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130A -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130A
KR20140112130A KR1020130015732A KR20130015732A KR20140112130A KR 20140112130 A KR20140112130 A KR 20140112130A KR 1020130015732 A KR1020130015732 A KR 1020130015732A KR 20130015732 A KR20130015732 A KR 20130015732A KR 20140112130 A KR20140112130 A KR 20140112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ensor
mounting portion
balance b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291B1 (ko
Inventor
전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스터
Priority to KR102013001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2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 또는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부, 거치부에 연결된 손잡이, 거치부에 지지된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거치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거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결합된 밸런스 볼, 밸런스 볼에 내장되어 거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및 게임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 또는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부위로서 팔이나 다리를 이용하여 균형잡기하여 신체 유연성을 강화하거나 트레이닝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에 연계된 게임을 진행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력 운동이나 평형 감각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알려져 있다.
[문헌1]에서는 평판체의 보드에 발을 올려 놓고 보드에 설치된 이동수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이동하면서 발운동이나 신체운동을 하는 보드식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운동기구는 신체 활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재활환자나 어린이 등과 같이 신체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사용자가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기존의 운동기구는 운동효과를 발휘하는데 중점을 두고 개발된 관계로 사용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흥미 유발을 통한 꾸준한 운동을 유도하는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7267호(2010. 09. 03)
없음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나 어린이와 같이 신체 활동이 자유스럽지 못한 사용자가 가벼운 몸풀기나 균형잡기함으로써 신체 유연성을 강화하거나 트레이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운동기구에 설치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과 연계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하지 않고 흥미유발을 통하여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는,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손잡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된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결합된 밸런스 볼; 상기 밸런스 볼에 내장되어 상기 거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게임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 팔거치대와, 상기 각각의 팔거치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타측이 고정된 회전봉과, 상기 밸런스 볼과 암수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복수개 팔거치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팔거치대는 완만하게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 상면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U자형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고 판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면에 양발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중심부에 상기 밸런스 볼이 일체로 결합된 발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각각 체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끈결합부는 일자형 통공과 고정홈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의 통공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연결끈을 체결하되, 상기 연결끈에 매여지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봉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끈을 상기 끈결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런스 볼은 구형상 또는 반원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중앙 꼭지에 결합되고 외향 돌출된 돌출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게인센터는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센서 감지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게임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 컨텐츠에 연계하여 상기 센서 감지신호에 연동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상기 거치부에 인접한 박스형 지지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충전가능하고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는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나 어린이와 같이 신체 활동이 자유스럽지 못한 사용자가 가벼운 몸풀기나 균형잡기함으로써 신체 유연성을 강화하거나 트레이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설치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과 연계되어 게임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고 흥미유발을 통하여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운동기구에 설치한 손잡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거치부와 밸런스 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거치부와 밸런스 볼의 결합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3의 발판 위에 발판 커버를 위치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발판에 연결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링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발판 커버를 벗겨낸 발판의 상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발판의 하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고정판의 하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고정판의 상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는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는 팔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운동기구와 발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운동기구 각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1)는 팔 수술환자의 재활이나 어린이의 유연성 강화에 도움줄 수 있는 팔 운동을 위한 것으로,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부(100)와, 거치부(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00)와, 거치부(100)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밸런스 볼(3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거치부(100)는 밸런스 볼(300)을 지지하는 몸체(130)와, 몸체(130) 양측에 위치하여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 팔거치대(110)와, 복수개 팔거치대(110)와 몸체(130)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구(140)와, 각각의 연결구(14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말단에 손잡이(20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된 회전봉(120)을 포함한다.
복수개 팔거치대(110)는 아래쪽 팔 부위를 감싸도록 완만하에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신체 부위와의 접촉감을 높이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만곡부 상면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고무 등의 완충부재(111)를 부착한다.
몸체(130) 중앙에는 밸런스 볼(130)이 끼워지도록 관통된 결합공(132)이 형성되고, 결합공(132) 내측에는 밸런스 볼(130)의 외측에 마련된 결합편(302)과 암수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132)가 형성된다.
연결구(140)는 팔거치대(110) 측면과 몸체(130) 측면을 연결하는데, 양팔의 간격에 맞추어 대향 설치된 양쪽 팔거치대(1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구(140) 일측이 몸체(130) 내부로 진퇴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밸런스 볼(300)은 구 형상의 몸체(301)를 구비하고, 몸체(301) 외측에 일정 길이의 결합편(302)이 돌출형성된다. 밸런스 볼(300) 내부에 거치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센서부(400)를 내장하고 있다. 센서부(400)의 USB 포트(404)는 도시하지 않은 USB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로서, 몸체(301) 외측에 노출되어 설치된다.
도 2a를 참고하여, 거치부(100)의 나사부(132)에 밸런스 볼(300)의 결합편(302)이 암수 결합되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팔거치대(110)와 몸체(130)에 대해 밸런스 볼(300)의 몸체(301) 하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된다. 이렇게 밸런스 볼(300)의 몸체(301)를 바닥에 지지시키고 양쪽 팔거치대(110)에 팔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힘의 방향으로 거치부(100)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 반대측으로 힘의 방향을 이동시키면 거치부(100)는 이동 방향을 따라 반대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렇게 거치부(100)의 기울임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양손으로 손잡이(200)를 잡고 운동할 수 있는데, 기울임 동작과 동시 또는 별개의 동작을 손잡이(200)를 회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고하여, 센서부(400)는 거치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401)와, 가속도 센서(401)의 센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모뎀(402)과, 동작 전원을 제공하며 충전가능하는 배터리(403), 및 배터리(403)를 충전하기 위해 밸런스 볼(300)의 몸체(301)에 노출되게 설치한 USB 포트(40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가속도 센서(401)를 적용하였으나, 거치부(100)의 기울임에 따라 변화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게임센터(500)는 거치부(100)와 떨어진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센서부(400)의 무선모뎀(402)으로부터의 센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모뎀(501)과, USB 포트(502)와, 게임 컨텐츠를 이용한 게임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3)와, 게임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504), 및 센서부(400)의 센서 감지신호에 연계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한 게임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505)를 포함한다. 여기서 USB 포트(502)는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 이외에 게임 컨텐츠의 데이터를 갱신 또는 저장하기 위해 전송 매개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게임센터(500)에서 이용하는 게임 종류는 특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게임 그래픽을 배경으로 하여 센서 감지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타겟 또는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동 궤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팔을 복수개 팔거치대(110)에 올려 놓고 게임 센터(500)의 표시부(505)를 보면서 게임을 하듯이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 강화나 트레이닝을 할 때 흥미유발을 통한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발 수술환자의 재활이나 어린이의 유연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를 설명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1A)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게임을 하듯이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할 수 있도록 거치부(100a)와, 손잡이(200a), 및 게임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거치부(100a)는 바닥에 지지되는 판형상의 베이스판(150)과, 베이스판(150)에 고정 설치된 판형상의 고정판(160)과, 연결끈(180)을 이용하여 고정판(160)에 구속되는 판형상의 발판(170)을 포함한다.
거치부(100a)는 발판(170) 상면에 위치하여 발판(170) 상면을 가려주고 함몰된 부위를 막기 위한 발판 커버(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170) 하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밸런스 볼(300a)이 마련된다.
베이스판(150)의 가장 자리에는 U자형 손잡이(200a)가 양측에 대향 설치되고, 그 손잡이(200a)의 말단은 베이스판(150)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거치부(100a)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게임 동작을 할 수 있는 게임센터(500)가 마련된다. 게임센터(500)는 바닥에서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박스형 지지체(506)에 고정된 표시부(505)를 포함한다. 박스형 지지체(506)는 상하방향의 2열로 배치되어 양쪽의 손잡이(200a)를 횡단하여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507)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게임센터(500)는, 도 2b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무선모뎀(501), USB포트(502), 제어부(503), 컨텐츠저장부(5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발판(170) 하면 중앙에는 반원형 밸런스 볼(300a)이 마련된다. 밸런스 볼(300a)은 발판(170)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향 돌출된 몸체(301a)와, 몸체(301a)의 외측 중앙 꼭지에 고정볼트(303)에 의해 결합된 돌출편(302)을 포함한다. 돌출편(302)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판(150)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몸체(301a)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부(400)가 위치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400) 상부는 발판커버(171)에 의해 가려진다. 이러한 센서부(400)는 도 2b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가속도센서(401), 무선모뎀(402), 배터리(403), 및 USB포트(4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끈(180)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고정판(150)과 발판(170)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체결되는데,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 연결끈(180)에 끼움봉(181)을 이용하여 일측과 타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여, 발판(17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 끈결합부(172)(173)가 내측 테두리를 돌아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끈결합부는 통공(172)과 고정홈(173)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공(172)은 일자형으로 발판(17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정홈(173)은 통공(172)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상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170) 후면에서 볼 때 통공(172)만이 노출형성되고 고정홈(173)은 노출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고하여, 고정판(16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 끈결합부(162)(163)가 내측 테두리를 돌아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끈결합부는 통공(162)과 고정홈(163)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이질 수 있다. 통공(162)은 일자형으로 고정판(160)의 하면과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정홈(163)은 통공(162)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하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고정홈(163)은 통공(162)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160) 상면에서 볼 때 통공(162)만이 노출형성되고 고정홈(163)은 노출되지 않는다.
고정판(160) 상면 중앙에는 돌출편(302)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약간 움푹하게 패인 안착홈(161)이 형성된다.
다시 도 4를 참고하여, 연결끈(180) 일측에 끼움봉(181)을 매고나서 이 끼움봉(181)을 발판(170)의 고정홈(173)에 끼워 고정하고, 연결끈(180) 타측에 끼움봉(181)을 매고나서 이 끼움봉(181)을 고정판(160)의 고정홈(163)에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발판(170)과 고정판(160) 사이를 복수개의 연결끈(180)과 끼움봉(181)을 이용하여 체결하며, 이때 발판(170) 하면에 일체로 결합된 밸런스 볼(300a)의 중앙 꼭지의 돌출편(302)은 고정판(160)의 안착홈(161)에 안착되고, 더불어 발판(170)과 고정판(160) 각각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체결된 연결끈(180)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발판(170) 위에 양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힘의 방향으로 발판(170)이 기울어지게 되고, 그 반대측으로 힘의 방향을 이동시키면 발판(170)이 이동 방향을 따라 반대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렇게 발판(170)의 기울임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발판(170) 함몰부에 위치한 센서부(400)에서 센서 감지신호를 게임 센터(500)로 전송하고, 게임센터(500)에서 센서 감지신호에 연계하여 게임 동작을 표시부(50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으로 손잡이(200a)를 잡고 밸런스 운동할 수 있고, 게임센터(500)의 표시부(505)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을 즐기면서 밸런스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1, 1A : 운동기구
100, 100a : 거치부
200, 200a : 손잡이
300, 300a : 밸런스 볼
400 : 센서부
500 : 게임센터

Claims (8)

  1.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손잡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된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결합된 밸런스 볼;
    상기 밸런스 볼에 내장되어 상기 거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게임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 팔거치대와, 상기 각각의 팔거치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타측이 고정된 회전봉과, 상기 밸런스 볼과 암수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복수개 팔거치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팔거치대는 완만하게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 상면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U자형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고 판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면에 양발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중심부에 상기 밸런스 볼이 일체로 결합된 발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각각 체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끈결합부는 일자형 통공과 고정홈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의 통공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연결끈을 체결하되,
    상기 연결끈에 매여지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봉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끈을 상기 끈결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볼은 구형상 또는 반원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중앙 꼭지에 결합되고 외향 돌출된 돌출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게인센터는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센서 감지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게임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 컨텐츠에 연계하여 상기 센서 감지신호에 연동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상기 거치부에 인접한 박스형 지지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핼스케어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충전가능하고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KR1020130015732A 2013-02-14 2013-02-14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KR10146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732A KR101464291B1 (ko) 2013-02-14 2013-02-14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732A KR101464291B1 (ko) 2013-02-14 2013-02-14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30A true KR20140112130A (ko) 2014-09-23
KR101464291B1 KR101464291B1 (ko) 2014-11-25

Family

ID=5175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732A KR101464291B1 (ko) 2013-02-14 2013-02-14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5386A1 (en) * 2015-02-27 2016-09-01 Dering Oy Exercise device
KR20190056142A (ko) * 2017-11-16 2019-05-24 이윤경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03B1 (ko) 2018-07-20 2020-01-15 (주)건강한친구 게이미피케이션 밸런스 운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595A (ko) * 2004-02-05 2007-05-29 모토리카 리미티드 재활 운동 및 훈련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52583B1 (ko) * 2011-06-14 2014-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5386A1 (en) * 2015-02-27 2016-09-01 Dering Oy Exercise device
US10926138B2 (en) 2015-02-27 2021-02-23 Te3 Oy Exercise device
KR20190056142A (ko) * 2017-11-16 2019-05-24 이윤경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291B1 (ko)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8832B2 (ja) 腹部およびコアの運動器具
KR101948760B1 (ko) 스마트 하체운동기
US20180264321A1 (en) Tilting surface application controller
JP2007307284A (ja) センサー付きコントローラー保持具
WO2015130177A1 (en) Balance board for use as a control device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US20140213417A1 (en) Gyroscopic exercise device
JP2006136694A (ja) 携帯ゲーム保持具
KR101464291B1 (ko)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KR101876796B1 (ko)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CN109481913B (zh) 一种智慧型健身装置及智慧健身交互系统
US11007407B2 (en) 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US20120149469A1 (en) Game control and exercise system
JP2008167864A (ja) 健康運動器具
CN208943359U (zh) 多功能智能运动健身器结构
KR101091828B1 (ko) 다기능 보드, 이를 이용한 상호 작용하는 척추 운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7789A (ko) 밸런스 게임 기구 시스템
KR20210157779A (ko)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WO2017135555A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KR101590921B1 (ko) 운동기구
US20230310930A1 (en) Exercise device
KR20190046385A (ko) 상하지 재활 장치
KR101555036B1 (ko) 줄넘기 운동 기구
JP2022067279A (ja) 圧力計測機能付き操作装置及び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