 1997-01-22 アルケア株式会社 伸縮式留置カテーテル
KR100410123B1 (ko) 2001-07-24 2003-12-12 김기웅 안전 방광내 유치 풍선형 도뇨관
KR20140117871A (ko) * 2013-03-27 2014-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326A (ko) * 2020-12-07 2022-06-14 정승찬 귀두 거치형 도료관
WO2022124669A1 (ko) * 2020-12-07 2022-06-16 정승찬 귀두 거치형 도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294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1329A (en) Surgical appliance for stimulating an erection
US9101497B2 (en) External prosthetic penile device
CN102573698A (zh) 用于经肛门灌洗的导管
US20140031619A1 (en) Erection assistance device
US10226317B2 (en) One-piece monolithic cuff and artificial urinary sphincter system
WO2009024024A1 (fr) Dispositif auto-expansible implanté dans le corps humain
CA2848918A1 (en) Synthetic urethra and closure device attachable around the synthetic urethra
JPS63177853A (ja) 失禁制御装置
KR20200055522A (ko)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US2711740A (en) Catheter
US11285036B2 (en) Intravaginal support device, fluid injection device, and treating method for pelvic organ prolapse by use of intravaginal support device
US9566143B2 (en)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KR101656768B1 (ko) 음경 발기상태 유지를 위한 보조기구
US10874517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reinforced members
KR20190002340U (ko) 콘돔형 요도관
CN109688987B (zh) 勃起功能障碍患者用安全套
KR102501173B1 (ko) 귀두 거치형 도료관
US11304843B2 (en) Non-invasive urinary aid
KR200492611Y1 (ko) 의료용 수동식 진공압력 발생기
KR102387309B1 (ko) 해면체 확대 장치
US20210228438A1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channels in valve of guide assembly
KR20150007542A (ko) 페니스 발기 유지장치
US722954A (en) Vaginal nozzle for syringes.
KR200488501Y1 (ko) 음경 보조기구
JP3191243U (ja) 排尿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