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032A -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 Google Patents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032A
KR20140111032A KR1020147022246A KR20147022246A KR20140111032A KR 20140111032 A KR20140111032 A KR 20140111032A KR 1020147022246 A KR1020147022246 A KR 1020147022246A KR 20147022246 A KR20147022246 A KR 20147022246A KR 20140111032 A KR20140111032 A KR 2014011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upport
cell
interior fitting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634B1 (ko
Inventor
안톤 판너
마틴 그레버
Original Assignee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1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셀(36); 지지케이지(42)와 헤드밴드(44)와 목끈(46)으로 이루어져 머리에 접촉하는 인테리어 피팅을 헬멧셀에 고정하는 보호헬멧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피팅은 고정수단이 지지케이지로부터 관자놀이 부분에서는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오거나 머리 뒷 부분에서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3개의 지지아암(54~5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인테리어 피팅이 헬멧셀 표면 전체로부터 계속해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인테리어 피팅 전체 둘레에 존재하는 틈새에서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헬멧셀이 움직일 수 있다. 지지아암들(54~56)의 자유단부들은 헬멧셀에 착탈 결합한다.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56)의 착탈고정은 헬멧셀의 후방 고정점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래치락과, 이런 래치락에서 떨어져 헬멧셀의 내부에 배치된 추가 고정점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그 결과, 헬멧셀에 최적으로 힘이 전달되고, 헬멧셀의 상대이동이 이루어져, 윗쪽과 옆에서 헬멧에 힘이 가해질 때 헬멧셀이 인테리어 피팅과 함께 최적의 충격흡수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SAFETY HELMET, IN PARTICULAR FOR MOUNTAIN CLIMBERS AND TREE CLIMBERS}
본 발명은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의 보호헬멧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헬멧셀, 지지케이지와 헤드밴드와 목끈으로 이루어져 머리에 접촉하는 인테리어 피팅, 및 헬멧셀에 인테리어 피팅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는 보호헬멧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보호헬멧이 DE8714490U1에 소개되었는데, 이런 기존의 보호헬멧은 사용상태에 맞게 액세서리 요소들을 교환하여 조절하는 기본 헬멧이다. 이런 보호헬멧은 헬멧셀과 최소한의 인테리어 피팅들(interior fittings)로 구성된다. 인테리어 피팅에는 헬멧을 머리에 받쳐주는 십자 띠가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머리와 헬멧셀 사이에 충격흡수 틈새를 만들어준다. 헬멧의 옆과 뒷쪽의 바깥쪽에는 돌출부가 있고, 헬멧 하연부에 십자 띠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홈과, 다른 액세서리들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홈들이 있다. 기본형 헬멧은 아무런 액세서리가 없는 단순한 범용 헬멧이다. 이런 액세서리들은 필요에 따라 추가하거나 제거하면 된다. 헬멧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의 돌출부 바깥쪽에 홈이 있고, 이곳에 안면보호대와 귀마개를 설치한다. 이런 보호장구들은 와이어 브라켓과 귀마개 캡슐을 포함한다. 안면보호대와 귀마개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공통의 연결요소에 의해 바깥에서 헬멧에 고정된다. 이런 종류의 헬멧의 단점은 작업을 할 때 헬멧이 지나가는 장애물들이 귀마개나 바이저의 와이어 브라켓 뒷쪽에 걸려 헬멧 착용자의 헬멧을 벗기거나 찢어 착용자를 해칠 수 있다는데 있다.
헬멧 외부에 안면보호대나 귀마개와 같은 액세서리를 설치하는 다른 종류의 헬멧이 DE2826636C2, DE2907054A1, DE3314595C2, DE3590667C2, DE9410596U1 및 DE29708134U1에 소개되었다. 이런 종류의 헬멧의 착용자도 브라켓에 장애물이 걸려 작업중에 다칠 염려가 있다.
인테리어 피팅들과 헬멧셀을 고정할 때 헬멧셀의 외부에 액세서리들을 설치하는 다른 종류의 헬멧들은 아래와 같다.
DE102004004044B4에 소개된 보호헬멧에서는, 머리에 닿는 인테리어 피팅이 지지케이지, 헤드밴드, 목끈으로 이루어지고, 연결요소들을 실드에 끼운 다음, 실드를 헬멧셀의 하연부에 고정한다.
DE69811738T2에 소개된 보호헬멧에서는, 머리에 닿고 지지케이지와 헤드밴드와 목끈으로 이루어진 인테리어 피팅을 이중벽 헬멧셀의 하연부의 4 위치에서 슬롯에 끼워지는 고정링크를 이용해 고정한다. 헤드밴드는 착용자의 머리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다.
WO2005/027671A1에 소개된 안전헬멧에서는, 나머지 인테리어 피팅을 둘러싸고 머리에 닿으면서 지지케이지와 헤드밴드와 목끈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가 헬멧셀 안에 배치된다. 헬멧셀 안쪽면에 달린 돌출부에 나사를 이용해 충격흡수부와 인테리어 피팅을 고정한다. 이런 종류의 헬멧에서, 충격흡수부는 외부로 이어진 연결선이 달린 송신기/수신기를 헬멧 바깥면에 배치하기 위한 요홈부를 형성할 정도로 두툼하다.
이런 기존의 모든 보호헬멧에서는, 위에서부터 헬멧에 작용하는 힘이 인테리어 피팅을 통해, 특히 십자띠로 이루어진 지지케이지를 통해 착용자의 머리에 거의 그대로 전달된다. 즉, 십자띠가 착용자의 머리에 헬멧을 단단히 고정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십자띠의 충격흡수기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호헬멧의 충격흡수 성능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모든 보호헬멧에서는, 측면에서 헬멧에 가해지는 힘도 거의전부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된다. 인테리어 피팅이 헬멧의 하연부를 따라 헬멧셀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기껏해야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의 헬멧 하연부에 패드를 대어 충격흡수를 할 뿐이다.
다른 문제는, 등반가와 트리크라이머용으로 제작된 보호헬멧은 턱끈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있다. 턱끈은 헬멧셀의 안쪽면에서 인테리어 피팅에 고정해야 한다. 예컨대 보호헬멧의 인증에 필요한 인장시험 동안에 턱끈을 당겨도 보호헬멧에 대한 턱끈의 체결점의 위치가 안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장시험 동안에 인테리어 피팅이 헬멧셀에서 분리되어서는 안된다. 보호헬멧을 사용할 때, 턱끈은 외부의 힘이나 충격에 노출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보호헬멧이 안전하게 머리를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옆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충격흡수 성능을 개선한 보호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충격흡수 성능은 독일 특허출원 10 2010 027 012.1의 보호헬멧에서도 개선된다. 이 출원에서는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의 안쪽면 사이에 최대 4cm의 틈새를 둔다. 측면에서 힘이 작용할 경우, 이 틈새를 이용해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을 변형시켜 충격에너지를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테리어 피팅의 윗쪽과 헬멧셀 안쪽면 사이에 틈새를 두기 때문에 기존의 보호헬멧은 윗쪽에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해서만 보호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케이지로부터 관자놀이 부분에서는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오거나 머리 뒷 부분에서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적어도 3개의 지지아암을 포함한 고정수단과; 외주변 전체를 따라 계속해서 헬멧셀에서 떨어져서, 귀마개 캡슐, 지지브라켓, 목끈의 체결부, 귀마개의 장착기, 안면보호대, 턱끈 밑 턱끈의 장착기를 포함한 헬멧 액세서리들이 들어갈 틈새가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크기를 헬멧셀과 지지아암; 자유단부들이 헬멧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아암들; 및 헬멧셀의 후방 고정점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래치락과, 이런 래치락에서 떨어져 헬멧셀의 내부에 배치된 추가 고정점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서스펜션을 포함하여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의 착탈 고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보호헬멧에서, 목끈 체결부와 귀마개와 귀마개 캡슐의 장착기들은 헬멧셀의 내부에 위치하여, 안면보호대와 귀마개의 구속아암들과 지지브라켓들이 보호헬멧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나뭇가지와 같은 외부 장애물들에 걸릴 가능성이 없어진다. 귀마개가 필요없으면, 귀마개를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의 틈새 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어, 보호헬멧이 장애물에 걸릴 여지를 없앤다. 안면보호대의 장착기들도 틈새 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바이저를 올리거나 내린 상태에서도 나뭇가지와 같은 외부 장애물에 걸릴 가능성이 없어진다.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에서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지지아암들과 이렇게 형성된 틈새는, 전체에 걸쳐 폭이 최대 4cm에 이르기 때문에,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의 변형에 의해 외부에서 헬멧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에 보다 작은 힘이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흡수능력이 크게 개선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힘은 위에서는 물론 옆에서도 헬멧에 가해질 수 있다. 힘이 옆에서 가해질 경우, 헬멧셀이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피봇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충격흡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의 틈새의 폭 안으로 헬멧 액세서리가 들어감은 물론, 헬멧셀에 연결된 지지아암들이 스페이서 역할은 물론 위에서나 옆에서 헬멧에 힘이 가해질 때 헬멧셀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에 의해 자체적으로 변형하고, 지지아암들이 연결된 지지케이지도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헬멧셀과 인테리어피팅 사이에 있는 넓은 자유공간에 귀마개의 캡슐들과 목끈 체결부를 포함한 헬멧 액세서리들을 수용할 수 있다. 지지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강인하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로로 이루어진 지지케이지와 탄성 플라스틱을 종축선 둘레에 갖는 헬멧셀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격흡수기능을 할 때,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들이 자유단부로 헬멧셀에 지지케이지를 지지하여 헬멧셀에 위에서 외부 압력이 작용할 때 헬멧셀에 의해 지지아암에 인장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지지아암들이 안쪽으로 헬멧셀을 변형시키게 된다. 옆에서 헬멧에 힘이 가해질 때는, 3개 고정점에서 인테리어 피팅에만 연결되고 인테리어 피팅에서 넓게 떨어져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움직이게 되는 헬멧셀에 의해 충격흡수기능이 더 강화된다. 이런 움직임 때문에, 인테리어 피팅의 지지아암들에 헬멧셀을 거쳐 전달되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의해 지지아암들이 변형되어, 헬멧에 작용하는 충격이 완화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 아랫쪽을 튀어나온 지지아암의 착탈고정부가 헬멧셀의 후방 고정점에서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래치 파스너와, 래치 파스너에서 떨어져 헬멧셀의 내부에 있는 추가 고정점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서스펜션이나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이 헬멧셀에 대한 스냅연결이 풀리지 않거나 필요한 것보다 크게 헬멧셀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옆에서 힘이 작용할 때 헬멧셀이 제어되는 정도로 움직이거나 피봇하여, 충격에너지가 분산된다. 충격흡수기능은 지지케이지와 이곳에 연결된 지지아암들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위치이동이나 피봇 운동이 일어나서 탄성변형이 일어난다. 추가 고정점은 래치파스너의 위나 아래에 위치한다.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과 헬멧셀의 고정점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여기서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헬멧셀은 단면이 타원형이다. 타원의 종축선은 앞에서 뒷쪽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뻗는다. 타원의 작은 곡률반경은 따라서 헬멧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한다. 헬멧셀이 외력에 의해서나 비틀어지는 인테리어 피팅에 의해 내부로부터 변형되면,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인 앞뒤 부분에서는 헬멧셀의 곡률반경이 큰 부분인 양측면보다 변형에 더 큰 힘이 필요하다. 타원의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 예컨대 뒷쪽에서는, 헬멧셀이 더 큰 인장력에 견딜 수 있다. 경험상 동일한 인장력이 헬멧셀의 전지역, 즉 양측면과 앞뒤 부분에 작용한다면, 작은 인장력에도 측면부에서 안족을 향한 변형이 훨씬 더 커질 것이다.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은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들보다 헬멧셀에 대해 더 밋밋한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헬멧셀의 뒷부분에는 양측면보다 더 큰 변형력이 가해지는데, 뒷쪽에는 50% 정도 작용하고, 양측면에는 각각 25%씩 작용한다. 이 결과는 기존의 모든 헬멧과의 주요 차이점이다. 기존의 헬멧은 윗쪽에서의 충격의 영향으로 윗부분만 변형이 일어난다. 그러나, 동일한 충격력에도, 본 발명의 보호헬멧의 헬멧셀은 윗쪽은 물론 측면부에서도 변형이 일어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보호헬멧의 헬멧셀 전체에 변형에너지가 전달된다 해도, 후방 아랫쪽으로 돌출한 지지아암의 밋밋한 기울기와 헬멧셀의 후단부에서의 작은 반경 때문에,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의 자유단부가 헬멧셀에 고정된 후방 고정점에서는 헬멧셀의 양측면부보다 더 큰 힘전달이 일어나게 되어, 헬멧셀 전체에서 안정된 힘전달 효과가 이루어진다.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의 장착 서스펜션은 윗쪽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헬멧셀에 추가 지지부를 제공한다. 또, 이런 추가 장착 서스펜션은 변형률에 노출되었을 때 인테리어 피팅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턱끈으로 대응한다.
끝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의 3점 고정방식이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 사이에 필요한 자유도를 제공한다. 이들의 상호간의 움직임 때문에 측방 아랫쪽을 튀어나온 적어도 2개의 지지아암들의 왜곡이 가능하고, 그와 함께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의 변형에 의해 보호헬멧이 측방 충격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충격흡수 성능을 갖게된다.
헬멧셀 내부에서의 힘전달에 관한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의 고정점은 3개가 최적이라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인테리어 피팅에 대한 헬멧셀의 장착 서스펜션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4개 이상의 지점에서 이루어지면,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의 조합이 너무 안정화되어, 서로에 대해 거의 피봇하거나 움직일 수 없어서 충격흡수를 위한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못한다.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은 헬멧셀에 대한 스냅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필요한 것보다 크게 헬멧셀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는 헬멧셀에 작용하는 외력과 지지아암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에 대한 추가 장착 서스펜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방에서 힘이 작용할 때 헬멧셀이 제어된 방식으로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움직이거나 피봇하여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킨다.
헬멧셀에 대한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의 추가 장착 서스펜션은 보호헬멧을 판매하기 전에 거쳐야 하는 인증에 필요한 인장강도 시험에도 더 유리하다. 이런 인장강도 시험에서는 무엇보다도 예컨대 등반가나 트리클라이머용의 일부 헬멧에 필수적인 턱끈이 소정의 인장하중에서 착용자의 머리에서 헬멧을 벗길 수 있는가를 검사한다. 장착 서스펜션은 헬멧셀에 대한 지지아암의 안정성을 보강함은 물론 박피테스트 동안 힘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지지아암이 스냅결합이 풀릴 정도로 인장하중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 지지아암과 헬멧셀의 종축선이 이루는 각도는 윗족에서 헬멧에 힘이 작용할 때 지지아암에 더 높은 인장력이 걸리도록 아주 밋밋하여, 윗쪽의 변형률에 대한 충격흡수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장착 서스펜션에 의한 안정성 때문에, 지지아암의 인장력 흡수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DE1797962U1에 소개된 종래의 헬멧에서는, 지지케이지의 지지끈과 헬멧 안족면이 이루는 각도가 너무 예각이어서, 윗쪽에서 작용하는 힘이 지지끈을 통해 헬멧셀에 상당부분 전달된다. 이렇게 헬멧셀로 전달된 힘은 측면부에서 내부를 향한 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못하므로 충격흡수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 종래에는 헬멧셀의 안쪽을 향한 변형이 본 발명의 보호헬멧에 비해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키는데, 이는 본 발명의 경우 인테리어 피팅과 헬멧셀 사이의 틈새의 폭이 적어도 4cm에 이르지만 종래의 헬멧은 헬멧셀이 처음부터 착용자의 머리에 아주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틈새가 있으면 헬멧셀이 머리에 닿지 않고도 안쪽으로 상당히 변형되어, 충격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인테리어 피팅에 대한 헬멧셀의 3점 체결과 넓은 틈새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헬멧은 이런 효과를 낼 수 있다.
헬멧에 옆에서 힘이 작용할 경우, 충격흡수 관점에서 기존의 보호홀멧에 윗쪽에서 작용하는 변형률보다 더 안좋은 상태이다. 기존의 헬멧에서는, 보통 인테리어 피팅을 헬멧의 하연부에 직접 설치한다. 헬멧셀에 옆쪽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 충격이 바로 머리에 전달된다.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 사이로 헬멧셀의 하연부에 패드를 대도 종래의 헬멧에서는 이런 패드가 얇아 압축이 되어도 헬멧셀이 안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헬멧의 장점들은 종속항들의 기재에 의해 분명해진다.
틈새에 있는 후방 하향 돌출하는 지지아암의 중간부가 그 위나 아래에 떨어져 있는 헬멧셀의 구속부에 고정되어, 지지아암을 추가 고정점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런 지지아암은 헬멧셀에 최악의 힘이 작용할 때에도 헬멧셀에 대한 스냅연결이 풀리 않거나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필요한 것보다 크게 헬멧셀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런 지지아암의 중간부의 추가 고정은 예컨대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부와 구속부 사이에 단단한 연결을 이루는 아암 익스텐션이나 브리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지케이지를 강인하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형성한다. 지지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지지케이지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아암과 지지케이지에서 합쳐진다. 충격흡수기능을 발휘할 때, 아래나 뒤로 튀어나온 지지아암들의 자유단부들이 지지케이지를 지지하여, 윗쪽에서 헬멧셀이 외부압력이 작용할 때 옆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들이 인장하중에 노출되어 헬멧셀을 측면부에서 안쪽으로 변형시킨다.
또, 턱끈의 장착기가 헬멧셀 내부의 2개 턱끈 체결점을 갖는데, 턱끈의 서스펜션 링크들이 이 체결점들과 인테리어 피팅의 후방 턱끈 체결점에 연결된다. 턱끈을 3점에서 고정하기 때문에, 턱끈이 더 안정된다.
또, 후방 턱끈 고정점에서 후방 하향 돌출하는 지지아암에 구멍이 있고, 턱끈의 서스펜션 링크가 이 구멍에 결합한다. 따라서, 인테리어 피팅을 헬멧셀에 조립한 뒤 턱끈을 인테리어 피팅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턱끈의 3개 고정점에 서스펜션 링크를 사용해 예컨대 세척을 할 때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또, 지지케이지의 하연부에 원주형 지지스트립이 달리고, 지지아암들이 이곳에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아암들과 지지스트림이 필요한 강성을 갖는 일체형 요소를 이루면서도 지지케이지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충분한 충격흡수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지지스트립과 헬멧셀 사이에서 헬멧셀이 전부분에 걸쳐 적어도 4cm 정도 지지케이지에서 떨어져 있다.
또, 목끈을 지지케이지에 달고 목끈의 양단부를 다른 헬멧 액세서리처럼 틈새 안에 있는 체결부로 목 부분에서 착탈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목끈이 외부의 장애물로부터 보호되고, 착용자가 작업을 위해 쉽게 목끈에 접근할 수 있다.
또, 체결부에 있는 지지셀을 래치플랩으로 목끈을 조일 때 헬멧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서 조일 수 있다. 이때문에, 한손으로도 인테리어 피팅을 간단하게 머리에 고정할 수 있다. 턱끈을 사용하면 더 안전해진다.
턱끈은 2개의 전방 턱끈 고정점에서부터 체결부까지 뒷쪽으로 안내되면서 지지셀을 통과하고 후방 턱끈 고정점에 결합될 수 있다. 턱끈에 인장하중이 작용하면, 후방 하향 돌출한 지지아암에 결합된 턱끈의 단부가 지지케이지에서 아래로 당겨진다. 바로 위나 밑에 있는 추가 고정점에서 후방하향 돌출한 지지아암이 헬멧셀 내부에서 지지된다. 턱끈을 아래로 작용하는 인장력은 이렇게 하여 헬멧셀에 흡수된다. 턱끈은 후방 고정점 전방의 부분에서 체결부를 통과함으로써 하향 인장력을 받는다.
또, 양쪽 관자놀이 부분에서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이 헬멧셀의 내부에 대한 착탈 고정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인테리어 피팅을 헬멧셀에 쉽게 착탈할 수 있다.
또, 측방하향 돌출한 지지아암들 각각의 고정수단이 헬멧셀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헬멧셀 내부의 인테리어 피팅의 장착위치를 통해 힘을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후방하향 돌출한 지지아암의 자유단부가 지지아암을 헬멧셀에 고정하기 위한 래치락용 잠금기구를 갖는다. 이 경우, 이 지지아암을 끼워 헬멧셀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헬멧셀에 있어, 장착위치를 통해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 측방하향 돌출한 지지아암들 각각의 고정수단이 헬멧셀에 있는 봉형 돌출부들에 끼워지는 관통공들을 갖고, 헬멧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위에서부터 이들 지지아암에 작용하는 힘 때문에 헬멧셀의 하연부에서 멀리 안쪽으로 헬멧셀을 변형시키도록 하는 모멘텀이 지지아암들에 발생하도록 적어도 관통공의 내경에 일치하는 길이로 관통공 각각이 돌출부를 둘러싼다. 따라서, 인테리어 피팅의 충격합수 기능이 헬멧셀의 탄성변형에 의하 간단하게 지원받는다. 지지아암의 자유단부의 관통공들 크기를 봉형 돌출부에 맞게 조절하여, 헬멧셀에 힘이 가해질 때 봉형 돌출부에 지렛대 효과를 볼 수 있다. 충격흡수기능의 지원은 위에서부터는 물론 측면에서 헬멧에 힘이 가해질 때에도 기대할 수 있다. 측면에서 힘이 가해질 때, 헬멧셀을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원하는대로 움직이거나 피봇하면, 지지아암들이 변형되어 지지케이지가 변형되고, 결국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도움이 되는 것은, 지지아암들을 아주 넓게 하여 지지아암들이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움직이거나 피봇할 때 헬멧셀에 의한 지지아암의 변형을 촉진하는데 있다.
또, 지지케이지가 뒷쪽으로 튀어나온 2개의 지지아암들을 갖고, 목끈이 이들 지지아암에 선택적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헬멧을 간단하게 맞출 수 있다.
또, 지지아암들에 리브를 일체로 형성해 더 보강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위치를 통한 힘의 전달을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틈새 안에 있는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의 중간부에 헬멧셀의 추가 고정점에 대한 추가 장착 서스펜션이나 지지를 위해 윗쪽이나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를 제공한다. 이런 브리지 때문에, 위에서부터 헬멧셀을 통해 지지아암에 작용하는 힘이 헬멧셀에 고정된 지지아암의 자유단부는 물론 틈새 내부의 지지아암의 중간부에도 작용한다. 옆에서 헬멧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 브리지가 안정기 역할을 하는데, 이는 헬멧셀이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움직이거나 피봇하기 때문이고 후방돌출 지지아암과 헬멧셀 사이의 스냅결합이 풀리거나 부적절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 브리지가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에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케이지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후방돌출 지지아암이 지지케이지와 일체이기 때문에, 브리지도 간단하게 지지케이지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 브리지의 자유단부가 헬멧셀의 구속부에 맞물릴 수 있다. 이 구조는 헬멧셀의 내부에 부착된 브리지가 헬멧셀처럼 거동하고 상호 연결부가 헬멧셀로부터 인테리어 피팅이 분리될 때 연결이 쉽게 풀리도록 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또,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의 자유단부가 2개로 갈라진 2개의 2갈래 단부이고, 이런 2갈래 단부들이 헬멧셀에 결합되며, 지지아암의 중간부에 지지아암의 폭만큼 떨어져 나란히 정렬된 한쌍의 브리지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헬멧셀의 구멍에 포크형 자유단부를 간단하게 결합하면서도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의 전체 폭을 헬멧셀 내부에서 한쌍의 브리지에 신속히 고정할 수 있다.
또, 측방하향돌출 지지아암들이 지지케이지의 종축선에 횡방향으로 이들 지지아암의 자유단부를 통과하는 직선과 30°~5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충격흡수기능의 관점에서 최적의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각도는 45°정도이다.
또,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이 지지케이지의 종축선과 15°~2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값은 20°정도이다.
또, 측방하향돌출 지지아암들이 전방을 향해 아치형이고 지지케이지의 중심 횡축선 전방에서 지지케이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측방하향돌출 지지아암들이 옆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비스듬하게 앞으로 튀어나온다. 이 경우, 헬멧셀로에서 피봇점으로부터 힘을 더 잘 분산시킬 수 있다. 헬멧셀에서 힘이 잘 분산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또, 헬멧셀에 환기구와 안내슬롯이 있고, 후방돌출 지지아암의 스냅 연결점을 지난 앞쪽 부분에서 환기게이트의 구속요소들에 안내슬롯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환기구 때문에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 사이의 틈새의 환기가 잘 이루어진다. 안내슬롯 때문에 환기게이트가 바닥부의 구속요소들에 의해 헬멧셀이 착탈 장착되고 움직일 수 있다.
또, 구속요소들이 전방 구간의 한쌍의 앵글요소와, 후방 구간의 한쌍의 탄성변형 구속아암들을 포함하고, 이들 구속아암은 관련 안내슬롯들에 착탈 가능하게 구속되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헬멧셀에 환기게이트를 간단하게 착탈 설치할 수 있다.
또, 외부에서의 충격에 대비해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이 고정되는 헬멧셀 부분을 환기게이트가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보호헬멧을 밑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테리어 피팅을 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인테리어 피팅을 보호헬멧의 헬멧셀에 정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인테리어 피팅을 생략한 도 3의 헬멧셀의 저면도;
도 5는 도 4의 헬멧셀을 밑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안면과 귀 보호구가 달린 보호헬멧의 전개도;
도 7은 안면보호대, 체결부 및 귀마개가 헬멧에서 떨어져 있는 도 6의 헬멧의 저면도;
도 8은 귀마개가 귀에서 떨어져 있고 헬멧셀은 단면으로 표시한 보호헬멧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귀마개가 귀를 가린 상태의 보호헬멧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보호헬멧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보호헬멧에서, 귀마개가 주차위치로 피봇되어 헬멧셀 밑으로 들어간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목끈의 양단부가 체결부에 의해 목 부분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보호헬멧의 인테리어 피팅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인테리어 피팅을 헬멧셀에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보호헬멧의 저면도;
도 15는 도 13의 보호헬멧을 뒷쪽에서 본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보호헬멧을 앞쪽에서 본 부분 파단 단면도;
도 17은 바이저가 열려있는 도 13의 헬멧의 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보호헬멧을 뒤에서 본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보호헬멧을 앞에서 본 파단단면도;
도 20은 안면보호대와 귀마개를 갖고, 체결부가 머리 뒷쪽 부분에서 목끈에 달려있는 보호헬멧의 측면도;
도 21은 헬멧셀에 지지케이지를 추가 고정하는 구속부가 달린 헬멧셀의 뒷부분의 확대도;
도 22는 지지케이지의 후방하향돌출 지지아암의 스냅결합과, 도 21의 구속부에 달린 지지아암에 일체로 형성된 브리지를 통해 헬멧셀에 결합된 지지케이지의 후방부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보호헬멧의 인테리어 피팅의 배면도;
도 24는 도 23의 인테리어 피팅의 측면도;
도 25는 도 23~24의 인테리어 피팅의 사시도;
도 26은 등반가나 트리클라이머용으로서 턱끈이 추가로 달려있는 보호헬멧의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보호헬멧을 밑에서 본 사시도;
도 28은 도 26의 보호헬멧의 배면도;
도 29는 도 26의 보호헬멧을 옆에서 본 사시도;
도 30은 도 21, 22의 헬멧셀의 환기게이트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1은 환기게이트를 포함한 보호헬멧 뒷부분의 저면도;
도 32는 도 30의 환기게이트의 확대저면도;
도 33은 도 23~25의 인테리어 피팅만 달려있는 보호헬멧의 헬멧셀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의 인테리어 피팅이 달려있는 헬멧셀의 저면도;
도 35는 도 30~31의 보호헬멧중에 환기게이트가 환기위치에 있을 때의 저면도.
도 20은 숲에서 사용하는 본 출원인의 종래의 보호헬멧(30)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전개도이다. 이 안전헬멧(30)은 안면보호대(32), 귀마개(34), 헬멧셀(36), 인테리어 피팅(40), 지지케이지(42), 헤드밴드(44) 및 목끈(46)을 를 포함한다. 목끈(46)에 조임부(48)가 달려있다. 헬멧셀(36)에 달려있는 환기 슬라이드(50)가 안쪽에 있는 헬멧셀의 환기구(52)를 개폐한다.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3개의 지지아암(54~56)-도 6에는 지지아암(55)이 보이지 않음-은 헬멧셀(36)에서 인테리어 피팅(40)의 3점 체결수단 역할도 한다. 헬멧셀(36)은 가능한한 내부 폭이 깊고 넓도록 되고, 귀마개(34)의 귀마개 캡슐(35a~b)과 다른 액세서리는 물론 안면보호대(32)와 귀마개(34)와 턱끈(300)의 설치기구들이 엔테리어 피팅(40)과 헬멧셀(36) 사이의 틈새(6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아암(54~56)이 배열된다(도 26~29 참조). 다른 헬멧 액세서리로는 목끈(46)의 체결부(48)가 포함된다.
헬멧셀(36) 다음에는, 인테리어 피팅(40)과 헬멧셀(36)에 대한 연결, 귀마개(46)와 안면보호대(32)를 포함한 헬멧 액세서리와 그 설치기구들 체결부(48)는 물론 턱끈(300)과 그 체결기구(380)에 대해 차례대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헬멧셀(36)에 대해 도 3~7 및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헬멧셀(36)은 플라스틱 몰딩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헬멧셀(36)에 적당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ABS가 있다. 도 3은 인테리어 피팅(40)이 달린 헬멧셀(36)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밑에서 보아 인테리어 피팅(40)이 없는 도 3의 헬멧셀(36)을 보여준다. 도 5는 밑에서 본 도 4의 헬멧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보호헬멧(30), 헬멧셀(36) 및 환기 슬라이드(50)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7은 조립된 상태의 도 6의 보호헬멧의 저면도로서, 안면보호대(32), 체결부(48) 및 귀마개(34)는 헬멧에서 떨어져 있다. 헬멧셀(36)을 눈 위로 모자챙의 기능을 실행할 정도로 앞으로 당긴다. 이런 식으로, 헬멧셀(36)의 전방구간 바깥면이 윗쪽으로 일정하게 상승하다가 뒷쪽으로 급하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나뭇가지와 같은 장애물에 전혀 걸리지 않게된다. 헬멧셀(36)의 안쪽면에 가로방향으로 뻗는 보강 리브(62)는 헬멧의 전방구간과 중앙구간에 일체로 형성된다. 보강 리브(62)에 횡방향으로, 즉 보호헬멧(3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보강 리브(64)가 뻗어있다. 이런 보강리브(62,64)는 도 3~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보강리브들(62,64)이 연결된 중앙부에서 안쪽을 향해 약간 깊어지는 부분에 6쌍의 환기구(52)가 형성된다. 깊은 부위에서, 아래를 향해 안쪽으로 리테이닝 캠(68)이 돌출해있는 2개의 전방 안내슬롯(66)과 2개의 리테이닝 캠(70)이 달려있는 2개의 후방 안내슬롯(72)에 맞물린 환기 슬라이드(50)가 헬멧셀(36)의 바깥면을 따라 움직인다. 환기 슬라이드(50)는 환기위치에서 환기구(52) 위에 위치하는 동일 형태의 환기구(53)를 갖는데, 폐쇄위치에서는 환기 슬라이드가 환기구(62)를 가린다. 헬멧(30)의 하연부는 관자놀이 부분과 머리 뒷쪽에서 아랫쪽으로 돌출한다(도 5, 11 참조). 이렇게 되면, 이 부분에서는 인테리어 피팅(40)과 헬멧셀(36) 사이의 틈새(60)가 아랫쪽으로 가면서 확대된다. 또, 헬멧셀(36) 내부에 설치기구들을 설치하는 것과 틈새(60)에 귀마개 캡슐(35a~b)을 배치하는 것이 이루어지는데(도 11 참조),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지지아암(54,55)을 포함한 인테리어 피팅(40)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3개의 봉형 돌출부(74a~b)가 관자놀이 부분에서 헬멧셀(36)의 양쪽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봉형 돌출부(74a~b)는 도 5의 측면도와 도 4의 평면도(우측)와 도 15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데, 단면은 속이 빈 정사각형이고, 바닥부는 헬멧셀(36)의 내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바닥부 반대쪽 부분에서는 돌출부(74a~b)가 헬멧셀(36)의 안쪽면의 앞에 자유롭게 직립하도록 배열된다. 헬멧셀(36)의 내부에 대한 봉형 돌출부(74)의 연결부는 돌출부(74a~b)와 헬멧셀(36) 사이에 추가로 일체로 형성된 리브들로 보강되어, 봉형 돌출부들이 헬멧셀(36)에 아주 단단히 연결된다. 봉형 돌출부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돌출부를 휘려는 힘이 가해지면, 결국 이들 돌출부에 의해 헬멧셀(36)도 변형되게 된다. 이런 디자인의 목적에 대해서는 헬멧셀(36)에 대한 인테리어 피팅(40)의 부착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헬멧셀(36)의 뒷쪽 중앙의 하연부에 요홈부(76)가 형성되고, 그 뒤에 목끈(46)의 체결부(48)가 위치하여, 헬멧(30)을 완전히 조립했을 때 손으로 목끈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지지아암(56)을 헬멧셀(36)에 잠그기 위해 머리 뒷쪽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78)이 배치되고, (도 2의) 지지아암(56)의 자유단부가 이 슬롯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린다(도 7, 15 참조). 지지아암(56)이 맞물리면, 지지아암(56)에 형성된 돌기(56a~b)가 헬멧셀(36)의 바깥에 위치하면서 헬멧셀의 바깥면에 맞닿아, 헬멧셀(36)에 위에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지지아암(56)에 인장하중이 걸린다.
귀마개(34) 장착기(80)는 헬멧셀(36) 내부의 2개의 귀마개 지지점(80a~b)을 포함하고, 이런 귀마개 지지점(80a~b)은 헬멧셀(36)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피봇 베어링으로서, 추가 부분으로서 뗄 수 없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귀마개 지지점(80a~b)에, 귀마개 캡슐(35a~b)을 포함한 지지브래킷(37a~b)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안면보호대(32)의 장착기(84)에는 헬멧셀(36) 안쪽으로 2개의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가 제공되는데, 이런 지지점들에 바이저(132)의 2개 아암(132a~b)에 각각 피봇 지지된다.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은 헬멧셀(36)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봉형 돌출부(74a~b)에 끼워지는 커넥터(136a~b)에 각각 끼울 수 있도록 되어있어, 봉홍 돌출부에 지지아암(54,55)의 자유단부들을 동시에 끼울 수 있다. 커넥터(36a~b)를 포함한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은 장착 상태에서 틈새 안에, 즉 전술한대로 헬멧셀(36)의 하연부가 아래로 내려간 부분에 위치한다.
보호헬멧(30)의 인테리어 피팅에 대해 도 1~3, 6,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테리어 피팅(40)은 보호헬멧중에서 머리에 닿는 부분으로서, 지지케이지(42), 헤드밴드(44), 조임부(48)가 달린 목끈(46)을 포함한다. 인테리어 피팅(40)은 도 3, 6과 같이 헬멧셀(36)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대해 헬멧(30)을 지지하고 고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호헬멧(30)의 인테리어 피팅(40)을 보여주는 아랫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윗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분해전개도이며, 도 12는 목끈(46)의 2 단부들이 목 부분에서 조임부(48)에 의해 연결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지지케이지(42)는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재료, 특히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양쪽 관자놀이 부분과 머리 뒷부분에서 비스듬하게 아래쪽이나 뒷쪽으로 돌출한 단단한 지지아암(54~56)을 가져 헬멧셀(36)에 대한 인테리어 피팅의 3점 장착부를 형성하고, 헬멧셀(36)에서 인테리어 피팅 둘레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틈새(60)에 귀마개 캡슐(35a~b)과 다른 헬멧 액세서리들은 물론 안면보호대(32)와 귀마개(34)의 장착기(80,8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케이지(42)는 플라스틱 몰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떨어진 2쌍의 지지스트립(142,144)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2에 의하면 이런 지지스트립들은 중앙에서 교차하고 하단부들이 4개 연결점(146a~d)에서 원주형의 하나의 지지스트립(148)과 합쳐진다.
지지아암들(54~56)은 연결점(146a~c)에서 지지케이지(42) 아래로 돌출한다. 지지스트립들(142,144)이 연결점들(146a~c) 사이에서 곡선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뻗는다면, 지지아암들(54~56)은 지지케이지(142)에서 아래나 뒷쪽으로 뻗어 관련 곡선에 거의 접선방향으로 뻗을 것이다(도 15, 2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아암들(54~56)이 원주형 지지스트립(148)에 일체로 형성된다. 헤드밴드(44)도 지지케이지(42)에 일체로 형성된다(도 2 참조). 목끈(46)의 2개 전단부들은 헤드밴드(44)의 뒷쪽 자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냅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에 의하면, 목끈(46)의 2개 자유단부들이 도 12에 보이는 체결부(48)에 의해 목 부분에서 서로 착탈결합한다. 목끈(46)은 지지케이지(42)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목끈(46)은 헤드밴드(44)의 연결부와 자유단부들 사이에서 지지케이지(42)에 각각 연결되므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케이지(42)에는 2개의 지지아암(47a~b)이 아랫쪽으로 돌출하고, 목끈(46)을 이런 지지아암들에 원하는 높이로 고정할 수 있다. 목끈(46)에는 3개의 구멍(51)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도 6의 지지아암(47a~b) 각각에서 돌출한 탄성볼트(49)를 이 구멍에 끼울 수 있다(도 1~2 참조).
지지아암들(54,55)이 실제로는 지지아암(56)과 다른 방식으로 헬멧셀(36)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같은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지아암들(54,55)이 헬멧셀에 확실히 결합되어 있도록 지지아암(56)과 동일한 고정수단을 갖기만 하면 된다. 이때 지지아암들(54,55)의 고정수단은 예컨대 헬멧셀(36)의 슬롯에 끼워져 지지아암들(54,55)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수단일 수 있고, 이때 이런 잠금연결로 지지아암(56)도 헬멧셀에 고정할 수 있다.
헤드밴드(44)는 연결스트립(150)을 통해 원주형 지지스트립(148)에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아암(54~56)과 지지아암(47a~b)은 일체로 형성된 리브(152,154)에 의해 더 보강된다.
양쪽 관자놀이 부분에서 측면 아랫쪽으로 돌출한 지지아암들(54,55)은 헬멧셀(36)에 고정할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고정수단은 지지아암(54,55) 각각에 형성된 3개씩의 관통공(156,158)을 포함하며, 이런 구멍에 헬멧셀(36)의 봉형 돌출부(74a~b)가 맞물리게 된다. 머리 뒷쪽 부분에서 뒷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케이지(42)의 지지아암(56)에 달린 돌기(56a~b)는 인테리어 피팅(40)을 헬멧셀(36)에 착탈 결합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형성한다.
산업현장과 숲에서, 작업자 헬멧의 턱끈을 헬멧셀이나 지지케이지에 조이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보호헬멧(30')을 특히 등반가나 트리클라이머의 헬멧으로 사용할 때 턱끈(300)을 헬멧셀(32)과 지지케이지(42)에 고정하는데, 이런 고정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헬멧셀(36)과 인테리어 피팅(40)의 연결에 대해서는 앞에서 간단히 설명한바 있지만, 도 2, 3 및 15를 참조하여 보충 설명한다.
도 15는 도 3의 보호헬멧(30)의 XV-XV선 단면도로서, 체결부(48)를 볼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페이서로 형성된 지지아암들(55,56)을 볼 수 있다.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두번째 지지아암(55)을 도 2에서 볼 수 있고, 도 3에서는 그 내부를 볼 수 있다. 도 15에는 지지아암들(54,55)의 단면이 보인다. 헬멧셀(36)에 대한 인테리어 피팅(40)의 3점 부착을 위해, 뒷쪽과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56)을 헬멧셀의 슬롯(78)에 끼우고 돌기(56a~b)를 헬멧셀의 바깥면에 결합한다. 이어서, 인테리어 피팅(40)이 헬멧셀(36)의 안쪽면 방향으로 안으로 더 움직이고, 지지아암들(54,55)이 봉형 돌출부(74a~b)를 타고 미끄러진다. 그와 동시에, 지지아암들(54,55)의 관통공(156,158)에 도 15와 같이 돌출부(74a~b)가 끼워진다. 지지아암들(54,55)이 헬멧셀(36)과 돌출부(74a~b) 사이로 헬멧셀 안쪽면에 맞닿으면, 커넥터(136a~b)가 돌출부(74a~b)에 끼워져 지지아암들(54,55)이 제자리에 고정된다(도 4~5 참조). 인테리어 피팅(40)과 헬멧셀(36)은 이제 3 지점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연결된다. 보호헬멧(30)을 머리에 쓰고 조임부(48)로 고정하고나서, 필요하면 턱끈을 턱에 조일 수 있다. 지지아암들(54,55)의 관통공들(156,158)은 적어도 관통공의 내경과 같은 길이로 봉형 돌출부(74a~b)를 둘러싼다. 헬멧(30)에 작용하는 하중 때문에, 윗쪽에서 지지아암(54,55)에 힘이 가해지면, 지지아암들에 지지된 헬멧셀에 의해 지지아암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지지아암들(54~56)에 작용하는 이런 힘 때문에 헬멧셀(36)을 하연부에서 멀리 안쪽으로 변형시키는 모멘텀이 3 지점 각각에 생긴다. 따라서, 헬멧셀(36)은 헬멧셀에 작용하는 힘의 일부분을 변형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때문에 헬멧을 쓴 사람에게 가해지는 힘이 줄어든다. 지지아암들(54~56)에서 헬멧셀(36)로의 모멘텀의 전달은 일체형 리브(152)에 의해 더 보강된 지지아암들에 의해 더 증가된다.
다음 장착기(80)를 포함한 귀마개(34)에 대해 도 4~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귀마개(34)에 달린 2개의 귀마개 캡슐(35a~b)은 포크형 지지브라켓(37a~b)에 각각 피봇 지지된다. 도 4에는 헬멧셀(36) 안쪽면에 고정된 귀마개 지지점(80a~b)이보인다. 도 6에서는 실제로는 귀마개 지지점(80b)이 지지케이지(42)와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지지점은 지지케이지가 아닌 헬멧셀(36)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인테리어 피팅(40)의 지지케이지(42)에 대해 귀마개 지지점(80b)의 위치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귀마개 캡슐(35a~b)이 달린 지지브라켓(37a~b)이 지지점(80a~b)에 피봇 지지된다(도 10~11 참조). 귀마개 지지점(80a~b)과 지지브라켓(37a~b)은 지지브라켓들이 틈새(60) 내부에서 2 위치 사이를 피봇하도록 배열되는데, 도 9~10의 작동위치에서는 귀마개 캡슐(35a~b)이 귀를 가리고, 도 11의 주차위치에서는 귀마개 캡슐(35a~b)이 헬멧셀(36)의 틈새(60) 안으로 들어간다.
지지브라켓(37a~b)은 스프링의 힘을 받아 틈새(60) 안에서 양단부 사이로 휘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귀마개 캡슐(36a~b)이 지지브라켓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귀에서 먼쪽으로 피봇하고(도 8 참조) 지지브라켓이 휜 상태에서는 rnlWHr으로 피봇하도록 형성된다. 보호헬멧(30)을 머리에 쓰지 않았을 경우, 2개의 귀마개 캡슐(35a~b)은 후자의 위치인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귀마개 캡슐들 간격이 양쪽 귀의 간격보다 상당히 좁아진다. 이렇게 되면, 헬멧(30)을 쓸 때 귀마개 캡슐(35a~b)이 스프링력에 의해 귀를 누르게 된다. 각각의 지지브라켓(37a~b)을 2 위치 사이에서 휘게 하는 스프링력은 원형으로 휘어진 요크스프링(92a~b)에 의해 생기는데, 도 6에는 92b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에서 요크스프링(92a~b)에 의해 단부위치 잠금이 이루어진다. 지지브라켓(37a~b)의 단부위치 잠금은 헬멧을 쓰고있을 때는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는 전술한 것처럼 각각의 귀마개캡슐(35a~b)이 탄력에 의해 귀를 누르고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또, 지지브라켓(37a~b)은 도 8의 위치에서 뒷쪽으로만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귀마개 캡슐(35a~b)이 귀와 헬멧셀(36)의 하연부에 닿지 않고 귀 뒷쪽의 틈새에 들어갈 수 있다.
다음, 도 6, 7, 17~20을 참조하여 안면보호대(32)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안면보호대(32)는 2개의 아암(32a~b)이 달린 바이저(132)와 2개의 커넥터(136a~b)를 갖는데, 커넥터에 있는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이 안면보호대(32)의 장착기(84)를 형성한다. 커넥터(132a~b)를 봉형 돌출부(74a~b)에 끼우면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이 헬멧셀(36) 내부의 관자놀이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안면보호대 지지점(84b)을 갖춘 커넥터(136b)만 도 4에서 볼 수 있다. 반대쪽에 위치하고 안면보호대 지지점(84a)을 갖춘 커넥터(136a)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았다.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에 축방향으로 튀어나오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캠(85a~b)이 각각 달려있는데, 링베어링 부싱(134a~b)을 갖춘 아암(132a~b)이 캠에서 움직이면서 안면보호대 지지점(84a~b)에 착탈 가능하고 피봇되게 고정된다. 아암(132a~b)은 틈새(60) 내에서 2 위치 사이, 즉 바이저(132)를 닫아 안면을 보호하는 작동위치(도 20)와, 바이저(132)를 헬멧셀(36) 표면쪽으로 제껴둔 주차위치(도 17, 19) 사이를 피봇하도록 배치된다. 안면보호대의 장착기(84)는 각각의 아암(132a~b)의 위치구속 마운트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136a~b) 각각이 작동위치나 주차위치에서 아암(132a~b)에 부착된 링베어링 부싱(134a~b)을 탄력을 받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형 볼트를 포함한다.
바이저(132)를 열면(도 17 참조) 바이저와 아암(132a~b)이 같이 헬멧셀(36)의 벽에 착 달라붙는다(도 6 참조). 바이저(132)를 닫으면 바이저의 상연부가 헬멧셀(36)의 전연부에 맞닿고 바이저의 측연부들은 헬멧셀의 표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예컨대 벌목작업에서 바이저를 닫았을 때나 열었을 때 나뭇가지가 아암(132a~b)이나 바이저(132) 자체에 걸려 헬멧 착용자를 해칭 가능성이 없어진다.
다음, 체결부(48)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귀마개(34)와 마찬가지로 체결부(48) 역시 헬멧 액세서리로서, 항상 헬멧셀(36) 주변에 위치하므로, 체결부(48) 부근에는 장애물에 걸릴 돌출부가 전혀 없다. 도 12~16을 참조하여 체결부에 대해 설명한다.
체결부(48)는 목끈(46)의 자유단부들이 양쪽에서 끼워지는 마운트(168)를 갖는다. 마운트(168)에 달린 앵귤러캠은 목끈(46)의 구멍들(176)에 맞물린다. 이런 식으로 목끈(46)의 길이를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조절은 체결부를 작동하지 않고 보호헬멧(30)을 편안하게 쓰도록 적절히 이루어진다. 이어서, 헬멧(30)을 아래 설명하는 것처럼 착용한 뒤에 체결부(48)를 이용해 목끈(46)을 조인다.
도 14에 의하면, 지지셀(172)과 마운트(168)이 트랜스퍼 레버(16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트랜스퍼 레버(169)의 일단부는 조인트(170)에 의해 지지셀(17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도 12 참조). 도 16에 의하면, 트랜스퍼 레버(169)의 타단부는 조인트(171)에 의해 마운트(168)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체결부(48)는 조인트(173)를 통해 마운트(168)에 연결된 래치플랩(174)에 의해 동작한다(도 12 참조). 래치플랩(174)에 달린 캠(도시 안됨)은 트랜스퍼 레버(169)에 인접한 쪽에서 조인트(173) 밑에 위치한다. 도 12와 같이 래치플랩(174)이 닫히면, 마운트(168)의 하단부가 트랜스퍼 레버(169)에 대한 캠의 작용에 의해 조인트(170) 반대쪽인 뒷쪽으로 피봇한다. 그동안 머리 뒷쪽의 목 부분에서 조임부(48)는 지지셀(172)의 지지를 받는다.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이 조인트(171)에 배치되는데, 이 스프링은 마운트(168)와 트랜스퍼 레버(169) 사이에 위치하면서, 래치플랩(174)이 열렸을 때 트랜스퍼 레버(169)의 조인트(170)를 마운트(168)의 하단부 방향으로 밀어준다. 조인트(170) 부분에서, 다른 스프링(도시 안됨)이 지지셀(172)과 트랜스퍼 레버(169) 사이에서 작용하여 지지셀(172)을 스토퍼 위치로 밀어주고, 스토퍼의 상단부는 마운트(168)의 상단부 반대쪽으로 피봇된다.
체결부(48)는 래치플랩(174)에 의해 작동한다. 래치플랩(174)이 시계방향으로 피봇해 도 12와 같이 닫히면, 마운트(168)가 조인트(171)를 중심으로 피봇하여, 도 12와 같이 지지셀(172)의 하연부가 마운트(168)의 하연부에서 떨어진다. 이때가 도 12~14와 같은 체결부의 체결된 위치이다. 래치플랩(174)가 반시계방향으로 피봇하여 열리면, 체결부(48)가 열린다. 그 결과, 마운트(168)의 하연부가 지지셀(172)에서 조인트(170)를 향한 방향으로 움직여 목끈(46)이 풀리고 보호헬멧(30을 쓰고벗을 수 있다. 보호헬멧(30)을 쓴 상태라면 래치플랩(174)만 아랫쪽으로 피봇하여 머리에 헬멧(30)을 고정한다. 이 동작을 한손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심지어는 장갑을 낀채로도 할 수 있다. 정면쪽에서는 지지셀(172)이 패딩재료(180)로 가려진다.
이제 다른 보호헬멧(30')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 헬멧은 전술한 헬멧(30)에 비해 인테리어 피팅(40)의 뒷쪽과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55)의 고정점이 더 안정화된 점이 다른데, 이에 대해 도 21~25 및 33, 34를 참조해 설명한다.
다른 차이점은 턱끈(300)과 이런 턱끈을 헬멧셀(36)과 인테리어 피팅(40)에 고정하는 방식에 있다(도 26~29 참조).
또다른 차이점은 헬멧셀(36)에 대한 지지아암(56)의 고정에 맞춘 환기게이트(50')의 고정방식에 있다(도 30~32, 35 참조).
전술한 보호헬멧(30)은 이상 설명한 차이점에 맞는 헬멧셀과 인테리어 피팅을 갖추고 있으며, 지금 설명하는 보호헬멧(30')이 안면보호대, 귀마개 및/또는 헤드밴드용 체결부를 갖는 점에서 동일하다. 헬멧 액세서리의 연결 방식은 보호헬멧(30)과 다르지 않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보호헬멧(30')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헬멧(30)과 보호헬멧(30')은 전술한 차이점만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도 21은 보호헬멧(30')의 헬멧셀(236)에 지지케이지(42)를 추가로 고정하기 위한 구속부(210)를 자세히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구속부(210)는 돌출 캠처럼 생겼고, 헬멧셀(36)의 안쪽면에 일체로 형성된 벽(220)에 형성된다(도 31 참조). 구속부(210)를 마주보는 구속부(211)가 달린 두번째 벽(222)이 헬멧셀(36)의 반대쪽, 즉 헬멧셀의 중앙 종축선을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형성된다(도 31 참조). 2개의 벽(220,222) 사이에 헬멧셀(36)의 중심선에 횡방향으로 2개의 슬롯(178,179)이 위치하는데 이 슬롯은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56)의 2개의 갈라딘 단부들(157a~b)을 슬롯에 끼울 수 있다(도 23 참조). 이런 지지아암(56)의 착탈 고정은 헬멧셀의 후방 고정점에서 길이방향으로 래치락 효과로 이루어지고, 캠처럼 형성된 중심선 양쪽의 2개의 마주보는 보유부(210,212)에 의해 헬멧셀(36) 내부에서 래치락 작용이 이루어진다. 후방 아랫쪽으로 돌출한 지지아암(56)을 추가 고정점에 연결하기 위해, 틈새(60)에 배치된 지지아암(56)의 중간부(200)를 헬멧셀의 보유부(210,212)에 고정한다.
인테리어 피팅940)을 설치한 헬멧셀(36)의 평면도와 저면도가 도 33, 34인데, 인테리어 피팅(40)에 포함되는 목끈(46)은 편의상 도 22~25, 33, 34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헬멧셀(36)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아암(56)은 자유단부의 슬롯(178,179)과 2갈래 단부(157a~b)로 이루어진 걸쇠기구를 갖는다. 2갈래 단부(175a~b)는 돌기(56a~b) 부분에서 개구부(159a~b)로부터 자유단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인테리어 피팅(40)을 조립하는 동안, 헬멧셀(36)은 개구부(159a~b) 안에 단단히 삽입된다. 인테리어 피팅(40)을 헬멧셀에 설치하자마자 지지아암(56)의 중간부는 헬멧셀(36)과 지지케이지(42) 사이의 틈새(60)에 위치한다.
틈새(60)에 있는 지지아암(56)의 중간부(200)에는 헬멧셀(36)에 대한 추가 지지를 위해 위로 돌출한 2개의 브리지(212,214)가 있다(도 24~25 참조). 브리지(212,214)는 지지아암(56)에 일체로 형성된다. 브리지(212,214) 각각의 자유단부에 있는 구멍(228,230)에 헬멧셀(36)의 구속부(210,212)가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부(210,212)는 캠 모양이다.
지지아암(56)은 2갈래 단부(157a~b)가 헬멧셀(36)에서 슬롯(178,179)에 맞물린다. 브리지(212,214)는 지지아암(56)의 폭만큼 나란히 떨어져 있다. 지지아암(56)은 지지케이지(42)의 종축선(242)과 15°~25°의 각도(β)를 이룬다(도 24 참조).
헬멧셀(36)에 인테리어 피팅(40)을 장착하기 위해, 인테리어 피팅(40)을 헬멧셀(36)의 봉형 돌출부(74a~b)에 끼우는데, 이때 관통공(156,158)을 갖고 측방 하향 돌출한 지지아암(54,55) 각각에 대해 고정된다. 그 전에, 헬멧셀(36)이 슬롯(178,179)에 걸릴 때까지 지지아암(56)의 2갈래 단부(157a~b)를 슬롯(178,179)에 끼운다. 다음, 지지아암(54,55)이 봉형 돌출부(74a~b)의 바닥에 맞닿게 한다. 그 과정에서, 브리지(212,214)에 형성된 구멍(228,230)이 도 22의 구속부(210,212)에 걸릴 때까지 2개의 브리지(212,214)가 벽(220,222)에서 움직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54,55)과 지지아암(56)이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룬다. 따라서, 지지케이지(42)의 종축선(242)에 수직이면서 지지아암(54,55)의 자유단부를 통과하는 직선(244)과 지지아암(54,55)은 30°~50°의 각도(α)를 이룬다. 지지아암(56)과 지지케이지(42)의 종축선(242)은 15°~50°의 각도(β)를 이룬다. 이런 각도는 윗쪽에서나 옆에서 보호헬멧(30')에 하중이 작용할 때 헬멧셀(36)이 변형되어 최적의 완충효과를 내도록 헬멧셀에 힘을 전달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지지아암(54,55)이 지지케이지(42)의 종축선 앞에서 지지케이지를 따라 전진하면서, 힘 전달점들도 지지아암(54,55)이 지지케이지(42)에 일체로 형성된 지점에 대해 전방에서 앞으로 이동하므로, 헬멧셀(36)에 대한 힘전달이 증가하여 변형성이 개선된다. 보호헬멧(30)과 마찬가지로, 지지케이지(42)는 강인하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아암들(54~56)은 지지케이지와 일체로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케이지(42)의 하연부에 있는 원주형 지지스트립(148)에 지지아암들(54~56)이 일체로 형성된다. 목끈(46)도 마찬가지로 지지케이지(42)에 부착되고, 다른 헬멧 액세서리로서 목 부분에서 틈새(60) 안에 있는 체결부(48)에 의해 양단부가 착탈 연결된다(도 23~25 참조). 체결부(48)의 지지셀(172)는 목끈(46)을 조이고 나서 래치플랩(174)을 이용해 헬멧(30')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서 조일 수 있다.
턱끈(300)은 보호헬멧(30')의 다른 액세서리이다. 산악용이나 트리클라이머용 헬멧에는 턱끈(300)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관자놀이 앞으로 헬멧셀(36)의 내부에 턱끈(300)용의 2개 턱끈 고정점(310,311)을 마련한다(도 26 참조). 2개 턱끈 고정점(310,311)은 턱끈 장착기(380)의 일부이다. 턱끈(300)은 서스펜션 링크(314,316)에 의해 턱끈 고정점(310,311)에 설치된다. 턱끈 장착기(380)는 후방 턱끈 고정점(312)을 더 포함한다. 후방 턱끈 고정점(312)은 지지아암(56)의 구멍(340)을 포함하고, 이 구멍에 다른 턱끈 장착 링크(318)를 설치할 수 있다. 서스펜션 링크(314,316,318) 각각에 버섯 형태의 돌출핀이 달려있다. 각각 장착돌기가 달린 이들 구멍은 열쇠구멍 형태로서, 일단부로부터 원추형으로 테이퍼지면서 넓어져 원형 구멍을 형성한다. 버섯모양 핀이 열쇠구멍형 구멍의 원추형 테이퍼 측면 사이를 따라가 원형 구멍에 위치한다.
턱끈(300)은 2개 전방 턱끈 고정점(310,311)부터 양쪽에서 체결부(48)의 지지셀(172)을 통과해 체결부(48)까지 뒷쪽으로 움직여, 후방 턱끈 고정점(312)에 도달한다. 관자놀이 밑에서, 턱끈은 방향전환 돌기(320,330)에 걸린다. 예컨대, 턱끈이 돌기(320)를 통해 턱 밑을 지나 다른 돌기(330)까지 이어진다. 턱 밑 부분에서 턱끈(300)에 추가로 크기조절 돌기가 제공된다.
턱끈(300)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지지셀(174)을 통과한 지지아암(56)의 후단부에서 턱끈의 후단부를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당긴다. 브리지(212,214)를 통해 지지아암(56) 위에서 헬멧셀(36) 안쪽에 지지아암(56)을 더 고정한 결고, 턱끈(300)의 인장력이 후단부에서 최적으로 흡수된다. 이렇게 하여, 지지아암(56)이 자유단부에서 헬멧셀(36)에 대한 스냅결합이 풀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아암(56)과 헬멧셀(36) 사이에 스냅결합이 이루어짐은 물론, 후방 턱끈 고정점(312)의 위치도 설정된다. 이때문에, 지지아암(56)이 전체 부하의 50% 정도를 감당하고, 측방 뒷쪽으로 돌출한 지지아암들이 각각 나머지 25%씩의 부하를 감당한다.
지지아암(56)의 스낵결합부 뒷쪽 부분에서 환기게이트(50')의 고정요소나 캠을 위한 안내슬롯(250,252,260,262)와 환기구(53)가 보호헬멧의 헬멧셀(36)에 마련된다. 환기게이트(50')의 고정요소는 앞쪽의 한쌍의 앵글요소(258,260)와, 뒷쪽의 탄성변형 가능한 한쌍의 구속아암(254,256)을 포함한다. 앵글요소(258,260)와 구속아암(254,256)은 환기게이트(50')를 도 31, 35와 같이 설치했을 때 관련 안내슬롯(260,262;250,252)에 착탈고정된다. 조립을 하는 동안, 환기게이트의 앵글요소(258,260)를 바깥쪽에서부터 가이드슬롯(260,262)에 끼우고(도 30), 구속아암(254,256)은 안내슬롯(250,252)에 끼우는데, 이런 구속아암들은 관련 안내슬롯을 지날때까지 탄성에 의해 밀린다. 이어서, 구속아암들은 초기위치로 되튕겨 캠(270,272)이 달린 벽(280,282)에 맞닿는다. 환기게이트(50')는 보호헬멧(30')에서 2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한편으로는 헬멧셀(36)에서의 인테리어 피팅(40)의 후방 고정점 구간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차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교환식 슬라이더로서 사용되어, 착용자의 보호헬멧임을 표시하는 색깔로 환기게이트에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독자의 보호헬멧의 환기게이트(50')는 붉은색으로, 굴착기 기사의 보호헬멧의 환기게이트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보호헬멧(30')의 환기게이트(50')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원하는 색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5)

  1. 헬멧셀(36); 지지케이지(42)와 헤드밴드(44)와 목끈(46)으로 이루어져 머리에 접촉하는 인테리어 피팅(40); 및 헬멧셀(36)에 인테리어 피팅(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는 보호헬멧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지지케이지(42)로부터 관자놀이 부분에서는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오거나 머리 뒷 부분에서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적어도 3개의 지지아암(54~56)을 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피팅(40)이 외주변 전체를 따라 계속해서 헬멧셀(36)에서 떨어져서,귀마개 캡슐(35a~b), 지지브라켓(37a~b), 목끈(46)의 체결부(48), 귀마개(32,34)의 장착기(80,84), 안면보호대, 턱끈(300) 밑 턱끈의 장착기를 포함한 헬멧 액세서리들이 들어갈 틈새(60)가 인테리어 피팅(40)과 헬멧셀(36)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크기를 헬멧셀(36)과 지지아암(54~56)이 가지며;
    상기 지지아암(54~56)의 자유단부들이 헬멧셀(3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56)의 착탈 고정이 헬멧셀의 후방 고정점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래치락과, 이런 래치락에서 떨어져 헬멧셀의 내부에 배치된 추가 고정점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60)에 배치된 지지아암(56)의 중간부가 지지아암(56)을 추가 고정점에 연결하기 위해 위나 아랫쪽에 떨어져 배치된 헬멧셀(36)의 구속부(2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지(42)가 강인하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턱끈의 장착기(380)가 2개의 턱끈 고정점(310,311)과 하나의 후방 턱끈 고정점(312)을 포함하고, 턱끈 고정점(310,311)은 헬멧셀(36)의 내부에 있으며 턱끈(300)의 장착 링크(314,316)가 설치되며, 턱끈 고정점(312)은 인테리어 피팅(40)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 고정점(310,311)이 지지아암(56)의 구멍(340)을 포함하고, 턱끈(300)의 다른 장착 링크(318)가 이 구멍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지(42)의 하연부에 원주형 지지스트립이 달려있고, 상기 지지아암(54~56)이 이 지지스트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끈(46)이 지지케이지(42)에 부착되고, 목끈의 양단부가 다른 헬멧 액세서리로서 틈새(60) 안에 수용되는 체결부(48)에 의해 목 부분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8)가 지지셀(172)을 포함하고, 목끈(46)을 조였을 때 헬멧(30)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 상기 지지셀(172)을 래치플랩(174)으로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300)이 2개의 전방 턱끈 고정점(310,311)에서부터 체결부(48)까지 뒷쪽으로 안내되면서 지지셀(172)을 통과하고 후방 턱끈 고정점(31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자놀이 부분에서 측방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지지아암(54,55)이 헬멧셀(36)의 내부에 대한 착탈 고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헬멧셀(36)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56)의 자유단부가 지지아암(56)을 헬멧셀(36)에 고정하기 위한 래치락용 잠금기구(56a~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헬멧셀(36)에 있는 봉형 돌출부(74a~b)에 끼워지는 관통공(156,158)을 갖고, 헬멧(3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위에서부터 지지아암(54,55)에 작용하는 힘 때문에 헬멧셀(36)의 하연부에서 멀리 안쪽으로 헬멧셀을 변형시키도록 하는 모멘텀이 지지아암(54,55)에 발생하도록 적어도 관통공(156,158)의 내경에 일치하는 길이로 관통공 각각이 돌출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지(42)가 뒷쪽으로 튀어나온 2개의 지지아암(47a~b)을 갖고, 목끈(46)이 이들 지지아암(47a~b)에 선택적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5. 제14항에 있어서, 지지아암(54~56)과 지지아암(47a~b)에 리브(152)가 일체로 형성되어 더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6. 제2항에 있어서, 틈새(60) 안에 있는 지지아암(56)의 중간부(200)에 헬멧셀(36)의 추가 고정점에 대한 추가 장착 서스펜션이나 지지를 위해 윗쪽이나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2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212)가 지지아암(56)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8. 제2항, 제16항 및 제1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212)의 자유단부가 헬멧셀(36)의 구속부(212)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56)의 자유단부가 2개로 갈라진 2개의 2갈래 단부(157a~b)이고, 이런 2갈래 단부들(157a~b)이 헬멧셀(36)에 결합되며, 지지아암(56)의 중간부(200)에 지지아암의 폭만큼 떨어져 나란히 정렬된 한쌍의 브리지(212,214)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54,55)이 지지케이지(42)의 종축선(242)에 횡방향으로 지지아암(54,55)의 자유단부를 통과하는 직선(244)과 30°~50°의 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56)이 지지케이지(42)의 종축선(242)과 15°~25°의 각도(β)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54,55)이 전방을 향해 아치형이고 지지케이지(42)의 중심 횡축선 전방에서 지지케이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헬멧셀(36)에 환기구(52,53)와 안내슬롯(250,252,260,262)이 있고, 지지아암(56)의 스냅 연결점을 지난 앞쪽 부분에서 환기게이트(50')의 구속요소(254,256,258,259)에 상기 안내슬롯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요소(254,256,258,259)가 전방 구간의 한쌍의 앵글요소(258,259)와, 후방 구간의 한쌍의 탄성변형 구속아암(254,256)을 포함하고, 이들 구속아암은 관련 안내슬롯(250,252,260,262)에 착탈 가능하게 구속되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외부에서의 충격에 대비해 지지아암(56)이 고정되는 헬멧셀(36) 부분을 상기 환기게이트(50')가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헬멧.
KR1020147022246A 2012-01-11 2012-12-19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KR102128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0370.6 2012-01-11
DE102012000370.6A DE102012000370B4 (de) 2012-01-11 2012-01-11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Bergsteiger und Baumkletterer
PCT/EP2012/076253 WO2013104505A1 (de) 2012-01-11 2012-12-19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bergsteiger und baumkletter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32A true KR20140111032A (ko) 2014-09-17
KR102128634B1 KR102128634B1 (ko) 2020-07-10

Family

ID=4755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246A KR102128634B1 (ko) 2012-01-11 2012-12-19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113671B2 (ko)
EP (1) EP2802230B1 (ko)
JP (1) JP6275049B2 (ko)
KR (1) KR102128634B1 (ko)
CN (1) CN104053374B (ko)
AU (1) AU2012365509B2 (ko)
BR (1) BR112014016891B1 (ko)
CA (1) CA2862663C (ko)
CL (1) CL2014001830A1 (ko)
DE (1) DE102012000370B4 (ko)
EA (1) EA025013B1 (ko)
MX (1) MX350996B (ko)
PE (1) PE20150119A1 (ko)
WO (1) WO2013104505A1 (ko)
ZA (1) ZA2014058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496A1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피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7014A1 (de) * 2010-07-13 2012-01-19 Anton Pfanner Innenausstattung für einen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Forstarbeiter
DE102012015023A1 (de) * 2012-07-27 2014-01-30 Pfanner Schutzbekleidung Gmbh Visier und dessen Kombination mit einem Schutzhelm
US10588360B2 (en) * 2014-04-11 2020-03-17 John Dana Chase, JR. Impact reduction apparel and impact absorbing liner for apparel
ITUB20154758A1 (it) * 2015-10-27 2017-04-27 Kask Spa Fascia poggia fronte per caschi e casco provvisto di tale fascia poggia fronte.
ITUB20155311A1 (it) * 2015-10-27 2017-04-27 Kask Spa Fascia poggia fronte per caschi e casco provvisto di tale fascia poggia fronte.
US10244811B2 (en) 2016-02-26 2019-04-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spension locking tab
KR101791359B1 (ko) 2016-10-26 2017-10-27 김을수 머리보호대
GB2558317A (en) * 2016-12-22 2018-07-11 Otos Wing Co Ltd Ergonomic occipital triangular cushion pad for head bands
GB2583648B (en) * 2018-01-11 2022-08-17 Isserow Jonathan Protective headgear with adjustable faceshield
US10912344B2 (en) * 2018-12-03 2021-02-09 Msa Technology, Llc Helmet with accessory attachment rail
US11700903B2 (en) * 2019-10-07 2023-07-18 Dick's Sporting Goods, Inc. Adjustable helmet
DE102020002614A1 (de) * 2020-04-30 2021-11-04 Dräger Safety AG & Co. KGaA Schutzhelm mit mechanischen Codierungen für Steckverbindungen zwischen lnnenausstattung und Tragstruktur
DE202020104596U1 (de) 2020-08-07 2021-11-09 Sata Gmbh & Co. Kg Kopfaufhängung für eine Kopfbedeckung und Kopfbedeckung mit einer Kopfaufhängung
DE102020120950A1 (de) 2020-08-07 2022-02-10 Sata Gmbh & Co. Kg Kopfaufhängung für eine Kopfbedeckung, Atemschutzhaube mit einer Kopfbedeck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Kopfbedeckung
DE102022123342A1 (de) 2022-09-13 2024-03-14 Schuberth Gmbh Schutzhelm
KR102536466B1 (ko) 2022-11-25 2023-05-26 주식회사 로드원 허니콤 헬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1146A (ja) * 2010-07-13 2013-08-01 ファンナー・シュッツベクライドゥ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 保護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7962U (de) 1959-08-05 1959-10-15 Pag Presswerk Ag Schutzhelm.
US3175225A (en) * 1962-10-01 1965-03-30 Welsh Mfg Co Suspension device for hard hat
US3668704A (en) * 1970-07-13 1972-06-13 Robert E Conroy Protective headgear
DK131884C (da) * 1973-05-12 1976-02-16 Schuberth Werk Kg Bereelement til inderudstyr i en beskyttelseshjelm
SE408851B (sv) * 1977-07-01 1979-07-16 T G Palmaer Anordning vid skyddshjaelm eller ett liknande baerorgan
SE409539B (sv) 1978-03-07 1979-08-27 Hellberg Protection Ab Anordning for att till en skyddshjelm lostagbart festa ett fellbart visir
DE2907056A1 (de) 1979-02-23 1980-08-28 Agfa Gevaert Ag Klebefolienverband zum beidseitigen kleben von aneinander stumpf anstossenden filmenden mittels klebefolien
SE8301937L (sv) * 1982-05-03 1983-11-04 Peter Karlsson Skermanordning
SE455152B (sv) 1984-12-19 1988-06-27 Bo Gunnar Lonnstedt Ledanordning for fellbart ansiktsskydd pa en skyddshjelm
JPS6279834U (ko) * 1985-11-07 1987-05-21
JPH037363Y2 (ko) * 1987-02-23 1991-02-25
DE8714490U1 (ko) 1987-10-30 1988-09-22 Allit-Plastic-Werk Kimnach Gmbh & Co, 6550 Bad Kreuznach, De
US4961893A (en) 1988-04-28 1990-10-09 Schlumberger Industries Method for manufacturing memory cards
DE9410596U1 (de) 1994-06-30 1994-08-25 Winter Optik Schutzeinrichtung für Waldarbeiter o.dgl.
US5682172A (en) * 1994-12-30 1997-10-28 Forte Technologies, Inc. Headset for presenting video and audio signals to a wearer
US5794272A (en) * 1995-07-14 1998-08-18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Protective helmet with improved retention system having a rear stabilizer
JP2853850B2 (ja) * 1996-03-01 1999-02-03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の内装体用パッド及びその内装体
JP3041492U (ja) * 1997-03-14 1997-09-19 章夫 石橋 安全ヘルメット
DE29708134U1 (de) 1997-05-06 1997-08-14 Hartfiel Traudel Augen- und Gesichtsschutz für Schutzhelme
US6081931A (en) * 1998-03-10 2000-07-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helmet suspension system
US6292953B1 (en) * 2000-08-17 2001-09-25 Gentex Corporation Interchangeable latch system
KR100501944B1 (ko) 2003-09-19 2005-07-19 주식회사 산청 조립이 용이한 안전모의 내부 조립구조
DE102004004044B4 (de) 2004-01-27 2007-06-28 Wacker Construction Equipment Ag Schutzhelm
AT500786B1 (de) * 2004-08-19 2011-08-15 Anton Pfanner Gehörschutz- und/oder lautsprecherelement
US7114197B2 (en) * 2005-01-14 2006-10-03 Louis Garneau Sport Inc. Adjustable stabilization strap apparatus
JP5140943B2 (ja) 2006-05-01 2013-02-13 Dic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ヘルメット
US20070261153A1 (en) * 2006-05-09 2007-11-15 Wise Robert W Protective helmet with flush pivoting ear cups
JP5357386B2 (ja) * 2006-12-18 2013-12-04 ミドリ安全株式会社 ヘルメット用内装体
WO2009048794A1 (en) * 2007-10-10 2009-04-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d suspension having transition arms and rear support
JP3138650U (ja) * 2007-10-10 2008-01-17 亮 松永 作業用ヘルメットのインナーベルト
DE102010026997A1 (de) * 2010-07-13 2012-01-19 Anton Pfanner Gehörschutz zur Befestigung an einem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Forstarbeiter
DE102010026998A1 (de) * 2010-07-13 2012-01-19 Anton Pfanner Spanneinheit für ein Tragband eines Schutzhelms, insbesondere für Forstarbeiter
DE102010027015A1 (de) * 2010-07-13 2012-01-19 Anton Pfanner Gesichtsschutz zur Befestigung an einem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Forstarbeiter
DE102010027014A1 (de) * 2010-07-13 2012-01-19 Anton Pfanner Innenausstattung für einen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Forstarbeiter
US9101176B2 (en) * 2011-05-04 2015-08-11 Frances H. Benton Self-closing helmet strap
DE102011054945B4 (de) * 2011-10-31 2013-06-13 Anton Pfanner Gurtverschluss und damit ausgerüsteter Kinnriemen eines Schutzhelms
DE102012103528A1 (de) * 2012-04-20 2013-10-24 Pfanner Schutzbekleidung Gmbh Stirn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1146A (ja) * 2010-07-13 2013-08-01 ファンナー・シュッツベクライドゥ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 保護ヘル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496A1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피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6891B1 (pt) 2020-12-08
CA2862663C (en) 2019-09-03
BR112014016891A8 (pt) 2017-07-04
US20150040295A1 (en) 2015-02-12
PE20150119A1 (es) 2015-02-12
EA025013B1 (ru) 2016-11-30
EP2802230A1 (de) 2014-11-19
ZA201405833B (en) 2015-11-25
JP6275049B2 (ja) 2018-02-07
EA201400803A1 (ru) 2014-11-28
NZ627152A (en) 2016-09-30
KR102128634B1 (ko) 2020-07-10
US9113671B2 (en) 2015-08-25
DE102012000370B4 (de) 2017-02-02
BR112014016891A2 (pt) 2017-06-13
JP2015507102A (ja) 2015-03-05
CN104053374B (zh) 2017-09-29
MX2014008498A (es) 2014-10-14
CL2014001830A1 (es) 2014-09-22
WO2013104505A1 (de) 2013-07-18
CN104053374A (zh) 2014-09-17
EP2802230B1 (de) 2016-04-27
MX350996B (es) 2017-09-26
CA2862663A1 (en) 2013-07-18
DE102012000370A1 (de) 2013-08-08
AU2012365509B2 (en) 2016-06-16
AU2012365509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1032A (ko)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KR101906608B1 (ko) 임업작업자용 안전모
KR101906609B1 (ko) 삼림작업자용 안전모의 내부장전체
KR101906610B1 (ko) 삼림작업자용 안전모의 지지밴드용 조임구
US8499366B2 (en) Helmet with shell having raised central channel
US9205320B2 (en) Head and neck protection system
KR101906047B1 (ko)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KR100993836B1 (ko) 보호용 헬멧
KR102075106B1 (ko)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KR100406219B1 (ko) 헬멧
US11540586B2 (en) Protective helmet
KR101957301B1 (ko) 탄성구속부가 구비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KR101957300B1 (ko)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KR101093078B1 (ko) 안전모
KR20140045740A (ko) 안전모
MX2013010077A (es) Metodo y aparato para texturizar una oblea de hoja.
KR101654817B1 (ko) 기울임현상을 방지하는 안전모
GB2402319A (en) Head harness with adjustable eye shield
SE2151404A1 (en) Reinforced face protection accessories for hard hats
CA2565753C (en) Goalie helmet with novel strap configuration
NZ627152B2 (en) Safety helmet, in particular for mountain climbers and tree cli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