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83B1 -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83B1
KR101352583B1 KR1020110057167A KR20110057167A KR101352583B1 KR 101352583 B1 KR101352583 B1 KR 101352583B1 KR 1020110057167 A KR1020110057167 A KR 1020110057167A KR 20110057167 A KR20110057167 A KR 20110057167A KR 101352583 B1 KR101352583 B1 KR 10135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wrist
bouncing
unit
wris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964A (ko
Inventor
원영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는, 바닥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에 장치되며 사용자 발 뒤꿈치를 위, 아래로 강제 요동시켜 신체 바운싱 운동을 유도하는 바운싱 운동부; 바운싱 운동부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 베이스 상에 올라선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장치되고 사용자 손목회전에 따라 좌, 우로 회전하면서 손목의 회전운동을 돕는 손목 회전운동부; 및 바운싱 운동부와 손목 회전운동부를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기구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Athletic apparatus for training of body balance and reinforcement of }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목 회전운동을 통해 경추신경을 자극하고, 더불어 발 뒤꿈치를 가볍게 위, 아래로 움직여 주는 바운싱 운동을 통해 하체 뒷부분 근육 및 전신 근육을 풀어주면서 뇌신경을 자극하여 신체의 밸런스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두 발이 지면에서 동시에 떨어지도록 가볍게 뛰면서 신체근육을 풀어주는 운동(점핑)을 바운싱 운동이라 한다. 바운싱 운동은 하체 뒷 근육 및 전신 근육을 가볍게 푸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뇌 및 피부 전체에 미세한 자극을 전달함으로써 뇌의 활동성 및 피부 감각기능 향상 등 전반적으로 신체밸런스 강화에 매우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바운싱 운동을 행함에 있어 양쪽 발 뒤꿈치를 살짝 든 상태로 위, 아래로 가볍게 뛰면 보다 나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체 근력과 균형기능 향상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신체 평형감각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신체에 유익한 운동효과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규칙적이면서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한 횟수로 운동을 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적당한 횟수 또는 시간 그 이상으로 무리하게 운동을 행하면, 하지 근육이 긴장되거나 관절 통증이 유발되는 등 전반적으로 신체 피로를 가중시켜 신체밸런스를 무너뜨리는 것과 같은 역효과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바운싱 운동 시 적당한 운동 횟수 및 시간, 그리고 바람직한 운동자세 등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기 때문에 운동에 비해 기대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운동 횟수 및 시간 지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바운싱 운동을 행할 수 있게 하고, 바운싱 운동을 행함에 있어 바람직한 운동자세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바운싱 운동과 함께, 신체밸런스를 강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손목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장치되며 사용자 발 뒤꿈치를 위, 아래로 강제 요동시켜 신체 바운싱 운동을 유도하는 바운싱 운동부; 바운싱 운동부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 베이스 상에 올라선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장치되고 사용자 손목회전에 따라 좌, 우로 회전하면서 손목의 회전운동을 돕는 손목 회전운동부; 및 상기 바운싱 운동부와 손목 회전운동부를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기구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운싱 운동부는, 사용자 발이 위치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며, 베이스에 피봇 연결되어 이 피봇을 기준으로 경사각이 가변되는 형태로 위, 아래로 요동되는 요동 플레이트; 및 상기 요동 플레이트 요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요동 플레이트는, 사용자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신체 발바닥 형상으로 좌, 우 한 쌍의 요홈면을 갖고, 상기 요홈면에는 지압돌기가 일정한 패턴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는, 피스톤 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피봇을 기준으로 요동 플레이트를 요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타입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엑츄에이터는, 전기모터와 전기모터 회전축에 장착되는 캠을 포함하는 캠 구동방식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캠의 캠면은 상기 피봇으로부터 이격된 요동 플레이트 후방부 저면에 형성된 접촉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손목 회전운동부는, 손잡이를 갖는 좌, 우 한 쌍의 회전체;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링 형, 볼 형, 봉 형 손잡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손잡이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운싱 운동부에 의해 신체가 위, 아래로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에 맞춰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손잡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체 좌우 밸런스 강화를 위한 손목운동을 행함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밸런스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좌, 우 한 쌍의 손잡이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좌우 정·역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그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손잡이가 형성된 회전체를 사용자 신장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높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장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에 따르면, 발 뒤꿈치를 가볍게 위, 아래로 움직여 신체밸런스 강화에 도움이 되는 바운싱 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바운싱 운동을 행함에 있어 사용자 조작을 통한 운동 횟수 및 시간을 지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체계적으로 바운싱 운동이 행해질 수 있으며, 바운싱 운동에 의한 근육의 이완 및 감각기관 자극을 통해서 신체밸런스 향상과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바운싱 운동을 행함에 있어, 바람직한 운동자세 유도를 위한 요홈면이 요동 플레이트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운동자세에서 과학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운동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손목 회전운동부가 함께 마련됨으로써, 바운싱 운동과 함께 팔 근육을 강화하면서도 경추신경 자극을 통해 신체밸런스 강화에 도움이 되는 손목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바운싱 운동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바운싱 운동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손목 회전운동부를 구성하는 회전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 단면도.
도 6은 손목 회전운동부 높이조절 구현을 위해 채택되는 높이조절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되는 신체밸런스 강화를 트레이닝 동작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는, 베이스(10)에 장치되는 바운싱 운동부(20)를 포함한다. 바운싱 운동부(20)는 신체 바운싱 운동 유도를 위해 사용자 발 뒤꿈치를 위, 아래로 강제 요동시킬 수 있은 구성을 갖고, 상기 베이스(10)는 설치 대상면 예컨대 지면 또는 실내 바닥 상에 놓여진다.
베이스(10)는 운동기구를 바닥상에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구조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바운싱 운동부(20) 역시 발로 딛고 선 상태에 있는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가볍게 위, 아래로 튕겨줄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운싱 운동부(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후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바운싱 운동부(20)는 제어부(30)를 통해 그 동작이 컨트롤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위치의 입력수단(32) 및 디스플레이수단(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수단(32)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바운싱 운동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32)을 통해 입력된 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바운싱 운동부(20)에 의해 행해지는 바운싱 운동의 빠르기, 횟수, 시간 등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바운싱 운동과 함께 손목운동을 함께 병행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손목 회전운동부(40)를 포함한다. 손목 회전운동부(40)는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 상에 올라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로부터 연장되며 전체적인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50)을 매개로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현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손목 회전운동부(40)는 손잡이(42)를 갖는 좌, 우 한 쌍의 회전체(44)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체(4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4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46)는 손잡이(42)가 형성된 회전체(44)를 사용자 신장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50)에 높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장치될 수 있으며(도 6 참조), 손잡이(42)는, 링 형, 볼 형, 봉 형 손잡이 등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전술한 바운싱 운동부(20)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운싱 운동부(20)는 사용자 발이 위치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요동 플레이트(22) 및 이 요동 플레이트(22) 요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24)를 포함한다. 이때 요동 플레이트(22)는 베이스(10)에 피봇 연결되어 그 피봇점을 기준으로 경사각이 가변되는 형태로 위, 아래 요동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발 뒤꿈치를 가볍게 튕겨줄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한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요동 플레이트(22)에는 정확한 발 디딤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신체 발바닥 형상을 가진 좌, 우 한 쌍의 요홈면(220)이 형성될 수 있다. 요홈면(220)에는 바운싱 운동과 함께 지압효과가 발현될 수 있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지압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엑츄에이터(24)는 피스톤 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요동 플레이트(22)를 위, 아래로 요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타입 엑츄에이터(24a)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바운싱 운동부(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다른 예로서 상기 엑츄에이터(24)는, 전기모터(240)와 전기모터(240) 회전축에 장착되는 캠(242)을 포함하는 캠 구동방식의 엑츄에이터(24b)일 수 있다. 이때 캠(242)의 캠면은 피봇으로부터 이격된 요동 플레이트(22) 후방부 저면의 접촉 플레이트(244)에 접촉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캠(242)이 편심된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 플레이트(22)가 위, 아래로 요동되며 이를 통해 바운싱 동작이 구현된다.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바운싱 운동부(20)를 구성하는 상기 요동 플레이트(22)는 두 개의 플레이트로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개로 분리 형성된 요동 플레이트 각각은 다른 엑츄에이터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두 개의 플레이트가 독립적으로 구동된다면, 제자리에서 가볍게 걷는 동작 또한 구현 가능하므로, 바운싱 운동부를 통해 행해지는 운동패턴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회전체(4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회전체(44)는 손잡이(42)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운싱 운동부(20)에 의해 몸이 위, 아래로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에 맞춰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시와 같이, 신축 가능한 구성의 중공의 튜브(440) 내에 수축되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형성하는 인장스프링(442)이 내장된 구성의 신축부재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몸의 움직임에 맞춰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구성이라면 그 구조, 형상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체(44)를 구성하는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으나,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손잡이(42)를 좌, 우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6)에 의해 강제로 회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신체 좌우 밸런스 강화를 위한 손목운동을 행함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밸런스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모터(46)에 의해 회전하는 좌, 우측 각 손잡이의 회전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마치 두 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것과 같이, 좌측에 위치한 손잡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에 있는 손잡이는 반 시계방향으로, 반대로 좌측에 있는 손잡지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에 위치한 손잡이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좌측에 위치한 손잡이와 같은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46)를 통해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손목 회전운동부 높이조절 구현을 위해 채택되는 높이조절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앞서도 간단하게 언급했듯이, 바운싱 운동과 함께 손목 회전운동을 행함에 있어 사용자 신장에 맞춰 손목 회전운동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체(44)와 프레임(50)을 연결하는 지지대(46)가 상기 프레임(50)에 높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장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중공의 프레임(50) 단부에 지지대(46) 중앙의 연결바(460)가 신축(collapsing) 가능하게 조립되고 아이볼트(462)로서 높이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구성일 수 있다.
물론, 위와 같은 높이조절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어떠한 구조 또는 형태는 사용자 신체조건에 맞춰 손목 회전운동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그 구조 및 형상 또는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의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되는 신체밸런스 강화운동을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동작과 연계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운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운동을 위해서는 베이스(10)에 장치된 바운싱 운동부(20) 구체적으로는, 요동 플레이트(22) 위에 양 발이 위치하도록 딛고 선다. 이 상태에서 입력수단(32)(버튼방식 또는 스크린 터치방식)을 통해 운동에 적합한 시간, 바운싱 주기 및 빠르기 등을 설정 입력한 뒤 동작 스위치(부호생략)을 누르면, 제어부(30) 제어를 통해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엑츄에이터(24)가 동작한다.
엑츄에이터(24) 동작으로 이에 연동하여 요동 플레이트(22)가 피봇점을 기준으로 그 경사각이 변화하는 형태로 요동되며, 그 위에 올라선 사용자는 상기 요동 플레이트(22)에 의해 양 발 뒤꿈치가 가볍게 들썩거리게 된다. 이를 통해 하체 뒷 근육 및 전신 근육이 가볍게 이완되고, 뇌 및 피부 전체에 미세한 자극이 전달됨으로써 전반적인 신체밸런스를 강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 조작을 통해 왼쪽 발과, 오른 쪽 발에 위치한 요동 플레이트(22)가 순서대로 위, 아래 동작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도 간단히 설명한 것처럼, 제자리에서 가볍게 걷기 운동을 행하는 것과 같은 움직임에 의해 가벼운 걷기 운동 또한 행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패턴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요동 플레이트(22) 위에 양 발이 위치하도록 딛고 선 상태에서 사용자 양 손은 손목 회전운동부(40)를 구성하는 손잡이(42)를 쥔다. 그 상태에서 기구를 동작시켜 위와 같은 바운싱 운동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42)를 쥔 양 손을 자위적으로 또는 구동모터(46) 제어를 통해 지정된 회전범위 내에서 강제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팔 근육 강화운동도 함께 병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일정 회전범위 내에서 양 손을 좌, 우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시키는 동작은 그러한 움직임에 의해 팔 근육 강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팔이 흔들리는 과정에서 경추신경이 자극됨으로써 신체밸런스를 강화와 관련하여 상당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 뒤꿈치를 가볍게 위, 아래로 움직여 신체밸런스 강화에 도움이 되는 바운싱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바운싱 운동을 행함에 있어 사용자 조작을 통한 운동 횟수 및 시간, 빠르기 등을 지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으로 바운싱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육이완 및 감각기관 자극을 통한 신체밸런스 향상과 같은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운싱 운동을 행함에 있어, 바람직한 운동자세 유도를 위한 요홈면이 요동 플레이트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운동자세에서 과학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운동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손목 회전운동부가 함께 마련됨으로써, 바운싱 운동과 함께 팔 근육을 강화하면서도 경추신경 자극을 통해 신체밸런스 강화에 도움이 되는 손목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20 : 바운싱 운동부
22 : 요동 플레이트 24 : 엑츄에이터
30 : 제어부 32 : 입력수단
34 : 디스플레이수단 40 : 손목 회전운동부
42 : 손잡이 44 : 회전체
40 : 탄성굴절부재 46 : 지지대
50 : 프레임

Claims (10)

  1. 신체 밸런스 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로서,
    베이스(10)에 장치되며 사용자 발 뒤꿈치를 위, 아래로 강제 요동시켜 신체 바운싱 운동을 유도하는 바운싱 운동부(20);
    바운싱 운동부(20)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30);
    사용자 손목회전에 따라 좌, 우로 회전하면서 손목의 회전운동을 돕는 손목 회전운동부(40);
    상기 바운싱 운동부(20)와 손목 회전운동부(40)를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기구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50);을 포함하며,
    상기 손목 회전운동부(40)는, 손잡이(42)를 구비하는 좌, 우 한 쌍의 회전체(44), 상기 프레임(50)에 결합하여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체(4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46)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체(44)는 손잡이(4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바운싱 운동부(20)에 의해 신체가 위, 아래로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에 맞춰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싱 운동부(20)는,
    사용자 발이 위치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며, 베이스(10)에 피봇 연결되어 그 피봇점을 기준으로 경사각이 가변되는 형태로 위, 아래로 요동되는 요동 플레이트(22); 및
    상기 요동 플레이트(22) 요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플레이트(22)는, 사용자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신체 발바닥 형상으로 좌, 우 한 쌍의 요홈면(220)을 갖고, 상기 요홈면(220)에는 지압돌기가 일정한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24)는, 피스톤 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피봇을 기준으로 요동 플레이트(22)를 요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타입 엑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24)는, 전기모터와 전기모터 회전축에 장착되는 캠을 포함하는 캠 구동방식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캠의 캠면은 상기 피봇으로부터 이격된 요동 플레이트(22) 후방부 저면에 형성된 접촉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손잡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좌, 우 손잡이의 회전방향이 서로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6)는 프레임(50)에 높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KR1020110057167A 2011-06-14 2011-06-14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KR10135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167A KR101352583B1 (ko) 2011-06-14 2011-06-14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167A KR101352583B1 (ko) 2011-06-14 2011-06-14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964A KR20120137964A (ko) 2012-12-24
KR101352583B1 true KR101352583B1 (ko) 2014-01-16

Family

ID=4790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167A KR101352583B1 (ko) 2011-06-14 2011-06-14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91B1 (ko) * 2013-02-14 2014-11-25 주식회사 프로스터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CN110202555B (zh) * 2019-07-10 2024-05-10 贵州大学 适用于上肢外骨骼机构腕部运动的机械结构及驱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78Y1 (ko) 2003-01-27 2003-05-09 김형종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396988Y1 (ko) * 2005-07-08 2005-09-28 김태윤 기마 운동기
KR20100092153A (ko) * 2009-02-12 2010-08-20 황인철 운동기구
KR20120008905A (ko) * 2010-07-19 2012-02-01 유영선 스트레칭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78Y1 (ko) 2003-01-27 2003-05-09 김형종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396988Y1 (ko) * 2005-07-08 2005-09-28 김태윤 기마 운동기
KR20100092153A (ko) * 2009-02-12 2010-08-20 황인철 운동기구
KR20120008905A (ko) * 2010-07-19 2012-02-01 유영선 스트레칭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964A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010B2 (ja) 揺動型運動装置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RU26099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JP2019501684A (ja) スマート下体運動器{smart leg movement stimulator device}
ES2894231T3 (es) Máquina de ejercicios con peso
KR20190137082A (ko) 슬관절 자극 장치
RU2595595C1 (ru)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развития координации движений и вестибуляр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в сложно-координационных видах спорт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JP4680303B2 (ja) 脊椎矯正装置
KR101352583B1 (ko) 손목회전을 통한 좌우밸런스 향상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JP2009219576A (ja) 振動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195459B1 (ko) 척추교정장치
JP5598753B2 (ja) 脊椎矯正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JP2016131797A (ja) 膝関節刺激装置
JP6902799B2 (ja) 膝関節痛み改善装置
JP2020110377A (ja) 運動器具
WO2010123374A1 (en) Device for a muscle training apparatus
RU1281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бной гимнастики
JP6134891B2 (ja) アキレス腱ストレッチ健康運動器具
JP4831021B2 (ja) 揺動型運動装置
CN201692575U (zh) 足部健身器
KR200436591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160004015A (ko) 발 및 다리 운동기구
KR101484449B1 (ko) 입체난간을 구비한 전신 요동운동장치
JP2011206091A (ja) 脊椎矯正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