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37B1 - 브루잉 모듈 - Google Patents

브루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37B1
KR102303337B1 KR1020167011572A KR20167011572A KR102303337B1 KR 102303337 B1 KR102303337 B1 KR 102303337B1 KR 1020167011572 A KR1020167011572 A KR 1020167011572A KR 20167011572 A KR20167011572 A KR 20167011572A KR 102303337 B1 KR102303337 B1 KR 10230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rewing
track
brewing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392A (ko
Inventor
안드레스 루빈
도미닉 츠비커
루이스 도이버
Original Assignee
큐보 커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보 커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큐보 커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6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Abstract

추출기용 브루잉 모듈은 제1 브루잉 모듈부(3)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제2 브루잉 모듈부(5)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는 브루잉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추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캡슐로부터 추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와 추출액을 상기 캡슐에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는 캡슐 칼라부에 대해 제1 트랙(33)과 제2 트랙(36)을 한정하는 측방 안내 수단(31)을 구비한 헤드부(30)를 갖고 있다. 제1 브루잉 모듈부(3)는 또한 캡슐 칼라부가 제1 트랙에 위치될 때 아래쪽 방향으로 캡슐(10)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안착부(35)를 형성한다. 측방 안내 수단(31)은 헤드부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브루잉 챔버 개방시 제2 브루잉 모듈부는 캡슐 칼라부(21)에 맞물리고 상기 캡슐 칼라부를 제2 트랙(36)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수 수단(61)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브루잉 모듈{BREWING MODULE}
본 발명은 캡슐 안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 재료, 예를 들면 굵게 간 커피로부터 음료 등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추출기용 브루잉 모듈과 이러한 브루잉 모듈을 구비한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회분 포장 안에 들어있는 추출 재료로부터 음료 등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기는 커피 머신 또는 에스프레소 머신으로서 알려져 있다. 상응하는 많은 시스템에서, 일회분 포장은 추출 재료가 예를 들면 기밀 방식으로 밀봉되어 있는 캡슐로서 구성되어 있다. 추출을 위해 상기 캡슐은 예를 들면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측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추출액, 일반적으로 고온의 물이 제1 측면에 도입된다. 추출물은 제2 측면에서 캡슐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배출은 소위 브루잉 모듈에서 일어난다. 상기 브루잉 모듈은 캡슐이 수납되어 있는 브루잉 챔버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작동 레버에 의해 캡슐을 삽입하고 브루잉 챔버를 밀폐하는 브루잉 모듈이 특히 대중화되어 있고, 상기 브루잉 모듈에서 캡슐은 브루잉 챔버가 다시 개방될 때 브루잉 과정 후에 자동으로 브루잉 챔버로부터 제거되어 캡슐 용기로 토출된다. 자동으로 캡슐을 토출하는 이러한 브루잉 모듈은 일반적으로 수평형 브루잉 모듈로서 구성되는데, 즉 캡슐의 삽입은 위로부터 이루어지고 브루잉 챔버의 밀폐는 2개의 브루잉 챔버부의 수평 상대이동이며 브루잉 액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유동하고 캡슐 용기는 브루잉 챔버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브루잉 모듈에서는 브루잉 챔버가 밀폐될 때까지 삽입 캡슐이 고정되어 있지만 브루잉 챔버가 브루잉 과정 후에 다시 개방될 때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WO 2008/014830은 측면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칼라부(collar)를 가진 실질적으로 비커 모양의 캡슐에 대해 달성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브루잉 모듈은 브루잉 모듈부에 측방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 아암에는 제1 및 제2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칼라부는 삽입시 제1 안내홈에 의해 양측에 안내되되 제1 안내홈은 아래쪽을 향한 경계부를 포함하고 삽입된 캡슐이 상기 경계부에 의해 정지된다. 상기 고정 아암은 브루잉 챔버의 밀폐시 측면에 피벗 이동하여 캡슐 칼라부에 대한 이들의 연결이 완전히 해제된다. 상기 캡슐은 타측 브루잉 모듈부의 비커형 형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상기 고정 아암은 브루잉 챔버가 다시 개방될 때 안쪽으로 후방 피벗 이동하고 캡슐과 다시 맞물리게 되며 회수 러그가 캡슐 칼라부를 제2 안내홈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회수 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 제2 안내홈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어 브루잉 챔버가 완전히 개방되는 즉시 캡슐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해결방안은 상대적으로 돌출해 있는 측면 방향의 칼라부의 형성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실현하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EP 2 105 074는 마찬가지로 하나의 브루잉 모듈과 연결 및 연동하고 삽입시에는 캡슐 칼라부를 측방 안내하는 안내홈과 연결 및 연동하는 고정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안내홈은 아래쪽으로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고 타단에서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내 채널을 형성한다. 밀폐시 상기 칼라부는 다른 브루잉부의 고정 에지에 충격을 가하고 그 결과 굴곡 또는 주름지게 하여 안내홈으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고정턱의 언더컷은 브루잉 과정 후 브루잉 챔버 개방시 캡슐의 토출을 도와준다.
이 해결방안 역시 또한 축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어야 하는 상대적으로 돌출해 있는 측면 방향의 칼라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든 캡슐형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을 토대로 하는 것으로 캡슐 안에 포장되어 있는 추출 재료로부터 일회분의 음료 또는 기타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기, 예를 들면 커피 머신용 브루잉 모듈로서, 상기 기기가 기존의 브루잉 모듈의 단점을 극복하고 간단하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캡슐의 구성과 관련하여 유연성을 크게 하는 브루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브루잉 모듈은 특히 수평 설치와 바람직하게는 10 bar 이상 예를 들면 20 bar까지의 높은 브루잉 압력에 대해서도 적합하여야 하고 약 1 bar의 현저히 더 낮은 브루잉 압력 또한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루잉 모듈은 제1 브루잉 모듈부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제2 브루잉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는 캡슐로부터 추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와 추출액을 캡슐에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하는바-예를 들면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는 배출 장치이고 제2 브루잉 모듈부는 주입기이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브루잉 과정시 상기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가 밀폐 위치에서(예를 들면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가 "함께" 있는) 형성된다.
상기 제2 브루잉 모듈부는 브루잉 챔버의 개폐를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즉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병진이동 또는 실질적으로 병진이동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브루잉 모듈부들의 서로에 대한 피벗 이동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특히 구현예들에 있어서 캡슐은 브루잉 챔버 밀폐시 활발하게 회전 이동되지 않는다. 캡슐은 밀폐시 기울어지지 않는, 즉 캡슐의 배향은 브루잉 챔버 밀폐시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는 측방 (캡슐) 안내 수단을 구비한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방 (캡슐) 안내 수단은 헤드부에 체결 및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은 예를 들면 용접 접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캡슐 칼라부용 제1 트랙(경로)을 한정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1 트랙의 상부 영역에서 안내 수단은 제1 트랙으로부터 안쪽으로 칼라부의 이동을 방해하는 제1 저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는 또한 삽입 방향으로 트랙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캡슐 칼라부가 제1 트랙을 따라 안내될 때 캡슐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트랙은 예를 들면 제1 안내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제1 안내홈의 경계부-또는 일반적으로 제1 트랙-에 의해 바닥 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안쪽으로"와 "바깥쪽으로"는 일반적으로 각각 브루잉 챔버의 중앙을 향한 축 방향과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해당한다. 축 방향은 캡슐 축에 해당할 수도 있는 주입기-배출 장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에 따른 방향이다. 용어 "반경 방향 안쪽으로"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는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수평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상부로"와 "바닥으로"는 브루잉 모듈을 의도한대로 사용할 때 각각의 수직 방향으로 정의된다. 상기 브루잉 모듈을 구비한 커피 머신은 수평 표면에 위치된다.
상기 캡슐 칼라부는 종래의 돌출형 칼라부에 해당하는, 예를 들면 단부 표면 중 하나의 면에 돌출해 있는 환형의 칼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캡슐 칼라부는 다른 캡슐 칼라부 형상에 따라 덜 돌출해 있을 수도 있고 예를 들면 WO 2010/118543에 따른 캡슐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환형의 용접 에지/용접 비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루잉 모듈부는 브루잉 챔버 개방시(즉,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가 멀리 이동할 때) 칼라부에 맞물리는 회수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개방 이동에 의해 칼라부를 제2 트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은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견고하게, 즉 헤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헤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와 유지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은 예를 들면 전체 과정 중에 헤드부에 대해 측방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은 예를 들면 브루잉 과정 중에 캡슐과 접촉 상태에 있기도 한다. 상기 제1 트랙으로부터 위치 이동시 또한 경우에 따라 제1 트랙을 지나 제2 트랙으로 위치 이동시에 상기 캡슐은 예를 들면 반경 방향 변형으로 인해 다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면 형상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견고한 상기 칼라부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약간 준-압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은 스프링 힘에 반대 방향으로 (약간) 바깥쪽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의 방향 전환은 측방 안내 수단에 대해 캡슐을 위치 이동할 때 캡슐의 방향 전환을 대신하거나 보충하는 것일 수 있다.
보충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수 수단은 브루잉 과정 중에 캡슐과 맞물린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루잉 과정 중에 상기 캡슐 칼라부는 회수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 안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안에서 제2 트랙에 도달하기 까지 브루잉 챔버의 추후 개방 중에 연동되기도 한다.
상기 측방 안내 수단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회수 수단은 또한 측방 이동할 수 없고 고정적으로 제2 브루잉 모듈부의 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수 수단은 스프링 힘에 반대 방향으로 -측방 안내 수단의 가능한 방향 전환과 무관하게- 반경 방향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은 예를 들면 포크 모양으로 캡슐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캡슐 칼라부용 수용부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방 안내 수단 각각은 예를 들면 그 사이에서 회수 수단이 밀폐된 브루잉 챔버에 맞물려 있고/또는 위 아래에서 캡슐에 맞물려 있는 2개의 안내 수단부를 갖고 있다.
상기 캡슐을 완전히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를 구비한 구현예에서, 브루잉 챔버의 내부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면 밀봉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를 둘러싸는 부재에 의해 한정된다. 이 경우, 상기 측방 안내 수단 및/또는 회수 수단은 -경우에 따라 제공되는 캡슐 밀봉부와 똑같이- 브루잉 챔버 밀폐시 브루잉 챔버 내부에 위치된다.
이 방안은 예를 들면 브루잉 챔버 밀폐시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피벗 이동한다는 점에서 삽입 후 캡슐을 중간 위치에서 고정하는 수단을 제거하여야 하는 종래기술과는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이동하는 부재를 최소화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비용뿐 아니라 신뢰성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상기 캡슐 칼라부는 브루잉 챔버 밀폐시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제1 트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즉 제1 브루잉 모듈부의 헤드부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브루잉 위치에서 -캡슐 브루잉 과정 전에 이미 또는 브루잉 과정 중에 캡슐 안에 조성된 내부 압력으로 인해- 상기 캡슐은 제1 브루잉 모듈부의 천공 부재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캡슐은 칼라부가 제2 트랙에 도달하기까지 개방시 회수 수단에 의해 브루잉 위치로부터 밖으로 꺼내진다. 그곳으로부터 캡슐이 캡슐 용기 안으로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상기 브루잉 챔버에 대해 제2 트랙을 더 안쪽으로, 즉 제1 트랙보다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측면에 더 가까이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루잉 챔버의 개방 중에 상황에 따라 캡슐 칼라부는 브루잉 위치로부터 제1 트랙을 지나 제2 트랙으로 꺼내진다.
상기 배치구조와 달리, 상기 브루잉 챔버에 대해 제2 트랙을 더 바깥쪽으로, 즉 제1 트랙보다 제1 브루잉 모듈부의 헤드부에 더 가까이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루잉 챔버의 밀폐 중에 캡슐 칼라부는 삽입 위치로부터 제2 트랙을 지나 브루잉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예를 들면 개방 이동 중에 상기 캡슐 칼라부가 제2 트랙에 도달하는 즉시 이를 저지, 즉 방해하는 제2 저지 구조가 상기 제2 트랙의 내측에 제공되고, 이것은 제1 및 제2 트랙의 상대적 배치구조 모두에 적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저지 구조의 저지하는 힘은 회수 수단의 해당 힘보다 더 커서 칼라부는 추가 개방시 회수 수단에 수용되지 않고 방출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더 돌출해 있고 축에 더욱 경사진 각도를 형성하고/또는 더 연장되어 있는 저지 구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수 수단이 캡슐 칼라부의 중간에(수직 기준으로) 맞물리는 한편, 상기 제2 저지 구조는 위아래에서 맞물리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캡슐이 실질적으로 정육면체 형상 또는 직육면체이면 이는 상기 저지 구조가 회수 수단보다 더 크게 변형에 저항하는 캡슐의 모서리와 에지에 더 가까이 맞물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출 장치와 주입기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예를 들면 각각 브루잉 챔버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추출측 천공 장치 및 마찬가지로 브루잉 챔버에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주입측 천공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천공 부재들은 예를 들면 0.2 mm 내지 0.5 mm 또는 0.4 mm, 예를 들면 0.25 mm 내지 0.35 mm의 두께를 가진 폴리프로필렌의 심가공(deep-drawn) 플라스틱 캡슐 벽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 이들은 그 자체로 알루미늄 캡슐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는 다르다. 그러나 심가공된 플라스틱 외에 캡슐 벽 재료에 대한 천공 장치가 있을 수도 있다.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회수 수단의 주입기는 환형의 측면을 따라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 밀봉부는 특히 유체 주입 위치를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 하나의- 밀봉 립을 포함할 수 있다. 브루잉 과정 개시 전에 이미 주입한 브루잉용 물을 상기 캡슐 밀봉부를 향하게 하고 밀봉부-특히 밀봉 립-가 측면이 압착되게 하는 유동 채널이 선택적으로 주입기 내 형성될 수 있다.
캡슐 밀봉부는 -예를 들면 WO 2012/04518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밀폐된 브루잉 챔버 내 캡슐의 고정과 위치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환형 밀봉부에 의한 상기 브루잉 챔버 내 캡슐의 고정은 특히 제조 공차가 더 큰 이점이 있는바, 즉 캡슐 밀봉부의 탄성은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상대적 위치조정에 있어 부정확성을 수용할 수 있다.
밀봉부는 경우에 따라 추출측(배출 장치의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그러나 상기 캡슐의 밀봉은 이러한 추가 밀봉부가 아닌 비탄성 밀봉 표면을 압착하는 캡슐 벽의 밀봉 효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밀봉부 표면은 아치형 표면 또는 평면일 수 있고, 상기 밀봉 효과는 브루잉 공정 중에 고온인 캡슐 벽의 변형성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특징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이동에 대한 역학에 관한 것이다(상기 상대이동은 고정형 하우징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부 및/또는 제1 브루잉 모듈부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각각 경우에 따라 기어를 올리거나 내리는 작동 레버 또는 전기 구동부의- 작동 이동은 토글 레버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토글 레버의 토글 조인트는 밀폐시 과압착(사점(dead-centre) 초과)될 수 있는바, 즉 상기 브루잉 모듈의 밀폐 상태에서 브루잉 모듈의 개방 상태에서와 달리 토글 레버의 아암의 외부 회전축 각각에 의해 한정되는 면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과압착은 -정지부에 대한 브루잉 모듈의 밀폐 상태에서- 자기 잠금(self-locking) 효과를 갖고 있는바: 상기 브루잉 모듈부는 브루잉 과정 중에 발생하는 내부 압력으로 인해 별도로 압착되고 상기 수단에 의해 토글 레버는 훨씬 더 큰 정도로 정지부를 압착하고 브루잉 챔버는 자발적으로 개방될 수 없다.
이들 선택적 특징(유동 채널을 가진 립 밀봉부; 비탄성 밀봉 표면에 의한 추출측 밀봉; 과압착된 토글 레버)은 -각각의 경우에 자체 또는 조합하여- 상술한 개념과 특히 유리하게 상호작용한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마찬가지로 각각 자체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들은 제1 브루잉 모듈부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제2 브루잉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가 브루잉 음료 제조용 추출 재료를 가진 캡슐로부터 추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와 추출액을 캡슐에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하는 추출기용 다른 브루잉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별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브루잉 챔버는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예를 들면 배출측 또는 주입기측으로 원뿔형으로 넓어지는 캡슐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정육면체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캡슐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육면체 형상과 정육면체 형상은 각각 기하구조적으로 정확한 직육면체 형상과 정육면체 형상과 어느 정도 다르지 않고 기능적으로는 다를 수 있는 형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장방형 또는 정방형 바닥면을 갖고 상기 바닥면에 인접해 있는 측면이 바닥면의 수직선에 대해 단지 작은 경사각 α, 예를 들면 최대 2°이하로 둘러싸고 있는 각추대의 형상 또한 포함된다. 상기 직육면체 형상 또는 정육면체 형상은 예를 들면 1.5 mm만큼 최대 측면 방향으로 돌출해 있고 예를 들면 단부 표면 평면에 숄더부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들면 용접 에지/용접 비드 형태의- 환형의 칼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루잉 모듈은 이미 언급한대로 수평형 브루잉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브루잉 모듈 전체적으로 약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브루잉 모듈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브루잉 모듈은 제1 브루잉 모듈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여질 수 있다. 이 경우, 수평에 대해 축 주입기-배출 장치의 경사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이하, 특히 0° 내지 10°이다.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챔버는 캡슐을 완전히 둘러싸는바, 즉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와 제2 브루잉 모듈부는 정확히 꼭 맞게 서로 상응하는 부재들을 포함하고 밀폐 위치에서 함께 브루잉 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형성되는 벽부와 상기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형성되는 벽부는 예를 들면 환형의 밀폐 밀봉부에 의해 밀봉 위치에서 서로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밀봉부는 예를 들면 브루잉 챔버 밀폐시 브루잉 모듈부들 중 하나에 체결되고 다른 브루잉 모듈부의 표면에 접하는 립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폐되는 브루잉 챔버는 캡슐을 삽입해야 하는 것 없이 추출기 또는 브루잉 모듈을 세정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는 큰 장점이다. 그러나 세정 또는 세척 과정 중에 -브루잉 챔버가 밀폐 또는 완전히 밀폐되지 않은- 세정용 캡슐 또는 견본 캡슐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브루잉 챔버는 이러한 밀폐 밀봉부에 의해 2단 밀봉방식으로 밀봉될 수 있다. 제1단 밀봉부는 캡슐을 수용하고 도입된 추출액 또는 배출된 추출물이 캡슐을 지나 흐르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밀봉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단 밀봉부는 주입기 또는 배출 장치로부터 캡슐을 밀봉한다. 상기 캡슐 밀봉부는 주입기 또는 배출 장치로부터 캡슐을 밀봉한다. 상기 캡슐 밀봉부는 제2단 밀봉부로서 브루잉 모듈부들을 서로 밀봉한다. 한편으로 상기 캡슐 밀봉부는 브루잉 과정 중에 보조 밀봉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캡슐 밀봉부는 언급한 바대로 세정 과정 중에 밀봉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캡슐을 사용하여 브루잉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요지이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상술한 유형의 브루잉 모듈 또는 추출기에 의해 실시되고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추출 재료가 들어 있는 일회분 캡슐을 예를 들어 위치조정 삽입구를 통해 삽입하여 캡슐의 칼라부를 제1 트랙에 위치시키고 상기 캡슐을 안착부에 놓이도록 하는 단계;
- 상기 캡슐이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주입기의 천공 부재에 의해 캡슐에 구멍을 형성하여 도입구가 캡슐 내 생성되도록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제2 브루잉 모듈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브루잉 챔버를 밀폐시키는 단계;
- 상기 도입구를 통해 추출액(예를 들면 펌프와 경우에 따라 밸브를 이용하여 고온의 물)을 캡슐에 도입하는 단계;
- 상기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 장치의 천공 부재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추출액을 배출하는 단계;
- 배출에 이어서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제2 브루잉 모듈부를 이동시켜 브루잉 챔버를 개방함으로써 칼라부가 제2 트랙을 따라 위치할 때까지 회수 부재에 의해 캡슐을 제1 브루잉 모듈부로부터 꺼내고 개방된 브루잉 챔버로부터 캡슐이 아래쪽으로 떨어질 때까지 개방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
본 발명의 요지는 또한 물 탱크 또는 물 연결부, 물 히터, 물 펌프와 상술한 유형의 브루잉 모듈을 구비한 추출기, 특히 음료 제조 머신, 예를 들면 커피 머신 또는 차(tea) 머신으로서, 상기 물 탱크, 물 히터와 물 펌프가 브루잉 모듈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가열된 물이 주입기를 통해 캡슐로 도입될 수 있는 추출기이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은 도면마다 부분적으로 서로 상응하는 부재들을 서로 다른 크기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모듈의 도면이고;
도 2는 브루잉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브루잉 모듈의 밀폐 기구의 부품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도로서 또한 마이크로스위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브루잉 챔버의 개방 위치에서와 같이 주입기와 상기 주입기에 대해 위치해 있는 배출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6과 7은 각각 배출 장치의 또 다른 도면이고;
도 8은 캡슐과 배출 장치의 부품들의 단면도로서, 상기 캡슐의 삽입 후와 브루잉 챔버의 밀폐 전에- 캡슐 중앙 아래 수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브루잉 챔버 밀폐 중 캡슐, 배출 장치와 주입기의 부품들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로서, 캡슐 중앙 아래 수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 11과 12는 각각 도 9와 유사하게 브루잉 챔버의 서로 다른 개방 단계 중 배치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13은 개방된 브루잉 챔버를 구비한 브루잉 모듈의 상세도이고;
도 14는 주입기의 상세 단면도이고;
도 15와 16은 각각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수평면을 따라 절단한 또 다른 배출 장치의 도면이고;
도 18-20은 각각 브루잉 챔버의 서로 다른 개방 단계 중 배출 장치, 캡슐의 부품, 배출 장치와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1과 2에 따른 브루잉 모듈은 브루잉 모듈 하우징(1)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고정 및 안내되는 제1 브루잉 모듈부로서 배출 장치(3)와 제2 브루잉 모듈부로서 주입기(5)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 레버(6)에 의해 주입기(5)는 상기 하우징과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브루잉 챔버가 개방되고 작동 레버가 상부에 있는 개방 위치와 브루잉 챔버가 밀폐되고 작동 레버가 아래쪽으로 접혀져 있는 밀폐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과 2는 개방 위치에 있고 캡슐(10)이 삽입되어 있는 브루잉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삽입시 상기 캡슐의 배향을 한정하기도 하는 삽입구(11)가 캡슐(10)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는 캡슐 칼라부(21)의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선택될 캡슐의 배향을 나타내기도 한다.
-안내턱으로서 형상화된- 측방 안내 수단(31)은 배출 장치에 제공되어 있고 그의 기능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 경사 이동(작동 레버(6)는 회전 핀(7)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할 수 있음)을 주입기(5)의 병진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토글 레버(8)가 제공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에 회전 고정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밀폐 헤드부(9)가 토글 레버의 아암(8.1) 중 하나와 맞물려져 있다.
도 3에서 특히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토글 레버는 작동 레버(6)가 정지부에 있을 때, 즉 작동 레버(6)가 하부 정지부에 있을 때 브루잉 모듈의 개방 상태에서와는 다른 아암(8.1, 8.2) 각각의 외부 회전축에 의해 한정되는 면(13)의 측면에 있는 브루잉 모듈의 밀폐 상태에서 수 °만큼 과압착되기 때문에 토글 레버는 자기-잠금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토글 레버는 브루잉 과정 중에 2개의 브루잉 모듈을 별도로 압착시 하우징 내 정지부에 압착되고 더 이상 자발적으로 개방될 수 없다.
마이크로스위치(1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정지부에 토글 레버를 압착함으로써 작동되며 예를 들어 그 자체가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6)는 소정의 과정-특히 브루잉 과정 자체-이 브루잉 챔버 밀폐시 일어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각각 브루잉 챔버의 밀폐 상태를 시험하는 이러한 마이크로스위치의 또 다른 배치구조가 가능하다.
도 5는 상술한 도면들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배향으로 주입기와 배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과 7은 배출 장치(3)의 다른 도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측방 안내턱(31)은 주입기 방향으로(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따르면 안쪽으로) 배출 장치(3)의 헤드부(30)로부터 돌출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측방 안내턱은 각각 중간에 차단부를 가진 상부와 하부 측방 안내턱으로 나누어진다. 제1 트랙, 여기에서는 외부 트랙(33)과 제2 트랙, 여기에서는 내부 트랙(36)은 측방 안내턱(31)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상기 외부 및 내부 트랙은 각각 캡슐의 칼라부(21)를 안내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홈 모양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어 있되(칼라부(2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환형의 용접 에지에 의해 형성됨) 상기 트랙들은 캡슐의 칼라부가 유극을 가져 조여지지 않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안내 트랙은 브루잉 챔버가 개방될 때 삽입되는 캡슐의 칼라부(21)가 제1 트랙(33)에 도달하도록 삽입구(11)에 대해 위치된다. 삽입시 칼라부(21) 및/또는 캡슐(10)의 또 다른 부분이 놓이게 되는 안착부(35)가 제1 트랙(33)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제2 트랙(36)은 바닥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와는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홈은 서로 바뀔 수도 있는바, -즉 이 경우 제1 트랙은 제2 트랙보다 더 바깥쪽으로 놓여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어 있는 구현예와는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회수 부재(61)는 안내턱부(31) 사이에 측면 방향으로 맞물리는 대신에 상부와 하부로부터 맞물릴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구성, 즉 예를 들면 도 5의 배치구성에서 브루잉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입기의 내부 부품들은 브루잉 챔버 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다.
고정턱의 작용과 주입기(5)의 회수 부재(61)와의 상호작용 방식은 도 8 내지 12를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도 8은 캡슐의 삽입 후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칼라부(21)는 외부 트랙에 위치되어 있다. 상면에 있는 외부 저지 구조는 상기 칼라부를 지지하고 캡슐이 아래쪽과 안쪽으로, 즉 도시된 배향에서는 좌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주입기는 브루잉 챔버 밀폐시 배출 장치 쪽으로 이동하고 회수 부재는 상부와 하부 안내턱부 사이의 차단부로 밀려 들어간다. 상기 캡슐-캡슐 밀봉부에 의해 안내됨,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됨-은 이송, 즉 일정 거리를 따라 구동되고 예를 들어 추출측 천공 부재(추출 핀 (39), 도 9)에 의해 이미 약간 천공되어 있다.
이어서 고온의 물이 가압하에서 캡슐 내 도입되는 브루잉 과정이 일어나고 추출물이 추출측에서 배출된다. 유럽특허출원 13 185 359.0의 요지인 천공 장치(38)를 예를 들어 배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천공 장치와 배출 장치들을 예를 들면 WO 2010/118544에 따라 적용할 수도 있다.
회수 부재(61)의 이송부(62)는 브루잉 챔버 개방시 캡슐 칼라부(21)에 맞물려 캡슐을 추출 핀(39)으로부터 이송한다. 상기 회수 부재는 또한 이송부(62)의 영역에서 회수 부재가 제1(외부) 저지 구조(34)보다 더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해 있다는 사실로 인해 외부 트랙을 지나 캡슐 칼라부를 잡아 당긴다(도 10).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캡슐은 전체적으로 약간 변형되어 칼라부-그의 형상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비교적 견고함-는 약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브루잉 과정 후에 캡슐이 일반적으로 고온일 수 있고 캡슐 재료는 상온에서보다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원리는 냉각된 캡슐에서도 작용한다.
제2 (내부) 저지 구조(37)는 제2 트랙(36)의 내측에 형상화되어 있다. 상기 제2 저지 구조는 제1 저지 구조(34)보다 반경방향 안쪽으로 더 돌출해 있고/또는 축(20)에 대해 더 경사진 각으로 형성되고/또는 더 큰 정도로 연장되며/또는 제1 저지 구조(34)보다 위쪽으로 더/바닥쪽으로 더 배치되어 있어 저지 효과(강제로 캡슐을 당기기 위해서 요구되는 힘)가 제1 저지 구조(34)의 효과보다 더 크다.
제2 저지 구조(37)의 저지 효과는 또한 이송부(62)의 효과(역방향으로 작용하는)보다 더 크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은 이송부가 캡슐의 중간부에 맞물려 있고 이에 비해 제2 저지 구조(36)는 캡슐의 상하에 맞물리고 캡슐의 모서리에 더 가까이 있다는 사실에 의해 주로 일어난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캡슐의 중간부보다 캡슐의 변형을 저지하기 때문에 캡슐은 안쪽으로 벗어나 이송부(62)가 미끌어져 가게 된다(도 11).
상기 제2 저지 구조(36)에 의해 저지되는 캡슐이 주입기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로부터 완전히 방출된 후(도 12), 상기 캡슐은 캡슐 용기로 아래쪽으로 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랙(33)이 홈 모양의 구조에 의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에 비해, 상황에 따라 칼라부(21)를 지지하는 제1 저지 구조(34)가 상부에 제공되고 내측면을 형성하여 안착부에 있는 캡슐이 안쪽으로 미끄러져 가는 것을 방지할 정도이면 충분하다. 여기에 선택적으로 또는 보충하여, 상기 내부 트랙은 내부 저지 구조(36) 유형의 저지 구조에 의해 단지 한정되는 것이다.
밀폐 헤드부(9)의 상세도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폐 헤드부는 레버의 피벗 이동에 참여하는 커버(17)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브루잉 장치의 기구에 끼지 않게 하여 부상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브루잉 과정 중에 상기 캡슐은 위치조정 방식으로 캡슐을 고정하기도 하는 주입기의 캡슐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캡슐은 WO 2012/04518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상화될 수 있고 이 문헌은 참조문헌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 14는 WO 2012/045184에 따른 원리를 실시하여 유체 주입 위치를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순한 립 밀봉부로서 구성되어 주입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체 압력이 추가로 밀봉 립을 캡슐에 압착하는 캡슐 밀봉부(40)가 구비된 브루잉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주입기(5)는 다수의 천공 부재(53)가 구비된 주입측 천공 장치(51)를 포함하고 있다.
주입기(5)의 특별한 선택적 특징은 또한 도 14에서 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캡슐이 주입기에 압축되더라도 유동 채널(41)은 캡슐 밀봉부(40)를 통해 유체가 유리하게 흐르도록 한다. 이 방법에 의해 상기 캡슐 밀봉부는 물이 캡슐로 투과되기 전에-즉 브루잉 과정 전에- 이미 유동 처리된다.
이때 상기 배출 장치에 대한 캡슐(10)의 밀봉은 경우에 따라 별도의 추출측 밀봉 없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봉은 캡슐로부터 빠져나오는 브루잉 음료가 캡슐을 지나 분출부에 도달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별한 측면에 따르면 추출 과정 중에 광범위하게 캡슐이 압착되는 밀봉 표면(32)을 캡슐 형상에 맞게 추출측에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밀봉 표면은 경질 재료, 예를 들면 사출성형한 경질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때 브루잉 과정 중에 더욱 변형 가능하고 밀봉 표면(32)에 밀봉 압착되는 것은 캡슐 벽이다.
주입기(5)의 또 다른 선택적인 특징은 예를 들면 도 1-3에 볼 수 있다. 3/2-방향 밸브가 상기 주입기에 직접 일체로 주입되는 구조체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바, -즉 종래기술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15)를 주입기에 직접 제공하여 예를 들면 호스 등을 통해 상기 주입기에 연결하지 않는다. 상기 3/2-방향 밸브는 펌프측 연결부(입구), 주입측 연결부(출구)와 적하 물 연결부(또 다른 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3/2-방향 밸브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고 브루잉 공간을 비우기 위해 제공된다.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브루잉 챔버는 주입측 연결부로부터 적하 물 연결부로 이어지는 개방 경로에 의해 비워지게 된다.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입구로부터 주입측 연결부로 이어지는 경로는 비어져 있고 적하 물 연결부는 차단된다. 브루잉 과정 완료 후에 상기 밸브는 비-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되고 적하 팬으로 떨어지는 물에 의해 주입측 연결부로부터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측 연결부는 차단되어 브루잉 과정 후에 압력 급강하로 인한 후속 증발을 또한 방지한다.
도 15는 배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미 상술한 부재 외에도 여기에서는 캡슐(40)의 경우와 같이 립 밀봉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밀폐 밀봉부(70)를 볼 수 있다. 상기 밀폐 밀봉부는 브루잉 챔버의 밀폐 상태에서 주입기(5)의 하우징에 밀착하고 가압시 브루잉 챔버에 압착된다. 이것은 브루잉 챔버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세정 과정 동안- 브루잉 챔버가 삽입되어 있지 않더라도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도 15에서도 추출측 천공 장치(38)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신축성 노즐(81)을 볼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또 다른 식품 등급과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0.15 mm 내지 0.4 mm, 특히 0.2 mm 내지 0.3 mm의 노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은 특히 브루잉 음료에 추가로 거품을 발생시켜 포플러 "크레마(crema)"의 형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도 16 또한 배출 장치(3)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노즐(81) 이외에 브루잉 음료를 위한 분출부(83)를 볼 수 있다. 도 18에서 신축성 노즐(81)의 선택적인 형태를 볼 수도 있다. 상기 노즐은 입구측에서 노즐 구멍을 향해 좁아지고 유체의 흐름을 내보내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도 17-20에 따른 배출 장치(3)는 앞선 도면들의 배출 장치들과는 제1 트랙(33)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트랙(36)이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제1 저지 구조(34)와 제2 저지 구조(37)의 배치가 서로 바뀌어 있다. 상기 제2 저지 구조, 여기에서는 외부 저지 구조(37)를 형성하는 돌출부(리브)는 제1 트랙(33)을 향해 내측에 비교적 평평한 경사부(48)를 갖고 있다.
앞서 기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브루잉 모듈에 삽입되는 캡슐은 제1 트랙(33)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안착부에 놓여져 있다. 상기 브루잉 챔버의 밀폐시 캡슐 칼라부는 경사부(48)를 통해 제1 트랙으로부터 제2 트랙을 거쳐 헤드부(30)를 향해 바깥쪽으로 위치 이동한다. 상기 주입기의 회수 부재(61)는 본 구현예에서도 브루잉 과정 중에 캡슐과 맞물린 상태에 있게 된다.
브루잉 과정 후 상기 브루잉 챔버 개방시 회수 부재 각각의 이송부(62)는 캡슐 칼라부에 맞물릴 것이고(도 18) 이에 따라 개방시 추출 핀(39)으로부터 떼어내질 것이다(도 19). 제2 저지 구조(37)는 저지 효과가 이송부(62)의 효과보다 더 커서 주입기가 더 멀리 이동될 때(도 20) 거기에 캡슐 칼라부가 고착되어 캡슐 칼라부가 제2 트랙(36)에 고착된 상태로 아래쪽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laims (16)

  1. 제1 브루잉 모듈부(3)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제2 브루잉 모듈부(5)를 포함하는 추출기용 브루잉 모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가 브루잉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추출 재료가 들어 있는 캡슐(10)로부터 추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와 추출액을 캡슐(10)에 도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가 캡슐 칼라부(21)에 대해 제1 트랙(33)과 제2 트랙(36)을 한정하는 측방 안내 수단(31)을 구비한 헤드부(30)를 포함하며 제1 브루잉 모듈부(3)는 또한 캡슐 칼라부가 제1 트랙에 위치될 때 바닥쪽으로 캡슐(10)의 이동을 한정하는 안착부(35)를 형성하되, 측방 안내 수단(31)이 헤드부에 연결되고 브루잉 챔버 개방시 제2 브루잉 모듈부가 캡슐 칼라부(21)에 맞물리고 상기 캡슐 칼라부를 제2 트랙(36)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수 수단(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브루잉 챔버 밀폐시 브루잉 챔버 내 배치되도록 측방 안내 수단(31)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방 안내 수단(31)이 브루잉 챔버 밀폐시 캡슐(10)과 접촉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수 수단(61)이 브루잉 챔버 밀폐시 캡슐(10)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방 안내 수단(31)이 견고하게 헤드부(3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수 수단(61)이 견고하게 제2 브루잉 모듈부(5)의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저지 구조(37)가 제2 트랙(36)에 이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챔버에 대해 제2 트랙(36)이 제1 트랙(33)보다 더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잉 챔버에 대해 제2 트랙(36)이 제1 트랙(33)보다 더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제2 저지 구조(37)가 제1 트랙(33)과 제2 트랙(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가 제1 트랙을 향해 제2 저지 구조(37)보다 더 평평한 경사부(4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면 당 측방 안내 수단(31)이 각각 2개의 안내 수단부를 포함하고 회수 수단(61)이 브루잉 챔버의 밀폐 상태에서 안내 수단부 사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가 환형의 측면을 따라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밀봉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캡슐 밀봉부(40)가 유체 주입 위치를 향해 돌출 구성되어 있는 단 하나의 밀봉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 유동 채널(41)이 브루잉 과정 개시 전에 이미 주입한 브루잉용 물을 캡슐 밀봉부(40)를 향해 안내하고 상기 밀봉부가 측면에 압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 이동을 제1 브루잉 모듈부(3)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부(5)의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구가 각각 외부 회전축과 공동의 토글 조인트를 가진 2개의 토글 레버 아암(8.1, 8.2)을 구비한 토글 레버(8)를 포함하되 상기 브루잉 챔버의 밀폐 상태에서 토글 조인트가 브루잉 챔버의 개방 상태에서와 다른 토글 레버 아암(8.1, 8.2) 각각의 외부 회전축을 통해 이어져 있는 면의 측면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루잉 모듈.
  15. 물 탱크 또는 물 연결부, 물 히터, 물 펌프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브루잉 모듈을 포함하는 추출기로서, 상기 물 탱크, 물 히터와 물 펌프가 브루잉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가열된 물이 주입기를 통해 캡슐 안으로 도입될 수 있는 추출기.
  16. 추출 재료가 채워져 있는 캡슐(10)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브루잉 모듈을 사용하여 브루잉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일회분 캡슐을 삽입구(11)를 통해 삽입하여 캡슐의 칼라부(21)를 제1 트랙(33)에 위치시키고 상기 캡슐을 안착부(35)에 놓이도록 하는 단계;
    - 캡슐(10)이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주입기의 천공 부재에 의해 캡슐에 구멍을 형성하여 도입구가 캡슐 내 생성되도록 제1 브루잉 모듈부(3)에 대해 제2 브루잉 모듈부(5)를 이동시킴으로써 브루잉 챔버를 밀폐시키는 단계;
    - 상기 도입구를 통해 추출액을 캡슐에 도입하는 단계;
    - 상기 캡슐 내 생성된 추출액을 제1 및/또는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 장치의 천공 부재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 배출에 이어서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제2 브루잉 모듈부를 이동시켜 브루잉 챔버를 개방함으로써 칼라부(21)가 제2 트랙(36)을 따라 위치할 때까지 회수 부재에 의해 캡슐을 제1 브루잉 모듈부로부터 꺼내고 개방된 브루잉 챔버로부터 캡슐(10)이 아래쪽으로 떨어질 때까지 개방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11572A 2013-10-01 2014-09-29 브루잉 모듈 KR102303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6920.8A EP2856917A1 (de) 2013-10-01 2013-10-01 Brühmodul
EP13186920.8 2013-10-01
PCT/CH2014/000138 WO2015048914A1 (de) 2013-10-01 2014-09-29 Brüh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392A KR20160063392A (ko) 2016-06-03
KR102303337B1 true KR102303337B1 (ko) 2021-09-17

Family

ID=4930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572A KR102303337B1 (ko) 2013-10-01 2014-09-29 브루잉 모듈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0307011B2 (ko)
EP (2) EP2856917A1 (ko)
JP (1) JP6541651B2 (ko)
KR (1) KR102303337B1 (ko)
CN (1) CN105658121B (ko)
AU (1) AU2014331506B2 (ko)
BR (1) BR112016006538B1 (ko)
CA (1) CA2925036A1 (ko)
DK (1) DK3051986T3 (ko)
ES (1) ES2645439T3 (ko)
HU (1) HUE035650T2 (ko)
LT (1) LT3051986T (ko)
NO (1) NO3051986T3 (ko)
PL (1) PL3051986T3 (ko)
PT (1) PT3051986T (ko)
RU (1) RU2663405C2 (ko)
SG (1) SG11201602470VA (ko)
WO (1) WO2015048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8653A1 (de) * 2012-08-20 2014-02-20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EP3028608A1 (de) 2014-12-01 2016-06-08 Qbo Coffee GmbH Brühmodul, kapselerkennungs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CA2984553A1 (en) * 2015-06-16 2016-12-22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EP3143911A1 (en) * 2015-09-17 2017-03-22 Mocoffee AG Apparatus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EP3175749A1 (de) * 2015-12-01 2017-06-07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EP3175746A1 (de) * 2015-12-01 2017-06-07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EP3175747A1 (de) 2015-12-03 2017-06-07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S11111467B2 (en) 2016-05-18 2021-09-07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EP3246391B1 (en) * 2016-05-18 2021-11-10 LG Electronics Inc. Beer maker
US11208621B2 (en) 2016-05-18 2021-12-2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CN107400585B (zh) 2016-05-18 2021-07-30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224306B2 (en) 2016-05-18 2022-01-1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US11198839B2 (en) 2016-05-18 2021-12-14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CN107400586B (zh) 2016-05-18 2021-05-28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8B (zh) 2016-05-18 2021-08-0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3B (zh) 2016-05-18 2021-07-1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包及具有其的啤酒酿造装置
EP3338600A1 (de) 2016-12-22 2018-06-27 Qbo Coffee GmbH Brüh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EP3338601A1 (de) 2016-12-22 2018-06-27 Qbo Coffee GmbH Brüh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EP3403546A1 (de) 2017-05-19 2018-11-21 Tchibo GmbH Brüh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EP3403545A1 (de) 2017-05-19 2018-11-21 Tchibo GmbH Brüh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CN108209579A (zh) * 2018-03-20 2018-06-29 无锡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饮料机
CN113040606B (zh) * 2019-12-26 2023-08-04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胶囊饮品机
US11857105B2 (en) * 2020-05-07 2024-01-02 Hanter Technology Co., Ltd. Drip coffee machine and liquid discharge device used therefor
CN111904277B (zh) * 2020-08-10 2022-09-13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咖啡机
EP3957579A1 (de) 2020-08-19 2022-02-23 Tchibo GmbH Portionenkapselgrundkörper und portionenkapsel für eine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nd zugehörige verfahren
EP4147611A1 (de) * 2021-09-10 2023-03-15 Delica AG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sowie verfahren und system zur getränkezuberei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8258A1 (en) 2006-05-24 2009-12-17 Nestec S.A., Brewing device for capsule with closure mechanism of variable transmission ratio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8836C2 (de) 1997-05-06 1999-03-18 Rovema Gmbh Transportvorrichtung mit einer Stückguthalter aufweisenden, umlaufenden Transporteinrichtung
ES2256601T3 (es) * 2003-02-07 2006-07-16 Nestec S.A. Modulo de exctraccion con cierre lineal para preparar una bebida a presion a partir de una capsula.
EP1495702A1 (fr) *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capsule
DE102004004314B4 (de) 2004-01-28 2014-05-15 Tchibo Gmbh Brühvorrichtung für eine Kaffeemaschine
DK1859714T3 (da) * 2006-05-24 2009-05-25 Nestec Sa Bryggeindretning og bryggekapselsystem med en kapselholder til at lette indsætning og fjernelse af kapsler
ITMI20061307A1 (it) * 2006-07-06 2008-01-07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FI20060194A1 (it) * 2006-08-04 2008-02-05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ITFI20070028A1 (it) * 2007-02-07 2008-08-08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con un dispositivo di centraggio delle capsule.
CN100544647C (zh) * 2007-06-15 2009-09-30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咖啡机中咖啡包的自动脱落机构
US7623560B2 (en) * 2007-09-27 2009-11-24 Ostendo Technologies, Inc. Quantum photonic imager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AU2008306060C1 (en) * 2007-10-04 2015-08-27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brewing unit
ES2365642T3 (es) * 2008-03-12 2011-10-07 Nestec S.A. Cápsula con control del flujo y elemento de filtro.
CN101977538B (zh) * 2008-03-20 2013-07-2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从单次使用的胶囊生产饮料的饮料生产设备
EP2105074B1 (de) 2008-03-28 2011-07-20 Delica AG Vorrichtung und Anordnung zum Zubereiten eines flüssigen Lebens- oder Genussmittels sowie Portionsverpackung
US8276243B2 (en) * 2008-05-27 2012-10-02 Panduit Corp. Hook and loop tie with a non-slip area
WO2010004598A1 (en) 2008-07-10 2010-01-14 Essence - Sbt Sa Device for delivering and expelling capsules for delivering machines for infusion beverages
AU2010237535B2 (en) 2009-04-15 2016-10-20 Qbo Coffee Gmbh Device for discharging an extraction product out of a portion packaging; puncturing device and extraction apparatus
EP2687446B1 (de) 2009-04-15 2015-05-20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apsel für ein Extraktionsgut
IT1395966B1 (it) * 2009-08-03 2012-11-02 Torino Politecnico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mediante infusione di un prodotto contenuto in una capsula o simile
DE102009049945A1 (de) * 2009-10-19 2011-04-21 Krüger Gmbh & Co. Kg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DK2506745T3 (da) * 2009-12-01 2013-12-16 Nestec Sa Patron-ekstraktionsindretning
ES2451717T3 (es) * 2010-03-24 2014-03-28 Delica Ag Dispositivo para preparar una bebida
EP2374383B2 (fr) * 2010-04-07 2019-11-0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Système d'extraction pour la production d'une boisson utilisant une capsule
DE102011011204A1 (de) * 2010-05-28 2011-12-01 Eugster/Frismag Ag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rühvorrichtung
ES2553764T3 (es) * 2010-10-08 2015-12-11 Qbo Coffee Gmbh Aparato de extracción y sistema de sellado
EP2785222A1 (fr) * 2011-11-30 2014-10-08 Freydman, Philippe Adaptateur pour le chargement d'une machine de préparation de boisson
EP2806773B1 (de) * 2012-01-25 2016-09-21 Qbo Coffee GmbH Brühmodul
KR101919423B1 (ko) * 2012-08-01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반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소자
EP2850980A1 (de) 2013-09-20 2015-03-25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Perforationsvorrichtung für Extraktionsgerät zum Herstellen von Brühproduk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8258A1 (en) 2006-05-24 2009-12-17 Nestec S.A., Brewing device for capsule with closure mechanism of variable transmission rat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5650T2 (en) 2018-05-28
SG11201602470VA (en) 2016-04-28
LT3051986T (lt) 2017-12-11
CN105658121B (zh) 2019-06-28
AU2014331506B2 (en) 2017-11-02
RU2016116097A3 (ko) 2018-05-31
AU2014331506A1 (en) 2016-04-14
RU2016116097A (ru) 2017-11-13
CA2925036A1 (en) 2015-04-09
ES2645439T3 (es) 2017-12-05
KR20160063392A (ko) 2016-06-03
JP2016536037A (ja) 2016-11-24
DK3051986T3 (en) 2018-01-02
PT3051986T (pt) 2017-12-07
EP2856917A1 (de) 2015-04-08
WO2015048914A1 (de) 2015-04-09
US10307011B2 (en) 2019-06-04
NO3051986T3 (ko) 2018-02-10
PL3051986T3 (pl) 2018-03-30
US20160242591A1 (en) 2016-08-25
BR112016006538B1 (pt) 2021-06-22
EP3051986B1 (de) 2017-09-13
RU2663405C2 (ru) 2018-08-03
CN105658121A (zh) 2016-06-08
BR112016006538A2 (pt) 2017-08-01
BR112016006538A8 (pt) 2020-02-27
EP3051986A1 (de) 2016-08-10
JP6541651B2 (ja)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337B1 (ko) 브루잉 모듈
RU2444271C2 (ru) Зава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з одноразовых капсул с устройством центрирования капсулы
KR102023780B1 (ko) 정량 캡슐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장치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5291005B2 (ja) カートリッジから液体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
JP5796852B2 (ja) 抽出装置および封止システム
RU2623953C2 (ru) Заварочный модуль
US9144341B2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JP5977679B2 (ja) 原料カプセルを使用する飲料装置
US8875617B2 (en) Apparatus and capsule for preparing a drink
EP2747608B2 (en)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KR102136179B1 (ko) 음료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음료 형성 장치 및 방법
JP5833641B2 (ja) カプセルを使用する飲料製造システム
KR20100075980A (ko) 음료 우려내기 유닛
EP3393312B1 (en) Brewing unit for a beverage producing machine and machine containing the brewing unit
EP3125729B1 (en) Infusion unit
WO2024074509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U2014262252B2 (en) Apparatus and capsule for making a dr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