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118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118A
KR20140113118A KR1020130028080A KR20130028080A KR20140113118A KR 20140113118 A KR20140113118 A KR 20140113118A KR 1020130028080 A KR1020130028080 A KR 1020130028080A KR 20130028080 A KR20130028080 A KR 20130028080A KR 20140113118 A KR20140113118 A KR 20140113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ttern
movement
movement patter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645B1 (ko
Inventor
이정석
김정환
김성혁
유지용
임국찬
소순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45B1/ko
Priority to US14/189,851 priority patent/US9793981B2/en
Priority to EP14157743.7A priority patent/EP2779605B1/en
Priority to CN201410097459.8A priority patent/CN104052867B/zh
Publication of KR2014011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무선 통신 그룹을 형성하고, 이 무선 통신 그룹에 속하여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의 분석을 종합하여 특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무선 통신 그룹에 속하여 있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 각각의 움직임을 통하여 기능을 실행한다는 점에서, 보다 정확하게 기능을 실행하고 기능 실행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센서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사용자의 직관적인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움직임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단순히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실행 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직관적인 움직임을 좀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하고, 분석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 및 소정 패턴에 대응되는 제 1 움직임 패턴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주변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주변으로 더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더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세기가 소정 수치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주변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통신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 및 소정 패턴에 대응되는 제 1 움직임 패턴이 감지될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 주변으로 송신한 제 2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 받고, 상기 제 1 및 제 2 움직임 패턴이 서로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움직임 패턴이 서로 대응된다고 판단 시, 상기 인증을 완료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한 승인 신호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제어부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간에 서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형성된 무선 통신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그룹에 속한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이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될 경우,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을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그룹에 속한 제 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 2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제 2 움직임 패턴 및 상기 수신한 제 1 움직임 패턴이 상기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될 경우, 상기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분석된 움직임을 기초로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능 실행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움직임 패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 기능을 연계시킴으로써, 움직임 패턴을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 연결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어느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어느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어느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감지되는 상대적인 회전을 고려하여 화면의 회전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발생되는 이벤트 알람이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 간에 이벤트의 알람을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패턴을 기초로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정 움직임의 패턴이 감지되고, 감지된 소정 움직임 패턴과 연계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이에 연계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화면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추가 센서의 활성화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제 1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제 2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제 3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제 1 이동 단말기(100-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제 1 이동 단말기(100-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제 1 이동 단말기(100-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제 1 이동 단말기(100-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제 1 이동 단말기(100-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제 1 이동 단말기(100-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예시로 설명한다.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다만, 다른 단말기와의 차이점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있기 때문에, 그 장치의 외관 형태 및 동작 방식 등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 손목에 착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들 수 있다. 이 이동 단말기가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손목 시계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 또는 용량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이동 단말기의 그것 보다 축소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휴대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중요성 또한 따라서 증가되고 있다. 이렇게 휴대성 측면에서는 유리할지라도,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는 일반 이동 단말기의 기능들이 다소 제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축소될 우려가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사용자 입력 수단이 작아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다른 기능 및 편의성의 축소를 최소화하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 손목에 착용 가능한 장치를 통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다른 신체 부위 및/또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 연결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a)는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 100-3)간에 서로 독립적인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타입 1 그룹을 도시하고 있다. 이 타입 1에서는 이동 단말기 간에 서로 독립적인 연결을 수행하고 있는 바,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타입 1 그룹에서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타입 1 그룹에 남아 있는 이동 단말기 간의 연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는 타입 1 그룹 내에 속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 각각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 (b)는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2)를 통신 주체(Communication Host)로 설정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립하고 있는 타입 2 그룹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통신 주체 이동 단말기(100-2)를 중심으로 하여 연결이 수립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 이동 단말기들은 서로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만약, 통신 주체 이동 단말기(100-2)의 연결이 그룹에서 해제될 경우, 이 이동 단말기(100-2)에 연결되어 있던 나머지 이동 단말기들 간에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될 예시에서는, 타입 2 그룹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입 1과 같은 근거리 통신 그룹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될 예시에서, 근거리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들, 수신된 신호 데이터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가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교환된 움직임 패턴들 혹은 수신된 신호들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연결 수립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이동 단말기(100-1)와 제 2 이동 단말기(100-2) 간의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상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다른 종류의 이동 단말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은, 근거리 연결을 수립하고자 하는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이 동일할 경우 근거리 통신에 대한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써,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노크하는 동작(또는 2번 이상 노크하는 동작으로도 가능)을 수행할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 각각에서 모두 동일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센싱부(140)에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입력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은, 센서의 종류에 상관 없이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움직임 패턴을 의미한다.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소정 움직임 패턴과 일치할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연결을 시도(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에게 근거리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그리고,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또는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서 단말기 각각(100-1 및 100-2)은 감지한 움직임 패턴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 움직임 패턴은 사전에 정의된 움직임 패턴일 수 있다. 이렇게 교환하는 과정은 감지된 움직임 패턴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케스팅(Broadcasting)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 패턴에 대한 정보는, 후술할 움직임 패턴의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움직임 패턴의 타이밍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간에 통신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기기를 인증하는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의 예를 들면, 두 단말기 간에 연결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단말기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인증 코드를 확인하는 단계가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인증 절차를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감지된 움직임 패턴의 확인을 통하여 실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즉,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은 서로 교환이 되고, 그 교환된 움직임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각 단말기(100-1 및 100-2)의 제어부(180)는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시간이 일치되는지(인증을 하려는 두 단말기 간에 시간적으로 동기화 되어 있는 경우) 여부를 더 고려하여 움직임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각 제어부(180)는 교환된 움직임 패턴이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될 경우, 인증 단계를 마치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연결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교환될 필요 없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감지된 움직임 패턴을 호스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감지된 움직임 패턴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술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인증 단계에서는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100-2)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세기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세기를 고려하는 이유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들 간에 거리를 더 고려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손목에 찬 상태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노크하게 되면, 두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100-2)간에 위치는 서로 근접해 있을 것이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연결의 주체라고 가정하였을 때,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RSSI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RSSI의 값이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만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 등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는 항상 켜져 있는 상태(동작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센서가 항상 켜져 있을 경우, 그 해당 센서가 소모하는 전력도 문제가 되지만, 해당 센서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들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전력 소모가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의 기본 동작 설정을 항상 동작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한다. 이동 단말기는 그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처에 다른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를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 자체는 항상 동작 상태로 유지하되, 그 가속도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자체의 분석을 계속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근처에 다른 이동 단말기가 감지될 경우, 분석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그럼으로써, 이동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소모되는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근처에 다른 이동 단말기를 감지하는 경우 그 이후부터 센서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후의 동작1 - 자동 잠금 해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수립하고 있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센싱되는 신호를 기초로 소정 동작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와 같은 방법을 제안하는 이유는, 상술하였듯이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한적인 기능을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그 기능 및 용량적인 제한 때문에 초래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이러한 제한이 없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더 제안하고자 하는 바는, 근거리 통신을 수립하고 있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 간에 거리가 가까워짐을 감지할 경우, 그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준을 상향시켜 정확한 사용자의 움직임 입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준을 상향시키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추가적인 센서 또는 추가적인 움직임 분석 기능의 활성화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어느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a)에서는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00-1)를 손목에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 있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으려 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바는,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100-2)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신호를 기초로,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 2 단말기(100-2)를 잡을(Grab) 경우, 각 이동 단말기(100-1, 100-2)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신호가 센싱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측되는 센싱 신호로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RSSI) 및/또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소정 수치 이상 일 수 있다. 왜냐하면,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을 경우, 그 이동 단말기 서로 간에 물리적인 거리는 근접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제 1 이동 단말기(100-1)가 손목 시계 형태일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RF 안테나는 손목 밴드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안테나 위치와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안테나 위치는 더욱 근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상술하였듯이,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거리상으로 근접하였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RSSI를 활용할 수 있다. 즉, RSSI가 소정 수치 이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및 100-2)는 서로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및 100-2)가 서로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센서를 활성화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및 100-2)는 RSSI가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센서의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음)를 활성화 한 후 활성화 된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각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 예측되는 센싱신호는 향상된 감지 수준에 따라서 예측되는 감지 신호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측되는 센싱 신호로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움직임 패턴이 급격하게 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100-2)가 서로 근접함에 따라서, 각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경우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는, 화면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있기 때문에 그 움직임은 극히 적을 것을 예상된다.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잡히는 순간부터 센싱부(140)를 통하여 센싱되는 신호가 급변할 수 있다. 이 두 번째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는, 가속도 및/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세 번째 예측되는 센싱 신호로는,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감지되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각도가 소정 수치 이상 회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기 전에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디스플레이 면이 위 방향으로 향해 있으나(도 5 (a)),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은 후에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디스플레이 면은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다(도 5 (b)). 즉,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기 전과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은 이후에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디스플레이 면을 비교하였을 때, 제 1 이동 단말기(100-1) 자체가 회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써 손목에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손등과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디스플레이 면의 방향이 대응되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을 경우 각 이동 단말기(100-1, 100-2)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는 신호가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 예측 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여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설정되어 있는 화면 잠금을 해제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신호를 조합하는 과정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와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통신을 통하여 각각이 센싱한 신호를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기설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후의 동작2 - 보안 인증>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어느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항상 착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타 이동 단말기 보다 더 보안성이 높을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착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하는 과정을 요구할 경우, 그 보안성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왜냐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면 착용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사용자의 동일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보안 수단(또는 인증서) 등을 저장하고, 기타 이동 단말기에서 보안 수단을 필요로 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 수단을 통하여 인증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인증 수단을 필요로 할 경우(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인증을 수행할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한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은 상태에서 소정 패턴의 움직임(600-1)을 입력할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게 인증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또는 인증을 승인할 수 있다).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응되는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다는 것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인증 수단을 제공하더라도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각각이 감지한 움직임 패턴을 연결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교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음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RSSI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한 후, 감지된 신호의 세기가 소정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동일한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 두 이동 단말기 간에 거리는 근접해 있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간략하게 설명하였지만, 제 1 이동 단말기(100-1)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그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이 해제되지 않는 한,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착용됨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이 인증 과정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지문 센서를 구비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서 착용됨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의 지문을 요구하고, 지문의 인증이 완료될 경우 사용자 인증 과정을 마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착용 과정에서 인증 과정을 수행할 경우, 중요한 보안 수단 및 인증서 등을 저장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보안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후의 동작3 - 자동 비활성화 제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바는, 사용자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계속 사용중임을 감지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비활성화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소정 시간 이상 입력이 없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한다. 왜냐하면,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되어 있는 자체로 그 전력의 소모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예방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없다고 해서, 사용자가 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뉴스 기사나 소설책 등을 보기 위해서 추가적인 입력 없이 디스플레이의 활성화가 요구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인 입력이 없이도,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계속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화면의 비활성화를 제한(이하,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이라고 호칭한다)할 것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어느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하고 있는 손으로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경우(이 상태를 센서로 감지할 경우),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계속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판단하고자 하는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신호가 예측될 수 있다.
먼저,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고려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사용자에 의해서 계속 들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그 신호의 세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사용자에 의해서 계속 사용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상태를 판단할 것을 더 제안한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사용자로부터 계속적으로 사용된다면,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화면은 어느 일정 각도를 유지(제 1 감지 신호)하게 될 것이다. 또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 신호의 양이 소정 수치 이하(제 2 감지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감지 신호 및 제 2 감지 신호일 경우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을 해제할 경우, 원래의 기능으로 돌아가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없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후의 동작4 - 디스플레이 화면의 회전>
이동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회전 기능은, 감지되는 이동 단말기 움직임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가 회전되었다고 감지될 경우 감지된 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도 회전시키는 기능(이하, 화면 회전 기능이라고 호칭함)이다. 이와 같은 기능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야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만 회전될 경우, 사용자의 시야에 일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만약 사용자의 시야가 이동 단말기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화면 회전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서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사용자의 시야도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바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감지되는 상대적인 회전을 고려하여 이 회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감지되는 상대적인 회전을 고려하여 화면의 회전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b)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자동 비활성화 제어 상태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 (b) 상태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8 (a)는, 도 8 (b)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만이 회전(예를 들면 90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감지되는 제 1 움직임에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회전은 포함되지 않고, 오직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감지되는 제 2 움직임에만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회전이 포함될 수 있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회전이 감지될 경우,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이 회전되어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 (b)의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만의 회전이 감지되었다면 사용자의 시야는 회전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도 8 (c)는, 도 8 (b)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동시에 회전(예를 들면 90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 이동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의 시야가 같이 회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감지된 움직임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 모두 회전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화면 회전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잡은 상태에서 옆으로 누울 경우, 이런 상황에서 불필요한 화면의 화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화면 회전 기능은,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잠겨 있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후의 동작5 - 이벤트 알람의 공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방법들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 간에 기능을 확장하고자 하는 방법들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한된 기능에 따른 불편함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감소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발생하는 이벤트의 알람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한된 기능에 따른 불편함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발생되는 이벤트 알람이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9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서로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도 9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이벤트의 알람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9 (b)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자동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발생되는 이벤트 알람은 물론이고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벤트 알림도 함께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출력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이하, 이벤트 알람 푸쉬 기능이라고 호칭함).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기기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일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사용하는 동안에 손등은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뒷 면 방향이기 때문에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디스플레이 방향 또한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뒷 면 방향일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에 의해서 계속 사용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된다면,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게 이벤트 발생을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이벤트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수신 받은 이벤트가 호 신호의 수신일 경우, 호 신호의 발신 번호 등 추가 정보를 더 수신하고, 수신되는 추가 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받은 이벤트가 메시지의 수신일 경우,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그 메시지 내용을 더 수신 받고, 그 수신 받은 메시지 내용을 이벤트 알람의 출력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로부터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이 유지될 때 판단한 조건과 동일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고려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사용자에 의해서 계속 들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그 신호의 세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사용자에 의해서 계속 사용 중이라고 판단하고, 이벤트 알람 푸쉬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상태를 판단할 것을 더 제안한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사용자로부터 계속적으로 사용된다면,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화면은 어느 일정 각도를 유지(제 1 감지 신호)하게 될 것이다. 또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센싱되는 움직임 신호의 양이 소정 수치 이하(제 2 감지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감지 신호 및 제 2 감지 신호일 경우 이벤트 알람 푸쉬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이벤트 알람 푸쉬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화면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이벤트 알람 푸쉬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하셔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기 때문에,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더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다른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수신되는 이벤트에 대해서도 이벤트 알람 푸쉬 기능을 더 사용할 수 있다. 즉, 참조한 도 9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서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개별적으로 각각의 이벤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 이후, 도 9 (b)에서와 같이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근거리 통신을 회복한다면,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에 대한 알람을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 전달하여,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전달 받은 이벤트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한된 기능에 따라서, 수신된 이벤트의 수가 많을 경우 이를 한꺼번에 확인하는데 있어서 그 자체의 기능만으로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이벤트의 수신을 저장하고, 제 2 이동 단말기(100-2)와 연결되는 순간 저장된 이벤트를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 전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이벤트의 확인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벤트의 알람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서는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서 화면을 렌더링(rendering) 하여 이 렌더링한 화면을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 전달할 것을 더 제안한다. 제 1 이동 단말기(100-1)가 이 렌더링 화면을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 전달하는 예에 있어서는 미라케스트(Miracast, wifi display의 종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한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실시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사용하고 있는 도중,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서 발생된 이벤트의 알람을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서 출력한 이후, 사용자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화면을 보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비활성화 되어 있던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시키고, 수신된 이벤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시 활성화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것을 더 제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 간에 이벤트의 알람을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게임의 수행 또는 동영상의 재생 등 화면 전체를 활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을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해서가 아닌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통하여 하고자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수신된 이벤트의 알람을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 중 어느 하나의 이상에서 출력하였는데,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회전이 감지될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수신된 이벤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출력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수신된 이벤트가 문자메시지의 수신이라면, 이 구체적인 내용에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 (b)).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화면을 보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센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자동 비활성화 제어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또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 회전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제 1 이동 단말기(100-1) 및 제 2 이동 단말기(100-2)는 사용자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화면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통하여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지만, 제 1 이동 단말기(100-1)만을 통하여 회전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다른 손으로 옮겨 잡은 이후, 제 1 이동 단말기(100-1) 화면을 보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겠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이동 단말기(100-1)화면을 보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중점적으로 판단해야 할 움직임은 제 1 이동 단말기(100-1) 자체의 회전 움직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패턴을 기초로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1101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뿐 만 아니라, 다른 센서를 통하여도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또는 지자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
만일, S1101단계에서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기저장된 소정 패턴과 동일할 경우 S1103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S1102단계). 만약, S1101단계에서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기저장된 소정 패턴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1101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S11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다른 이동 단말기가 감지한 움직임 패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는 자신이 감지한 움직임 패턴 신호를 브로드 케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예를 들면 BLE 브로드 케스트 송신). 또는 S11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다른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감지된 움직임 패턴을 브로드 케스트 송신할 수 있다.
S11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움직임 패턴 및 S1103단계에서 수신한 움직임 패턴의 조합이,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의 조합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한다면 S1105단계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S1101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11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 조합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의 학습 기능>
현재까지 상술한 명세서에서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감지되는 움직임을 기초로 소정 기능을 실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상술한 소정 움직임들 중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움직임 패턴이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움직임이 있는 경우 그 반복적인 움직임을 기억하여,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소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이하, 움직임 패턴 학습 기능)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1201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뿐 만 아니라, 다른 센서를 통하여도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또는 지자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 S120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S1201단계에서 감지된 움직임 중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 기능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만일 S12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감지된 움직임 중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S1208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S1208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으로, 움직임 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S1209단계에서 제어부(180)는 S1208단계에서 실행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취소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움직임 패턴의 오인식으로 인한 사용자 취소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 실행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취소 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180)는 S1210단계로 진행하고, 실행 취소 입력이 없을 경우, S1201단계로 복귀한다.
S12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다른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입력을 수신 받는다. 이는 오인식으로 동작된 움직임 패턴에 대한 동작이 아닌, 실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입력 받기 위한 동작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특정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아니고,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사용에 의한 움직임이 인식된 경우일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동작을 최대한 걸러내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추가 센서의 활성화를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S121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S1201단계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의 오인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추가 센서 활성화를 제안할 수 있다. 이 구체적인 상태도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추가 센서의 활성화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움직임 패턴이 오인식되었음을 알리고, 사용자에게 추가 센서를 요청하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활성화가 가능한 추가 센서의 후보들(1401-1 내지 1401-3)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추가 센서 후보들(1401-1 내지 1401-3)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동작(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 받는다면, 제어부(180)는 S1212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음성 인식을 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를 자신의 입 근처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하였을 때, 이동 단말기는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호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으로 오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오인식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자이로 센서를 추가적으로 활성화 하는 입력을 수신할 경우, 음성 인식을 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회전 정도와 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회전 정도(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면이 향하는 각도)를 더 고려하여, 두 움직임 패턴 간에 오인식 없이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S121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선택 받은 추가 센서를 활성화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추가 센서를 활성화할 경우 전력의 소모가 증가할 수 있음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S1202단계로 돌아가서 만일 이동 단말기(100)는 감지된 움직임 패턴 중 기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S1203단계로 진행한다. S1203단계에서는 감지된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요청하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감지된 움직임 패턴의 입력을 통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메시지 문구는 "무슨 동작을 수행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특정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사용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상술한 S1201 내지 S1203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감지되는 모든 움직임 패턴에 대해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패턴에 대해서도 기능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움직임 패턴을 입력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의 독특한 움직임 패턴에 대해서 S1201 내지 S1209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를 쥐고 좌우로 2회 이상 흔드는 동작 또는 이동 단말기(100)를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동작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 각각을 통하여 입력되는 움직임 패턴의 조합에 대해서도 도 12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호 신호의 수신 또는 메시지알람의 수신 등 특정 환경 하에서 입력되는 동작의 경우에는 별도의 패턴으로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드는 동작을 하더라도, 어느 기능도 실행하지 않을 수 있으나, 호 신호가 수신 되는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들어 올리는 동작이 입력 시, 이동 단말기(100)는 이 응답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할 수 있다(다른 예로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착용한 손으로 제 2 이동 단말기(100-2)를 들어 올리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호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음).
S1204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S1204단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실행이 예상될 수 있는 특정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후보(추천 동작 또는 추천 어플리케이션)들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그 후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후보를 출력하는 화면의 상태도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정 움직임의 패턴이 감지되고, 감지된 소정 움직임 패턴과 연계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이에 연계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화면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이해의 편의성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 자체의 형태는 도시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는 상태도 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입력된 소정 움직임 패턴에 대해서,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지 않음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문구화 함께 동작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예상 동작 후보들(1301-1 내지 1301-3)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작 후보들(1301-1 내지 1301-3)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동작(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 받는다면, 제어부(180)는 S1209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선택 받는 과정에 대해서는, 동작 후보들(1301-1 내지 1301-3) 중에서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움직임 패턴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302)를 터치한 이후, 터치를 유지한 채 드래그되어 드랍된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어느 특정 선택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12로 복귀하여, S1209단계에서 제어부(180)는 S1204단계에서 선택 받은 동작(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감지된 움직임 패턴과 연계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이후 S1201단계로 돌아가서 저장된 움직임 패턴이 입력됨을 감지할 경우 제어부(180)는 S1209단계에서 연계되어 저장된 동작(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S1208단계 실행).
한편, S12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어느 선택도 입력 받지 못하였다면, S1205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12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패턴이 반복되어 감지되는 패턴인지, 일시적으로 입력된 패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센싱부(140)을 통하여 인가되는 입력 패턴들을 일부 저장하고, 저장된 패턴들과 비교시키면서 판단할 수 있다.
S12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S1205단계에서 판단된 움직임 패턴이 반복적이라면 S1207단계로 진행하고, 만약 반복적인 패턴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S1201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1206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움직임 패턴이 반복적인 패턴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 메시지는 반복적인 움직임 패턴이 입력되고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기능의 실행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80)는 S1203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움직임의 정도를 감지하고, 그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소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이하 도면을 통해서 설명될 예시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움직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제 1 예를 도시하고 있다. 움직임의 정도는 1 내지 3단계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구분되는 단계에 한정적이지 않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 모두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이 1단계로 움직임이 거의 없다고 판단될 경우, 각 장치의 제어부는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Sleep car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슬립 모드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 전환하는 모드로써, 수면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알람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스케쥴을 기반으로 휴식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 슬립 모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이벤트 알람의 출력을 소리에서 진동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은 1단계로 감지되나,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은 2단계로 감지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미처 착용하지 못한 상황으로 가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보안 수단 또는 인증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다른 사람에게 이러한 보안 수단 또는 인증 수단의 노출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제어부(180)는 그 동작 모드를 보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안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인증 수단을 강화하거나, 화면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은 2단계로 감지되나,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은 1단계로 감지되는 경우, 테블릿 PC는 파지 하지 않은 채,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 즉 실내임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제어부(180)는 그 동작 모드를 실내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의 자동 연결 시도, 메인 메뉴 또는 연락처 리스트 변경, 진동 모드의 설정, 유선 전화와 연결 또는 GPS 전원을 끄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은 3단계로 감지되나,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은 1단계로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채 운동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제어부(180)는 동작모드를 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운동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제어부(180)는 칼로리 계산을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운동하는 동작에 추천되는 음악을 플레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이 모두 2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일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이 모두 3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실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실외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이동 거리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제 2 예를 도시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이 모두 2 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위치 기반 서비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위치 기반 서비스 모드에서 각각의 제어부(180)는 GPS기능을 활성화하고,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들(예를 들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이 모두 1 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실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제어부(180)는 상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 모드에서 인식한 위치를 기반으로, 집 안에 위치하였음을 인식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제어부(180)는 이 실내 모드에서 와이파이의 자동 연결 시도, 메인 메뉴 또는 연락처 리스트 변경, 진동 모드의 설정, 유선 전화와 연결 또는 GPS 전원을 끄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은 계속적으로 1단계로 유지되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은, 1단계 및 2단계 중 반복적으로 유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슬립 패턴 분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수면 중임으로 가정하고, 수면의 움직임 또는 패턴을 기록하고, 이 기록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록된 움직임 양을 토대로 제공할 수 있으며, 과거 수면 기록과 대조하여 현재 수면의 개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슬립 패턴 분석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한 알람 시간이 다가올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 양이 소정 수치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어느 정도 잠에서 깨었다고 인식하여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알람 자동 활성화 모드). 사람은 수면을 취하는 동안 잠을 깊게 자는 구간과 잠을 깊게 자지 못하는 구간이 있는데, 잠을 깊게 자는 구간에서 알람을 울리는 경우 보다 잠을 깊게 자지 못하는 구간에서 알람을 울리는 경우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은 3단계로 감지되고,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은 1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테블릿 PC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어부(18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로부터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한 알람은 모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테블렛 일시 비활성화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탭핑하는 입력이 수신될 경우, 테블렛 PC의 제어부(180)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소리 또는 진동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테블릿 검색 모드).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이 3단계로 감지되고, 테블릿 PC에 대한 움직임이 2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테블릿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보다 기능적으로 확장된 형태인 테블릿 PC를 통하여 발생 이벤트의 확인이 더 편리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를 통하여 발생된 이벤트의 알람을 모두 테블릿 PC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른 장치에 근접하였음을 인식할 경우, 그 근접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그 장치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전기 밥솥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근접시킬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180)는 그 전기 밥솥과 NFC 기능을 통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성공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180)는 해당 장치와 연결이 성공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더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2단계로 감지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션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 모션 인식 모드에서 소정 움직임 패턴을 수신할 경우, 소정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테블릿 PC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제 3 예를 도시하고 있다.
위치 기반 모드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이 2단계로 유지되면서, 모바일 폰에 대한 움직임이 1단계 내지 2단계를 반복할 경우, 자동차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자동차 제어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채 손을 위로 드는 동작을 감지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저장되어 있는 자동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폰에 대한 움직임이 갑자기 감지되지 않을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핸즈프리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바일 폰에 대한 움직임이 갑자기 감지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모바일 폰을 소지한 채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바일에 대한 움직임이 다시 인가되기 시작하면, 각각의 제어부(180)는 핸즈프리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원래 수신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제어부(180)는 현재의 위치를 자동차의 주차 위치로 기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자동차 제어 모드에서 다시 모바일 폰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주차된 차량에서 빠져 나왔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실 모드(office mode)에서 각각의 제어부(180)는 사무실 상황에 맞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사무실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모바일 폰에 대한 움직임이 모두 1단계로 감지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은 시간을 기억하고, 소정 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을 경우, 사용자에게 스트레칭 운동과 같은 움직임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레칭에 대한 간단한 방법등을 함께 출력하여 효율적인 운동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폰에 대한 움직임이 1단계로 유지된 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모바일 폰의 제어부(180)는 분실 방지를 위한 소리 또는 진동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착용한 채 모바일 폰을 실수로 두고 나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케쥴러와 연동하여, 정해진 스케쥴에 움직임이 없으면, 각각의 제어부(180)는 해당 스케쥴이 있음을 알리는 알람을 추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러와 연동되었을 때, 외부에 출장을 가기 위한 스케쥴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폰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해당 스케쥴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지 못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부(180)는 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스케쥴에 대한 추가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스케쥴을 관리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9)

  1. 무선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 및
    다른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하고,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RSSI가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이 제 1 기저장 패턴과 대응될 경우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을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 2 움직임 패턴을 수신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움직임 패턴이 제 2 기저장된 패턴과 대응될 경우, 상기 제 2 기저장 패턴에 대응된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은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다가 일시적으로 감지되는 움직임 양이 소정 수치 이상으로 증가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소정 높이 이상 높아진 움직임이고, 상기 제 2 움직임 패턴은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고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 높아진 움직임일 때, 상기 제 2 기저장 패턴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인,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실행한 후,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발생 알람을 수신 받고, 상기 수신 받은 이벤트 발생 알람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SSI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측정된 RSSI가 상기 소정 수치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비활성화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 2 움직임 패턴을 수신하며,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 또는 수신한 제 2 움직임 패턴은 각 이동 단말기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된 움직임이고, 상기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비활성화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 2 움직임 패턴을 수신하며,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은 소정 각도 이상 회전 움직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제 2 움직임 패턴은 상기 소정 각도 이상 회전 움직임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시켜 출력하고,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 및 수신된 제 2 움직임 패턴 모두 소정 각도 이상 회전 움직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회전시키지 않고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함에 있어서,
    제 3 기저장 패턴에 대응되는 제 3 움직임 패턴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감지된 제 3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주변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 3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함에 있어서,
    제 4 기저장 패턴에 대응되는 제 4 움직임 패턴이 감지될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가 주변으로 송신한 제 5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근거리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 받고,
    상기 제 4 및 제 5 움직임 패턴이 서로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4 및 제 5 움직임 패턴이 서로 대응된다고 판단 시, 상기 인증을 완료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한 승인 신호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움직임 패턴 정보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감지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인,
    이동 단말기.
  15. 다른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RSSI가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이동 단말기 간에 서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형성된 무선 통신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이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할 경우, 상기 감지된 제 1 움직임 패턴을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 그룹을 형성하며, 제 2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 2 움직임 패턴 및 상기 수신한 제 1 움직임 패턴이 상기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 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하는,
    무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하는데 있어서,
    제 3 움직임 패턴을 더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 3 움직임 패턴이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된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3 움직임 패턴이 상기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된 입력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제 3 움직임 패턴에 대응시켜 저장할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는,
    무선 시스템.
  19. 이동 단말기 간에 서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형성된 무선 통신 그룹을 포함하는 무선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그룹에 속한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 1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이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될 경우, 상기 제 1 움직임 패턴을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그룹에 속한 제 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 2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제 2 움직임 패턴 및 상기 수신한 제 1 움직임 패턴이 상기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될 경우, 상기 기저장된 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130028080A 2013-03-15 2013-03-15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4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080A KR102148645B1 (ko) 2013-03-15 2013-03-15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189,851 US9793981B2 (en) 2013-03-15 2014-02-25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4157743.7A EP2779605B1 (en) 2013-03-15 2014-03-05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410097459.8A CN104052867B (zh) 2013-03-15 2014-03-14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080A KR102148645B1 (ko) 2013-03-15 2013-03-15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118A true KR20140113118A (ko) 2014-09-24
KR102148645B1 KR102148645B1 (ko) 2020-08-28

Family

ID=5023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080A KR102148645B1 (ko) 2013-03-15 2013-03-15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3981B2 (ko)
EP (1) EP2779605B1 (ko)
KR (1) KR102148645B1 (ko)
CN (1) CN104052867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158A (ko) * 2015-01-15 2016-07-25 이담정보통신(주)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125971A1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1268A (ko) *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30241A (ko)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48387B2 (en) 2015-05-07 2017-12-19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9977509B2 (en) 2015-11-20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sture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wearable device
US10352958B2 (en) 2015-05-07 2019-07-16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device and driver determining method thereof
KR102080432B1 (ko) * 2019-01-30 2020-02-2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폴스 알람을 줄이기 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24058475A1 (en) * 2022-09-16 2024-03-21 Tv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 stream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4178B1 (en) 2012-06-21 2014-10-07 Disney Enterprises, Inc. Enabling authentication and/or effectuating events in virtual environments based on shaking patterns and/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eal-world handheld devices
GB201304219D0 (en) * 2013-03-08 2013-04-24 Tomtom Int Bv Methods for communicating sensor data between devices
US9542579B2 (en) * 2013-07-02 2017-01-10 Disney Enterprises Inc. Facilitating gesture-based association of multiple devices
US9374841B2 (en) * 2013-07-22 2016-06-21 Htc Corporation Communicative connection method among multiple devices
US9622074B2 (en) * 2013-07-24 2017-04-11 Htc Corporation Method for continuing operation on mobile electronic device,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wearable device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101869B2 (en) * 2013-08-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dentifying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event
US10141929B2 (en) 2013-08-13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Proc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using machine learning
US10073578B2 (en) 2013-08-13 2018-09-1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KR102219042B1 (ko) * 2014-02-26 2021-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50245164A1 (en) * 2014-02-26 2015-08-27 Aliphcom Interaction between wearable devices via broadcasted sensor-related data
CN105094287A (zh) * 2014-04-15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EP3637227B1 (en) * 2014-05-20 2023-04-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 on intelligent wearing device by using gesture, and intelligent wearing device
US9584645B2 (en) * 2014-06-04 2017-02-28 Grandios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with wearable devices
US9288556B2 (en) * 2014-06-18 2016-03-15 Zikto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balance of wearable device
ES2765457T3 (es) * 2014-07-07 2020-06-09 Leila Benedicte Habiche Dispositivo para la práctica de actividades deportivas
WO2016018040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49393B2 (en) * 2014-08-27 2017-01-17 Tractouch Mobile Partners, Llc Mobile vibratory alert system and method for logging alert transmissions and reception of acknowledgments
TWI554142B (zh) * 2014-09-09 2016-10-1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穿戴式電子裝置間之通訊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KR102277097B1 (ko) * 2014-09-12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298902B (zh) * 2014-09-28 2017-09-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程序的显示方法、装置及设备
US9892249B2 (en) * 2014-09-29 2018-02-13 Xiaomi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uthorizing operation
TWI547826B (zh) * 2014-10-14 2016-09-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穿戴式電子裝置間之通知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TWI547827B (zh) * 2014-10-14 2016-09-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群組事件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KR20160045269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102275653B1 (ko) * 2014-10-21 2021-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전송 방법.
CN105589817A (zh) * 2014-10-21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控制的方法及设备
EP3219171B1 (en) * 2014-11-15 2019-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collocation of the devices on a user
KR102295823B1 (ko) * 2014-12-05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4731336B (zh) * 2015-03-27 2018-01-3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适用于设定场景的移动终端使用方法及装置
CN106162935A (zh) * 2015-04-21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之间的连接方法及装置
US10489515B2 (en) * 2015-05-08 2019-1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service in face-to-face situation
US9907998B2 (en) 2015-05-15 2018-03-06 Polar Electro Oy Wrist device having heart activity circuitry
CN105187084B (zh) * 2015-06-04 2018-02-09 山东三田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
CN106302036A (zh) * 2015-06-09 2017-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家庭网关的方法和装置
US9846488B2 (en) * 2015-07-10 2017-12-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otion-correlation control system to control communication of a wearable device
CN105550564B (zh) * 2015-07-28 2019-06-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解锁方法及系统
WO2017054165A1 (zh) * 2015-09-30 2017-04-06 华为技术有限公司 交互设备的选择方法和装置
CN105406882A (zh) * 2015-11-25 2016-03-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设备控制方法及装置
DE112015007229T5 (de) * 2015-12-23 2018-10-18 Intel Corporation Kontextbezogenes Verbindungsprotokoll
CN105611062A (zh) * 2016-01-20 2016-05-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联系人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20170208430A1 (en) * 2016-01-20 2017-07-20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Car entertainment control system
US10334076B2 (en) * 2016-02-22 2019-06-25 Google Llc Device pairing in augmented/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0775845B2 (en) 2016-03-18 2020-09-15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context awar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compute devices
CN105847627B (zh) * 2016-03-30 2018-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数据的方法和装置
CN108369447B (zh) * 2016-04-13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可穿戴电子设备运行状态的方法和装置
US10460590B2 (en) * 2016-07-26 2019-10-29 Tyco Integrated Secur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uress alarm
CN106131433A (zh) * 2016-08-16 2016-11-1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自拍方法及装置
JP6576980B2 (ja) * 2017-07-25 2019-09-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10985982B2 (en) * 2017-09-27 2021-04-20 Sonos, Inc. Proximal playback devices
EP3515052A1 (en) * 2018-01-22 2019-07-24 TP Vision Holding B.V. 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8566490A (zh) * 2018-04-16 2018-09-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的屏幕控制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终端
CN109637463B (zh) * 2019-01-28 2020-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插黑优化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11537093B2 (en) * 2019-03-08 2022-12-27 Citizen Watch Co., Ltd.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system
US11258880B2 (en) * 2019-06-24 2022-02-22 Amazon Technologies, Inc. Wearable device for controlling endpoint devices
CN111552190B (zh) * 2020-04-24 2024-01-30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硬件设备功能的方法及其系统和装置
AU2020233622B2 (en) * 2020-05-11 2022-03-10 Apple Inc.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scheduled mode changes on electronic devices
KR20220046260A (ko) * 2020-10-0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578A1 (en) * 2004-09-24 2007-08-09 Smith Joshua R RFID tag with accelerometer
US20100123664A1 (en) * 2008-11-14 201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tion sensor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user interface
US20110004436A1 (en) * 2007-09-07 2011-01-06 Berco Beute Identifying mobile devices
US20110314153A1 (en) * 2010-06-22 2011-12-22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ed device authentication, pairing and resource sharing
US20120050153A1 (en) * 2010-08-31 2012-03-01 Apple Inc. Intelligent pairing of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9819B2 (en) 2004-02-05 2014-01-28 Nokia Corporation Ad-hoc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20060282021A1 (en) * 2005-05-03 2006-12-14 Devaul Richard W Method and system for fall detection and motion analysis
US8339363B2 (en) * 2005-05-13 2012-12-25 Robert Bosch Gmbh Sensor-initiate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evices
CN107102723B (zh) * 2007-08-20 2019-12-06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基于手势的移动交互的方法、装置、设备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8482403B2 (en) * 2007-12-12 2013-07-09 Sony Corporation Interacting with devices based on physical device-to-device contact
US20110106954A1 (en) 2008-09-26 2011-05-05 Manjirnath Chatterjee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US20100167646A1 (en) * 2008-12-30 2010-07-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pairing
US9110510B2 (en) * 2011-06-03 2015-08-18 Apple Inc. Motion pattern classification and gesture recognition
WO2013032187A1 (en) * 2011-09-01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unlock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578A1 (en) * 2004-09-24 2007-08-09 Smith Joshua R RFID tag with accelerometer
US20110004436A1 (en) * 2007-09-07 2011-01-06 Berco Beute Identifying mobile devices
US20100123664A1 (en) * 2008-11-14 201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tion sensor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user interface
US20110314153A1 (en) * 2010-06-22 2011-12-22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ed device authentication, pairing and resource sharing
US20120050153A1 (en) * 2010-08-31 2012-03-01 Apple Inc. Intelligent pairing of electronic devic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158A (ko) * 2015-01-15 2016-07-25 이담정보통신(주)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125971A1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87511B2 (en) 2015-02-03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111268A (ko) *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48387B2 (en) 2015-05-07 2017-12-19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0352958B2 (en) 2015-05-07 2019-07-16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device and driver determining method thereof
KR20170030241A (ko)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77509B2 (en) 2015-11-20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sture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wearable device
KR102080432B1 (ko) * 2019-01-30 2020-02-2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폴스 알람을 줄이기 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US10909836B2 (en) 2019-01-30 2021-02-02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Device for preventing mobile phone loss through reduction of false alarms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s for mobile phone loss prevention
WO2024058475A1 (en) * 2022-09-16 2024-03-21 Tv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ideo player according to motion control mode in content stream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9605B1 (en) 2018-06-06
CN104052867B (zh) 2019-09-27
US20140273849A1 (en) 2014-09-18
EP2779605A1 (en) 2014-09-17
KR102148645B1 (ko) 2020-08-28
US9793981B2 (en) 2017-10-17
CN104052867A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6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4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2448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76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1331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tagging different NFC tags
KR1019084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197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5945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829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17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11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97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009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8768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12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10071866B (zh) 一种即时通信应用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434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잠금 해제 방법
KR10198409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01276B1 (ko) 단말기에서의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20140044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58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255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0090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