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303A -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303A
KR20140115303A KR20147017272A KR20147017272A KR20140115303A KR 20140115303 A KR20140115303 A KR 20140115303A KR 20147017272 A KR20147017272 A KR 20147017272A KR 20147017272 A KR20147017272 A KR 20147017272A KR 20140115303 A KR20140115303 A KR 2014011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channel
dish
lower portion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빈 볼두안
안드레 자발랏
마르셀 베르너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1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린싱 디쉬(8a)를 구비한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1)용 린싱 장치(8)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린싱 장치는 상부(8b)와 이와 연결 가능한 하부(8c)를 구비하고, 이때 하부(8c) 내에는 물 수용 트레이를 갖는 물 공급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8c)에는 물 수용 트레이 내부로 통하는 배출 튜브(8e, 8f)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하부(8c)는 배출 튜브(8e, 8f)와 통하는 배기 채널(8g)의 부분 채널(8k)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린싱 장치(8)를 구비한 가전제품(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DISPENSING ARRANGEM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FOR THE CARE OF LAUNDRY ITEMS AND HOUSEHOLD APPLIANCE FOR THE CARE OF LAUNDRY ITEMS}
본 발명은 린싱 디쉬(rinsing dish) 및 세탁조(washing-machine tub)를 구비한,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린싱 장치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세탁조는, 공급 스트랜드(feed strand)를 통해 린싱 디쉬와 연결되고, 공급 스트랜드 내에는 증기 차단 장치가 곡선의 라인 섹션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06 029 953 A1호에는 2개 이상의 세제 챔버를 위해 제어 가능한 담수 공급부를 구비한 세탁기가 공지되어 있다. 세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 내에는 세제 린싱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제 린싱 장치 하우징의 평탄하지 않게 형성된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한편으로는 슬리브(sleeve)로 유입시키기 위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세탁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세제 공급 라인이 내로 통해 있다.
상기와 같은 세제 린싱 장치를 통해 추가의 환기 라인 없이도 세탁조의 환기가 이루어지며, 2개의 분리된 세제 공급 라인 및 세제 공급 장치 하우징의 평탄하지 않게 형성된 바닥에 대한 상기 세제 공급 라인의 연결부로 인해 항상 상기 2개의 라인들 중 하나의 라인은 점유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04 060 709 A1호에는 세탁기용 물 공급부를 구비한 린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린싱 장치의 린싱 디쉬는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하부는 배출 튜브 및 워터 시일(water seal)로서의 트레이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에 담긴 물 내부로 위로부터 분리벽이 돌출하며, 이 분리벽은 트레이에 담긴 물과, 이로 인해 형성된, 이하에서 증기 폐쇄부로도 명명되는 물 폐쇄부와 함께 상기 하부를 서로 분리된 2개의 공간으로 세분한다. 분리벽은 하부에 또는 바람직하게 상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한편으로는 액체 린싱을 위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기를 위한 콤팩트한 구조가 달성됨으로써 제조 방식이 간단해지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린싱 장치 및 가전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린싱 장치 및 가전제품에 의해서 해결된다.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는 상부 및 이와 연결될 수 있는 하부를 구비한 린싱 디쉬를 포함하며, 이때 하부 내에는 물 수용 트레이(tray)를 갖는 물 공급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에는 물 수용 트레이 내로 통하는 배출 튜브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는 배출 튜브로 통하는 그리고 린싱 디쉬 내부에 통합된 배기 채널의 부분 채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린싱 디쉬의 설계에 의해, 한편으로는 증기 차단부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응하는 환기 장치가 고도로 집적된 시스템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볼 때, 증기 차단부는 실제로 U자형 파이프 시스템이며, 이 경우 파이프 시스템의 서로 연통하는 파이프 라인은 가스 형태 매질의 관류가 불가능해지는 수위까지 액체 매질로 채워질 수 있다. 증기 차단부는 파이프 시스템이 상기 수위까지 채워진 경우에 작용한다. 파이프 시스템의 서로 연통하는 파이프 라인이 동일한 작용을 하면서 상기와 같은 증기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한, 상기 파이프 시스템은 U자 형태를 벗어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린싱 디쉬는 또한 하부와 연결될 수 있는 상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상응하는 로킹 장치 및/또는 나사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는 재료 결합 방식에 의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 결합은 용접, 접착에 의해서 또는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와 하부는 단일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린싱 디쉬의 물 수용 공간의 제한벽이기도 한 일 벽에 의해 부분 채널이 제한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콤팩트한 설계가 유리해진다. 그러나, 특히 이러한 콤팩트한 설계에 의해서는 배기 채널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 형태 매질의 응축과 관련하여 특히 두드러질 일 변형예가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부분 채널이 실제로 하부 내에서 린싱 디쉬의 물 수용 공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하부가 상부와 연결된 경우에 부분 채널이 상부 내에 있는 제2 부분 채널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배기 채널은 배출 튜브가 배치된 하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의 후방 단부로 그리고 위로 상부 내로 안내되고, 상부 내로부터 재차 전방 단부로 배출 개구와 통하도록 안내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안내 방식에 의해, 특히 물 수용 공간을 따라 특히 긴 경로에 걸쳐 안내되는 가스 흐름을 위해 린싱 디쉬 내부에 특히 긴 경로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원하는 응축이 특히 유리해진다.
바람직하게, 하부로부터 분리되고 하부에 부착될 수 있는 분리벽이 형성되고, 이 분리벽이 배치된 상태에서 배출 튜브와 물 수용 트레이 사이에 사이펀이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부가 안내벽을 구비하고, 이 상부와 하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린싱 디쉬의 내부 공간이 안내벽에 의해 2개의 린싱 채널로 세분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제1 린싱 채널은 증기 차단부로서 물 공급 장치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제2 린싱 채널은 물 공급 장치와 함께 가전제품의 세탁조에 대한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하부로부터 분리된 분리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벽은 하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분리벽이 배치된 상태로 배출 튜브와 물 수용 트레이 사이에는 사이펀(siphon)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설계에 의해 하부의 일체형 제조는 간단하고도 더 경제적이다. 다름 아닌 사출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사이펀의 설계 및 형성이 매우 어렵고도 불완전하다. 분리벽은 거의 독립적으로 그리고 고유한 구성부품으로 제조되고 제공된 이후에 비로소 파괴 없이 해체될 수 있는 구성부품으로서 배치되고 재차 분해될 수 있음으로써, 한편으로는 제조 시 이러한 문제점들이 제거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이펀의 원하는 설계도 이루어진다.
특히 분리벽이 하부에 로킹(locking) 상태에서 부착될 수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매우 신속하고도 위치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고, 이때 분리벽도 재차 간단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특히 세탁기 또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가전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린싱 장치 또는 상기 린싱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바람직한 가전제품은 린싱 디쉬 및 세탁조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는 하나 이상의 공급 스트랜드를 통해 린싱 디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급 스트랜드를 통해 특히 액상의 매질, 특히 세제 및 물이 슬리브 또는 세탁조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린싱 디쉬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저장 챔버를 구비하며, 이 저장 챔버는 세제를 채우기 위해 린싱 디쉬로부터 빼내질 수 있는데, 특히 서랍으로서 린싱 디쉬로부터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이로써, 린싱 디쉬는 동시에 세제용 저장 챔버가 그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으로서도 기능한다.
공급 스트랜드 내에서 곡선의 라인 섹션 내에는 증기 차단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인 섹션 내에는 환기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기 채널은 라인 섹션의 제1 단부와 통한다. 제1 단부에서 이러한 환기 채널은 액상의 매질을 린싱 디쉬로부터 세탁조에 공급하기 위한, 증기 차단 장치에 속하는 공급 채널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다시 말해, 환기 채널뿐만 아니라 공급 채널까지도 제1 단부와 통하고 이 제1 단부에서 이러한 2개의 채널이 또한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라인 섹션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라인 섹션 내에는 또한 계속해서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형성된 2개의 상이한 채널이 매우 콤팩트하면서도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는 설계 방식으로 통합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연결부를 갖는 라인 섹션도 2개의 채널을 구비한 이러한 제1 단부에 형성된다. 2개의 분리된 라인을 연결하는 과정은 더 이상 필요치 않으며, 오히려 이러한 연결 과정은 말하자면 제1 단부를 통해서만 실행된다. 이로써, 통합된 다중 경로 시스템을 구비한 라인 섹션이 만들어지며, 이 경우에 이 같은 목적을 위해 물 공급 시스템 및 공기 채널 시스템이 하나의 부품 내에 구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전방 단부에는 분리된 공기 경로 및 물 경로가 구현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물 공급부 내에는 증기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증기 차단부는 세탁조로부터 증기 또는 응축물의 배출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기능적으로는 린싱 디쉬의 냉각수 유입구 영역 내에서 가온 공정 공기(process air)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환기 작용은 온도 보상을 일으키고, 물의 응축을 방지한다. 세탁조 및 드럼에 의해 형성된 로딩 장치로부터 증기 배출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수위에 따라 관찰했을 때 라인 섹션의 제1 단부가 상단부인 것이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특히 한편으로는 증기 차단의 개념상의 구현과, 다른 한편으로는 환기의 개념상의 구현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린싱 디쉬로의 간단한 연결 가능성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배기 채널이 제1 단부에서 국부적으로 공급 채널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완전히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특히 기계적으로 안정된 설계도 구현되고, 특히 환기 채널 및 공급 채널의 적합한 위치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특히 환기는 위치적으로 완전히 특정하게 상기 제1 단부에서 형성될 수 있고, 린싱 디쉬와 린싱 디쉬의 배기 채널로 넘어갈 때 특히 의도한 대로 그리고 밀봉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환기 채널이 유입 장소에서 공급 채널 내로 통하는 것이 제공되고, 이 경우 상기 유입 장소는 수위에 따라 관찰했을 때 증기 차단부가 형성된 공급 채널 내부에서의 액체 수위 위에 위치한다. 이로써, 이러한 유입 장소는 라인 섹션의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배기 채널의 단부에 그리고 이에 따라 라인 섹션 내에서 내부로 변위된 장소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공급 채널이 환기 채널의 유입구 뒤에 유연한 채널 섹션을 구비하고, 특히 이러한 유연한 채널 섹션이 파형관(corrugated pipe)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설계에 의해 그외의, 특히 강성으로 형성된 라인 섹션 또는 공급 스트랜드가 가전제품의 작동 중에 움직이는 시스템에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가역적인 변형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급 스트랜드가 라인 섹션 자체 형태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 특히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필러 튜브(filler tube) 또는 이러한 라인 섹션은 린싱 디쉬 및 세제 계량 공급부를 구비한 로딩 장치로부터 세탁조 쪽으로의 연결을 실행한다. 이때 이러한 라인 섹션은 공정 용수(process water)를 세탁조 내부로 운송하는 과제도 갖는다. 세척 유닛 또는 진동 시스템의 역동적인 운동으로 인해, 이러한 라인 섹션의 운동 보상은 특히 유연한 주름(wrinkle) 영역 또는 앞에서 이미 언급된 유연한 채널 섹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라인 섹션의 완전히 특정한 설계에 의해서, 이러한 라인 섹션은 동시에 가열된 공정 공기를 린싱 장치 내부의 응축 영역으로 운송한다. 특이한 점은, 공기 가이드부가 라인 섹션 내부에 통합되어 있지만 공기는 물 경로로부터 분리된 채널 통로를 통해 운송된다는 것이다. 물 경로를 통한 역방향으로의 운송은 사전 제공된 물 공급 장치에 의해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필요한 관통 횡단면은 특히 튜브가 튜브 내부에 편심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특히 설치 공간이 축소된 컨셉 이외에, 단순한 연결 원리를 형성하면서도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한 컨셉이 가능해진다.
내부 및 외부 연결 튜브의 밀봉은 특정한 밀봉 요소 또는 밀봉 리브에 의해 바람직하게 성취된다. 튜브 연결부는 적합한 튜브 클립에 의해 외부 튜브에 추가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전제품의 공급 스트랜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실시예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 평면도이다.
도 5는 린싱 디쉬를 구비한 린싱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실시예를 절단하여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추가 도면이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제공된다.
도 1에는 세탁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형성되어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1)으로서 세탁기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가전제품(1)은 세탁물 건조기일 수도 있다.
가전제품(1)은 세탁조(2)를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3)이 배치되어 있고, 이 드럼은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전 제품(1)은 제1 공급 스트랜드(4a)를 포함하고, 이 공급 스트랜드를 통해 담수가 드럼(3)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옥 시설 등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5)도 형성되어 있다. 담수 라인(6)이 연결부(5)로부터 가전제품(1) 내부로 안내한다. 담수 라인(6) 내에는 차단 밸브(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차단 밸브는 예를 들어 제어부에 의해 예를 들어 세탁물을 젖게 하는 린싱 과정을 위한 프로그램 시퀀스에 상응하게 구동된다. 담수 라인(6)은 자유 공기 구간을 거쳐 린싱 장치(8)의 린싱 디쉬(8a)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린싱 디쉬(8a) 내에는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제, 특히 세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세제는 담수와 함께 공급 스트랜드(4a)의 라인(9a)을 통해 공급된다.
가전 제품(1)은 세탁조(2)와 연결된 유연한 슬리브(1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공급 스트랜드(4a)는 제1 공급 장소(11a)를 통해 세탁조(2) 내부와 통한다. 상기 공급 스트랜드(4a)의 파이프 부재는 이러한 공급 장소(11a)에서 세탁조(2) 내부와 통한다. 이로써, 공급 스트랜드(4a)를 통해 담수 및 경우에 따라 담수와 세탁물 처리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드럼(3) 내부로도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1)은 펌핑 스트랜드(12)를 구비하고, 이 펌핑 스트랜드는 폐쇄용 플랩 밸브(13), 잿물 펌프(14) 및 라인(15)을 포함한다. 폐쇄용 플랩 밸브(13)가 개방된 경우 세탁조(2) 내부에 제공된 잿물이 잿물 펌프(14)의 작동에 의해 라인(15)을 통해 출구(16)로 펌핑될 수 있다. 이때 출구(16)는 가옥 시설 등의 적합한 드레인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급 스트랜드(4a) 내부에는 증기 차단 장치(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증기 차단 장치는 공급 스트랜드(4a)의 곡선의 라인 섹션(18a)에 형성되어 있다. 증기 차단 장치(17a)는 물 공급 장치를 통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 더 도시되듯이, 공급 스트랜드(4a)는 공급 장소(11a)에서 세탁조(2) 내로 통하며, 이 경우 다른 한편으로는 린싱 장치(8)의 린싱 디쉬(8a)가 유입구(20a) 내로 통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는 제2 공급 스트랜드(4b)가 제공되고, 이 제2 공급 스트랜드도 마찬가지로 라인 섹션(18b)을 구비하며, 상기 라인 섹션 내에는 곡선의 상부 섹션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섹션에도 증기 차단 장치(17b)가 형성되어 있다. 라인(9b)을 통해는, 린싱 디쉬(8a) 내로 통하는 추가의 유입구(20b)를 통해 린싱 디쉬(8a)와 상기 추가의 공급 스트랜드(4b)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추가의 공급 스트랜드(4b)는 공급 장소(11b)에서 슬리브(10)로 통하고, 상기 슬리브는 세탁조(2)와 드럼(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급 스트랜드(4b)는 공급 스트랜드(4a)에 제공된 것과 같은 특정한 환기 채널 없이 형성된다.
라인 섹션(18a)는 하기의 도면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는 또한 라인 섹션(18a)을 구비한 공급 스트랜드(4a)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라인 섹션(18a)은 제1 상단부(19)를 구비하고, 제1 상단부는 린싱 디쉬(8a)의 연결 튜브(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상단부(19)에는 공급 채널(21) 및 이 공급 채널로부터 분리된 환기 채널(22)이 통한다. 이러한 2개의 채널(21 및 22)은 연속 가이드부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단부(19)로 통하고, 더 나아가서는 서로 분리된 형태로도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급 스트랜드(4a)를 나타내는 라인 섹션(18a)은 일체형의 사출 성형 부품이다. 이 사출 성형 부품은 대부분 강성으로 형성되고, 중앙 섹션 내에서만 파형관으로 형성된 유연한 채널 섹션(23)을 구비한다.
도 3에는 도 2에 따른 라인 섹션(18a)의 부분적으로 단면도로 도시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단부(19)에서는 환기 채널(22)이 공급 채널(21)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이와 관련해서는 단지 국부적으로만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기 채널(22)은 제한벽(24)에 의해 공급 채널(21)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3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부(19)는 높이 위치와 관련해서 수위에 따라 관찰했을 때 상단부이다.
환기 채널(22)은 상단부(19)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환기 채널의 하단부(25)에 의해 곡선으로 형성된 공급 채널(21) 내로 통한다.
이와 관련된 유입 장소(26)는 수위에 따라 공급 채널(21) 내에서의 액체 수위(27)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한벽(24)의 형성 및 제한벽(24)의 하단부에 걸쳐 연장되는 액체 수위(27)에 의해 증기 차단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액체 수위(27)는 수위에 따르면 상기 유입 장소(26) 아래에 위치한다. 이로써, 상응하는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는 공정 공기(28)의 문제 없는 운송 과정이 공급 스트랜드(4a) 및 환기 채널(22)을 통해 린싱 디쉬(8a) 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담수 및 경우에 따라 부가되는 세제 형태의 액상의 매질(29)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에 따라 린싱 디쉬(8a)로부터 곡선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된 라인 섹션(18a)을 거쳐서 공급 장소(11a)까지 이송될 수 있다.
도 3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연한 채널 섹션(23)이 공급 채널(21) 내에 형성되어 환기 채널(22)의 유입 장소(26) 이후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입 장소(26)도 수위에 따라 관찰했을 때 공급 채널(21)의 꺾임 영역(32)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꺾임 영역(32)은 이하에서 증기 차단부가 형성된 상기 공급 채널(21)의 만곡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가 상기 꺾임 영역(32) 위로 상응하게 넘치거나 액체 수위(27)가 꺾임 위치(32)까지 상승할 경우에도 항상 환기 채널(22)을 통해 환기 프로세스가 문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환기 채널(22)은 앞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린싱 디쉬(8a) 내에 있는, 도면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환기 채널 내로 통하며, 이 경우 상기 환기 채널 내부에서는, 액상의 매질이 담겨 있는 용적 영역을 제한하는 제한벽과 배기 채널이 접촉하게 되도록, 배기 채널이 안내된다. 그럼으로써, 공정 공기가 가급적 길게 응축 영역을 따라서 안내되고 나서, 특히 전면에서 린싱 디쉬(8a)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이러한 응축 영역으로부터 재차 전방으로 안내된다.
도 4의 사시 평면도에서는 제1 상단부(19)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링 섹션으로 형성된 환기 채널(22)의 배출 영역 또는 개구 영역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린싱 디쉬(8a)를 구비한 린싱 장치(8)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린싱 디쉬(8a)는 상부(8b) 및 하부(8c)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는 별도의 부분으로서, 예를 들면 일체형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로킹될 수 있다.
린싱 디쉬(8a) 내에서 하부(8c) 내에는 물 수용 트레이를 갖는 물 공급 장치(8d)가 형성되어 있다. x-z-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 7에 도시된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물 수용 트레이는 사이펀이다.
하부(8c)에는 배출 튜브(8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 튜브에는 라인(9a)을 통해 라인 섹션(18a)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하부(8c)에 통합되어 있는 추가의 배출 튜브(8f)에는 라인(9b)을 통해 라인 섹션(18b)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 튜브(8e) 및 추가의 연속 안내부 내에는 배기 채널(8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배출 튜브 영역에서는 도면이 부분적으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채널(8g)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라인 섹션(18a)이 배출 튜브(8e)에 연결된 상태에서, 추후에 배기 채널(22)을 통해 공기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30)에 따라 린싱 디쉬(8a) 내부의 배기 채널(8g) 내로 안내된다. 이때 이러한 공기는 배출 튜브(8e)가 형성되어 있는 린싱 디쉬(8a)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체 깊이(y-방향)에 걸쳐서 후방으로 안내되고, 후방으로부터 재차 전방으로 그리고 전면 개구(8h)를 통해 린싱 디쉬(8a)로부터 외부로 송풍된다.
도 6에 따른 도면에서는, 매우 좁은 배기 채널(8g)이 제한벽(8i)에 의해 내부로 제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벽(8i)은 동시에 하부(8c) 내에 존재하는 물 수용 공간(8j)의 제한벽이기도 하다. 상기 물 수용 공간 안에 내에 존재하고 경우에 따라 세제도 포함하는 물은 추후에 공급 채널(21)을 통해 세탁조(2)로 안내된다.
완전히 특정하게 구성되고 배치된 배기 채널(8g)에 의해, 액체가 공급된 물 수용 공간(8j)의 영역 내에서 공기가 가급적 길게 통과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응하는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린싱 디쉬(8a)는 또한 하부(8c) 내에 부분 채널(8k)이 형성되도록 제공되고, 이때 상기 부분 채널은 상부(8b) 내에 있는 추가의 부분 채널과 함께 폐쇄된 전체 배기 채널(8g)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8b)가 도시되지 않은 안내벽을 구비한 것이 제공되고, 이때 상기 안내벽을 통해 상부(8b)가 하부(8c)와 결합된 상태에서 린싱 디쉬(8a)의 내부 공간이 2개의 린싱 채널(8l 및 8m)로 세분된다. 제1 린싱 채널(8m)은 물 공급 장치와 함께 증기 차단부로서 형성된다. 제2 린싱 채널(8l)은 물 공급 장치와 함께 세탁조(3)에 대한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앞에서 이미 언급된 도 7의 도면에는, 사이펀(8n)으로 형성되고 파선으로 도시된 물 공급 장치(8d)의 설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물 공급 장치는 하부(8c) 내에 통합되어 있다.
하부(8c)를 일체형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더 간단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물 트레이만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 다음에 사이펀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벽(31)이 별도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제조되어 제공되고 나서, 상기 별도의 일체형 부품은 물 트레이 영역 내에 있는 하부(8c)에 삽입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하부에서는 로킹 방식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는 또한 이미 위치 설정된 분리벽(31)의 최종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같은 최종 상태에 의해 추후에 물 공급 장치(8d)의 물 트레이의 사이펀 형태의 설계가 제공되고, 도 7에는 도시된 화살표에 따라 액상 매질의 유동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분리벽(31)이 빼내진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린싱 디쉬(8a)의 설계에 의해 완전히 특정화된 린싱용 물 공급 시스템도 형성되고, 이러한 시스템은 세척 과정과 건조 과정 중에 증기가 세탁조(3)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을 공정에 안전하게 방지해준다. 이 같은 방지 작용은 린싱 디쉬(8a) 내에 통합된 사이펀(8n) 내부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이 린싱 디쉬(8a)로부터 세탁조(2)와 드럼(3) 사이에 있는 슬리브로 흘러가면, 이 물은 상기 언급된 물 공급 시스템을 완전히 관류한다. 이때 물은 채널을 통해 흐른다.
1 가전제품
2 세탁조
3 드럼
4a 공급 스트랜드
4b 공급 스트랜드
5 연결부
6 담수 라인
7 차단 밸브
8 린싱 장치
8a 린싱 디쉬
8b 상부
8c 하부
8d 물 공급 장치
8e 배출 튜브
8f 배출 튜브
8g 배기 채널
8h 개구
8i 제한벽
8j 물 수용 공간
8k 부분 채널
8l 린싱 채널
8m 린싱 채널
8n 사이펀
9a 라인
9b 라인
10 슬리브
11a 공급 장소
11b 공급 장소
12 펌핑 스트랜드
13 폐쇄용 플랩 밸브
14 세탁조 펌프
15 라인
16 출구
17a 증기 차단 장치
17b 증기 차단 장치
18a 라인 섹션
18b 라인 섹션
19 제1 상단부
20a 유입구
20b 유입구
21 공급 채널
22 배기 채널
23 채널 섹션
24 제한벽
25 하단부
26 유입 장소
27 액체 수위
28 공정 공기
29 매질
30 화살표 방향
31 분리벽
32 꺾임 영역

Claims (11)

  1. 하부(8c)를 갖는 린싱 디쉬(8a)를 구비한,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1)용 린싱 장치(8)이며, 이때 하부(8c) 내에는 물 수용 트레이(tray)를 갖는 물 공급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8c)에는 물 수용 트레이 내부로 통하는 배출 튜브(8e, 8f)가 형성되어 있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에 있어서,
    하부(8c)는 배출 튜브(8e, 8f)와 통하는 배기 채널(8g)의 부분 채널(8k)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린싱 디쉬(8a)는 상부(8b)를 구비하고, 상부는 하부(8c)와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분 채널(8k)은 린싱 디쉬(8a)의 물 수용 공간(8j)의 제한 벽(8i)이기도 한 상기 벽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 채널(8k)은 실제로 하부(8c) 내에서 린싱 디쉬(8a)의 물 수용 공간(8j)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8c)가 상부(8b)와 연결된 경우에, 부분 채널(8k)은 상부(8b) 내에 있는 제2 부분 채널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 채널(8g)은 배출 튜브(8e, 8f)가 배치된 하부(8c)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8c)의 후방 단부로 안내되고 위로 상부(8b) 내부로 안내되며, 상부 내부으로부터 재차 전방 단부로 배출 개구(8h)와 통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8c)에 대해 분리된 분리벽(31)이 형성되어 있고, 분리벽은 하부(8c)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분리벽(31)이 배치된 상태에서 배출 튜브(8e, 8f)와 물 수용 공간(8j) 사이에는 하부(8c)에서 사이펀(8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8b)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벽을 통해 상부(8b)가 하부(8c)와 결합된 상태로 린싱 디쉬(8a)의 내부 공간은 2개의 린싱 채널(8l, 8m)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린싱 채널(8l, 8m)이 물 공급 장치와 함께 증기 차단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 린싱 채널(8l, 8m)이 물 공급 장치와 함께 가전제품(1)의 세탁조(2)에 대한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8).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린싱 장치(8)를 구비한,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1), 특히 세탁기 또는 세탁물 건조기.
KR20147017272A 2011-12-21 2012-12-18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KR201401153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89395 DE102011089395A1 (de) 2011-12-21 2011-12-21 Einspülanordnung für ein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sowie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DE102011089395.4 2011-12-21
PCT/EP2012/075870 WO2013092537A2 (de) 2011-12-21 2012-12-18 Einspülanordnung für ein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sowie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303A true KR20140115303A (ko) 2014-09-30

Family

ID=4752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17272A KR20140115303A (ko) 2011-12-21 2012-12-18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51460B2 (ko)
EP (1) EP2794978B1 (ko)
KR (1) KR20140115303A (ko)
CN (1) CN104011281B (ko)
DE (1) DE102011089395A1 (ko)
IN (1) IN2014KN01117A (ko)
PL (1) PL2794978T3 (ko)
RU (1) RU2570777C1 (ko)
WO (1) WO20130925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8549A1 (de) * 2012-10-11 2014-04-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nspülanordnung für ein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sowie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DE102014220023A1 (de) * 2014-10-02 2016-04-07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Luftansaugeinrichtung
WO2017167978A1 (en) * 2016-04-01 2017-10-05 Arc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washer-dryer wherein the steam leakage to the outer environment is prevented
DE102016214838A1 (de) * 2016-08-10 2018-02-15 BSH Hausgeräte GmbH Ermitteln einer Drehrichtung eines Läufers einer rotierenden elektrischen Maschine
EP3339746B1 (en) * 2016-12-21 2020-05-2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steam oven
US10294604B2 (en) * 2017-06-22 2019-05-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and additive dispensing assembly
EP3690119B1 (en) * 2019-02-01 2023-06-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11851806B2 (en) * 2020-11-06 2023-12-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irelessly powered additive dispensing assembly and laundry appliance
DE102020215690A1 (de) 2020-12-11 2022-06-15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Trennwan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0688B1 (de) * 1968-06-20 1972-09-14 Licentia Gmbh Waschmitteleinspuelvorrichtung fuer Waschmaschinen
DE19619602A1 (de) * 1996-05-15 1997-11-20 Aeg Hausgeraete Gmbh Waschmaschine mit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den Laugenbehälter
DE19757303A1 (de) 1997-12-22 1999-06-24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DE29724890U1 (de) 1997-12-22 2005-05-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DE102004060709A1 (de) 2004-12-16 2006-06-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nspülanordung mit Wasservorlauf für eine Waschmaschine
DE102006029953A1 (de) 2006-06-29 2008-0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mit einem steuerbaren Frischwasserzulauf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Waschmaschine
US7900486B2 (en) * 2007-08-20 2011-03-08 Whirlpool Corporation Agent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11281B (zh) 2016-04-20
IN2014KN01117A (ko) 2015-10-16
US20150114045A1 (en) 2015-04-30
DE102011089395A1 (de) 2013-06-27
PL2794978T3 (pl) 2016-09-30
US9951460B2 (en) 2018-04-24
WO2013092537A3 (de) 2013-08-15
EP2794978B1 (de) 2016-04-06
RU2570777C1 (ru) 2015-12-10
EP2794978A2 (de) 2014-10-29
WO2013092537A2 (de) 2013-06-27
CN104011281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5303A (ko)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US8991220B2 (en)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ashing/rinsing-liquid inlet circuit
EP2290149B1 (en) Supply arrangement for supplying an additive to a textiles treatment apparatus
KR20140115302A (ko) 린싱 디쉬와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KR10173031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20120060568A1 (en)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ashing/Rinsing-Liquid Inlet Circuit
RU2611029C2 (ru) См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по уходу за бельем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по уходу за бельем
JP200716739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7142126B2 (ja) 洗濯機
KR20140115301A (ko)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용 린싱 장치, 및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가전제품
TW201736662A (zh) 洗衣機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10257A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2008229309A (ja) 食器洗浄機
KR101954153B1 (ko) 의류처리장치
EP2935682B1 (en) Improved washing machine
CN105593426B (zh) 包括清洁剂分配器的清洗机
US10952590B2 (en) Dishwasher
EP2860302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072587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3023147A (ja) 衣類処理装置
JP2011194116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