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009A - 차량 계기판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계기판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009A
KR20140111009A KR1020147021787A KR20147021787A KR20140111009A KR 20140111009 A KR20140111009 A KR 20140111009A KR 1020147021787 A KR1020147021787 A KR 1020147021787A KR 20147021787 A KR20147021787 A KR 20147021787A KR 20140111009 A KR20140111009 A KR 2014011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urce device
vehicle
user inpu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동 왕
비자야라크쉬미 알. 라빈드란
시아오롱 후앙
제프 에스. 프로엘리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3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the control of the source by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B60K2360/589
    • B60K2360/59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Abstract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계기판 및 무선 소스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계기판 싱크와의 통신들을 위해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계기판 싱크에 송신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호작용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계기판 싱크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들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하는 것, 계기판 싱크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 및 소스 디바이스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싱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로부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계기판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VEHICLE DASHBOARD WIRELESS DISPLAY SYSTEM}
본 출원은, 2012년 1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583,79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의 전체 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본 개시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과 관련된다.
무선 디스플레이(WD) 또는 Wi-Fi 디스플레이(WFD) 시스템들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싱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 및 각각의 싱크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유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예를 들어, 소위 "스마트" 폰들 및 "스마트" 패드들 또는 태블릿들, e-리더들 또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스플레이, 비디오 게이밍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여, 모바일 전화들, 무선 통신 카드들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PDA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들 또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또한, 통신 능력들을 포함하는, 텔레비젼들, 데스크탑 컴퓨터들, 모니터들, 프로젝터들 등과 같은 유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특정한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하는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오디오 비디오(AV)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미디어 데이터는 소스 디바이스의 로컬 디스플레이 및 싱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들 모두에서 재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참가하는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은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자신의 스크린 및 오디오 장비 상에 렌더링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소스 디바이스가 무선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통신 세션의 일부로서, 무선 소스 디바이스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무선 싱크 디바이스는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싱크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은, 싱크 디바이스가 차량의 계기판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경우들에서 상기 기술들 및 다른 기술들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개시에 따른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들은, 자동차, 선박, 항공기, ATV(all-terrain vehicle), 또는 전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계기판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차량 계기판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계기판은,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명령들의 실행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하는 것 ―데이터 패킷 헤더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함―, 및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초래한다. 전송 유닛은,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무선 소스 디바이스는,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소스 디바이스는, 전송 유닛,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전송 유닛은 계기판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명령들의 실행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하는 것, 및 결정된 입력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페이로드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초래한다.
다른 예는,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과 무선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계기판과 통신하기 위해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이 상태에서, 계기판은 계기판으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배열됨―, 차량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 및 차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계기판 싱크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소스/싱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2개의 싱크 디바이스들을 갖는 소스/싱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소스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싱크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송신기 시스템 및 수신기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기술들에 따라 능력 협상들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전송 시퀀스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싱크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 패킷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협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타임스탬프 정보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타임스탬프 정보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음성 커맨드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멀티-터치 사용자 입력 커맨드들을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 3의(third party)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소스/싱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소스 디바이스(본 명세서에서는 때때로 단순히 "소스 디바이스"로 지칭됨)가 무선 싱크 디바이스(본 명세서에서는 때때로 단순히 "소스 디바이스"로 지칭됨)와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통신 세션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을 소스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싱크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소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싱크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기능은, 상이한 타입들의 싱크 및 소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상황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은, 싱크 디바이스가 자동차 또는 다른 자동차류의 계기판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일례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의 주요한 기능은,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호작용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싱크 디바이스로서의 자동차 계기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적용된다. 이러한 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데이터는 자동차의 계기판 상에서 시청, 액세스 및 상호작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친목 및 캘린더 애플리케이션들,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들,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들 등과 같은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들은,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 계기판을 통해 쉽게 그리고 끊김없이 제시 및 상호작용될 수 있다.
무선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하는 것은, 싱크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류의 계기판인 경우 다수의 특정한 난제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난제는, 자동차 계기판과의 통신들을 위해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는 자동차의 동작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 및/또는 그에 대한 제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위해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방법을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스와 계기판 싱크 사이의 통신들은 자동차의 제조자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제조자들은, 각각의 개별적인 제조자의 자동차들에 포함된 계기판 싱크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타입의 소스 디바이스의 상이한 기능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가 자동차 계기판 싱크와 통신하는 상황에서, WFD 시스템들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에서 제공되는 기능들과 같은 일반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기능들/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기 보다는, 소스 디바이스는, 자동차 또는 계기판의 제조자에 의해 (이 둘이 상이한 회사들에 의해 제조되는 범위까지) 인증되고 구체적으로는 그 제조자의 계기판 싱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은 소스 디바이스, 이를테면, 모바일 폰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소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개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3자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계기판/자동차 제조자들과 제 3자들, 이를테면, 모바일 폰 제조자들 및/또는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 사이의 인증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달성될 수 있다. 모바일 폰이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일례에서, 계기판 제조자는, 모바일 폰 상에서 실행가능하고 계기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은, 폰 소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들의 보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인증은, 폰 소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2 레벨의 보안을 포함한다. 첫째로, 소스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제조자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조정 및 제어하기 위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의 인가를 요구할 수 있고, 제조자가 이를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의 상이한 운영 시스템들 상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개발한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제조자에 의해 생산된 자동차에서 폰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게 할 이러한 폰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특정한 자동차 제조자로부터의 인가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자동차 제조자는, 폰 소스 디바이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개방하기 위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 통신될 수 있는 키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들은 보안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미인가된 사용자들 및/또는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다양한 공격들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폰 소스 디바이스에 이용하기 위한 특정한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는데 이용되는 인증 키를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은 또한, 제조자 인증 키의 통신을 포함하는, 폰 소스와 계기판 싱크 사이의 초기 핸드쉐이크를 보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폰 소스 디바이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인증 키의 초기 핸드쉐이크 및 통신은, 예를 들어, 암호화/암호해독 키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되고, 이 방식에 의해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은, 제조자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계기판에 무선 송신하고, 그 다음, 계기판은 폰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암호해독 및 판독한다. 폰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WFD에 대해 인증된 후, 장래의 통신들은 암호화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인증하기 위한 기능들에 부가하여, 소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는, 자동차와 관련되거나 자동차에 포함된 데이터 및/또는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자동차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스피커들 및 마이크로폰들과 같은 자동차 내의 주변 디바이스들을 통신, 분석, 저장, 조작하는 것 등을 위한 다수의 기능들을 용이하게 한다. 몇몇 예들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가 배열된 자동차 상의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는 계기판으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센서들 및 엔진 제어 유닛(ECU)에 의해 추적되고 저장된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 이를테면, 사용자의 모바일 폰에 통신될 수 있다. 모바일 폰은, 자동차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의 제시 및 사용자에 의한 해석을 위해 프로세싱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와 주변들 사이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위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주변기기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자동차의 스피커들 및/또는 마이크로폰으로의 채널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상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는 모바일 폰 소스로부터의 채널을 개방하여, 모바일 폰에 포함된 것보다 더 높은 품질의 자동차 마이크로폰에 대한 모바일 폰 소스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의 사용자는 자신의 자동차를 운전중인 동안 폰 상의 친목 애플리케이션에서 누군가를 호출하기를 원할 수 있고, 자동차의 마이크로폰에서 수신되는 음성 커맨드를 이용할 수 있고, 마이크로폰은, 지인의 번호를 리트리브하고 호출을 개시하는 더 안전한 수단으로서 계기판 싱크를 통해 액세스된다.
자동차 계기판 싱크와의 통신을 위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를 페어링함으로써 용이하게 되는 다른 기능은, 자동차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를테면, 자동차가 이동중인지 또는 정지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소스 및/또는 싱크 디바이스들의 통신들 및 동작들을 변경하는 능력이다. 본 개시에 따른 일례에서, 무선 소스 디바이스, 이를테면 모바일 폰과 페어링된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는, 자동차의 상태가 변하는 시점을 모바일 폰 소스에 나타내고, 자동차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폰과의 통신들을 변경하고 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는 자동차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센서들 및/또는 ECU(자동차가 이동하려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가 이동중이라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경우, 계기판은, 폰 소스가 제한된 기능 동작 모드로 이동하게 하는 커맨드를 폰 소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커맨드는, 폰이, 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징과 같이, 차를 운전중인 동안 사용자들이 실행하기에는 위험할 수 있는 특정한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게 할 수 있다.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과 무선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과 관련된 상기 기능들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도 1a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도 1a는 본 개시의 기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소스/싱크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통신 채널(150)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160)와 통신하는 소스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121)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122), 스피커(123),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또한 인코더(124)로 지칭됨), 오디오/비디오 제어 모듈(125), 및 송신기/수신기(TX/RX) 유닛(126)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스 디바이스(120)의 메모리는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160) 사이의 통신들을 개시하고 관리하기 위해 인증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싱크 디바이스(160)는 자동차 또는 다른 자동차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고, 따라서, 다음의 예들에서 때때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으로 지칭된다.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는 디스플레이(162), 스피커(163),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64)(또한 디코더(164)로 지칭됨), 송신기/수신기 유닛(166), 사용자 입력(UI) 디바이스(167) 및 사용자 입력 프로세싱 모듈(16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소스/싱크 시스템(100)에 대한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구성한다. 다른 구성들은 도시된 컴포넌트들보다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컴포넌트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20)의 메모리는,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와 소스 디바이스(120) 사이의 통신들을 개시하고 관리하기 위해 자동차 및/또는 계기판의 제조자에 의해 인증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계기판의 고유한 기능들을 소스 디바이스 상에 미러링(mirroring)하는 것, 및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수신된 자동차 데이터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의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의 비디오 부분을 디스플레이(122)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의 오디오 부분을 스피커(123)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로컬로 저장될 수 있거나, 파일 서버, 하드 드라이브, 외부 메모리, 블루-레이 디스크, DVD, 또는 다른 물리적 저장 매체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는 소스 디바이스(120)의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캡쳐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는 영화들, 텔레비젼 쇼들, 또는 음악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지만, 또한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생성되는 실시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간 컨텐츠는 예를 들어, 비디오 텔레포니 세션의 일부로서 캡쳐되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몇몇 예들에서 이러한 실시간 컨텐츠는,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이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들의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는, 비디오의 프레임 상에 오버레이된 사용자 입력 옵션들을 갖는 TV 프로그램 또는 영화의 비디오 프레임과 같은, 상이한 타입들의 컨텐츠의 조합인 비디오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를 디스플레이(122) 및 스피커(123)를 통해 로컬로 렌더링하는 것에 부가하여, 소스 디바이스(120)의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121)를 인코딩할 수 있고, 송신기/수신기 유닛(126)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통신 채널(150)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의 송신기/수신기 유닛(166)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64)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62) 및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122) 및 스피커(123)에 의해 렌더링되고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62) 및 스피커(163)에 의해 동시에 렌더링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프레임들로 배열될 수 있고, 오디오 프레임들은 렌더링될 때 비디오 프레임들과 시간-동기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상에 수신되고 디스플레이(162)에 의해 렌더링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친목, 캘린더, 이메일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갖는 모바일 폰을 포함할 수 있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상주하는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프리젠테이션 및 이들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 및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64)는, ITU-T H.264 표준(대안적으로 MPEG-4, Part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AVC)으로 지칭됨) 또는 새로 등장한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표준(때때로 H.265 표준으로 지칭됨)과 같은 임의의 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압축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많은 다른 타입들의 사유(proprietary) 또는 표준화된 압축 기술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64)는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의 역(reciprocal) 코딩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몇몇 양상들에서, A/V 인코더(124) 및 A/V 디코더(164)는 각각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와 통합될 수 있고, 적절한 MUX-DEMUX 유닛들 또는 다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공통의 데이터 스트림 또는 별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모두의 인코딩을 핸들링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A/V 인코더(124)는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비디오 압축 표준을 구현하는 것에 부가하여, 다른 인코딩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 인코더(124)는, A/V 데이터(121)가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되기 전에, 다양한 타입들의 메타데이터를 A/V 데이터(121)에 추가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A/V 데이터(121)는 인코딩된 형태로 소스 디바이스(120)에서 저장 또는 수신될 수 있고, 따라서 A/V 인코더(124)에 의한 추가적인 압축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a는 오디오 페이로드 데이터 및 비디오 페이로드 데이터를 별도로 반송하는 통신 채널(150)을 도시하지만, 몇몇 예들에서, 비디오 페이로드 데이터 및 오디오 페이로드 데이터는 공통의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적용가능한 경우, MUX-DEMUX 유닛들은 ITU H.223 멀티플렉서 프로토콜,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들을 따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 및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64)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PGA들), 이산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 및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64)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에 포함될 수 있고, 이들 중 하나는 결합된 인코더/디코더(CODEC)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 각각은 본 개시의 기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특수화된 머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 및 디스플레이(162)는,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 또는 다른 예들에서, 디스플레이들(122 및 162)은 각각 발광형 디스플레이들 또는 투과형 디스플레이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 및 디스플레이(162)는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들일 수 있어서, 이들은 동시에 입력 디바이스들 및 출력 디바이스들 모두이다.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들은, 사용자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용량성, 저항성 또는 다른 타입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스피커(123)는, 헤드폰들, 단일 스피커 시스템, 멀티-스피커 시스템 또는 서라운드 음향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122) 및 스피커(123)는 소스 디바이스(120)의 일부로서 도시되고, 디스플레이(162) 및 스피커(163)는 싱크 디바이스(160)의 일부로서 도시되지만,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는 실제로는 디바이스들의 일 시스템일 수 있다. 일례로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의 스피커(163)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백시트(backseat) DVD/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같은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다른 주변기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포함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이를테면, 스마트폰,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싱크 디바이스는 더 정적인(자동차의 모션과는 독립적인 이동에 대해 정적인) 자동차 계기판을 포함한다.
송신기/수신기 유닛(126) 및 송신기/수신기 유닛(166) 각각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설계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 뿐만 아니라, 신호 변조를 위해 설계된 다양한 믹서들, 필터들, 증폭기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150)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매체, 또는 상이한 통신 매체들의 집합을 표현한다. 통신 채널(150)은 통상적으로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비교적 단거리 통신 채널이다. 그러나, 통신 채널(150)은 반드시 이러한 양상(respect)에 제한되지는 않고, 라디오 주파수(RF) 스펙트럼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물리적 송신 라인들과 같은 임의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매체 또는 무선 및 유선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통신 채널(150)은 심지어, 유선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기반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채널(150)은 피어-투-피어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는 IEEE 802.11 표준군으로부터의 표준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15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가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소위 핫스팟과 같은 매개체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하도록,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Wi-Fi Direct 표준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는 또한 네트워크 혼잡을 회피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터널링된 직접 링크 셋업(TLDS)을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때로는 Wi-Fi에 대해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기술들의 양상들은 또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과 호환가능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또는 OFDM, FDMA, TDMA 및/또는 CDMA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WiFi Direct 및 TDLS는 비교적 단거리 통신 세션들을 셋업하도록 의도된다. 잡음이 있거나 방해되는 환경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는 35 미터 미만과 같이 더욱 짧아질 수 있지만, 이 문맥에서 비교적 단거리는 예를 들어, 70 미터 미만을 지칭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 및 렌더링하는 것에 부가하여, 싱크 디바이스(160)는 또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67)로부터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67)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또는 트랙 패드, 터치 스크린, 음성 커맨드 인식 모듈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프로세싱 모듈(UIPM)(168)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67)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들을, 소스 디바이스(120)가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 구조로 포맷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들은 송신기/수신기(166)에 의해 통신 채널(150)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로 송신된다. 송신기/수신기 유닛(126)은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A/V 제어 모듈(125)은 데이터 패킷들을 파싱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67)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를 해석한다. 데이터 패킷에서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A/V 제어 모듈(125)은 인코딩 및 송신되고 있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오디오 페이로드 데이터 및 비디오 페이로드 데이터를 원격으로 그리고 소스 디바이스(120)와 직접 상호작용하지 않고 제어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는 커맨드들의 타입들의 예들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되감기, 빨리감기, 일시정지 및 재생을 위한 커맨드들 뿐만 아니라 주밍(zooming), 회전, 스크롤링(scrolling) 등을 위한 커맨드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들은 또한, 예를 들어 옵션들의 메뉴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이 선택을 소스 디바이스(120)에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계기판 싱크(160)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67)에서, 애플리케이션, 이를테면,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상주하는 이메일, 캘린더 또는 친목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다양한 타입들의 입력 제어들의 선택들을 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소스 디바이스(120) 상의 애플리케이션의 GUI와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UIPM(168)에 의해 포맷될 수 있고, 송신기/수신기(166)에 의해 통신 채널(150)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들은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다른 타입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론칭하고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저장된 사진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할 수 있고, 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로컬로 저장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진이 실제로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편집되고 있지만, 사진이 싱크 디바이스(160) 상에서 로컬로 편집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느껴지는 사용자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디바이스 사용자는 몇몇 디바이스들에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디바이스의 능력들을 레버리지(leverag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는 대량의 메모리 및 고급 프로세싱 능력들을 갖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의 사용자는, 스마트폰들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모든 세팅들 및 상황들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에 앉아 있거나 그리고/또는 자동차로 이동중인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 상의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용하여, 스마트폰 상에 상주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상에서 레버리지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사용자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와 상호작용하고 있을지라도 프로세싱의 대부분은 여전히 소스 디바이스(120)(이 예에서는 스마트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동작 상황에서, 프로세싱의 대부분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싱크 디바이스(160)가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요청받는 경우보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더 적은 자원들을 갖는 더 저렴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 둘 모두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고, 본 개시의 기술들은 임의의 주어진 세션에서 디바이스들의 능력들을 협상하고 그리고 또는 식별함으로써 양방향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160)가 자동차 계기판에 포함되는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67)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친목, 내비게이션, 캘린더, 이메일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A/V 제어 모듈(125)은 소스 디바이스(125)의 운영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운영 시스템 프로세스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들에서, A/V 제어 모듈(125)은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운영 시스템과는 반대로,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직접 상호작용하도록, 사용자 입력 커맨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운영 시스템과는 반대로 애플리케이션과 직접 상호작용함으로써,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120)의 운영 시스템에 고유하지 않은(not native) 커맨드들의 라이브러리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것은, 상이한 플랫폼들 상에서 실행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커맨드들이 더 쉽게 송신 및 프로세싱되게 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들에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 애플리케이션 세팅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인가된 사용자 입력들은 통신 채널(150)을 통해 무선 디스플레이 소스에 다시 전송될 수 있다. 일례에서, 싱크 디바이스(160)가 싱크 디바이스(160)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들을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백 채널(UIBC; user interface back channel)로도 또한 지칭되는 역방향 채널 아키텍쳐가 구현될 수 있다. 역방향 채널 아키텍쳐는 사용자 입력들을 전송하기 위한 상위 계층 메시지들, 및 싱크 디바이스(160) 및 소스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능력들을 협상하기 위한 하위 계층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UIBC는 싱크 디바이스(160)와 소스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 전송 계층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UIBC는 오픈 시스템 상호접속(OSI) 통신 모델에서 전송 계층 위에 있을 수 있다. 일례에서, OSI 통신은 7개의 계층들(1 - 물리, 2 - 데이터 링크, 3 - 네트워크, 4 - 전송, 5 - 세션, 6 - 프리젠테이션, 및 7 -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전송 계층 위에 있는 것을 계층들 5, 6 및 7로 지칭한다.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들의 순서대로의 전송 및 신뢰할 수 있는 송신을 증진시키기 위해, UIBC는 송신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과 같은 다른 패킷-기반 통신 프로토콜들의 최상부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DP 및 TCP는 OSI 계층 아키텍쳐에서 병렬로 동작할 수 있다. TCP/IP는 싱크 디바이스(160) 및 소스 디바이스(120)가 패킷 손실 이벤트에서 재송신 기술들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에 위치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들 사이에 미스매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미스매칭에 의해 생성된 잠재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증진시키기 위해, 통신 세션을 설정하기 전에 또는 통신 세션 전반에 걸친 다양한 시간들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능력 협상이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16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협상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는 협상된 스크린 해상도에 동의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가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160)는 협상된 스크린 해상도에 매칭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162)로부터 획득된 좌표 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일례에서, 싱크 디바이스(160)가 1280x720의 해상도를 갖고, 소스 디바이스(120)가 1600x900의 해상도를 가지면,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이들의 협상된 해상도로서 1280x720을 이용할 수 있다. 협상된 해상도는 싱크 디바이스(160)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지만, 소스 디바이스(120)의 해상도 또는 몇몇 다른 해상도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1280x720의 싱크 디바이스가 이용되는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160)는 좌표들을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하기 전에, 획득된 x-좌표들을 1600/1280의 팩터로 스케일링할 수 있고, 유사하게, 싱크 디바이스(160)는 좌표들을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하기 전에, 획득된 y-좌표들을 900/720으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획득된 좌표들을 협상된 해상도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가 소스 디바이스(120)보다 더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지 또는 그 반대인지에 기초하여, 스케일링은 좌표 범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 예들에서, 싱크 디바이스(160)에서의 해상도는 통신 세션 동안 변할 수 있어서, 잠재적으로 디스플레이(122)와 디스플레이(162) 사이에 미스매칭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적절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소스/싱크 시스템(100)은 스크린 정규화를 위한 기술들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상호작용 미스매칭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122) 및 싱크 디바이스(160)의 디스플레이(162)는 상이한 해상도들 및/또는 상이한 종횡비(aspects ratio)들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 세팅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가 싱크 디바이스(160)의 디스플레이(162) 전부 미만을 커버하는 윈도우에 렌더링되도록,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리사이징(resize)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세팅에서,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는 가로 모드(landscape mode) 또는 세로 모드(portrait mode)에서 컨텐츠를 시청하는 옵션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각각은 고유한 좌표들 및 상이한 종횡비들을 갖는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좌표와 같은,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좌표들은, 좌표들에 대한 변경없이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프로세싱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들은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좌표들을 소스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좌표들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맵핑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정규화로 지칭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이러한 맵핑은 싱크-기반 또는 소스-기반일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은, 예를 들어, 드라이버 레벨에서 UI 모듈(167)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160)의 운영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 상의 운영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위치와 연관된 좌표들 (xSINK, ySINK)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 (xSINK, ySINK)은,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디스플레이(162)의 좌표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62) 상에서 렌더링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x-좌표 길이(LDW) 및 y-좌표 폭(WDW)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또한,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측 상부 코너 좌표 (aDW, bDW)를 가질 수 있다. LDW, WDW 및 좌측 상부 좌표 (aDW, bDW)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의해 커버되는 디스플레이(162)의 부분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우측 상부 코너는 좌표 (aDW + LDW, bDW)에 위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좌측 하부 코너는 좌표 (aDW, bDW + WDW)에 위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우측 하부 코너는 좌표 (aDW + LDW, bDW + WDW)에 위치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의 좌표에서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을 UIBC 입력으로서 프로세싱할 수 있다. 즉, 연관된 좌표들 (xSINK, ySINK)을 갖는 입력은, 하기 조건들
aDW ≤ xSINK ≤ aDW +LDW (1)
bDW ≤ ySINK ≤ bDW +WDW (2)
이 충족되면, UIBC 입력으로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UIBC 입력인 것으로 결정한 후, 입력과 연관된 좌표들은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되기 전에 UIPM(168)에 의해 정규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 외부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입력들은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넌-UIBC 입력들로서 로컬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입력 좌표들의 정규화는 소스-기반이거나 싱크-기반일 수 있다. 싱크-기반 정규화를 구현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120)는,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또는 비디오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122)에 대해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LSRC, WSRC)를 싱크 디바이스(160)에 전송할 수 있다.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예를 들어, 능력 협상 세션의 일부로서 송신될 수 있거나, 통신 세션 동안 다른 시간에 송신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디스플레이(162)에 대한 디스플레이 해상도 (LSINK, WSINK),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에 대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해상도 (LDW, WDW)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대한 좌측 상부 코너 좌표 (aDW, bDW)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좌표 (xSINK, ySINK)가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160)의 운영 시스템은 변환 함수들을 이용하여 좌표 (xSINK, ySINK)를 소스 좌표들 (xSRC, ySRC)에 맵핑할 수 있다. (xSINK, ySINK)를 (xSRC, ySRC)로 변환하기 위한 예시적인 변환 함수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xSRC = (xSINK - aDW) * (LSRC/LDW) (3)
ySRC = (ySINK - bDW) * (WSRC/WDW) (4)
따라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좌표를 송신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160)는 (xSINK, ySINK)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해 좌표 (xSRC, ySRC)를 송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좌표 (xSRC, ySRC)는,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송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부분들 전반에 걸쳐, 입력 좌표들이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이 좌표들은, 소스/싱크 시스템(100)이 싱크-기반 정규화를 구현하는 예들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 좌표들로 변환될 수 있다.
소스/싱크 시스템(100)이 소스-기반 정규화를 구현할 때, 로컬 입력들과는 반대로 UIBC 입력들인 것으로 (즉, 디스플레이 윈도우 외부에 있는 것과는 반대로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사용자 입력들의 경우, 앞선 계산들은 싱크 디바이스(160) 대신에 소스 디바이스(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계산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160)는 (xSINK, ySINK)에 대한 좌표들 뿐만 아니라 LDW, WDW에 대한 값들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대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aDW, bDW)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된 값들을 이용하면, 소스 디바이스(120)는 상기 수식 3 및 4에 따라 (xSRC, ySRC)에 대한 값들을 결정할 수 있다.
싱크-기반 정규화의 다른 구현들에서, 싱크 디바이스(160)는, 디스플레이(162) 상에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위치와는 반대로,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에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좌표들 (xDW, yDW)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좌표들 (xDW, yDW)은 (LDW, WDW)에 대한 값들과 함께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된 값들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다음의 변환 함수들에 따라 (xSRC, ySRC)를 결정할 수 있다.
xSRC = xDW * (LSRC/LDW) (5)
ySRC = yDW * (WSRC/WDW) (6)
싱크 디바이스(160)는 다음의 함수들에 기초하여 xDW 및 yDW를 결정할 수 있다.
xDW = xSINK - aDW (7)
yDW = ySINK - bDW (8)
본 개시가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좌표들을,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에서 송신하는 것을 설명하는 경우, 이러한 좌표들의 송신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싱크-기반 또는 소스-기반 정규화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싱크-기반 또는 소스-기반 정규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IBC는 크로스-플랫폼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는 iOS® 운영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는 한편, 싱크 디바이스(160)는 Android® 또는 Windows®, 또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및/또는 계기판이 배열되는 자동차의 제조자의 전매 운영 시스템과 같은 다른 운영 시스템을 실행한다. 플랫폼과는 무관하게, UIPM(168)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A/V 제어 모듈(125)에 이해될 수 있는 형태로 캡슐화할 수 있다.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플랫폼들 상에서 동작하는지와 무관하게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이 프로토콜을 활용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사용자 입력 포맷들은 UIBC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일반적(generic) 입력 포맷들이 정의될 수 있고, 플랫폼 특정 입력 포맷들이 모두 지원될 수 있어서, 사용자 입력이 UIBC에 의해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160) 사이에서 통신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제공한다.
도 1a의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Wi-Fi 가능 텔레비젼, 또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싱크 디바이스(160)는 자동차 또는 다른 타입의 차량의 계기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한다. 몇몇 예들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는 디바이스들의 시스템, 이를테면, 디스플레이(162), 스피커(163), UI 디바이스(167), 및 A/V 인코더(164)(이 부분들 모두는 계기판이 배열되는 자동차에서 별개지만 상호협력적인 디바이스들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유사하게, 단일 디바이스이기 보다는 디바이스들의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소스/싱크 시스템(10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소스/싱크 시스템(101)은 소스 디바이스(120) 및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도 1a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기능하고 동작할 수 있다. 소스/싱크 시스템(101)은 싱크 디바이스(180)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와 유사한 방식으로, 싱크 디바이스(18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설정된 UIBC를 통해 사용자 커맨드들을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및 싱크 디바이스(180)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120)에서 출력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및 싱크 디바이스(180)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는 1차 싱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180)는 2차 싱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구성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 및 싱크 디바이스(180)는 커플링될 수 있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반면, 싱크 디바이스(180)는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추가적으로, 몇몇 구성들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는, 싱크 디바이스(180)가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동안에만 송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소스 디바이스(220)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소스 디바이스(220)는 도 1a의 소스 디바이스(120)와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220)는 로컬 디스플레이(222), 로컬 스피커(223), 프로세서들(231), 메모리(232),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220)는, 전송, 저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A/V 데이터를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즉, 프로세서(231))을 포함할 수 있다. A/V 데이터는 예를 들어, 메모리(232)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32)는 전체 A/V 파일을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 또는 소스로부터 스트리밍되는 A/V 파일의 일부를 단순히 저장하는 더 작은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유닛(233)은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된 A/V 데이터는 프로세서(231)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해 전송 유닛(233)에 의해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NAL) 유닛들로 캡슐화될 수 있다. NAL 유닛들은 무선 모뎀(234)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무선 모뎀(234)은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군 중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Wi-Fi 모뎀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220)는 또한 A/V 데이터를 로컬로 프로세싱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프로세서(235)는 로컬 디스플레이(222) 상에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오디오 프로세서(236)는 스피커(223) 상에서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1a의 소스 디바이스(120)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220)는 또한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입력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소스 디바이스(220)의 무선 모뎀(234)은 NAL 유닛들과 같은 캡슐화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캡슐화된 데이터 유닛들을 캡슐화 해제를 위해 전송 유닛(233)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전송 유닛(233)은 NAL 유닛들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추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231)는 데이터 패킷들을 파싱하여 사용자 입력 커맨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31)는, 소스 디바이스(220)에 의해 싱크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있는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도 1a의 A/V 제어 모듈(125)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기능은 프로세서(231)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프로세서(231)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들(FPGA들), 다른 동등한 집적 또는 이산 로직 회로,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광범위한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를 표현한다. 도 2의 메모리(232)는,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와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FLASH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광범위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2)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2)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을 수행하는 것의 일부로서 프로세서(231)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 및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일례에서, 소스 디바이스(220)의 메모리(232)는, 소스 디바이스(220)와 자동차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231)에 의해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디바이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은, 소스 디바이스(220)와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개시 및 관리하기 위해 계기판 제조자 및/또는 자동차 제조자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계기판의 고유한 기능들을 소스 디바이스 상에 미러링하는 것, 및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자동차 데이터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례에서, 소스 디바이스(220)는, 비교적 대량의 저장 용량을 포함하는 메모리(232) 및 비교적 고급 프로세싱 능력들을 갖는 프로세서(231)를 갖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220)의 사용자는, 스마트폰들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모든 세팅들 및 상황들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에 앉아 있거나 그리고/또는 자동차로 이동중인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220) 상에 저장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차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용하여, 스마트폰 상에 상주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위해) 소스 디바이스(220)를 인증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상에서 레버리지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가 자동차 계기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상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친목, 내비게이션, 캘린더, 이메일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소스 디바이스(2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소스 디바이스(220)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3은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의 일례를 도시한다. 싱크 디바이스(360)는 도 1a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와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16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36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즉, 프로세서(331)), 메모리(332), 전송 유닛(333), 무선 모뎀(334), 디스플레이 프로세서(335), 로컬 디스플레이(362), 오디오 프로세서(336), 스피커(363)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36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캡슐화된 데이터 유닛들을 무선 모뎀(334)에서 수신한다. 무선 모뎀(334)은,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군으로부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Wi-Fi 모뎀일 수 있다. 전송 유닛(333)은 캡슐화된 데이터 유닛들을 캡슐화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유닛(333)은 캡슐화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출력을 위해 디코딩 및 렌더링되도록 프로세서(331)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335)는 로컬 디스플레이(362)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오디오 프로세서(336)는 스피커(363) 상에서의 출력을 위해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것에 부가하여, 무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는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를 통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는, 터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키보드, 마우스, 음성 커맨드 모듈, (예를 들어, 카메라-기반 입력 캡쳐 능력들을 갖는) 제스쳐 캡쳐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다수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포함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다수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은 프로세서(331)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이 프로세싱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생성되면, 전송 유닛(333)은 UIBC를 통한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의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3의 프로세서(331)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들(FPGA들), 다른 동등한 집적 또는 이산 로직 회로,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과 같은 광범위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메모리(332)는,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와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FLASH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광범위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2)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2)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을 수행하는 것의 일부로서 프로세서(331)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 및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일례에서, 싱크 디바이스(360)의 메모리(332)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와 소스 디바이스, 이를테면 소스 디바이스(220)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331)에 의해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싱크 디바이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차의 계기판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및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디스플레이(WIDI)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례에서, 싱크 디바이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은 WFD 시스템들 및 통신 세션들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에 따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소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대역외 TCP/IP 링크를 이용하여, 그리고 예를 들어, 계기판 및/또는 자동차 제조자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유 프로토콜들을 통해 WFD 표준들의 외부에서 소스 디바이스들과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 또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의 메모리(33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331)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싱크 디바이스(36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자동차의 ECU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센서들은 자동차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의 메모리(33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331)에 의해 실행되는 에이전트는 이러한 자동차 데이터와 상호작용하고 이를 리트리브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다음, 몇몇 예들에서, 이러한 자동차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들로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되어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센서들 및 엔진 제어 유닛(ECU)에 의해 파악 및 저장되는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 상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에 의해 리트리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동차의 다른 관련된 동작 데이터, 이를테면, 속력, 가속도, 브레이킹, 및 운전 습관들 및 메트릭들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는 에이전트에 의해 자동차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로부터 리트리브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송 유닛(333)이 자동차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Wi-Fi 모뎀(334)이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 이를테면, 사용자의 모바일 폰에 송신함으로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모바일 폰은, 예를 들어, 시간에 걸쳐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를 파악 및 구성하고, 몇몇 경우들에서는 가스 마일리지를 운전 습관들/메트릭들과 연관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가스 마일리지 예 이외에 광범위한 자동차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ECU로부터의 에러 코드들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서비스, 유지보수 및/또는 오작동들과 관련된 다른 진단 정보가 파악되고, 저장되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 이를테면, 모바일 폰에 통신될 수 있다.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자동차로부터의 이러한 에러 또는 진단 정보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파악 및 분석될 수 있고, 심지어, 예를 들어, 자동차에 대해 작업하도록 허가된(qualified) 및/또는 인가된 대리점 또는 정비소에서의 서비스 약속들을 자동으로 요청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자동차로부터의 에러 또는 진단 정보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파악 및 분석될 수 있고, 심지어, 예를 들어, 자동차를 서비스받게 하는 캘린더 이벤트, 리마인더 또는 작업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 교환 또는 다른 마일리지 또는 시간 기반의 예방적 서비스 체크들과 같은 정기적 서비스 이벤트들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자동차 ECU로부터의 코드들이 파악되고, 저장되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로부터 모바일 폰과 같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통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폰 소스 디바이스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360)로부터 수신된 ECU 코드들을 분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일 교환" 또는 "15,000 마일 체크업" 등으로 명명된 리마인더를 이용하여 또는 이러한 리마인더 없이 캘린더 이벤트를 자동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많은 세부사항들은 자동차의 상황에서 설명되었다. 자동차-특정 데이터의 몇몇 예들이 이러한 상황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수의 다른 타입들의 차량들에 의해 광범위한 적용들을 발견할 수 있고, 차량 데이터는 이러한 적용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계기판 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몇몇 동등한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이용할 수 있다. 계기판과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는 차량-특정일 수 있고, 차량의 타입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차량들은 자동차, 선박, 항공기, ATV(all-terrain vehicle) 및 탱크들 또는 다른 군사적 차량들, 세미-트럭들 또는 다른 운송 차량들 및 불도져들, 트랙터들 또는 다른 중장비 및 기차들, 골프 카트들 및 다른 타입들의 차량들을 포함한다. 광범위한 차량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골프 스코어들, 핸디캡들, 버디, 이글 및 보기와 같은 성능 메트릭들이 파악되고, 저장되고, 골프 카트에 포함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폰과 같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통신된다. 이러한 골프 통계들은 모바일 폰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파악되고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기간에 걸쳐 다양한 골프 코스들에서의 골프 스코어들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들로부터 모바일 폰 소스에 통신될 수 있다. 모바일 폰은 스코어들을 편집하여, 골퍼의 핸디캡을 자동으로 계산, 파악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농업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트랙터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파악되고, 저장되고, 모바일 폰 또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물 수확량과 같은 수확 데이터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파악되고 모바일 폰에 통신될 수 있고, 그 다음, 모바일 폰은 다수의 상이한 수확기들에 걸쳐 수확량을 저장 및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션 데이터가 군사적 차량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파악되고, 모바일 폰 또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 항공기, 헬리콥터 또는 다른 군사적 차량을 포함하는 무장된 군사적 차량으로부터 발사된 탄약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군사적 차량에 탑재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파악되고, 싱크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와 같은 싱크 디바이스는, 분석 또는 다른 참조를 위해 탄약 데이터를 보관하는 커맨드 및 제어 시스템에 탄약 데이터를 자동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송신기 시스템(410) 및 수신기 시스템(45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이들은 통신 채널(150)을 통한 통신을 위해 도 1a의 송신기/수신기(126) 및 송신기/수신기(166)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송신기 시스템(4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4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414)에 제공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414)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또는 OFDM, FDMA, TDMA 및/또는 CDMA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광범위한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도 4와 일치하여,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기지의(known)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기지의 데이터 패턴이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M-PSK, 또는 M-QAM(직교 진폭 변조), 여기서 M은 2의 거듭제곱일 수 있음)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가 변조(예를 들어, 심볼 맵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메모리(432)와 커플링될 수 있는 프로세서(4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이 TX MIMO 프로세서(420)에 제공되며, TX MIMO 프로세서(420)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4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422a 내지 422t)에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그 심볼들이 송신되고 있는 안테나에 빔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422)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송신기들(422a 내지 422t)로부터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NT개의 안테나들(424a 내지 424t)로부터 각각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450)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452a 내지 4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4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454a 내지 454r)로 제공된다. 수신기(4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상기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 다음,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460)는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4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그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4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4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410)에서 TX MIMO 프로세서(4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414)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과 상보적이다.
메모리(472)와 커플링될 수 있는 프로세서(470)는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436)로부터의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4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4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454a 내지 454r)에 의해 컨디셔닝되어, 다시 송신기 시스템(410)으로 송신된다.
송신기 시스템(410)에서, 수신기 시스템(4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450)으로부터의 변조 신호들이 안테나들(4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422)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4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4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그 다음, 프로세서(430)는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할 지를 결정하고, 그 다음,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도 5a는 능력 협상 세션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520)와 싱크 디바이스(560) 사이의 예시적인 메시지 전송 시퀀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능력 협상은 소스 디바이스(520)와 싱크 디바이스(560) 사이의 더 큰 통신 세션 설정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세션은, 예를 들어, 기본적인 접속 표준으로서 Wi-Fi Direct 또는 TDLS와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 인증된 무선 소스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통신 세션들은, 예를 들어, 소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대역외 TCP/IP 링크와 같은 사유 프로토콜들 및/또는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WFD 표준들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Wi-Fi Direct 또는 TDLS 세션을 설정한 후, 싱크 디바이스(560)는 소스 디바이스(520)와 TCP 접속을 개시할 수 있다. TCP 접속을 설정하는 것의 일부로서,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을 실행하는 제어 포트가 설정되어, 소스 디바이스(520)와 싱크 디바이스(560) 사이의 통신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20)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소스 디바이스(120)에 대해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560)는 일반적으로 도 1a의 싱크 디바이스(160)에 대해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20) 및 싱크 디바이스(560)가 접속을 설정한 후, 소스 디바이스(520) 및 싱크 디바이스(560)는 능력 협상 교환의 일부로서 이들의 후속 통신 세션에 대해 이용될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20) 및 싱크 디바이스(560)는 메시지들의 시퀀스를 통해 능력들을 협상할 수 있다.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 메시지들일 수 있다. 협상들의 임의의 스테이지에서, RTSP 요청 메시지의 수신자는, RTSP OK와는 상이한 RTSP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RTSP 응답으로 응답할 수 있고, 이 경우, 메시지 교환은 파라미터들의 상이한 세트로 재시도될 수 있거나, 능력 협상 세션은 종료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20)는, 싱크 디바이스(560)가 지원하는 RTSP 방법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메시지(RTSP OPTIONS 요청 메시지)를 싱크 디바이스(560)에 전송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20)로부터 제 1 메시지의 수신 시에, 싱크 디바이스(560)는, 싱크(560)에 의해 지원되는 RTSP 방법들을 리스팅하는 제 2 메시지(RTSP OPTIONS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제 2 메시지는 또한 RTSP OK 상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520)에 전송한 후, 싱크 디바이스(560)는, 소스 디바이스(520)가 지원하는 RTSP 방법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제 3 메시지(RTSP OPTION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560)로부터 제 3 메시지의 수신 시에, 소스 디바이스(520)는, 소스 디바이스(520)에 의해 지원되는 RTSP 방법들을 리스팅하는 제 4 메시지(RTSP OPTIONS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제 4 메시지는 또한 RTSP OK 상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스 디바이스(520)는 소스 디바이스(520)와 관련된 능력들의 리스트를 특정하기 위해, 제 5 메시지(RTSP GET_PARAMET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560)는 제 6 메시지(RTSP GET_PARAMETER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제 6 메시지는 RTSP 상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RTSP 상태 코드가 OK이면, 제 6 메시지는 또한, 싱크 디바이스(560)에 의해 지원되는 제 5 메시지에서 특정된 파라미터에 대한 응답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560)는, 싱크 디바이스(560)가 지원하지 않는 제 5 메시지의 파라미터들을 무시할 수 있다.
제 6 메시지에 기초하여, 소스(520)는 통신 세션에 대해 이용될 파라미터들의 최적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고, 제 7 메시지(RTSP SET_PARAMETER 요청 메시지)를 싱크 디바이스(56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7 메시지는 소스 디바이스(520)와 싱크 디바이스(560) 사이의 통신 세션 동안 이용될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7 메시지는, 통신 세션을 셋업하기 위해 RTSP 셋업 요청에서 이용될 유니버셜 자원 식별자(URI)를 나타내는 wfd-presentation-url을 포함할 수 있다. URI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N(uniform resource na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fd-presentation-url은, 세션 설정 교환 동안 나중의 메시지들에 대해 싱크 디바이스(560)가 이용할 수 있는 URI를 특정한다. 이 파라미터에서 특정된 wfd-url0 및 wfd-url1 값들은 제 7 메시지의 wfd-client-rtp-ports의 rtp-port0 및 rtp-port1의 값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예에서 RTP는 일반적으로, UDP의 최상위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시간 프로토콜을 지칭한다.
제 7 메시지의 수신 시에, 싱크 디바이스(560)는, 제 7 메시지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RTSP 상태 코드를 갖는 제 8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역할들은 상이한 세션들에서 반전될 수 있거나 변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통신 세션을 셋업하는 메시지들의 순서는, 소스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정의하고 싱크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도 5b는 능력 협상 세션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560)와 싱크 디바이스(520) 사이의 다른 예시적인 메시지 전송 시퀀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b의 메시지 전송 시퀀스는 도 5a에 대해 앞서 설명된 전송 시퀀스에 대한 보다 상세한 뷰(view)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도 5b에서, 메시지 "1b. GET_PARAMETER RESPONSE"는,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예를 들어, 일반적 및 HIDC)의 리스트 및 지원되는 입력 타입들의 복수의 리스트들을 식별하는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리스트의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각각은 지원되는 타입들의 연관된 리스트(예를 들어, generic_cap_list 및 hidc_cap_list)를 갖는다. 도 5b에서, 메시지 "2a. SET_PARAMETER REQUEST"는,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예를 들어, 일반적 및 HIDC)의 제 2 리스트 및 지원되는 타입들의 복수의 제 2 리스트들을 식별하는 제 2 메시지의 일례이다.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2 리스트의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각각은 지원되는 타입들의 연관된 제 2 리스트(예를 들어, generic_cap_list 및 hidc_cap_list)를 갖는다. 메시지 "1b. GET_PARAMETER RESPONSE"는 싱크 디바이스(560)에 의해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및 입력 타입들을 식별한다. 메시지 "2a. SET_PARAMETER REQUEST"는 소스 디바이스(520)에 의해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및 입력 타입들을 식별하지만, 소스 디바이스(520)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입력 카테고리들 및 입력 타입들의 포괄적인 리스트가 아닐 수 있다. 대신에, 메시지 "2a. SET_PARAMETER REQUEST"는, 싱크 디바이스(560)에 의해 지원되고 있는 것과 같은 메시지 "1b. GET_PARAMETER RESPONSE"에서 식별되는 이러한 입력 카테고리들 및 입력 타입들만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시지 "2a. SET_PARAMETER REQUEST"에서 식별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및 입력 타입들은 메시지 "1b. GET_PARAMETER RESPONSE"에서 식별된 입력 카테고리들 및 입력 타입들의 서브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어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데이터 패킷(600)의 양상들은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논의되는 기술들은 추가적인 타입들의 소스/싱크 시스템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600)은 데이터 패킷 헤더(610) 및 그에 후속하는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추가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페이로드 헤더들(예를 들어, 페이로드 헤더(63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600)은,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도 1a의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610) 및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600)의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하여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되고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몇몇 방식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파싱하다" 및 "파싱"은 일반적으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비트스트림을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일단 추출되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비트스트림 내의 정보가 어떻게 포맷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 헤더(610)는,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 둘 모두에 알려진 표준화된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많은 가능한 방식들 중 하나의 방식으로 포맷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헤더(610)를 파싱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가 어떻게 포맷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하여, 페이로드 데이터(650)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입력 커맨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은, 소스-싱크 통신에서 지원될 수 있는 상이한 타입들의 페이로드 데이터의 관점에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또한 페이로드 헤더(630)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페이로드 헤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를 파싱하여 페이로드 헤더(630)에 대한 포맷을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페이로드 헤더(630)를 파싱하여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나머지에 대한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그램(620)은 데이터 패킷 헤더(610)가 어떻게 포맷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적 도시이다. 행(615)의 번호들 0-15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 내의 비트 위치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고, 데이터 패킷 헤더(610) 내에 포함된 정보를 실제로 표현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데이터 패킷 헤더(610)는, 버전 필드(621), 타임스탬프 플래그(622), 예비된 필드(623),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 길이 필드(625) 및 선택적인 타임스탬프 필드(626)를 포함한다.
도 6의 예에서, 버전 필드(621)는,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낼 수 있는 3-비트 필드이다. 버전 필드(621)의 값은,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나머지를 어떻게 파싱할지 뿐만 아니라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어떻게 파싱할지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통지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버전 필드(621)는, 8개의 상이한 버전들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를 가능하게 할 3-비트 필드이다. 다른 예들에서, 버전 필드(621)에 대해 더 많거나 더 적은 비트들이 전용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타임스탬프 플래그(T)(622)는, 타임스탬프 필드(626)가 데이터 패킷 헤더(610)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1-비트 필드이다. 타임스탬프 필드(626)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생성되어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16-비트 필드이다. 타임스탬프는, 예를 들어, 프레임들이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되기 전에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비디오의 프레임들에 할당되는 순차적인 값일 수 있다. 타임스탬프 플래그(622)는,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필드(626)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1"을 포함할 수 있고, 타임스탬프 필드(626)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파싱 및 타임스탬프 필드(626)가 존재한다는 결정 시에, 소스 디바이스(120)는 타임스탬프 필드(626)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파싱 및 타임스탬프 필드(626)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 시에, 소스 디바이스(120)는, 어떠한 타임스탬프 필드도 데이터 패킷 헤더(610)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길이 필드(625)를 파싱한 후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파싱을 시작할 수 있다.
존재하면, 타임스탬프 필드(626)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획득되었을 때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가 비디오의 프레임을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하기 전에,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비디오의 프레임에 추가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비디오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와 같은 메타데이터로서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터에 임베딩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타임스탬프를 갖는 비디오 프레임을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160)는 비디오의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디오의 프레임이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가 소스 디바이스(120)에 사용자 커맨드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커맨드가 수신되었을 때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레임의 타임스탬프를 타임스탬프 필드(626)에 포함시킬 수 있다.
헤더에 존재하는 타임스탬프 필드(626)를 갖는 데이터 패킷(600)의 수신 시에, 무선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획득되었던 시간에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의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고, 타임스탬프에 의해 식별된 프레임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터치 디스플레에 인가된 터치 커맨드 또는 마우스 포인터의 클릭이면, 소스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터치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에 인가하거나 마우스를 클릭한 시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레임의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를 적절히 프로세싱하기 위해 프레임의 컨텐츠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 또는 마우스 클릭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또는 클릭의 시간에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고 있는 것에 의존할 수 있다. 터치 또는 클릭은, 예를 들어, 아이콘 또는 메뉴 옵션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컨텐츠가 변하고 있는 예들에서, 타임스탬프 필드(626)에 존재하는 타임스탬프는, 터치 또는 클릭을 정확한 아이콘 또는 메뉴 옵션에 매칭하기 위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타임스탬프 필드(626)의 타임스탬프를 비디오의 현재 렌더링되는 프레임에 적용되고 있는 타임스탬프와 비교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필드(626)의 타임스탬프를 현재 타임스탬프와 비교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120)는 라운드 트립(round trip)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라운드 트립 시간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송신된 시점으로부터, 그 프레임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이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20)에서 다시 수신되는 시점까지 경과되는 시간량에 대응한다. 라운드 트립 시간은 시스템 레이턴시의 표시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제공할 수 있고, 라운드 트립 시간이 임계값보다 더 크면, 소스 디바이스(120)는, 입력 커맨드가 오래된(outdated)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인가되었다는 가정하에,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라운드 트립 시간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소스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송신되고 있는 오디오/비디오 컨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임계값들은 프로그램가능할 수 있고, 허용가능한 라운드 트립 시간들에 대한 상이한 임계값들을 정의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또는 상이한 소스-싱크 조합들)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예비 필드(623)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 및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파싱 시에 소스(120)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8-비트 필드이다. 그러나, (버전 필드(621)에서 식별되는 바와 같은) 특정한 프로토콜의 장래의 버전들은 예비 필드(623)를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를 파싱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하기 위해 예비 필드(623)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버전 필드(621)와 함께 예비 필드(623)는 잠재적으로, 이미 이용중인 포맷 및 특징들을 근본적으로 변경함이 없이 데이터 패킷 포맷에 특징들을 추가 및 확장하기 위한 능력들을 제공한다.
도 6의 예에서,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4-비트 필드이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카테고리화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카테고리화하는 것은, 예를 들어, 커맨드를 송신한 디바이스에 기초할 수 있거나 또는 커맨드 자체의 특성들에 기초할 수 있다.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의 값은 가능하게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다른 정보와 결합되어, 페이로드 데이터(650)가 어떻게 포맷되어 있는지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식별시킬 수 있다. 이 포맷팅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결정하기 위해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입력 카테고리(624)는 4 비트이기 때문에, 가능하게는 16개의 상이한 입력 카테고리들이 식별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입력 카테고리는,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 둘 모두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일반적 정보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포맷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일반적 입력 포맷일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일반적 입력 포맷은,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소스 디바이스(120)와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하는 일반적 정보 엘리먼트들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이러한 입력 카테고리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 디바이스의 타입의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포맷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커맨드(HIDC) 포맷일 수 있다. 디바이스들의 타입들의 예들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조이스틱, 카메라, (카메라-기반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제스쳐 캡쳐 디바이스 및 리모트 콘트롤을 포함한다.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에서 식별될 수 있는 다른 타입들의 입력 카테고리들은,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사용자 데이터가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발신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포워딩 입력 포맷, 또는 운영 시스템 특정 포맷, 및 페이로드 데이터(650)가 음성 커맨드를 포함함을 나타내는 음성 커맨드 포맷을 포함한다.
길이 필드(625)는, 데이터 패킷(600)의 길이를 나타내는 16 비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는, 예를 들어, 8 비트 단위들로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600)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16 비트 워드들로 파싱되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600)은 16 비트의 정수까지 패딩될 수 있다. 길이 필드(625)에 포함된 길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종료(즉, 데이터 패킷(600)의 종료), 및 새로운 후속하는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식별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제공되는 필드들의 다양한 사이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필드들은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수의 비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패킷 헤더(610)는 앞서 논의된 필드들 전부보다 적은 수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앞서 논의되지 않은 추가적인 필드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고려된다. 실제로, 본 개시의 기술들은, 패킷들의 다양한 데이터 필드들에 이용되는 실제 포맷의 관점에서 유동적일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포맷팅을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 헤더(610)를 파싱한 후,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를 결정하기 위해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컨텐츠들을 나타내는 자기 자신의 페이로드 헤더(페이로드 헤더(63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파싱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헤더(630)를 파싱할 수 있고, 그 다음, 페이로드 헤더(630)의 파싱에 기초하여 나머지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가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일반적 입력이 존재함을 나타내면,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일반적 입력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일반적 입력 포맷에 따라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할 수 있다. 일반적 입력 포맷의 일부로서,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일련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입력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입력 이벤트는 자기 자신의 입력 이벤트 헤더를 갖는다. 아래의 표 1은 입력 헤더에 포함될 수 있는 필드들을 식별한다.
필드 사이즈(옥테트)
일반적 IE ID 1 표 2 참조
길이 2 옥테트들에서 다음 필드들의 길이
설명 가변적 사용자 입력들의 세부사항들. 표들 참조
일반적 입력 이벤트(IE) 식별(ID) 필드는, 입력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일반적 입력 이벤트 식별을 식별한다. 일반적 IE ID 필드는, 예를 들어 길이에서 1 옥테트일 수 있고, 아래의 표 2로부터 선택되는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와 같이, 일반적 IE ID 필드가 8 비트이면, (0-255로 식별되는) 256개의 상이한 타입들의 입력들이 식별가능할 수 있지만, 256개의 식별들 전부가 연관된 입력 타입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256개 중 일부는, 싱크 디바이스(160) 및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어떠한 프로토콜이 구현되고 있든지 간에 그 프로토콜의 장래의 버전들에 의한 장래의 이용을 위해 예비될 수 있다. 표 2에서, 예를 들어, 일반적인 IE ID들(9-255)은 연관된 입력 타입들을 갖지 않지만, 장래에 입력 타입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입력 이벤트 헤더의 길이 필드는 설명 필드의 길이를 식별하는 한편, 설명 필드는 사용자 입력을 설명하는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설명 필드의 포맷팅은 일반적 IE ID 필드의 입력 식별들의 타입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일반적 IE ID 필드에서 식별된 입력 타입에 기초하여 설명 필드의 컨텐츠들을 파싱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 헤더의 길이 필드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하나의 입력 이벤트의 종료 및 새로운 입력 이벤트의 시작을 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용자 커맨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입력 이벤트들로서 페이로드 데이터(650)에서 설명될 수 있다.
표 2는, 입력 타입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대응하는 일반적인 IE ID를 각각 갖는 입력 타입들의 일례를 제공한다.
일반적 IE ID 입력 타입
0 좌측 마우스 다운/터치 다운
1 좌측 마우스 업/터치 업
2 마우스 이동/터치 이동
3 키 다운
4 키 업
5
6 수직 스크롤
7 수평 스크롤
8 회전
9-255 예비됨
각각의 입력 타입과 연관된 설명 필드들은 상이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좌측 마우스 다운/터치 다운 이벤트, 좌측 마우스 업/터치 업 이벤트 및 마우스 이동/터치 이동 이벤트의 설명 필드들은, 예를 들어, 아래의 표 3에서 식별되는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다른 포맷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필드 사이즈(옥테트)
포인터들의 수(N) 1 멀티-터치 모션 이벤트의 포인터들의 수. 1로 설정되는 경우, 이것은 단일 터치 모션 이벤트를 나타냄
i=1의 경우: N {
포인터 ID 1 이 포인터의 식별 번호. 값은 [0,1...]에 있음
X-좌표 2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협상된 해상도에 대해 정규화된 이벤트에 대한 X-좌표
Y-좌표 2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협상된 해상도에 대해 정규화된 이벤트에 대한 Y-좌표
포인터들의 수는 입력 이벤트와 연관된 터치들 또는 마우스 클릭들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각각의 포인터는 고유의 포인터 ID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터치 이벤트가 세 손가락 터치를 포함하면, 입력 이벤트는, 고유의 포인터 ID를 각각 갖는 3개의 포인터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포인터(즉, 각각의 손가락 터치)는 그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대응 x-좌표 및 y-좌표를 가질 수 있다.
단일한 사용자 커맨드는 일련의 입력 이벤트들로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손가락 스와이프(swipe)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라는 커맨드이면, 세 손가락 스와이프는, 3개의 포인터들을 갖는 터치 다운 이벤트, 3개의 포인터들을 갖는 터치 이동 이벤트 및 3개의 포인터들을 갖는 터치 업 이벤트로서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설명될 수 있다. 터치 다운 이벤트의 3개의 포인터들은 터치 이동 이벤트 및 터치 업 이벤트의 3개의 포인터들과 동일한 포인터 ID들을 가질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이들 3개의 입력 이벤트들의 조합을 세 손가락 스와이프로서 해석할 수 있다.
키 다운 이벤트 또는 키 업 이벤트의 설명 필드들은, 예를 들어, 아래의 표 4에서 식별되는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 사이즈(옥테트)
예비됨 1 예비됨
키 코드 1(ASCII) 2 제 1 키 다운 또는 업 이벤트의 키 코드. 기본/확장 ASCII 코드는 하위 1 바이트를 이용한다. 상위 1 바이트는 장래의 ASCII 호환가능 키 코드를 위해 예비된다.
키 코드 2(ASCII) 2 제 2 키 다운 또는 업 이벤트의 키 코드. 기본/확장 ASCII 코드는 하위 1 바이트를 이용한다. 상위 1 바이트는 장래의 ASCII 호환가능 키 코드를 위해 예비된다.
줌 이벤트의 설명 필드는, 예를 들어, 아래의 표 5에서 식별되는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 사이즈(옥테트)
X 2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협상된 해상도에 대해 정규화된 줌 동작에 대한 기준 X-좌표
Y 2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협상된 해상도에 대해 정규화된 줌 동작에 대한 기준 Y-좌표
주밍할 정수 횟수 1 주밍할 횟수의 미부호 정수 부분
주밍할 분수 횟수 1 주밍할 횟수의 분수 부분
수평 스크롤 이벤트 또는 수직 스크롤 이벤트의 설명 필드는, 예를 들어, 아래의 표 6에서 식별되는 정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 사이즈(옥테트)
스크롤할 양 2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협상된 해상도에 대해 정규화된 스크롤할 픽셀들의 수. 음수는 우측 스크롤을 나타낼 수 있고, 양수는 좌측 스크롤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예들은, 페이로드 데이터가 일반적 입력 카테고리에 대해 포맷팅될 수 있는 몇몇 예시적인 방법들을 나타낸다.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가 상이한 입력 카테고리, 이를테면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면,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상이한 입력 포맷을 가질 수 있다.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으로, 싱크 디바이스(160)는 제 3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해석하지 않고 그 입력을 소스 디바이스(120)에 포워딩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 포맷에 따라 페이로드 데이터(650)를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페이로드 헤더(630)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된 제 3의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드는, 예를 들어, 제 3의 디바이스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도메인 명칭 또는 몇몇 다른 이러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제 3의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의 나머지를 파싱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일련의 메시지들을 통해 제 3의 디바이스와 능력들을 협상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능력 협상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120)와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것의 일부로서 제 3의 디바이스의 고유의 식별자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싱크 디바이스(160)는 제 3의 디바이스를 설명하는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는 제 3의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제 3의 디바이스를 설명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제 3의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또는 제 3의 디바이스의 능력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유의 식별자들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결정되든지 또는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결정되든지와 무관하게, 싱크 디바이스(160)가 제 3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의 고유의 식별자를, 예를 들어, 페이로드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입력의 기원(origin)을 식별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가 음성 커맨드와 같은 또 다른 입력 카테고리를 나타내면,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또 다른 입력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음성 커맨드에 있어서, 페이로드 데이터(650)는 코딩된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커맨드의 오디오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코덱은 일련의 메시지들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160) 사이에서 협상될 수 있다. 음성 커맨드를 송신하기 위해, 타임스탬프 필드(626)는 스피치-샘플링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타임스탬프 플래그(622)는 타임스탬프가 존재함을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타임스탬프 대신에, 타임스탬프 필드(626)는 페이로드 데이터(650)의 인코딩된 오디오에 대한 스피치-샘플링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음성 커맨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적 커맨드로서 송신될 수 있고, 이 경우,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는 일반적 커맨드 포맷을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예비된 일반적 IE ID들 중 하나가 음성 커맨드들에 할당될 수 있다. 음성 커맨드가 일반적 커맨드로서 송신되면, 스피치 샘플링 레이트는 데이터 패킷 헤더(610)의 타임스탬프 필드(626)에 존재할 수 있거나,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존재할 수 있다.
캡쳐된 음성 커맨드 데이터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는 다수의 방법들로 캡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커맨드 데이터는, 코덱 및 타임스탬프를 식별하기 위해 페이로드 타입을 제공할 수 있는 RTP를 이용하여 캡슐화될 수 있고, 타임스탬프는 샘플링 레이트를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RTP 데이터는, 선택적인 타임스탬프를 이용하든 이용하지 않든, 앞서 설명된 일반적 사용자 입력 포맷을 이용하여 캡슐화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TPC/IP를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120)에 음성 커맨드 데이터를 반송하는 일반적 입력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600)과 같은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페이로드 데이터(650)에 좌표들이 포함되는 경우, 좌표들은, 협상된 해상도에 기초하여 스케일링된 좌표들, 디스플레이 윈도우 좌표들, 정규화된 좌표들 또는 싱크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좌표들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데이터 패킷에서 수신된 좌표들을 정규화하기 위해 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 데이터 패킷에 포함될 수 있거나 별도로 송신될 수 있다.
특정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입력 카테고리와 무관하게, 데이터 패킷 헤더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헤더일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CP/IP는 싱크 디바이스(160) 및 소스 디바이스(120)가 패킷 손실의 이벤트에서 재송신 기술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소스 디바이스(120)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또는 소스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다른 목적들로,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2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7a는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능력들을 협상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흐름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7a의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가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701). 메시지는, 예를 들어, 파라미터 획득(get parameter)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싱크 디바이스(160)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03). 제 2 메시지는, 예를 들어,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1 리스트 및 지원되는 타입들의 복수의 제 1 리스트들을 식별하는 파라미터 획득 응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1 리스트의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각각은 지원되는 타입들의 연관된 제 1 리스트를 갖는다.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은, 예를 들어, 도 6의 입력 카테고리 필드(624)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카테고리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표 2는 특정한 입력 카테고리(이 예에서는 일반적 입력들)에 대한 지원되는 타입들의 일례를 표현한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제 3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705). 제 3 메시지는, 예를 들어, 세트 파라미터(set parameter) 요청을 포함할 수 있고, 세트 파라미터 요청은, 통신을 위한 포트,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2 리스트, 및 지원되는 타입들의 복수의 제 2 리스트들을 식별하고,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2 리스트의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각각은 지원되는 타입들의 연관된 제 2 리스트를 갖고, 제 2 리스트들의 지원되는 타입들 각각은 제 1 리스트들의 타입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제 4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707). 제 4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제 2 리스트들의 타입들이 인에이블되었음을 확인하는 세트 파라미터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제 5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709). 제 5 메시지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160) 사이에서 통신 채널이 인에이블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세트 파라미터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백 채널(UIBC)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제 6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711). 제 6 메시지는,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한 제 2 세트 파라미터 요청의 수신을 확인하는 제 2 세트 파라미터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능력들을 협상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7b의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가 싱크 디바이스(160)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702). 제 1 메시지는, 예를 들어, 파라미터 획득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제 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704). 제 2 메시지는, 예를 들어,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1 리스트 및 지원되는 타입들의 복수의 제 1 리스트들을 식별하는 파라미터 획득 응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1 리스트의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각각은 지원되는 타입들의 연관된 제 1 리스트를 갖는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60)에 제 3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706). 제 3 메시지는, 예를 들어, 통신을 위한 포트,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2 리스트, 및 지원되는 타입들의 복수의 제 2 리스트들을 식별하는 세트 파라미터 요청을 포함할 수 있고,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의 제 2 리스트의 지원되는 입력 카테고리들 각각은 지원되는 타입들의 연관된 제 2 리스트를 갖고, 제 2 리스트들의 지원되는 타입들 각각은 제 1 리스트들의 타입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제 4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708). 제 4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제 2 리스트들의 타입들이 인에이블되었음을 확인하는 세트 파라미터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60)에 제 5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710). 제 5 메시지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와 싱크 디바이스(160) 사이에서 통신 채널이 인에이블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세트 파라미터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백 채널(UIBC)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제 6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712). 제 6 메시지는,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한 제 2 세트 파라미터 요청의 수신을 확인하는 제 2 세트 파라미터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8a의 방법은 무선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801).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무선 싱크 디바이스(360)와 관련하여 도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와 같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예를 들어, 일반적인 것, 포워딩된 것 또는 운영 시스템 특정인 것으로 카테고리화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803). 데이터 패킷 헤더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헤더일 수 있다. 데이터 패킷 헤더는, 다른 필드들 중,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일반적 입력 포맷 또는 휴먼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805),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807).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TCP/IP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8b의 방법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8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할수 있다(804). 소스 디바이스(120)는 결정된 입력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80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a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901).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페이로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903), 여기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다. 일례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905),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헤더 및 생성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907).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과 같은,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도 9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b의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36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9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입력 타입 값과 같은 사용자 입력의 세부사항들을 설명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의 입력 타입 필드 내의 입력 타입 값을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을 파싱할 수 있다(904). 소스 디바이스(120)는 결정된 입력 타입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의 세부사항들을 설명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906).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a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001).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1003). 데이터 패킷 헤더는, 다른 필드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에 타임스탬프 필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타임스탬프 플래그(예를 들어, 1 비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플래그는,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1"을 포함할 수 있고, 타임스탬프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필드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생성되고 송신 전에 비디오 데이터에 추가되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16 비트 필드일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1005),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1007).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0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b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10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할 수 있다(1004).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에 타임스탬프 필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1006). 일례에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에 포함된 타임스탬프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헤더가 타임스탬프 필드를 포함하면, 소스 디바이스(120)는 타임스탬프 필드에 있는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1008).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1a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101).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1103). 데이터 패킷 헤더는, 다른 필드들 중 타임스탬프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필드는, 예를 들어, 무선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생성되고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에 송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16 비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 송신되기 전에 무선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에 추가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필드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캡쳐된 시간에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과 연관된 타임스탬프를 식별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1105),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1107).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1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1b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11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의 타임스탬프 필드를 식별할 수 있다(1104). 소스 디바이스(120)는 타임스탬프 필드에 있는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1106). 타임스탬프에 기초한 페이로드 데이터의 프로세싱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에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식별하고, 그 프레임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에 기초한 페이로드 데이터의 프로세싱의 일부로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타임스탬프를,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비디오의 현재의 프레임에 대한 현재의 타임스탬프와 비교할 수 있고, 타임스탬프와 현재의 타임스탬프 사이의 시간 차가 임계값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페이로드 데이터에서 설명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타임스탬프와 현재의 타임스탬프 사이의 시간 차가 임계값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페이로드 데이터에서 설명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2a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201). 일례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음성 커맨드 데이터일 수 있고, 음성 커맨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에 포함된 음성 커맨드 인식 모듈과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를 운전하면서 소스 디바이스(120) 상의 친목 애플리케이션의 누군가를 호출하기를 원할 수 있고, 지인의 번호를 리트리브하고 호출을 개시하는 더 안전한 수단으로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0)에서 수신되는 음성 커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1203). 싱크 디바이스(160)는 또한 페이로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1205), 여기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음성 커맨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또한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커맨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1207),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1209)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1209).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2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2b의 방법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12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음성 커맨드 데이터와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가 음성 커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1204).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a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301). 일례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의 UI(167)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76)와 같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160)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멀티-터치 제스쳐일 수 있다. 일례에서, 멀티-터치 제스쳐는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1303). 싱크 디바이스(160)는 또한 페이로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1305), 여기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제 1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제 1 포인터 식별과 연관시킬 수 있고, 제 2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제 2 포인터 식별과 연관시킬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1307),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1309).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3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b의 방법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13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멀티-터치 제스쳐와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1304). 일례에서, 식별된 데이터는, 제 1 포인터 식별을 갖는 제 1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 및 제 2 포인터 식별을 갖는 제 2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제 1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 및 제 2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멀티-터치 제스쳐로서 해석할 수 있다(1306).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4a의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싱크 디바이스(360)에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401). 일례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에 접속된 제 3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1403). 일례에서, 데이터 패킷 헤더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로서 식별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또한 페이로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1405), 여기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60)는 데이터 패킷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1407),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도 1a의 120 또는 도 2의 220))에 송신할 수 있다(1409). 싱크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333) 및 무선 모뎀(3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TCP/IP를 통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4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4b의 방법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1402),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다른 것들 중,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제 3의 디바이스로부터 포워딩된 것을 나타내는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와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유닛(233) 및 무선 모뎀(23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할 수 있고, 페이로드 데이터가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를 포함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1404).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포워딩된 사용자 입력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 3의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을 식별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1406).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제 3의 디바이스의 식별된 식별에 기초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1408).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5a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싱크 디바이스(160(도 1a) 또는 360(도 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3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5a의 방법은 무선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501).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연관된 좌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이벤트의 위치 또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정규화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1503).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정규화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1505). 좌표 데이터를 정규화하는 것은, 소스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22)와 같은 소스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해상도의 비에 기초하여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해상도는 싱크 디바이스(160)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 다음, 싱크 디바이스(160)는 정규화된 좌표들을 갖는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소스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1507). 도 15a의 방법의 일부로서, 싱크 디바이스(160)는 또한, 연관된 좌표 데이터가,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관된 좌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윈도우 외부에 있으면 사용자 입력을 로컬로 프로세싱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입력이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에 있으면, 설명된 바와 같이, 좌표들을 정규화할 수 있다.
도 15b는 본 개시에 따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20(도 1a) 또는 220(도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232))는, 실행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로 하여금, 흐름도에서의 예시된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모듈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5b의 방법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갖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포함한다(1502). 연관된 좌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에서 마우스 클릭 이벤트의 위치 또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120)는 정규화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1504). 소스 디바이스(120)는, 소스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해상도의 비에 기초하여 연관된 좌표 데이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좌표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해상도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소스 디바이스는 정규화된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1506).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은 일반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6은, 모바일 폰 소스 디바이스(1600) 및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10)을 포함하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소스/싱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폰 소스(1600) 및 계기판 싱크(1610)는,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기능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폰 소스(1600) 및 계기판 싱크(1610)는, 폰 소스(1600)로부터 계기판 싱크(1610)로의 오디오 및 비디오 페이로드 데이터 및 계기판 싱크(161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1610)로부터 UIBC를 통해 폰 소스(1600)에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통신 채널(1630)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폰 소스(1600)는,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계기판 싱크(1610)와 통신하기 위해 자동차 및/또는 계기판의 제조자에 의해 인증되는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을 포함한다. 계기판 싱크(1610)는, 예를 들어, 폰 소스 디바이스(1600)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소스 디바이스들과 싱크(1610) 사이의 통신 세션들을 위한 싱크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50)을 포함한다. 계기판 싱크(1610)는 또한,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다른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일반적으로 도 16에서 자동차 컴포넌트들(1620)로 표시됨)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자동차 에이전트(166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6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 소스(1600)는 네트워크(167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1670)는, 모바일 폰 소스(1600)를 다양한 원격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이를테면, 데이터 저장소들 및 원격 서버(1680)를 포함하는 서버들에 통신가능하게 접속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상호접속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상 및/또는 위성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670)는 사설 또는 공개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167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에 따른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송 매체를 통한 유선 및 무선 통신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670)는, 802.11 또는 블루투스 규격 세트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표준 또는 사유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70)는 또한,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DGE(Enhanced Data for Global Evolution)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지상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소스(1600)로부터 네트워크(1670)를 통해 통신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포맷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670)의 전부 또는 일부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들에서 폰 소스(1600)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패킷-기반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네트워크(1670)는, 모바일 폰 소스(1600)를 원격 서버(1680)에 통신가능하게 접속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상호접속된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서버(1680)는, 다수의 이유들로 모바일 폰 소스(16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는,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원격 서버(1680)에 통신한다. 원격 서버(1680)는 자동차 또는 계기판의 제조자에 의해 소유/동작될 수 있다. 일례에서, 동작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동작 상태 데이터와 관련되고 그리고/또는 그에 의해 표시되는 자동차의 진단 서비스 또는 유지보수 문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을 위해 원격 서버(1680)에 통신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바일 폰 소스 및 원격 서버(1680)는, 예를 들어, 원격 서버(1680)가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이유들로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들 및 기능들이 도 17에 도시되고, 도 17은,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기능들은, 폰 소스(1600) 및 계기판 싱크(1610)를 포함하는 도 16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도 17의 다양한 기능들에서 도시된 기능들은, 예를 들어, 자동차에 배열된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1610)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폰 이외의 무선 소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7은 다수의 이산적 기능들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하나의 방법을 도시한다. 다른 예들에서, 도 17의 방법의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위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기능(1700)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로부터 소스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것(1730)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의 예시적인 방법에서 도시된 기능들은, 이 기능들 중 일부가, 어느 디바이스가 송신하고 있고 어느 디바이스가 수신하고 있는지에 대해 포괄적이 되도록, 소스 디바이스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과 관련하여 프레이밍된다. 그러나,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소스 디바이스 및/또는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중 오직 하나의 관점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스 및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들 모두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17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차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의 예시적인 방법은,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무선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1700),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통신하는 단계(1710),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1720),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통신하는 단계(1730), 및 자동차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통신하는 단계(1740)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가 계기판 싱크(1610)와 통신하기 전에, 폰 소스(1600)는 이러한 통신 세션에 대해 인증받는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와 계기판 싱크 사이의 통신들은, 자동차 및/또는 자동차의 계기판의 제조자에 따라 광범위하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제조자들은, 각각의 개별적인 제조자의 자동차들에 포함된 계기판 싱크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타입의 소스 디바이스의 상이한 기능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WFD 시스템들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에서 제공되는 기능들과 같은 일반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기능들/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기 보다는, 일례로, 자동차 계기판 싱크와 통신하는 소스의 상황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는, 자동차 또는 계기판의 제조자에 의해 (이 둘이 상이한 회사들에 의해 제조되는 범위까지) 인증되고 구체적으로는 그 제조자의 계기판 싱크(16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16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계기판/자동차 제조자들과 제 3자들, 이를테면, 모바일 폰 제조자들 및/또는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 사이의 인증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달성될 수 있다. 모바일 폰(1600)이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계기판 싱크(160)와 통신하는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계기판/자동차 제조자는, 모바일 폰 소스(1600)의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은,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들의 보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계기판 싱크(1610)와의 통신들을 위한 모바일 폰 소스(1600)의 인증은, 2 레벨의 보안을 포함한다. 첫째로,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제조자의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들을 조정 및 제어하기 위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의 인가를 요구할 수 있고, 제조자가 이를 승인할 수 있다.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의 개발자는 모바일 폰 소스(1600)를 제조한 것과 동일한 회사 또는 폰 제조자와는 독립적인 다른 회사일 수 있음을 주목한다. 어느 경우이든, 일례에서, 모바일 폰들의 상이한 운영 시스템들, 이를테면, Google의 Android 상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개발한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의 개발자는, 예를 들어, BMW 자동차에서 폰 소스(1600)가 계기판 싱크(1610)와 통신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게 할 모바일 폰 소스(16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BMW와 같은 특정한 자동차의 제조자로부터의 인가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BMW는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통신들을 개방하기 위해 계기판 싱크(1600)에 통신될 수 있는 키 또는 다른 인증 코드 또는 메커니즘을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들은 보안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미인가된 사용자들 및/또는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다양한 공격들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계기판 싱크(1610)와 통신하는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이용하기 위한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을 인증하는데 이용되는 인증 키를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은 또한, 제조자 인증 키의 통신을 포함하는,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초기 핸드쉐이크를 보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에서 인증 키의 초기 핸드쉐이크 및 통신은, 예를 들어, 암호화/암호해독 키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되고, 이 방식에 의해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은, 제조자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계기판 싱크(1610)에 무선 송신하고, 그 다음, 계기판 싱크(1610)는 폰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암호해독 및 판독한다. 폰 소스(1600)가 계기판 싱크(1610)와의 통신들을 위해 인증된 후, 장래의 통신들은 암호화없이 송신될 수 있다.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암호화된 인증 세션은 공개 키를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비대칭 암호화 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에서,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암호화된 인증 세션은 공개 키를 이용하는 대칭 키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대칭 키 인증은, 평문의 암호화 및 암호문의 암호해독 모두를 위해, 평범하게 관련되고 종종 동일한 암호화 키들을 이용하는 인증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폰 소스(1600) 및 계기판 싱크(1610) 모두는 암호화 및 암호해독을 위해 동일한 공개 키를 이용할 수 있고, 공개 키는, 계기판이 배열되는 자동차 및/또는 계기판 싱크(1610)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된다. 다른 예에서,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암호화된 인증 세션은 공개 키를 이용하는 비대칭 키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칭 키(때때로 공개 키로 지칭됨) 인증은 2개의 별개의 키들, 즉, 평문을 락(lock) 또는 암호화하기 위한 하나의 키 및 암호문을 언락 또는 암호해독하기 위한 하나의 키를 요구하는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인증 세션을 위한 이러한 키들 중 하나는 퍼블리쉬 또는 공개되고, 나머지 하나는 비밀로 유지된다.
일례에서, 계기판 싱크(1610)는 하나의 시도로서 키를 폰 소스(1600)에 송신할 수 있고, 폰 소스(1600)는 계기판 및/또는 자동차의 제조자와 연관된 몇몇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폰 소스(1600)는 공개 키, 및 몇몇 경우들에서는 인증 키를 이용할 수 있고, 둘 모두는, 계기판 싱크(1610)로부터의 시로에 대한 응답을 포뮬레이트하고 그 응답을 계기판 싱크(1610)에 다시 송신하기 위해, 계기판 싱크(1610)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계기판 싱크(1610)는, 폰 소스(1600)로부터의 응답을 암호해제하고, 예를 들어, 인증 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스 디바이스 인증을 위해 비밀 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에서, 폰 소스(1600)가 계기판 싱크(1610)와의 통신들을 위해 인증된 후, 2개의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는,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모바일 폰 소스(1600)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와 페어링된 계기판 싱크(1610)는,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상태가 변하는 때를 폰 소스(1600)에 나타내고, 자동차의 현재의 상태에 기초하여 폰 소스(16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는, 예를 들어, 자동차가 정지되었는지 이동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ECU 및/또는 센서들과 같은 자동차의 다양한 컴포넌트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계기판 싱크(1610)는, 자동차가 이동중이라고 결정하고, 예를 들어, 자동차가 이동중이라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송신한다. 다른 예에서, 계기판 싱크(1610)는, 자동차가 정지되었다고 결정하고, 예를 들어, 자동차가 정지되었다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송신한다.
일례에서,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은,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폰 소스(1600)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스 계기판 애플리케이션(1640)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상이한 세트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폰 소스(1600)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토글링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동차가 정지중인 경우 폰 애플리케이션들 모두에 대한 완전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자동차가 이동중인 경우, 신경이 덜 쓰이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의 예시적인 방법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에 부가하여, 몇몇 예들에서, 폰 소스(1600)의 동작 상태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이동중이라고 계기판 싱크(1610)가 결정한 경우, 계기판 싱크(1610)는, 폰 소스(1600)가 스스로 제한된 기능 동작 모드로 이동하게 하거나 이를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되는 커맨드를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로부터의 커맨드는, 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징과 같이, 차를 운전하는 동안 사용자들이 실행하기에는 위험할 수 있는 특정한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모바일 폰 소스(1600)가 제한하게 할 수 있다.
일례에서, 계기판 싱크(1610)는, 계기판 싱크(161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을 모바일 폰 소스(1600)에 다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계기판 싱크(1610)의 사용자가 폰 소스(1600)를 제어하고, 폰 소스(1600)로부터 계기판 싱크(1610)에 송신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데이터는, 계기판이 배열되는 자동차의 계기판 싱크(1610) 상에서 관측, 액세스 및 상호작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친목 및 캘린더 애플리케이션들,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들,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들 등과 같은 모바일 폰 애플리케이션들은 계기판 싱크(1610) 상에서 쉽게 끊김없이 제시될 수 있고, 계기판 싱크(1610)를 통해 상호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1630) 상에서 UIBC를 통해 계기판 싱크(1610)로부터 모바일 폰 소스(1600)로 사용자 입력들을 통신하는 것은, 도 1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앞서 더 일반적으로 상세히 설명된 이러한 통신들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통신하는 것에 부가하여, 모바일 폰 소스(1600)와 계기판 싱크(1610) 사이의 링크는, 자동차과 관련되거나 자동차에 포함된 데이터 및/또는 디바이스들을 통신, 분석, 저장, 조작 등을 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들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자동차의 동작과 관련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은 스피커들 및 마이크로폰들과 같은 자동차의 주변기기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에 탑재된 센서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데이터는 계기판 싱크(1610)로부터 모바일 폰 소스(1600)로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소스(1600)는,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차 에이전트(1660)를 포함한다. 자동차 에이전트(1660)는,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자동차의 ECU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센서들은 자동차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계기판 싱크(1610)의 자동차 에이전트(1660)는 이러한 자동차 데이터와 상호작용하고 이를 리트리브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다음, 몇몇 예들에서, 이러한 자동차 데이터는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의해 다양한 방식들로 송신 및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의 ECU 및 센서들에 의해 파악되고 저장되는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는 계기판 싱크(1610) 상에서 실행되는 자동차 에이전트(1660)에 의해 리트리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동차의 다른 관련된 동작 데이터, 이를테면, 속력, 가속도, 브레이킹, 및 운전 습관들 및 메트릭들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는 자동차 에이전트(1660)에 의해 자동차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로부터 리트리브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싱크(1610)의 전송 유닛이 자동차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Wi-Fi 모뎀이 데이터를 폰 소스(1600)에 송신함으로써, 계기판 싱크(1610)에 의해 모바일 폰 소스(1600)에 송신될 수 있다. 모바일 폰 소스(1600)는, 예를 들어, 시간에 걸쳐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를 파악 및 구성하고, 몇몇 경우들에서는 가스 마일리지를 운전 습관들/메트릭들과 연관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가스 마일리지 예 이외에 광범위한 자동차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본 개시에 따른 예들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ECU로부터의 에러 코드들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서비스, 유지보수 및/또는 오작동들과 관련된 다른 진단 정보가 파악되고, 저장되고, 계기판 싱크(1610)로부터 모바일 폰 소스(1600)에 통신될 수 있다.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로부터의 이러한 에러 또는 진단 정보는 모바일 폰 소스(1600) 상에서 파악 및 분석될 수 있고, 그 다음, 모바일 폰 소스(1600)는,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1610)가 배열되는 자동차에 대해 작업하도록 허가된 및/또는 인가된 대리점 또는 정비소에서의 서비스 약속들을 자동으로 요청하기 위해 에러 및/또는 진단 정보를 네트워크(1670)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네트워크(1670)를 통해 원격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 통신할 수 있다. 많은 다른 차량-특정 타입들의 데이터가 다른 타입들의 차량들에 의해 유사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계기판 싱크(1610)의 자동차 에이전트(1660)는, 모바일 폰 소스(1600)와 주변기기들 사이의 직접 상호작용을 위해, 모바일 폰 소스(1600)로부터 주변기기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자동차의 스피커들 및/또는 마이크로폰으로의 채널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 소스(1600)에 포함된 것보다 더 높은 품질의 자동차 마이크로폰에 대한 무선 소스 디바이스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서, 모바일 폰 소스(16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자동차를 운전중인 동안 폰 소스(1600) 상의 친목 애플리케이션에서 누군가를 호출하기를 원할 수 있고, 자동차의 마이크로폰에서 수신되는 음성 커맨드를 이용할 수 있고, 마이크로폰은, 지인의 번호를 리트리브하고 호출을 개시하는 더 안전한 수단으로서 자동차 에이전트(1660)에 의해 계기판 싱크(1610)에 인터페이싱된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본 개시의 양상들은 도 1a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양상들은 결합될 수 있고, 단지 개별적이 아니라 서로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 및/또는 모듈들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 및 무선 싱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의 예에서 설명되는 통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능력들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다.
부록 1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 중 몇몇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의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60), 도 2의 소스 디바이스(220), 도 1의 싱크 디바이스(360), 도 5a 및 도 5b의 소스 디바이스(520) 및 싱크 디바이스(560)는, 부록 1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 및 소스/싱크 시스템들의 모든 예들이다.
본 개시의 많은 세부사항들은 자동차의 상황에서 설명되었다. 자동차-특정 데이터의 몇몇 예들이 이러한 상황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수의 다른 타입들의 차량들에 의해 광범위한 적용들을 발견할 수 있고, 차량 데이터는 이러한 적용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계기판 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몇몇 동등한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이용할 수 있다. 계기판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는 차량-특정일 수 있고, 차량의 타입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무선 핸드셋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 및 집적 회로(IC) 또는 IC들의 세트(즉, 칩 셋)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기능적 양상들을 예시하기 위해 설명되었고, 반드시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실현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면, 모듈들,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로 설명된 임의의 특징들은 집적 로직 디바이스에서 함께 구현되거나, 이산적이지만 상호협력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술들은,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과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FLASH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들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코드를 반송 또는 통신하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판독 및/또는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코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들(FPGA들), 또는 다른 균등한 집적 또는 이산 로직 회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서"는, 전술한 구조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의 구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구조 중 임의의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은, 전용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되거나 결합된 비디오 코덱으로 통합된 하드웨어 모듈들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술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양상들 및 다른 양상들은 하기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63)

  1.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계기판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함―;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헤더들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기판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계기판의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계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계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기 계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기판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계기판과의 통신들을 위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기판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기판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해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시도(challenge)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키는 상기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가,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되게 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계기판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이 이동중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커맨드를 상기 계기판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전화 통화, 텍스트 메시징 및 전자 메일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계기판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는, 차량 속력, 가속도, 브레이킹, 가스 마일리지, 에러 코드들 및 진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동차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
  14.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으로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하는 것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함―; 및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초래하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헤더들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기판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계기판의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것;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것을 초래하는, 차량 계기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계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기 계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유닛;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인증 키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계기판과의 통신들을 위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인증 키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유닛, 및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데이터를 암호해독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인증 키는 상기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연관되는, 차량 계기판.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가,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되게 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이 이동중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커맨드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전화 통화, 텍스트 메시징 및 전자 메일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차량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는, 차량 속력, 가속도, 브레이킹, 가스 마일리지, 에러 코드들 및 진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동차를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7.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계기판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함―;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고,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으로서,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 패킷 헤더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입력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함―;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
  29.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계기판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계기판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하는(parsing) 단계; 및
    결정된 입력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캡쳐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하는 단계;
    헤더들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계기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기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3. 제 29 항에 있어서,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기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계기판은, 상기 인증 키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계기판과의 통신들을 위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기판은 상기 데이터를 암호해독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키는 상기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이 이동중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차량이 이동중인 동안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단계는, 전화 통화, 텍스트 메시징 및 전자 메일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39.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는,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함―; 및
    상기 계기판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의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는, 차량 속력, 가속도, 브레이킹, 가스 마일리지, 에러 코드들 및 진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를 차량 속력, 가속도 및 브레이킹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에 대한 전자 요청을,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에 자동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이 서비스되어야 한다는 전자 리마인더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4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동차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
  45.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계기판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서,
    계기판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전송 유닛 ―상기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함―;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하는 것; 및
    결정된 입력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초래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46. 제 45 항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캡쳐하는 것을 초래하고, 상기 비디오 인코더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헤더들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계기판에 송신하고,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기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기판에 송신하고 ―상기 계기판은, 상기 인증 키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 그리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계기판과의 통신들을 위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기판은 상기 데이터를 암호해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1. 제 49 항에 있어서,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키는 상기 시도 키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연관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2.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유닛; 및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이 이동중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차량이 이동중인 동안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이, 전화 통화, 텍스트 메시징 및 전자 메일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5.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전송 유닛 ―상기 메시지는,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함―; 및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계기판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의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초래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는, 차량 속력, 가속도, 브레이킹, 가스 마일리지, 에러 코드들 및 진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싱하는 것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가스 마일리지 데이터를 차량 속력, 가속도 및 브레이킹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싱하는 것이, 상기 전송 유닛으로 하여금, 서비스에 대한 전자 요청을,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에 송신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59.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싱하는 것이,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이 서비스되어야 한다는 전자 리마인더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6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동차를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61.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계기판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무선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계기판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입력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2.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계기판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로서,
    계기판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입력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 헤더를 파싱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입력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
  63. 무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계기판과 무선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계기판과 통신하도록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계기판이 배열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데이터 및 차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계기판 싱크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계기판과 무선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는 방법.
KR1020147021787A 2012-01-06 2013-01-03 차량 계기판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111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3798P 2012-01-06 2012-01-06
US61/583,798 2012-01-06
US13/666,121 2012-11-01
US13/666,121 US8914187B2 (en) 2012-01-06 2012-11-01 Vehicle dashboard wireless display system
PCT/US2013/020150 WO2013103723A2 (en) 2012-01-06 2013-01-03 Vehicle dashboard wireless displa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09A true KR20140111009A (ko) 2014-09-17

Family

ID=4874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787A KR20140111009A (ko) 2012-01-06 2013-01-03 차량 계기판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14187B2 (ko)
EP (1) EP2801184B1 (ko)
JP (1) JP6169611B2 (ko)
KR (1) KR20140111009A (ko)
CN (1) CN104126294B (ko)
IN (1) IN2014CN04524A (ko)
WO (1) WO20131037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97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진단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8679B2 (en) 2010-05-24 2014-10-21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services via a peer-to-peer network over a data transport link
US9106651B2 (en) * 2011-09-19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human input device commands over internet protocol
US20130204962A1 (en) * 2012-02-02 2013-08-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 and peripheral interface circuits, systems and processes
US9832036B2 (en) 2012-02-09 2017-11-28 Keystone Integrations Llc Dual-mode vehicular controller
US20170034702A9 (en) * 2012-02-09 2017-02-02 Nordic Capital Partners, LLC Dual-Mode Master-Slave Controller and Method
US8799360B2 (en) * 2012-08-31 2014-08-05 Tweedle Group, Inc.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for a serve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services involving automobile head units
US8831585B2 (en) 2012-08-31 2014-09-09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for a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services involving automobile head units
US8751499B1 (en) * 2013-01-22 2014-06-10 Splunk Inc. Variable representative sampling under resource constraints
EP2713582B1 (en) * 2012-09-28 2018-08-0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access to automotive telematic services
US9144094B2 (en) * 2012-10-2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KR102017245B1 (ko) * 2013-01-17 201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US9197680B2 (en) * 2013-05-23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audio and voice back channels of a Wi-Fi display connection
EP3011725B1 (en) * 2013-06-18 2019-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shared between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26629B2 (en) * 2013-08-28 2016-08-23 At&T Mobility Ii Llc Autonomous pull and display of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by a mobile device based on context of the mobile device
KR102088384B1 (ko) * 2013-09-04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방법, 그에 따른 싱크 기기 및 그에 따른 미러링 시스템
US9428197B2 (en) * 2014-02-04 2016-08-30 Ford Global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istent transferrable customizable vehicle settings
JP6957811B2 (ja) * 2014-08-01 2021-11-02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システム
CN105722250B (zh) * 2014-12-03 2019-04-1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数据传输与反向控制方法、设备及系统
WO2016093623A1 (ko) * 2014-12-11 201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Wfd에서 보조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21796B2 (en) 2015-08-05 2020-04-14 EZ Lynk SEZC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wireless ECU monitoring and reprogramming
US10614640B2 (en) 2015-08-05 2020-04-07 EZ Lynk SEZC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wireless ECU monitoring and reprogramming
US11430273B2 (en) 2015-08-05 2022-08-30 EZ Lynk SEZ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ELD monitoring and ECU reprogramming
US11210871B2 (en) 2015-08-05 2021-12-28 EZ Lynk SEZ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emissions control unit monitoring and reprogramming
CN106467023A (zh) * 2015-08-18 2017-03-01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汽车仪表与智能终端的无线交互控制方法
US20170050520A1 (en) * 2015-08-18 2017-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trument indicator needle device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instantaneous fuel economy
US9604541B1 (en) 2015-10-06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operating environment
DE102015117947A1 (de) * 2015-10-21 2017-04-27 Sontheim Industrie Elektronik GmbH Verfahren zur Übermittlung von Daten
FR3050594B1 (fr) * 2016-04-20 2019-05-31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Procede de connexion d'un appareil electronique a un systeme embarque de vehicule, appareil electronique et systeme embarque de vehicule associes
US20170364869A1 (en) * 2016-06-17 2017-12-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tomatic maintenance for autonomous vehicle
US20180001767A1 (en) 2016-06-29 2018-01-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trument cluster arrangements for vehicles
US10027759B2 (en) 2016-08-05 2018-07-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HMI) device operation of a handheld mobile device
US11119486B2 (en) * 2016-09-13 2021-09-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and control mobility vehicles
CN107861777A (zh) * 2016-09-22 2018-03-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仪表设置方法、设置终端、车辆仪表和车辆
CN106375473A (zh) * 2016-09-29 2017-02-01 未来汽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控制方法及系统、移动终端、车载仪表设备
CN106331161A (zh) * 2016-09-29 2017-01-11 未来汽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控制方法及系统、移动终端、车载仪表设备
US20190392042A1 (en) * 2018-06-20 2019-12-26 TuSimple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error data associated with a vehicle
JP2023523366A (ja) * 2020-04-29 2023-06-02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関連装置
US11743366B1 (en) * 2020-10-13 2023-08-29 Marvell Asia Pte Ltd Communication of sensor data in a motor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897A (ja) * 2000-02-28 2001-09-04 Toshiba Corp 乗物用情報処理装置と車載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6622018B1 (en) 2000-04-24 2003-09-16 3Com Corporation Portable device control console with wireless connection
US8630312B2 (en) * 2006-12-04 2014-01-1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connection control protocol
JP2009107245A (ja) * 2007-10-31 2009-05-21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9107245A1 (ja) * 2008-02-29 2009-09-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8344870B2 (en) * 2008-10-07 2013-01-01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dashboard
US8311490B2 (en) 2008-12-24 2012-11-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ntrol system in a vehicle for activation of a remote device
JP4883132B2 (ja) * 2009-04-28 2012-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出力制御装置
KR101732057B1 (ko) 2009-11-02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CN102263801B (zh) * 2010-05-27 2014-07-1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载综合系统以及提供综合信息的方法
US9932013B2 (en) 2010-10-20 2018-04-03 Christopher J. Hall Utilization of ubiquitous transmitting devices to provide access control to vehicles and /or other controlled access items/areas
US8177182B1 (en) 2011-01-07 2012-05-15 Apple Inc.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for a portable media device
US9787725B2 (en) 2011-01-21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CN102215467A (zh) * 2011-05-17 2011-10-12 东莞市泰斗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限制手机通话的方法及相应的车载设备和手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97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진단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CN04524A (ko) 2015-09-11
WO2013103723A2 (en) 2013-07-11
WO2013103723A3 (en) 2013-11-14
CN104126294A (zh) 2014-10-29
JP2015512171A (ja) 2015-04-23
US20130179029A1 (en) 2013-07-11
EP2801184A2 (en) 2014-11-12
US8914187B2 (en) 2014-12-16
EP2801184B1 (en) 2017-03-29
CN104126294B (zh) 2018-04-24
JP6169611B2 (ja)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4187B2 (en) Vehicle dashboard wireless display system
KR101626355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KR101503386B1 (ko) 무선 싱크와 무선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능력들의 협상
KR101603155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KR101615998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KR101623895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KR101640854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KR101572977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US9582239B2 (en)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KR101533753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KR101616009B1 (ko) 무선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백 채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