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280B1 -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 Google Patents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280B1
KR102317280B1 KR1020210077857A KR20210077857A KR102317280B1 KR 102317280 B1 KR102317280 B1 KR 102317280B1 KR 1020210077857 A KR1020210077857 A KR 1020210077857A KR 20210077857 A KR20210077857 A KR 20210077857A KR 102317280 B1 KR102317280 B1 KR 10231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ole
bent
opening
pro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웅
김홍배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주)더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더스탠다드
Priority to KR102021007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80B1/ko
Priority to KR1020210139817A priority patent/KR2022016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rinary organs, e.g. urethroscopes, cys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47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요도경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제1 굴곡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까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제2 굴곡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까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홀, 상기 제1 홀 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홀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전극의 말단이 상기 제1 굴곡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말단이 상기 제2 굴곡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URETHROSCOPE INCLUDING INVASIVE ELECTRODE FOR TREATING PROSTATIC DISEASE}
본 발명은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해 최소한의 침습을 수행하는 치료용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립선 국소 질환(예: 전립선 암, 전립선 비대증 등) 치료를 위하여 도입된 치료방법은, 초저온치료(Cryoablation), 광역학치료(PDT; Photodynamic Therapy),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국소레이저 절제술(Focal Laser Ablation), 고주파치료(Radiofrequency Ablation)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술들은 대부분 전극을 회음부로 찔러 넣어 전립선의 문제가 생긴 부위까지 전극의 끝을 위치시킨다. 이러한 치료술의 시술 중에 회음부로부터 약 10~20mm 이상의 침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시술자가 전극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립선 근처의 신경, 혈관을 건드림으로 발기부전, 요실금과 같은 기능 상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0909호 (2020-07-28)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도를 통해 삽입되어 최소한의 침습에 의해 전립선으로 이동되는 치료용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요도경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제1 굴곡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까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제2 굴곡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까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홀; 상기 제1 홀 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홀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전극의 말단이 상기 제1 굴곡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말단이 상기 제2 굴곡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지정된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지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도경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전극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2 개구보다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도경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어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이동되는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전기적 자극 또는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된 길이(예: 10mm) 이하의 침습을 통해 전립선에 치료용 전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도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도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에서 요도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상태에서 요도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상태에서 요도경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도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남성의 신체에 있어서, 요도(10)는 방광(3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립선(20)은 방광(30)에 인접하고, 요도(10)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요도경(100)은 요도(10)를 통해 전립선(20)에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을 침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도경(100)은 가늘고 긴 몸체(예: 도 2의 몸체부(110))를 포함하여, 요도경(100)의 일단부는 요도(10)를 통해 전립선(20)의 측면까지 삽입될 수 있다. 요도경(100)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는 요도경(100)의 일단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전립선(20)에 침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은 요도경(100)이 요도(10)로 삽입된 방향과 다른 방향(예: 요도경장치(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의 돌출된 크기는 지정된 길이(예: 10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도경(100)은 요도(10)를 통해 전립선(20)에 접근하여, 지정된 길이(예: 10mm)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을 전립선(20)에 침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 10~20mm 이상의 침습이 필요한 종래의 시술법들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요도경(100)은 요도 천공, 전립선 근처의 신경 또는 혈관을 건드림으로 인한 발기부전 또는 요실금과 같은 기능상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도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에서 요도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상태에서 요도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상태에서 요도경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요도경(100)은 몸체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1 전극(101), 제2 전극(102), 외측부(111) 및 전극 분리막(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측부(111)는 제1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에서, 외측부(111)는 일부 측면이 각진 모서리를 포함하고 있지만, 외측부(111)는 요도(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원기둥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부(111)의 길이는 지정된 길이(예: 성인 남성의 요도의 평균 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외측부(111)의 두께(또는 지름)는 지정된 두께(또는 지름)(예: 성인 남성의 요도의 평균 지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112, 113)은 제1 홀(112) 및 제2 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112, 113)은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방향이 전환되도록(또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홀(112)은 제1 굴곡부(112b)에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1 홀(112)은 제1 굴곡부(112b)와 제어부(120) 사이에서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굴곡부(112b)와 제1 개구(112a) 사이에서 제2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홀(113)은 제2 굴곡부(113b)에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2 홀(113)은 제2 굴곡부(113b)와 제어부(120) 사이에서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굴곡부(113b)와 제2 개구(113a) 사이에서 제2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은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101)은 제1 홀(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02)은 제2 홀(113)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분리막(114)은 제1 홀(112)과 제2 홀(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분리막(114)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어,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2)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은 요도경(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전극(101, 102)은 적어도 하나의 홀(112, 113)에서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01)은 제1 홀(112)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전극(102)은 제2 홀(113)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제1 상태에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은 제1 홀(112) 및 제2 홀(11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몸체부(110)은 요도(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제1 개구(112a) 및 제2 개구(113a)가 전립선(20)에 인접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요도(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의 제2 상태에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의 일단부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01)은 제1 굴곡부(112b)까지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제1 굴곡부(112b)에 의해 제2 방향(예: Z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02)은 제2 굴곡부(113b)까지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제2 굴곡부(113b)에 의해 제2 방향(예: Z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은 플렉시블(flexible)하면서 전립선(20)의 조직을 침습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질(예: Nitinol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의 일단부는 굴곡부를 만났을 때 하나의 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제3 상태에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는 제1 개구(112a) 및 제2 개구(113a)를 통해 몸체부(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01)의 긴 부분은 제1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제1 전극(101)의 일단부는 제1 개구(112a)를 통해 제2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전극(102)의 긴 부분은 제1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제2 전극(102)의 일단부는 제2 개구(113a)를 통해 제2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예: Z축 방향)에는 전립선(20)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은 전립선(20)에 침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는 몸체부(110)의 외부로 제1 길이(L1)(예: 10mm 이하)만큼 이동할 수 있다. 제1 길이(L1)는 요도(10)와 전립선(20)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요도경(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예: 의사, 시술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이 몸체부(110) 내부에 위치하거나 몸체부(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전극(101) 또는 제2 전극(102)을 통해 전기적 자극 또는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요도
20: 전립선
30: 방광
100: 요도경
101: 제1 전극
102: 제2 전극

Claims (4)

  1.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요도경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요도를 통해 삽입되며, 일단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제1 굴곡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까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며 제2 굴곡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2 부분에 인접하며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까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부분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홀;
    상기 제1 홀 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2 홀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전극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전극의 말단이 상기 제1 굴곡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말단이 상기 제2 굴곡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4 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 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돌출 부분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10mm 이하로 돌출되는 요도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굴곡부 또는 상기 제2 굴곡부를 만났을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면서 전립선의 조직을 침습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요도경.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어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이동되는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전기적 자극 또는 열을 전달하는 요도경.
KR1020210077857A 2021-06-16 2021-06-16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KR10231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57A KR102317280B1 (ko) 2021-06-16 2021-06-16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KR1020210139817A KR20220168531A (ko) 2021-06-16 2021-10-19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57A KR102317280B1 (ko) 2021-06-16 2021-06-16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817A Division KR20220168531A (ko) 2021-06-16 2021-10-19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280B1 true KR102317280B1 (ko) 2021-10-25

Family

ID=782585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857A KR102317280B1 (ko) 2021-06-16 2021-06-16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KR1020210139817A KR20220168531A (ko) 2021-06-16 2021-10-19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817A KR20220168531A (ko) 2021-06-16 2021-10-19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2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428U (ja) * 2011-03-31 2011-06-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バイポーラ型電気処置器具
KR20140117871A (ko) * 2013-03-27 2014-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JP2018029966A (ja) * 2016-08-24 2018-03-01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スプリット電極スリーブを備えるカテーテル、及び関連する方法
KR102140909B1 (ko) 2020-03-16 2020-08-03 김남배 요도경 장치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요도경 장치
KR20200118407A (ko) * 2017-11-27 2020-10-15 프로스타캐어 피티와이 엘티디 전립선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428U (ja) * 2011-03-31 2011-06-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バイポーラ型電気処置器具
KR20140117871A (ko) * 2013-03-27 2014-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JP2018029966A (ja) * 2016-08-24 2018-03-01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スプリット電極スリーブを備えるカテーテル、及び関連する方法
KR20200118407A (ko) * 2017-11-27 2020-10-15 프로스타캐어 피티와이 엘티디 전립선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0909B1 (ko) 2020-03-16 2020-08-03 김남배 요도경 장치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요도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531A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5191T3 (es) Aparato para el tratamiento termico de tejidos.
ES2670724T3 (es)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el tratamiento de tejido prostático
USRE42016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71306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7797049B2 (en) Neurostimulation delivery during transurethral prostate treatment
US20190298442A1 (en) Bi-polar tissue abl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339329B2 (en) Bladder denervation f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IL108532A (en) Transurethral needle ablation device
US7160295B1 (en) Flexible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treating tissue
EP2531121A1 (en) Multi fluid tissue resection methods and devices
JP2002191705A (ja) 高周波アクティブフィラメントを有する電極針及び該フィラメントの使用方法
US20040176760A1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with cooling device
KR102092926B1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US6616656B2 (en) Two-electrode endoscopic implement
KR102317280B1 (ko) 전립선 질환 치료를 위한 침습적 전극을 포함하는 요도경
JP2018511444A (ja) 高周波除神経ニードルおよび方法
KR101370048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CN115024813B (zh) 一种等离子体电极组件
KR20140100168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US8052730B2 (en) Therapeutic device for thermally assisted urinary function
KR101399555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20140100451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JP2002095677A (ja) レゼクトスコープシステム
KR101522017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JP2000139944A (ja) 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