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723A -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 Google Patents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723A
KR20140111723A KR1020130025910A KR20130025910A KR20140111723A KR 20140111723 A KR20140111723 A KR 20140111723A KR 1020130025910 A KR1020130025910 A KR 1020130025910A KR 20130025910 A KR20130025910 A KR 20130025910A KR 20140111723 A KR20140111723 A KR 2014011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rotary
jaw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덕
Original Assignee
고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덕 filed Critical 고한덕
Priority to KR102013002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723A/ko
Publication of KR2014011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문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대형 냉장고의 경우에는 양문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중소형 냉장고는 한 방향으로 문을 여닫게 되어 있어, 문 여는 방향을 고려하여 냉장고의 위치가 결정되거나 협소한 공간 배치에 따라 문 여는 방향을 동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사용해야 경우가 있어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 문을 좌우 어느 방향에서 열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냉장고 문을 여닫는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등 충분한 경쟁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REFRIGERATOR DOOR}
본 발명은 냉장고 문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문을 좌우 어느 방향에서나 열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 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 문은, 대형 냉장고의 경우에는 양문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중소형 냉장고는 한 방향으로 문을 여닫게 되어 있어, 문 여는 방향에 따라 냉장고의 공간 배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공간 활용에 제약이 따르는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앞서 개발된 소수의 선행기술들이 있으나 실용성이 떨어지고 상품화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냉장고 문을 좌우 어느 방향에서 열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문을 종래의 사용법과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 수납부와 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냉장고 수납부는, 상단면 좌우측에 원형의 상부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단면 좌우측에 회전대가 설치되는 것이다.
전술한 상부지지대는 끝부분의 일측면을 도려낸 형태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회전대는 원형의 회전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뒷부분은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앞부분은 반원형 중에서 가운데 일부만 남겨 놓고 양옆을 제거한 형태로 형성되며, 뒷부분의 회전턱 외벽에 자석을 밀착 고정시켜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냉장고 문은 손잡이와, 누름버튼과, 회전부와, 밀대와, 하부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손잡이는 양방향으로 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전면과 측면 좌우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누름버튼은 냉장고 문의 전면 좌우측 손잡이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관통홈이 형성되는 문의 상부 내부에 중앙이 원형으로 관통되는 볼트를 끼우고 내부에서 너트로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고정판에 고정되고,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브라인드리벳에 압축스프링을 끼워서 연결부 후면으로 삽입하여 또 다른 압축스프링을 끼운 후 문의 전면으로 돌출시켜 나사홈이 형성되는 누름버튼과 결합되는 것이다.
전술한 회전부는 냉장고 문의 내측면 좌우측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부의 바닥과 후면으로 회전링과 회전추의 일측이 돌출되는 것이다.
전술한 회전링은 문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고리에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앞뒤로 회전되는 것으로 일측이 만곡된 경사각의 걸림턱과, 일측의 차단턱과, 일측의 저부에 무게 중심추가 형성되고, 걸림턱과 차단턱 사이에 회전추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것으로 회전부 바닥으로 걸림턱이 돌출되는 것이다.
전술한 회전추는 문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고리에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앞뒤로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링의 관통된 부분으로 삽입하여 일측은 회전부 후면으로 돌출되고, 일측은 하방으로 경사각을 갖는 회전추를 형성하되 하부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원형의 추가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밀대는 양끝부분이 상부로 90도 꺾인 상태로 문의 상단 내부의 좌우측 회전링에 맞닿을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밀대의 중앙을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앞뒤로 회전되는 것이다.
전술한 하부지지대는 냉장고 문의 하단면 좌우측에 원형의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으로 끝부분은 문의 회전각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냉장고 문을 좌측에서 열고 사용하기 위하여 좌측 손잡이를 손으로 잡을 때 엄지손가락은 문의 전면 손잡이 상부의 누름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누름버튼과 맞닿은 문의 상단 내부의 밀대와 회전링이 함께 앞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 때 회전링의 회전으로 회전부 바닥에 돌출된 걸림턱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손잡이를 잡아당겨서 상부지지대에서 문이 이탈됨과 동시에 문의 좌측 하단면에 형성된 하부지지대가 수납부의 좌측 하단면에 설치된 회전대의 회전턱에서 이탈되며 수납부와 문이 분리되는 것이다.
좌측의 누름버튼은 후면의 압축스프링에 의해 버튼을 누른 후 원위치로 이동하는 것이고, 밀대가 회전하며 전방으로 이동된 우측의 누름버튼은 연결부 후면의 압축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좌측에서 문이 열릴 때 회전축이 되는 우측은 다음과 같이 회전되는 것이다.
우측의 회전부 바닥에 돌출된 걸림턱에 의해 우측의 상부지지대에서 이탈이 차단된 문이 회전할 때, 회전부 후면으로 돌출된 회전추가 상부지지대의 일측면을 도려낸 부분에 닿아서 회전부 내부로 이동하며 회전링의 차단턱에 도달하여 우측의 누름버튼을 누를 수 없어 문이 상부지지대에서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우측의 하부지지대는 우측 하단면에 설치된 회전대의 회전턱 외벽에 설치된 자석의 인력에 의해 회전턱 내벽에 흡착된 상태에서 문이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문의 회전각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형성된 하부지지대의 절개부가 앞부분의 회전턱을 통과하여 회전턱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앞부분의 회전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이중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열었던 문이 닫힐 때에는 문이 회전하며 수납부 우측 상단면의 상부지지대의 일측면을 도려낸 측면에 닿아서 회전부 내부로 회전된 회전추가 회귀되고, 좌측 회전부 바닥의 걸림턱이 좌측 상단면의 상부지지대에 닿아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회전부가 밀착된 후 회전링 일측의 무게 중심추에 의해 원위치로 회귀되며 걸림턱이 회전부 바닥으로 다시 돌출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문의 우측 하단면에서 회전되었던 하부지지대가 회귀될 때, 좌측 하단면의 하부지지대가 수납부의 좌측 하단면에 설치된 회전대 내부로 회전하며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지지대의 절개부가 회전대의 앞부분에 형성된 회전턱을 통과하여 회전턱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턱 외벽에 설치된 자석의 인력에 의해 회전턱 내벽에 흡착 고정되는 것이다.
냉장고 문이 닫혀 있을 때에는 좌우측 상부지지대가 회전링의 걸림턱에 의해 회전부에 결합되어 있어 좌우측 하부지지대는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하단면의 회전대에 흡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 손잡이 상단의 누름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잡아당겨서 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밀대가 설치되어 누름버튼을 동시에 누를 수 없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냉장고 문을 우측으로 열어서 사용할 수 있어 양방향에서 냉장고 문의 개폐가 가능하며, 회전대의 회전턱 외벽에 밀착 설치된 자석은 회전턱 또는 하부지지대에 자석을 내장하여 사용해도 무방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대형 냉장고의 경우에는 양문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중소형의 냉장고는 한 방향으로 문을 여닫게 되어 있어 문 여는 방향을 고려하여 냉장고의 위치가 결정되거나, 협소한 공간 배치 시 문 여는 방향을 동선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 문을 좌우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으로 적용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상부지지대 및 문의 상단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버튼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의 평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의 냉장고 본체(1)는 수납부(10)의 좌우측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대(30)와 하단면 좌우측에 회전대(40)가 설치되는 것이고, 문(20)의 내측면 좌우측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부(80)와, 문(20)의 측면과 전면 좌우측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60)와, 문(20)의 손잡이 좌우측 상부에 형성되는 누름버튼(70)과, 문(20)의 하단면 좌우측에 하부지지대(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상부지지대 및 문의 상단 내부사시도이다.
도 2는 수납부(10) 좌우측 상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상부지지대(30)는 끝부분의 일측면을 도려낸 형태의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문(20)의 내측면 좌우측 상단에 회전부(80)가 형성되며, 누름버튼(70)과 연결부(100)는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문(20)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고리에 고정핀(b)으로 고정시켜 앞뒤로 회전되는 회전링(81)은, 일측이 만곡된 경사각의 걸림턱(82)과 일측의 차단턱(83)과 일측의 저부에 무게 중심추가 형성되고, 걸림턱(82)과 차단턱(83) 사이에 회전추(84)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형태로 회전부(80) 바닥으로 걸림턱(82)이 돌출되는 것이다.
회전링(81)의 관통된 부분으로 삽입하여 문(20)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고리에 고정핀(b)으로 고정시켜 앞뒤로 회전되는 회전추(84)는, 회전링(81)의 관통된 부분으로 삽입하여 일측은 회전부(80) 후면으로 돌출되고 일측은 하방의 경사각으로 형성하되 하부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원형의 추가 형성되는 것이다.
양끝부분이 상부로 90도 꺾인 상태로 좌우측의 회전링(81)에 맞닿을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어 중앙을 고정핀(b)으로 고정시켜 앞뒤로 회전되는 밀대(90)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버튼의 분해도이다.
도 3의 누름버튼(70)은 냉장고 문(20)의 전면 좌우측 손잡이(6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의 고정판(103)에 중앙이 원형으로 관통되는 볼트를 끼우고 너트로 고정되는 연결부(100) 후면으로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길다란 브라인드리벳(101)에 압축스프링(102)을 끼워서 삽입하여 또 다른 압축스프링(102)을 끼워서 문(20)의 전면으로 돌출시켜 나사홈이 형성되는 누름버튼(70)이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문(20)을 열기 위하여 일측의 누름버튼(70)을 누르면 연결부(100) 내부에 삽입된 브라인드리벳(101)과 밀착된 밀대(90)와 회전링(81)이 앞으로 회전할 때, 회전링(81) 일측의 걸림턱(82)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부지지대(30)에서 문(20)이 분리됨과 동시에 밀대(90)가 회전한 거리 만큼 타측의 누름버튼(70)은 문(20)의 전면에 형성되는 관통홈(a)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문(20)을 열기 위하여 누른 일측의 누름버튼(70)은 후면의 압축스프링(102)에 의해 원위치로 회귀되고, 문(20)이 닫힐 때에는 회전링(81)의 무게 중심추에 의해 회전링(81)과 밀대(90)가 원위치로 회귀되며, 브라인드리벳(101)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02)에 의해 전면으로 돌출되었던 타측의 누름버튼(70)이 원위치로 회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수납부(10)에서 일측의 문(20)이 분리되며 회전할 때 타측의 회전부(80) 후면으로 돌출된 회전추(84)가 회전부(8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상부지지대(30)의 일측을 도려낸 부분에 회전추(84)의 일측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문(20)이 회전할 때 회전추(84)가 회전부(80) 내부로 이동하며 회전링(81)의 차단턱(83)에 도달하여 회전링(81)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문(20)의 좌우측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지지대(110)가 수납부(10) 좌우측 하단 회전대(40)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뒷부분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턱(42)과 앞부분은 반원형 중에서 가운데 일부만 남겨 놓고 양옆을 제거한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턱(42)의 회전대(40)에서 삽탈되는 것으로 회전대(40)의 회전턱(42) 외벽에 설치된 자석(50)의 인력에 의해 회전턱(42) 내벽에 흡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앞부분 회전턱(42)으로 하부지지대(110)의 절개된 부분이 통과하여 회전턱(42) 내부에서 회전하면 앞부분 회전턱(42)에 의해 하부지지대(110)가 이탈되지 않는 이중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하부지지대(110) 끝부분의 절개부(111)가 일측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문(20)이 회전할 때 회전각에 대응하도록 절개부(111)가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1 : 본체, 10 : 수납부, 20 : 문, 30 : 상부지지대, 40 : 회전대, 41 : 회전축, 42 : 회전턱, 50 : 자석, 60 : 손잡이, 70 : 누름버튼, 80 : 회전부, 81 : 회전링, 82 : 걸림턱, 83 : 차단턱, 84 : 회전추, 90 : 밀대, 100 : 연결부, 101 : 브라인드리벳, 102 : 압축스프링, 103 : 고정판, 110 : 하부지지대, 111 : 절개부, a : 관통홈, b : 고정핀

Claims (2)

  1.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 본체의 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단면 좌우측에 일측면을 도려낸 원형의 상부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수납부의 하단면 좌우측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뒷부분의 회전턱은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앞부분의 회전턱은 반원형 중에서 가운데 일부만 남겨 놓고 양옆을 제거한 형태의 회전대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회전대의 뒷부분의 회전턱 외벽에 밀착 고정되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수납부.
  2.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냉장고 본체의 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전면과 측면 좌우측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문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판에 중앙이 원형으로 관통되는 볼트를 끼우고 너트로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문의 상단 내부에 일측이 나사선으로 형성되는 브라인드리벳에 압축스프링을 끼워서 연결부 후면으로 삽입하여 또 다른 압축스프링을 끼운 후, 문의 전면 손잡이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홈으로 돌출시켜 나사홈이 형성되는 버튼이 결합되어 문의 전면 좌우측 상부에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문의 내측면 좌우측 상단에 회전부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문의 상단 내부에 회전부 바닥으로 돌출되는 일측이 만곡된 경사각의 걸림턱과 일측의 차단턱과 일측의 저부에 형성되는 무게 중심추와, 걸림턱과 차단턱 사이에 회전추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하부의 고리에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관통된 부분으로 삽입하여 일측은 회전부 후면으로 돌출되고 일측은 하방으로 경사각을 갖고 하부에 무게 중심추가 형성되는 회전추와,
    상기 문의 상단 내부에 앙끝부분이 상부로 90도 꺾인 상태로 좌우측 회전링에 맞닿을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중앙을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설치되는 밀대와,
    상기 문의 하단면 좌우측 끝부분에 문의 회전각에 대응하는 곡선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원형의 하부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문.
KR1020130025910A 2013-03-12 2013-03-12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KR20140111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10A KR20140111723A (ko) 2013-03-12 2013-03-12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10A KR20140111723A (ko) 2013-03-12 2013-03-12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23A true KR20140111723A (ko) 2014-09-22

Family

ID=5175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910A KR20140111723A (ko) 2013-03-12 2013-03-12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7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195A (ko) *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도어의 힌지장치
US10697694B2 (en) 2016-08-23 2020-06-30 Dometic Sweden Ab Cabinet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11187456B2 (en) 2016-08-26 2021-11-30 Dometic Sweden Ab Refrigerating device for a recreational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7694B2 (en) 2016-08-23 2020-06-30 Dometic Sweden Ab Cabinet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11187456B2 (en) 2016-08-26 2021-11-30 Dometic Sweden Ab Refrigerating device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11578913B2 (en) 2016-08-26 2023-02-14 Dometic Sweden Ab Refrigerating device for a recreational vehicle
KR20190017195A (ko) *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도어의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29291A (ja) ロックを備えた完全埋め込み式のドアハンドル
KR20140111723A (ko)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 문
US20190120542A1 (en) Refrigerator
US11045015B2 (en) Self-service device for taking tableware
TWM486853U (zh) 硬碟抽取盒結構
WO2018072290A1 (zh) 一种旋动式滑动调节装置
KR101811323B1 (ko) 냉장고
KR100821533B1 (ko) 이중 창문 잠금장치
CN210530507U (zh) 一种门锁把手换向结构及智能门锁
CN210164341U (zh) 一种推拉型门锁
KR20180024979A (ko) 중력을 조율한 냉장고 도어 양측 개폐 장치
JP2001124463A (ja) ドア開閉機構
JP2006299690A (ja) ハンドル装置及び建具
KR101487882B1 (ko) 창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JPH0335818Y2 (ko)
JP6216131B2 (ja) 扉錠用のロック装置
JP2009050352A (ja) 収納具用ロック機構
KR101574788B1 (ko) 잠금식 여닫이 도어가 구비된 싱크대
KR200486898Y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장치
JP2004068518A (ja) プシュプル錠
JP2721135B2 (ja) 家具などの開閉体ロック装置
KR20050026241A (ko) 냉장고 야채실 개폐장치
KR20080050671A (ko)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JP3089012U (ja) ケース用錠
JP3054585B2 (ja) 扉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