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101A -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8101A KR20140108101A KR1020130153182A KR20130153182A KR20140108101A KR 20140108101 A KR20140108101 A KR 20140108101A KR 1020130153182 A KR1020130153182 A KR 1020130153182A KR 20130153182 A KR20130153182 A KR 20130153182A KR 20140108101 A KR20140108101 A KR 20140108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omer
- weight
- acrylonitrile
- styrene
- co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08F212/10—Styrene with nitri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50/00—Compositions for coatings
- C08G2150/60—Compositions for foaming; Foamed or intumescent co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4—N2 releasing, ex azodicarbonamide or nitroso compou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PVC 발포 가공조제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득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PVC 발포 가공조제 및 이로부터 응집 특성이 탁월하고, 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PVC)의 발포 성형성을 보강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기재는 PVC 발포 가공조제와 제조방법 및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집 특성이 탁월하고, 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PVC)의 발포 성형성을 보강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와 제조방법 및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 수지(PVC)는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부분의 가공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염화비닐 수지는 충격강도, 가공성, 열안정성, 열변형 온도가 불량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첨가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안정제, 충진제 등이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근래에는 염화비닐 수지를 경량화하고 성형품 가격을 저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포성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참고로, 염화비닐 수지를 단독으로 발포 성형하면 충분한 연신 및 용융강도를 얻을 수 없어 성형품의 외관이 불량하고 발포 셀이 크고 균일하지 않아 발포배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도록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량 아크릴레이트계 가공조제를 발포제와 혼합하여 염화비닐 수지에 첨가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인 예로서 미국특허 제6,391,976호에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공단량체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6,221,966호에서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주 단량체로 사용하여 중합한 라텍스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고분자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상술한 고분자량 아크릴레이트계 가공조제보다 가격 측면에선 경쟁력을 갖지만 염화비닐 수지의 발포 가공시 품질이 저하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기재는 고 분자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되 고 분자량 아크릴레이트계 가공조제 수준의 발포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PVC 발포 가공조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 PVC 발포 가공조제를 이용하여 발포 성형성이 보강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에 따르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0~90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50~10wt%;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00~5,000,000g/mol범위 내이고,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1,000,000g/mol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에 따르면,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중합 개시제 하에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00~5,000,000g/mol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단계 공중합체 50~90 wt%에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7.5~40wt%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2.5~10wt%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제 하에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0~1,000,000g/mol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상기 제1 단계 공중합체를 감싸는 구조의 고분자를 수득하는 제2 단계;로 구성된 PVC 발포 가공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기재에 따르면,
염화비닐 수지 및 상술한 PVC 발포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기재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기재에서는 응집 특성이 우수하고, 염화비닐 수지의 발포 성형성을 보강할 수 있는 PVC 발포 가공조제로서의 PVC 발포 가공조제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PVC 발포 가공조제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0~90wt%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50~10wt%로 구성되는 것이 응집 특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발포 가공 시 발포가 균일하지 않아 셀 사이즈(cell size)가 증가하는 등 발포 성형성이 저하되던 염화비닐 수지의 발포 성형성 또한 보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60~85wt%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5~40wt%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발포 특성을 개선하도록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0~5,000,000g/mol, 2,000,000~4,000,000g/mol, 3,000,000~4,000,000g/mol, 혹은 3,200,000~3,50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발포 특성과 응집 특성을 개선하도록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1,000,000g/mol, 300,000~850,000g/mol, 혹은 500,000~700,000g/mo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PVC 발포 가공조제 총 함량 중50~90wt%로 포함되는 것이 응집 특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염화비닐 수지의 발포 성형성 또한 보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PVC 발포 가공조제 총 함량 중 60~85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PVC 발포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중량 기준 13~28wt% 혹은 18~22.5wt%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 상용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단량체는 PVC 발포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중량 기준 38~66wt% 혹은 42~59.5wt%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 발포 성형성을 적절하게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일례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PVC 발포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1~28wt%, 혹은0.1~15wt% 범위 내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일례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스티렌계 단량체과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50~80:5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총 100 중량% 기준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50~80wt%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20~50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 기준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50~70wt%,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5~25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25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 중량% 기준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50~70wt%,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5~25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25wt%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공단량체0.01~3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공단량체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종류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에 투입하는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사용 함량에 따라 유리전이온도 조절을 통해 응집 특성이 우수한 가공조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PVC 발포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중량 기준 2.5~10wt%, 혹은 3~8wt%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 정상 분체 입도 분포로 응집시킬 수 있어 적절하다.
일례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총 100wt% 기준으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60~90wt%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40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는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총 100wt% 기준으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60~90wt%,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30wt% 및 공단량체0.01~30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공단량체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종류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일례로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중량 기준 7.5~40wt% 혹은 12~32wt%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 응집 특성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일례로 앞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의 설명에서 기재한 종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일례로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단량체를 일례로 0.01~10wt%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공단량체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종류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기재에서 사용되는 중합 방식은 유화 중합, 현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방식 등 통상의 중합 방식이라면 특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중합 개시제 하에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00~5,000,000g/mol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단계 공중합체 50~90 wt%에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7.5~40wt%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2.5~10wt%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제 하에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0~1,000,000g/mol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상기 제1 단계 공중합체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제2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PVC 발포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중량 기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0.001~28wt%를 더 포함하여 중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총 100 중량% 기준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50~70wt%,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5~25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25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제1 단계 생성물41~94wt%에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총 59~6wt% 함량으로 투입하고 중합시킬 수 있다.
각 중합에서 개시제로는 공지의 유기계 과산화물, 무기계 과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의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숙신산 퍼옥사이드, 퍼옥시말레산 t-부틸 에스테르,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 과산화물, 또는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유용성 개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아황산 나트륨, 티오류산 나트륨, 소디움 메타비술파이트, 소디움 비술파이트, 소디움 디티오나이트, 소디움 2-히드록시-2-술피나토아세트산, 아스코르빈산, 히드록시아세톤, 혹은 황산 제1철,과 EDTA 착체의 환원제를 조합시켜 수득된 레독스형 개시제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PVC 발포 가공조제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 100 중량부 기준, 0.003 내지 0.3 중량부씩, 0.004 내지 0.1 중량부씩, 혹은 0.004 내지 0.007 중량부씩 투입할 수 있다.
이중에서, 유화 중합에는 공지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알킬술폰산 나트륨, 알킬벤젠 술폰산 나트륨, 디옥틸술폰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지방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혹은 알킬 페놀류, 지방족 알코올류,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반응 생성물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등 통상의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필요에 따라 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단계와 제2단계의 중합은 각각 30~55℃ 혹은 35~45℃ 하에 3.5~5.5hr, 혹은 3.5~5hr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 생성물은 응집시켜 분체로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응집 온도는 일례로 58~97℃ 혹은 66~80℃일 수 있다.
이같이 수득된 분체는 발포 성형성을 보강하고자 하는 염화비닐 수지에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수득된 분체를1~20 중량부, 혹은 1~10 중량부 범위 내로 배합할 수 있다.
본 기재에 따르면, 응집 특성이 탁월하고, 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PVC)의 발포 성형성과 응집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기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기재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
[
실시예
1]
교반기가 부착된 5L 중합 반응기에 탈이온수 160 중량부, 유화제(KAO사, Latemul ASK) 0.8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 초산염 0.01 중량부, 황산 제1철 0.001 중량부를 투입 후 반응기 내부를 질소 가스로 충분히 치환하고, 온도를 40 ℃로 승온하였다.
그런 다음 스티렌 52.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22.5 중량부를 투입하고,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05 중량부와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05 중량부를 투입하고 6시간 동안 중합하여 평균 입경이 120nm인 1단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중합 전환율: 96%, 1단계 공중합체의 Mw:3,500,000g/mol).
이때 평균 입경은 PSS(Particle Sizing Systems) 사의 Submicron Particle Sizer, NICOMP 380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에 해당한다.
상기 반응기에 2단계로 유화제(KAO사, Latemul ASK) 0.2 중량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2 중량부, 황산 제1 철 0.0002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투입하고,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01 중량부와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05 중량부를 투입하고 40℃에서 4시간 동안 중합하여 평균 입경이 140 nm인 2단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중합 전환율: 98%, 2단계 공중합체의 Mw: 600,000g/mol).
수득된 라텍스를 염화 칼슘으로 응집하고, 수세 및 건조하여 분체를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7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8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2 단계 공중합체의 Mw는 600,000g/mol이었다.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59.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25.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0,000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500,000g/mol이었다.
[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4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8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2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8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0,000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700,000g/mol이었다.
[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4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8 중량부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200,000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500,000g/mol이었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2 단계 중합 없이 수득된 1단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염화 칼슘으로 응집하고, 수세 및 건조하여 분체를 수득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0,000g/mol이었다.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0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투입하고 2 단계 중합 없이 수득된 1단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염화 칼슘으로 응집하고, 수세 및 건조하여 분체를 수득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700,000g/mol이었다.
[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2 단계 중합 시 개시제인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4 중량부를 투입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중합을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2 단계 공중합체의 Mw는 100,000g/mol이었다.
[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1 단계 중합 시 개시제인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1 중량부를 투입하고 60℃에서 4시간 동안 중합을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1,800,000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700,000g/mol이었다.
[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2 단계 중합 시 개시제인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02 중량부를 투입하고 35℃에서 6시간 동안 중합을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2 단계 공중합체의 Mw는 1,200,000g/mol이었다.
상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에서 수득된 고분자 분체 4 중량부를 염화비닐 수지(LG080, LG화학 제조) 100 중량부, 열안정제(OTL-9, 선경 화성) 4 중량부, 탄산칼슘 7 중량부, 윤활제 2 중량부, TiO2 2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르본아미드) 0.7 중량부와 함께 헨셀 믹서기를 이용하여 115 ℃까지 승온하면서 혼합하고 렉텡귤러 슬릿 다이(rectangular slit die)를 장착한 Haake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발포 성형을 진행하여 두께 5 mm, 넓이 30 mm의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하기 시험 항목에 따라 측정된 물성값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응집온도(℃): 공중합체 라텍스를 응집 후 건조한 다음 mesh size가 200인 mesh (seive size 0.075mm)에서 통과분의 함량이 20% 이하가 되는 온도를 측정 하였다(응집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적정 크기의 분말상 중합체를 제조할 수 없음).
발포 압출시 토크( Torque )(%), 용융압 ( bar ), 용융온도(℃): Hakke발포 압출기 (압출온도: C1/C2/A/D=170/178/180/178℃, 스크류 속도: 25rpm)에서 측정된 수치.
발포 압출시 압출량 (g/ min ): 발포 성형시 1분에 압출기에서 가공되어 나오는 성형물의 질량.
발포 압출시 발포 비중(g/ cc ): 비중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치.
발포 압출시 발포셀 사이즈( mm ):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된 셀 사이즈 50개의 평균값.
구분 | 응집온도(℃) | 토크 (%) |
용융압(Bar) | 압출량 (g/min) |
발포 비중(g/cc) | 발포셀 사이즈 (mm) |
실시예1 | 71 | 79 | 124.2 | 68.3 | 0.427 | 101 |
실시예2 | 66 | 84 | 125.0 | 68.7 | 0.466 | 97 |
실시예3 | 80 | 80 | 121.8 | 67.7 | 0.489 | 91 |
실시예4 | 70 | 84 | 125.8 | 68.8 | 0.471 | 99 |
실시예5 | 72 | 87 | 135.7 | 68.5 | 0.409 | 111 |
비교예1 | - | 72 | 112 | 62.5 | 0.713 | 69 |
비교예2 | 64 | 70 | 104.7 | 66.1 | 0.719 | 62 |
비교예3 | 68 | 70 | 115.5 | 67.0 | 0.612 | 83 |
비교예4 | 69 | 76 | 114.0 | 64.0 | 0.580 | 74 |
비교예5 | 76 | 75 | 114.7 | 61.1 | 0.655 | 72 |
상기 표 1 에서 보듯이, 실시예 1 ~ 5의 경우 90℃ 이하의 온도에서도 분체의 형성이 용이하며 발포 압출 가공 시에도 가공을 촉진하여 압출량이 높고 발포 특성을 좋게 하여 발포 비중이 낮다.
반면 비교예 1과 같이 적정 분자량의 2nd 공중합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발포 비중이 높고 압출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높은 Tg로 인해 분체의 사이즈가 너무 작아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비교예 2와 같이 1st 단계에 고분자량의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비교예 4와 같이 1st 단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낮은 경우 발포 특성이 악화되며 비교예 3,5와 같이 2nd 단계의 분자량이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발포 특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사용하는 단량체 함량 및 분자량 변화에 따른 물성 변화를 확인하도록 추가 실험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66.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28.5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만 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0만 g/mol이었다.
[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28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12 중량부를 투입하였고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8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12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만 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90만 g/mol이었다.
[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3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만 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50만 g/mol이었다.
[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2단계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5 중량부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12.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50만 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70만 g/mol이었다.
[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67.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7.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370만 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60만 g/mol이었다.
[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 1에서, 1단계 단량체로서 스티렌 37.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7.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1단계 공중합체의 Mw는 250만 g/mol이었고, 2단계 공중합체의 Mw는 60만 g/mol이었다.
구분 | 응집온도(℃) | 토크 (%) |
용융압 (Bar) |
압출량 (g/min) |
발포 비중(g/cc) | 발포셀 사이즈 (mm) |
비교예6 | 98 | 76 | 113.8 | 62.3 | 0.627 | 77 |
비교예7 | 68 | 76 | 114.2 | 61.5 | 0.604 | 78 |
비교예8 | - | 79 | 120.7 | 66.0 | 0.487 | 95 |
비교예9 | 57 | 76 | 113.4 | 61.8 | 0.599 | 74 |
비교예10 | 72 | 72 | 107.1 | 61.2 | 0.724 | 66 |
비교예11 | 69 | 76 | 114.2 | 61.0 | 0.609 | 84 |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비교예 6과 7처럼 2nd 단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 발포 비중이 높고 압출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비교예 6과 같이 2nd 단계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 비교예 8과 같이 2nd 단계 단량체 중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낮은 경우 높은 Tg로 인해 분체의 사이즈가 너무 작아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비교예 9와 같이 2nd 단계 단량체 중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높은 경우 응집은 용이하나 발포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비교예 10 및 11과 같이 1st 단계 공중합체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비율이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PVC와의 상용성 저하로 발포 특성이 저하되었다.
Claims (15)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0~90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50~10wt%;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00~5,000,000g/mol범위 내이고,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1,000,000g/mol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50~80:50~2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중합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에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중합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총 100wt% 기준으로, 스티렌계 단량체50~70wt%,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5~25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25wt%를 포함하고 중합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총 100wt% 기준으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60~90wt%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40wt%를 포함하고 중합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
-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를 중합 개시제 하에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00~5,000,000g/mol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단계 공중합체 50~90 wt%에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7.5~40wt%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2.5~10wt%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제 하에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0~1,000,000g/mol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상기 제1 단계 공중합체를 감싸는 구조의 고분자를 수득하는 제2 단계;로 구성된 PVC 발포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총 100 중량% 기준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50~70wt%,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5~25wt%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25wt%를 포함하고 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생성물은 응집시켜 분체로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 염화비닐 수지;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PVC 발포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및 PVC 발포 가공조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353,975 US9670349B2 (en) | 2013-02-28 | 2013-12-18 | PVC foam processing ai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PCT/KR2013/011817 WO2014133254A1 (ko) | 2013-02-28 | 2013-12-18 |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CN201380004059.1A CN104136527B (zh) | 2013-02-28 | 2013-12-18 | Pvc发泡加工助剂、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pvc发泡加工助剂的聚氯乙烯树脂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870 | 2013-02-28 | ||
KR20130021870 | 2013-0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8101A true KR20140108101A (ko) | 2014-09-05 |
KR101556447B1 KR101556447B1 (ko) | 2015-10-01 |
Family
ID=5175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3182A KR101556447B1 (ko) | 2013-02-28 | 2013-12-10 |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670349B2 (ko) |
KR (1) | KR101556447B1 (ko) |
CN (1) | CN104136527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67385B2 (en) | 2016-05-24 | 2019-01-01 | Lg Chem, Ltd. | Acrylic processing ai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vinyl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KR20190090338A (ko) | 2018-01-24 | 2019-08-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14600B (zh) * | 2015-06-04 | 2020-03-31 | 株式会社钟化 | 氯乙烯系树脂组合物 |
KR102466491B1 (ko) | 2021-06-29 | 2022-11-14 | 유한회사 와이엠리앤텍 | Pvc 공정오니의 건조장치 |
KR102692847B1 (ko) | 2021-07-15 | 2024-08-07 | 유한회사 지구코리아 | Pvc 분말 선별기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9356B1 (ko) | 1988-07-09 | 1999-05-15 | 윌리엄 이 렘버트 3세 | 알카리-불용성 코어/알카리-용해성 쉘을 포함하는 중합체조성물 |
US5212251A (en) | 1990-09-24 | 1993-05-18 | Rohm And Haas Company | Alkali-resistant core-shell polymers |
FR2733503B1 (fr) * | 1995-04-28 | 1997-07-18 | Gen Electric Plastics Abs Euro | Utilisation d'alliage polymere a base de polymerisat de tetrafluorethylene comme auxiliaire de traitement de certaines resines |
JP3631361B2 (ja) | 1997-12-04 | 2005-03-23 | 株式会社カネカ |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
WO1999043741A1 (fr) | 1998-02-24 | 1999-09-02 | Mitsubishi Rayon Co., Ltd. | Additif pour moulage de mousse et composition a base de resine de chlorure de vinyle renfermant cet additif |
TW486502B (en) | 1998-08-28 | 2002-05-11 | Kanegafuchi Chemical Ind | Processing aid for vinyl chloride resin an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
US6784230B1 (en) * | 1999-09-23 | 2004-08-31 | Rohm And Haas Company | Chlorinated vinyl resin/cellulosic blends: compositions, processes, composites, and articles therefrom |
KR100512355B1 (ko) * | 2003-02-19 | 2005-09-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염화비닐 발포체 |
KR100548630B1 (ko) * | 2003-09-04 | 2006-01-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US20050137341A1 (en) * | 2003-12-11 | 2005-06-23 | Hawrylko Roman B. | Foamable polyvinyl chloride compound tolerant of high heat conditions |
KR100715851B1 (ko) | 2005-04-07 | 2007-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고분자 라텍스 입자의 제조 방법 |
CN101190993A (zh) * | 2006-11-18 | 2008-06-04 | 沂源瑞丰高分子材料有限公司 | 聚氯乙烯低发泡管用高分子量加工改性剂 |
CN101338059A (zh) * | 2007-07-03 | 2009-01-07 | 广州市波斯塑胶颜料有限公司 | 一种pvc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
KR100871560B1 (ko) | 2007-11-15 | 2008-12-01 | 영신프라텍(주) | 폴리염화비닐계 발포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염화비닐계 발포체 |
CN102477192B (zh) * | 2010-11-29 | 2014-05-14 | 山东博拓塑业股份有限公司 | 抗静电聚氯乙烯发泡板材 |
CN102532394B (zh) * | 2010-12-22 | 2013-09-11 | 无锡市长盛塑化有限公司 | 聚氯乙烯用丙烯酸酯助剂、其制备方法和应用 |
-
2013
- 2013-12-10 KR KR1020130153182A patent/KR101556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8 US US14/353,975 patent/US9670349B2/en active Active
- 2013-12-18 CN CN201380004059.1A patent/CN104136527B/zh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67385B2 (en) | 2016-05-24 | 2019-01-01 | Lg Chem, Ltd. | Acrylic processing ai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vinyl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US10640636B2 (en) | 2016-05-24 | 2020-05-05 | Lg Chem, Ltd. | Acrylic processing ai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vinyl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KR20190090338A (ko) | 2018-01-24 | 2019-08-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US11091625B2 (en) | 2018-01-24 | 2021-08-17 | Lg Chem,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copolyme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670349B2 (en) | 2017-06-06 |
US20160333176A1 (en) | 2016-11-17 |
KR101556447B1 (ko) | 2015-10-01 |
CN104136527B (zh) | 2017-03-01 |
CN104136527A (zh) | 2014-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6447B1 (ko) |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KR101478027B1 (ko) | 내충격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TWI676649B (zh) | 具有改善之性質形貌的經耐衝擊改質之模塑組成物 | |
TWI603987B (zh) | 經改質以具有耐衝擊性及改進之光學性質之pmma | |
KR101497766B1 (ko) |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 |
JP6573933B2 (ja) | アクリル系加工助剤及びこれを含む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 |
KR101537843B1 (ko)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
KR102081763B1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1056931B1 (ko) |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가공조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1957854B1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20150142906A (ko) |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2248039B1 (ko) | 코어-쉘 공중합체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
KR101638744B1 (ko) | 가공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 |
KR102276017B1 (ko) |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
KR102093963B1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US9279049B2 (en) | Low-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 |
KR100785613B1 (ko) | 염화비닐계 수지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이를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0508906B1 (ko) |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06725B1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2006716B1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1480588B1 (ko) |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 |
KR20170140943A (ko) |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20170037014A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20210031276A (ko) | 아크릴계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KR101685242B1 (ko) | 고분자 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