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692A -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692A
KR20140111692A KR1020147021940A KR20147021940A KR20140111692A KR 20140111692 A KR20140111692 A KR 20140111692A KR 1020147021940 A KR1020147021940 A KR 1020147021940A KR 20147021940 A KR20147021940 A KR 20147021940A KR 20140111692 A KR20140111692 A KR 20140111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frastructure
module
optica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 디 메가슨
케빈 비 레이
데이비드 더블유 쉐로드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4011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복수의 커넥터 모듈이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다. 커넥터 모듈은 각 전자 장치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고, 광학 커넥터는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커넥터 모듈중 제 1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는 커넥터 모듈중 제 2 커넥터 모듈과 별도로 후퇴 및 연장 가능하다.

Description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S HAVING OPTICAL CONNECTORS MOVEABLE BETWEEN A RETRACTED POSITION AND AN EXTENDED POSITION}
본 발명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다중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서,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backplane infrastructure)가 시스템 내에 마련되는데, 이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전자 장치의 각 정합 커넥터와 연결된다.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의 커넥터는 각 전자 장치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광학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부 실행에 있어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는 지지 프레임 및 복수의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다. 복수의 커넥터 모듈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각 전자 장치와 광학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다. 광학 커넥터는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커넥터 모듈중 제 1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는 커넥터 모듈중 제 2 커넥터 모듈과는 별도로 후퇴 및 연장 가능하다.
이하의 도면에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부 실행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랙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일부 실행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일부 실행에 따른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제 1 측부의 사시도,
도 3c는 도 3b의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대향하는 제 2 측부의 사시도,
도 4는 대안적인 실행에 따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c는 전자 장치의 배열과 함께, 일부 실행에 따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연결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일부 실행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구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다른 사시도,
도 8은 일부 실행에 따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조립하는 흐름도.
처리 장치, 저장 장치, 통신 장치, 관리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장치가, 이 전자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및 다른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랙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랙은 전자 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제공한다. 또한, 랙은 그 내부에 삽입된 전자 장치로의 연결을 위해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는 커넥터가 부착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랙 내에 장착될 경우, 전자 장치 상의 커넥터는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의 커넥터와 정합할 수 있다.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의 커넥터는 통신 매체(예를 들면, 광섬유, 전선 등)에 연결되어 전자 장치와 연통시킨다.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는 전자 장치의 각 광학 커넥터와 광학 연결하기 위해서 광학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및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는 전자 장치를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계속적인 논의에서는 광학 커넥터에 대해서만 언급된다―그러나, 이하에 논의된 다양한 구성요소는 또한 전기적 커넥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일부 예에 있어서,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는 각 전자 장치에 연결되기 위해서 광학 커넥터의 통합 및 고정된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커넥터의 통합 및 고정된 배열은, 광학 커넥터들이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의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광학 커넥터들이 동시에 시스템 내의 모든 전자 장치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것은 서비스(예를 들면, 결함 구성요소를 수리) 또는 업그레이드(예를 들면, 구성요소를 교체)를 위해 백플레인 인프라스트럭처에 접근할 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시스템 내에서 비교적 많은 수의 정합하는 광학 커넥터를 연결 및 분리해야 하는 것은, 일부 경우에서 광학 커넥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일부 실행에 따르면,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는, 광학 커넥터를 각기 구비하고 후퇴 위치(각 광학 커넥터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지지 프레임 내로 후퇴된 위치)와 연장 위치(광학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지지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자 장치의 각 광학 커넥터와 정합되는 위치) 사이에서 각각 이동 가능한 다중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커넥터 모듈중 다수의 것이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여, 커넥터 모듈의 일부가 연장 위치에 있는 동안 다른 커넥터 모듈은 후퇴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광학 커넥터의 (전부보다 적은) 일부를, 시스템 내에 장착된 각 전자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어느 커넥터 모듈을 대응하는 전자 장치에 광학적으로 연결할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융통성을 제공한다. 또한, 전부보다 적은 수의 광학 커넥터가 동시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모듈과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 또는 분리중 광학 커넥터의 손상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일부 실행에 따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설치 동안에, 사용자는 커넥터 모듈을 후퇴 위치에 둔 상태에서 시스템 내에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장착할 수 있다.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가 시스템 내에 장착된 후에, 사용자는 각 커넥터 모듈을 그들의 연장 위치로 점증적으로 이동시켜서 각 전자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광학 커넥터 모두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설치중 동시에 시스템 내의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광학 커넥터의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정합하는 광학 커넥터의 보다 최종의 정렬은 광학 커넥터를 독립적으로 정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전자 장치(104)를 포함하는 랙(102)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랙(102)은 각 전자 장치(104)가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105)을 수용하는 외부 섀시(chassis)(또는 프레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102)의 후방 부분은 랙(102) 내에 장착된 전자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포함한다.
도 2는, 각 전자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104)의 정합하는 광학 커넥터에의 연결을 위한 광학 커넥터(204)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202)을 도시한다. 광학 커넥터(204)는 페룰(ferrule)을 포함할 수 있는 광학 요소(206)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광학 커넥터의 "페룰"은 [도 2에 도시된 광섬유(201)와 같은] 광섬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 인터페이스는 광섬유와 다른 광학 구성요소 사이의 광통신을 허용한다. 단 하나의 광섬유(201)가 도 2에 도시되지만, 광학 커넥터(204)의 각 페룰(206)에 연결되는 다수의 광섬유가 커넥터 모듈(202)에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게다가, 광학 커넥터(204)는 광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다양한 렌즈 및 다른 광학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모듈(202)은 제 1 세그먼트(208-1), 및 이 제 1 세그먼트(208-1)와 각을 이루는(예를 들면, 대체로 수직인) 제 2 세그먼트(208-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208)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208-2)는 광학 커넥터(204)가 관통 장착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광학 커넥터(204)는 제 2 세그먼트(208-2)의 개구부를 통과한다. 부착 기구(210)가 광학 커넥터(204)를 슬라이더(208)의 제 2 세그먼트(208-2)에 부착한다.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knob), 손잡이 등의 형태일 수 있는] 액추에이터(212)가 슬라이더(208)의 제 1 세그먼트(208-1)에 장착된다. 액추에이터(212)가 슬라이더(208)의 제 1 세그먼트(208-1)의 주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사용자가 액추에이터(212)를 잡아서 슬라이더(208)의 제 1 세그먼트(208-1)의 종방향(214)으로 슬라이더(208)를 이동시키게 한다. 또한, 액추에이터(212)는 (이하에 추가로 논의되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그먼트(208-1)의 반대 표면으로부터 돌출함에 유의한다.
다른 실행에 있어서, 광학 커넥터(204)가 장착될 수 있는 [슬라이더(208)의 구성과 다른 구성을 구비하는] 다른 유형의 슬라이더가 사용될 수 있고, 각 이러한 슬라이더는 214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다수의 커넥터 모듈(202)을 구비하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를 도시한다.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는 커넥터 모듈(202)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304)를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및 이하에 논의된 다양한 다른 도면에 있어서, 보다 명료함을 위해, 광학 커넥터에 연결된 광섬유가 도면으로부터 생략된다. 커넥터 모듈(202)은, 대응하는 홈 내에 배열된 핀을 포함하는 부착 기구 또는 다른 유형의 부착 기구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유형의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304)에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202)은 지지 프레임(304)에 대해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다.
지지 프레임(304)은 제 1 세그먼트(304-1), 및 이 제 1 세그먼트(304-1)에 대해 각을 이루는(예를 들면, 대체로 수직인) 제 2 세그먼트(304-2)를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304)의 제 2 세그먼트(304-2)는 커넥터 모듈(202)의 각 광학 커넥터(204)가 관통 연장될 수 있는 개구부(308)를 구비한다. 커넥터 모듈(202)이 그것의 후퇴 위치에 있는 경우, 후퇴된 커넥터 모듈(202)의 대응하는 광학 커넥터(204)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의 지지 프레임(304) 내로 후퇴되어 개구부(308) 뒤쪽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광학 커넥터(204)의 광학 요소는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커넥터 모듈(302)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대응하는 액추에이터(212)를 잡아서 커넥터 모듈(202)을 지지 프레임(304)의 제 2 세그먼트(304-2)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5개의 커넥터 모듈(202)이 그들의 연장 위치에 도시되는데, 이 연장 위치에서는 각각의 이러한 커넥터 모듈(202)의 광학 커넥터(210)가 지지 프레임(304)의 제 2 세그먼트(304-2)의 각 개구부(308)를 통해 가압되었다. 소정의 커넥터 모듈(202)이 그것의 연장 위치에 있는 경우에, 그것의 대응하는 광학 커넥터(204)는 지지 프레임(30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지지 프레임의 대응하는 개구부(308)을 통해 광학 커넥터(204)를 이동시키면, 제 2 세그먼트(304-2)는 광학 커넥터(204)가 노출되어, 각 전자 장치의 광학 커넥터와 정합하도록 한다.
도 3b에 있어서, 최상부의 커넥터 모듈(202)는 그것의 후퇴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넥터 모듈(202)을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 모듈(202)중 하나가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커넥터 모듈(202)중 다른 것은 후퇴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커넥터 모듈(202)중 하나가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커넥터 모듈(202)중 다른 것은 연장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 양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액추에이터(212)는 지지 프레임(304)의 제 1 세그먼트(304-1)의 각 슬롯(33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3c는 도 3b에 제공된 도면에 대향하는 쪽에서의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의 도면을 제공한다. 또한, 도 3c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304)의 제 1 세그먼트(304-1)는 제 1 세그먼트(304-1) 뒤쪽의 커넥터 모듈(202)을 관찰하도록 투명으로 만들어진다. 슬롯(330)은 도 2에 도시된 축(214)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에 따라 각 커넥터 모듈(202)은 축(214)을 따라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따른 일례에 있어서는, 손잡이(332)가 각 액추에이터(212)에 추가로 부착된다―사용자는 액추에이터(212) 대신에 손잡이(332)를 잡아서, 액추에이터(212)를 슬롯(330)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행에 있어서는, 레버가 손잡이(332) 대신에 사용되어 커넥터 모듈(20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는, 커넥터 모듈(202)에 부가하여, 다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대응하는 광학 커넥터에 광학 연결하기 위한 광학 커넥터(320)를 구비하는 다른 커넥터 모듈(3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커넥터 모듈(322)은 슬롯(330)의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슬롯(326)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부 예에 있어서, 슬롯(326)은 슬롯(330)의 제 2 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연장한다. 커넥터 모듈(322)은, 사용자에게 잡혀서 커넥터 모듈(322)을 [커넥터 모듈(322)의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슬롯(326)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324)를 구비한다. 슬롯(326)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커넥터 모듈(322)의 구성은, 상술되고 슬롯(33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커넥터 모듈(202)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3a 및 도 3b는 커넥터 모듈(202)이 서로에 대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예시적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를 도시한다. 다른 실행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커넥터 모듈(202)의 그룹이 나란히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상부의 2개의 커넥터 모듈(202)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중간의 2개의 커넥터 모듈(202)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하부의 2개의 커넥터 모듈(202)을 포함하는 제 3 그룹을 구비하는 3개의 이러한 그룹이 제공된다. 각 그룹의 커넥터 모듈(202)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그에 따라 그룹 내의 커넥터 모듈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함께 (나란히) 이동한다.
하나의 커넥터 모듈을 다른 커넥터 모듈에 고정하는 것은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다수의 커넥터 모듈을 서로 고정된 관계로 부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커넥터 모듈을 일 그룹으로 부착하기 위해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예에 있어서, 그룹 내의 커넥터 모듈을 서로 부착하는 대신에, 각각의 커넥터 모듈이 다수의 광학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커넥터 모듈의 그룹 대신에, 이러한 커넥터 모듈이, 다수의 광학 커넥터가 장착되는 하나의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경우, 각 그룹은 각각의 커넥터 모듈로 고려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부 실행에 따른 전자 장치(502) 및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의 어레이의 후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가 전자 장치(50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따라서 아직 전자 장치(502)에 결합되지 않은] 배열을 도시한다. 각 전자 장치(502)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 내의 대응하는 커넥터 모듈(202)의 광학 커넥터(204)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각 광학 커넥터(504)를 구비한다.
도 5b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가 전자 장치(502)의 어레이와 결합하게 될 때의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와 전자 장치(502)의 커넥터(504) 사이의 초기 결합을 도시한다. 도 5b에 도시된 초기 결합 후에, 사용자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의 커넥터 모듈(202)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각 커넥터 모듈(202)의 광학 커넥터(204)를 지지 프레임(304)의 전방 세그먼트(304-2)(도 3b) 내의 개구부를 통해 가압하고, 그에 따라, 광학 커넥터(204)가 대응하는 전자 장치(502)의 광학 커넥터(504)와 정합할 수 있다. 도 5c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의 모든 커넥터 모듈(202)이 전자 장치(502)의 어레이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502)와 커넥터 모듈(202) 사이의 광학 연결은 블라인드 메이트(blind-mate) 광학 연결일 수 있다. "블라인드 메이트 광학 연결"은 하나의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광학 연결을 말하는 것으로서, 커넥터 간의 정렬이 정렬 특징부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을 행하기 위해 커넥터를 가시적으로 정렬하지 않아도 된다.
도 6a 및 도 6c는 도 5a 내지 도 5c에 각각 도시된 전자 장치(502) 및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들의 어레이의 일부분의 다른 사시도를 제공한다. 각각의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 광학 커넥터(504)중 2개의 광학 커넥터, 및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모듈 광학 커넥터(204)와 그들 광학 커넥터의 대응하는 결합에 대한 보다 나은 도면을 제공하기 위해 최상부의 전자 장치(502)의 일부분이 절취되었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각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 704)에 연결된 전자 장치(502)의 2차원 어레이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상이한 사시도를 제공한다. 각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 704)는 (상술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302)와 유사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도 7a 및 도 7b에 따른 예에 있어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에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4)의 대응하는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08)와의 광학 연결을 위해서,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06)가 형성되어 있다.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06)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의 지지 프레임(703) 내의 슬롯(726)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724) 상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08)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4)의 지지 프레임(705) 내의 슬롯(7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728) 상에 제공된다. 각 슬롯(726, 73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724, 728)는,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된 슬라이더(208) 및 슬롯(330)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 704)의 쌍은 전자 장치(502)의 각 칼럼에 연결된다. 각 쌍 내의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 704)는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06, 708)를 사용하여 서로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는 브릿지(bridge)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12)에의 연결을 위해서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10)를 추가로 구비한다. 브릿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1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다른 2개의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의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10)에 광학적으로 추가로 연결된다. 브릿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12)는 전자 장치(502)가 서로,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시스템의 외부일 수도 있는 다른 엔티티(entity)와 연통하게 한다. 상호 연결 광학 커넥터(710)는, 대응하는 슬롯(72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각 슬라이더(720)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된 슬라이더(208) 및 슬롯(330)의 구성과 유사하다.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 704)의 다수의 것이 전자 장치(502)의 각 서브세트(subset)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배열은 보다 큰 레벨의 입상도(granularity)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적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702 또는 704)는 다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거해야 하는 일 없이 제거될 수 있어, 향상된 융통성을 제공한다.
상술된 다양한 실행에 따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내의 커넥터 모듈의 각각 또는 그 그룹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능력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용이한 연결/분리를 허용하고, 광학 커넥터의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스템 내에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채용함으로써, 확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취급 및 운송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작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가 채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행에 따른 (상술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조립하는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8의 공정은 커넥터 모듈(108)의 제조 시설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또 대안적으로, 커넥터 모듈(108)을 조립하기 위한 다른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의 공정은 (802에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지지 프레임[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304)]을 제공한다. 그 다음에, 이 공정은 (804에서) 독립적으로 후퇴 및 연장 가능한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다수의 커넥터 모듈(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서 202)을 지지 프레임에 장착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종 세부가 기재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의 일부 또는 전부 없이 실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행은 상술된 세부로부터의 수정예 및 변형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청구된 특허청구범위가 이러한 수정예 및 변형예를 커버하고자 의도된다.

Claims (15)

  1.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각 전자 장치와 광학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모듈로서, 상기 광학 커넥터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중 제 1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모듈중 제 2 커넥터 모듈과는 별도로 후퇴 및 연장 가능한,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은 상기 슬롯중 대응하는 슬롯에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중 제 1 그룹의 부분이고, 상기 제 2 커넥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중 제 2 그룹의 부분이며, 상기 제 1 그룹의 광학 커넥터는 상기 제 2 그룹의 광학 커넥터와 별도로, 함께 후퇴 및 연장 가능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각 커넥터 모듈이 연장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중 각각의 것이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 있는 특정 커넥터 모듈의 상기 광학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지 않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은 상기 후퇴 위치와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 대응하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7.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에 연결되는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추가의 커넥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커넥터 모듈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커넥터 모듈은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은 다른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9.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와 제 2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포함하며;
    제 1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각 전자 장치와 광학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모듈로서, 상기 광학 커넥터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중 제 1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모듈중 제 2 커넥터 모듈과는 별도로 후퇴 및 연장 가능한,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추가의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제 2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는 상기 추가의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제 2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커넥터 모듈중 하나 또는 양측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에 광학적으로 연결된 브릿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와,
    제 3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제 3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각 전자 장치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 추가의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의 추가의 커넥터 모듈은 상기 브릿지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는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중 선택된 커넥터 모듈이 상기 전자 장치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중 다른 커넥터 모듈은 후퇴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후퇴 위치 내의 커넥터 모듈은 대응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광학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중 대응하는 커넥터 모듈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 2 부분으로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중 대응하는 광학 커넥터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추가의 커넥터 모듈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추가의 슬롯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커넥터 모듈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각 전자 장치와 광학적으로 연결하도록 각 광학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커넥터는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 모듈중 제 1 커넥터 모듈의 광학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모듈중 제 2 커넥터 모듈과 별도로 후퇴 및 연장 가능한, 상기 지지 프레임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인프라스트럭처 조립 방법.
KR1020147021940A 2012-01-06 2012-01-06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 KR20140111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20434 WO2013103348A1 (en) 2012-01-06 2012-01-06 Connector modules having optical connectors moveable between a retracted position and an extended 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692A true KR20140111692A (ko) 2014-09-19

Family

ID=4874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940A KR20140111692A (ko) 2012-01-06 2012-01-06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217832B2 (ko)
JP (1) JP5868525B2 (ko)
KR (1) KR20140111692A (ko)
CN (1) CN104040396B (ko)
BR (1) BR112014016722A8 (ko)
DE (1) DE112012005120T5 (ko)
GB (1) GB2512245A (ko)
IN (1) IN2014CN04948A (ko)
WO (1) WO2013103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451B1 (en) * 2017-02-10 2018-08-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Optical connectors with positions
US10188012B2 (en) * 2017-06-05 2019-01-2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omputer networking interconnectors
US10222562B1 (en) * 2017-09-07 2019-03-05 Quanta Computer Inc. Flexible connector interface
US10849253B2 (en) * 2017-09-28 2020-11-2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Interconnected modular server and cooling means
KR102189228B1 (ko) * 2020-04-20 2020-12-09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슬롯형 광모듈 탈부착형 쉘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077A (en) 1992-03-20 1994-08-09 Mark Iv Industries Limited Electromagnetic shutter
US5339379A (en) 1993-06-18 1994-08-16 Telect, Inc. Telecommunication fiber optic cable distribution apparatus
JP2898522B2 (ja) 1993-09-30 1999-06-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実装構造
JP3307846B2 (ja) 1997-01-24 2002-07-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83998A (en) 1997-02-20 1999-03-1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ackplane connectors with separable electrical and optical connectors
US5980312A (en) * 1998-01-12 1999-11-09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optical/electronic backplane assembly
JP3634615B2 (ja) 1998-02-25 2005-03-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装置用ユニット
US6305848B1 (en) 2000-06-19 2001-10-23 Corona Optical Systems, Inc. High density optoelectronic transceiver module
WO2002005002A1 (en) * 2000-07-10 2002-01-17 Americable, Inc. Fiber optic cabl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6682230B1 (en) * 2000-08-09 2004-01-27 Berg Technology, Inc. Optical connec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movable connection
US6786647B1 (en) * 2001-03-16 2004-09-07 Nortel Networks Limited Mechanically constrained connection
JP3767408B2 (ja) 2001-04-16 2006-04-19 富士通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6623177B1 (en) 2001-07-09 2003-09-23 Em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iber optic communications between circuit boards
JP4105696B2 (ja) * 2002-11-29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に搭載されるユニット及び当該電子装置の伝送線路の接続機構
JP4176071B2 (ja) 2004-10-22 2008-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4639315B2 (ja) 2006-09-06 2011-02-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7645160B2 (en) * 2007-08-09 2010-01-12 Belden Cdt (Canada) Inc. Telescoping connector assembly
WO2009046479A1 (en) * 2007-10-09 2009-04-16 Prysmian Telecom Cables & Systems Australia Pty Ltd Connector carrier for an optical fibre joint enclosure
US7588373B1 (en) 2008-07-16 2009-09-15 Sanwa Denki Kogyo Co., Ltd. Optical connector plug
US7945135B2 (en) 2008-08-29 2011-05-17 Corning Cable Systems Llc Telescoping fiber optic module and related equipment
US8167505B2 (en) 2008-09-18 2012-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luggable system between optical transceiver and host system
EP2386150B1 (en) * 2009-01-09 2014-09-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figurable point-to-point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between servers
CN101854007B (zh) 2009-04-02 2012-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231283B2 (en) * 2010-12-06 2012-07-3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Waveguide connector with improved structure for positioning waveguide into ferr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411836D0 (en) 2014-08-13
GB2512245A (en) 2014-09-24
JP5868525B2 (ja) 2016-02-24
US9477050B2 (en) 2016-10-25
CN104040396B (zh) 2016-08-24
US9217832B2 (en) 2015-12-22
BR112014016722A2 (pt) 2017-06-13
IN2014CN04948A (ko) 2015-09-18
DE112012005120T5 (de) 2014-11-20
BR112014016722A8 (pt) 2017-07-04
CN104040396A (zh) 2014-09-10
JP2015505378A (ja) 2015-02-19
US20160103285A1 (en) 2016-04-14
WO2013103348A1 (en) 2013-07-11
US20140369654A1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4317B2 (en) Fiber optic adapter block
US11567281B2 (en) Telecommunications chassis
US9477050B2 (en) Connector modules having optical connectors moveable between a retracted position and an extended position
US8270798B2 (en) Routing guide for a movable fiber optic equipment tray or module
US10001609B2 (en) Connector assembly
US20140241689A1 (en) Ganged fiber optic connector adapter modules and assemblies having reinforcement members and staggered fiber optic connector adapter ports
US20130108231A1 (en) Rack and chassis for fiber optic sliding adapter modules
KR20150132107A (ko) 관리된 연결성을 갖는 광학 어셈블리들
US20070167049A1 (en)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WO2013055591A2 (en) Fiber optic cassette, system, and method
US20110211801A1 (en) Cable Routing Guide With Cable Retainer
US20170059781A1 (en) Optical circuit board assemblies
US9459426B2 (en) Optical plenum
WO2023168095A1 (en)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pluggable modules
US20110103744A1 (en) Card-based mounting assembly and maintenance system
WO2016029171A1 (en) High density adapter carrier pack
US9494749B2 (en) Fiber optic connectors having a translating tray along with cable assemblies using the connectors
US9645337B2 (en) Connector modules to optically connect to electronic devices
US20150309279A1 (en) Assemblies with fiber optic adapter panels having air flow provisions
CN112652913A (zh) 模块化电信面板系统和电信模块
US20230168457A1 (en) Telecommunications chas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