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673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673A
KR20140117673A KR1020147024375A KR20147024375A KR20140117673A KR 20140117673 A KR20140117673 A KR 20140117673A KR 1020147024375 A KR1020147024375 A KR 1020147024375A KR 20147024375 A KR20147024375 A KR 20147024375A KR 20140117673 A KR20140117673 A KR 2014011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astening tape
hook
main body
absorbe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168B1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가나 사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three-dimensional, e.g. embossed, textured, pleated, or with three-dimensional features, like gather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7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57Stiffness, e.g. Taber rig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기재 시트(120)와, 복수의 계합 후크가 설치된 후크 시트(110)를 갖는다.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의 KES 굽힘 강성치는 1.64 gfㆍ㎠/cm 이하이고, 계합 후크의 높이는 60 ㎛∼200 ㎛이고, 패스닝 테이프(100)의 내면측의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과, 패스닝 테이프(100)에 인접하는 사이드 플랩(50)의 색차 ΔE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 L*의 색차를 ΔL*, a*의 색차를 Δa*, 및 b*의 색차를 Δb*로 한 경우 6.5 이상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앞몸통둘레부 또는 뒷몸통둘레부의 한쪽에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유아 등에 주로 이용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뒷몸통둘레부(또는 앞몸통둘레부)의 사이드 플랩에 고정용 패스닝 테이프를 설치한 소위 오픈타입 일회용 기저귀가 널리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한 오픈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탈의 용이성 등 때문에 특히 신생아 및 영유아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픈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의 피부 접촉면측의 기단부를, 패스닝 테이프보다 유연한 사이드 플랩(부직포)으로 덮은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패스닝 테이프가 영유아 등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영유아는 불쾌감이나 아픔을 느끼기가 어렵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0840호 공보(제 1도)
그런데, 최근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자(구매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특히 영유아에게 착용하는 경우에는, 영유아의 피부에 대한 부담을 완전히 없애고자 하거나, 가능한 한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패스닝 테이프를 적용하더라도, 패스닝 테이프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는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특히 감촉이나 외관에서 큰 위화감이 있어, 일회용 기저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진 최근의 사용자의 불안감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는 없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패스닝 테이프는 일회용 기저귀를 신체에 유지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신체에 유지하는 부분, 구체적으로는 뒷길(또는 앞길)에 부착된 패스닝 테이프를 앞길(뒷길)에 계합할 수 있는 부분(후크 부분)을 인식할 수 없으면, 패스닝 테이프에 위화감이 없다는 느낌과 함께, 패스닝 테이프가 쉽게 떨어져 일회용 기저귀가 신체로부터 탈락해 버리지 않을까라는 불안감을 갖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스닝 테이프의 감촉이나 외관의 위화감을 대폭 경감하면서, 충분한 계합력을 갖는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앞몸통둘레부(앞몸통둘레부(20)), 뒷몸통둘레부(뒷몸통둘레부(40)) 및 가랑이부(가랑이부(30))로 구성되며, 액유지성의 흡수체(흡수체(35))를 포함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흡수성 본체(15))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에서의 측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플랩(사이드 플랩(50))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부착되며, 상기 앞몸통둘레부 또는 상기 뒷몸통둘레부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앞몸통둘레부 또는 상기 뒷몸통둘레부의 다른쪽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패스닝 테이프(패스닝 테이프(100))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기재 시트(기재 시트(120))와, 복수의 계합 후크가 설치된 후크 시트(후크 시트(110))를 가지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패스닝 테이프 존재 영역(패스닝 테이프 존재 영역(SALL)) 중, 상기 후크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후크 시트 존재 영역(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서의 단위길이당 KES 굽힘 강성치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에서의 단위길이당 KES 굽힘 강성치는 1.64 gfㆍ㎠/cm 이하이고, 상기 계합 후크의 높이는 60 ㎛∼200 ㎛이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내면측의 상기 후크 시트 존재 영역과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인접하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색차 ΔE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 L*의 색차를 ΔL*, a*의 색차를 Δa*, 및 b*의 색차를 Δb*로 한 경우 6.5 이상인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패스닝 테이프(100) 부분(사이드 플랩(50)측)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패스닝 테이프(100) 부분(백 시트(70)측)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F4-F4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스닝 테이프(100)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와는 상이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개략 형상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둘레부(20), 가랑이부(30) 및 뒷몸통둘레부(40)를 갖는 오픈타입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특히 영유아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앞몸통둘레부(20), 가랑이부(30) 및 뒷몸통둘레부(40)에 의해 흡수성 본체(15)가 구성된다. 흡수성 본체(15)는, 액유지성의 흡수체(35)를 포함하는 세로로 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5)는, 앞몸통둘레부(20), 가랑이부(30) 및 뒷몸통둘레부(40)에 걸쳐서 설치된다. 흡수체(35)는, 흡수성 본체(15)의 길이방향(DL)에서의 중앙부에서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 흡수체(35)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직사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35)는 적어도 가랑이부(30)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흡수성 본체(15)는, 종래의 오픈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며, 공지의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5)는, 도시하지 않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 길이방향(DL)을 따라서 흡수성 본체(15)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입체 개더, 및 폭방향(DW)을 따라서 뒷몸통둘레부(40)에 형성되는 허리 개더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15)의 폭방향(DW)에서의 측가장자리부에는 사이드 플랩(50)이 설치된다. 사이드 플랩(5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을 겹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플랩(50)은, 흡수성 본체(15)의 길이방향(DL)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설치된다. 즉, 사이드 플랩(50)은, 앞몸통둘레부(20)부터 뒷몸통둘레부(40)까지 설치된다. 가랑이부(30)와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50)의 폭은,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40)와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50)의 폭보다 좁다. 또, 사이드 플랩(50)은, 반드시 흡수성 본체(15)의 길이방향(DL)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지 않아도 되며, 예컨대 뒷몸통둘레부(40)와 대응하는 영역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15)의 폭방향(DW)에서의 측가장자리부,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50)에는, 흡수성 본체(15)의 길이방향(DL)을 따라서 신축 가능한 레그 탄성 부재(55)가 설치된다. 레그 탄성 부재(55)에 의해, 흡수성 본체(15)가 길이방향(DL)에서 수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흡수성 본체(15)는, 특히 뒷몸통둘레부(40)측에서 길이방향(DL)으로 신장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50)에는 패스닝 테이프(100)가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패스닝 테이프(100)는, 뒷몸통둘레부(40)로부터 흡수성 본체(15)의 폭방향(DW) 외측으로 연장된다. 패스닝 테이프(100)는 앞몸통둘레부(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패스닝 테이프(100)의 후크 시트(110)(도 1에서 도시하지 않음, 도 2 참조)는, 앞몸통둘레부(20)의 백 시트(70)(도 1에서 도시하지 않음, 도 3 참조)측에 설치된 타겟 테이프(60)에 계합한다.
또, 패스닝 테이프(100)는, 뒷몸통둘레부(40)가 아니라 앞몸통둘레부(20)로부터 흡수성 본체(15)의 폭방향(DW)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사이드 플랩(50)에 부착되어도 되지만, 위를 향하게 눕힌 상태로 일회용 기저귀를 교환하는 상황이 많은 영유아의 경우, 패스닝 테이프(100)는 뒷몸통둘레부(4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패스닝 테이프의 형상
다음으로는, 도 2∼도 4를 참조하여 패스닝 테이프(100)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패스닝 테이프(100) 부분(사이드 플랩(50)측)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패스닝 테이프(100)부분(백 시트(70)측)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F4-F4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100)는, 뒷몸통둘레부(40)(도 1 참조)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5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100)는, 복수의 계합 후크(111)가 설치된 후크 시트(110)와,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기재 시트(120)를 갖는다. 또, 기재 시트(120)는, 부직포에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후크 시트(110)는 기재 시트(120)에 접합되어 있다. 후크 시트(110)와 기재 시트(120)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10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크 시트(110)와 기재 시트(120)는, 점형, 선형 또는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크 시트(110)와 기재 시트(120)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또한, 후크 시트(110)의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후크 시트(110)의 기재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그 기재 부분의 공극을 늘리거나 하는 등, 공지의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 시트(110)의 사이즈는 종래의 표준적인 후크 시트의 사이즈보다 크다. 구체적으로는, 폭방향(DW) 및 길이방향(DL)에서의 폭은, 각각 20 mm∼40 mm, 30 mm∼50 mm로 설정된다. 또, 종래의 표준적인 후크 시트의 폭방향(DW) 및 길이방향(DL)에서의 폭은, 각각 10 mm∼30 mm, 15 mm∼30 mm이다. 이와 같이 후크 시트(110)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후술하는 패스닝 테이프(100)의 KES 굽힘 강성치를 낮게 하여 패스닝 테이프(100)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계합 후크(111)의 높이를 낮게 하더라도 후크 시트(110)가 인지되기 쉽다.
또한, 계합 후크(111)의 높이는 60 ㎛∼200 ㎛로 설정된다. 이러한 계합 후크(111)의 높이를 갖는 후크 시트(110)는 공지이며,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판하는 후크 시트를 평활한 표면을 갖는 열 롤 사이에 양 롤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열과 압을 가하여 원하는 높이의 계합 후크를 갖는 후크 시트로 했다.
기재 시트(120)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을 겹친 시트,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또는 부직포에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시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120)로는, 스펀 본드(SB) 또는 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SMS), 스루 에어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스펀 본드 등 각종 부직포에 열가소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120)는, 특히 2장 이상의 복수장의 시트를 겹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부직포 시트 1장당 단위 중량은 10 g/㎡∼80 g/㎡, 바람직하게는 20 g/㎡∼55 g/㎡이다. 기재 시트(120) 전체의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 ㎛∼550 ㎛, 바람직하게는 두께 250 ㎛∼500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시트(120)에 복수장의 시트를 이용하고,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후크 시트(110)와 비교하여 적절한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후크 시트(110)를 일회용 기저귀(10)에 고정하는 요소로서 필요한 강도나 취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두께의 느낌으로서 후크 시트(110)와 비교한 경우의 이물감을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60 g/㎡보다 단위 중량을 크게 하면, 부직포의 섬유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구성하는 섬유끼리 교락ㆍ고정시키기 위해 열융착점을 더욱 늘릴 필요가 있어, 후크 시트(110)의 굽힘 강성에 비해 기재 시트(120)의 굽힘 강성이 두드러진다. 또한 그 두께가 550 ㎛을 넘으면, 기재 시트(120) 그 자체의 두께감 때문에 이물감을 사용자에게 주게 되므로(천 느낌에서 플라스틱 느낌으로 변해 버림), 후크 시트(110)와 기재 시트(120)의 일체감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10 g/㎡보다 단위 중량을 작게 하면, 후크 시트(110)를 부착하고 있는 기재 시트(120)로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두께가 150 ㎛보다 작으면, 후크 시트(110)를 일회용 기저귀(10)에 고정할 때 또는 일회용 기저귀(10)로부터 제거할 때 그 부착/제거의 조작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기재 시트(120)는, 복수장의 시트를 겹침으로써, 1장의 높은 단위 중량의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보다 1장당 단위 중량을 낮게 억제하고(복수장 겹치는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범위의 단위 중량의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좋음), 2장 또는 3장으로 복수장으로 나누어 겹치고, 전체적인 두께를 550 ㎛ 이하로 함으로써, 전술한 목표를 보다 균형있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부직포의 두께는, 20℃의 실온에서 측정 단자 형상이 원형상(φ5 mm), 하중이 1.23 N인 두께 측정기(테스터산업 주식회사 제조의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복수장으로 기재 시트(12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서로의 시트 사이는 각종 수단에 의해 접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제를 선(스파이럴형을 포함) 또는 점으로 도포함으로써 서로의 시트 사이를 고정하는 것이 유연성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기재 시트(120)가 2층 이상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부직포는 2 g/㎡∼8 g/㎡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메쉬형의 패턴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00)는, 사이드 플랩(50)에 부착되는 기단부(100b)로부터 기단부(100b)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부(100f)쪽으로 향해 갈수록, 흡수성 본체(15)의 길이방향(DL)에서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기단부(100b)에서의 길이방향(DL)을 따른 폭과, 기단부(100b) 근처의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의 단부에서의 흡수성 본체(15)의 길이방향(DL)을 따른 폭의 차 d는, 길이방향(DL)에서의 일단측에서 7.5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다. 이 때문에, 기단부(100b)(일회용 기저귀(10)와의 접합부)의 존재감이 상대적으로 작은 느낌을 줄 수 있어, 패스닝 테이프(100)와 일회용 기저귀(10)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유단부(100f)의 모서리 부분은 둥근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자유단부(100f)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컷트되어 있어, 각지지 않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100b)측의 사이드 플랩(50) 단부 근방도 마찬가지로 둥글게 컷트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의 백 시트(70)에는 엠보스부(80)가 형성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100), 구체적으로는 기재 시트(120)에도 동일한 모양의 엠보스부(80)가 형성된다. 즉, 후크 시트(110)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인 기재 시트(120)의 외측면과, 흡수성 본체(15)의 외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양 또는 색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채」란, 오스왈트의 색상환에서, 한쪽의 색에 대하여 비교 대상의 색이 인접하는 색상 또는 동일한 색상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백 시트(70)측의 부직포와, 흡수성 본체(15)의 피부 비접촉면측(착의측)의 부직포, 즉 백 시트(70)면을, 동일한 부직포 엠보스 패턴으로 하거나, 동일 소재(구성하는 섬유의 종류, 부직포 종류가 같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단위 중량이 거의 같음)의 부직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120)는 열엠보스가 실시된 열엠보스 영역(90)을 갖고 있다. 열엠보스 영역(90)의 광선 투과율은, 열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비엠보스 영역의 광선 투과율과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엠보스 영역(90)은 마름모꼴(0.5 mm×1.0 mm)이지만, 열엠보스 영역(90)의 형상은 꼭 마름모꼴이 아니어도 좋고, 사각형이나 원형이어도 상관없다. 열엠보스 영역(90)은, 패스닝 테이프(100)의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또한, 계합 후크(111)의 상단부의 크기(직경)는 열엠보스 영역(90)의 사이즈보다 작다.
여기서, 「시인(視認) 가능」이란, 주백색(색온도 기준 4600 K∼5400 K(켈빈))으로 밝게 조명된 실내(기준 : 500 lx∼750 lx(룩스))에서, 약 30 cm∼50 cm의 거리에서 양호한 시력(1.0 이상)을 양쪽 눈에 갖는 피험자가 대상물을 봤을 때, 엠보스에 의한 패턴(모양)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100)의 내면측에서의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과, 패스닝 테이프(100)에 인접하는 사이드 플랩(50),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50)과 패스닝 테이프(100)가 겹치는 사이드 플랩 영역(SSF)의 색차 ΔE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 L*의 색차를 ΔL*, a*의 색차를 Δa*, 및 b*의 색차를 Δb*로 한 경우 6.5 이상이다.
또, ΔE는 (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계합 후크(111) 선단측으로부터 기재 시트(120)측으로의 후크 시트(110)의 광선 투과율은, 6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JIS-K7105의 규격에 준거한 것으로서, 색차계(니혼덴쇼쿠공업(주) 교조측광식 색차계 Z-300A)를 이용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5 mm, 길이 5 mm의 샘플을 탁도계에 넣어 TT값을 구하고, 구한 TT값을 전광선 투과율(%)로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100)의 기단부(100b)는, 사이드 플랩(50)과 백 시트(70)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100)와, 사이드 플랩(50) 및 백 시트(70)와의 접합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점형, 선형 또는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패스닝 테이프의 굽힘 강성치
다음에는, 패스닝 테이프(100)의 KES 굽힘 강성치에 관해 설명한다. 또, KES 굽힘 강성치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00)가 설치되어 있는 패스닝 테이프 존재 영역(SALL)(도 2 참조) 중, 후크 시트(110)가 설치되어 있는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의 길이방향(DL)에서의 단위길이당 KES 굽힘 강성치 및 폭방향(DW)에서의 단위길이당 KES 굽힘 강성치는 1.64 gfㆍ㎠/cm 이하이다.
(4)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표 1은, 실시예 1∼실시예 6에 따른 패스닝 테이프와, 비교예 1∼비교예 3에 따른 패스닝 테이프(이하, 단순히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적절하게 생략)의 구성 및 시험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패스닝 테이프의 폭방향(DW)에서의 전체 치수(패스닝 테이프 존재 영역(SALL))는 60 mm,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자유단부(100f)를 포함)의 치수는 25 mm, 인접 영역(SB)(후크 시트(11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치수는 5 mm였다. 또한, 폭방향(DW)에서의 사이드 플랩 영역(SSF)의 치수는 20 mm였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에 이용되는 부직포의 종류, 기재 시트(120)의 단위 중량이나 후크 시트(110)와 기재 시트(120)의 합계 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샘플을 이용하여, 패스닝 테이프의 천 느낌 및 굽힘 특성(굽힘 강성)에 관해 시험을 행했다.
이하, 각 시험에서의 측정 방법 및 시험 결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4.1) 천 느낌
시판하는 유니챰 주식회사 제조의 「무니 넨네 시타테 S사이즈」를 이용하여, 패스닝 테이프,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플랩 부분 및 백 시트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패스닝 테이프와 사이드 플랩이 고정되어 있는 부위의 폭방향(DW) 내측 20 mm 위치부터 갈아 넣는 것에 의해, 시험 샘플을 준비했다.
또한, 이 시험에서는, 패스닝 테이프를 「기저귀 본체와 달리, 경도가 상이한 것(이물질)으로 느끼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히어링 대상자의 스크리닝을 실시하여, 평소 사용하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패스닝 테이프에 전술한 바와 같은 느낌을 갖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높아진 모성으로 인해 딱딱하거나 뾰족한 것에 대한 혐오감이 높아져 있는 2개월∼6개월의 영유아를 키우고 있는 엄마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스크리닝을 실시한 후, 30명의 엄마를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감응 평가의 히어링을 실시했다.
시험에서는, 샘플 패스닝 테이프를 자유롭게 만지게 한 후, 패스닝 테이프의 촉감에 관해 천과 같은 느낌을 갖는지에 관해, 이하에 나타내는 5단계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1) 또는 (2)로 평가한 사람수의 비율이 60%를 넘는 샘플을 OK로 했다.
(1) 기저귀 본체의 시트와 같은 촉감
(2) 기저귀 본체의 시트와 거의 같은 촉감
(3)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4) 기저귀 본체의 시트와 약간 상이한 촉감
(5) 기저귀 본체의 시트와 상이한 촉감
또, 후크 시트(110) 및 기재 시트(120)의 합계 두께는, 전술한 두께 측정기(테스터산업 주식회사 제조의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4.2) 굽힘 특성
패스닝 테이프의 굽힘 특성에 관해서는,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의 KES 굽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B값(굽힘 강성)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KES법에 관해서는 「감촉 평가의 표준화와 해석」제2판(사단법인 일본섬유기계학회 감촉 계량과 규격화 연구위원회 1980년 7월 10일 발행)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역학적 성질마다의 측정 방법에 관해, 본 측정에 관련된 측정 조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굽힘 특성은,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KES-FB2를 이용하여, 각 샘플(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을 기재 시트(120)와 함께 절취한 샘플)을 척 사이에 고정하고(기저귀에서의 패스닝 테이프의 피부면측(내측)을 아래로 향하게 함), 최대 곡률+2.5 cm-1까지 표면측으로 굽히고, 다음으로 최대 곡률 -2.5 cm-1까지 이면측으로 굽힌 후에 원래로 되돌림으로써 측정했다.
또, 표 1에 나타내는 「MD 굽힘」은 길이방향(DL)에서의 굽힘을 의미하고, 「CD 굽힘」은 폭방향(DW)에서의 굽힘을 의미한다.
(4.3) 후크 높이
일회용 기저귀의 교환시에 패스닝 테이프의 계합 후크를 시인한 것을 상정하여, 30 cm∼50 cm 범위의 떨어진 위치로부터 샘플을 시인하게 하여, 계합 후크에 「예리한 느낌, 딱딱할 것 같은 느낌을 느끼는지」를 확인했다. 히어링은 느낀다 ㆍ느끼지 않는다의 어느 쪽인지를 확인했다. 느끼지 않는다고 한 사람수가 70%를 넘은 샘플을 OK로 했다. 표 2는 그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3
또, 각 샘플의 후크 높이는, 샘플을 무가압의 상태에서 측정했다. 측정 환경은, 온도 20±2℃, 상대 습도 65±5%, 측정 기기에는 현미경(주식회사 키엔스 제조 VHX-900)을 이용했다. 우선, 샘플의 단면의 확대 화상을 취득하고, 그 화상에 치수가 이미 알려져 있는 샘플을 겹쳐서 표시시킨다. 그 확대 화상에 현미경의 스케일을 맞춰, 샘플의 높이 및 두께를 측정했다. 이 작업을 10회 행하여, 10회의 평균치를 취득치로 했다.
(4.4) 색차(L*a*b* 표색계)
후크 시트(110)(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의 L*, a* 및 b*의 값, 후크 시트(110)에 인접하는 기재 시트(120)(인접 영역(SB)) 및 사이드 플랩(50)의 L*, a* 및 b*의 값을 측정했다.
좌표 L, a, b는, 비색계(미놀타 모드 CR-3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백색 표준 플레이트 상에, 기재 시트(120)(후크 시트(110) 부착면을 위로 함), 후크 시트(110)(계합 후크(111)측을 위로 함)의 순으로 배치했다. 후크 시트(110)의 사이즈는, 기재 시트(120)의 사이즈보다 작고, 기재 시트(120)만이 존재하는 위치(인접 영역(SB))에서의 L*, a*, b*의 값을 측정했다. 또한, 후크 시트(110) 및 기재 시트(120)가 겹쳐서 존재하는 위치(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에서의 L*, a*, b*의 값을 측정했다. 마찬가지로, 백색 표준 플레이트 상에, 사이드 플랩(50)의 백 시트(70)측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고, 사이드 플랩(50)에서의 L*, a*, b*의 값을 측정했다.
이어서, 각 영역, 구체적으로는,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과 인접 영역(SB) 및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과 사이드 플랩(50)의 영역에서의 ΔE(식1 참조)를 계산했다.
표 3은, 실시예 1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4는, 실시예 2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실시예 중에서도, 기재 시트(120)의 색을 바꾼 복수의 샘플에 관해 시험을 실시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이용한 후크 높이는 100 ㎛였다.
[표 3]
Figure pct00004
[표 4]
Figure pct00005
표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표 3에 나타내는 부직포를 사용하고, 그 부직포를 착색한 것으로 확인했다. 후크 시트는 백색을 베이스로 하고, 후크 높이는 100 ㎛로 했다. 표 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기재 시트를 표 4에 나타내는 부직포와 동일하게 하고, 그 부직포를 착색한 것으로 확인했다. 후크 시트는 백색을 베이스로 하고, 후크 높이는 100 ㎛로 했다. 또, 후크 시트에 착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 3 및 표 4에서, 영역 A는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과 대응하고, 영역 B는 사이드 플랩 영역(SSF)과 대응한다.
표 3 및 표 4에 나타내는 「후크 인식 용이성」의 시험에서는, 「후크가 눈에 띄는 것」에 관해 질문을 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5개의 회답 중에서 가장 가까운 회답을 선택시켰다. (1) 또는 (2)로 평가한 사람수의 비율이 60% 이상인 샘플을 가(OK)로 했다.
(1) 매우 눈에 띈다
(2) 약간 눈에 띈다
(3)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4)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5)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5) 작용ㆍ효과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의 길이방향(DL)에서의 KES 굽힘 강성치 및 폭방향(DW)에서의 KES 굽힘 강성치는 1.64 gfㆍ㎠/cm 이하이다. 또한, 계합 후크(111)의 높이는 60 ㎛∼200 ㎛이다. 또한,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과 사이드 플랩(50)의 사이드 플랩 영역(SSF)의 색차 ΔE는 6.5 이상이다.
이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 중의 패스닝 테이프(100)는, 종래의 후크 패스너와 같이 플라스틱의 감촉이나 외관이 아니라, 부직포 등과 같은 감촉이나 외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패스닝 테이프(100)의 감촉이나 외관의 위화감을 대폭 경감하여, 일회용 기저귀 본체, 즉 사람 등에게 착용되는 착용 물품과의 일체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 본체와의 차이가 적어진 패스닝 테이프(100)에 있어서, 시각적으로는 패스닝 테이프(1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100)의 원래 기능인 일회용 기저귀(10)를 신체에 유지하는 기능에 관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갖게 하지 않는다. 즉, 패스닝 테이프(100)에 의하면, 보다 고품질의 일회용 기저귀(10)라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합하는 부위인 패스닝 테이프(100)를 인접하는 부위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색차로 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100)가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쉬워진다. 특히, 착용자의 신체에 기저귀를 깔고, 패스닝 테이프(100)를 폭방향(DW) 바깥쪽으로 전개하여, 패스닝 테이프(100) 내면측을 사용자가 시인했을 때, 패스닝 테이프(100)가 구비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패스닝 테이프(100)의 양호한 감촉을 느끼면서, 일회용 기저귀(10)를 불안감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120)가 2층 이상의 시트(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며, 시트 1장당의 단위 중량이 10 g/㎡∼60 g/㎡로 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 전체의 두께는 150 ㎛∼550 ㎛이다. 복수장의 시트로 형성되며, 기재 시트(120)의 단위 중량 및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100)로서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굽힘 강성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일회용 기저귀(10) 본체의 부직포 등과 동일한 감촉이나 외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엠보스 영역(90)의 광선 투과율은, 열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비엠보스 영역의 광선 투과율과 상이하다. 또한, 열엠보스 영역(90)은, 후크 시트 존재 영역(SHS)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이 때문에, 기재 시트(120)의 부직포로서의 느낌을 주는 열엠보스 패턴을 투과하여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열엠보스 영역(90)보다 작게 계합 후크(111)가 형성됨으로써, 열엠보스 영역(90)의 양태에 계합 후크(111)가 섞이는 시각적 느낌이 된다. 즉, 예리한 느낌이 있는 계합 후크(111)가 존재하는 것을 사용자가 느끼기 어려워져, 후크 시트(110)의 이물감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후크 시트(110)의 계합 후크(111)의 선단측으로부터 기재 시트(120)측으로의 광선 투과율을 60%∼85%로 함으로써 후크 시트(110)의 이물감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00)는, 기단부(100b)로부터 자유단부(100f)쪽으로 향해 갈수록 길이방향(DL)에서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자유단부(100f)의 모서리 부분은 둥근 형상을 갖는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100)의 폭도 종래보다 좁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 서혜부의 형상과, 복부 부분이 튀어 나온 상태가 되기 쉬운 영유아의 체형에 맞추기 쉬워져, 패스닝 테이프(100)의 자유단부(100f)(손잡이부)가 피부에 닿아 불쾌감을 주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의 안심감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 시트(110)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인 기재 시트(120)의 외측면과, 흡수성 본체(15)의 외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양(엠보스부(80))을 갖는다. 또한, 기재 시트(120)의 외측면과 백 시트(70)면은, 동일한 엠보스 패턴과 섬유 종류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100)가 일회용 기저귀(10)와 일체의 구성이며, 상이한 부위가 아닌 것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의 최외층의 시트(백 시트(70))는, 사용자(예컨대 영유아의 엄마)가 일회용 기저귀를 영유아에게 장착할 때 접촉하는 빈도가 높은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감촉을 주는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120)는 2층 이상의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며, 그 부직포는 2 g/㎡∼8 g/㎡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메쉬형의 패턴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형이나 면형으로 도포하는 것보다, 적은 단위 중량으로 광범위하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는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강도와 유연성의 양립이 가능해진다. 또, 2 g/㎡ 이하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00)의 장착시에 부직포 사이에서 접합이 불충분하여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8 g/㎡ 이상에서는 메쉬형으로 도포된 접착제(핫멜트)의 선직경이 굵어져 접합에 의해 단단해져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6)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분명해진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후크 시트(110)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인 기재 시트(120)의 외측면과, 흡수성 본체(15)의 외측면은, 엠보스부(80)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기재 시트(120)의 외측면과 흡수성 본체(15)의 외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처리는 꼭 실시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를 영유아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영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소아용 또는 대인용의 일회용 기저귀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오픈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앞몸통둘레부와 뒷몸통둘레부가 계합 이탈 가능하게 접합된 팬츠타입(리클로저블 타입)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몸통둘레부와 뒷몸통둘레부의 한쪽의 접합부(측부)에 일회용 기저귀의 패스닝 테이프에 해당하는 패스닝 요소가 구비되고, 그 측부를 착탈 가능하게 한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20378호(2012년 2월 1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인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의 감촉이나 외관의 위화감을 대폭 경감하면서, 충분한 계합력을 갖는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앞몸통둘레부, 뒷몸통둘레부 및 가랑이부로 구성되며,
    액유지성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에서의 측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부착되며, 상기 앞몸통둘레부 또는 상기 뒷몸통둘레부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앞몸통둘레부 또는 상기 뒷몸통둘레부의 다른쪽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패스닝 테이프
    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기재 시트와, 복수의 계합 후크가 설치된 후크 시트를 가지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패스닝 테이프 존재 영역 중, 상기 후크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후크 시트 존재 영역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서의 단위길이당 KES 굽힘 강성치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에서의 단위길이당 KES 굽힘 강성치는 1.64 gfㆍ㎠/cm 이하이고,
    상기 계합 후크의 높이는 60 ㎛∼200 ㎛이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내면측의 상기 후크 시트 존재 영역과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인접하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색차 ΔE는, L*a*b* 표색계에 있어서 L*의 색차를 ΔL*, a*의 색차를 Δa*, 및 b*의 색차를 Δb*로 한 경우 6.5 이상인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2장 이상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재 시트 각각의 단위 중량은 10 g/㎡∼60 g/㎡인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열엠보스가 실시된 열엠보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열엠보스 영역의 광선 투과율은, 상기 열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비엠보스 영역의 광선 투과율과 상이하고,
    상기 열엠보스 영역은,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후크 시트 존재 영역측으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고,
    상기 계합 후크의 상단부의 크기는, 상기 열엠보스 영역의 사이즈보다 작은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시트에서의 상기 계합 후크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기재 시트측으로의 광선 투과율은 60%∼85%인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사이드 플랩에 부착되는 기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부쪽으로 향해 갈수록,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자유단부의 모서리 부분은 둥근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크 시트 존재 영역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서의 폭은 30 mm∼50 mm이고,
    상기 후크 시트 존재 영역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에서의 폭은 20 mm∼40 mm인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인 상기 기재 시트의 외측면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외측면은, 동일한 모양 또는 색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인 상기 기재 시트의 외측면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외측면은, 동일한 엠보스 패턴과 섬유 종류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2층 이상의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는, 2 g/㎡∼8 g/㎡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메쉬형의 패턴으로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47024375A 2012-02-01 2013-02-01 일회용 기저귀 KR102011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0378 2012-02-01
JP2012020378A JP5859862B2 (ja) 2012-02-01 2012-02-01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3/052315 WO2013115346A1 (ja) 2012-02-01 2013-02-01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673A true KR20140117673A (ko) 2014-10-07
KR102011168B1 KR102011168B1 (ko) 2019-08-14

Family

ID=4890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375A KR102011168B1 (ko) 2012-02-01 2013-02-01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61140B2 (ko)
EP (1) EP2810631B1 (ko)
JP (1) JP5859862B2 (ko)
KR (1) KR102011168B1 (ko)
CN (1) CN104093387B (ko)
AR (1) AR089870A1 (ko)
AU (1) AU2013215900B2 (ko)
BR (1) BR112014017621A8 (ko)
EA (1) EA027051B1 (ko)
MY (1) MY166103A (ko)
TW (1) TWI565454B (ko)
WO (1) WO20131153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3054B2 (ja) * 2011-08-26 2016-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15B1 (ja) * 2012-03-30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37B1 (ja) * 2012-11-2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11513932B (zh) * 2013-02-15 2022-02-08 宝洁公司 与吸收制品一起使用的扣紧系统
US20150032078A1 (en) * 2013-07-29 2015-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a visual cue
US9480611B2 (en) 2013-07-29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597237B2 (en) 2013-12-31 2017-03-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980859B2 (en) 2014-01-31 2018-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improved flexibility
US9849043B2 (en) 2014-10-31 2017-1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otected fastening system
USD839418S1 (en) * 2017-06-30 2019-01-29 Carears Designer Diapers, LLC Diaper
JP7163754B2 (ja) * 2018-12-14 2022-11-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389B1 (en) * 1998-09-17 2001-04-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er system with a lift region
JP2001521771A (ja) * 1997-11-04 2001-11-13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接合用フックテープ
JP2003070840A (ja) 2001-08-31 2003-03-11 Uni Charm Corp 開放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204809A (ja) * 2002-01-10 2003-07-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面ファスナー
JP2004522534A (ja) * 2001-02-27 2004-07-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高強度、可撓性、軽量フック・アンド・ループバンドリングストラップ
JP2005040231A (ja) * 2003-07-24 2005-02-17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ック材及びメカニカルファスナー
US20050097713A1 (en) * 2002-01-15 2005-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profile extruded hook
US20090013506A1 (en) * 2003-09-18 2009-01-15 Ykk Corporation Silent Surfac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778A (ja) * 2000-06-28 2002-01-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使い捨ておむつ用ファスナー、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おむつ
WO2002069873A1 (fr) * 2001-03-03 2002-09-12 Daio Paper Corporation Couche en papier
US6921570B2 (en) * 2001-12-21 2005-07-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 unbonded nonwoven web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20030145440A1 (en) * 2002-01-15 2003-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profile extruded hook
JP2004167025A (ja) * 2002-11-20 2004-06-1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4652724B2 (ja) * 2003-08-19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7727215B2 (en) * 2006-07-06 2010-06-01 Unicharm Corporation Wearing article
WO2008070131A2 (en) * 2006-12-04 2008-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graphics
JP5297675B2 (ja) * 2008-03-31 2013-09-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止着テープおよびこの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5592168B2 (ja) * 2009-08-31 2014-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8585667B2 (en) * 2010-05-21 2013-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sert with advantageous fastener configurations and end stiffness characteristics for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771A (ja) * 1997-11-04 2001-11-13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接合用フックテープ
US6210389B1 (en) * 1998-09-17 2001-04-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er system with a lift region
JP2004522534A (ja) * 2001-02-27 2004-07-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高強度、可撓性、軽量フック・アンド・ループバンドリングストラップ
JP2003070840A (ja) 2001-08-31 2003-03-11 Uni Charm Corp 開放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204809A (ja) * 2002-01-10 2003-07-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面ファスナー
US20050097713A1 (en) * 2002-01-15 2005-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profile extruded hook
KR20050123149A (ko) * 2003-04-10 2005-12-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열처리된 프로파일 압출 후크
JP2005040231A (ja) * 2003-07-24 2005-02-17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ック材及びメカニカルファスナー
US20090013506A1 (en) * 2003-09-18 2009-01-15 Ykk Corporation Silent Surface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3387A (zh) 2014-10-08
AU2013215900B2 (en) 2016-09-22
AR089870A1 (es) 2014-09-24
WO2013115346A1 (ja) 2013-08-08
EP2810631A1 (en) 2014-12-10
MY166103A (en) 2018-05-24
EA027051B1 (ru) 2017-06-30
EA201400814A1 (ru) 2014-11-28
JP5859862B2 (ja) 2016-02-16
US9561140B2 (en) 2017-02-07
US20150025491A1 (en) 2015-01-22
TWI565454B (zh) 2017-01-11
TW201345505A (zh) 2013-11-16
AU2013215900A1 (en) 2014-07-31
EP2810631A4 (en) 2015-10-07
JP2013158371A (ja) 2013-08-19
KR102011168B1 (ko) 2019-08-14
CN104093387B (zh) 2016-07-06
EP2810631B1 (en) 2016-06-15
BR112014017621A8 (pt) 2017-07-11
BR112014017621A2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7673A (ko) 일회용 기저귀
JP5886576B2 (ja) 止着部材及び止着片
JP6411635B2 (ja) アートワークを有する着用可能物品
JP5291236B1 (ja) 使い捨ておむつ
RU2478356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одержащее частично прикрепленный ярлык с печатью
RU2478357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одержащее ярлык с печатью
TWI533854B (zh)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JP2023134683A (ja) パンツ型着用可能物品
EP1351636A1 (en) Absorbent article
JP2024029015A (ja) パンツ型着用可能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