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945A - 브루잉 모듈 - Google Patents
브루잉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6945A KR20140116945A KR1020147023273A KR20147023273A KR20140116945A KR 20140116945 A KR20140116945 A KR 20140116945A KR 1020147023273 A KR1020147023273 A KR 1020147023273A KR 20147023273 A KR20147023273 A KR 20147023273A KR 20140116945 A KR20140116945 A KR 201401169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brewing
- brewing module
- support element
- module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제1 브루잉 모듈 부품(3)과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을 포함하는 브루잉 모듈로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캡슐로부터 추출 생성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장치와 추출 액체를 캡슐 내로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구비하는 브루잉 모듈에 관한 것이다. 폐쇄 위치[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이 예를 들어 "함께 결합되어(together)" 있음]에서, 브루잉 과정 중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가 폐쇄된다. 또한, 브루잉 모듈은 지지 요소(21)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는 지지 위치에서, 브루잉 챔버 개방시, 지지 요소가 규정된 삽입 위치를 통해 삽입된 캡슐을 포획하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캡슐은 삽입 후 지지 요소 상에 그리고 제1 브루잉 모듈 부품(3)의 지지 부분(36) 상에 놓인다. 브루잉 챔버의 폐쇄에 의해, 지지 요소는 지지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이동되며, 여기에서 캡슐은 동시에 제1 브루잉 모듈 부품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파지 요소(43)에 의해 유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슐 내에 함유된 추출 재료(extraction material), 예를 들어 분쇄 커피로부터 음료 등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extraction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추출 장치를 위한 브루잉 모듈(brewing module)과 또한 그러한 브루잉 모듈을 갖춘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1회분 팩(portion pack) 내에 존재하는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등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가 예를 들어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 기계로 알려져 있다. 많은 대응하는 시스템에서, 1회분 팩은 추출 재료가 내부에서 예를 들어 기밀 방식으로 밀봉되는 캡슐로서 형성된다. 추출을 위해, 캡슐은 예를 들어 두 상호 대향 측에서 천공된다. 제1 측에서, 이어서 추출 액체 - 일반적으로 온수 - 가 도입된다. 제2 측에서, 추출 생성물이 캡슐로부터 토출된다. 이는 브루잉 모듈로 지칭되는 것에서 일어난다. 그러한 브루잉 모듈은 캡슐이 내부에 수용되는 브루잉 챔버를 구비한다. 캡슐이 브루잉 모듈 내에 배치되고 브루잉 챔버가 예를 들어 작동 레버에 의해 폐쇄되는 브루잉 모듈이 특히 인기 있으며, 여기에서 브루잉 작업 후 브루잉 챔버를 다시 개방할 때, 캡슐이 자동으로 브루잉 챔버로부터 제거되고 캡슐 용기 내로 방출된다. 자동 캡슐 방출을 갖는 그러한 브루잉 모듈은 일반적으로 수평 브루잉 모듈로서 설계되며, 즉 캡슐이 위로부터 삽입되고, 브루잉 챔버의 폐쇄가 두 브루잉 챔버 부품의 수평 상대 운동을 수반하며, 브루잉 액체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유동하고, 캡슐 용기가 브루잉 챔버 아래에 형성된다.
공보 EP 1 721 553, EP 1 646 305, EP 1 495 702, WO 2008/004116 및 WO 2008/014830이 수평 브루잉 챔버를 갖춘 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 장치 모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인 캡슐을 위한 것이다. 캡슐은 캡슐의 주연부 칼라가 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홀딩 수단 - 예를 들어, 캡슐의 측부에 배치되는 선회 암 - 에 의해 유지되는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두 브루잉 챔버 부품은 이어서 캡슐을 브루잉 챔버 내로 밀어넣기 위해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그 결과, 캡슐이 중간 위치로부터 브루잉 위치로 밀리며, 이때 홀딩 수단과 칼라 사이의 연결이 또한 해제된다. 브루잉 작업 후, 브루잉 챔버가 개방되고, 캡슐 - 더 이상 홀딩 수단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 - 이 캡슐 용기 내로 떨어진다.
위의 문헌의 개념 중 일부가 상이하지만(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수평 변위 또는 경사 운동, 캡슐의 형상 등), 상기 문헌의 공통적인 특징은 캡슐의 주연부 칼라와 그것을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홀딩 수단이 중간 위치에서의 유지 및/또는 방출 위치로의 안내에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캡슐의 구성의 자유도가 적고; 또한, 브루잉 챔버와 홀딩 및 해제 메커니즘이 비교적 복잡하고 따라서 정교한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WO 2005/060801, WO 2007/016977 및 US 6 182 554는 캡슐이 캐비티를 갖춘 캡슐 홀더 내로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브루잉 모듈을 제시하며, 여기에서 캐비티의 형상과 체적은 캡슐과 정밀하게 조화된다.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캡슐 홀더가 선회되고, 폐쇄 부분이 캡슐 홀더와 캡슐에 가압되며, 이때 캡슐이 천공된다. 또한 이들 해법에서, 캡슐의 주연부 칼라와 그 컵 형상은 중심 기능을 갖는다. 칼라는 추출측으로부터 주입측의 밀봉에 필수적이고, 컵 형상은 상기 해법의 간단한 조작성의 전제 조건이다. WO 2010/043451은 또한 삽입된 후 칼라 상에서 안내되는 캡슐이 중간 위치에서 유지되는 브루잉 모듈을 제시한다.
WO 2010/118545는 제1 브루잉 모듈 부품과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선형으로 변위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을 구비하는 브루잉 모듈을 제시하며, 여기에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은 지지체 및 측방향 가이드를 갖춘 캡슐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캡슐은 측방향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캡슐이 지지체 상에 직접 놓이도록 브루잉 챔버가 폐쇄되기 전에 삽입되며, 여기에서 브루잉 챔버가 폐쇄된 후, 지지체와 그 측방향 가이드는 브루잉 챔버의 일부를 형성하며; 즉 삽입은 브루잉 챔버의 일부 내로 직접 수행된다. 이 해법은 특히 작은 변위 거리를 갖는 매우 콤팩트한 설계를 허용하고, 캡슐 형상이 사실상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으며, 캡슐의 주연부 칼라가 선택적이고 필수적이지 않은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높은 브루잉 압력으로 작동하는 브루잉 시스템의 경우에, 캡슐 내로 도입된 브루잉 액체가 캡슐을 지나 흐르지 못하도록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적합한 밀봉 시스템을 수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문헌 FR 2 723 524는 "포드(pod)"(내부에서 추출 재료가 투수성 필터 재료 내에 유지되는 그리고 천공될 필요가 없는 평평한 부분 패키지)에 의해 커피를 준비하기 위한 커피 머신을 제시한다. FR 2 723 524에 따르면, 삽입 후 그리고 브루잉 챔버의 폐쇄 전, 포드는 경사질 수 있는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포드가 지정된 직립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포드는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까지 측방향 칼라를 따라 계속 안내되어야 한다. WO 95 17121은 축방향으로 선형으로 변위가능한 지지 요소를 갖춘 유사한 해법 - 마찬가지로 포드에 대해 - 을 제시한다.
종래 기술을 출발점으로 간주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 내에 패키징된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또는 다른 추출 생성물의 1회분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 예를 들어 커피 머신을 위한 브루잉 모듈로서, 기존 브루잉 모듈의 단점을 극복하고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성과 캡슐 설계의 고도의 융통성을 허용하는 브루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브루잉 모듈은 특히 수평 설치와 바람직하게는 또한 10 바 위의, 예를 들어 최대 20 바의 높은 브루잉 압력에 적합하도록 의도된다.
제1 태양에 따르면, 브루잉 모듈은 제1 브루잉 모듈 부품과 그것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캡슐로부터 추출 생성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장치와 추출 액체를 캡슐 내로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한다. 폐쇄 위치[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이 예를 들어 "함께 결합되어(together)" 있음]에서, 브루잉 작업 중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가 폐쇄된다.
또한, 제1 태양에 따른 브루잉 모듈은 지지 요소를 구비한다. 지지 요소는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지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가 규정된 삽입 위치를 통해 삽입되어 있는 캡슐을 포획하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캡슐은 삽입된 후 지지 요소 상에 놓인다. 브루잉 챔버의 폐쇄에 의해, 지지 요소는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변위되며, 여기에서 캡슐은 동시에 제1 브루잉 모듈 부품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파지 요소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의 운동은 브루잉 챔버의 폐쇄 중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운동은 예를 들어 축방향에 대한 측방향으로의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 운동으로서 일어난다.
알려진 수평 브루잉 모듈에서, 캡슐은 삽입된 후, 가이드 슬롯 내에서 안내되는 캡슐의 주연부 칼라에 의해 중간 위치에서 유지된다. 첫째로, 캡슐의 중량은 여기에서 가이드 슬롯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단에 의해 유지된다. 둘째로, 가이드 슬롯은 또한 주연부 칼라가 캡슐의 무게 중심의 영역이 아니라 그 일단부에 놓이기 때문에(축방향의 대략 수평한 방향에 대해) 발생하는 토크를 흡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연부 칼라는 종래 기술에서 시일을 위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또한 캡슐이 삽입된 후에 그리고 브루잉 챔버가 폐쇄되기 전에 중간 위치에서 유지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알려진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체로 수평한 브루잉 모듈의 경우에, 캡슐은 브루잉 챔버의 개방 위치에서 삽입된 후 주연부 칼라 상에서 간단히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첫째로 지지 요소 상에 그리고 둘째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의 지지 부분 상에 놓인다. 지지 요소는 여기에서 실제 캡슐 몸체 아래에 놓이는 기부를 형성한다. 지지 요소는 -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의 지지 부분과 함께 - 캡슐의 무게 중심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며, 즉 브루잉 모듈의 개방 사태에서, 캡슐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가이드 수단이 토크를 흡수할 필요없이 전적으로 지지체 상에 놓인다(즉, 브루잉 모듈은 캡슐이 삽입된 후, 그것 상에 놓인 캡슐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를 흡수하는 가이드 수단, 예를 들어 가이드 홈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음). 브루잉 챔버가 폐쇄되기 전에, 캡슐은 캡슐이 경사지지 않도록 있을 수 있는 토크가 가이드 수단에 의해 흡수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삽입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서 지지 부분과 지지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체 상에 평형되어 놓인다. 이들 이유로, 캡슐은 또한 강성 주연부 칼라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브루잉 챔버의 개방 위치에서, 캡슐은 축방향에 대해 주연부 지점에서 지지 요소 상에 그리고 반대쪽에서 브루잉 모듈의 지지 부분 상에 놓일 수 있다. 지지 요소 상의 지지 무게 중심은 캡슐의 2개의 축방향 단부로부터 예를 들어 축방향 크기의 적어도 10%만큼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전체 지지체(즉, 브루잉 모듈 부품의 지지 부분과 지지 요소로 구성되는 지지체) 상의 지지 무게 중심은 예를 들어 대략 캡슐의 중심에 있고, 예를 들어 캡슐의 두 축방향 단부로부터 적어도 30%만큼 떨어져 있다.
빈 중간 공간이 선택적으로 지지 요소와 지지 부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지지 요소와 지지 부분이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 2개의 지지 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지지 요소는 캡슐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캡슐의 배향은 지지 요소와 지지 부분에 의해 완전히 규정된다.
이의 대안으로서, 지지 요소는 또한 캡슐의 폭의 일부만을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 요소는 각각 일측으로부터 캡슐의 영역 아래에 맞물리는 2개의 지지 요소 부품을 구비한다.
지지 요소 상에 놓이는 캡슐의 부분은 예를 들어 평탄한 설계를 가지며, 즉 캡슐 내부(추출 재료로 충전됨)와 캡슐 외부를 분리하는 캡슐 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지지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캡슐 벽이 캡슐 내부에 가압된다. 캡슐 벽이 캡슐 내부에 가압된다는 사실은 지지 요소의 위치에 지지 상대 요소가 없고 그 자체로 치수 안정적인 보강부가 없으며, 반면에 캡슐 벽이 지지 요소에 의해 캡슐 충전재에 사실상 가압됨을 의미한다.
특히, 지지 요소는 칼라 없는 캡슐, 예컨대 입방체 형상 또는 실린더형 또는 원추형 캡슐이 또한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린더형 또는 원추형 캡슐의 사용시 피할 수 없는 주연부 용접 시임은 예를 들어 지지 부분 상에 놓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용접 시임의 위치가 이어서 상응하게 맞추어진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브루잉 챔버의 폐쇄에 의해, 지지 요소가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지지 요소는 여기에서 특히 하향 운동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지지 부분을 형성하는 그리고 선회 운동 중, 지지 부분이 캡슐로부터 하향으로(또는 브루잉 챔버의 개방 중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보우(bow)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는 또한 특히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지지 요소 부품에 의해 다중-부품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측부를 향한 선회 운동 또는 예를 들어 비스듬히 하향으로의 병진 운동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다중-부품 지지 요소의 경우에, 예를 들어 2개의 지지 요소 부품이 상이한 방향으로, 예컨대 각각의 경우 일측을 향해 선회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비작동 위치를 향하는 운동이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은 기능적으로 유능한 캡슐 시일과 조합된 콤팩트한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 방향으로의 변위 운동과는 대조적으로, 브루잉 작업 중 천공된 캡슐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이 그것들이 캡슐로부터 토출된 브루잉 액체가 완전히 토출 장치 내로 들어가는(그리고 예를 들어 하향으로 떨어지지 않음) 효과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필요시, 브루잉 챔버 부품을 서로 밀봉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따라서 브루잉 챔버는 외부에 대해 밀폐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브루잉 챔버의 폐쇄에 의한 지지 요소의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구동 장치 없이 순전히 기계적으로 일어난다. 특히, 이러한 운동은 제1 브루잉 챔버 부품 그 자체에 대한 제2 브루잉 챔버 부품의 상대 운동에 의해 유발된다. 이때 지지 요소 운동의 상이한 운동 방향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의 제2 브루잉 챔버 부품의 운동을 제2 방향으로의 지지 요소의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편향 및/또는 안내 수단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편향 및/또는 안내 수단은 예를 들어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의 지지 요소의 장착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병진 운동 방향을 사전결정하는 안내 수단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특히 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브루잉 모듈 부품(예를 들어 제1 브루잉 모듈 부품, 특히 토출 장치)에 또는 제1 브루잉 모듈 부품, 예를 들어 모듈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다른 물체에 선회가능하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이 지지 요소를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의 작동 연결이 존재한다.
반대 - 즉, 지지 요소를 이동 브루잉 모듈 부품에 체결하는 것 - 도 또한 쉽게 고려될 수 있다.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지지 요소는 브루잉 챔버가 소정의 사전결정된 정도로 개방될 때 - 예를 들어 완전히 개방될 때 - 에만 다시 지지 위치로 이동된다. 특히, 이러한 사전결정된 정도는 예를 들어 지지 요소가 폐쇄 작업 중 지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때보다 지지 요소가 개방 작업 중 지지 위치로 이동할 때 브루잉 챔버가 더욱 개방되도록 선택된다(이력 거동(hysteresis behavior)).
일 실시 형태에서,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지지 요소는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동되고, 브루잉 모듈이 재개방될 때, 지지 요소가 초기에 비작동 위치에서 유지되고 캡슐이 캡슐 용기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래칭된다. 지지 요소는 브루잉 챔버의 개방에 의해, 예를 들어 단지 완전한 개방에 의해서만 해제된다.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가 폐쇄된 후 예컨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지지 요소를 비작동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리테이닝 요소(retaining element)가 있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요소는 브루잉 챔버의 완전한 개방에 의해서만 다시 지지 위치로 이동된다. 이는 예를 들어 지지 요소에 대한 래칭 연결 또는 다른 연결이 해제되고 지지 요소가 다시 지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테이닝 요소가 이동 브루잉 모듈 부품의 해제 부분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위된다는 사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리테이닝 요소와 이동 브루잉 모듈 부품 사이의 작동 연결은 직접 작동 연결(예를 들어, 리테이닝 요소에 충돌하는 해제 부분에 의한) 또는 별개의 해제 요소를 통한 간접 작동 연결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상기 지지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해 쌍안정(bistable)하도록 지지 요소를 장착하는 것에 있다.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지지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가 사점(dead center) 위치를 넘어 이동될 때까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가 정지부와 접촉할 때까지 스프링 힘으로 인해 더욱 이동된다. 브루잉 챔버가 재개방될 때, 지지 요소는 다시 사점을 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대응하는 리세팅(resetting) 메커니즘이 여기에서 캡슐이 방출되었거나 방출되어 하향으로 떨어질 수 있는 정도로 브루잉 모듈이 개방되는 경우에만 그것이 효과적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 요소의 역할을 하는 그리고 그 개방 중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작동되는 보우(bow)가 상기 보우가 개방 중 거리의 마지막 부분에 걸쳐서만 이동되도록(예를 들어 마지막 3분의 1에 걸쳐 최대로) 치수지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요소가 다시 지지 위치로 쉽게 튀어 돌아오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적합한 감쇠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편향 및/또는 안내 수단은 슬롯형성된 가이드 메커니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한 슬롯형성된 가이드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이동 (제2) 브루잉 모듈 부품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지지 요소는 다른 하나의 브루잉 모듈 부품에 선회가능하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슬롯형성된 가이드 메커니즘 내에 맞물리거나 그 반대인 피안내 요소(guided element)를 구비한다.
원하는 이력 거동은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갖춘 슬롯형성된 가이드 메커니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폐쇄 작업 중, 피안내 요소(예를 들어 가이드 핀)가 브루잉 챔버가 거의 폐쇄될 때까지 지지 요소가 지지 위치에서 유지되고, 지지 요소가 그때서야 비로소, 즉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에만 또는 브루잉 챔버가 완전히 페쇄되기 직전에만 비작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된다. 브루잉 챔버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피안내 요소는 이어서 브루잉 챔버가 거의 완전히 개방되고 캡슐이 방출될 때까지 지지 요소가 비작동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위치되는 제2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된다. 완전한 개방은 이어서 지지 요소가 다시 지지 위치로 후방으로 변위되게 한다.
지지 요소는 캡슐이 측방향(축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에 대해 원하는 정확도로 상기 가이드에 의해 위치되도록 캡슐 기하학적 구조와 조화되는 측방향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측방향 가이드는 양측에서 지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웨브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캡슐을 위한 상향으로 개방된 리셉터클을 갖춘 약간 원추형의 구성이 편리할 수 있다.
지지 요소가 멀어지게 이동할 때 캡슐을 지지하는 파지 요소는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포위 시일(embracing seal)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포위 시일은 특히 캡슐을 위치 설정 및 유지 방식으로 둘러싸는 밀봉 칼라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 칼라의 영역에서, 시일은 캡슐을 주연부 표면을 따라 둘러쌀 수 있고, 시일의 탄성은 캡슐이 시일에 의해 유지되도록 시일이 캡슐 벽에 가압될 수 있게 한다.
특히 가요성의, 탄성 변형가능한, 예컨대 고무-탄성 및/또는 탄성중합체 시일의 지지와 포위의 협동에 의해, 캡슐이 브루잉 작업을 위해 최적으로 중심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전체 삽입 작업 동안과 그 후에, 칼라에 작용하는 측방향 가이드에 의해 캡슐이 유지되고 위치되지 않아, 캡슐 위치의 소정의 잔여 부정확성이 틀림없이 예상될 때는 언제나 편리하다.
밀봉 기능을 위해, 하나 이상의 주연부 밀봉 립 또는 밀봉 비드가 밀봉 칼라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립 및/또는 밀봉 비드는 그것들/그것이 라인 또는 스트립의 방식으로 캡슐의 표면에 맞대어지고 캡슐 벽을 캡슐 내부에 가압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시일은 그 탄성으로 인해 캡슐 벽을 캡슐 내부에 가압시키는 복수의 주연부 밀봉 립 및/또는 밀봉 비드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작동 상태에서 캡슐과 연속하는 밀봉 립 또는 밀봉 비드 사이에 주연부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경우에 연속하는 밀봉 립 또는 밀봉 비드 사이에 함몰부가 배치된다. 또한 시일이 단부 표면 및 주연부 표면 둘 모두를 밀봉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연부 밀봉 립 또는 밀봉 비드 중 적어도 하나가 캡슐의 단부 표면에 가압될 수 있고, 주연부 밀봉 립 또는 밀봉 비드 중 적어도 하나가 주연부 표면에 가압될 수 있다.
캡슐 시일은 양측에, 즉 주입기 부분 상에 그리고 토출 장치 측에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측 시일보다 주입기측 밀봉 칼라가 더욱 확장되고 그리고/또는 주입기측 시일이 더욱 많은 밀봉 립을 구비하거나, 또는 추출측에 탄성중합체 시일이 전혀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들 실시 형태에서, 캡슐은 또한 추출측에서보다 주입기측에서 더욱 큰 마찰력으로 유지된다. 주입기가 이동가능 브루잉 모듈 부품을 형성하는 배열과 조합되어, 이는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캡슐이 우선 주입기와 함께 이동되는 이점을 갖는다. 주입기측 시일의 포위 작용으로부터의 해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취출(take-off)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캡슐 시일(들) 및/또는 선택적으로 후술되는 브루잉 챔버 시일은 일반적으로 가요성의, 탄성 변형가능한, 특히 고무-탄성 및/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될 것이다.
후술되는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브루잉 모듈의 경우에,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은 토출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주입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반대 경우도 또한 가능할 수 있으며, 즉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이 주입기를 형성하고,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이 토출 장치를 형성한다. 토출 장치 및 주입기 둘 모두가 동일한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하나의 브루잉 모듈 부품이 특히 캡슐에 압축력을 가하는 기능 및/또는 밀봉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 장치와 주입기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예를 들어 플레이트로부터 브루잉 챔버 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첨단부(piercing point)를 갖춘 토출 플레이트, 또는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로부터 브루잉 챔버 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기 첨단부를 갖춘 주입기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천공 첨단부는 예를 들어 예컨대 0.2 mm 내지 0.4 mm, 가령 0.25 mm 내지 0.35 mm의 두께를 갖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열성형된 플라스틱 캡슐 벽을 천공하기 위해 설계되며; 따라서, 그것들은 알루미늄 캡슐을 위한 천공 첨단부와 현저히 상이하다. 그러나, 열성형된 플라스틱과는 다른 캡슐 벽 재료를 위한 천공 장치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전과 같이, 캡슐의 주연부 칼라가 가능하지만, 상기 칼라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반면에, 캡슐 리셉터클이 캡슐의 형상에 따라 지지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임의로 구성될 수 있다.
주연부 칼라가 없는 캡슐 형상이 더욱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결과로서, 더욱 많은 자유도를 허용하는, 더 이상 주연부 칼라에 의해 이방성으로 강화되지 않는 캡슐 형상이 또한 적합하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루잉 챔버는 예를 들어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토출 또는 주입기 측으로 원추형으로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입방체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인 캡슐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다. 직육면체 형상 또는 입방체 형상은 여기에서 직육면체 또는 입방체의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형상으로부터 그것이 기능적으로 매우 상이할 정도로 벗어나지 않는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예를 들어, 그것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밑면 영역을 갖는 절두 피라미드의 형상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밑면 영역에 인접하는 측부 표면은 밑면 영역의 수직선에 대해 예를 들어 최대 2°,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1°의 단지 작은 경사각 α만큼 경사진다. 직육면체 또는 입방체 형상은 단부 표면의 평면에서 캡슐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그리고 캡슐을 가이드 슬롯 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주연부 칼라를 배제한다. 직육면체 형상 또는 입방체 형상 캡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최대 1.5 mm 또는 1 mm 이하만큼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리고 예를 들어 단부 표면 평면으로부터 편위되는, 제조 중 생성되는 주연부 경계(예를 들어 용접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루잉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축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 즉, 병진 운동 방식 또는 실질적으로 병진 운동 방식으로 - 이동가능할 수 있다. 브루잉 모듈 부품의 서로에 대한 선회 운동은 배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불필요하다. 특히,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선회되지 않으며, 즉 캡슐의 배향은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여러 실시 형태들에서, 브루잉 모듈은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캡슐이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 캡슐을 천공하기 위한 대략 천공 첨단부의 길이만큼의 축방향 변위를 제외하고는 -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브루잉 모듈은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캡슐이 경사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캡슐의 배향이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체와 예를 들어 전체 캡슐 리셉터클 또는 전체 브루잉 모듈이 수평선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지지체는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이는 커피 머신이 지시받은 대로 수평 기부 상에 배치되면 상기 틸팅 또는 경사가 존재하도록 커피 머신 내의 브루잉 모듈 부품의 체결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브루잉 모듈은 예를 들어 브루잉 모듈의 상기 경사가 존재하도록 브루잉 모듈 프레임에 연결되는 체결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루잉 모듈 하우징이 또한 상기 경사가 달성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주입기 및 토출 장치의 축의 수평선을 향한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또는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이다. 실질적으로 입방체 형상의 캡슐의 경우에, 이는 동시에 약 2° 내지 15° 또는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만큼의 수평선에 대한 캡슐의 수평 대칭축의 경사를 의미한다.
브루잉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캡슐을 완전히 둘러싸며, 즉 캡슐 리셉터클과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정확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서로 대응하는 그리고 폐쇄 위치에서 함께 브루잉 챔버를 형성하는 요소를 구비한다. 벽은 축방향(브루잉 액체의 안내 및/또는 브루잉 모듈 부품의 상대 운동의 운동 방향에 대해)으로 예를 들어 플레이트로부터 브루잉 챔버 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기 첨단부를 갖춘 주입기 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로부터 브루잉 챔버 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첨단부를 갖춘 토출 플레이트를 형성한다. 상벽, 하벽 및 측벽은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대응하는, 상호 인접하는 벽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벽 부품과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벽 부품은 예를 들어 주연부 형상화된 시일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시일은 예를 들어 브루잉 모듈 부품 중 하나에 체결되는 그리고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다른 하나의 브루잉 모듈 부품의 표면에 충돌하는 립 시일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밀봉된 브루잉 챔버는 캡슐이 삽입될 필요없이 추출 장치 또는 브루잉 모듈이 세척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이점이다. 그러나, 이것은 - 브루잉 챔버가 밀봉되거나 완전히 밀봉되지 않은 상태에서 - 세척 또는 세정 작업 중 세척 캡슐 또는 스페이서 캡슐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브루잉 챔버가 캡슐을 완전히 둘러싸고 브루잉 챔버 부품이 서로 밀봉되는 실시 형태가 2단 시일을 구비한다. 제1 밀봉 스테이지는 캡슐을 둘러싸는 그리고 도입된 추출 액체 또는 토출된 추출 생성물이 캡슐을 지나 유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캡슐 시일(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밀봉 스테이지는 캡슐을 주입기로부터 또는 토출 장치로부터 밀봉한다. 제2 밀봉 스테이지는 브루잉 모듈 부품을 서로로부터 밀봉한다. 그것은 첫째로 브루잉 작업 중 보충 밀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로, 그것은 언급된 바와 같이 세척 작업 중 밀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루잉 챔버의 밀봉과 조합되는, 주연부 시일에 의한 브루잉 챔버 내에서의 캡슐의 유지는 또한 캡슐의 주연부 칼라가 유지되는 실시 형태에 비해 추가의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 이는 상당한 제조 공차가 가능하기 때문이며, 즉 브루잉 모듈 부품의 서로에 대한 위치 설정의 정확도는 1 밀리미터의 10분의 1보다 더욱 정밀할 필요가 없으며; 반면에, 공차는 몇몇 상황 하에서 1 밀리미터의 10분의 몇일 수 있다. 주연부 시일 또는 주연부 시일들에 의한 캡슐의 유지는 여기에서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제1 태양에 따른 절차는 우선 매우 콤팩트한 구성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캡슐이 칼라 없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브루잉 챔버도 또한 칼라를 위한 임의의 대응하는 리셉터클과 홀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과 선택적으로 또한 그와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브루잉 모듈은 이동가능 캡슐 취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홀딩 수단 - 예를 들어, 파지 요소, 특히 주연부 밀봉 칼라를 갖춘 캡슐 시일 - 이 초기에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캡슐을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고, 브루잉 챔버가 추가로 개방될 때, 이어서 취출 수단이 자동으로 캡슐과 맞물리고, 캡슐이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추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캡슐 취출 수단은 예를 들어 측부로부터 캡슐을 향해 수평으로 반경 방향 내향으로 돌출되는 그리고 이동가능 브루잉 모듈 부품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외향으로 접힐 수 있는 부품(윙)으로서 설계된다. 이동가능 브루잉 모듈 부품으로부터 멀어지게 접히는 것은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이동가능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그리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브루잉 작업 후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 이 상태에서, 브루잉 과정 중 내부로부터 캡슐에 작용하는 높은 압력 및 온도로 인해 캡슐은 흔히 브루잉 과정 전보다 반경 방향으로 약간 더 큰 크기를 가짐 - 상기 취출 요소는 캡슐에 재밍/클램핑되거나 캡슐의 보강부 또는 칼라에 충돌하고, 캡슐이 이동가능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취출 요소에 의한 캡슐의 저지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식으로 유발될 수 있다.
- 마찰: 취출 요소가 캡슐에 맞대어지게 하는 힘이 취출 요소의 내부 에지에 대한 캡슐의 변위에 대한 마찰 저항을 유발한다.
- 클램핑: 취출 요소와 캡슐은 캡슐이 취출 요소가 완전히 접히지 못하게 방지하도록 치수지어진다. 또한, 마찰로 인해, 취출 요소의 내부 에지는 캡슐의 추가의 후퇴 중 캡슐 내부로 가압되어, 캡슐의 추가의 후퇴에 대항하는 클램핑을 유발한다.
- 캡슐의 보강부 등과의 접촉. 캡슐은 예를 들어 국소 보강부 또는 약간 돌출되는 특징부를 형성하는 주연부 용접 시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공지된 유형의 주연부 칼라가 또한 그러한 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취출 요소의 위치 설정은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상기 취출 요소가 상기 보강부의 주입측에서 캡슐에 맞대어지도록 그리고 보강부가 취출 요소를 지나 끌어당겨질 수 없도록 이루어진다.
각각의 경우에 이들 가능성 중 2가지 또는 3가지 모두의 조합과 또한 다른 변형 및 그것과의 조합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마찰이 어떤 경우에도 클램핑 접근법에 포함됨).
제1 태양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유리한 특징이 - 예를 들어 캡슐을 둘러싸는 시일 및/또는 브루잉 챔버 시일과 함께 - 또한 제2 태양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실시 형태에서 실현될 수 있다.
제2 태양에 따른 취출 수단의 대안으로서, 브루잉 모듈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브루잉 챔버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그러한 방출기는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대략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여기에서 캡슐은 브루잉 모듈이 개방될 때 현수되어 유지된다. 주입측 캡슐 시일이 캡슐을 둘러싸는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기는 브루잉 챔버가 개방/폐쇄될 때 주입기에 대해 이동되며, 구체적으로는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상기 방출기가 캡슐을 주입기로부터, 즉 선택적으로 또한 캡슐을 둘러싸는 시일로부터 방출시키도록 주입기에 대해 이동된다.
방출기는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대응하는 브루잉 모듈 부품(예컨대 주입기) 내에 장착될 수 있고, 피스톤의 방식으로, 브루잉 과정 후 캡슐을 방출시킬 수 있다.
대응하는 브루잉 모듈 부품이 개방/폐쇄 중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는 브루잉 모듈 부품이면, 방출기는 그것이 개방 또는 폐쇄 운동에 관여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흔히 방출기가 다른 하나의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대응하는 브루잉 모듈 부품의 감소된 거리 만큼의 상대 운동에 관여하면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방출기가 예를 들어 보다 짧은 거리만큼 작동 레버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동 브루잉 모듈을 위한 대응하는 커넥팅 로드보다 작동 레버의 선회축에 더욱 근접하게 체결되는 방출기를 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에 의해 작동 레버에 의한 작동의 경우에 유발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태양에 따른 전술된 브루잉 모듈 중 하나를 갖춘 추출 장치, 특히 커피 머신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캡슐을 사용하여 브루잉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는 예를 들어 전술된 유형의 추출 장치와 브루잉 모듈에 의해 수행되고,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추출 재료를 갖춘 1회분 캡슐을 브루잉 모듈의 개방 챔버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예를 들어 상기 1회분 캡슐이 지지 위치에 있는 지지 요소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도록 위치 설정 삽입 개구에 의해 - ;
-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운동에 의해, 지지 요소가 지지 요소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이동되고, 캡슐이 적어도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주입기의 천공 첨단부에 의해 천공되며, 그 결과 도입 개구가 캡슐 내에 생성되도록, 브루잉 챔버를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에 의해 폐쇄하는 단계;
- 도입 개구를 통해 캡슐 내로 추출 액체(예를 들어 펌프와 역류 방지 밸브를 사용하여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
-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된 토출 장치의 천공 첨단부에 의해 생성된 토출 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추출 액체를 토출시키는 단계;
- 토출에 이어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에 의해 브루잉 챔버를 개방하되, 캡슐이 개방된 브루잉 챔버 밖으로 하향으로 떨어질 때까지 개방하는 단계; 및
- 지지 요소의 다시 지지 위치로의 이동이 유발될 때까지 브루잉 챔버의 개방을 지속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의하면, 캡슐 내에 패키징된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또는 다른 추출 생성물의 1회분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 예를 들어 커피 머신을 위한 브루잉 모듈로서, 기존 브루잉 모듈의 단점을 극복하고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성과 캡슐 설계의 고도의 융통성을 허용하는 브루잉 모듈이 제공된다. 이러한 브루잉 모듈은 특히 수평 설치와 바람직하게는 또한 10 바 위의, 예를 들어 최대 20 바의 높은 브루잉 압력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도면에서, 동일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은 도면마다 크기가 상이한 부분적으로 상호 대응하는 요소를 도시한다.
도 1은 캡슐 삽입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폐쇄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개방 위치에서, 절단된 형태로 도시된, 브루잉 모듈의 일부분의 단면도(즉, 절단된 물체의 도면)를 도시한다.
도 4는 캡슐이 삽입된 개방된 브루잉 모듈의 세부 사항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의 도 4에 따른 캡슐을 갖춘 브루잉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시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브루잉 모듈이 폐쇄 상태에 있는, 시일의 제2 대안적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폐쇄 상태의 브루잉 모듈의 부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개방 상태의 대안적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개방 상태에서 그리고 폐쇄 중에, 캡슐이 삽입된 도 10에 따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브루잉 챔버의 페쇄와 후속 개방 중에 다양한 상태의 도 10에 따른 실시 형태의 상이한 측으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0의 실시 형태의 요소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문헌에 기술되고 규정된 유형의 수평 브루잉 모듈을 갖춘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2는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캡슐과 함께, 브루잉 모듈의 제3 실시 형태의 도면(하우징 부품이 제거됨)과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하우징의 부품이 없는 제3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평면 A-A를 따라 절단된 브루잉 모듈의 부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 내지 도 27은 폐쇄 작업 동안 상이한 위치에서 도 21로부터의 예시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위치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폐쇄 상태의 그 제3 실시 형태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도 31은 폐쇄 상태의 상기 브루잉 모듈의 요소의 또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2는 개방 중에 그 제3 실시 형태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도 33은 도 32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개방 상태의 브루잉 모듈의 제4 실시 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7은 폐쇄 상태의 이러한 실시 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8 및 도 39는 각각 브루잉 챔버의 폐쇄 동안 그리고 개방 동안, 제4 실시 형태의, 브루잉 챔버 위의 수평면을 따라 절단된, 브루잉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캡슐 삽입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폐쇄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개방 위치에서, 절단된 형태로 도시된, 브루잉 모듈의 일부분의 단면도(즉, 절단된 물체의 도면)를 도시한다.
도 4는 캡슐이 삽입된 개방된 브루잉 모듈의 세부 사항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의 도 4에 따른 캡슐을 갖춘 브루잉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시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브루잉 모듈이 폐쇄 상태에 있는, 시일의 제2 대안적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폐쇄 상태의 브루잉 모듈의 부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개방 상태의 대안적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개방 상태에서 그리고 폐쇄 중에, 캡슐이 삽입된 도 10에 따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브루잉 챔버의 페쇄와 후속 개방 중에 다양한 상태의 도 10에 따른 실시 형태의 상이한 측으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0의 실시 형태의 요소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문헌에 기술되고 규정된 유형의 수평 브루잉 모듈을 갖춘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2는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캡슐과 함께, 브루잉 모듈의 제3 실시 형태의 도면(하우징 부품이 제거됨)과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하우징의 부품이 없는 제3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평면 A-A를 따라 절단된 브루잉 모듈의 부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 내지 도 27은 폐쇄 작업 동안 상이한 위치에서 도 21로부터의 예시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위치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폐쇄 상태의 그 제3 실시 형태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도 31은 폐쇄 상태의 상기 브루잉 모듈의 요소의 또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2는 개방 중에 그 제3 실시 형태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도 33은 도 32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개방 상태의 브루잉 모듈의 제4 실시 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7은 폐쇄 상태의 이러한 실시 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8 및 도 39는 각각 브루잉 챔버의 폐쇄 동안 그리고 개방 동안, 제4 실시 형태의, 브루잉 챔버 위의 수평면을 따라 절단된, 브루잉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브루잉 모듈은 외측 하우징(1) 내에서 안내되는 토출 장치(3) 및 주입기(4)를 구비한다. 토출 장치(3) 및 주입기(4)는 작동 레버(5)의 선회에 의해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다. 이를 위해, 작동 레버는 외측 하우징(1) 상에 존재하거나 그것에 의해 유지되는 회전 핀(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주입기(4)는 토출 장치가 외측 하우징(1)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 레버(5)의 선회 운동에 의해 상기 토출 장치(3)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변위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1)은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2개의 반쪽 쉘(1.1, 1.2)로 구성될 수 있다. 반쪽 쉘(1.1, 1.2)은 그것들이 하우징 내에 장착된 부품 - 예를 들어 토출 장치 또는 활주가능하게 장착된 주입기 - 을 위치 설정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내부에서 형상화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따라서 몇몇 상황 하에서, 물론 두 반쪽 쉘을 서로 체결하는 스크류(또는 유사한 것)를 제외하고, 심지어 별개의 체결 수단(스크류 등) 없이 장착될 수 있다.
작동 상태에서, 브루잉 모듈은 브루잉 모듈에 더하여, 물 탱크, 물 가열 장치(예를 들어 연속 물 가열기) 및 브루잉 물을 주입기(4)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는 커피 머신의 수평 브루잉 모듈의 역할을 한다. 주입기의 대응하는 공급 채널(18)과 가능하게는 역류 방지 밸브 등이 공지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것들은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어서 여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주입기는 관련 공급 개구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천공 첨단부(12)를 구비하며, 따라서 캡슐은 천공되고 공급 개구를 통해 추출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커피 머신은 또한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 아래에 배치되는 그리고 캡슐이 작동 레버의 상승에 의해 브루잉 작업 후 그것 내로 자동으로 방출되는 캡슐 용기를 구비한다.
토출 장치(3)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 첨단부(11)와 관련 토출 개구(19)를 구비한다. 게다가, 구성에 따라, 또한 토출 장치의 출구(8)로부터 나오는 커피(또는 그밖에 유사한 것)를 그것이 지정된 위치에 놓인 컵 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출구 라인이 있다. 출구(8)로 이어지는 채널도 또한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주입기(4)는 4개의 부품, 즉 온수를 전달하기 위한 공급 채널을 갖춘 제1 주입기 부품(41)으로서의 주입기 지지체, 제1 주입기 플레이트 상에 유지되고 주입기측 청공 첨단부(12)를 구비하는 주입기 플레이트 홀더, 캡슐 시일(43), 및 캡슐 시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입기측 브루잉 챔버 하우징 부품(44)으로부터 구성된다. 토출 장치는 또한 여기에서 다중-부품 구성을 가지며, 이때 토출 장치 하우징(31)이 브루잉된 음료를 위한 토출 채널(19) 또는 토출 채널들(19)을 구비하고, 추출측 천공 첨단부(11), 추출측 캡슐 시일(33) 및 추출측 브루잉 챔버 하우징 부품(34)을 구비한다. 주입측 브루잉 챔버 하우징 부품(44) 및/또는 추출측 브루잉 챔버 하우징 부품(34)은 또한 - 예를 들어 홈(45) 내에서 안내되는 - 브루잉 챔버의 폐쇄 상태에서, 각각의 경우에 다른 브루잉 모듈 부품에 맞대어져 외부로부터 브루잉 챔버를 밀봉하는 브루잉 챔버 시일(81)을 구비할 수 있다. 주입기 및/또는 토출 장치의 다중-부품 구성은 제조 면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능의 전제 조건은 아니다.
각각의 천공 첨단부(11, 12)는 실제의 각각의 브루잉 모듈 부품(31, 41)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도 19 내지 도 24에 관하여 WO 2010/118544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별개의 천공 부품(플레이트) 상에 존재하거나 적합한 방식으로 달리 설계될 수 있다. 체결의 유형 외에도, 천공 첨단부와 상기 천공 첨단부가 체결되는 요소도 또한 WO 2010/118544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입방체 1회분 캡슐(1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7)를 도 1 및 도 3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삽입 개구는 외측 하우징(1) 내에 형성되고, 토출 장치(3)의 영역에 위치되며, 토출 장치와 같이, 작동 레버의 운동 중 정지되어 유지된다. 삽입 개구는 하향으로 테이퍼지는 방식으로 약간 원추형일 수 있어, 삽입 중, 너무 큰 캡슐 재밍(jamming) 위험 없이 캡슐에 중심 설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브루잉 모듈은 축방향 - 주입기와 토출 장치를 연결하는 축으로서, 브루잉 챔버가 개방되고 폐쇄될 때 가동 브루잉 모듈 부품(즉, 여기에서는 주입기)이 그것을 따라 이동되는 축 - 이 수평선에 대해 약간, 예를 들어 대략 5°만큼 경사지도록, 구체적으로는 가동 브루잉 모듈 부품(즉, 여기에서는 주입기)이 위치 고정된 브루잉 모듈 부품(즉, 여기에서는 토출 장치)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브루잉 모듈 부품이 약간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도 6은 또한 주입기 및 토출 장치(14)의 축과 또한 수평선(16)을 향한 각도(15)를 도시하며; 주입기 및 토출 장치의 축은 또한 캡슐의 대칭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그것에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루잉 모듈은 또한 지지 요소(21)를 구비한다. 토출 장치(3)의 지지 돌출부(36)와 함께, 상기 토출 장치는 삽입 개구(7)를 통해 삽입된 캡슐을 위한 지지체를 형성한다.
캡슐 취출 요소(51), 그 기능 및 작동 방식이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고,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다.
도 4는 캡슐(10)이 삽입된 개방 상태의 브루잉 모듈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캡슐이 추출측 천공 첨단부(11) 바로 앞에 놓이도록, 즉 그것과 이미 접촉하였거나 그것으로부터 많아야 첨단부의 높이만큼의 거리에 있도록 삽입 개구(7)와 토출 장치(3)가 서로에 대해 위치되는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추출측 캡슐 시일(33)과 주입기측 캡슐 시일(43)을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특히 쉽게 볼 수 있다. 주입기측 캡슐 시일(43)은 밀봉 칼라 상에 형성되는 그리고 캡슐을 밀봉 방식으로 둘러싸는 복수의 연속적인 밀봉 리브(48)를 구비한다. 대체로, 캡슐 시일(33, 43)은 본 명세서에 명백히 참조되는 PCT/CH2010/000249의 교시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주입기(4)의 접근은 캡슐(10)의 시일(43)의 주연부 칼라가 가볍게 닿도록 하고, 상기 칼라는 주연부 캡슐 벽의 주입기측 부품을 둘러싼다. 이어서, 천공 요소의 첨단부[천공 첨단부(11, 12)]가 주입기측 및/또는 추출측 캡슐 벽을 천공하기 시작한다.
도 6은 브루잉 모듈의 폐쇄 상태의 브루잉 챔버를 도시한다. 토출 장치 및 주입기의 브루잉 챔버 하우징 부품(34, 44)은 정확한 끼워맞춤 방식으로 함께 끼워맞추어진다. 폐쇄 상태에서, 토출 장치 및 주입기의 주연부 캡슐-포위 브루잉 챔버 하우징 부품(34, 44)은 서로 인접하여 브루잉 챔버를 폐쇄한다. 그것들은 폐쇄된 브루잉 챔버의 측벽을 형성한다(여기에 예시된 캡슐 형태로). 이를 위해, 또한 접촉 표면상에 브루잉 챔버 시일이 있을 수 있다(단부측에서). 이에 의해 2단 밀봉이 달성된다. 브루잉 챔버 시일은 여기에서 주입기 또는 토출 장치에 체결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다른 하나의 부품의 대응하는 밀봉 표면에 가압될 수 있다. 시일이 주입기에 고정되면 흔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주입기가 개방 상태에서 후퇴 위치에 있어 더욱 양호하게 보호되기 때문이다.
도 7 및 도 8은 그러한 밀봉 원리의 2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따른 브루잉 챔버 시일(81)은 다른 하나의 브루잉 챔버 부품의 대응하는 홈(35) 내에 맞물리는 축방향 돌출 립(82)을 구비한다. 게다가, 그것은 또한 다른 하나의 브루잉 챔버 부품의 대응하는 표면에 가압되는 쇼울더(83)를 형성한다. 후방측 체결 부분(84)이 시일을 대응하는 브루잉 챔버 부품 내에 고정시킨다. 도 8에 따른 브루잉 챔버 시일은 전방측에서, 다른 하나의 브루잉 챔버 부품의 공통의 넓은 홈 내에 맞물리는 2개의 밀봉 립(82)을 갖는 "정사각형 링(square ring)" 원리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또한 단일 밀봉 립을 갖춘 또는 밀봉 비드를 갖춘 다른 밀봉 원리도 또한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밀봉 립 또는 밀봉 비드는 예를 들어 O 링 - 또는 상응하게 복수의 밀봉 립/밀봉 비드를 갖춘 - 의 형태로 표면에 가압된다.
도 9는 외측 하우징(1)의 2개의 반쪽 쉘 중 하나가 예시되지 않는 다른 도면(절단되지 않음)을 도시한다. 도 9에서, 브루잉 챔버는 폐쇄된다. 캡슐 취출 요소(51)는 접근하는 주입기에 의해 양측에서 외향으로 접혀졌고, 지지 요소(21)는 비작동 위치로 하향으로 변위되었다. 하우징 상에 고정된 축(6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로드로서 설계되는 리테이닝 요소(retaining element)(61)가 그 추출측 단부에서 지지 요소(21)와 맞물려 있다.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리테이닝 요소(61)의 추출측 단부가 유지 요소의 선회 운동에 의해 지지 요소의 대응하는 부분 상에 클립 고정되었다. 브루잉 챔버가 작동 레버(5)의 선회에 의해 개방될 때, 주입기가 토출 장치로부터 멀어지게(도 9의 좌측에서 후방으로) 병진 운동 방식으로 변위된다. 주입기의 전방 에지가 캡슐 취출 요소(51) 뒤로 변위되지마자, 캡슐 취출 요소는 캡슐을 향해 내향으로 접혀지고, 그것을 추가로 후퇴하지 못하도록 클램핑한다. 리테이닝 요소(61)는 동시에 지지 요소가 그것을 유지시키는 스프링(들)의 작용으로 인해 다시 지지 위치로 선회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캡슐은 브루잉 챔버가 충분히 멀리 개방되지마자 캡슐 용기 내로 하향으로 떨어질 수 있다. 브루잉 챔버가 작동 레버의 운동에 의해 사실상 정지부까지 완전히 개방될 때에만, 지지 요소가 다시 지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는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리테이닝 요소(61)의 램프(ramp)(63)에 가압되어 리테이닝 요소를 외향으로 선회시키는 주입기의, 이를 위해 제공되는 (해제) 부분에 의해 일어난다. 지지 요소에 대한 스냅 연결부가 해제되고, 지지 요소는 스프링 힘으로 인해 다시 지지 위치로 상향으로 선회한다.
작동 레버(5)의 선회 운동을 주입기(4)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2개의 커넥팅 로드(9)를 도 9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다음의 도면에 관하여, 개별 부품의 기능이 브루잉 모듈의 제2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2 실시 형태는 첫째로 외측 하우징의 상이한 구성(여기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지 않음)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둘째로, 주입기와 지지 요소 사이의 작동 연결의 메커니즘이 또한 상이하게 해제된다. 셋째로, 개별 요소, 특히 지지 요소의 형상이 또한 위에서 논의된 실시 형태에서와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들 차이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를 해제시키는 메커니즘의 구성은, 물론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논의되는 기능상 요구되는 특징부를 제외하고는, 개별 부품의 형상과 구성에 의존하지 않는다.
도 10은 끝을 자른 대안적인 브루잉 모듈을 캡슐이 없는 도면으로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선택적인 평탄한 측방향 가이드 부분(22)을 구비하는 지지 요소(21)와 하나의 취출 요소(51)를 명확히 볼 수 있다. 지지 요소(21)와 취출 요소(51)는 관련 스트링의 작용으로 인해 도 10에 예시된 위치/배향에 있다. 도 11은 마찬가지로 절단된 형태로 예시되는 그리고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있는 캡슐(10)을 갖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브루잉 챔버는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 폐쇄된다. 이를 위해,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이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변위되고 -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작동 레버의 작동에 의해 - ; 주입기(4)는 여기에서 토출 장치(3)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2는 상기 운동 중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도 13은 다음의 도면과 마찬가지로, 외측 하우징의 부품이 생략된, 다른 측(도 13에 따른 배향에 비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대략 180°만큼 회전됨)으로부터의 브루잉 모듈의 도면을 도시한다(절단된 형태로 예시되지 않음). 이전과 같이, 취출 요소(51)는 비-선회된 시작 위치에 있다. 브루잉 챔버는 도 14에서 거의 폐쇄되고, 도 15에서 완전히 폐쇄된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취출 요소(51)는 접근하는 주입기에 의해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추출측을 향해 그리고 외향으로 선회된다. 선회축 위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선택적 부분이 여기에서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이를 위한 다른 해법, 예를 들어 선회축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나선형 스프링, 리프 스프링(leaf spring), 내부에 고정되는 헬리컬 스프링(helical spring) 등의 사용이 있다.
어떻게 지지 요소가 또한 주입기의 접근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하향으로 그리고 추출측을 향해 선회되었는지를 도 15에서 또한 볼 수 있다. 리테이닝 요소(61)는 여기에서 리테이닝 요소 회전 핀(65)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그리고 지지 요소(21)가 그 비작동 위치로 선회될 때 지지 요소(21)의 상응하게 형상화된 수용 요홈(24) 내에 래칭되는 리텐션 부분(retention portion)(64)을 구비하는 플레이트이다. 상응하게 사전인장된 스프링이 리테이닝 요소를 이러한 배향으로 선회시킨다.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우선, 도 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가 리테이닝 요소(61)에 래칭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지지 요소(21)가 리테이닝 요소(61)에 의해 비작동 위치에서 유지된다. 주입기가 멀어지게 이동함으로써, 취출 요소(51)가 스프링 힘으로 인해 다시 내향으로 접힐 수 있고, 그 내부 에지가 캡슐(10)에 맞대어질 수 있다. 주입기의 추가의 멀어지는 이동 중, 취출 요소(51)는 주입기가 더 이상 캡슐을 위한 적절한 지지체를 구성하지 않을 때 바로 상기 캡슐이 캡슐 용기 내로 하향으로 떨어지도록 캡슐을 저지한다(도 16).
취출 요소의 리테이닝 작용은 도 16에 예시된 변형에서, 캡슐의 주연부 용접 시임(WO 2010/118543에 기재된 분리 용접 방법으로 생성되는 바와 같은)과의 접촉과 마찰력의 조합에 기초한다. 도 1 내지 도 6과 도 9의 실시 형태에서, 취출 요소는 캡슐과 접촉할 때, 상기 취출 요소가 완전히 내향으로 접히지 않고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유지되도록 치수지어진다. 따라서, 가능하게는 보강부(용접 시임; 칼라)와의 접촉과 조합되어 클램핑이 (또한) 일어난다. 취출 요소와 주연부 용접 시임(10.1)의 접촉을 도 17에서 어느 정도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18은 브루잉 챔버가 완전히 개방된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캡슐은 캡슐 용기 내로 하향으로 떨어졌으며, 더 이상 볼 수 없다. 도 11 내지 도 19의 실시 형태에서, 다시 지지 위치로의 지지 요소(21)의 운동은 다음과 같이 해제된다. 해제 부분의 역할을 하고 주입기에 고정되거나 그것 상에 형성되는 해제 핀(66)이 해제 요소(68)의 긴 요홈(긴 구멍)(69) 내에서 안내된다. 해제 요소(68)는 하나의 추출측 단부에서 리테이닝 요소(61)에 연결된다. 브루잉 챔버가 완전히 개방될 때, 해제 핀은 긴 구멍(69)의 주입기측 단부에 충돌하고, 해제 요소가 리테이닝 요소(61)를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경사시켜 지지 요소와의 래칭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해제 요소를 어느 정도 끌어당긴다. 지지 요소는 다시 지지 위치로 선회한다.
도 19는 또한 개방된 브루잉 챔버를 갖춘 브루잉 모듈의 요소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지지 요소(21), 취출 요소(51) 및 토출 장치(3)의 상대적 위치 설정을 특히 쉽게 볼 수 있다.
추출 장치, 특히 브루잉 모듈을 갖춘 커피 머신은 도 20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브루잉 모듈에 더하여, 물 탱크(71), 브루잉 물을 주입기(4)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72) 및 물 가열 장치(73)(예를 들어, 순간 물 가열기)를 구비한다. 브루잉 과정 후 그것 내로 캡슐(10)이 떨어지거나 수송되는 캡슐 용기(75)가 브루잉 모듈 아래에 배치된다.
가열된 물은 가요성 물 라인 섹션(관)을 통해 그리고 공급 채널을 통해 주입기(4)에 공급된다. 커피 머신은 또한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 아래에 배치되는 캡슐 용기(75)를 구비하며, 브루잉 작업 후 이러한 캡슐 용기 내로 캡슐이 작동 레버(5)의 상승에 의해 자동으로 방출된다.
브루잉 모듈의 다른 실시 형태 - 예를 들어 도 20에 따른 커피 머신을 위한 - 가 도 21 내지 도 23에 예시된다. 아래의 설명은 특히 도 1 내지 도 9의 실시 형태와의 차이에 관한 것이다. 제3 실시 형태가 처음의 두 실시 형태와 상이한 이들 특징은 그 이점이 유리한 방식으로 서로 보완하지만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기술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조합되어 또는 임의의 부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브루잉 모듈 리세팅(resetting) 스프링(91)[또는 주입기(4)의 양측에 장착된 각각의 리세팅 스프링]이 브루잉 챔버의 폐쇄에 의해 인장된다. 그 결과, 상기 리세팅 스프링은 재개방 중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리세팅 힘을 가한다. 브루잉 모듈 리세팅 스프링(91)은 전체적으로 도 21에 예시되지만, 스프링의 두 단부만이 다음의 도면에 예시된다.
브루잉 모듈은 추출측 탄성중합체 캡슐 시일을 구비하지 않는다. 반면에, 브루잉 과정 중 캡슐 내부가 가압되고, 캡슐 벽이 연화되며, 그 결과 상기 캡슐 벽이 토출 장치의 대응하는 표면에 평탄한 방식으로 가압된다는 사실에 의해 추출측에 밀봉이 존재한다. 캡슐로부터 토출되는 브루잉된 음료는 추출 장치로부터 출구로 유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캡슐로부터 나온 브루잉된 음료와 대기압 사이에 압력 차이가 없다(적어도 어떤 실질적인 압력 차이도 없음). 즉, 토출된 브루잉 액체는 더 이상 가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캡슐 벽과 토출 장치의 대응하는 표면의 평탄한 접촉이 캡슐의 내부 압력으로 인해 적절한 밀봉 효과에 충분하다.
브루잉 모듈은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어떤 취출 수단도 구비하지 않는다. 반면에, 캡슐은 브루잉 과정 후 방출된다. 이는 피스톤의 방식으로 주입기(4)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출기(101)에 의해 일어나며, 이러한 방출기의 단부는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그것들이 캡슐을 방출시키도록 주입기(4)에 대해 브루잉 챔버 내부로 밀어 넣어진다. 작동을 위한 메커니즘이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지지 요소(21)는 양측에서 지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측방향 가이드(120)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가이드는 약간 피라미드형의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캡슐을 위한 리셉터클이 약간 원추형으로 하향으로 테이퍼져, 삽입 중 캡슐을 측방향에 대해 중심 설정한다(특히 도 24 참조).
지지 요소(21)는 지지 위치와 비작동 위치에서 -각각의 경우에 정지부와 접촉하여 - 스프링(121)에 의해 유지되며, 여기에서 스프링은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의 운동에 의해 사점(dead center) 위로 그리고 그것을 넘어 이동된다. 그 결과, 별개의 리테이닝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스프링은 여기에서 지지 요소 위에서 토출 장치(3)의 하우징과 토출 장치[체결 핀(122, 123)]에 체결되는 그리고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지지 요소 상의 체결점이 체결 위치를 넘어 토출 장치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사점의 초과) 배치되는 인장 스프링이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도 3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이때, 해제 요소(68)는 본 경우에서와 같이, 브루잉 모듈이 개방될 때 이동하는 브루잉 모듈 부품의 동반-운반(carry-along) 부분(66)(핀)에 의해 동반 운반되는 그리고 지지 요소(21)를 사점을 넘어 후퇴시키는 단순 보우(bow)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장치의 지지 돌출부(36)는 주입측의 방향으로 브루잉 챔버 시일(81)을 넘어(또는 브루잉 챔버 시일이 주입측에 장착되는 경우, 브루잉 챔버 시일이 접촉하는 표면 위로) 돌출된다. 이는 시일이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위의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경사면을 따라 연장될 필요가 없어, 어느 것도 캡슐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브루잉 챔버 시일은 여기에서 탄성중합체 표면 시일로서 설계된다.
브루잉 모듈은 기존의 제조 공차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또한 탄성중합체 표면 시일이 사용될 때, 브루잉 챔버의 정확한 폐쇄를 허용하는 미세 조절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회전 핀(6)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 방식으로 형성 및/또는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편심이거나 타원형인 것을 제공한다. 조절 플레이트(111)(예를 들어 도 23 참조)의 회전에 의해, 조절 플레이트는 작동 레버(5)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작동 레버와의 회전을 위해 복수의 조절 구멍(112) 중 하나를 통해 핀에 의해 상기 작동 레버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동일한 원리가 또한 하우징에 대한 회전 핀(6)의 배향에 적용될 수 있음]. 브루잉 모듈의 최종 조립 중, 브루잉 챔버가 폐쇄되고, 브루잉 챔버 시일(81)이 상대 표면과 완전히 접촉하는 상태에서 조절 플레이트(111)가 고정된다. 회전 핀은 여기에서 적어도 샤프트가 작동 레버와 맞물리는 영역에서 또는 샤프트가 하우징 상에 고정된 부품과 상호작용하는 모든 곳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지 않은 상기 샤프트이다.
회전 대칭이지 않은 회전 핀에 의한 그리고/또는 회전 대칭이지 않은 회전 핀 마운팅에 의한 미세 조절 메커니즘의 마지막에 언급된 원리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태양의 개념과 독립적으로 제1 특허청구범위의 전제부에 따른 브루잉 모듈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캡슐이 삽입될 때 개방 상태의 브루잉 모듈 또는 그 부품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출기(101)는 주입측 시일(43)에 의해 형성되는 그리고 폐쇄 상태에서 브루잉 챔버를 형성할 공간 내로 돌출된다. 삽입되고 있는 캡슐은 측방향 가이드에 의해 중심 설정되고 위치된다.
도 22에서 특히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5)의 선회 운동을 주입기(4)의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커넥팅 로드(9)에 더하여, 또한 방출기 커넥팅 로드(103)가 있다. 방출기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9)의 체결점보다 선회축[선회 핀(6)에 의해 규정됨]에 더욱 근접하게 위치되는 점에서 작동 레버(5)에 체결된다. 그 결과, 작동 레버의 선회 운동 중, 방출기(101)는 마찬가지로 방출기의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되 더욱 느리게 이동되어 궁극적으로 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동된다.
도 25 내지 도 27은 폐쇄 작업의 연속 단계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주입기의 램프형 작동 표면(46)이 어떻게 지지 요소(21)를 지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는지를 볼 수 있다. 리테이닝 요소(68)는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며, 필요시 동시에 동반 운반된다(도 27, 도 29).
이러한 배열의 기하학적 구조는 폐쇄 상태에서, 방출기(101)가 브루잉 챔버 밖으로 완전히 후퇴되도록 선택된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방출기의 전면(특히 도 22 참조)은 어느 정도 확대된 직경을 갖는 헤드 부분(105)을 구비하며, 상기 방출기의 후면 상에, 방출기가 주입기(4)에 대해 후퇴된 방출기의 상태에서, 주입기의 내부에 배치된 쇼울더에 가압되어 시일을 제공하는 주연부 시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있을 수 있다.
도 28에서,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캡슐이 어떻게 적어도 주입측에서 천공 첨단부(12)에 의해 천공되는지를 볼 수 있다.
폐쇄 상태(도 30 및 도 31)에서, 지지 요소는 브루잉 작업이 일어날 수 있는 동안 전술된 메커니즘으로 인해 스프링(121)에 의해 비작동 위치에서 유지된다.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도 32 및 도 33), 방출기(101)가 주입기보다 짧은 거리만큼 후퇴되어 주입기에 대해 브루잉 챔버 내로 변위됨으로써 캡슐이 우선 캡슐을 둘러싸는 주입측 캡슐 시일(43)로부터 방출된다. 브루잉 모듈이 완전히 개방되기 전에 캡슐이 주입측 캡슐(43)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어 하향으로 떨어지도록 방출기가 치수지어지고 방출기 커넥팅 로드(103)가 배치된다. 단지 개방 운동의 종료시에만, 주입기의 동반-운반 핀(66)이 해제 요소(보우)(68)를 동반 운반할 것이며, 이때 스프링(121)이 상기 지지 요소를 다시 지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회전 댐퍼(125)는 다시 지지 위치로의 즉각적인 튀어 돌아옴을 방지하며, 그 결과 브루잉 모듈의 매우 급속한 개방의 경우에도, 지지 요소는 캡슐이 하향으로 떨어지기 전에는 다시 지지 위치에 있을 수 없다.
도 34 내지 도 39는 지지 요소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브루잉 모듈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작동 레버와 방출/배출 메커니즘 없이 예시됨). 그것은 제1 지지 요소 부품(21.1)과 제2 지지 요소 부품(21.2)을 구비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캡슐이 삽입될 수 있거나 삽입되는, 브루잉 챔버의 개방 상태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도 35에서 그리고 특히 옆으로 기울어진 브루잉 모듈을 예시하는 도 36에 따른 도면에서, 어떻게 지지 요소 부품(21.1, 21.2)이 캡슐의 측부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캡슐 아래에 맞물리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보우로서 설계되는지를 볼 수 있다.
도 37은 2개의 지지 요소 부품이 외향으로 선회됨으로써 지지 요소가 그 비작동 위치에 있는, 브루잉 챔버의 폐쇄 상태의 브루잉 모듈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캡슐의 측부에서 연장되고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보우에 더하여, 지지 요소 부품은 또한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한 선회 레버 부분을 구비한다. 도 38 및 도 39에서 특히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회 레버 부분은 하우징 상에 고정된 선회 핀(141)에 의해 하우징(1)에 선회가능하게 체결된다.
지지 요소 부품(21.1, 21.2)의 운동은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주입기(4)의]의 슬롯형성된 가이드 내의 가이드 핀(142)의 안내에 의해 유발된다. 두 지지 요소 부품 각각에 대해, 슬롯형성된 가이드는 여기에서 각각의 경우에 거울-역상(mirror-inverted) 배열로 존재한다. 슬롯형성된 가이드는 외측 가이드 홈(144)과 내측 가이드 홈(146)을 포함한다.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도 38, 도면의 좌측으로의 주입기(4)의 변위에 의해], 가이드 핀(142)이 외측 가이드 홈(144) 내에서 안내되며, 이에 의해 대응하는 지지 요소 부품(21.1, 21.2)이 지지 위치에서 유지된다. 폐쇄 운동의 종료 무렵에, 주입기가 지지 요소 부품에 충돌할 것이며, 이때 가이드 핀이 동시에 슬롯형성된 가이드의 제1 정지부(145)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롯형성된 가이드의 프로파일은 가이드 핀(142)이 이 점에서 내향으로 벗어나도록 허용하며, 그 결과 지지 요소 부품(21.1, 21.2)이 외향으로 선회된다.
브루잉 챔버가 재개방될 때[도 39, 주입기(4)는 다시 우측으로 변위됨], 가이드 핀은 가이드 핀이 제2 정지부(149)와 접촉할 때까지 내측 가이드 홈(146) 내에 남아 있을 것이다. 주입기(4)의 추가의 후퇴에 의해, 가이드 핀은 "후방으로"(즉, 주입기측을 향해) 동반 운반되어, 지지 요소 부품(21.1, 21.2)이 내향으로 선회되게 함과 동시에 가이드 핀(142)이 외향으로 활주되게 한다. 브루잉 모듈은 다시 캡슐 삽입 준비가 되며, 재차 폐쇄시, 가이드 핀은 도 38에 따라 외측 가이드 홈(144) 내에서 다시 안내된다.
도 34 내지 도 39의 실시 형태는 동시에 또한 지지 요소가 스프링 없이 이동될 수 있는 브루잉 모듈의 일례이다.
측부를 향한 지지 요소 부품의 선회가능성에 의해, 이 실시 형태는 또한 브루잉 모듈이 개방될 때 발생하는 간섭 마찰력 없이 캡슐의 비교적 견고한 측방향 안내를 허용한다.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기술된 지지 요소 및 대응하는 작동 메커니즘의 특징과 취출 요소 및 대응하는 메커니즘의 특징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되고 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요소들 사이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 실시 형태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지지 요소와 취출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은 지지 요소가 가능하게는 바람직하게는 취출 요소가 캡슐과 접촉할 때 비작동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 존재한다.
Claims (25)
- 캡슐 내에 패키징된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또는 다른 추출 생성물의 1회분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 예를 들어 커피 머신을 위한 브루잉 모듈로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3)과 그것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캡슐로부터 추출 생성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장치와 캡슐 내로 추출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하며, 브루잉 작업 중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가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에 의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캡슐 벽을 천공함으로써 캡슐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 첨단부를 구비하는, 브루잉 모듈에 있어서,
브루잉 챔버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지지 위치에서 캡슐을 위한 기부를 형성하는 지지 요소(21)가 브루잉 챔버의 폐쇄에 의해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의 지지 요소의 운동은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어나며, 브루잉 모듈은 규정된 삽입 위치를 통한 삽입 후, 캡슐이 지지 요소(21)와 제1 브루잉 모듈 부품(3)의 지지 부분(36) 상에 놓이도록 설계되고, 상기 지지 요소(21)와 지지 부분(36)은 캡슐의 무게 중심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를 위한 브루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지지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의 운동 중 하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은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캡슐을 둘러싸는 파지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파지 요소는 주연부 밀봉 칼라를 갖춘 고무-탄성 및/또는 탄성중합체 캡슐 시일(4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1)는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상기 지지 요소가 브루잉 챔버가 사전결정된 정도로 개방될 때에만 다시 지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브루잉 모듈 부품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정도는 지지 요소가 폐쇄 작업 중 지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때보다 지지 요소가 개방 작업 중 지지 위치로 이동할 때 브루잉 챔버가 더욱 개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1)는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지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가능하고, 상기 지지 요소(21)는 비작동 위치로의 운동 중 스프링 힘의 사점을 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 지지 요소(21)는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비작동 위치로 이동되고 래칭 연결에 의해 그곳에서 유지되며, 래칭 연결은 브루잉 챔버의 개방에 의해 해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래칭 연결은 지지 요소(21)와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리테이닝 요소(61) 사이에 있고, 상기 래칭 연결은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해제 부분(66)에 의해 해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캡슐(10)과 자동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취출 수단(51)이 브루잉 챔버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캡슐이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이동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9항에 있어서,
캡슐 취출 수단은 측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으로 돌출되는 그리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동가능 브루잉 모듈 부품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외향으로 접힐 수 있는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 또는 제1 브루잉 모듈 부품 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기(101)가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제2 또는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브루잉 챔버 내부의 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작동 레버(5)에 의해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변위가능하고, 방출기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 내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며, 방출기(101)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9)보다 작동 레버의 회전축에 더욱 근접한 점에서 작동 레버에 연결되는 방출기 커넥팅 로드(10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과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캡슐을 완전히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상호 인접하는 브루잉 챔버 벽 부품 사이에 브루잉 챔버 시일(81)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지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측방향 가이드(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루잉 챔버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작동 레버(5)가 적어도 영역들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지 않은 회전 핀(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 레버에 대한 또는 브루잉 모듈 하우징에 대한 회전 핀(6)의 상대 배향은 조절 목적을 위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지지 요소 부품(21.1, 2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16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 부품(21.1, 21.2) 또는 두 지지 요소 부품은 각각의 경우에 반대 방향으로 측부를 향해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17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 부품(21.1, 21.2) 각각은 캡슐의 측부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측부로부터 캡슐 아래에 맞물리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보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의 피안내 요소(142)를 안내하기 위한 슬롯형성된 가이드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19항에 있어서,
슬롯형성된 가이드 메커니즘은 제1 가이드 홈(144)과 제1 가이드 홈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홈(146)을 구비하며, 지지 요소는 피안내 요소(142)가 제1 가이드 홈(144) 내에서 안내될 때 지지 위치에 있고, 피안내 요소(142)가 제2 가이드 홈(146) 내에서 안내될 때 비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모듈은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이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피안내 요소가 제1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되고,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되는 동안 제2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 캡슐 내에 패키징된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또는 다른 추출 생성물의 1회분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 예를 들어 커피 머신으로서,
액체 탱크, 액체 펌프, 액체 가열 장치 및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루잉 모듈을 포함하고, 액체 펌프에 의해 전달되고 액체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는 브루잉 모듈의 주입기에 의해 캡슐 내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 브루잉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추출 재료를 갖춘 1회분 캡슐을 상기 1회분 캡슐이 지지 위치에 있는 지지 요소(21) 상에 그리고 동시에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의 지지 부분(36)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도록 브루잉 모듈의 개방 챔버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운동에 의해, 지지 요소가 지지 요소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이동되고, 캡슐이 적어도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주입기의 천공 첨단부(12)에 의해 천공되며, 그 결과 도입 개구가 캡슐 내에 생성되도록, 브루잉 챔버를 제1 브루잉 모듈 부품(3)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의 운동에 의해 폐쇄하는 단계;
- 도입 개구를 통해 캡슐 내로 추출 액체를 도입하는 단계;
-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 장치(3)에 속하는 천공 첨단부(11)에 의해 생성되는 토출 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추출 액체를 토출시키는 단계;
- 토출에 이어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운동에 의해 브루잉 챔버를 개방하되, 캡슐이 개방된 브루잉 챔버 밖으로 하향으로 떨어질 때까지 개방하는 단계; 및
- 지지 요소(21)의 다시 지지 위치로의 이동이 유발될 때까지 브루잉 챔버의 개방을 지속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브루잉 챔버를 개방하는 단계 동안, 우선 캡슐이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홀딩 수단(43)에 의해 유지되고 그것과 함께 이동되며,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취출 요소(51)가 캡슐과 맞물리고, 상기 취출 수단은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캡슐의 추가 운동을 방지하여 캡슐을 홀딩 수단으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 캡슐 내에 패키징된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또는 다른 추출 생성물의 1회분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장치, 예를 들어 커피 머신을 위한 브루잉 모듈로서, 제1 브루잉 모듈 부품(3)과 그것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4)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은 캡슐로부터 추출 생성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장치와 캡슐 내로 추출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하며, 브루잉 작업 중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가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을 제1 브루잉 모듈 부품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브루잉 모듈에 있어서,
제2 브루잉 모듈 부품의 홀딩 수단(43)이 캡슐을 폐쇄된 브루잉 챔버 내에 유지시키고, 홀딩 수단은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상기 홀딩 수단이 우선 캡슐을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며, 브루잉 챔버의 추가 개방 중 캡슐(10)과 자동으로 맞물리는 취출 수단(51)이 제2 브루잉 모듈 부품과 함께 캡슐의 추가 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를 위한 브루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2405010.5 | 2012-01-25 | ||
EP12405010 | 2012-01-25 | ||
PCT/CH2013/000014 WO2013110206A1 (de) | 2012-01-25 | 2013-01-25 | Brühmodu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6945A true KR20140116945A (ko) | 2014-10-06 |
KR102115045B1 KR102115045B1 (ko) | 2020-05-26 |
Family
ID=4763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3273A KR102115045B1 (ko) | 2012-01-25 | 2013-01-25 | 브루잉 모듈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1) | US9492028B2 (ko) |
EP (1) | EP2806773B1 (ko) |
JP (1) | JP6086929B2 (ko) |
KR (1) | KR102115045B1 (ko) |
CN (1) | CN104168804B (ko) |
BR (1) | BR112014017900B1 (ko) |
CA (1) | CA2866728C (ko) |
DK (1) | DK2806773T3 (ko) |
ES (1) | ES2608721T3 (ko) |
HU (1) | HUE031109T2 (ko) |
PL (1) | PL2806773T3 (ko) |
PT (1) | PT2806773T (ko) |
RU (1) | RU2623953C2 (ko) |
WO (1) | WO20131102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50980A1 (de) | 2013-09-20 | 2015-03-25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Perforationsvorrichtung für Extraktionsgerät zum Herstellen von Brühprodukten |
EP2856917A1 (de) * | 2013-10-01 | 2015-04-08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Brühmodul |
ITRM20130593A1 (it) * | 2013-10-25 | 2015-04-26 | Io Come Ides Ltd | Macchina per erogazione di bevande |
EP2889225A1 (de) * | 2013-12-24 | 2015-07-01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Portionenkapsel zum Zubereiten eines Brüherzeugnisses |
US9307860B2 (en) | 2014-02-14 | 2016-04-12 | Remington Designs, Llc | Processor control of solute extraction system |
EP3028608A1 (de) * | 2014-12-01 | 2016-06-08 | Qbo Coffee GmbH | Brühmodul, kapselerkennungs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BR112018003224A2 (pt) * | 2015-09-18 | 2018-09-25 | Nestec Sa | remoção de uma cápsula de um suporte de cápsula |
US11745906B2 (en) * | 2015-11-23 | 2023-09-05 | Cupper Llc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cartridge |
US12121176B2 (en) * | 2015-11-23 | 2024-10-22 | Cupper Llc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cartridge |
EP3175749A1 (de) * | 2015-12-01 | 2017-06-07 | Qbo Coffee GmbH |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
EP3175747A1 (de) * | 2015-12-03 | 2017-06-07 | Qbo Coffee GmbH |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US20180352995A1 (en) * | 2015-12-22 | 2018-12-13 | Koninklijke Philips N.V. | Brewing unit for a beverage producing machine and machine containing the brewing unit |
PT109303B (pt) * | 2016-04-07 | 2021-02-15 |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 Dispositivo de extração com suporte de cápsula móvel |
IT201600126287A1 (it) * | 2016-12-14 | 2018-06-14 | Caffitaly System Spa |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tramite infusione di una sostanza alimentare con acqua |
EP3338601A1 (de) * | 2016-12-22 | 2018-06-27 | Qbo Coffee GmbH | Brüh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EP3338600A1 (de) * | 2016-12-22 | 2018-06-27 | Qbo Coffee GmbH | Brüh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WO2018200186A1 (en) * | 2017-04-28 | 2018-11-01 | Contessa Christopher | Automated smoothie machine using smoothie packets |
DE102018105213A1 (de) * | 2018-03-07 | 2019-09-12 |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rühgetränks |
IT201800005819A1 (it) * | 2018-05-29 | 2019-11-29 |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uso | |
KR20190010520A (ko) | 2018-12-12 | 2019-01-30 | 이찬호 | 음료 추출 시스템 |
CN109588987B (zh) * | 2018-12-25 | 2023-11-28 | 深圳市西啡科技有限公司 | 饮料制备装置及饮料制备设备 |
CN112021941B (zh) * | 2019-06-04 | 2022-04-15 |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 酿造装置和饮品机 |
WO2023036484A1 (de) | 2021-09-10 | 2023-03-16 | Eugster / Frismag Ag | Brüheinheit mit optimierter haltestruktu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brüheinhei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06799A (ja) * | 1993-12-20 | 1997-07-08 | コンパーニ メデイテラネアン デ カフエ ソシエテ アノニム | 温かい飲物を入れる準備をするための自動式機械 |
KR20060039431A (ko) * | 2003-07-10 | 2006-05-08 | 네스텍소시에테아노님 | 캡슐 추출 장치 |
KR20100017847A (ko) * | 2007-05-18 | 2010-02-16 |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 음료 준비 기계 |
WO2010118543A1 (de) * | 2009-04-15 | 2010-10-21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Kapsel für ein extraktionsgut,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einrichtung zum brühen von kaffee |
WO2011147491A1 (de) * | 2010-05-28 | 2011-12-01 | Eugster / Frismag Ag Electrohaushaltgeräte |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
CN103298380A (zh) * | 2010-10-08 | 2013-09-11 | 流纳科技系统Lts有限公司 | 萃取设备和密封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23524B1 (fr) * | 1994-08-10 | 1996-10-04 | Mediterraneenne Cafes |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pour la preparation d'infusions de boissons chaudes |
US6079315A (en) | 1999-01-19 | 2000-06-27 | Keurig, Inc. |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
GB2397505B (en) * | 2003-01-24 | 2006-01-04 | Kraft Foods R & D Inc |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
US7165488B2 (en) | 2003-12-12 | 2007-01-23 | Keurig, Incorporated | Brew chamber for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
ITMI20050854A1 (it) | 2005-05-12 | 2006-11-13 |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WO2007016977A1 (de) | 2005-08-05 | 2007-02-15 | Delica Ag | 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s in einer kapsel enthaltenen extraktionsgutes mit einem flüssigen extraktionsmittel |
ITLE20060009A1 (it) * | 2006-03-10 | 2006-06-09 | Giovanni Spinelli | Invenzione nel campo delle macchine da caffe' a fap/capsule |
PL2033551T3 (pl) * | 2006-05-24 | 2011-06-30 | Nestec Sa | Moduł do przebijania kapsułki |
ES2322091T5 (es) * | 2006-05-24 | 2015-09-11 | Nestec S.A. | Dispositivo de infusión y sistema de infusión de cápsulas con un soporte de cápsula para facilitar la introducción y extracción de las cápsulas |
ITMI20061307A1 (it) * | 2006-07-06 | 2008-01-07 |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ITFI20060194A1 (it) | 2006-08-04 | 2008-02-05 | Saeco Ipr Ltd |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
US20090199518A1 (en) * | 2006-08-25 | 2009-08-13 | Louis Deuber | Means for penetrating a portion packaging containing an extraction product, device for extracting the extraction product contained in the portion packag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eans |
EP1944248B1 (de) * | 2007-01-15 | 2017-12-13 | Swiss Caffe Asia Ltd. | Kapsel, Mittel zum Penetrieren des Bodens einer Kapsel und Vorrichtung für die Zubereitung eines Getränks |
ITFI20070028A1 (it) * | 2007-02-07 | 2008-08-08 | Saeco Ipr Ltd |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con un dispositivo di centraggio delle capsule. |
GB2449422B (en) * | 2007-05-18 | 2009-09-16 | Kraft Foods R & D Inc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
CN100544647C (zh) * | 2007-06-15 | 2009-09-30 |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 咖啡机中咖啡包的自动脱落机构 |
AU2008306060C1 (en) * | 2007-10-04 | 2015-08-27 |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 Beverage brewing unit |
DE602007005954D1 (de) * | 2007-12-18 | 2010-05-27 | Nestec Sa | Gerät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m verstellbarem Verschlussmechanismus |
ES2615452T3 (es) * | 2008-03-14 | 2017-06-07 | Mocoffee Ag | Aparato y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
ATE516731T1 (de) * | 2008-03-28 | 2011-08-15 | Delica Ag | Vorrichtung und anordnung zum zubereiten eines flüssigen lebens- oder genussmittels sowie portionsverpackung |
EP2177136A1 (de) | 2008-10-17 | 2010-04-21 | Delica AG | Vorrichtung und Anordnung zum Zubereiten eines flüssigen Lebens- oder Genussmittels |
IT1391885B1 (it) * | 2008-11-03 | 2012-01-27 | Hausbrandt Trieste 1892 Spa | Dispositivo perforatore per capsule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nglobante tale dispositivo. |
EP2395885B1 (fr) * | 2009-02-11 | 2018-05-02 | Ethical Coffee Company SA | Dispositif pour la préparation d'une boisson extraite à partir d'une capsule |
IT1393007B1 (it) * | 2009-03-12 | 2012-04-11 | Emmebielle S R L |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mediante infusione di bevande mediante capsule |
US10004352B2 (en) | 2009-04-15 | 2018-06-26 | Qbo Coffee Gmbh | Device for discharging an extraction product out of a portion packaging; puncturing device and extraction apparatus |
EP2418987B1 (de) | 2009-04-15 | 2017-03-22 | Qbo Coffee GmbH | Brühmodul |
ES2449302T3 (es) * | 2009-10-05 | 2014-03-19 | Nestec S.A. | Dispositivo ergonómico de extracción de cartucho |
IT1396016B1 (it) * | 2009-10-15 | 2012-11-09 | Swiss Caffe Asia Ltd |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capsule da infusi e simili,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da caffe' espresso e simili. |
DK2506745T3 (da) * | 2009-12-01 | 2013-12-16 | Nestec Sa | Patron-ekstraktionsindretning |
CN101744537A (zh) * | 2009-12-18 | 2010-06-23 | 广东亿龙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胶囊萃取设备 |
PL2368466T3 (pl) * | 2010-03-24 | 2014-06-30 | Delica Ag | Urządzenie do przyrządzania napoju |
EP2384996A1 (de) * | 2010-05-04 | 2011-11-09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Kapsel für ein Extraktionsgut,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Einrichtung zum Brühen von Kaffee |
DE102011011204A1 (de) * | 2010-05-28 | 2011-12-01 | Eugster/Frismag Ag |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rühvorrichtung |
CN201755135U (zh) * | 2010-07-28 | 2011-03-09 | 沈高明 | 咖啡机冲泡器结构 |
CN102151089B (zh) * | 2011-01-30 | 2013-04-17 |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 冲泡咖啡胶囊的咖啡机 |
CN102188161B (zh) * | 2011-01-31 | 2013-01-16 |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 一种手动胶囊咖啡机 |
IT1403684B1 (it) * | 2011-02-07 | 2013-10-31 | Emmebielle S R L |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mediante infusione. |
CN102178456B (zh) * | 2011-03-30 | 2013-03-06 |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 一种手动胶囊咖啡机 |
CN102309255B (zh) * | 2011-09-14 | 2014-02-12 |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饮料淬取机构 |
-
2013
- 2013-01-25 BR BR112014017900-0A patent/BR112014017900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25 DK DK13702321.4T patent/DK2806773T3/da active
- 2013-01-25 CA CA2866728A patent/CA286672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1-25 WO PCT/CH2013/000014 patent/WO201311020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1-25 US US14/373,702 patent/US9492028B2/en active Active
- 2013-01-25 ES ES13702321.4T patent/ES2608721T3/es active Active
- 2013-01-25 PL PL13702321T patent/PL2806773T3/pl unknown
- 2013-01-25 RU RU2014133873A patent/RU2623953C2/ru active
- 2013-01-25 KR KR1020147023273A patent/KR1021150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25 JP JP2014553592A patent/JP6086929B2/ja active Active
- 2013-01-25 EP EP13702321.4A patent/EP2806773B1/de active Active
- 2013-01-25 HU HUE13702321A patent/HUE031109T2/en unknown
- 2013-01-25 PT PT137023214T patent/PT2806773T/pt unknown
- 2013-01-25 CN CN201380015487.4A patent/CN10416880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06799A (ja) * | 1993-12-20 | 1997-07-08 | コンパーニ メデイテラネアン デ カフエ ソシエテ アノニム | 温かい飲物を入れる準備をするための自動式機械 |
KR20060039431A (ko) * | 2003-07-10 | 2006-05-08 | 네스텍소시에테아노님 | 캡슐 추출 장치 |
KR20100017847A (ko) * | 2007-05-18 | 2010-02-16 |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 음료 준비 기계 |
WO2010118543A1 (de) * | 2009-04-15 | 2010-10-21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Kapsel für ein extraktionsgut,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einrichtung zum brühen von kaffee |
WO2011147491A1 (de) * | 2010-05-28 | 2011-12-01 | Eugster / Frismag Ag Electrohaushaltgeräte |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
CN103298380A (zh) * | 2010-10-08 | 2013-09-11 | 流纳科技系统Lts有限公司 | 萃取设备和密封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014133873A (ru) | 2016-03-20 |
PL2806773T3 (pl) | 2017-02-28 |
EP2806773B1 (de) | 2016-09-21 |
PT2806773T (pt) | 2016-12-29 |
CN104168804A (zh) | 2014-11-26 |
HUE031109T2 (en) | 2017-06-28 |
JP2015504745A (ja) | 2015-02-16 |
RU2623953C2 (ru) | 2017-06-29 |
CN104168804B (zh) | 2017-10-03 |
BR112014017900A8 (pt) | 2017-07-11 |
JP6086929B2 (ja) | 2017-03-01 |
US9492028B2 (en) | 2016-11-15 |
BR112014017900A2 (pt) | 2017-06-20 |
DK2806773T3 (da) | 2017-01-02 |
US20140348994A1 (en) | 2014-11-27 |
WO2013110206A1 (de) | 2013-08-01 |
BR112014017900B1 (pt) | 2021-08-10 |
KR102115045B1 (ko) | 2020-05-26 |
CA2866728C (en) | 2020-04-28 |
CA2866728A1 (en) | 2013-08-01 |
ES2608721T3 (es) | 2017-04-12 |
EP2806773A1 (de) | 2014-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16945A (ko) | 브루잉 모듈 | |
RU2444271C2 (ru) | Зава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з одноразовых капсул с устройством центрирования капсулы | |
KR102303337B1 (ko) | 브루잉 모듈 | |
JP5796852B2 (ja) | 抽出装置および封止システム | |
JP6080849B2 (ja) | 抽出システムのカートリッジチャンバ | |
US9144341B2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 |
JP5850922B2 (ja) | 分量カプセルを抽出するための煎出装置、煎出装置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煎出装置の使用 | |
JP6223339B2 (ja) | カートリッジ位置合わせシステム | |
EP2747608B2 (en) |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 |
JP2014524318A (ja) | カートリッジ除去システム | |
EP3190935B1 (en) | A dispensing assembly for machines for preparing liquid products by means of capsu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