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040A -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040A
KR20140116040A KR1020140076688A KR20140076688A KR20140116040A KR 20140116040 A KR20140116040 A KR 20140116040A KR 1020140076688 A KR1020140076688 A KR 1020140076688A KR 20140076688 A KR20140076688 A KR 20140076688A KR 20140116040 A KR20140116040 A KR 2014011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fine pattern
substrate
base materi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춘
유지훈
성준기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to KR102014007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040A/ko
Publication of KR2014011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39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ntrol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은 음각패턴이 형성된 기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기재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재에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음각패턴 내로 상기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기재에 수직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통하여 미세 선폭의 음각패턴 내로의 충진물 충진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미세패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KING FINE PATTERN}
본 발명은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선폭의 음각패턴 내에 충진물이 균일하게 충진되는 형태의 미세패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품의 경박 단소화 추세로 디스플레이 또는 트랜지스터 등의 전자 소자들은 공통적으로 고밀도, 고집적의 형태로 제작 될 것이 요구됨에 따라 전극 또는 배선(metallization lines)용에 사용할 수 있는 미세한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주목되고 있다. 지금까지 널리 알려져 있는 금속의 미세패턴 제작기술은 통상적으로, 박막의 진공 증착과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기재에 도전성 소재를 증착 한 후 미세패턴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드라이 필름(Dry Film) 또는 감광액을 도전성 소재 표면에 도포한 다음 자외선(UV)을 조사 하여 경화 시킨 후,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하고, 이어서 화학 부식액을 이용하여 구현 하고자하는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은 고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패터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의 장비, 복잡한 생산 공정, 에칭공정의 반복으로 인한 과량의 화학 폐기물이 배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도래와 더불어 저온에서 대면적화가 가능한 패터닝 공정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고가의 장비와 고비용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대체하는 대안을 찾고자 하는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옵셋 프린팅, 리버스 옵셋, 레이저 식각 패터닝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들은 직법 패터닝 방식 이라는 장점이 있고 일부는 상당한 기술적 진보를 보이기도 하였으나 미세선폭 구현성, 신뢰성, 생산 공정 속도에 있어서 각각의 한계로 인해 여전히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많이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
나노 임프린트 기술은 상기의 직접 패터닝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포토리소그래프 공정의 문제점을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기재위에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나노에서 마이크론 크기의 요철을 포함하는 몰드를 상기 도포된 수지층 상에 가압하고, 자외선 또는 열을 가하여 이를 경화시킴으로써 패턴을 기재에 전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현재의 나노임프린팅 기술은 수십 마이크로미터um 선폭의 라인을 형성하는 기술로 이용되고 있는 직접 패터닝 형성 방법과 포토리소그래피 방법과 비교할 때, 제조단가와 해상도 측면에서 이들의 중간 정도 수준이며, 나노와 마이크로 분야의 교량 역할을 하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이들 기술을 점진적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러한 임프린팅 방식으로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금속 패턴 형성을 위해 음각의 홈에 충전물을 채우는 공정에서 충전 효율성의 문제로 충전물을 반복적으로 채우는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과 고가 금속 원료의 폐기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정한 방향이나 배열을 포함하지 않은 복잡한 패턴 형성시 충전물의 충진성 저하로 수율 및 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어 복잡하고 미세한 전극 또는 배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저 저항의 금속패턴 형성 기술은 아직까지도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 10-2011-0100034에서는 임프린팅 공정으로 미세 홈을 형성하고 금속층을 그 홈에 충진하여 금속 미세선폭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충전물의 충전 효율성 및 서브 마이크론의 선폭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고 또한 저 저항의 전극을 형성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재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통하여 미세 선폭의 음각패턴 내로의 충진물의 충진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미세패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각패턴이 형성된 기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기재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재에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음각패턴 내로 상기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기재의 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기재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며 상기 기재에 충진물에 공급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충진물이 토출되도록 상기 기재와 접촉하는 단부에는 복수개의 분사공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상기 접촉부 측으로 공급되는 충진물이 유동하기 위한 유동로를 구비하며, 상기 충진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유동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동로로부터 공급되는 충진물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은 음각패턴이 형성되는 기재를 준비하는 기재 준비단계; 기재와 접촉한 상태의 충진부를 이용하여 기재에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충진부를 상기 기재와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충진물을 상기 음각패턴 내로 충진하는 회전충진단계; 상기 음각패턴 내의 충진물을 건조시키는 제1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부가 충진물을 기재 상에 공급함과 동시에 기재에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기재 상에 형성되는 미세선폭의 음각패턴 내에 충진물을 균일하게 충지할 수 있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충진물이 다공성 소재의 기공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충진물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충진부의 하단을 개방하여 충진물이 기재 상에서 유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를 회전시켜 기재를 따라 유동하는 충진물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음각패턴 내로의 충진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음각패턴 내에 충진되지 않은 충진물을 회수하고, 순환하여 충진하는데 재이용함으로써 충진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충진부의 후단에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충진물을 재충진함으로써 충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조된 충진물을 재용해하고 충진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충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충진부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의 회전충진단계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충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100)은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음각패턴(11)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미세패턴(P)을 최종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부(110)와 충진부(120)와 제1건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10)는 기재(10)를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인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장비로서, 다수개의 일반적인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이송부(110)를 구성하는 이러한 이송롤러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음각패턴(11)이 형성된 상태의 기재(10)가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기재로는 음각패턴(11)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며,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나일론(Nylon),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ether ketone, PEEK),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등의 투명한 기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표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제 플레이트, 불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불투명한 글라스 또는 불투명한 유리 섬유재 등의 불투명한 기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충진부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면하면, 상기 충진부(120)는 기재(10)와 접촉한 상태에서 충진물을 기재(10) 측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회전하여 공급되는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로 충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부(121)와 저장부(122)와 회전축(12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21)는 후술하는 저장부(122)에 저장된 충진물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기재(10)측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기재(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기재(10) 상의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로 유인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접촉부(12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121)는 다공성 소재(porous material)로 마련되어, 충진물이 다공성 소재의 기공 사이로 빠져나와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기재(10) 상에 충진물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의 접촉부(121)는 다공성 소재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접촉부(121)는 다공성 소재와 같은 자연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판형의 소재에 충진물이 지나갈 수 있는 다수개의 노즐공을 천공하는 방식으로 가공하여 접촉부(121)를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22)는 상술한 회전축(123)과 접촉부(121)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축(123) 내부의 유동로(124)로부터 공급되는 충진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저장부(122)는 내부에 충진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은 상술한 다공성 소재의 접촉부(121)가 부착되어 충진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감되고, 상단은 후술하는 회전축(123)과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축(123)은 저장부(12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충진부(120)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축(123)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충진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로(12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충진부(120)를 종합하여에 다시 설명하면, 회전축(123)의 하단에는 저장부(122)가 설치되고, 회전축(123)의 유동로(124)는 저장부(122)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여기에 충진물을 공급하며, 저장부(122)의 하단에는 접촉부(121)가 장착되어 저장부(122)의 내부공간을 마감하는 동시에 저장부(122)에 임시 저장되는 충진물은 다공성 소재로 마련되는 접촉부(121)의 기공을 통하여 하방으로 균일하게 공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충진부(120)에 의하여 공급되는 충진물로는 최종 형성되는 미세패턴(P)이 전극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우수한 전기적 전도성 특성을 가지는 잉크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충진물의 소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충진물은 전도성 금속 조성물로서 음각패턴(11) 내로의 충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제에 용해가 가능하거나 팽윤이 되고, 열이나 환원제 등의 후처리 공정으로 쉽게 환원되는 금속 착체 화합물 또는 금속 전구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착체 화합물 또는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켜 금속입자를 제조하여 혼합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혼합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용매, 안정제, 분산제, 바인더 수지(binder resin), 이형제, 환원제, 계면활성제(surfactant), 습윤제(wetting agent), 칙소제(thixotropic agent) 또는 레벨링(levelling)제, 증점제와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건조부(130)는 충진부로부터 기재(10)의 이송방향을 따라 후방에 배치되며, 충진부(120)를 통과하면서 기재(10)의 음각패턴(11) 내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건조함으로써 최종 미세패턴(P)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S100)은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110)와 제1건조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 준비단계는 유연한(flexible) 특성의 기재(10) 상에 미세 선폭의 음각패턴(11)을 형성하여 기재(10)를 준비하는 동시에, 준비된 기재(10)를 이송부(11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재(10)에 홈 형태의 음각패턴(11)을 형성하는 것은 임프린팅 공정을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로 직접 기재(10)를 식각하는 방법,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외에도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정 중 형성하고자하는 음각패턴(11)의 선폭, 깊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충진단계(S110)는 충진부(120)를 통하여 기재(10)에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음각패턴(11)의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이다.
먼저, 충진부(120)의 하면을 기재(10)의 상면과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축(123) 내부의 유동로(124)를 통하여 충진물을 저장부(122) 측으로 공급한다.
회전축(123)의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진물은 저장부(122) 내에서 임시 저장되고, 저장부(122)의 하단을 마감하며 다공성 소재로 구성되는 접촉부(121)의 기공을 통하여 기재(10) 측으로 균일하게 배분, 공급된다.
충진물의 공급과 동시에, 기재(10)와 접촉한 상태의 충진부(120)는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이송부(110)에 의한 기재(10)의 이송과 함께 충진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기재(10) 위로 공급되는 충진물은 음각패턴(11)의 내부로 유인, 충진된다.
즉, 본 단계에 대해서 다시 설명하면, 기재(10)와의 면접촉한 상태에서 기재(10) 상으로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기재(10)의 면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충진물과 기재(10)를 마찰함으로써, 충진물이 음각패턴(11)의 내부에 균일하게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1건조단계(S120)는 회전충진단계(S110) 이후에 음각패턴(11)에 충진된 충진물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미세패턴(P)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1건조단계(S120)에서의 건조는 80℃ 내지 400℃ 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최종 형성되는 미세패턴(P)의 충진물의 두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 마이크론 이하일 수 있으며, 0.1 마이크론 이상 5 마이크론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기재(10)에 접촉하는 회전체의 회전회동을 이용하여 기재(10) 상에 도포되는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부로 균일하고 정확하게 유인, 충진하여 미세패턴(P)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200)은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음각패턴 내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미세패턴을 최종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부(110)와 충진부(120)와 제1건조부(130)와 진동인가부(24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이송부(110)와 상기 충진부(120)와 상기 제1건조부(13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동인가부(240)는 기재(10)와 접촉하는 충진부(120)가 소정의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인가한다. 이때, 충진부(120)는 기재(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고,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복합적으로 진동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S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200)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S200)은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210)와 제1건조단계(S120)를 포함하며, 기재 준비단계와 제1건조단계(S12)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공정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4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의 회전충진단계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충진단계(S210)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충진부(120)가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회전하여 기재(10) 및 충진물을 마찰함으로써 기재(10) 상에 공급되는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로 충진시킨다. 이와 동시에, 음각패턴(11) 내로의 충진물 충진효율 향상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진동인가부(240)는 충진부(120)가 진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인가한다.
이때, 충진부(120)는 기재(10)와 접촉한 상태에서 전후방향, 좌우방향 또는 이들을 복합한 형태로 진동할 수 있으며, 진동방향, 진동폭, 진동수 등은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음각패턴(11)의 깊이, 선폭, 기재(10)의 이송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충진부(120)가 회전하여 마찰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방향을 따라 진동하도록 설계되므로, 음각패턴(11) 내로의 충진물 충진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300)은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음각패턴(11) 내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미세패턴을 최종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부(110)와 충진부(320)와 제1건조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이송부(110)와 상기 제1건조부(13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6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충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부(320)는 기재(10)와 접촉한 상태에서 충진물을 기재(10) 측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회전하여 공급되는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로 충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부(321)와 회전축(327)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321)는 기재(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서, 케이싱(322)과 격벽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322)은 후술하는 회전축(327)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동로(L1)로부터 공급받는 충진물을 하면에 형성되는 충진로(325)를 통하여 이동시키고, 충진로(325)를 따라 이송되는 도중에 음각패턴(11) 내에 충진되지 않은 충진물을 회수하여 다시 회전축(327)으로 전달한다.
케이싱(322)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고, 하면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케이싱(322)의 수용공간 내부에는 후술하는 격벽부(323)가 장착되어 충진로(325) 및 회수로(326)가 형성된다.
한편, 기재(10)와 접촉하는 케이싱(322)의 부분, 즉, 케이싱(322) 하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별도의 씰링부재가 장착되어 케이싱(322) 내부의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충진물이 케이싱(322)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23)는 충진로(325) 및 회수로(326)가 형성되도록 케이싱(322)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격벽부(323)는 원형의 판형상으로,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케이싱(322)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중앙에는 관통공(324)이 형성된다. 한편, 격벽부(323)는 후술하는 회전축(327) 내부의 제1유동로(L1)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수용공간에 격벽부(323)가 설치됨에 따라, 케이싱(322)의 최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격벽부(323)까지의 공간에는 충진물을 기재(10) 상에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인 충진로(325)가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상측벽면으로부터 격벽부(323)까지의 공간에는 충진로(325) 유동 후에 음각패턴(11)에 충진되지 않은 충진물을 회수하기 위한 통로인 회수로(326)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7)은 접촉부(32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충진부(327) 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관형의 부재이며, 회전축(327)은 내부에는 충진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동로(L1)와 제2유동로(L2)를 형성하고, 회전축(327)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부재(328)에 의하여 제1유동로(L1)와 제2유동로(L2)가 분할된다. 한편, 상술한 격벽부(323)는 회전축(327) 내부의 유동공간을 분할하는 구획부재(328)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유동로(L1)는 충진로(325)와 연통하여 충진물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제1유동로(L1)는 격벽부(323)에 형성되는 관통공(324)을 통하여 충진로(325)와 연통한다.
상기 제2유동로(L2)는 구획부재(328)에 의하여 제1유동로(L1)와 격리되는 공간으로서, 회수로(326)와 연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300)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S300)은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310)와 제1건조단계(S120)를 포함하며, 기재 준비단계와 제1건조단계(S12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공정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충진단계(S310)는, 먼저, 접촉부(321)의 하단이 기재(10)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축(327) 내부의 제1유동로(L1)를 통하여 충진물을 공급한다. 충진물은 관통공(324)을 통과하여 격벽부(323)와 기재(10) 사이의 공간인 충진로(325) 내를 유동한다. 이때, 충진로(325) 내를 유동하는 충진물은 기재(10)를 따라 유동하면서 음각패턴(11) 내로 충진된다.
한편, 충진부(320)는 충진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회전축(327)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충진로(325) 내를 유동하는 충진물은 회전류를 발생시켜 음각패턴(11) 내부로의 충진 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충진로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일부 충진물은 음각패턴(11)에 충진되고, 일부는 기재(10) 상에 남게 되는데, 나머지 충진물은 케이싱(322)의 내벽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수용공간과 격벽부(323)와의 사이 공간인 회수로(326)에 도달한다.
회수로(326)에 도달한 충진물은 연결되는 제2유동로(L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에 제1유동로(L1)에 공급되거나, 또는 곧바로 제1유동로(L1)를 통하여 재공급되어 기재(10) 상에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여, 음각패턴(11) 내부를 충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물이 기재(10)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음각패턴(11) 내로의 충진물의 충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400)은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음각패턴(11) 내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미세패턴(P)을 최종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부(110)와 충진부(120)와 제1블레이드(450)와 제1건조부(130)를 포함하며, 이송부(110)와 충진부(120)와 제1건조부(13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블레이드(450)는 충진부(120)와 제1건조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재(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는 것으로, 충진부(120)를 통과한 후에도 기재(10) 상에서 음각패턴(11) 내로 충진되지 못하고 잔류되는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로 충진하는 부재이다.
즉, 충진부(120)로부터 처리가 완료되지 못한 기재(10) 상의 충진물을 제1블레이드(450)를 이용하여 음각패턴(11) 내로 재충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400)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S400)은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110)와 제1충진단계(S430)와 제1건조단계(S120)를 포함하며,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110)와 제1건조단계(S12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공정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충진단계(S430)에서는 회전충진단계(S110)에서 완벽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기재(10) 상에 잔류하는 충진물을 제1블레이드(450)를 이용하여 음각패턴(11) 내에 재충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부(120)의 회전회동과 동시에 고정된 상태의 제1블레이드(450)를 통하여 충진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충진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500)은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음각패턴(11) 내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미세패턴(P)을 최종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부(110)와 충진부(120)와 제1블레이드(450)와 제1건조부(130)와 에천트 도포부(560)와 제2블레이드(570)와 제2건조부(580)를 포함하며, 이송부(110)와 충진부(120)와 제1블레이드(450)와 제1건조부(130)는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천트 도포부(560)는 제1건조부(130)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술한 충진부(120)와 제1블레이드(450)를 통과한 후에도 기재(10) 상에 잔류하는 충진물의 최종 충전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에천트를 도포하여 기재(10) 상에 건조된 상태로 잔류하는 충진물을 용해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천트는 음각패턴(11) 내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나, 산화제와 금속 화합물을 용해 시킬 수 있는 암모늄 카바메이트계열, 암모늄 카보네이크계열,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계열, 카르복실산 계열, 락톤 계열, 릭탐 계열, 환상 산 무수물 계열 화합물,산-염기 염복합체, 산-염기-알코올 계 복합체, 머켑토 계열 화합물 등이 에천트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에천트는 기재(10) 표면의 미 충진된 금속층을 효과적으로 용해하고 미세한 음각패턴(11)으로 금속의 재 충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에칭액 조성물에 친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칭액 화합물 성분의 탄소수를 조절하여 선택해 친수 특성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블레이드(570)는 에천트 도포부(560)의 후단에 설치되며, 에천트 도포부(560)로부터 도포된 에천트에 의하여 용해되는 충진물을 음각패턴(11) 내로 최종 충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건조부(580)는 제2블레이드(57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블레이드(570)에 의하여 음각패턴(11) 내로 최종 충진되는 충진물을 건조함으로써, 미세패턴(P)을 최종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500)을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S500)은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110)와 제1충진단계(S430)와 제1건조단계(S120)와 용해단계(S540)와 제2충진단계(S550)와 제2건조단계(S560)를 포함하며, 기재 준비단계와 회전충진단계(S110)와 제1충진단계(S430)와 제1건조단계(S120)는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상술한 공정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용해단계(S540)는 에천트 도포부(560)를 통하여 기재(10) 상에 에천트를 도포하여 음각패턴(11) 내로 충진되지 못하고 제1건조부(130)에 의하여 건조된 기재(10) 상의 충진물을 재용해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에서는 제1건조부(130)에 의하여 건조됨으로써 유동성을 잃은 기재(10)의 잔류 충진물의 유동성을 되살려 후술하는 제2충진단계(S550)를 통하여 음각패턴(11) 내에 최종 충진시킬 수 있도록 재용해한다.
상기 제2충진단계(S560)는 용해단계(S540)에서 용해된 상태의 기재(10) 상의 충진물을 제2블레이드(570)를 이용하여 음각패턴(11) 내로 재충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건조단계(S570)는 제2충진단계(S560)에서 최종적으로 충진되는 음각패턴(11) 내의 충진물을 최종 건조하여, 미세패턴(P)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블레이드(570)를 통한 충진물 충진공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충진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이송부 120 : 충진부
130 : 제1건조부 240 : 진동인가부
450 : 제1블레이드 560 : 에천트 도포부
570 : 제2블레이드 580 : 제2건조부

Claims (4)

  1. 음각패턴이 형성된 기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기재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재에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음각패턴 내로 상기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기재의 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기재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며 상기 기재에 충진물에 공급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충진물이 토출되도록 상기 기재와 접촉하는 단부에는 복수개의 분사공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상기 접촉부 측으로 공급되는 충진물이 유동하기 위한 유동로를 구비하며,
    상기 충진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유동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동로로부터 공급되는 충진물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4. 음각패턴이 형성되는 기재를 준비하는 기재 준비단계;
    기재와 접촉한 상태의 충진부를 이용하여 기재에 충진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충진부를 상기 기재와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충진물을 상기 음각패턴 내로 충진하는 회전충진단계;
    상기 음각패턴 내의 충진물을 건조시키는 제1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20140076688A 2014-06-23 2014-06-23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140116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88A KR20140116040A (ko) 2014-06-23 2014-06-23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88A KR20140116040A (ko) 2014-06-23 2014-06-23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940A Division KR101541153B1 (ko) 2013-03-20 2013-03-20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40A true KR20140116040A (ko) 2014-10-01

Family

ID=5199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88A KR20140116040A (ko) 2014-06-23 2014-06-23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6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Ultrathin high-resolution flexographic printing using nanoporous stamps
US84353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ll-to-roll patterning
JP3539179B2 (ja) 基板、基板の製造方法、集積回路および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6950767B2 (ja) デバイス製造方法
JPH11334048A (ja) パターン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装置、パターン形成用版およびパターン形成用版の製造方法
CN101900937A (zh) 压印光刻方法和设备
KR20120123300A (ko)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주형
US20050110397A1 (en) Film forming metho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optic device
EP2991774A1 (en) Slot-die coating method, apparatus, and substrate
US7601386B2 (en) Process for forming a film,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iu et al. Inkjet printing controllable polydopamine nanoparticle line array for transparent and flexible touch‐sensing application
US20170333936A1 (en) Segmented or selected-area coating
KR101541153B1 (ko)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1296932B1 (ko) 나노패턴노즐을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Ali et al. Memristor fabrication through printing technologies: A review
Lee et al. High-resolution conductive patterns fabricated by inkjet printing and spin coating on wettability-controlled surfaces
JP2005028276A (ja) 膜形成方法、デバイス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Zikulnig et al.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i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hybrid electronic sensor systems
Wang et al. A self‐correcting inking strategy for cantilever arrays addressed by an inkjet printer and used for dip‐pen nanolithography
KR20140116040A (ko)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1475701B1 (ko)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및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140116039A (ko) 미세패턴 형성 시스템
KR101248862B1 (ko) 액체 유동층을 매개로 하는 나노 전사 롤 투 롤 인쇄법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JP2016093931A (ja) アニロックスローラー、アニロックスローラーを備えた印刷装置およびアニロックスローラーを用いた印刷物の製造方法
JP2015223813A (ja) 印刷版、印刷装置、印刷法、及び電子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