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664A - 전기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664A
KR20140114664A KR1020130029295A KR20130029295A KR20140114664A KR 20140114664 A KR20140114664 A KR 20140114664A KR 1020130029295 A KR1020130029295 A KR 1020130029295A KR 20130029295 A KR20130029295 A KR 20130029295A KR 20140114664 A KR20140114664 A KR 2014011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control signal
suppl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645B1 (ko
Inventor
임창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645B1/ko
Priority to US14/209,429 priority patent/US9499058B2/en
Priority to EP14159978.7A priority patent/EP2781392B1/en
Priority to JP2014056206A priority patent/JP6001584B2/ja
Priority to CN201410103408.1A priority patent/CN104065113B/zh
Publication of KR2014011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1/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 H02H11/00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incorrect or interrupted earth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대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 가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의 정상 접지 여부에 대한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가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받아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원 차단부가 전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대상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전기 충전 장치{APPARATUS TO CHARGE BATTERY VOLTAGE}
본 발명은 전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접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전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요즈음 무공해 에너지의 사용은 날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특히, 대도시의 대기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데, 차량의 배기가스는 그 주요원인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무공해 에너지인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이른바 전기 차량을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근래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차량은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차륜과 결합된 모터를 통해 기계적 에너지인 동력을 얻는다. 즉, 전기 차량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러한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충전 장치는 충전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로 구분된다. 급속 충전기는 주유소와 같이 주행 중 긴급하게 충전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되고 충전시간은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 반면, 완속 충전기는 주차장이나 쇼핑몰 등 장시간 주차가 예상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충전시간은 약 5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러한 전기 충전 장치는 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감전의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의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기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감전의 위험 및 전기 충전 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었다.
종래의 전기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부의 접지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원 공급부의 접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전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장치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대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전류 신호 또는 상기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정상 접지 여부에 대한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 상기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받아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대상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부의 전원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의 정상 접지 상태 여부를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충전중인 전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가 이상적으로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가 실제로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충전중인 전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대상 장치(300)를 충전한다. 이때 공급되는 전원은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60헤르츠(hz)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갖는다. 명세서에서는 충전 대상 장치(300)을 전기자동차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충전이 가능한 기기로 대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100)는 전원 차단부(110),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 및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기 충전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전원 차단부(110) 복수의 릴레이(1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부(110)는 2개의 릴레이(1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릴레이(115)중 어느 한 릴레이(115)의 일단은 전원 공급 장치의 L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어 신호 생성부(150)에 연결된다. 또 다른 하나의 릴레이(115)의 일단은 N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어 신호 생성부(15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부(110)는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불량한 경우, 충전 대상 장치(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부(110)는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불량한 경우, 복수의 릴레이(115)를 OFF시켜 충전 대상 장치(3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부(110)는 제어 신호 생성부(150)의 제어 신호를 받아 릴레이(115)를 OFF시키거나, ON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부(110)는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릴레이(115)를 ON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부(110)는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받으면 릴레이(115)를 OFF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는 변압기(T) 및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T)의 일차측 코일의 일단은 전원 공급부(200)의 L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 공급 장치의 PE선에 연결된다.
변압기(T)의 이차측 코일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저항(R1)의 일단 및 접지 확인부(140)에 연결된다.
저항(R1)의 타단은 접지 확인부(140)에 연결된다.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는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은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확인 감지신호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T)는 상용라인의 전력과 센싱 라인의 전력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T)는 전원 공급 장치부의 두 개의 선로(L,N)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R1)에는 변압기(T)에 의해 변환된 전압에 기초하여 전류 신호가 흐르고, 전압 신호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감지신호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접지 확인부(140) 및 제어 신호 생성부(15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접지 확인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의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인가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전원 차단부(110)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에서 발생한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를 측정한다. 접지 확인부(140)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지 확인부(140)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실제의 전원 공급부(200)의 PE선과 연결된 저항성분(R2)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저항성분의 크기가 특정범위 이상이라면,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확인부(140)에서 측정한 전원 공급부(200)의 저항성분(R2)의 크기가 100옴 이상인 경우,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접지 확인부(140)는 정상 접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150)은 접지 확인부(14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부(150)은 판단 결과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신호 생성부(150)은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상태라면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 생성부(150)은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상태가 아니라면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기 충전 장치(100)에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된다(S101).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120)는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생성한다(S103).
변압기(T)는 전원의 L선과 N선에 인가된 전압을 변압한다. 저항(R1)에는 변압기(T)에서 변압된 전압에 기초하여 전류 신호가 흐른다. 이때 저항(R1)에는 전압 신호가 인가 된다. 접지 확인 감지신호는 저항(R)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측정한다(S105).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를 측정한다.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정상 접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선의 저항성 분의 크기(R2)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가 이상적으로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PE선)에 저항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가 실제로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의 전원 공급부(200)는 접지선(PE선)에 저항성성분(R2)를 갖는다.
다시 도2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가 정상 범위 밖이라면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가 정상 범위 내라면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계산한 저항성분(R2)의 크기가 정상 범위 밖이라면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부(140)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계산한 저항성분(R2)의 크기가 정상 범위 내라면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200)의 접지 상태가 정상인 경우의 저항(R1)에 흐르는 전류 신호, 저항(R1)에 인가된 전압 신호 또는 저항성분(R2)의 크기의 범위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만일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상태가 아니라면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부(150)는 만일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상태가 아니라면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제어 신호는 릴레이의 OFF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일 수도 있다.
전원 차단부(110)는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받아 충전 대상 장치(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1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차단부(110)는 릴레이(115)를 OFF시켜 충전 대상 장치(3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만일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상태라면 전원 차단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13).
만일 전원 공급부(200)가 정상 접지 상태라면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신호는 릴레이의 ON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일 수도 있다.
전원 차단부(110)는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받아 충전 대상 장치(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한다(S1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차단부(110)는 릴레이(115)를 ON시켜 충전 대상 장치(3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전기 충전 장치(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대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전류 신호 또는 상기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정상 접지 여부에 대한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
    상기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받아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대상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는
    전기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확인 감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및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에 흐르는 전류 신호 또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접지 확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류 신호 또는 상기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 신호 또는 측정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정상 접지 상태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접지 확인부; 및
    상기 접지 확인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기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확인부는
    상기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공급부의 저항성분의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저항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정상 접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전기 충전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정상 접지 상태라면,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정상 접지 상태가 아니라면,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전원 차단 제어 신호를 받으면 릴레이를 OFF시켜 충전 대상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기 충전 장치.
KR1020130029295A 2013-03-19 2013-03-19 전기 충전 장치 KR10176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95A KR101769645B1 (ko) 2013-03-19 2013-03-19 전기 충전 장치
US14/209,429 US9499058B2 (en) 2013-03-19 2014-03-13 Electric charg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4159978.7A EP2781392B1 (en) 2013-03-19 2014-03-14 Electric charg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4056206A JP6001584B2 (ja) 2013-03-19 2014-03-19 電気充電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CN201410103408.1A CN104065113B (zh) 2013-03-19 2014-03-19 充电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95A KR101769645B1 (ko) 2013-03-19 2013-03-19 전기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64A true KR20140114664A (ko) 2014-09-29
KR101769645B1 KR101769645B1 (ko) 2017-08-18

Family

ID=5027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295A KR101769645B1 (ko) 2013-03-19 2013-03-19 전기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9058B2 (ko)
EP (1) EP2781392B1 (ko)
JP (1) JP6001584B2 (ko)
KR (1) KR101769645B1 (ko)
CN (1) CN10406511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3786A (zh) * 2019-12-02 2020-03-20 富盛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桩运行维护的方法
KR20200045836A (ko) * 2018-10-23 2020-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상태 판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6356A1 (de) * 2013-10-02 2015-04-02 Scania Cv Ab Fahrzeug
KR20160109410A (ko) * 2015-03-11 2016-09-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내부 회로 보호 방법
DE102017110955A1 (de) * 2017-05-19 2018-11-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Detektion eines Schutzleiterausfalls mittels aktiver Schirmung
EP4207544A1 (en) * 2021-12-28 2023-07-05 Webasto Charging Systems, Inc. Method for determining a socket type and a charging mode for a battery, an electrical plug, a charging cordset and a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6496A (en) * 1974-11-25 1976-12-07 Borg-Warner Corporation Ground integrity monitor for electrical apparatus
JPS5376879U (ko) * 1976-11-29 1978-06-27
JPS5376879A (en) 1976-12-18 1978-07-07 Haruaki Tamaoki Device for measuring dewdrop* cloud* and dirt on glass surface
US4410925A (en) * 1982-03-22 1983-10-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Ground fault detector and shutdown system
US4580186A (en) * 1983-07-15 1986-04-01 Parker Douglas F Grounding and ground fault detection circuits
GB2225184A (en) 1988-10-14 1990-05-23 Redsure E L P Limited Earth monitoring device
GB2235982A (en) 1989-09-07 1991-03-20 Excil Electronics Ltd Earth continuity checking system
US7583483B2 (en) * 2007-10-04 2009-09-01 Lear Corporation Vehicle AC ground fault detection system
JP5273787B2 (ja) 2008-11-19 2013-08-28 日東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のアース線の断線検出回路
US8203308B1 (en) * 2009-04-20 2012-06-19 Yazaki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circuit for providing a balancing current in a charge circuit interrupt device
US8259423B2 (en) * 2009-07-14 2012-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vehicle charge port with fault interrupt circuit
US8289664B2 (en) * 2010-03-08 2012-10-16 Pass & Seymour, Inc. Protective device for an electrical supply fac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36A (ko) * 2018-10-23 2020-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상태 판단 시스템
CN110893786A (zh) * 2019-12-02 2020-03-20 富盛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桩运行维护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1392A2 (en) 2014-09-24
JP2014183741A (ja) 2014-09-29
JP6001584B2 (ja) 2016-10-05
KR101769645B1 (ko) 2017-08-18
US20140285136A1 (en) 2014-09-25
EP2781392B1 (en) 2017-12-27
US9499058B2 (en) 2016-11-22
CN104065113A (zh) 2014-09-24
EP2781392A3 (en) 2015-11-25
CN104065113B (zh)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645B1 (ko) 전기 충전 장치
KR101489226B1 (ko) 전기 자동차용 통합형 완속 충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전기 자동차, 완속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9929674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KR101721399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감시 시스템
KR101299109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06052B2 (ja) 車両用充電装置
CN106208182B (zh) 车辆充电器及其控制导频信号检测方法
JP2013055800A (ja) 電池監視協調充電システム及び電動車両
KR102129143B1 (ko) 전기 이동 수단용 멀티 충전 장치 및 멀티 충전 방법
JP6356783B2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を充電する間の誤りを検出する方法及び構造
JP2008176967A (ja) 車載電池放電装置
JP6573528B2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6362832B2 (ja) 接触器の絶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014927B (zh) 充电控制导引方法和系统、供电控制装置和充电控制装置
US20170163082A1 (en) Electric voltag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oltage system
KR20150031988A (ko)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0166679A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6607161B2 (ja) 車載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584256B1 (ko) 공통 저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4036553A (ja) 車両に搭載されるバッテリのための充電装置
KR101819252B1 (ko) 전기 충전 장치
JP5821595B2 (ja) 給電システム
JP5561834B2 (ja) 車両用充電装置
KR20140140203A (ko) 복수의 충전 대상 장치의 충전을 지원하는 다중 충전 제공 장치, 충전 스테이션 운영 서버, 전기 충전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JP2015107022A (ja) 車両の充放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