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868A - 배관 접속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접속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868A
KR20140110868A KR1020147016555A KR20147016555A KR20140110868A KR 20140110868 A KR20140110868 A KR 20140110868A KR 1020147016555 A KR1020147016555 A KR 1020147016555A KR 20147016555 A KR20147016555 A KR 20147016555A KR 20140110868 A KR20140110868 A KR 2014011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narrowing
clamp
flang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808B1 (ko
Inventor
가즈마사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rollers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일정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컴팩트한 배관 접속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부에 플랜지(20)를 가지는 배관(19)의 접속용 클램프(1)로서, 한 쌍의 플랜지가 끼워맞추어지는 홈(2)이 형성되는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4, 5)와,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6)와, 제2 협착 부재(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지지 부재(7)와, 롤러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협착 부재(4)가 오목부(13)를 가지고, 롤러 지지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오목부로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에 의해 플랜지를 압압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Description

배관 접속용 클램프{PIPE-CONNECTING CLAMP}
본 발명은, 배관 접속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를 가지는 배관끼리를 접속, 고정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체(流體)를 보내기 위한 관의 분리를 필요로 하는 개소(箇所)의 조인트로서, 플랜지[관의 단부(端部)에서 형성된 원반형의 확경부(擴徑部)]를 사용한 플랜지 조인트가 알려져 있다. 플랜지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크게 나누어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를 체결하는 방법과 클램프 등에 의해 플랜지를 협착(挾着;clamping)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클램프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반원형으로 형성된 2개의 협착 부재(4, 5)의 일단을 각각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 부재(6)로 연결하고, 타단에 있어서, 하부 협착 부재(5)에는 회동 가능하게 체결 부재(28)를, 상부 협착 부재(4)에는 상기 체결 부재(28)가 끼워넣어지는 홈(31)을 형성하고 있다. 체결 부재(28)의 봉형(棒形) 부분(29)에는 나사가 잘라져 있어, 나비 너트(3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클램프로 플랜지를 고정시킬 때는, 플랜지를 협착 부재 내측에 형성된 홈(2)에 끼워맞추고, 체결 부재(28)를 상부 협착 부재(4)의 홈(31)에 끼워넣은 후, 나비 너트(30)를 조인다. 이와 같이 하여, 클램프의 협착 부재 내측에 형성된 홈(2)과 플랜지 외면과의 작용에 의해, 플랜지에 관축 방향의 힘이 가해져 협착된다. 이 일반적인 클램프에 대하여, 지금까지 각종 개량이 행해져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대략 원호형의 클램프 편을 가지고, 적어도 1개소를 제외한 부분에서 각 클램프 편의 단부가 서로 피벗 연결(pivotably linked)된 클램프 본체와, 이 클램프 본체의 피벗 연결되어 있지 않은 클램프 편의 단부끼리를 체결하기 위한 서로 나사결합하는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클램프 편의 각각의 내주면 측에는, 단관(短管) 부재에 형성된 양 테이퍼 플랜지부를 끼워넣는 홈부가 주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나사 부재는, 피벗 연결되어 있지 않은 클램프 편의 단부의 한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제1 나사 부재에 나사결합되어, 피벗 연결되어 있지 않은 클램프 편의 단부의 다른 쪽을 제1 나사 부재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나사 부재에, 래칫 공구가 걸어맞춤 가능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관 조인트용 클램프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배관의 이음매에 형성한 페룰(ferrule)의 맞닿은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환형(環形) 홈 내에 개스킷을 끼워넣도록 하여 양쪽의 배관의 페룰끼리를 맞대어, 상기 맞댐 부분의 외주에 긴착(緊着)하여 배관 내를 통류하는 분립체(粉粒體), 액체 또는 기체(氣體)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끼리의 맞댐 부분의 외주를 덮을 수 있는 오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2분된 한 쌍의 클램프 핸드의 하단부끼리를, 연결 금속 부재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한 쌍의 클램프 핸드의 자유단부측을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쪽으로 절곡하여 상면에서 볼 때 ㄷ자를 이루는 한 쌍의 체결부(fastening portion)를 형성하고, 한 쌍의 체결부 중 어느 한쪽의 체결부의 양측에 핀을 통하여 링크판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한 쌍의 링크판의 선단부에 핀을 통하여 기단부(基端部)에 캠부를 형성한 조작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부설(付設)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의 기단부에 형성한 캠부가 압접(壓接)하는 캠받이 오목부를, 다른 쪽의 체결부에 오목하게 형성한 배관용 클램프 조인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02808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0―25570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서는, 클램프를 체결하거나 또는 풀 때 전용의 공구가 필요하며, 또한 공구를 소정 횟수 회전시키므로, 어느 정도의 작업 시간이 필요했다. 또한, 사람의 손으로 조이는 상태를 조정하므로, 너무 조이는 것에 의한 파손이나 변형[소성(塑性) 변형]의 문제나, 조이지 않거나 하는 것에 의한 누출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핸들의 돌출이 크기 때문에 방해가 되어, 작업자가 걸릴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각 특허 문헌에 기재된 클램프는, 핸들이나 공구가 움직이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해지므로, 이들 클램프의 장착부 주변에는 비교적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일정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컴팩트한 배관 접속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단부에 플랜지를 가지는 배관의 접속용 클램프로서, 한 쌍의 플랜지가 끼워맞추어지는 홈이 형성되는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와,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제2 협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지지 부재와, 롤러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1 협착 부재가 오목부를 가지고, 롤러 지지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오목부로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에 의해 플랜지를 압압(押壓)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협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롤러를 오목부에 유도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경사면의 경계에 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협착 부재가, 대략 S자형의 상면(上面)에 의해 구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및 상기 롤러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처리가 행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표면을 매끈한 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표면에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처리가 행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을 증강시키는 기구(機構)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롤러보다 대경(大徑)의 조작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를 굴리는 작업으로 클램프를 착탈 가능하므로, 조작이 용이한 동시에 단시간에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등의 대형의 조작 부품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컴팩트하며, 착탈 조작을 위해 필요한 스페이스도 작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를 잡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a)는 롤러가 부리부(beak portion)에 접촉되었을 때, (b)는 롤러가 정상부에 도달했을 때, (c)는 롤러가 오목부에 끼워맞추어 졌을 때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를 벗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a)는 롤러를 표면 처리부까지 이동시켰을 때, (b)는 롤러가 정상부까지 이동했을 때, (c)는 롤러가 부리부로부터 벗어났을 때를 나타낸다.
도 4는 플랜지와 클램프와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斷面圖)이다. 여기서, (a)는 클램프가 내리눌러질 때, (b)는 클램프가 들어올려질 때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링을 구비하는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직경 차이의 롤러를 구비하는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클램프는, 한 쌍의 플랜지가 끼워맞추어지는 홈이 형성된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를, 롤러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1) 구조
도 1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클램프(1)는, 한 쌍의 협착 부재(4) 및 (5)와, 협착 부재(4) 및 (5)를 각각의 단부(17)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6)와, 하부 협착 부재(5)의 연결단(17)은 다른 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지지 부재(7)와, 한 쌍의 롤러 지지 부재(7)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부호 "4"를 상부 협착 부재, 부호 "5"를 하부 협착 부재라고 하지만, 실제의 배치 시에는 이들이 상하 관계로 되지 않아도 된다.
협착 부재(4, 5)는, 각각에 플랜지(20)가 끼워맞추어지는 반원형의 홈(2)이 형성되고, 또한 관형상을 따르는 반원형의 절결(切缺)(3)을 가진다. 상부 협착 부재(4)에는 연결단(17)과는 다른 단[바꾸어 말하면, 하부 협착 부재(5)의 롤러(8)가 설치되는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부리형의 걸림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부(11)의 상면은 대략 S자이며, 선단으로부터 연결단(17)을 향해 곡선으로 연속하여 산부(12)와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산부(12)는, 롤러(8)를 산부 경사면(15)을 따라 정상부(14)로 유도함으로써 협착 부재(4, 5)를 강압하는 역할과, 오목부(13)에 위치하는 롤러(8)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정상부(14)의 높이는, 상하의 협착 부재(4, 5)가 플랜지(20)를 협지한 상태[롤러(8)에 의해 고정시키기 전 상태]에 있어서, 롤러(8)의 하단(롤러 가동 반경)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11)의 선단으로부터 정상부(14)까지의 경사면(15)에 미끄럼방지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 처리는 정상부(14)를 넘어 오목부(13)와 정상부(14)와의 경계의 일정 부분까지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15)의 표면 처리와 대응하여 롤러(8)의 동체면에도 미끄럼방지 표면 처리가 행해져 있다. 미끄럼방지 표면 처리로서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톱니형을 형성할뿐, 표면에 섬세한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룰렛(roulette),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등의 기계 가공에 의한 것,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고무나 수지 등의 재료를 코팅하는 것 등이 예시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롤러(8)가 걸림부 산부(12) 표면을 롤링하기 쉬워지므로,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오목부(13)는, 상하의 협착 부재(4, 5)가 플랜지(20)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롤러(8)가 위치하는 오목부이다. 그러므로, 오목부(13)의 표면의 형상은, 롤러(8)의 주위면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한 곡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13)의 깊이는, 대응하는 규격의 플랜지를 협착했을 때, 하부 협착 부재(5)의 바닥부로부터 오목부 바닥(16)까지의 높이가 적절히 되도록 설계한다. 오목부(13)의 깊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오목부(13)에 의한 록 작용에 의해 롤러(8)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개스킷(21)을 체결력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3)에는 미끄럼방지 표면 처리는 행해져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13)의 표면의 전부 또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대부분을 매끈한 면(마찰 저항이 작은 면)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 경면 마무리나 윤활성을 가지는 수지 등을 코팅하여 마찰 저항을 더욱 작게 하는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클램프(1)가 조여져 있을 때에, 롤러(8)에 잘못하여 접촉되어 버려도 큰 힘을 가하지 않으면 롤러(8)는 그 장소에서 공전하고, 클램프(1)가 벗어나는 방향으로는 쉽게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롤러(8)는, 롤러 지지 부재(7)를 연결하는 롤러 축(2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8)는, 협착 부재(4, 5)를 고정시키는 고정 위치[즉, 오목부(13)의 위치]와 상부 협착 부재(4)와 비접촉으로 되는 개방 위치[도 1 및 도 3의 (c) 참조]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하부 협착 부재(5)에 회전가능 장착하는 핀(10)을 축으로 하여, 롤러 지지 부재(7)를 진자(振子) 운동시킬 수 있다.
(2) 체결 조작
본 실시형태의 클램프(1)를 사용하여, 단부에 플랜지(20)를 가지는 관(19, 19)끼리를 접속할 때의 클램프 조작 수순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최초에, 각 관 단부의 플랜지(20)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개스킷(21)을 사이에 협지(sandwich)하여 유지한 후, 클램프의 홈(2)에 끼워맞추어, 상하 협착 부재(4, 5)로 끼워넣도록 한다.
이어서, 롤러(8)를 상부 협착 부재(4)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산부 경사면(15)에 접촉시킨다[도 2의 (a)].
이어서, 경사면(15) 상을 롤러(8)를 굴려 상부 협착 부재(4)의 정상부(14)까지 이동시킨다[도 2의 (b)]. 이 때 상부 협착 부재(4)는 롤러(8)의 압압에 의해 내리눌러진다. 이것은, 플랜지(20)가 테이퍼면(22)을 가지고 있는 것, 사이에 탄성이 있는 개스킷(21)을 협지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즉, 개스킷(21)이 찌그러져 플랜지(20)의 합계폭이 작아져, 단면(斷面)이 사다리꼴의 홈(2)의 것보다 깊게까지 진입하기 때문이다[도 4의 (a) 참조].
그리고, 롤러(8)를 상부 협착 부재(4)의 오목부(13)에 위치시킨다[도 2의 (c)]. 이 때 상부 협착 부재(4)는 약간 부상한다[하협착 부재(5)로부터 이격된다]. 이것은, 플랜지(20)가 테이퍼면(22)을 가지고 있는 것, 사이에 탄성이 있는 개스킷(21)을 협지하고 있으므로, 개스킷(21)이 탄성에 의해 원래로 돌아오려고 플랜지(20)의 합계폭이 커져, 홈(2)의 바로 앞으로 가압하여 되돌려지기 때문이다[도 4의 (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클램프(1)에 의한 체결 작업은, 롤러(8)를 굴려 산부(12)를 넘게 하는 것뿐이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롤러(8) 및 롤러(8)가 구르는 경사면(15)에는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 처리가 행해져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에 있어서 핸들이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을 위한 스페이스도 작아진다.
(3) 분해 조작
본 실시형태의 클램프(1)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관(19, 19)끼리를 분해하는 경우의 클램프 조작 수순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클램프(1)를 벗기려면, 먼저, 롤러(8)에 경사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부 협착 부재(4)의 오목부(13)와 정상부(14)와의 경계까지 롤러(8)를 이동시킨다[도 3의 (a)]. 이 때 상부 협착 부재(4) 또는 하부 협착 부재(5)를 롤러(8)와는 역방향으로 가압하면서(힘을 가하면서) 행하면 조작이 용이하다.
이어서, 롤러(8)를 굴려 상부 협착 부재(4)의 정상부(14)까지 이동시킨다[도 3의 (b)]. 이 때 상부 협착 부재(4)는 롤러(8)의 압압에 의해 내리눌러진다[상기 도 2의 (b)의 설명 및 도 4의 (a) 참조].
그리고, 롤러(8)를 상부 협착 부재(4)의 산부 경사면(15) 상을 굴러 상부 협착 부재(4)로부터 벗긴다[도 3의 (c)].
마지막으로, 협착 부재(4, 5)를 개방하여 클램프(1)를 플랜지(20)로부터 벗김으로써, 관(19, 19)끼리를 분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클램프(1)에 의한 분해 작업은, 롤러(8)를 굴려 산부(12)를 넘게 하는 것뿐이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조작에 있어서 핸들이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을 위한 스페이스도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이 용이하며, 단시간에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등의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뜻하지 않은 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컴팩트한 클램프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는, 개스킷(21)의 찌그러짐량이 적어 플랜지(20)로부터의 반발력이 약한 경우나, 관(19) 내를 지나는 유체가 고압이므로, 보다 견고하게 플랜지(20)를 유지하려는 경우 등에 적합한 배관 접속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롤러 지지 부재(7)를 항상 줄어들게 하도록 하는 기구(압압력 증강 기구)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의 클램프의 구조를 설명하지만,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 지지 부재는 2개의 부재(7a, 7b)로 나누어져 있다. 부재(7a)는 단부에 대향하는 볼록형 부분(23a, 23b)을 가지고, 부재(7b)는 단부에 대향하는 볼록형 부분(23c, 23d)을 가지고, 각각의 단부가 T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압축 스프링(24)은, 상하에 위치하는 4개의 볼록형 부분(23a∼23d)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원통형의 스페이서(25a, 25b)는, 롤러 지지 부재(7a, 7b)를 연결하는 롤러 축(27) 및 핀(10)에 삽입장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스페이서(25a)가 한 쌍의 롤러 지지 부재(7a)와 롤러(8)와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2개의 스페이서(25b)가 한 쌍의 롤러 지지 부재(7b)와 하부 협착 부재(5)와의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볼록형 부분(23a, 23b)를 가지는 롤러 지지 부재(7a)는 롤러(8)에, 볼록형 부분(23c, 23d)를 가지는 롤러 지지 부재(7b)는 하부 협착 부재(5)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압축 스프링(24)은 스페이서(25a, 25b)에 의해 상하 협착 부재(4, 5)와 비접촉으로 되므로, 압축 스프링(24)의 신장(伸長) 작용에 의해 롤러(8)를 하부 협착 부재(5) 측으로 끌어들이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항상 클램프(1)를 조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플랜지(20)가 벗어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여, 보다 견고하게 플랜지(20)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1)는, 롤러(8)를 더욱 적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러(8)의 외측에 롤러(8)의 직경보다 큰 조작 롤러(26)를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의 구조를 설명하지만,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15)에 접촉하는 롤러(8)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롤러(8)와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조작 부재(조작 롤러)(26)를 가지고 있다. 롤러(8)는, 조작 롤러(26)가 걸림부(11)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부 협착 부재(4)보다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형태로서는, 롤러(8)와 조작 롤러(26)와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것이 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8)보다 조작 롤러(26)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롤러(8)를 회전시키는 것보다 적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다. 즉, 롤러 축(27)이 지점(支点), 롤러(8)와 걸림부(11)와의 접촉점이 작용점, 롤러(8)와 조작하는 손과의 접촉점이 역점(力点)으로 되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지점―작용점 사이의 거리보다 지점―역점 사이의 거리가 커지므로, 조작하는 힘을 적게 할 수 있다.
1: 클램프, 2: 홈, 플랜지 끼워맞춤 홈, 3: 절결, 4: 상부 협착 부재, 5: 하부 협착 부재, 6: 연결 부재, 7: 롤러 지지 부재, 8: 롤러, 9: 핀, 연결 부재, 10: 핀, 롤러 진자축, 11: 걸림부, 12: 산부, 13: 오목부, 14: 정상부, 15: 산부 경사면, 16: 오목부 바닥, 17: 연결단, 19: 관, 20: 플랜지, 21: 개스킷, 22: 테이퍼면, 23: 볼록형 부분, 24: 압축 스프링, 25: 스페이서, 26: 조작 부재, 조작 롤러, 27: 롤러 축, 28: 체결 부재, 29: 봉형 부분, 30: 나비 너트, 31: 홈(체결 부재가 끼워맞추어짐)

Claims (9)

  1. 단부(端部)에 플랜지를 가지는 배관의 접속용 클램프(clamp)로서,
    한 쌍의 플랜지가 끼워맞추어지는 홈이 형성되는 제1 협착(挾着; clamping)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
    제2 협착 부재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지지 부재; 및
    롤러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협착 부재가 오목부를 가지고, 롤러 지지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오목부로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협착 부재 및 제2 협착 부재에 의해 플랜지를 압압(押壓) 고정시키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롤러를 오목부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경사면의 경계에 정상부를 구비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착 부재가, 대략 S자형의 상면(上面)에 의해 구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및 상기 롤러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처리가 행해져 있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표면을 매끈한 면으로 한, 배관 접속용 클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표면에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처리가 행해져 있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을 증강시키는 기구(機構)를 구비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보다 대경(大徑)의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접속용 클램프.
KR1020147016555A 2011-12-13 2012-12-12 배관 접속용 클램프 KR102003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2014 2011-12-13
JP2011272014A JP5968617B2 (ja) 2011-12-13 2011-12-13 配管接続用クランプ
PCT/JP2012/082144 WO2013089118A1 (ja) 2011-12-13 2012-12-12 配管接続用ク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868A true KR20140110868A (ko) 2014-09-17
KR102003808B1 KR102003808B1 (ko) 2019-07-25

Family

ID=4861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555A KR102003808B1 (ko) 2011-12-13 2012-12-12 배관 접속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08668B2 (ko)
EP (1) EP2792923B1 (ko)
JP (1) JP5968617B2 (ko)
KR (1) KR102003808B1 (ko)
CN (1) CN103998843B (ko)
HK (1) HK1197096A1 (ko)
MY (1) MY185293A (ko)
SG (2) SG11201402965PA (ko)
TW (1) TWI603024B (ko)
WO (1) WO20130891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87U (ko) * 2017-09-29 2019-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선관 체결장치
KR102003330B1 (ko) * 2018-10-02 2019-07-24 (주)한양기술공업 용접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8238B2 (en) * 2011-08-24 2016-03-08 Victaulic Company Bracket
US20140255090A1 (en) * 2013-03-05 2014-09-11 Davis-Standard, Llc Clamp with actuator operated locking mechanism
US9651070B2 (en) 2013-10-03 2017-05-16 Shimano Inc. Bicycle clamp structure and bicycle operating device
US9570897B2 (en) * 2014-02-11 2017-02-14 Hubbell Incorporated Hinged clamp for spacer-damper
US10125906B2 (en) 2014-08-21 2018-11-13 Nordson Corporation Reusable clamp with latch release arm for connecting conduit sections and associated methods
CN104552086A (zh) * 2014-12-26 2015-04-29 镇江鼎胜铝业股份有限公司 铝加工设备套筒装配夹具
CN104907961A (zh) * 2015-06-16 2015-09-16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气压工装夹具及其应用
CN105114722A (zh) * 2015-09-21 2015-12-02 蒋福根 一种抱箍
US10119631B2 (en) * 2016-02-05 2018-11-0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Adjustable p-clamp
US10903632B2 (en) 2016-02-05 2021-01-2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Adjustable P-clamp with multiple mounting options
TWI585328B (zh) * 2016-02-26 2017-06-01 Jun-Mei Lin 扣環
DE102016103988A1 (de) 2016-03-04 2017-09-07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CN107237946B (zh) * 2016-03-28 2019-05-03 林峻梅 扣环
WO2018022721A1 (en) 2016-07-26 2018-02-01 Chatsworth Products, Inc. Features for cable managers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structures
DE102017003184A1 (de) * 2017-03-31 2018-10-04 Joimax Gmbh Einrichtung zum Halten eines elektromagnetischen Sensors
US10436362B2 (en) * 2017-09-19 2019-10-08 Mcelroy Manufacturing, Inc. Clamp assembly
CN107727486B (zh) * 2017-10-30 2019-11-22 金华出入境检验检疫局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保温杯手柄安装强度试验装置
CN108540917B (zh) * 2018-06-12 2020-11-24 歌尔股份有限公司 耳机磁力检测装置
EP3943794A3 (en) 2018-12-17 2022-03-23 Victaulic Company Reversible bracket
CN111022445A (zh) * 2019-11-28 2020-04-17 武汉高德智感科技有限公司 锁紧装置
US20220273392A1 (en) * 2021-02-27 2022-09-01 Innovative Medical Products, Inc. Expandable carriage with adjustable cross nut
US11629804B1 (en) 2022-04-20 2023-04-18 Carolina Components Group, Inc. Asymmetric clamp for joining sanitary fitting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5857A (en) * 1958-02-18 1962-07-24 August D Lineweber Tank and head connected by a detachable sealer
FR1383155A (fr) * 1963-11-15 1964-12-24 Tubes De La Providence Soc D Dispositif de raccordement étanche pour des tubes métalliques présentant éventuellement un revêtement intérieur
JPH06141006A (ja) * 1992-10-26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配信装置
JP3102808B2 (ja) 1990-08-29 2000-10-23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ルカラーイメージをハイライトカラーイメージへ写像する方法
JP2001248302A (ja) * 1999-12-28 2001-09-14 Kazue Omomo 棒体抱持金具及び足場形成方法
JP2005042740A (ja) * 2003-07-22 2005-02-17 Hoyu Co Ltd クランプ
JP2010255701A (ja) 2009-04-23 2010-11-11 Jmi:Kk 配管用クランプ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362A (en) * 1912-06-26 1915-11-30 Alfred E Hyland Coupling for pipe, hose, shafts, &c.
US1603412A (en) * 1924-06-03 1926-10-19 Charles C Rohde Coupling
US1646463A (en) * 1925-05-08 1927-10-25 Stokesberry Horace Pipe coupling
US2775806A (en) * 1953-09-09 1957-01-01 Kac Ltd Adjustable girth clamping ring
US3705737A (en) * 1971-04-23 1972-12-12 Forms Const Pipe coupling with releasable connector
US3828403A (en) * 1972-04-10 1974-08-13 D Perrin Pipe coupling
AU1610183A (en) * 1982-06-23 1984-01-05 Maxwell Graham Begley Conduit clamp
AU1600083A (en) * 1982-06-23 1984-01-05 Maxwell Graham Begley Line clamp
US4573717A (en) 1984-07-09 1986-03-04 Hps Corporation Toggle clamp
CN2237772Y (zh) * 1995-12-01 1996-10-16 陈旺松 管套夹
GB9820348D0 (en) 1998-09-19 1998-11-11 Fusion Group Plc Clamp
US5988694A (en) * 1998-11-13 1999-11-23 Brushaber; Donald Pipe coupling clamp with locking lever
DE10057304A1 (de) * 2000-11-17 2002-05-23 Putzmeister Ag Schalenkupplung für Rohre
CN2457387Y (zh) * 2000-12-12 2001-10-31 中国石油集团地球物理勘探局 钻机凸轮式锁紧装置
JP3102808U (ja) 2004-01-15 2004-07-15 株式会社フジトク 管継手用クランプ部材
US7828340B2 (en) * 2006-10-18 2010-11-09 Allegheny Coupling Company Coupling
US7445252B2 (en) * 2007-01-29 2008-11-04 Ying Yeeh Enterprise Co., Ltd. Connecting device
US8033579B2 (en) * 2007-10-05 2011-10-11 Ckd Corporation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5857A (en) * 1958-02-18 1962-07-24 August D Lineweber Tank and head connected by a detachable sealer
FR1383155A (fr) * 1963-11-15 1964-12-24 Tubes De La Providence Soc D Dispositif de raccordement étanche pour des tubes métalliques présentant éventuellement un revêtement intérieur
JP3102808B2 (ja) 1990-08-29 2000-10-23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ルカラーイメージをハイライトカラーイメージへ写像する方法
JPH06141006A (ja) * 1992-10-26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配信装置
JP2001248302A (ja) * 1999-12-28 2001-09-14 Kazue Omomo 棒体抱持金具及び足場形成方法
JP2005042740A (ja) * 2003-07-22 2005-02-17 Hoyu Co Ltd クランプ
JP2010255701A (ja) 2009-04-23 2010-11-11 Jmi:Kk 配管用クランプ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87U (ko) * 2017-09-29 2019-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선관 체결장치
KR102003330B1 (ko) * 2018-10-02 2019-07-24 (주)한양기술공업 용접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5293A (en) 2021-04-30
CN103998843B (zh) 2016-06-29
TWI603024B (zh) 2017-10-21
SG10201602709RA (en) 2016-05-30
EP2792923B1 (en) 2019-02-20
KR102003808B1 (ko) 2019-07-25
JP5968617B2 (ja) 2016-08-10
HK1197096A1 (zh) 2015-01-02
TW201337137A (zh) 2013-09-16
US20140333068A1 (en) 2014-11-13
EP2792923A1 (en) 2014-10-22
WO2013089118A1 (ja) 2013-06-20
CN103998843A (zh) 2014-08-20
US10508668B2 (en) 2019-12-17
SG11201402965PA (en) 2014-10-30
EP2792923A4 (en) 2015-08-26
JP2013124678A (ja)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808B1 (ko) 배관 접속용 클램프
CA2878443C (en) Hand tool for use in the quick disconnection of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s
JP4575973B2 (ja) 流体機器接続構造及び流体機器ユニット
US20110272888A1 (en) Slip joint with clamp
US20060006651A1 (en) Corrugated tube fitting
KR20040077623A (ko) 파이프 고정장치
JP2008546966A (ja) 管継手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JP5405253B2 (ja) 配管用クランプ継手
JP2010196887A (ja) ヘルールクランプ
KR101559084B1 (ko) 양방향 가압용 부싱 및 상기 양방향 가압용 부싱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JP3147855U (ja) 配管用クランプ継手
KR20210045130A (ko) 관 이음 장치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GB2509897A (en) Internal anchor for sealing curved pipe
US20240093817A1 (en) Quick-connect device
CN212616981U (zh) 一种可适用不同厚度管体的密封接头
KR20200104806A (ko)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CN209524210U (zh) 软管接头和卡箍
WO2020175919A1 (ko)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JP3115139U (ja) サニタリー配管継手
JP6548207B2 (ja) 配管用クランプ及びサニタリー配管の接続構造
JP2005307454A (ja) 栓装置及び排水用配管部材
KR200352644Y1 (ko) 가압력 조절 나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