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626A - 연료 펌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료 펌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626A
KR20140117626A KR1020147023773A KR20147023773A KR20140117626A KR 20140117626 A KR20140117626 A KR 20140117626A KR 1020147023773 A KR1020147023773 A KR 1020147023773A KR 20147023773 A KR20147023773 A KR 20147023773A KR 20140117626 A KR20140117626 A KR 2014011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ollower
plunger
pumping
follower member
pu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919B1 (ko
Inventor
조지 니콜라스 펠튼
Original Assignee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4011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2Pumps peculiar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연료 펌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료 펌프 조립체는 플런저 펌핑 스트로크 동안에 펌핑 챔버(32) 내의 연료를 가압하기 위한 펌핑 플런저(16); 및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연동하는 캠 팔로어 부재(18)를 구비하는 상기 펌핑 플런저(16)에 구동을 부여하기 위한 캠 팔로우 배열체(18, 20)를 포함한다.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18, 20)는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와 상기 펌핑 플런저(16) 사이에 플런저 축을 따라 어느 정도의 상대 운동이 허용되는 한편, 캠 구동부(22, 26)와 결합하여 가압된다.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 중 하나 이상은, 사용시에,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 중 다른 것의 접합면과 함께,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가 서로 접촉하게 이동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하도록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완충 용적부(44)를 형성하는 특징부를 구비한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특징부는 평탄한 중앙부(40)와, 원뿔 형태이며 상기 접합면에 대해 경사지는 환형 영역(4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연료 펌프 조립체{IMPROVEMENTS RELATING TO FUEL PUMPS}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커먼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에 사용기에 적합한 타입의 연료 펌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선된 플런저/캠 팔로어 배열체를 갖는 연료 펌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연료 펌프 조립체에서, 엔진 구동식 캠을 구비하는 캠 구동 배열체에 의해 펌프 하우징 내에 제공된 보어 내에서의 왕복 운동을 위해 펌핑 플런저가 구동된다. 캠 팔로어는 캠과 연동하고, 이로써 플런저의 풋은 캠 팔로어와 연동한다. 저압 연료원으로부터의 연료는 펌핑 챔버 내의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입구 계측 밸브(inlet metering valve)를 거쳐 펌핑 챔버로 전달된다. 플런저가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함에 따라, 펌핑 챔버 내의 연료는 가압된다. 출구 밸브는 하류의 커먼레일로 가압된 연료를 전달하는 것을 제어한다.
유닛 펌프 구성의 일 타입에서, 펌프 조립체는 복수의 별개의 펌프 유닛을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그 자체의 펌핑 챔버, 입구 밸브 및 출구 밸브를 갖는다. 펌프 유닛 각각에는 캠 팔로어가 제공되며, 각각의 캠 팔로어는 다른 캠에 공통인 구동 샤프트 상에서 이송되는 해당하는 캠과 연동가능하다.
EP 0778413 B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른 구성에서, 플런저는 대향된 쌍으로서 배치되며, 플런저의 대향된 것들 사이에 배치된 펌핑 챔버 내의 연료를 가압하는 동안에 펌핑 스트로크를 수행하도록 반경방향 외측 캠 링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구동된다. 각각의 플런저는 캠 링과 연동하는 관련된 캠 팔로어를 가지며, 플런저의 각 쌍을 위해 입구 계측 밸브와 출구 밸브가 제공된다. 캠 팔로어가 캠 표면 위로 주행함에 따라, 플런저 쌍은 펌핑 챔버의 용적부를 감소시키도록 내측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펌핑 챔버 내의 연료압을 증대시킨다.
일반적으로, 입구 계측 밸브는 펌핑 챔버 내의 연료 흐름을 제어하는 가변 오리피스의 형태를 취한다. 통상적으로, 소정의 플런저 스트로크에서 가압되는 연료의 용적은 관련된 펌핑 챔버의 최대 스윕된 용적보다 작을 것이다. 특히, 각각의 플런저와 그 캠 팔로어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대운동이 허용되는 펌프 배열체에서는, 펌핑 스트로크 동안에 각각의 플런저와 그 캠 팔로어가 접촉할 때 각각의 플런저의 풋(foot)과 그 캠 팔로어 사이에 충격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충격 부하(impact load)는 플런저와 그 캠 팔로어 사이의 계면부에 마모를 초래할 수 있고, 기계적 소음 및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 또는 완화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개선된 연료 펌프 조립체 및 플런저/캠 팔로어 배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연료 펌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료 펌프 조립체는 플런저 펌핑 스트로크 동안에 펌핑 챔버 내의 연료를 가압하기 위한 펌핑 플런저; 및 상기 펌핑 플런저에 구동을 부여하기 위한 캠 팔로우 배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캠 배열체는 상기 펌핑 플런저와 연동하는 캠 팔로어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는 상기 캠 팔로어 부재와 상기 펌핑 플런저 사이에 플런저 축을 따라 어느 정도의 상대 운동이 허용되는 한편, 캠 구동부와 결합하여 가압된다.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사용시에,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 중 다른 것의 접합면과 함께,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가 서로 접촉하게 이동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하도록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는 특징부를 구비한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특징부는 평탄한 중앙부와, 원뿔 형태이며 상기 접합면에 대해 경사지는 환형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환형 영역은 상기 평탄한 중앙부를 둘러쌀 수 있다(즉, 상기 평탄한 중앙부는 상기 환형 영역에 의해 전체적으로 경계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상기 캠 팔로어 부재는 상기 펌핑 플런저에 구동을 부여하는 슈우(shoe) 또는 태핏(tappet)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상기 펌핑 플런저와 캠 팔로어 부재가 서로 접촉함에 따라,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팔로어 부재 사이의 충격 부하는 그 부품들 사이의 계면부에 존재하는 유체의 완충 용적부에 의해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 부하는 특히 상기 펌핑 챔버가 부분적으로만 충전될 때 발생한다. 상기 캠 팔로어 부재와 상기 플런저는 펌핑 스트로크를 통한 도중에 다시 접촉하기 전의 상기 플런저의 리턴 스트로크 동안에 분리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펌핑 플런저만이 상기 캠 팔로어 부재와 함께 상기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특징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펌핑 플런저의 단부면은 상기 평탄한 중앙부와 상기 환형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형 영역은 상기 캠 팔로어 부재의 접합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의 표면 사이의 경사 표면은 0.1 내지 1.5도의 끼인각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끼인각은 0.25 내지 1.25도이다.
최적 각도는 적용에 따라 다를 수 있고, 특히 사용되는 윤활제와, 상기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의 피크 충격 속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펌핑 플런저의 표면은 평탄하고, 상기 캠 팔로어 부재만이 상기 펌핑 플런저의 접합면과 함께 상기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특징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캠 팔로어 부재의 표면은 0.1 내지 1.5도, 보다 바람직하게 0.25 내지 1.25도의 끼인각을 상기 캠 팔로우 부재와 상기 펌핑 플런저 사이에 형성하도록 상기 펌핑 플런저의 평탄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 양자의 표면은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 사이에 상기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는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완충 용적부는 환형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 펌프 조립체는, 공통의 펌핑 챔버 내의 연료를 가압하도록 펌프 하우징 내에 제공된 공통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대향된 펌핑 플런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펌핑 플런저는 관련된 캠 팔로어 부재를 가지며, 상기 관련된 캠 팔로어 부재는, 관련된 펌핑 플런저와 함께,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관련된 캠 팔로어 부재가 서로 접촉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하도록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완충 용적부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는 슈우 또는 태핏의 형태로 캠 팔로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 구동부와 결합하게 가압된다. 상기 플런저가 상기 캠 구동부 쪽으로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 축을 따라 상기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대운동이 허용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공지되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연료 펌프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연료 펌프 조립체에 내장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펌프 유닛에 대한 개략도.
도 1은 종래기술에 공지되며, 유리한 효과를 성취하도록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연료 펌프 조립체(10)를 도시한다. 연료 펌프 조립체(10)는 3개의 관통 보어(14)(그 중 하나만이 단면도에서 보임)를 구비한 중앙 펌프 바디(12)를 갖는다. 관통 보어(14)는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며, 2개의 플런저(16)는 각각의 보어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플런저 쌍은 관련된 캠 팔로어 배열체의 영향 하에서 공통 축을 따라 관통 보어(14) 내에서 왕복 운동한다.
각각의 캠 팔로어 배열체는 슈우(18)의 형태인 캠 팔로어와, 관련된 롤러(20)를 구비한다. 각각의 플런저(16)의 외측 단부는 슈우(18)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므로,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6)와 직접 연동한다. 관련된 롤러(20)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외측 하우징(23) 내에 지지되는 로터리 캠 링(22)과 직접 연동한다. 펌프 바디(12) 내에는 6개의 등각도로 이격된 그루브(24)가 제공되며, 각각은 슈우와 롤러 배열체(18, 20) 중 해당하는 하나를 수용한다. 그루브(24)를 마련하면, 슈우와 롤러 배열체(18, 20)의 정렬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해당하는 플런저 축의 방향을 따라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한편, 그 각도 운동을 제한한다.
슈우와 롤러 배열체(18, 20) 각각은 관련된 리턴 스프링(도 1에 미도시)에 의해 캠 링(22)의 표면과 결합하게 가압된다. 도 1에서 보이지 않지만, 캠 링(22)의 내부면은 4개의 등각도로 이격된 캠 로브(cam lobes)(26)를 구비한다. 캠 링(22)은 엔진 속도와 관련된 속도로 구동되도록 배치된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다.
관통 보어(16) 각각은 해당하는 입구 논-리턴 밸브(28)를 통해, 피드 펌프(feed pump)(미도시)로부터의 비교적 저압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관통 보어(16) 각각은 펌프 조립체의 출구 포트(미도시)와 연결하는 해당하는 출구 밸브(30)에 연결된다. 출구 포트는 가압된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커먼레일 또는 다른 어큐뮬레이터 용적부로의 통로와 연결하고, 그로부터 엔진 하류의 연료 인젝터에 연료를 전달한다.
각각의 관통 보어(16)는, 관련된 대향하는 플런저 쌍의 단부와 함께, 입구 논-리턴 밸브(28)를 통해 비교적 저압의 연료를 전달하고, 출구 밸브(30)를 통해 가압된 연료를 전달하는 펌핑 챔버(32)를 형성한다. 입구 밸브(28)는 유압 작동식이며, 일반적으로 입구 밸브 스프링(29)에 의해 폐쇄 위치로 가입되는 스프링이다. 입구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관련된 펌핑 챔버(32) 내로의 연료 흐름이 방지된다.
하기의 설명은 펌핑 플런저의 하나의 쌍에 대한 펌핑 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플런저의 운동 사이클은 펌핑 챔버의 용적을 감소시키도록 플런저 보어 내로 플런저를 내측방향으로 구동하며 출구 밸브를 통해 커먼레일로 가압된 연료를 전달하는 펌핑 스트로크와, 펌핑 챔버의 용적을 증대시키도록 플런저 보어로부터 플런저를 외측방향으로 구동하며 입구 밸브를 통해 상 연료가 펌핑 팸버를 충전하는 리턴 스트로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피드 펌프로부터의 적절한 연료량은 펌프 바디(12)의 입구 포트를 통해 펌핑 챔버(32)로 공급된다. 보어(14) 내의 최내측 위치에 있는 플런저(16)의 경우, 캠 링(22)의 회전은 캠 로브(26)의 트레일링 플랭크(trailing flanks) 아래로 주행하는 플런저(16)와 관련된 롤러(20)를 초래하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슈우(18)와 롤러(20)가 외측방향으로 가압된다. 입구 포트를 통해 공급된 연료는 입구 밸브(28)에 작용하는 연료압을 초래하여, 스프링력에 대해 입구 밸브(28)를 개방하게 한다. 개방된 입구 밸브(28)를 통해 연료가 펌핑 챔버(32)에 도입됨에 따라, 대향된 플런저(16)는 그 관련된 슈우(18)와 (즉, 관통 보어 내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푸시된다. 연료의 최대 충전 용적의 비율만이 입구 밸브(28)를 통해 전달되도록 펌핑 챔버(32)가 부분적으로만 충전되면, 플런저(16)는 보어(14)로부터 완전히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슈우(18)가 캠 링(22)과 결합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펌핑 챔버(32)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고 플런저(16)가 관통 구멍(14) 내로 완전히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황에서, 각각의 플런저(16)와 그 슈우(18) 사이에서 분리도(a degree of separation)가 개방된다.
캠 링(22)의 연속적인 회전은 슈우 및 롤러 배열체를 내측방향으로 푸시하도록 슈우 및 롤러 배열체(18, 20)를 결합하는 캠 로브 다음에 초래함으로써, 펌핑 스트로크(pumping stroke)를 시작한다. 슈우(18)와 그 관련된 플런저(16) 사이의 분리로 인해, 펌핑 스트로크를 통해 도중의 지점에서 부품들이 접촉하게 된다. 이는 부품들이 접촉함에 따라 각각의 슈우(18)와 그 플런저(16) 사이에 충격 부하를 발생시킨다. 이는 특히 도 1에 도시한 타입의 연료 펌프에서의 문제점인데, 그 이유는 일부 펌프 배열체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에 의해 해당하는 슈우 및 롤러 배열체에 플런저가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플런저(16)와 슈우 및 롤러 배열체(18, 20) 사이에 어느 정도의 플레이(play)가 허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슈우가 플런저(16)와 만나도록 내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비교적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고, 그 충격 부하의 결과로서, 연동하는 부품(16, 18)들 사이에 마모 및 더욱이 바람직하지 못한 기계적 소음이 증대된다.
슈우(18)가 그 관련된 플런저(16)와 접촉할 때, 슈우 및 롤러 배열체(18, 20)에 의해 구동되는 바와 같은 플런저(16)의 후속적인 내측방향 운동은 입구 밸브(28)를 폐쇄하도록 펌핑 챔버(32) 내의 연료를 가압한다(스프링력과 함께 입구 밸브를 가로지르는 압력차는 밸브를 폐쇄하기에 충분하다). 펌핑 챔버(32) 내의 연료가 가압되고, 출구 밸브(30)를 개방하기에 충분한 레벨의 압력에 도달하기만 하면 가압된 연료는 출구 밸브(30) 외부로 펌핑된다.
플런저(16)의 다른 쌍(other pairs)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지만, 캠 링의 각각의 완전한 회전을 위해, 커멀레일에 대한 출구 포트에 공급되는 연료의 12 펄스(twelve pulses)가 있는 결과를 갖는 상술한 플런저와는 위상이 다르다.
도 1은 슈우(8)가 캠 링(22)과 결합하게 가압되지만 플런저(16)가 슈우(18)와 결합하게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플런저(16)와 그 캠 팔로어(18)가 플런저 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펌프 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한 특징부를 갖는 연료 펌프 조립체의 펌프 유닛에 대한 개략도로서, 플런저(16)와 캠 팔로어(18)가 플런저 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핑 챔버(32)는 펌핑 챔버 내외로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입구 밸브(28)와 출구 밸브(30)를 각각 갖는다. 도 1의 펌프 조립체와 도 2의 펌프 조립체 간의 차이점은, 도 2에서의 펌핑 챔버(32)가 도 1에서와 같은 한 쌍의 대향된 플런저보다는 단일의 펌핑 플런저 요소(16)에만 관련된다는 점이다.
입구 밸브(28) 상의 심(shim)(36)은, 심(36)의 사이즈에 따라 입구 밸브를 개방하는 압력이 변경될 수 있도록 밸브 스프링(29)의 가압력을 설정한다.
도 1의 펌프 유닛과 대비된 도 2의 펌프 유닛의 추가적인 특징은 중앙의 평탄 지대(central flat zone), 또는 평탄한 중앙부(flat central portion)(40)와, 상기 중앙 평탄 지대(40)로부터 펌핑 플런저(16)의 외주로 연장되는 환형 지대(annular zone) 또는 환형 영역(annular region)(42)을 갖는 펌핑 챔버(32)로부터 이격된 표면을 플런저(16)가 그 단부에서 갖는다는 점이다. 환형 영역(42)은 평탄한 중앙부(40)를 둘러싸고,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을 갖는다. 본 구성에서, 슈우(18)의 표면(18a)은 접합면으로서 작용한다. 표면(18a)은 평탄하고, 플런저(16)의 환형 지대(42)는, 평탄한 슈우 표면(18a)과 함께, 0.25 내지 1.25도의 끼인각(A)을 형성하도록 평탄한 슈우 표면(18a)에 대해 경사진다. 끼인각(A)은 펌핑 플런저(16)의 원주 전체 둘레로 연장되며, 평탄한 슈우 표면(18a)과 함께, 플런저/슈우 계면부에서 환형 완충 용적부(44)를 형성한다.
사용시에, 완충 용적부(44) 내의 윤활유 또는 연료는 펌핑 스트로크의 개시 시에 펌핑 플런저(16)와 만나도록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슈우(18)의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완충 효과는 연동하는 부품(16, 18)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또한 부품이 합치됨에 따라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소음 영향에 이점을 제공한다.
변형 실시예(미도시)에서, 플런저(16) 대신에 슈우의 표면(18a)에 형상화된 특징부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완충 용적부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본 구성에서, 플런저(16)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접합면을 구비한다. 캠 팔로어 표면의 중앙부는 평탄하며, 상기 중앙부의 반경방향 외측의 환형 표면은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이다. 원뿔형 표면은 0.25 내지 1.25도의 범위에서 플런저의 평탄면과 끼인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진다. 다시, 2개의 부품(16, 18) 사이에 형성된 완충 용적부는, 펌핑 챔버(32)의 부분적인 충전만 있을 때 특히 관련되는 펌핑 스트로크 동안에 부품(16, 18)이 합치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도록 플런저(16)와 슈우(18) 양자에 형상화된 특징부가 적용될 수 있다.
플런저(16)의 형상 및/또는 슈우(18)의 표면(18a)은 전술한 형태의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품(16, 18)의 표면은 만곡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플런저(16)와 캠 팔로어(18)가 사용시에 합치함에 따라 적절한 완충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윤활제용 용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시에 에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외주부 상에 반경 형태를 갖도록 플런저를 형성하는 공지된 원리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반경 형태는 마모 문제점을 감소시키도록 플런저/팔로어 계면부에 완충 효과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연료 또는 윤활유를 위한 완충 용적부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몇 가지의 다른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연료 펌프 조립체에 있어서,
    플런저 펌핑 스트로크(plunger pumping stroke) 동안에 펌핑 챔버(32) 내의 연료를 가압하기 위한 펌핑 플런저(16); 및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연동하는 캠 팔로어 부재(18)를 구비하는 상기 펌핑 플런저(16)에 구동을 부여하기 위한 캠 팔로우 배열체(18, 20)로서,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18, 20)는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와 상기 펌핑 플런저(16) 사이에 플런저 축을 따라 어느 정도의 상대 운동이 허용되는 한편, 캠 구동부(22, 26)와 결합하여 가압되는, 상기 캠 팔로우 배열체(18, 20)
    를 포함하며,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 중 하나 이상은, 사용시에,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 중 다른 것의 접합면과 함께,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가 서로 접촉하게 이동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하도록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완충 용적부(44)를 형성하는 특징부를 구비한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특징부는 평탄한 중앙부(40)와, 원뿔 형태이며 상기 접합면에 대해 경사지는 환형 영역(42)을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플런저(16)만이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와 함께 상기 완충 용적부(44)를 형성하도록 상기 특징부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플런저(16)의 단부면은 상기 평탄한 중앙부(40)와 상기 환형 영역(42)을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영역은 상기 캠 팔로어 부재의 표면에 대해 경사지는,
    연료 펌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플런저(16)의 상기 환형 영역(42)과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의 표면(18a) 사이에는 0.1 내지 1.5도의 끼인각을 형성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인각은 0.25 내지 1.25도인,
    연료 펌프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만이 상기 펌핑 플런저(16)의 접합면과 함께 상기 완충 용적부(44)를 형성하도록 상기 특징부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의 표면은 상기 캠 팔로우 부재(18)와 상기 펌핑 플런저(16) 사이에 0.1 내지 1.5도의 끼인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펌핑 플런저(16)의 평탄면에 대해 경사진 환형 영역을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끼인각은 0.25 내지 1.25도인,
    연료 펌프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18) 양자의 표면은 상기 펌핑 플런저와 상기 캠 팔로어 부재 사이에 상기 완충 용적부를 형성하는 특징부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통의 펌핑 챔버(32) 내의 연료를 가압하도록 펌프 하우징(22) 내에 제공된 공통 보어(14)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대향된 펌핑 플런저(16)를 포함하며,
    각각의 펌핑 플런저(16)는 관련된 캠 팔로어 부재(18)를 가지며, 상기 관련된 캠 팔로어 부재(18)는, 관련된 펌핑 플런저(16)와 함께, 상기 펌핑 플런저(16)와 상기 관련된 캠 팔로어 부재(18)가 서로 접촉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하도록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완충 용적부(44)를 형성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는 슈우(18) 또는 태핏의 형태로 캠 팔로어 부재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어 배열체(18, 20)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 구동부(22, 26)와 결합하게 가압되는,
    연료 펌프 조립체.
KR1020147023773A 2012-02-09 2013-01-31 연료 펌프 조립체 KR101591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202221.6A GB201202221D0 (en) 2012-02-09 2012-02-09 Improvements relating to fuel pumps
GB1202221.6 2012-02-09
PCT/EP2013/051943 WO2013117485A1 (en) 2012-02-09 2013-01-31 Improvements relating to fuel pum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626A true KR20140117626A (ko) 2014-10-07
KR101591919B1 KR101591919B1 (ko) 2016-02-04

Family

ID=4592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773A KR101591919B1 (ko) 2012-02-09 2013-01-31 연료 펌프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94121B2 (ko)
EP (1) EP2812560B1 (ko)
JP (1) JP2015507130A (ko)
KR (1) KR101591919B1 (ko)
CN (1) CN204357608U (ko)
GB (1) GB201202221D0 (ko)
WO (1) WO2013117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6566A1 (en) * 2012-12-18 2014-06-2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Pump Unit
EP2910769A1 (en) * 2014-02-25 2015-08-26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Fuel pump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060A (en) 1991-07-16 1993-06-01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system for rotary distributor fuel injection pump
GB9315342D0 (en) * 1993-07-23 1993-09-08 Lucas Ind Plc Fuel pumping apparatus
JPH0821329A (ja) * 1994-07-08 1996-01-23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ポンプ
FR2741672A1 (fr) * 1995-11-29 1997-05-30 Lucas Ind Plc Systeme d'alimentation de carburant
GB9610785D0 (en) * 1996-05-23 1996-07-31 Lucas Ind Plc Radial piston pump
JPH11343943A (ja) * 1998-05-29 1999-12-14 Denso Corp 燃料噴射ポンプ
GB9815272D0 (en) * 1998-07-14 1998-09-09 Lucas Ind Plc Positive displacement pumps
JP2001041129A (ja) * 1999-07-27 2001-02-13 Toyota Motor Corp 高圧ポンプ
US6450778B1 (en) * 2000-12-07 2002-09-17 Diesel Technology Company Pump system with high pressure restriction
DE10150351A1 (de) * 2001-10-15 2003-05-08 Bosch Gmbh Robert Pumpenelement und Kolbenpumpe zur Kraftstoffhochdruckerzeugung
DE10212492B4 (de) 2002-03-21 2012-02-02 Daimler Ag Kolbenpumpe
DE10247645A1 (de) * 2002-10-11 2004-04-22 Robert Bosch Gmbh Radialkolbenpumpe zur Kraftstoffhochdruckversorgung
US7048516B2 (en) * 2003-06-09 2006-05-23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pressure fuel pump with multiple radial plungers
US20060159572A1 (en) * 2005-01-18 2006-07-20 Malcolm Higgins Pilot injection pump
DE602006003998D1 (de) * 2006-03-17 2009-01-15 Delphi Tech Inc Kraftstoffeinspritzpumpe
DE102006045933A1 (de) 2006-09-28 2008-04-03 Robert Bosch Gmbh Stößelbaugruppe für eine Hochdruckpumpe und Hochdruckpumpe mit wenigstens einer Stößelbaugruppe
HUE026768T2 (en) 2007-10-12 2016-07-28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Fuel Pump Improvements
US9151289B2 (en) * 2008-08-21 2015-10-06 Cummins Inc. Fuel pump
GB0818811D0 (en) 2008-10-14 2008-11-19 Delphi Tech Inc Fuel pump assembly
FR2946406B1 (fr) * 2009-06-05 2016-07-01 Skf Ab Dispositif de rouleau suiveur de came, notamment pour pompe d'injection de carburant.
JP5240284B2 (ja) * 2010-12-10 2013-07-17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2560B1 (en) 2016-05-04
US9494121B2 (en) 2016-11-15
WO2013117485A1 (en) 2013-08-15
CN204357608U (zh) 2015-05-27
US20140366849A1 (en) 2014-12-18
EP2812560A1 (en) 2014-12-17
JP2015507130A (ja) 2015-03-05
KR101591919B1 (ko) 2016-02-04
GB201202221D0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95B1 (ko) 내연기관용 피스톤 연료 펌프
US10041457B2 (en) Pump unit
KR101559335B1 (ko) 고압 연료 펌프 조립체 및 펌핑 플런저
EP2476895A2 (en) High pressure fuel supply pump
US8181564B2 (en) Fuel pump
JP3852756B2 (ja) 燃料噴射ポンプ
US20120080013A1 (en) High pressure pump and tappet assembly
US8215925B2 (en) Pump assembly and tappet therefor
KR101591919B1 (ko) 연료 펌프 조립체
EP2189658B1 (en) Fluid Pump Assembly
US20040047746A1 (en) High-pressure pump for a fuel system of an internal combusion engine
JP2003328896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ポンプ
EP1318302B1 (en) Fuel injection pump
EP1363016A2 (en) Fuel pump
EP2184491A1 (en) Pump head for fuel pump assembly
CN105358819A (zh) 泵装置、尤其用于燃料喷射装置的燃料高压泵装置
CN111636988B (zh) 燃料喷射泵
EP1489301B1 (en) Drive arrangement for a pump
US6582203B2 (en) Radial piston pump
JP5288267B2 (ja) 燃料噴射ポンプ
EP1705368B1 (en) Fuel pump
US20230323845A1 (en) Fuel pump assembly
KR101393524B1 (ko) 고압 연료 펌프
KR100248215B1 (ko) 고압발생용 멀티플 피스톤 펌프
KR20130129958A (ko) 펌프, 특히 고압 연료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