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074A -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074A
KR20140112074A KR1020147022412A KR20147022412A KR20140112074A KR 20140112074 A KR20140112074 A KR 20140112074A KR 1020147022412 A KR1020147022412 A KR 1020147022412A KR 20147022412 A KR20147022412 A KR 20147022412A KR 20140112074 A KR20140112074 A KR 20140112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s
portions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ight
spr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한쪽 종단들(17)에 단자부들(19)을 갖는 두 개의 버스바들(bus bars, 13)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들(13)의 상기 단자부들(19)의 상단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은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 사이에 배치된 반도체 발광소자(25)의 한 쌍의 접촉부들에 접속하고, 상기 버스바들(13)의 상기 단자부들(19)의 하단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은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 사이에 배치된 제너 다이오드(27)의 한 쌍의 접촉부들에 접속한다. 상기 인접한 버스바들(13)의 상기 단자부들(19)에는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양 측면들과 접촉하도록 적응되는 제1 회동규제부들(first rotation restricting parts, 28)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접점간 상이한 피치들(pitches)을 갖는 전자 부품들의 전기적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들의 전기적 접속을 신뢰성 있게 확립하는 것에 의해 높은 신뢰도를 획득하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도 14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한 쌍의 버스바들(bus bars, 501, 503)이 하우징에 조립되고, 광원인 반도체 발광소자(LED)(505)도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다. 갈라진 평판(bifurcated flat plate)의 형상인 상기 버스바들(501, 503)은 와이어 접속부(507), 제너 다이오드 접속부(Zener diode connecting part, 509), 레지스터 접속부(511), 및 LED 접속부(513)를 가진다. 상기 레지스터 접속부(511)에서, 압접 블레이드들(pressure-contacting blades)(515, 515)은 갈라져 있는 상기 버스바들(501, 503)에 각자 제공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 접속부(509)에서, 단일 압접 블레이드(517)가 상기 버스바들 중 하나(501)에 제공되고, 단일 압접 블레이드(519)는 다른 버스바(503)에 제공된다.
제너 다이오드(521)는, 리드부들(lead parts) 중 하나(523)가 상기 하나의 버스바(5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리드부(525)가 다른 버스바(5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버스바들(501, 503)에 병렬로 접속된다. 통상의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이 상기 다이오드로 흐르는 방향으로 큰 전압이 정전기(static electricity)에 의해 회로에 입력될 때, 상기 다이오드(521)는 상기 LED가 상기 큰 전압으로 인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한다. 역기전력이 상기 다이오드로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오드(521)는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상기 LED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한다.
JP2007-149762 A
그런데, 상기 전자 부품들의 종래 접속구조에서는 상기 전자 부품들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접속부들(상기 압접 블레이드들: 515, 515, 517, 519)이 제공되는 두 종류의 버스바들(501, 503)이 요구되었다. 게다가, 관통구들(through holes)에 대한 상기 리드부들을 갖는 전자 부품들(상기 제너 다이오드(521), 상기 레지스터(527))만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최근에 수요가 커져서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 표면 장착을 위한 전자 부품들에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상황을 고려하여 구성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타입의 버스바들을 이용하여, 접점간 피치, 외형, 및 크기에서 상이한 표면 장착을 위한 복수 타입의 전자 부품들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목적은 다음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1)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로서, 평행하게 별도로 배치되고 그들의 한쪽 종단들에 단자부들이 제각기 제공되는 복수의 버스바들(bus bars)로서, 상기 단자부들 각각은 상기 전자 부품들 각각의 한쪽 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접촉부들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쌍의 평행한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contact spring pieces)을 가지는,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로부터의 적어도 임의의 두 조각들은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에 접속되고,
상기 인접한 버스바들의 상기 단자부들 각각에는 상기 버스바들 사이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삽입되는 도중인 상기 전자 부품의 측면들 중 하나와 접촉되도록 적응되는 제1 회동규제부(rotation restricting part)가 제공되고, 상기 측면들은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한쪽 면의 양 측단에서 상기 한쪽 면에 직교하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상기 (1)에서 기재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 따르면, 적어도 두 쌍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에 제공되는 상기 단자부들을 갖는 복수의 버스바들이 평행하게 별도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로부터의 적어도 임의의 두 조각들은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자 부품들 각각의 한 쌍의 접촉부들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접점간 피치, 외형, 및 크기에서 상이한 복수 타입의 전자 부품들은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 사이의 상기 단자부들에 접속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버스바들 사이로 삽입될 때, 한 쌍의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은 상기 전자 부품의 양 측면들에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2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이 굴곡에서 차이가 있어 스프링 부하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 부품이 정상적으로 삽입된다. 게다가,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이 상기 버스바들의 상기 본체부들의 일부를 설편 형상(tongue-like shape)으로 잘라 세우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구조의 생성이 쉬워진다.
(2) 상기 (1)에서 기재된 것과 같은 전자 부품의 접속구조로서, 상기 인접한 버스바들에, 상기 전자 부품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보다 더 전방 위치에서 상기 버스바들 사이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양 측면들에 접촉되도록 적응되는 제2 회동규제부들이 제공된다.
상기 (2)에서 기재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전자 부품의 접속구조에 따르면, 상기 전자 부품의 삽입이 완료되기 직전에, 상기 삽입 방향의 말단에서의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양 측면들이 상기 제2 회동규제부들과 접촉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자 부품의 네 모서리들은 한 쌍의 제1 회동규제부들과 한 쌍의 제2 회동규제부들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정상 고정위치까지 더욱 신뢰성 있게 삽입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이 상기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의 측면들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부품의 네 모서리들은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과 상기 제2 회동규제부들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 부품의 위치 변위(positional displacement)가 충격(shock)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상기 전자 부품의 접속구조에 따르면, 접점간 피치, 외형, 및 크기에서 상이한 표면 장착을 위한 상기 전자 부품에 단일 타입의 버스바들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자 부품 각각을 삽입할 때 측방 미끄러짐(lateral slippage)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자 부품이 정상적인 고정 위치에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의 접속구조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버스바들(bus bars)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상기 버스바들이 포함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나는 상기 버스바들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이하 도 4a)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상기 버스바들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이하 도 4b)는 그 측면도이고, 도 4의 (c)(이하 도 4c)는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a의 화살 표시 A-A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이하 도 5a)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이하 도 5b)는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상기 버스바들의 조립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전자 부품들의 조립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이하 도 8a)는 상기 버스바들이 삽입되는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8의 (b)(이하 도 8b)는 그 측면도이다.
도 9의 (a)(이하 도 9a)는 상기 전자 부품이 삽입되기 직전에 도 8b의 화살 표시 B-B를 따라 얻어진 상기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9의 (b)(이하 도 9b)는 상기 전자 부품이 삽입되는 동안의 상기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9의 (c)(이하 도 9c)는 상기 전자 부품이 완전히 삽입된 후의 상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하우징의 조립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와이어 홀더(wire holder)의 조립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를 채용한 LED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그 측면도이고, 도 13c는 본 발명의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스바들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잘라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의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버스바들(bus bars)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나는 버스바들이 포함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는 상기 구조의 필수부로서 도 1에 나타나듯이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버스바들(13)을 포함한다. 이러한 두 개의 버스바들(13)은 도 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하우징(15)에 포함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은 그들의 한쪽 종단들(17)에 단자부들(19)이 제각기 제공되고, 그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버스바들(13)에는 상하 2단으로 상기 단자부들(19)이 제공되고, 그 결과 복수 타입(이 실시예에서는 두 타입)의 전자 부품들, 즉, 반도체 발광소자(25)와 제너 다이오드(27)가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자부들(19)이 1단 또는 세 개 이상의 다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자부들(19)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각자의 한쪽 면들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접촉부들(21)과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적어도 두 쌍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이 상하 다단(이 실시예에서는 2단)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버스바들(13) 각각은 실질적으로 Y 형태로 갈래진 한 쌍의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을 가지고, 두 쌍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이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의 말단들(distal ends)에 제공된다.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상단에서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a, 24a) 중 두 개의 인접한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a, 23a)의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에 접촉된다(도 4a 내지 4c 참조). 반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하단에서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 23b, 24b) 중 하나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23b)을 넘어서는(striding) 상기 두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b, 24b)의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 사이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 아래 위치하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과 접촉한다(도 4a 내지 4c 참조).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나는 상기 버스바들(13)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상기 버스바(13)가 상기 하우징(15)에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13)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버스바(13)의 일부의 돌출하는 측이 "후측"으로 칭해지고, 반대되는 측이 "전측"으로 칭해진다. 도체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피복된 전선의 피복을 자르는 압접 블레이드(pressure-contacting blade, 31)가 상기 버스바(13)의 후단에 제공된다. 상기 압접 블레이드(31)의 앞쪽에는 후방 맞댐조각(back butting piece, 33), 후방 탄성다리들(35), 전방 탄성다리들(37), 및 전방 맞댐조각들(front butting pieces, 39)이 연속하여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접속부(41)가 상기 버스바(13)의 한 쌍의 전방 맞댐조각들(39)과 상기 단자부(19) 사이에 형성된다. 이 접속부(41)는 상기 버스바(13)가 상기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에 잘려질 수 있다. 상기 압접 블레이드(31), 상기 후방 맞댐조각(33), 상기 후방 탄성 다리들(35), 상기 전방 탄성 다리들(37), 상기 전방 맞댐조각들(39), 및 상기 단자부(19)는 판금화 작업(sheeting work)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된(stamped) 후에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접혀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13)의 상기 단자부(19)를 형성하기 위하여, 한 쌍의 측벽들(43)이 평행하게 되도록 U-형태로 접혀지고, 그 후,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은 스탬핑에 의해 상기 각자의 측벽들(43) 상에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13)를 형성하기 위해, 버스바 본체부(46)가 U-형상으로 접혀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Y-형상으로 갈라지는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은 스탬핑 작업에 의해 서로 대립되는 한 쌍의 측벽들(43) 상에 형성되고, 두 쌍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은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의 말단들(distal ends)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전기적 접촉부들(45)을 갖는 탄성 접촉구조를 쉽고 간단하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버스바(13)가 아래를 가리키는 U-형상의 개구측을 갖는 도 3에 나타나는 자세에 있어서, 상측에서의 상기 버스바 본체부(46)의 일부는 직사각형 형태로 잘려진다. 이렇게 잘려진 부분의 앞측에, 제1 회동규제부(first rotation restricting part, 48)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규제부(48)는 상기 단자부(19)를 구성하는 상기 버스바 본체부(46)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 아래 쪽으로 늘어뜨리도록(늘어뜨리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버스바들은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회동규제부들(48)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상기 하우징(15) 내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동안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규제부들(48)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양 측면들(26)(도 5a 참조)과 제각기 접촉되도록 적응된다. 나아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양 측면들(26)은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이 제공되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한쪽 면의 양 측단에서 상기 한쪽 면에 직교한다.
도 4a는 도 1에 나타나는 상기 버스바들(13)이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화살 표지 A-A의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단면도로서, 상기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제너 다이오드(27)의 사시도이다.
상기 버스바들(13) 각각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이 병렬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Y-형상으로 갈래진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의 각자의 말단들 상에 두 쌍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이 제공된다.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의 각자의 말단들로부터 돌출된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연직각이 접점으로 기능하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4a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에서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은 8개의 위치들, 구체적으로는 도 4c에 나타나는 것처럼 하나의 측당 4개의 위치들에 배치된다. 상기 각자의 버스바들(13) 내에 형성된 위쪽 부품부(upper component seats, 47)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상단상의 상기 4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a, 24a)의 상기 위쪽 4개의 위치들에서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에 대립된다. 반면에, 상기 각자의 버스바들(13)에 형성된 아래쪽 부품부(lower component seats, 49)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하단상의 상기 4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 23b, 24b)의 상기 아래쪽 4개의 위치들에서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에 대립된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상기 위쪽 부품부(47)와 상기 상단상의 상기 4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a, 24a)의 상기 위쪽 4개의 위치들에서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27)는 상기 아래쪽 부품부(49)와 상기 하단상의 상기 4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 23b, 24b)의 상기 아래쪽 4개의 위치들에서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도 5a에 나타나는 것처럼, 그 한쪽 면 상에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이 제공되는 표면 장착을 위한 전자 부품이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27)도 도 5b에 나타나는 것처럼, 그 한쪽 면 상에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이 제공되는 표면 장착을 위한 전자 부품이다.
도 4c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접촉부들(21)이 제공된 면은 상기 상단상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에 대립하고, 그 뒷면은 상기 위쪽 부품부(47)에 접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상기 접촉부들(21)이 제공된 면은 상기 하단상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에 대립하고, 그 뒷면은 상기 아래쪽 부품부(49)에 접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접점 사이의 피치가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접점들 사이의 피치보다 작다. 요컨데, 상기 두 개의 전자 부품들은 상기 접점들 간에 상이한 피치를 가진다. 이 실시예의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두 타입의 전자 부품들, 즉, 상기 접점들 사이에 상이한 피치를 갖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27)를 동시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c에 나타나는 것처럼,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상단 상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점 스프링조각들(23a, 24a, 23a, 24a)로부터의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좌우 접점 스프링조각들(24a, 23a)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한 쌍의 상기 접촉부들(21)에 접촉한다. 반면에,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하단 상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점 스프링조각들(23b, 24b, 23b, 24b) 중 하나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23b)을 넘어서는(striding) 상기 두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b, 24b)의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과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상단 상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 중, 도 4c에서 좌측으로부터 2번째 및 3번째 접촉부들(45)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너 다이오드(27)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하단 상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 중 좌측으로부터 1번째 및 3번째 전기적 접촉부들(45)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접점들 사이의 피치가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의 피치의 두 배가 되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27)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지만, 상기 접점들 사이의 피치가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의 피치의 세 배가 되는 제너 다이오드(27)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한 쌍의 접촉부들(21)은 좌측으로부터 1번째 및 4번째 전기적 접촉부들(45)에 접속된다.
이 후, 상기 기재된 구조를 갖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의 조립 단계가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상기 버스바들의 조립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전자 부품들의 조립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상기 버스바들이 삽입되는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그 측면도이다. 도 9a는 상기 전자 부품이 삽입되기 직전에 도 8b의 화살 표시 B-B를 따라 얻어진 상기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전자 부품이 삽입되는 동안의 상기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9c는 상기 전자 부품이 완전히 삽입된 후의 상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하우징의 조립 단계를 유사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와이어 홀더의 조립 단계를 유사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를 채용한 LED 유닛(53)의 사시도이다.
상기 기재된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LED 유닛(53)에 알맞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LED 유닛(53)에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이 상기 하우징(15)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5)에는 두 개의 버스바 포함실들(bus bar containing rooms, 55)이 제공된다. 상기 버스바 포함실들(55) 각각은 그 후단에 후벽(back wall, 57)과, 상기 후벽(57)의 전방에 대향하는 내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 홈들(holding grooves, 59)을 갖는다. 상기 버스바 포함실(55)에 삽입되는 상기 버스바(13)는, 후방 맞댐조각(back butting piece, 33)과 후방 탄성다리들(back elastic legs, 35) 사이에 상기 후벽(57)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장착된다.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LED 장착개구(LED mounting opening, 61)와 다이오드 장착개구(diode mounting opening, 63)가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에서 상하 2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상기 접촉부들(21)을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LED 장착개구(61)에 삽입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27)는 상기 접촉부들(21)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LED 장착개구(63)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나타나는 것처럼, 미리 설정된 고정 위치로의 삽입이 완료된 후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접촉부들(21)이 도 4c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대응하는 전기적 접촉부들(45)에 접속된다. 게다가, 상기 지지 홈들(59)은 상기 하우징(15)의 바닥면에서 개구되고, 레지스터들(28)(도 4b 참조)은 상기 지지 홈들(59)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레지스터들(28) 각각은 상기 도면에서의 앞쪽의 상기 버스바(13)의 전방 맞댐조각들(39)과 전방 탄성다리들(37) 사이에 압착되고, 상기 전방 탄성다리들(37)의 전기적 접촉부들은 상기 레지스터(28)의 한 쌍의 접촉부들에 접속된다(도 1 참조).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LED 유닛(53)은, 그 회로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 상기 제너 다이오드(27), 및 양극 단자들과 음극 단자들 사이에 제각기 제공되는 상기 레지스터들(28)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접속부(41)는 상기 버스바(13)의 한 쌍의 전방 맞댐조각들(39)과 상기 단자부(19)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13)가 상기 하우징(15)에 포함되고 상기 레지스터들(28)이 상기 지지 홈들(59) 내에 삽입된 후에 이 접속부(41)가 잘려진다. 상기 접속부(41)가 잘려지기 때문에, 상기 버스바들(13) 각각 내의 상기 레지스터(28)의 상기 접촉부들 중 하나는 압접 블레이드(31)와 접촉하고, 상기 레지스터(28)의 다른 접촉부는 상기 전방 탄성다리들(37)과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레지스터(28)가 상기 압접 블레이드(31)와 상기 단자부(19) 사이에서 직렬로 제공되는 회로가 형성된다.
도 9a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상기 하우징(15)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상기 하우징(15) 내에 형성되는 테이핑된 입구(tapered inlet)를 갖는 상기 LED 장착개구(61)에 의해 먼저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15) 내에 회동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수평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하면에 직교하는 축 주위로의 회동을 의미한다.
도 9b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대략 절반이 상기 LED 장착개구(6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양 측면들(26)의 앞 부분들은 한 쌍의 제1 회동규제부들(48)에 접촉하도록 그 사이에서 압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상기 버스바들(13) 사이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양 측면들(26)과 접촉한다. 그 결과, 상기 두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가 굴곡에서 차이가 있어 스프링 부하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경우조차,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회동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정상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는 상기 하우징(15) 내에 형성되는 스토퍼면(stopper face, 64)에 의해 삽입이 규제되고, 그에 의해 상기 정상 고정위치에서 정지한다.
나아가, 상기 제1 회동규제부(48)는 상기 버스바 본체부(46)의 일부를 설편 조각(tongue-like piece)으로 잘라 세움으로써, 늘어뜨리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회동규제부(48)는 상기 버스바 본체부(46)의 평판부를 활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큰 벽두께를 갖는 경우에,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버스바 본체부(46)를 접어 형성되는 단차부들(stepped parts) 등의 사이에 상기 양 측면들(26)을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작은 벽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단차부들을 형성하기 어렵다. 상기 제1 회동규제부(48)는 평판 형상을 갖는 상기 버스바 본체부(46)로부터 잘라 세워진 상기 설편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 측면들(26)을 규제하기 위한 구조로서, 잘라서 세워진 상기 설편 조각은 생산 면에서 상기 단차부들보다 더 유리하다. 그 결과, 상기 전자 부품이 작은 벽두께를 갖는 경우에도, 생산이 쉽게 된다.
나아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접혀서 형성된 상기 단차부들의 경우에서, 상기 양 측면들(26)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단차부들의 안내면들(guide faces)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상기 안내면들은 상기 양 측면들(26)과 면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삽입 저항이 증가한다. 반대로, 상기 제1 회동규제부(48)는 세워진 설편 조각이기 때문에, 그 벽두께의 종단면에서 상기 측면들(26)과 접촉할 수 있고, 삽입 부하가 덜 증가한다.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27)가 장비된 상기 하우징(15)은 렌즈 커버(65)에 조립된다. 하우징 삽입개구(67)는 상기 렌즈 커버(65)의 후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이 상기 렌즈 커버(65)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접 블레이드(31)는 상기 렌즈 커버(65) 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도 11에 나타나는 것처럼, 와이어 홀더(69)는 상기 하우징(15)이 조립된 상기 렌즈 커버(65) 내로 상기 하우징 삽입개구(67)를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 홀더(69)에는 그 세 개의 외면들 상에서의 두 위치에서 C-형상으로 와이어 지지 홈들(71)이 제공된다. 피복된 전선들(29)은 C-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각각의 와이어 지지 홈들(71) 내에 감합된다. 상기 압접 블레이드(31)의 관입(intrusion)을 허용하기 위한 수평 슬릿들(73)은 상기 와이어 지지 홈들(71)을 넘어서도록 상기 와이어 홀더(69)의 전면에 형성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홀더(69)가 상기 렌즈 커버(65)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렌즈 커버(65) 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버스바들(13)의 상기 압접 블레이드(31)가 상기 슬릿들(73) 내로 관입하고, 그 결과, 상기 압적 블레이드(31)와 상기 전선들(29)의 도체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홀더(69)가 상기 렌즈 커버(65) 내에 삽입되면, 그 측면들로부터 돌출된 잠금 후크들(locking hooks, 77)이 상기 렌즈 커버(65)의 측면들 상에 형성되는 잠금구들(75)에 잠겨지고, 그에 의해 상기 하우징(15)과 상기 와이어 홀더(69)가 상기 렌즈 커버(65)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하우징(15)과 상기 와이어 홀더(69)를 상기 렌즈 커버(65)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나는 상기 LED 유닛(53)이 형성된다.
상기 기재된 것처럼,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서, 두 쌍의 평행한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이 두 개의 상하단들에 형성되는 상기 단자부들(19)을 갖는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은 병렬로 배치된다. 그 후,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상단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a, 24a) 중 두 개의 인접한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a, 23a)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과 접촉한다. 반면에,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하단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 23b, 24b) 중 하나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을 넘어서는 상기 두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b, 24b)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 사이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 아래 위치하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27)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21)과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간 피치, 외형, 크기에서 상이한 상기 전자 부품들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두 쌍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b, 24b)이 대략 Y 형상으로 갈래지는 상기 각자의 말단들에서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접촉 스프링조각들(23, 24)을 각각 갖는 상기 두 개의 버스바들(13)은 각기 병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은 상기 여덟 위치들, 구체적으로, 한측당 상기 네 위치들에 배치된다. 그 결과, 더 작은 크기와 더 작은 접점간 피치를 갖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병렬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13)의 상단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a, 24a, 23a, 24a) 중 두 개의 인접한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a, 23a)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에 접속될 수 있다. 반면에, 더 큰 크기와 더 큰 접점간 피치를 갖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27)는 상기 하단의 상기 네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3b, 24b, 23b, 24b) 중 하나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23b)을 넘어서는 상기 두 개의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24b, 24b)의 상기 전기적 접촉부들(45)에 접속될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의 수정이 설명될 것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81)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그 측면도이고, 도 13c는 본 발명의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스바들(81)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잘라낸 수평 단면도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인접한 버스바들(81)의 상기 버스바 본체부들(46)에는 상기 버스바들(81) 사이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측면들(26)과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2 회동규제부들(83)이 각자 제공된다. 상기 제2 회동규제부들(83)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보다 더 앞쪽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2 회동규제부들(83)은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단자부들(19)을 구성하는 상기 버스바 본체부들(46)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 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버스바들(81)을 갖는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삽입이 완료되기 직전에, 상기 삽입 방향에서 말단측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양 측면들(26)이 상기 제2 회동규제부들(83)과 접촉한다. 그 결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네 모서리들은 도 13c에 나타나는 것처럼, 한 쌍의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과 한 쌍의 상기 제2 회동규제부들(83)에 의해 안내되고, 그에 의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가 상기 정상 고정위치로 더욱 신뢰성 있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은 상기 고정 위치에 배치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양 측면들(26)과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네 모서리들은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동규제부들(48, 83)에 의해 지지되고, 그에 따라, 충격 등에 의해서조차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위치 변위가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양 측면들(26)과 필수적으로 접촉되도록 제공될 필요는 없고, 상기 제1 회동규제부들(48)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상기 양 측면들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위치에 배치되어 삽입되고 있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기재된 것처럼, 본 발명의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에 따르면, 단일 타입의 버스바들을 사용하여, 접점간 피치, 외형, 및 크기가 상이한 표면 장착을 위한 복수 타입의 전자 부품들을 다양한 형태의 접속 회로들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전자 부품들을 삽입하는 경우에, 측방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상기 정상 고정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들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가 상기 구조의 필수부로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버스바들(13)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를 참조하여 이제껏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형상을 갖는 셋 이상의 버스바들이 상기 구조의 필수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는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정과 개선이 적절하게 행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에서의 재료, 형상, 크기, 수, 구성요소들의 배치 위치는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선택적이고,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2년 3월 5일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48337에 기초하고,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일 타입의 버스바들을 사용하여, 접점간 피치, 외형, 크기에서 상이한 표면 장착을 위한 전자 부품들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자 부품들 각각을 삽입할 때 측방 미끄러짐(lateral slippage)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들을 정상 고정위치에 삽입되도록 하는,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13, 81: 버스바
17: 한쪽 종단
19: 단자부
21: 접촉부
23a, 24a: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
23b, 24b: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
25: 반도체 발광소자(전자 부품)
26: 측면
27: 제너 다이오드
46: 버스바 본체부
48: 제1 회동규제부
83: 제2 회동규제부

Claims (2)

  1.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로서, 평행하게 별도로 배치되고 한쪽 종단들에 단자부들이 제각기 제공되는 복수의 버스바들(bus bars)로서, 상기 단자부들 각각은 상기 전자 부품들 각각의 한쪽 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접촉부들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쌍의 평행한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right and left contact spring pieces)을 가지는,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버스바들의 상기 좌우 접촉 스프링조각들로부터의 적어도 임의의 두 조각들은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들에 접속되고,
    상기 인접한 버스바들의 상기 단자부들 각각에는 상기 버스바들 사이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삽입되는 도중인 상기 전자 부품의 측면들 중 하나와 접촉되도록 적응되는 제1 회동규제부(first rotation restricting part)가 제공되고, 상기 측면들은 상기 전자 부품의 한쪽 면의 양 측단들에서 상기 한쪽 면에 직교하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버스바들에 상기 전자 부품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회동규제부보다 앞쪽 위치에서, 상기 버스바들 사이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양 측면들과 접촉되도록 적응되는 제2 회동규제부가 제공되는,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KR1020147022412A 2012-03-05 2013-02-28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KR201401120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8337 2012-03-05
JP2012048337A JP2013182879A (ja) 2012-03-05 2012-03-05 電子部品の接続構造
PCT/JP2013/056213 WO2013133347A2 (en) 2012-03-05 2013-02-28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074A true KR20140112074A (ko) 2014-09-22

Family

ID=4791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412A KR20140112074A (ko) 2012-03-05 2013-02-28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8133B2 (ko)
JP (1) JP2013182879A (ko)
KR (1) KR20140112074A (ko)
CN (1) CN104115577A (ko)
DE (1) DE112013001285T5 (ko)
WO (1) WO201313334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599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2878A (ja) * 2012-03-05 2013-09-12 Yazaki Corp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2014146484A (ja) * 2013-01-29 2014-08-14 Yazaki Corp 電気部品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981A (en) * 1976-05-17 1977-04-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package
FR2422267A1 (fr) 1978-04-04 1979-11-02 Francelco Sa Perfectionnements aux connecteurs
US4679885A (en) 1986-08-01 1987-07-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packaging assembly
DE102004054535B3 (de) * 2004-11-05 2006-03-30 Adc Gmbh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DE102004061681B4 (de) 2004-12-22 2006-10-26 Adc Gmbh Kabel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DE102005042163B3 (de) * 2005-09-06 2007-03-22 Adc Gmbh Schutzstecker für ein Anschlussmodul
JP4754333B2 (ja) 2005-11-24 2011-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4946363B2 (ja) 2005-12-07 2012-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Ledランプ装置およびledランプ装置用のメタル基板パッケージ
US20080137377A1 (en) 2006-12-11 2008-06-12 Gelcore, Llc Led light eng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599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버스바의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347A2 (en) 2013-09-12
JP2013182879A (ja) 2013-09-12
CN104115577A (zh) 2014-10-22
US9118133B2 (en) 2015-08-25
US20150004817A1 (en) 2015-01-01
WO2013133347A3 (en) 2013-12-05
DE112013001285T5 (de)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631B2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5669304B2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US9583869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860641B1 (ko) 커넥터
JP5105194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12134055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部品の接続ユニット
KR20130067316A (ko) 전자장치용 접속구조
KR20140112074A (ko) 전자 부품들의 접속구조
JP4379731B2 (ja) 発光装置
KR101388296B1 (ko) 전자 장치 접속 구조
WO2015098482A1 (ja) 電気回路装置
JP4345016B2 (ja) 発光装置
JP2013243053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5881891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20140363993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JP5811884B2 (ja) 基板用端子金具
KR20130103551A (ko)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구조
JP5943692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6119595B2 (ja) 樹脂製窓板のデフォッガ線の接続端子構造
JP651395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US20150333463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components
KR100842725B1 (ko) 내진동 커넥터
JP2013080678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2013218797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2014175235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