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903A -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903A
KR20140113903A KR1020147014344A KR20147014344A KR20140113903A KR 20140113903 A KR20140113903 A KR 20140113903A KR 1020147014344 A KR1020147014344 A KR 1020147014344A KR 20147014344 A KR20147014344 A KR 20147014344A KR 20140113903 A KR20140113903 A KR 20140113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angle
areas
display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젼동 죠우
양 쟈오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비오이 차타니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비오이 차타니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6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enhancing image performance, like resolution, pixel numbers, dual magnifications or dynamic range, by tiling, slic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6Viewing or reading apparatus with moving picture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791Starburst compou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3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monoscop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100) 및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100)은 베이스 기판(5)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이 교대로 배열되어 베이스 기판(5)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이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들(6)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의 주요 발광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만이 관측될 수 있는 제1 뷰 영역(81)에 대응하고; 각각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의 주요 발광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만이 관측될 수 있는 제2 뷰 영역(82)에 대응한다.

Description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UAL-VIEW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듀얼 뷰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영상들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앞에 2개의 측면(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관측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듀얼 뷰 디스플레이는 주로 격자(grating)를 통해 실현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차 장벽 격자(parallax barrier grating; 9)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0) 앞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0)은 교대로 배열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을 포함하고; 시차 장벽 격자(9)는 교대로 배열된 차광 바(light shield bars) 및 투광 바(light transmission bars)를 포함한다. 시차 장벽 격자(9)의 기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부분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스크린의 좌측에 있는 좌측 뷰 영역(81)으로부터만 관측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 부분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스크린의 우측에 있는 우측 뷰 영역(82)으로부터만 관측될 수 있다. 더구나, 좌측 뷰 영역(81)과 우측 뷰 영역(82) 사이에 크로스토크 영역(83)이 배치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은 여기에서 동시에 관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없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은 교대로 배열되고,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듀얼 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 및 시차 장벽 격자(9)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3차원(3D) 디스플레이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의 동시 관측을 요구함에 따라, 3D 디스플레이 관측 영역은 듀얼 뷰 디스플레이에서 크로스토크 영역(83)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3D 디스플레이는 특수 듀얼 뷰 디스플레이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듀얼 뷰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불리점들을 갖는다: 듀얼 뷰 디스플레이는 시차 장벽 격자를 이용하여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격자는 복잡하고 미세한 구조를 갖고, 제조하기 어렵고, 높은 비용을 일으키며, 듀얼 뷰 효과는 시차 장벽 격자와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약간의 위치 편차가 있는 경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복잡한 구조, 높은 비용, 및 열악한 뷰 효과의 결점들을 극복하고, 간단한 구조, 낮은 비용, 및 우수한 듀얼 뷰 효과를 가진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베이스 기판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주요 발광 방향들이 서로 일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만이 관측될 수 있는 제1 뷰 영역에 대응하고, 각각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주요 발광 방향들이 서로 일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만이 관측될 수 있는 제2 뷰 영역에 대응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요 발광 방향”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광이 소정의 발산 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광이 일 방향에 포커싱하면서 방출되고, 대개 디스플레이 유닛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각각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상이한 주요 발광 방향을 가지며, 따라서 전체로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전체로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상이한 측면들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각각 관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차 장벽 격자가 없는 경우에 듀얼 뷰 디스플레이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고, 비용이 낮고, 듀얼 뷰 효과는 우수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은 복수의 립(rib)을 구비하고; 립들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립은 병렬로 배열된다.
반시계 방향을 따른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의 표면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 사이에 제1 각이 형성되고; 시계 방향을 따른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의 표면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 사이에 제2 각이 형성되고; 제1 각 및 제2 각은 동시에 90도가 아니다.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배치된 영역들의 법선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배치된 영역들의 법선 방향들은 서로 일치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립의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이등변 삼각형의 2개의 변은 립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 및 제2 디스플레이 지지부에 각각 대응하는데, 다시 말해 제1 각은 제2 각과 같다.
더구나, 예를 들어, 각각의 립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일 때, 제1 각과 제2 각은 모두 45도이다.
예를 들어, 립의 단면은 직각 사다리꼴이다. 직각 사다리꼴의 윗변(upper base) 및 빗변(oblique leg)은 립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에 각각 대응하는데, 즉 제1 각과 제2 각 중 하나가 90도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은 성형 층(molded layer)을 더 포함하고; 립들은 성형 층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복잡한 구조, 높은 비용, 및 열악한 뷰 효과의 결점들을 극복하고, 간단한 구조, 낮은 비용, 및 우수한 듀얼 뷰 효과를 가진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술한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함에 따라,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한 구조, 낮은 비용, 및 우수한 듀얼 뷰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에 형성된 밀봉 층(sealing layer)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봉 층은 평면 표면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제안의 더 명백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예들의 첨부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후술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시차 장벽 격자를 통해 듀얼 뷰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종래의 기술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 기술적 방안들, 및 이점들의 더 명백한 이해를 위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방안들에 대한 명확하고 완벽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부분적인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들이 아니라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창조적인 노력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여기에 사용된 기술 용어 또는 과학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다. “제1”, “제2” 등의 단어는 순서, 숫자,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구별하는데만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단수 표현은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포함하다”, "구비하다" 등의 단어는 이 단어 앞의 요소 또는 컴포넌트가 이 단어 및 그 등가물 뒤에 열거된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다른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 “연결된” 등의 단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로 제한되지 않고, 직간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위”, “아래”, “좌”, “우” 등의 단어는 설명된 대상의 절대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적으로 변경되는 상대적 위치 관계만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2는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상면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기판(5)을 포함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100)을 제공하고; 도면에서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 및 복수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이 베이스 기판(5)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 각각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6)을 각각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유닛들(6)은 정사각형들로 예시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의 주요 발광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만 관측될 수 있는 제1 뷰 영역(예를 들어, 도 3의 좌측)에 대응하고; 각각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주 발광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만 관측될 수 있는 제2 뷰 영역(예를 들어, 도 3의 우측)에 대응한다.
반시계 방향을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이 배치된 영역의 베이스 기판의 표면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도 3의 점선) 사이에 제1 각(α)이 형성되고, 시계 방향을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이 배치된 영역의 베이스 기판의 표면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 사이에 제2 각(β)이 형성된다. 제1 각(α)과 제2 각(β)은 모두 0도보다 크지만 동시에 90도는 아니며, 다시 말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향한다.
일반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은 모두 연장되어(예를 들어,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어레이 기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됨) 교대로 배열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은 디스플레이 영역들(6)의 복수의 열(행)에 각각 대응한다. 더구나,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6)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판의 픽셀(또는 서브픽셀: 픽셀이 복수의 서브픽셀(예를 들어, RGB 서브픽셀)로 형성됨)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6)의 특정 구조는 공지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기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기판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 유닛(6)은 OLED 및 대응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는 스위치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기판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D) 기판인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6)은 픽셀 전극, 공통 전극, 전자 잉크 층(electronic ink layer), 대응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같은 회로 구조들 또한 베이스 기판(5)상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들은 횡으로 배열되고, 데이터 라인들은 종으로 배열된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 추가적인 설명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고(즉,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이 제공되는 표면들의 법선들이 상이함),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에 각각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들(6)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상이한 방향들로 직접 방출되는데, 다시 말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에 각각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들(6)은 상이한 주요 발광 방향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은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측면들로부터 각각 관측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시차 장벽 격자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듀얼 뷰 디스플레이 효과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이스 기판에 대한 표면 처리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구조는 간단하고 비용이 낮으며; 한편 시차 장벽 격자 및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정확한 정렬에 의해 일어나는 관측 문제는 해결될 수 있고; 듀얼 뷰 효과는 우수하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로서, 예를 들어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5)은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립(7)을 포함하고; 립들(7)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7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72)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71)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2)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반시계 방향을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1)의 표면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도 3의 점선) 사이에 제1 각(α)이 형성되고, 시계 방향을 따른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2)의 표면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 사이에 제2 각(β)이 형성된다. 제1 각과 제2 각은 모두 0도보다 크지만 동시에 90도는 아니며, 다시 말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향한다. 자명하게도, 베이스 기판(5)의 표면은 립들(7)을 통해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는 2개의 영역 그룹으로 간단히 분할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의 분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은 전체로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배치된 부분 영역의 법선 방향 또는 제2 디스플레이들이 배치된 부분 영역의 법선 방향이 아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립의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이등변 삼각형의 2개의 변은 립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1) 및 제2 디스플레이 지지부(72)에 대응한다. 이때, 제1 각(α)은 제2 각(β)과 같다.
더구나, 예를 들어, 각각의 립의 단면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일 때, 제1 각(α) 및 제2 각(β)은 모두 45도이다.
듀얼 뷰 효과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의 배향이 소정의 관계를 따르는 경우 가장 우수하다. 제1 각(α)과 제2 각(β)이 모두 대략 90도이면, 즉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이 배치된 기판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이 배치된 기판 영역들의 배향들이 서로 거의 평행하고, 기판의 법선 방향에 수직이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이 큰 범위 내에서 혼합될 것이고, 이에 따라 크로스토크 영역은 클 것이고, 듀얼 뷰 영역을 실현할 수 있는 영역들은 너무 작을 것이다. 제1 각(α)과 제2 각(β)이 모두 대략 0도이면, 즉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이 배치된 기판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이 배치된 기판 영역들의 배향들이 서로 거의 평행하고, 기판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면, 한편으로는, 2개의 뷰 영역의 위치들은 크게 상이하고, 이에 따라 관측은 불편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인접한 립들(7)에 의해 쉽게 차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효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1 각(α)과 제2 각(β)이 모두 45도인 경우, 관측 효과가 더 좋아질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립들(7)은 그 중심 평면에 대해 측면 대칭적(laterally symmetrical)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은 베이스 기판(5)의 양측의 대칭 위치들에서 각각 관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에 예시된 크로스토크 영역은 감소되고 심지어 제거될 수도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듀얼 뷰 양상에 따른다.
예를 들어, 각각의 립(7)의 단면은 직각 사다리꼴이다. 직각 사다리꼴의 윗변(upper base) 및 빗변(oblique leg)은 립(7)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2)에 각각 대응하는데, 즉 제1 각과 제2 각 중 하나가 90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립(7)의 단면은 직각 사다리꼴이고, 직각 사다리꼴의 윗변 및 빗변은 립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데, 다시 말해 제1 각(α)은 90도가 아니고, 제2 각(β)이 90도이다. 당연히, 제1 각(α)이 90도이고, 제2 각(β)이 90도가 아닌 경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당연히,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의 상이한 배향들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이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기만 하면 다른 형태로 베이스 기판(5)을 배열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 추가적인 설명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립들(7)은 베이스 기판(5)의 일부이다. 베이스 기판(5)은 디스플레이 유닛(6)과 같은 어레이 및 디스플레이 회로 구조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들(6) 또는 그 발광 표면들은 각 립의 2개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5)은 베이스 층(53), 및 립들(7)을 구비하기 위해 처리된 성형 층(5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층(53)은 대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5)은 디스플레이 유닛들(6)과 같은 어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구조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들(6) 또는 그 발광 표면들은 각각의 립(7)의 2개의 측면 상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72) 상에 배치된다. 성형 층(52)은 베이스 층(53)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지 또는 형성이 용이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다. 유리 물질에 의해 립들을 형성하는 프로세스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엠보싱 프로세스(embossing process) 및 포토에칭 프로세스(photoetching process)와 같은 공지된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 층(52)을 립들(7)로 형성하는 프로세스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성형 층(52) 및 그 위의 립들(7)이 형성된 후,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511)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512)의 디스플레이 유닛들(6)이 성형 층(52)상에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들(6)은 관련 분야에서 공지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판이 OLED 디스플레이 기판인 경우, 증착 및 포토리소그래피와 같은 프로세스들이 OLED들의 다양한 기능 층, 구동 회로 구조들 등을 형성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병렬로 분포된 립들을 구비한 기판의 경우, 예를 들어, 증착(deposition) 또는 패터닝(patterning)을 위한 2개의 마스크 플레이트(A 및 B)가 제조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에 대응한다. 첫째, OLED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층이 증착되고; 둘째, 유기 발광 층들이 순차적으로 증착되고, 홀 전송 층(HTL) 및 전자 전송 층(ETL)과 같은 기능 층들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셋째, OLED의 캐소드 또는 애노드를 대응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2 전도층이 증착되고; 이때 OLED 디바이스의 구조가 형성된다. 당연히, OLED 디바이스가 형성되기 전에 구동 요소 및 스위치 요소로 취급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또한 제조되어야 하고, 즉 어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종래의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응 부재들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단계로 분할된다.
디스플레이 기판이 EPD 기판인 경우, 예를 들어, EPD 필름이 독립적으로 먼저 마련되고 이어서 성형 층(52)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더구나, 디스플레이 필름은 성형 층(52)과 컨포멀(conformal)하고, 상이한 발광 방향을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립들(7)은 더블 톤 마스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엠보싱 프로세스 또는 포토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립들(7)을 구비한 성형 층(52)은 엠보싱 프로세스에 의해 직접 형성되고 따라서,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5)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전체(integral) 성형 층(52)이 먼저 형성되고 따라서 더블 톤 마스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포토에칭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립들(7)을 형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다. 더블 톤 마스크 플레이트는 회색 톤 마스크 플레이트라고도 지칭되고, 립들(7)을 형성하기 위해 필름 층의 상이한 위치들을 을 상이한 정도로 에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술한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함에 따라,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한 구조, 낮은 비용, 및 우수한 듀얼 뷰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상에 형성된 밀봉 층을 더 포함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 층(4)은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의 표면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밀봉 층(4)의 상부면이 평평함에 따라, 립들(7), 디스플레이 유닛들(6), 및 다른 구조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표면 또한 평평하다. 밀봉 층(4)은 공지된 방법, 물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층(4)은 디스플레이 기판(100)의 표면상에 수지 물질을 코팅하고 평탄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 추가적인 설명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원, 구동 IC, 및 프레임과 같은 다른 공지된 구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 추가적인 설명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4: 밀봉 층; 5: 기판, 511: 제1 디스플레이 영역; 512: 제2 디스플레이 영역; 52: 성형 층; 53: 베이스 층; 6: 디스플레이 유닛; 7: 립; 71: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 72: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 81: 좌측 뷰 영역; 82: 우측 뷰 영역; 83: 크로스토크 영역; 9: 시차 장벽 격자; 100: 디스플레이 기판; α: 제1 각; β: 제2 각.

Claims (11)

  1.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배치되고,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구비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dual-view display) 기판으로서,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주요 발광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만이 관측될 수 있는 제1 뷰 영역에 대응하고; 각각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주요 발광 방향들은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만이 관측될 수 있는 제2 뷰 영역에 대응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복수의 립들(ribs)을 구비하고; 상기 립들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들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대응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립들은 병렬로 배열되어 있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을 따른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의 표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 사이에 제1 각이 형성되고; 시계 방향을 따른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의 표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법선 방향 사이에 제2 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각 및 상기 제2 각은 동시에 90도가 아닌,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립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이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2개의 변은 상기 립의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 및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제1 각은 상기 제2 각과 동일한,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과 상기 제2 각은 모두 45도인,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7.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립의 단면이 직각 사다리꼴이고; 상기 직각 사다리꼴의 윗변 및 빗변은 상기 립의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 및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지지부에 각각 대응하고, 즉 상기 제1 각과 상기 제2 각 중 하나는 90도인,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상에 형성된 성형 층(molded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립들은 상기 성형 층에 형성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상에 형성된 밀봉 층(sealing layer)을 더 포함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층은 평면 표면을 갖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47014344A 2013-02-19 2013-04-26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40113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53609 2013-02-19
CN201310053609.0 2013-02-19
CN201310116096.3 2013-04-03
CN2013101160963A CN103247665A (zh) 2013-02-19 2013-04-03 双视场显示基板和显示装置
PCT/CN2013/074810 WO2014127586A1 (zh) 2013-02-19 2013-04-26 双视场显示基板和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903A true KR20140113903A (ko) 2014-09-25

Family

ID=4892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344A KR20140113903A (ko) 2013-02-19 2013-04-26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0674B2 (ko)
EP (1) EP2960960A4 (ko)
JP (1) JP6510426B2 (ko)
KR (1) KR20140113903A (ko)
CN (1) CN103247665A (ko)
WO (1) WO2014127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6177B (zh) 2014-08-15 2017-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栅及其制作方法、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6875852B (zh) * 2017-02-27 2021-08-1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10441955B (zh) * 2019-08-02 2020-11-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设备
CN111338108B (zh) * 2020-04-08 2023-04-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EP4201062A1 (en) * 2020-08-20 2023-06-28 Applied Materials, Inc. Oled light field architectures
CN114187837A (zh) * 2021-12-13 2022-03-1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7199214B (zh) * 2023-11-06 2024-02-2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888B2 (ja) * 1996-07-10 2002-07-08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54275A (ja) * 1998-06-04 1999-12-24 Toyota Motor Corp 3d表示el素子
JP2005031195A (ja) * 2003-07-08 2005-02-0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4845336B2 (ja) * 2003-07-16 2011-12-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撮像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双方向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WO2007049213A2 (en) * 2005-10-27 2007-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rectional light output devices such as multi-view displays
KR20090055913A (ko) 2007-11-29 2009-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시각 표시장치
JP2009186876A (ja) * 2008-02-08 2009-08-2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17581A (ja) * 2009-03-17 2010-09-30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95063A (ja) * 2011-03-15 2012-10-1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202145468U (zh) * 2011-05-06 2012-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有机电致发光器件
CN202056688U (zh) * 2011-05-19 2011-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源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0960A1 (en) 2015-12-30
US20150338666A1 (en) 2015-11-26
US9360674B2 (en) 2016-06-07
WO2014127586A1 (zh) 2014-08-28
CN103247665A (zh) 2013-08-14
JP2016514277A (ja) 2016-05-19
JP6510426B2 (ja) 2019-05-08
EP2960960A4 (en)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601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3763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단말기
US11895859B2 (en) Transparent display panels, display screens, and mask plates
KR20140113903A (ko) 듀얼 뷰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186557B2 (en) OLE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mask for vaporization
US20200043990A1 (en) Pixel arrangement structure,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6143056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20240041303A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261563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6183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conductive line with at least one opening
US9825109B2 (en) Display device
KR102143682B1 (ko) 대면적 o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US873013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ixel array
JP2016130780A5 (ko)
CN108336120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786434B (zh) 阵列基板、其制备方法、显示面板、装置和像素驱动电路
TWI545749B (zh) 顯示基板及應用其之顯示裝置
KR10256283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70092702A1 (en) Oled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0718972B2 (en) Backlight sour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3203520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180016711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9418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032471A (ja) パッシブマトリクス駆動型の表示素子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CN110098232A (zh) Oled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