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466B1 - 허니콤 헬멧 - Google Patents

허니콤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466B1
KR102536466B1 KR1020220159888A KR20220159888A KR102536466B1 KR 102536466 B1 KR102536466 B1 KR 102536466B1 KR 1020220159888 A KR1020220159888 A KR 1020220159888A KR 20220159888 A KR20220159888 A KR 20220159888A KR 102536466 B1 KR102536466 B1 KR 10253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protective structure
helmet
upper protectiv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원
Priority to KR102022015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42B3/065Corrugated or ribbed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42B3/063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using layer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specially adapted for cycling helmets, e.g. for soft shelled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4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or ribbed layer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보호 구조체로 구성되어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킨 헬멧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頭部) 상부를 감싸며, 횡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상부 보호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면방향으로 흡수하여 소산 시키도록 구성된 허니콤 헬멧」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니콤 헬멧{Honeycomb helmet}
본 발명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보호 구조체로 구성되어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킨 헬멧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도로교통법은 이륜차·원동기장치자전거 및 자전거 운전자라면 주행시 반드시 헬멧(안전모)을 착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운전자는 헬멧을 착용함으로써 주행시 발생하는 사고에 따른 두개골 및 뇌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헬멧 착용은 필수적인데,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을 시작할 때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끊임없이 경고음이 울려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는 반면, 이륜차·원동기장치자전거 및 자전거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할 별도의 경고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륜차는 자동차와 비교하여 주행의 간편함이 강점이므로, 운전자는 헬멧 착용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서 충돌사고 발생시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경고 수단이 없어도 헬멧 착용은 필수적이다.
또한, 최근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배달시장이 급격하게 확장됨에 따라 배달용 전동기기와 더불어 일반 자전거의 이용이 증가하였고 특히 전동 킥보드와 전동휠과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의 이용자 수가 2017년 이후 연평균 45%에 달하도록 급증하였다. 퀵커머스시장 규모가 2025년까지 5조원 규모의 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배달 수단의 공급이 필요로 함에 따라 서울시-환경부-택배업계-배달업계는 2021년 10월 2025년까지 배달 전용 전기이륜차 3만 5천대를 추가 보급하도록 업무협약을 마쳤다.
이와 같이 이륜차의 대규모 추가 공급이 예정된 가운데, 도로교통공단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건수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323% 증가했다. 이륜차 운전자의 헬멧 착용 의무가 더욱 중대해진 상황이다.
헬멧 업계가 안전을 위해 높은 충격흡수력, 가벼운 무게와 통기성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개발함에 따라 운전자는 헬멧 구매에 있어 넓은 선택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관련된 기존의 발명으로는 등록특허 10-1802490 "에너지 흡수층에 배열되는 슬라이딩 촉진체를 갖는 헬멧"이 있다. 해당 발명은 에너지 흡수층의 외부에는 쉘이, 내부에는 슬라이딩 촉진체가 결합 되어 운전자의 머리에 헬멧이 쓰여지도록 제작되었다. 해당 특허는 충돌 시 에너지 흡수층을 압축함으로써 충돌 흡수체로서 작용하고, 외부 쉘로 충돌 에너지를 확산시키며 뇌에 직접 전달될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해당 특허는 충격 흡수층 아래에 슬라이딩 층을 두어 충돌시 회전 가속도가 감소 되도록 설계되어 기타의 부하 방향에서 발생하는 복합 충돌 에너지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에너지 흡수를 유도하지 못하므로 운전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더욱 가볍고 통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선형 및 회전 가속도를 모두 감소시키는 통합적 충격 흡수가 가능한 헬멧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 등록특허 10-1802490 "에너지 흡수층에 배열되는 슬라이딩 촉진체를 갖는 헬멧" 2. 등록특허 10-2438421 "가이드 월이 형성된 내장 구조체를 포함하는 안전 헬멧" 3. 등록특허 10-2128634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4. 등록특허 10-1255716 "충격 보호를 위한 가압축식 라이너" 5. 등록특허 10-1172513 머리보호용 하드폼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헬멧
본 발명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보호 구조체로 구성되어 충돌시 면방향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 에너지를 소산시키며,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로 구성하여 착용자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헬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頭部) 상부를 감싸며, 횡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상부 보호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면방향으로 흡수하여 소산 시키도록 구성된 허니콤 헬멧」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경질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경질 소재는 우레탄, 폴리프로플렌,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허니콤 구조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수렴할수록 상기 중공 셀의 면적이 점감(漸減)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구획화되어 분리 가능한 파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두부 측면부를 둘러싸며, 종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측면부 보호 구조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헬멧 내에 허니콤 구조의 충격 흡수제를 적용하여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먼저 흡수하여 깨지도록 구성되어, 두부에 직접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허니콤 구조의 충격 흡수제를 적용한 헬멧은 자전거, 전동이륜차, 개인형 이동장치(전동 휠, 전동 킥보드 등)의 헬멧 외에도 군모, 경찰모 등 다양한 보호 장비로 구비될 수 있다.
3. 허니콤 구조의 충격 흡수제를 적용하므로, 주행시 헬멧에 직면하는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통풍되므로 활동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4. 허니콤 구조의 충격 흡수제를 구획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충돌로 인한 손상시, 훼손된 부분만 교체가 할 수 있어 관리·보수가 용이하고, 헬멧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폐 플라스틱 소재의 다공성 구조체를 사출하여 헬멧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경량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선형 및 회전력 충격 흡수가 가능한 다공성 충격 흡수제를 설계 및 제작하여 충격 흡수력을 기존 대비 20% 향상시킬 수 있다.
7. 급증하는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업사이클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자재의 순환 이용성을 증가시키며, 환경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를 하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에 작용할 수 있는 면외·면내 방향 하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부 보호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헬멧이 3D 스캐너를 통하여 역설계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헬멧의 중공 셀 벽의 두께를 다양하게 구성 한 것을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頭部) 상부를 감싸며, 횡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상부 보호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면방향으로 흡수하여 소산 시키도록 구성된 허니콤 헬멧」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도면의 상·하를 청구항에 적용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상부 보호 구조체는 도면상 보이는 윗부분을 상부 보호 구조체의 상부, 아랫부분을 하부로 지칭한다. 위에서 설정한 방향의 예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정한 예시로, 방향은 기준위치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횡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를 이루면서,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충돌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면방향으로 흡수하여 소산시킬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콤 구조의 상기 보호 구조체는 면내 방향과 면외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충격 에너지가 면내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보호 구조체는 압축, 인장, 휨 응력을 동시에 받게 되므로, 상기 보호 구조체는 면내 방향의 강성 및 압축강도가 면외 방향보다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 구조체가 갖는 면내 방향의 낮은 강성을 이용하여 도로 바닥면, 장애물 충돌 등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도록 중공 셀이 횡방향으로 오픈된 것을 적용한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중공 셀이 횡방향으로 오픈된 형태로 적용된 헬멧을 착용하고 충격이 발생했을 경우, 충돌 시 상기 보호 구조체의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중공 셀이 외부층에서부터 내부층으로 향하며 순차적으로 파손되면서 충격에너지 소산량은 점증(漸增)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두부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중공 셀 벽 측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상부 보호 구조체의 외부의 중공 셀부터 내부의 중공 셀로 향하고 차례로 파손되는 점진적 소성 파괴(Plastic collapse)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소산 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사용자의 두부로 미치는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가 허니콤 구조로 이루어진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충돌 시 발생하는 선형(Linear Force) 충격 및 회전력(Rotational Force) 충격 두 가지 형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선형 충격이란, 충돌 시 단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국내 개발 헬멧은 대부분 선형 충격 흡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시험표준 또한 단방향 충격 테스트 항목만 존재한다.
회전력 충격이란, 충돌 시 두부에 전체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동반하는 충격이다. EU 보고서 COST 329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두부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뇌 손상의 주된 원인으로 추정되며, 미국 및 유럽 시험표준에 회전력 감소를 측정하는 항목이 추가되었다.
회전력 충격 감소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으로 MIPS(Multi-directional Impact Protection System)이 보편화 되었다. MIPS 기술을 접목한 헬멧은 고정된 외피 내에 회전이 가능한 내부 회전체로 구성되었으며, 충격 발생시 고정된 외피 내에서 사용자의 두부에 접한 내부 회전체가 충격에 따라 흔들리게 구성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었다.
선형 충격 흡수에 집중한 헬멧, 외피와 내부에 별도에 회전체를 부가한 것으로 구성된 MIPS 기술을 적용한 헬멧 및 본 발명의 보호 구조체를 아래 [표 1]를 통하여 비교한다.
구분 일반 EPS폼 MIPS기술 본 발명의
상부 보호 구조체
충격흡수 선형 충격 흡수(EPS) 선형 충격 흡수(EPS)
+
회전력 충격 흡수(MIPS)
선형 충격 흡수
(허니콤 면외방향)
+
회전력 충격 흡수
(허니콤 면내방향)
비고 선형 충격 흡수만 가능 선형·회전력 충격 흡수 가능하나, 별도의 회전체 부가 필수 상부 보호 구조체만으로 선형·회전력 충격 흡수 가능
위의 [표 1]은 기존 헬멧에 적용된 충격 흡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보호 구조체를 비교한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헬멧은 EPS폼 완충제를 적용한 헬멧으로써,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외피 내에 완충재를 구비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되었다. MIPS기술을 적용한 헬멧은 외피와 내피가 결합하고, 내피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므로, 선형 충격과 회전력 충격을 동시에 흡수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부 보호 구조체는 외피와 내피의 구분 없이,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상부 보호 구조체만을 이용하여 면 방향으로 충격에너지를 소산시켜 선형 충격과 회전력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어 오픈된 중공 셀을 이용하여 주행시 헬멧에 직면하는 공기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중공 셀 내 공기는 원활히 통풍됨으로써 사용 시 주행속도 감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두부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가 바닥면 또는 구조물에 고속 충돌하여, 충격에너지가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충격에너지 소산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깨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적극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중공 셀의 크기, 셀 벽 두께, 셀 형태 등 세팅 값을 변경하여 다양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으며 중공 셀의 크기, 셀 벽 두께, 셀 형태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헬멧의 중공 셀 벽의 두께를 변경((a)-2mm, (b)-3mm, (c)-4mm)한 것을 도시한 일 실시예로, 사용 목적에 따라 중공 셀 벽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상부 보호 구조체는 상부 보호 구조체의 하부가 내입되어 두부가 삽입되는 두부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두부 삽입공간으로 두부를 위치를 시키며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헬멧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실험을 통해 1차 파괴되고, 3D 스캐너를 통하여 역설계 되어 충격 소산효과가 더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경질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경질 소재는 충격을 받을 때 파손되어,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는 소재로서,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폴리프로플렌,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발포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두부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급증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업사이클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자재의 순환 이용성을 증가시키며, 환경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복합재질 폐플라스틱을 동일한 용기끼리 선별 후 파쇄하여 펠릿화하고, 각각의 폘릿 폐플라스틱을 시험편 형상으로 사출하여 인장강도, 연신율 등의 기본 물성치를 확보하며, 혼합된 복합 폐플라스틱의 물성값 60% 이상과 선별된 단일 폐플라스틱을 40% 미만 적용하는 등 시료를 변경·혼합하며 인장강도 또는 연신율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 해당 데이터에 따라 금형으로 허니콤 구조 보호 구조체를 사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허니콤 구조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수렴할수록 상기 중공 셀의 면적이 점감(漸減)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상기 중공 셀의 면적이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감(漸減)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중공 셀이 2~8층의 형태로 적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에너지가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안쪽으로 진행하면서 순차적 파손과 점증적 충격에너지 소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공 셀의 면적이 내부층에서 외부층으로 갈수록 1.1배 내지 3.0배의 배율로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셀의 면적이 외부층에서 내부층으로 갈수록 점감(漸減)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면내 방향 강성과 압축강도가 심층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각 층별로 연속 배치된 중공 셀의 크기와 형태가 동일한 경우 셀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셀 벽이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구획화되어 분리 가능한 파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츠는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가 구획화되어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상기 파츠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파츠는 당겨 빼거나, 밀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로부터 분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파츠는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가 충돌로 인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될 경우, 해당 부분만 교체 가능하여 관리·보수가 용이하고, 헬멧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츠의 교체는 탈착 또는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로부터 파츠를 출입시키는 방법이므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사용자가 직접 파츠를 교체할 수 있어 사용에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의 두부 측면부를 둘러싸며, 종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측면부 보호 구조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6]은 상기 측면부 보호 구조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측면 보호 구조체는 사용자의 두부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사용자의 두부 중 상기 측면부 보호 구조체가 둘러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상부·측면부 보호 구조체를 접하도록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두부를 틈 없이 보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측면부 보호 구조체 또는,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와 측면버 보호 구조체가 결합하여 형성된 두부 삽입공간으로 두부를 위치를 시키며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헬멧을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 보호 구조체는 상기 중공 셀이 종방향으로 오픈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는 상기 중공 셀이 횡방향으로 오픈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측면부 보호 구조체는 다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 에너지가 면내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측면부 보호 구조체는 압축, 인장, 휨 응력을 동시에 받게 되므로, 상기 상부·측면부 보호 구조체는 면내 방향의 강성 및 압축강도가 면외 방향보다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상부·측면 보호 구조체가 갖는 면내 방향의 낮은 강성을 충격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도록 측면부 보호 구조체는 중공 셀이 종방향으로, 상부 보호 구조체는 중공 셀이 횡방향으로 오픈된 것을 적용한다.
충격에너지는 정면 또는 측면으로 일정한 방향으로만 발생할 수도 있으나, 구르는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두부 면적의 다방향으로 충격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인체의 두부는 입체적이므로 단방향으로 오픈된 중공 셀보다, 두부의 굴곡에 맞추어 종·횡방향으로 오픈된 중공 셀로 이루어진 보호 구조체를 적용하는 것이 충돌시 두부에 가해지는 회전력 감소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허니콤 헬멧은 제 상부·측면부 구조체를 조합하여 다양한 헬멧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와 상기 측면부 보호 구조체의 통공은 연통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의 재료(경질 소재), 구조(외측에서 내측으로 수렴할수록 상기 중공 셀의 면적이 점감(漸減)하도록 구성), 조합(구획화되어 분리 가능한 파츠의 조합) 상의 특징은 측면부 보호 구조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와 측면부 보호 구조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5~20mm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 등의 경질소재로 제작하여 외력에 의해 깨지는 방식으로 충격에너지를 감쇄시키도록 구성하거나, 고무 등의 연질소재로 제작하여 외력에 대한 1차 버퍼(buffer)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피와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는 융착, 접착, 체결구 결합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고, 파손과 노후의 정도에 따라 외피 또는 보호 구조체를 각각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 측면부 보호 구조체 또는 외피에 턱끈, 벨트 등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상부 보호 구조체
20 : 측면부 보호 구조체
30 : 중공 셀(cell)
40 : 파츠
50 : 외피
60 : 두부 삽입공간

Claims (6)

  1. 사용자의 두부(頭部) 상부를 감싸며, 횡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cell, 30)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상부 보호 구조체(1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면방향으로 흡수하여 소산 시키되,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상기 중공 셀(30)이 외부층에서부터 내부층으로 향하며 순차적으로 파손되며 충격에너지 소산량이 점증(漸增)하도록 구성된 허니콤 헬멧.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10)는 경질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경질 소재는 우레탄, 폴리프로플렌,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발포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헬멧.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10)의 허니콤 구조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수렴할수록 상기 중공 셀(30)의 면적이 점감(漸減)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헬멧.
  4.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10)는,
    구획화되어 분리 가능한 파츠(40)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헬멧.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사용자의 두부 측면부를 둘러싸며, 종방향으로 오픈된 다층의 중공 셀(30)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측면부 보호 구조체(2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헬멧.
  6. 제5항에서,
    상기 상부 보호 구조체(10) 및 측면부 보호 구조체(20)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헬멧.
KR1020220159888A 2022-11-25 2022-11-25 허니콤 헬멧 KR10253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888A KR102536466B1 (ko) 2022-11-25 2022-11-25 허니콤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888A KR102536466B1 (ko) 2022-11-25 2022-11-25 허니콤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466B1 true KR102536466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888A KR102536466B1 (ko) 2022-11-25 2022-11-25 허니콤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4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641U (ko) * 1997-04-18 1998-11-25 이인일 골프용 안전모자
KR101172513B1 (ko) 2012-05-02 2012-08-14 주식회사 산청 머리보호용 하드폼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헬멧
KR101255716B1 (ko) 2008-07-02 2013-04-17 스트래티직 스포츠 리미티드 충격 보호를 위한 가압축식 라이너
CN104413991A (zh) * 2013-09-03 2015-03-18 李焕玲 安全头盔的强化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50128363A (ko) * 2014-05-09 2015-11-18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KR101802490B1 (ko) 2010-05-07 2017-11-28 밉스 에이비 에너지 흡수층에 배열되는 슬라이딩 촉진체를 갖는 헬멧
KR102128634B1 (ko) 2012-01-11 2020-07-10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KR102438421B1 (ko) 2021-12-21 2022-08-30 박재홍 가이드 월이 형성된 내장 구조체를 포함하는 안전 헬멧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641U (ko) * 1997-04-18 1998-11-25 이인일 골프용 안전모자
KR101255716B1 (ko) 2008-07-02 2013-04-17 스트래티직 스포츠 리미티드 충격 보호를 위한 가압축식 라이너
KR101802490B1 (ko) 2010-05-07 2017-11-28 밉스 에이비 에너지 흡수층에 배열되는 슬라이딩 촉진체를 갖는 헬멧
KR102128634B1 (ko) 2012-01-11 2020-07-10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KR101172513B1 (ko) 2012-05-02 2012-08-14 주식회사 산청 머리보호용 하드폼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헬멧
CN104413991A (zh) * 2013-09-03 2015-03-18 李焕玲 安全头盔的强化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50128363A (ko) * 2014-05-09 2015-11-18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KR102438421B1 (ko) 2021-12-21 2022-08-30 박재홍 가이드 월이 형성된 내장 구조체를 포함하는 안전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0216B2 (en) Safety helmet
Fernandes et al. Motorcycle helmets—A state of the art review
CN1149024C (zh) 头盔
US20060242752A1 (en) Impact absorbing, modular helmet
CN103201141B (zh) 具有挤压瓣的增强塑料吸能器系统及其制造方法
KR101081672B1 (ko) 안전헬멧용 두부보호체와 이러한 두부보호체를 구비한안전헬멧
US20230108278A1 (en) Helmet
US20100000009A1 (en) Compressible Liner for Impact Protection
US20120324634A1 (en) Natural Fiber Impact Attenuation System
EP3307062B1 (en) Ecostructural bicycle/activity safety helmet
US20030140400A1 (en) Integral complex buffing structure of safety helmet
US20160278467A1 (en) Safety Helmet
JP2005231618A (ja) 自動車用外板部材
US20160219964A1 (en) Multi-Layered Protective Helmet with Enhanced Absorption of Torsional Impact
US20100167042A1 (en) Impact damping material, helmet and panel incorporating the same
KR102536466B1 (ko) 허니콤 헬멧
CN102490672A (zh) 汽车侧门防撞装置
CN201758840U (zh) 一种安全帽
WO2006135153A1 (en) Shock absorbing seat belt for protecting face and head
US20030019318A1 (en) Steering wheel
EP3363313A1 (en) Helmet
TWI494066B (zh) 用於衝擊保護的可壓縮襯裡
JP3086938U (ja) 安全ヘルメットの一体複合式緩衝構造
CN214317164U (zh) 头盔
WO2023238010A1 (en) Protective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