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996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996A
KR20140115996A KR1020140031690A KR20140031690A KR20140115996A KR 20140115996 A KR20140115996 A KR 20140115996A KR 1020140031690 A KR1020140031690 A KR 1020140031690A KR 20140031690 A KR20140031690 A KR 20140031690A KR 20140115996 A KR20140115996 A KR 2014011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images
group
unit
positional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361B1 (ko
Inventor
가즈토 야마모토
쥰 무라키
가나코 나카노
쇼헤이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화상을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처리할 때의 수고를 경감하기 위해, 화상 처리 장치(1)는 화상 선택부(43)와, 섬네일 생성부(44)와, 관련 지음부(45)와, 실행부(46)를 갖춘다. 화상 선택부(43)는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한다. 섬네일 생성부(44)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한다. 관련 지음부(45)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섬네일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다. 실행부(46)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골프나 테니스의 스윙이나 야구의 배팅 폼 등, 스포츠에서의 사용자 자신의 폼 화상과 프로의 폼 화상 등, 견본이 되는 화상과의 2개의 화상을 비교 가능한 상태로 늘어놓은 표시(이하,「2화면 표시」라고 부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313362호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회의 2화면 표시가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2화면 표시의 대상이 되는 2개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를 선택하거나 또는, 2개의 화상 배치(예를 들면, 2화면 표시의 좌우의 어느 쪽에 표시시킬 것인지 등)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으로서, 상당히 수고스럽고 귀찮은 조작을 그때마다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2화면 표시 이외에도 예를 들면, 2개의 화상을 연속해서 전환하여 같은 위치에 표시시킴으로서 비교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를 처리할 때의 수고를 경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관점에 관련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하는 화상 선택부와,
상기 화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부와,
상기 화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부와,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관점에 관련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하는 화상 선택 스텝과,
상기 화상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스텝과,
상기 화상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스텝에 있어서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스텝과,
상기 관련 지음 스텝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관점에 관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는
컴퓨터에,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하는 화상 선택 기능,
상기 화상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기능,
상기 화상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기능,
상기 관련 지음 기능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기능으로서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관점에 관련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부와,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의 관점에 관련하는 화상 처리 방법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스텝과,
상기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스텝에 있어서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스텝과,
상기 관련 지음 스텝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의 관점에 관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컴퓨터에,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선택 기능,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기능,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기능,
상기 관련 지음 기능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기능으로서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를 처리할 때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섬네일 등록 처리 및 재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섬네일 조의 관련 지음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관련 지음이 이루어진 섬네일 조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가 2화면 동시 재생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관련 지음이 이루어진 섬네일 조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각 위치 관계 마다의 섬네일 조의 실제의 표시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제 1 실시 형태의 섬네일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재생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제 2 실시 형태의 섬네일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제 3 실시 형태의 섬네일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촬상부(16)와, 입력부(17)와, 출력부(18)와, 기억부(19)와, 통신부(20)와, 드라이브(21)를 갖추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9)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통신부(20) 및 드라이브(21)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16)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해당 피사체의 상을 포함하는 화상(이하, 「촬상 화상」이라고 칭함)의 디지털 신호(화상 신호)를 CPU(11)에 공급한다. 여기서, 촬상 화상의 디지털 신호(화상 신호)를「촬상 화상의 데이터」라고 적절히 부른다.
입력부(17)는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서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1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고,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19)는 하드 디스크 혹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20)는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1)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3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1)에 의해서 리무버블 미디어(31)로부터 읽어 내어진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19)에 인스톨된다. 또, 리무버블 미디어(31)는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섬네일 등록 처리 및 재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섬네일 등록 처리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사람(여기서는 설명의 간략상, 화상 처리 장치(1)의 사용자나 프로 골퍼 등)이 골프의 스윙 동작을 하고 있는 모습이 비치는 2개의 동화상이 재생 대상으로 된다. 이하, 이러한 동화상을「재생 대상 동화상」이라고 부른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이 병렬로 나열되어 2화면 동시 재생이 실행되거나, 어느 한쪽의 동화상이 재생된 후에 다른 쪽의 동화상이 재생되는 바와 같은 순차 재생이 실행된다.
사용자는 2화면 동시 재생이나 순차 재생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을 지시하고 또한, 그들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의 표시시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조작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2화면 동시 재생이나 순차 재생이 실행되기 전에, 사용자가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에 대한 각종 지시 조작에 수반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으면, 사용자는 편리하다. 특히, 2화면 동시 재생이나 순차 재생이 복수회 반복하여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편리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시된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의 커플링(조)을 선택하고,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에 대응하는 섬네일 조의 각 데이터를 생성하고,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섬네일 조를 관련지은 후에, 섬네일 조의 각 데이터를 기억부(19)에 기억(등록)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가 재생될 때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배치의 각 조합(패턴)마다, 그 조합 방식과 섬네일 조를 관련짓는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이하,「섬네일 등록 처리」라고 부른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에 관련된 섬네일 조를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배치의 복수의 조합(패턴)마다 그 조합이 사용자에게 시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 내용을 시인하면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배치의 복수의 조합(패턴) 중, 원하는 조합에 관련된 섬네일 조를 지시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조작 내용을 인식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섬네일 조에 관련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선택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1)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섬네일 조에 관련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배치로 재생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이하,「재생 처리」라고 부른다.
이러한 섬네일 등록 처리 및 재생 처리의 실행이 제어되는 경우, 도 2에 나타나듯이 CPU(11)에 있어서는 주 제어부(41)와,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와, 화상 선택부(43)와, 섬네일 생성부(44)와, 관련 지음부(45)와, 실행부(46)가 기능한다.
기억부(19)의 1 영역으로서, 화상 기억부(51)와, 섬네일 기억부(52)와, 관련 정보 기억부(53)가 마련되어 있다.
화상 기억부(51)에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동화상상의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화상 기억부(51)에 기억되어 있는 동화상의 데이터는 촬상부(16)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라도 좋고, 도시하지 않은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통신부(20)에 수신된 화상의 데이터라도 좋다.
섬네일 기억부(52)에는 후술하는 섬네일 생성부 (44)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후술하는 관련 정보 기억부(53)에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관련 정보 및 제 2 관련 정보가 기억된다. 제 1 관련 정보 및 제 2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주 제어부(41)는 화상 처리 장치(1) 전체의 제어, 특히 후술하는 도 8의 섬네일 등록 처리 및 도 9의 재생 처리에 수반하는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사용자 조작 접수부(42)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장치(17)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조작하여, 화상 기억부(5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동화상의 데이터 중에서, 재생 대상 동화상의 데이터 조(여기서는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으로 이루어진 조)를 지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 접수부(42)는 그 지시 결과를 접수한다.
화상 선택부(43)는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된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화상 기억부(5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동화상의 데이터 중에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선택한다.
섬네일 생성부(44)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에 대응하는 섬네일 조의 각 데이터를 생성한다.
재생 대상 동화상의 섬네일은 해당 재생 대상 동화상을 특정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해당 재생 대상 동화상보다도 질이 낮은 화상을 말한다. 즉, 섬네일은 재생 대상 동화상보다도 질이 낮은 화상이라면 충분하고, 소정 간격으로 몇 개인가의 프레임이 솎아내어진 동화상이나, 소정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이라도 좋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나 도 6에 나타나듯이,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의 1화면에 섬네일 조가 복수 표시되는 관계상, 섬네일로서는 각 프레임의 해상도가 낮게 된 동화상(축소 화상)이 채용되고 있다.
또, 도 4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섬네일 조의 표시 형태로서는 해당 조에 속하는 복수개(여기서는 2개)의 섬네일이 공간적으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1화면 전체에 표시되는 형태가 채용된다. 이 때문에, 섬네일 생성부(44)는 이러한 표시가 가능하게 되도록, 재생 대상 동화상에 대한 애스펙트비를 변경한 후에, 해상도를 낮춘 섬네일의 데이터를 몇 종류인가 생성한다. 환언하면, 섬네일 생성부(44)는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의 1화면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복수(여기서는 2개)의 섬네일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도록, 각각의 섬네일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공간적 위치 관계는 2개의 화상이 공간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위치 관계를 말하며, 예를 들면, 종,횡 혹은 비스듬히 나열되어 있는 관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는 관계, 또는, 2개의 화상이 중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관계가 해당한다.
또, 시간적 위치 관계는 재생시의 시간축 상에 2개의 화상이 나열되어 있는 관계를 말하며, 예를 들면,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재생되는 2개의 화상에서의 양자의 재생 시각의 관계가 해당한다.
이상 정리하면, 섬네일 생성부(44)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에 대응하는 섬네일 조의 데이터를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 형태의 패턴(후술하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만큼 생성한다. 예를 들면,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이 가로로 나란히 2화면 동시 재생되는 패턴의 경우에는 횡 방향의 비율이 작아지도록 애스펙트비가 변환된 2개의 섬네일 조(후술하는 도 7의 조 ST1 참조)의 각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에 대해서,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이 세로로 나란히 2화면 동시 재생되는 패턴의 경우에는 종방향의 비율이 작아지도록 애스펙트비가 변환된 2개의 섬네일 조(후술하는 도 7의 조 ST3 참조)의 각 데이터가 생성된다.
섬네일 생성부(44)는 이렇게 해서 재생 형태의 패턴마다 생성한 섬네일 조(커플링)의 전체 데이터를 섬네일 기억부(52)에 기억시킨다.
관련 지음부(45)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그에 대응하여 섬네일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 조를 관련짓는다. 또, 이하, 후술하는 위치 관계와의 관련 지음과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섬네일 조와의 관련 지음을 특히,「제 1 관련 지음」이라고 부른다.
관련 지음부(45)는 제 1 관련 지음에 대해서 또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가 출력부(18)에 표시될 때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또한 관련짓는다. 이러한 관련 지음을 제 1 관련 지음과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 이하,「제 2 관련 지음」이라고 부른다.
관련 지음부(45)는 제 1 관련 지음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하,「제 1 관련 정보」라고 부른다)와, 제 2 관련 지음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하,「제 2 관련 정보」라고 부른다)를 생성하여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기억시킨다.
또,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관련 지음부(45)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섬네일 조의 관련 지음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나듯이, 화상 기억부(51)에는 n개(n은 2이상의 정수값)의 동화상 G1, G2…, Gn(n은 1이상의 자연수)의 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이들 중 2개의 동화상 G1, G2의 조가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로서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섬네일 생성부(44)는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에 대해서, 섬네일 S1, S2의 조의 각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관련 지음부(45)는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커플링)와 각각에 대응하는 섬네일 S1, S2의 조에 대한 제 1 관련 지음을 실행하고, 제 1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관련 지음부(45)는 제 1 관련 지음에 대해서 또한,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가 출력부(18)로부터 표시될 때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제 2 관련 지음을 실행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제 2 관련 지음에 의해,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1 및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2와 시간적인 위치 관계 SG3이 제 1 관련 지음에 대해서 또한 관련지어진다.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1은 섬네일 S1, S2가 횡배열의 위치 관계 즉,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가 횡배열로 2화면 동시 재생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관계이다.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2는 섬네일 S1, S2가 종배열의 위치 관계, 즉,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가 종배열로 2화면 동시 재생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위치 관계이다.
시간적인 위치 관계 SG3은 섬네일 S1, S2가 그 순서대로 재생되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 즉,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에 의한 순차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관계이다.
도 2로 돌아가서, 실행부(46)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 지음(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관련 지음 및 제 2 관련 지음)이 이루어진 섬네일 조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관련지어져 있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자동 선택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행부(46)에 의해 실행되는 소정의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관련 지음이 이루어진 섬네일 조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제 1 관련 지음이 실행되어,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제 2 관련 지음이 실행되면, 실행부(46)는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섬네일 조가 복수 포함되는 화상을 출력부(18)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실행부(46)는 제 1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를 인식함과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섬네일 S1, S2의 조를 인식한다. 다음에, 실행부(46)는 제 2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복수의 패턴을 인식하여, 섬네일 S1, S2의 조를 인식한 패턴마다 각각 배치하여 출력부(18)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섬네일 S1, S2의 조 ST1은 도 3의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1의 패턴 즉,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을 좌측에 또한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를 우측에 횡배열하여 배치하는 패턴에 따라서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섬네일 S1, S2의 조 ST2는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이며,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를 좌측에 또한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을 우측에 횡배열로 배치하는 패턴에 따라서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섬네일 S1, S2의 조 ST3은 도 3의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2의 패턴 즉,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을 상측에 또한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를 하측에 종배열로 배치하는 패턴에 따라서 출력부(18)에 표시시킨 것이다.
섬네일 S1, S2의 조 ST4는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이며,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를 상측에 또한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을 하측에 종배열로 배치하는 패턴에 따라서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섬네일 S1, S2의 조 ST5는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이며,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를 친(親)화면으로서 전체 화면 표시시키고,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을 자(子)화면으로서 친화면의 위에 중첩시켜 배치하는 패턴에 따라서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섬네일 S1, S2의 조 ST6은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이며,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을 친화면으로서 전체 화면 표시시키고,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를 자화면으로서 친화면의 위에 중첩해서 배치하는 패턴에 따라서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이처럼, 섬네일 S1, S2의 조 ST1 내지 ST6이 일람 표시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가 2화면 동시 재생되는 경우에서의 표시 형태 중,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각종 패턴을 용이하게 이미지할 수 있다.
거기서, 사용자는 도 4에 나타나는 화상이 출력부(18)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7)를 조작함으로서,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가 2화면 동시 재생되는 경우에서의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각종 패턴 중으로부터 원하는 1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조작해서 섬네일 S1, S2의 조 ST1 내지 ST6 중, 원하는 표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조를 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 조작 접수부(42)는 그 지정 결과를 접수한다. 실행부(46)는 소정의 처리로서, 지정 결과로부터 특정되는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에 따라서,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를 공간적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출력부(18)로부터의 2화면 동시 재생을 실행한다.
도 5는 도 4의 섬네일 S1, S2의 조 ST1이 선택된 경우에,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가 2화면 동시 재생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의 섬네일 S1, S2의 조 ST1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에는 도 3의 공간적인 위치 관계 SG1의 패턴에 따라서, 도 5에 나타나듯이, 재생 대상 동화상 G1이 좌측에 또한 재생 대상 동화상 G2가 우측에 횡배열로 배치된 상태에서, 출력부(18)로부터 2화면 동시 재생이 실행된다.
도 6은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관련 지음이 이루어진 섬네일 조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제 1 관련 지음이 실행되고,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제 2 관련 지음이 실행되면, 실행부(46)는 도 6에 나타나는 것 같은 섬네일 조가 복수 포함되는 화상을 출력부(18)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실행부(46)는 제 1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를 인식함과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섬네일 S1, S2의 조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실행부(46)는 제 2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복수의 패턴을 인식하고, 섬네일 S1, S2의 조를 인식한 패턴마다 모식적으로 배치하여 출력부(18)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섬네일 S1, S2의 조 ST7은 도 3의 시간적인 위치 관계 SG3의 패턴 즉,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이 먼저 표시된 후에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가 후에 표시되는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듯이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섬네일 S1, S2의 조 ST8은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은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이며, 섬네일 S2(재생 대상 동화상 G2)가 먼저 표시된 후에, 섬네일 S1(재생 대상 동화상 G1)이 후에 표시되는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도록, 출력부(18)에 표시된 것이다.
이처럼, 섬네일 S1, S2의 조 ST7 및 ST8이 표시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가 순차 재생되는 경우에서의 표시 형태 중, 시간적인 위치 관계(어느 쪽이 먼저 재생되고 어느 쪽이 후에 재생되는지에 대한 관계)의 각종 패턴을 용이하게 이미지할 수 있다.
거기서, 사용자는 도 6에 나타나는 화상이 출력부(18)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7)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가 순차 재생되는 경우에서의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각종 패턴 중에서, 원하는 1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조작해서, 섬네일 S1, S2의 조 ST7 및 ST8 중, 원하는 표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조를 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 조작 접수부(42)는 그 지정 결과를 접수한다. 실행부(46)는 소정의 처리로서, 지정 결과로부터 특정되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에 따라서 재생 대상 동화상 G1, G2의 조를 시간적으로 배치시키고, 즉 그 배치 순번을 시간적인 재생 순번으로 해서, 출력부(18)로부터의 순차 재생을 실행한다.
또한, 섬네일 조가 표시될 때의 애스펙트비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섬네일 조에 대응하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는 출력부(18)에 전체 화면 표시되기 때문에, 그 애스펙트비는 출력부(18)와 마찬가지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의 각각의 애스펙트비는 그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도 5 등 참조). 따라서, 섬네일 조는 대응하는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의 이미지를 사전에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목적이 있다는 관점에서, 섬네일 조 전체의 애스펙트비는 출력부(18)와 마찬가지이면 바람직하다.
도 7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각 위치 관계마다의 섬네일 조의 실제의 표시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횡배열의 2화면 동시 재생을 나타내는 섬네일 조 ST1, 종배열의 2화면 동시 재생을 나타내는 섬네일 조 ST3, 및 순차 재생을 나타내는 섬네일 조 ST7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전체의 애스펙트비는 출력부(18)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다만, 그 결과로서, 횡배열의 2화면 동시 재생을 나타내는 섬네일 조 ST1에 대해서는 각 섬네일 S1, S2의 애스펙트비는 출력부(18)와 비교하여 횡방향의 비율이 작아지게 되어 있다. 한편, 종배열의 2화면 동시 재생을 나타내는 섬네일 조 ST3에 대해서는 각 섬네일 S1, S2의 애스펙트비는 출력부(18)와 비교하여 종방향의 비율이 작게 되어 있다. 또, 순차 재생을 나타내는 섬네일 조 ST7에 대해서는 각 섬네일 S1, S2의 애스펙트비는 출력부(18)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도 2의 기능적 구성의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섬네일 등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섬네일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섬네일 등록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7)에 대한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계기로 해서 개시되며,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1에 있어서, 화상 선택부(43)는 화상 기억부(5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동화상의 데이터 중에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선택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섬네일 생성부(44)는 스텝 S11에 있어서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에 대해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만큼 섬네일 조를 생성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관련 지음부(45)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섬네일 조의 관련 지음의 정보(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관련 정보 및 제 2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등록(기억)시킨다.
스텝 S14에 있어서, 관련 지음부(45)는 스텝 S12에 있어서 생성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 형태의 패턴(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 만큼의 섬네일 조를 섬네일 기억부(52)에 등록(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섬네일 등록 처리는 종료로 된다.
섬네일 등록 처리가 종료하면, 등록된 각 섬네일 조(커플링)의 일람 표시의 화상, 예를 들면, 상술한 도 4나 도 6에 나타나는 화상이 출력부(18)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그 화상을 보면서 입력부(17)를 조작함으로서, 원하는 표시 형태의 섬네일 조를 지정할 수 있다. 이 지정 조작이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되어, 실행부(46)에 통지되면, 도 9에 나타내는 재생 처리가 개시된다.
도 9는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재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31에 있어서, 실행부(46)는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된 지정 조작의 내용에 의해서 섬네일 조를 선택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실행부(46)는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기억된 제 1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스텝 S31에 있어서 선택된 섬네일 조에 관련지어진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검색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실행부(46)는 스텝 S32에 있어서 검색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각 데이터를 화상 기억부(51)로부터 읽어낸다.
스텝 S34에 있어서, 실행부(46)는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기억된 제 2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스텝 S31에 있어서 선택된 섬네일 조에 관련지어진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로, 스텝 S33에 있어서 읽어 내어진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을 개시시킨다.
스텝 S35에 있어서, 실행부(46)는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아직 종료하지 않은 경우, 스텝 S35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다시 스텝 S35의 처리로 돌아간다. 즉,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스텝 S35의 판정 처리가 반복 실행되어, 재생 처리가 대기 상태로 된다.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종료하면, 스텝 S35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재생 처리는 종료로 된다.
이상,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한 것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기도 하다.
또,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적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단지, 섬네일 등록 처리에 대해서, 섬네일 생성부(44)는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조합 가능한 모든 위치 관계의 섬네일 조를 생성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된 위치 관계의 섬네일 조만을 생성한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의 섬네일 등록 처리 대신에, 도 10의 섬네일 등록 처리가 실행된다.
도 10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제 2 실시 형태의 섬네일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51에 있어서, 화상 선택부(43)는 화상 기억부(5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에서,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위치 관계를 1개 이상 지정할 수 있다. 이 지정 조작이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되어 화상 선택부(43)에 통지되면 처리는 스텝 S52로 진행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화상 선택부(43)는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된 지정 조작의 내용에 의거하여,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1개 이상 선택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섬네일 생성부(44)는 스텝 S51에 있어서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에 대해서, 스텝 S52에 있어서 선택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만큼 섬네일 조를 생성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관련 지음부(45)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와 섬네일 조의 관련 지음 정보(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관련 정보 및 제 2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등록(기억)시킨다.
스텝 S55에 있어서, 관련 지음부(45)는 스텝 S53에 있어서 생성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선택된 재생 형태의 패턴(선택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 만큼의 섬네일 조를, 섬네일 기억부(52)에 등록(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섬네일 등록 처리는 종료로 된다.
이상,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으로,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 형태]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하는 것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한 화상 처리 장치(1)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적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다만,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한 섬네일 등록 처리에서는 섬네일 생성부(44)는 조합 가능한 모든 위치 관계의 섬네일 조를 생성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한 섬네일 등록 처리에서는 섬네일 생성부(44)는 표시된 위치 관계의 섬네일 조만을 생성한다. 따라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의 섬네일 등록 처리 대신에, 도 11의 섬네일 등록 처리가 실행된다.
도 11은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제 3 실시 형태의 섬네일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71에 있어서, 화상 선택부(43)는 화상 기억부(5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에서, 재생 대상 동화상 조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입력부(1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위치 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 이 지정 조작이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되어 화상 선택부(43)에 통지되면, 처리는 스텝 S72로 진행한다.
스텝 S72에 있어서, 화상 선택부(43)는 사용자 조작 접수부(42)에 의해 접수된 지정 조작의 내용에 의거하여,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한다.
스텝 S73에 있어서, 실행부(46)는 스텝 S72에 있어서 선택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로, 스텝 S71에 있어서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을 개시시킨다.
스텝 S74에 있어서, 실행부(46)는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아직 종료하지 않은 경우, 스텝 S74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처리는 다시 스텝 S74의 처리로 돌아간다. 즉,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스텝 S74의 판정 처리가 반복 실행되며, 섬네일 등록 처리가 대기 상태로 된다.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재생이 종료하면, 스텝 S75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75로 진행한다.
스텝 S75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 접수부(42)는 사용자의 입력부(17)의 조작에 의한 섬네일의 등록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섬네일 등록을 원하지 않고, 등록의 지시 조작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5에 있어서 NO로 판정되고, 섬네일 등록 처리는 종료로 된다.
이것에 대해, 사용자가 섬네일 등록을 원하여 등록의 지시 조작을 한 경우에는 스텝 S75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76로 진행한다.
스텝 S76에 있어서, 섬네일 생성부(44)는 스텝 S71에 있어서 선택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에 대해서, 스텝 S72에 있어서 선택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만큼, 섬네일 조를 생성한다.
스텝 S77에 있어서, 관련 지음부(45)는 재생 대상 동화상 조와 섬네일 조의 관련 지음 정보(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관련 정보 및 제 2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관련 정보 기억부(53)에 등록(기억)시킨다.
스텝 S78에 있어서, 관련 지음부(45)는 스텝 S76에 있어서 생성된 재생 대상 동화상 조의 선택된 재생 형태의 패턴(선택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의 수 만큼의 섬네일 조를 섬네일 기억부(52)에 등록(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섬네일 등록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화상 선택부(43)와, 섬네일 생성부(44)와, 관련 지음부(45)와, 실행부(46)를 갖춘다.
화상 선택부(43)는 소정의 처리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한다. 섬네일 생성부(44)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한다. 관련 지음부(45)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예를 들면, 상술한 제 1 관련 정보)와, 섬네일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다. 실행부(46)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화상이 관련지어져 있는지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이 자동 선택되어 소정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화상을 복수 선택하는 등의 처리를 할 때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관련 지음부(45)는 섬네일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섬네일을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실행부(46)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섬네일에 대한 선택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섬네일 중,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선택된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가 자동 선택되어 소정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복수 선택하는 등의 처리를 할 때의 수고를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관련 지음부(45)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할 때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도 또한 관련짓는다. 섬네일 생성부(44)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도 아울러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또한 생성한다. 그리고, 실행부(46)는 관련지음에 포함되는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를 자동 선택함과 동시에 관련지어져 있는 위치 관계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화상이 어느 위치 관계에서 관련지어져 있는지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이 자동 선택되고, 관련지어져 있는 위치 관계에서 소정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는 복수 화상을 복수 화면에 표시할 때의 위치 관계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을 복수 화면에 표시할 때의 복수 화상의 자동 선택을 위치 관계도 포함시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는 복수 화상을 1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할 때의 위치 관계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을 1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할 때의 복수 화상의 자동 선택을 위치 관계도 포함시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는 복수 화상을 1화면에 순차 전환하여 표시할 때의 순번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을 1화면에 순차 전환하여 표시할 때의 복수 화상의 자동 선택을 위치 관계도 포함시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섬네일 생성부(44)는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조합 가능한 위치 관계로 배치하고 합성한 축소 화상을 섬네일로서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위치 관계의 선택이 불필요하게 되고, 자유롭게 화상의 위치 관계를 선택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섬네일 생성부(44)는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가 조합 가능한 위치 관계를 선택하여 배치하고 합성한 축소 화상을 섬네일로서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조합의 섬네일 만이 생성되므로, 불필요한 섬네일이 쓸데없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섬네일 생성부(44)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의 표시를 실행한 후에,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표시한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배치하고 합성한 축소 화상을 섬네일로서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한 섬네일만이 생성되므로, 사용자는 표시를 확인하고 나서부터 섬네일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섬네일이 쓸데없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실행부(46)에 의해 실행되는 소정의 처리는 복수 화면에서의 복수 화상의 표시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을 복수 화면에 표시할 때의 복수 화상의 자동 선택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실행부(46)에 의해 실행되는 소정의 처리는 1화면 내에서의 복수 화상의 중첩 표시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을 1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할 때의 복수 화상의 자동 선택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실행부(46)에 의해 실행되는 소정의 처리는 1화면 내에서의 순차 전환 표시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을 1화면에 순차 전환하여 표시할 때의 복수 화상의 자동 선택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섬네일 생성부(44)는 복수의 각 화상을 결합함으로서 섬네일을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 화상 식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화상 선택부(43)와, 섬네일 생성부(44)와, 관련 지음부(45)와, 실행부(46)를 갖춘다.
화상 선택부(43)는 소정의 처리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한다.
섬네일 생성부(44)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한다.
관련 지음부(45)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섬네일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다.
실행부(46)는 관련 지음부(45)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화상이 어느 위치 관계로 관련지어져 있는지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선택된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진 조가 자동 선택되어, 관련지어져 있는 위치 관계에서 소정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복수 선택하는 등의 처리를 할 때의 수고를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에 속하는 동화상의 수는 2개로 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화상 선택부(4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3개 이상의 동화상이 지정된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동화상을 재생 대상 동화상의 조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3개 이상의 섬네일 조가 가능하므로,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도 3개 이상의 조합으로 되며, 그 결과,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화면도 2개인 경우의 도 4나 도 6의 화면과 비교하여, 조의 수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재생 대상 동화상이 출력부(18)의 1개의 디스플레이에 2화면 동시 재생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복수의 재생 대상 동화상이 출력부(18)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다화면 동시 재생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관련 지음부(45)는 화상 선택부(43)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을 출력부(18)에 표시할 때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관련짓고 있지만, 관련 지음의 대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관련 지음부(45)는 재생 대상 동화상의 음성으로서 주 음성 또는 부 음성의 어느 것을 할당하고, 그 할당한 내용을 섬네일에 관련지을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순차 재생의 경우, 섬네일이 1화면에서 순차 전환하여 표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섬네일이 순차 전환되어 표시되는 구간은 특히 전체 구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체 구간을 2개 구간으로 나누어서, 제 1 구간의 제 1 섬네일, 제 1 구간의 제 2 섬네일, 제 2 구간의 제 1 섬네일 및 제 2 구간의 제 2 섬네일과 같이, 일정한 규칙을 갖고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시되는 섬네일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 대상의 화상은 동화상으로 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재생 대상의 화상은 이른바 연사에 의한 복수의 정지 화상의 집합체라도 좋고, 골프 폼의 순간적인 모습이 비치는 정지 화상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공간적인 위치 관계의 패턴에서의 재생이나 섬네일의 생성으로 애스펙트비를 변경하여 전체가 들어가도록 하고 있지만, 애스펙트비를 유지한 채 트리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섬네일 생성, 위치 관계의 관련 지음은 화상의 위치 관계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재생할 때까지의 일시적인 것으로서 기억하지 않아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처리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표시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일반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포터블 게임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환언하면, 도 2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화상 처리 장치(1)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며,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어떠한 기능 블록을 이용할 것인지는 특히 도 2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單體)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좋으며,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좋다. 또,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으로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좋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1의 리무버블 미디어(31)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리무버블 미디어(3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 포함), Blu-ray Disc(블루레이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광 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 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 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1의 ROM(12)이나 도 1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그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의 용어는 복수의 장치나 복수의 수단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전체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외 각종 실시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여러 종류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화상 처리 장치 11; CPU
12; ROM 13; RAM
14; 버스 15; 입출력 인터페이스
16; 촬상부 17; 입력부
18; 출력부 19; 기억부
20; 통신부 21; 드라이브
31; 리무버블 미디어 41; 주 제어부
42; 조작 접수부 43; 화상 선택부
44; 섬네일 생성부 45; 관련 지음부
46; 실행부 51; 화상 기억부
52; 섬네일 기억부 53; 관련 정보 기억부

Claims (18)

  1.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하는 화상 선택부와,
    상기 화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부와,
    상기 화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부와,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지음부는 상기 섬네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관련지어서 복수 기억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섬네일에 대한 선택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지음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할 때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도 또한 관련짓고,
    상기 섬네일 생성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도 아울러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또한 생성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관련 지음에 포함되는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함과 동시에 관련지어져 있는 위치 관계에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는 복수 화상의 개개를 복수 화면에 따로따로 표시할 때의 위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는 복수 화상을 1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할 때의 위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는 복수 화상을 1화면에 순차 전환하여 표시할 때의 순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생성부는 상기 화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상기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조합 가능한 위치 관계로 배치하고 합성한 축소 화상을 상기 섬네일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생성부는 상기 화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상기 공간적 또는 시간적 위치 관계가 조합 가능한 위치 관계를 선택해서 배치하고 합성한 축소 화상을 상기 섬네일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표시를 실행한 후에,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표시한 위치 관계에 의거해서 배치하고 합성한 축소 화상을 상기 섬네일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소정의 처리는 복수 화상의 개개를 복수 화면에 따로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소정의 처리는 복수 화상을 1화면 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소정의 처리는 복수 화상을 1화면 내에 순차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각 화상을 결합함으로서 상기 섬네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4.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하는 화상 선택 스텝과,
    상기 화상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스텝과,
    상기 화상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스텝에 있어서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스텝과,
    상기 관련 지음 스텝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5. 컴퓨터에,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을 조로서 선택하는 화상 선택 기능,
    상기 화상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기능,
    상기 화상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기능,
    상기 관련 지음 기능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기능으로서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6.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부와,
    상기 관련 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7.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스텝과,
    상기 선택 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스텝에 있어서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스텝과,
    상기 관련 지음 스텝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컴퓨터에,
    소정의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선택하는 선택 기능,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식별 가능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 생성 기능,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 정보와, 상기 섬네일 생성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섬네일을 관련짓는 관련 지음 기능,
    상기 관련 지음 기능에 의해 관련지어진 섬네일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해당 섬네일에 관련지어져 있는 소정의 정보로 나타나는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인 위치 관계를 자동 선택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기능으로서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40031690A 2013-03-22 2014-03-18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576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9643 2013-03-22
JP2013059643A JP5664687B2 (ja) 2013-03-22 2013-03-22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96A true KR20140115996A (ko) 2014-10-01
KR101576361B1 KR101576361B1 (ko) 2015-12-09

Family

ID=5155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690A KR101576361B1 (ko) 2013-03-22 2014-03-18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289680A1 (ko)
JP (1) JP5664687B2 (ko)
KR (1) KR101576361B1 (ko)
CN (2) CN1040658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0820B2 (en) * 2016-07-20 2022-12-0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dia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0569765B (zh) * 2019-08-02 2022-04-22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图片识别方法、图片比对方法及装置
CN111064848B (zh) * 2019-12-27 2021-09-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2954197B (zh) * 2021-01-27 2023-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954196B (zh) * 2021-01-27 2023-0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0910B2 (en) * 1993-08-10 1998-05-07 Katayama, Midori Method for teaching the body gesture
JP3600865B2 (ja) * 1996-09-20 2004-12-15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
JP3858310B2 (ja) * 1996-10-01 2006-12-13 株式会社ニコン ソースファイル編集装置
JP3917329B2 (ja) * 1999-07-15 2007-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編集装置
US20060003300A1 (en) * 2004-06-30 2006-01-05 Interactive Sports Training, Llc (Formerly Known As Major League Partner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ersonal sports lesson
US7940284B2 (en) * 2004-09-03 2011-05-10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document editing method, digital document editing program and digital document editing apparatus
JP2006295350A (ja) * 2005-04-07 2006-10-26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結果の処理方法
US20080111822A1 (en) * 2006-09-22 2008-05-1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video
US8319814B2 (en) * 2007-06-22 2012-11-27 Lifesize Communications, Inc. Video conferencing system which allows endpoints to perform continuous presence layout selection
JP5121367B2 (ja) * 2007-09-25 2013-01-16 株式会社東芝 映像を出力する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674075B2 (en) * 2013-04-30 2020-06-02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43613A1 (en) 2017-08-24
CN104065867A (zh) 2014-09-24
JP5664687B2 (ja) 2015-02-04
JP2014186766A (ja) 2014-10-02
US20140289680A1 (en) 2014-09-25
KR101576361B1 (ko) 2015-12-09
CN107506108B (zh) 2021-03-16
CN107506108A (zh)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36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매체
CN101552890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JP4360425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58138B2 (ja) 撮像装置、再生装置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CN103002210A (zh)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JP201409675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61346B1 (ko) 재생 제어 장치, 재생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6119600A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5393237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22056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430985B1 (ko) 2d-3d 복합 차원 콘텐츠 파일을 사용하는 복합 차원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0258917A (ja) 撮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US20140047068A1 (en) Video inform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560491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79149B2 (ja) 画像生成装置
JP200802111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手順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04121A (ko) 복합 차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 그 제공 방법 및 복합 차원 콘텐츠 파일
JP2018038090A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6020665B2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3930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279012A (ja) Av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装置、及び映像記録方法
JP2008236708A (ja) バーチャル撮影スタジオの媒体制作装置
JP5753569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の再生方法
JP5932963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5677598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