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106A -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106A
KR20140111106A KR1020130024061A KR20130024061A KR20140111106A KR 20140111106 A KR20140111106 A KR 20140111106A KR 1020130024061 A KR1020130024061 A KR 1020130024061A KR 20130024061 A KR20130024061 A KR 20130024061A KR 20140111106 A KR20140111106 A KR 2014011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ection
information
image
user termi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나상일
이근동
제성관
오원근
서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2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106A/ko
Priority to JP2013152116A priority patent/JP5868907B2/ja
Publication of KR2014011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효율적으로 하며 거리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이 개시된다. 먼저,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특징 정보를 교차로 영역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소요되는 자원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한 거리 검색 및 길찾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GENERATING DATABASE BASED ON IMAGE, METHOD FOR PROVIDING A SEARCHING SERVICE OF ROA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거리 검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효율적으로 하며 거리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기술 및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구글의 스트리트 뷰와 같은 지도 검색 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지도 검색 서비스는 길찾기, 위치 검색으로 활용되며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지도 검색 서비스에서는 지도와 함께 항공시진,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항공뷰 및 거리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위치의 사진 및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도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 편의성 문제와 사용자 위치 정보 확인에 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사용자 편의성 문제와 관련하여,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선행 논문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점 변화 대응 및 도로 내에서의 위치 탐색 등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 위치 정보 확인에 관한 문제와 관련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 확인을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기지국 정보 등을 이용한 무선 측위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골목에서 거리 검색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중 골목에서 정확한 거리 검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를 이용해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동일 위치에 여러 사진이 있을 경우의 문제, 기하학적 보정의 사용 문제, 모든 지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효율적으로 하며 거리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있어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를 상기 교차로 영역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교차로 영역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에 대해 복수의 미리 설정된 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교차로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거리 검색 방법에 있어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특징 정보를 검색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미지가 포함된 교차로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미지가 포함된 교차로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된 교차로의 위치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된 상기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검색 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차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교차로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교차로 위치를 리스트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로 관련 정보는, 교차로 이미지 또는 상기 교차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교차로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차로 관련 정보가 교차로 이미지인 경우, 상기 교차로 이미지로부터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비 교차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비 교차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획득한 비 교차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특정 부분의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부분의 부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특정 부분의 부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인식된 교차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로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 정보와 교차로 영역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소요되는 자원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한 거리 검색 및 길찾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비 교차로 영역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 B의 이미지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 교차로 이미지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를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 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검색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교차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비 교차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사용자 단말, 검색 관리장치는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거리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 도로 내 모든 영역(101)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내 모든 영역(101)을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되기 때문에 파노라마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도로 내 영역을 촬영하고 기하학적 보정을 이용하여 이미지 검색을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파노라마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도로 내 영역을 촬영하고 기하학적 보정을 이용하여 이미지 검색을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도 기하학적 보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서는 실제 사람이 거리를 검색하는 경우 필요한 정보는 교차로 영역에서 어느 방향이 목적지 방향인지 하는 정보이므로, 교차로 영역에서의 거리 검색을 위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서는 거리 검색에 있어 중요 기점은 교차로 영역인 것에 착안하여 교차로 영역(201)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거리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여기서, 교차로 영역(201)은 교차로 중심에서 각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50미터)만큼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 전 영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이 비해 데이터베이스화에 필요한 자원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거리 검색을 하는 경우 검색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비 교차로 영역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거리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 필요한 사진의 양을 상당량 줄일 수 있으며, 거리 검색 서비스 이용시 데이터베이스 양과 거리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교차로 주변 이미지만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 거리 검색 서비스에서 가능했던 다양한 영역의 검색을 지원하기 어려워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가 감소할 수 있는바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영역의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 거리 검색 서비스에서 가능했던 다양한 영역의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 교차로 영역(A, B)과 비 교차로 영역(C)을 나누어 거리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구축한다.
여기서, 교차로 영역(A, B)을 이용하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는 특징 정보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비 교차로 영역(C)을 이용하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위치 확인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 교차로 영역(예를 들어, 골목)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하, 교차로 영역과 비 교차로 영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 B의 이미지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이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각 코너에 위치하는 건물에 대해서 빨간점과 같은 위치에서 원호를 그리며 일정 간격으로 건물 B를 촬영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각도 센서 정보, 핸들 방향이동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등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이 인식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인식된 교차로 영역 중 소정 방향의 구조물에 대해 2개의 수직각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상기 촬영된 건물 B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촬영된 건물 B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 예를 들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과 같은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추출된 특징 정보를 지도 정보 및 위치 정보(예를 들어 상점 정보 등)와 대응 시켜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비 교차로 영역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촬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비 교차로 영역을 오버랩 비율이 50%이도록 촬영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비 교차로 영역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비 교차로 영역을 일정 거리 간격으로 촬영하는 대신 기존의 사진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파노라마 등)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촬영한 비 교차로 영역을 지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교차로 영역이 인식되는지 판단한다(S61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미리 설치된 각도 센서, 핸들 방향이동 센서를 통해 획득된 각도 센서 정보, 핸들 방향이동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회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을 인식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단계 610을 통해 교차로 영역이 인식되면 인식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62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인식된 교차로 영역 중 소정 방향의 건물을 적어도 2개의 수직각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단계 620을 통해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S63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 예를 들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과 같은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특징 정보는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생성되는 특징 벡터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추출된 특징 정보와 지도정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 시키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저장한다(S64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비 교차로 영역이 인식되는지 판단하여(S650), 비 교차로 영역이 인식되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비 교차로 영역을 촬영한다(S66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인식된 비 교차로 영역을 오버랩 비율이 50%가 되도록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교차로 영역을 촬영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시간 간격으로 비 교차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는 단계 660을 통해 촬영된 비 교차로 영역을 지도 정보와 대응시키고, 촬영된 비 교차로 영역을 저장한다(S67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따르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거리 검색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므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거리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를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710).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710을 통해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720).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720을 통해 수신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검색한다(S730).
여기서, 교차로 위치는 추출된 특징 정보와 대응되는 지도 정보 및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검색 관리장치(200)는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 예를 들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과 같은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730을 통해 검색된 교차로 위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740).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740을 통해 수신된 검색된 교차로 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차로 위치 중 특정 방향을 선택한다(S750).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한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760).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760을 통해 수신된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비 교차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비 교차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770).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비 교차로 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요청하는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780).
여기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주변 건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780을 통해 수신된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부가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부가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7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 정보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801).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801을 통해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803).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전송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에 상응하는 교차로 위치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805).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805를 통해 교차로 위치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교차로 위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807).
여기서, 수신된 교차로 위치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에 매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출력된 교차로 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809).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검색 관리장치(200)로부터 교차로 위치에 해당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 중 특정 교차로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교차로 위치에 대한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비 교차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811).
사용자 단말(100)은 비 교차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비 교차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813).
여기서, 비 교차로 정보는 선택된 교차로 방향에 대한 지도 정보와 비 교차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페이스에 따라 지도 정보와 비 교차로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출력된 비 교차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815).
사용자 단말(100)은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부가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817), 부가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부가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819).
여기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주변 건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검색 관리장치를 통해 현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에 기초한 거리 검색을 수행하므로, 빠른 거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 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검색 관리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910).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910을 통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S920).
여기서, 검색 관리장치(200)는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 예를 들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과 같은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검색 관리장치(200)는 추출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다(S930).
여기서,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교차로 이미지만으로 구축된 것으로, 모든 도로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것과 달리 빠른 교차로 위치 검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930을 통해 획득된 교차로 위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940).
여기서, 검색 관리장치(20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가 획득된 경우,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를 리스트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후, 검색 관리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950).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950을 통해 비 교차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비 교차로 정보 요청에 대응되는 비 교차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960).
여기서, 비 교차로 정보는 선택된 교차로 방향에 대해 지도 정보와 비 교차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검색 관리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970).
검색 관리장치(200)는 단계 970을 통해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부가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980).
여기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주변 건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이용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에 기초한 거리 검색을 수행하므로, 신속히 거리 검색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과 검색 관리장치(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부(110), 통신부(120), 프로세싱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특징 정보 추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촬영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프로세싱부(130)에 제공한다.
통신부(120)는 검색 관리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검색 관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부(130)로 제공하고, 프로세싱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 등을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120)와 검색 관리장치(200) 사이의 통신은 IEEE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바이너리 CDMA(B-CDMA: Binary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싱부(130)는 촬영부(110)로부터 제공 받은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통신부(120)를 통해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또는, 프로세싱부(130)는 촬영부(110)로부터 제공 받은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특징 정보 추출부(150)에 제공하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특징 정보 추출부(150)로부터 제공 받은 특징 정보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싱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 또는 특징 정보에 상응하는 교차로 위치가 수신되면, 수신된 교차로 위치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부(130)는 검색 관리장치(200)로부터 교차로 위치에 해당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세싱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 중 특정 교차로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교차로 위치에 대한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130)는 출력된 교차로 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방향의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20)를 통해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프로세싱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비 교차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비 교차로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비 교차로 정보는 선택된 교차로 방향에 대한 지도 정보와 비 교차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130)는 출력된 비 교차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20)를 통해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프로세싱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한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부가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부가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주변 건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프로세싱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교차로 위치, 비 교차로 정보, 부가정보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프로세싱부(130)에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징 정보 추출부(150)는 프로세싱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공 받은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프로세싱부(130)로 제공한다.
여기서, 특징 정보 추출부(150)는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 예를 들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과 같은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검색 관리장치를 통해 현재 거리 검색을 수행하므로 빠른 거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검색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관리장치(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싱부(220), 특징정보 추출부(230), 교차로 정보 저장부(240), 비 교차로 정보 저장부(250) 및 지도 및 위치 정보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부(220)로 제공하고, 프로세싱부(220)의 제어에 기초하여 특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210)와 사용자 단말(100) 사이의 통신은 IEEE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바이너리 CDMA(B-CDMA: Binary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싱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교차로 이미지를 특징 정보 추출부(230)로 제공한다.
프로세싱부(220)는 특징 정보 추출부(230)로부터 제공 받은 특징 정보와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교차로 정보 저장부(24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로 위치를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는, 프로세싱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에 대한 특징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교차로 정보 저장부(24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교차로 위치를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프로세싱부(220)는 교차로 정보 저장부(240)로부터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가 획득된 경우, 복수의 후보 교차로 위치를 리스트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싱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비 교차로 정보 요청에 대응되는 비 교차로 정보를 비 교차로 정보 저장부(25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비 교차로 정보는 선택된 교차로 방향에 대해 지도 정보와 비 교차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부가정보를 지도 및 위치 정보 저장부(26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주변 건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프로세싱부(2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공 받은 교차로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프로세싱부(220)로 제공한다.
여기서, 특징 정보 추출부(230)는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 예를 들어 SIFT, SURF 등과 같은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교차로 정보 저장부(240)는 촬영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와 이를 기반으로 추출된 특징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소정 방향의 건물을 적어도 2개의 수직각을 이용하여 촬영될 수 있다.
비 교차로 정보 저장부(250)는 교차로 사이 영역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지도 및 위치 정보 저장부(260)와 연동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한다.
지도 및 위치 정보 저장부(260)는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와 비 교차로 이미지를 연동시키기 위한 지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상점 점보 등의 부가정보 등을 저장하며 관리한다.
여기서, 교차로 정보 저장부(240), 비 교차로 정보 저장부(250) 및 지도 및 위치 정보 저장부(260)는 대용량의 비휘발성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이용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에 기초한 거리 검색을 수행하므로, 신속히 거리 검색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고, 도 13 내지 도 1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교차로의 위치, 비 교차로의 위치,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차로 영역에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검색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교차로 위치를 검색 관리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교차로 위치 중 4 방향에 대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1 방향을 선택하면 선택한 1 방향에 대해서 미리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점 등의 정보를 도 14와 같이 하이라이트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4와 같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기초하여 거리 검색이 가능하다.
여기서, 교차로 중앙에 있는 원은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며, 건물 내에 있는 빗금으로 표시된 원은 미리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점들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도 14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가로 화면을 전환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에 따라 도로의 좌우측에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도 14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좌측 또는 우측 골목을 선택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에 따라 도로의 좌우측에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5의 111은 비 교차로 이미지로서 미리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점의 정보이고, 115의 마크와 연동되어 움직이며 터치를 통해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점의 정보는 가게 이미지, 전화 번호, 가게 평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113은 도로 내의 파노라마 섬네일(thumbnail)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비 교차로 이미지를 통해 합성된 파노라마 섬네일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115는 제공 가능한 지도로서 현재 회전 방향 또는 선택 방향에 맞는 방향의 지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촬영부
120, 210: 통신부 130, 220: 프로세싱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230: 특징 정보 추출부
200: 검색 관리장치 240: 교차로 정보 저장부
250: 비 교차로 정보 저장부 260: 지도 및 위치 정보 저장부

Claims (19)

  1.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있어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를 상기 교차로 영역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교차로 영역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에 대해 복수의 미리 설정된 각도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상기 교차로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 교차로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지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긴 제2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인식된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비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거리 간격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교차로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교차로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회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교차로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9.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거리 검색 방법에 있어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교차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특징 정보를 검색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미지가 포함된 교차로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미지가 포함된 교차로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된 교차로의 위치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된 상기 특정 방향의 직선 영역의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부가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3. 검색 관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차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교차로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교차로 위치를 리스트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 관련 정보는,
    교차로 이미지 또는 상기 교차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교차로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차로 관련 정보가 교차로 이미지인 경우, 상기 교차로 이미지로부터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교차로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교차로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 교차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비 교차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비 교차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비 교차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특정 부분의 부가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상기 특정 부분의 부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특정 부분의 부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주소 정보, 쿠폰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0024061A 2013-03-06 2013-03-06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11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61A KR20140111106A (ko) 2013-03-06 2013-03-06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3152116A JP5868907B2 (ja) 2013-03-06 2013-07-22 イメージ基盤データベース構築方法、イメージ基盤データベースを利用したルート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61A KR20140111106A (ko) 2013-03-06 2013-03-06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106A true KR20140111106A (ko) 2014-09-18

Family

ID=5169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61A KR20140111106A (ko) 2013-03-06 2013-03-06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미지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거리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68907B2 (ko)
KR (1) KR201401111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5632A1 (en) * 2019-11-26 2022-03-03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ut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481989B1 (ko) * 2022-08-10 2022-12-27 유기석 이미지 정보와 촬영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견을 관리하는 애완견 관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9630A1 (en) * 2004-06-03 2005-12-15 Sharp Kabushiki Kaisha Map data genera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same, and map data generating method
JP5714940B2 (ja) * 2011-03-04 2015-05-07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移動体位置測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5632A1 (en) * 2019-11-26 2022-03-03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ut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703333B2 (en) * 2019-11-26 2023-07-18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ut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481989B1 (ko) * 2022-08-10 2022-12-27 유기석 이미지 정보와 촬영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견을 관리하는 애완견 관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68907B2 (ja) 2016-02-24
JP2014174159A (ja)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654B2 (ja) 関心地点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753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타데이터 설정 방법
US8416309B2 (en) Camera-fitted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KR101002030B1 (ko) 단말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및 상기 입력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4226140A (ja) 情報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040960A (zh) 一种实现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KR20130138141A (ko) 주변 위치 정보의 증강 현실 배치
US20220076469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CN102937452A (zh) 一种基于图像信息码的导航方法、装置和系统
TWI749532B (zh) 一種定位方法及定位裝置、電子設備和電腦可讀儲存媒介
KR101397873B1 (ko) 증강 현실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7193820B (zh) 位置信息获取方法、装置及设备
KR102332524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부리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9418351B2 (en) Automated network inventory using a user device
KR102107208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JP2016058057A (ja) 翻訳システム、翻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140019378A1 (en) Evalu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9181186A (ja) 情報提供サーバ、情報表示端末、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表示方法
JP5868907B2 (ja) イメージ基盤データベース構築方法、イメージ基盤データベースを利用したルート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JP20150905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366130B2 (ja) 位置特定装置および位置特定プログラム
KR102200464B1 (ko) 지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714416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端末用プログラム
KR101810533B1 (ko)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한 지도 서비스에 관심 지점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