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877A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7877A KR20140107877A KR1020130022023A KR20130022023A KR20140107877A KR 20140107877 A KR20140107877 A KR 20140107877A KR 1020130022023 A KR1020130022023 A KR 1020130022023A KR 20130022023 A KR20130022023 A KR 20130022023A KR 20140107877 A KR20140107877 A KR 20140107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guide
- guiding
- guide roller
- lift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장치(100)는, 층간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매입되는 틀 형태를 갖고 내측에 와이어(W)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112)가 부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90도 회동가능한 개폐레버(114)가 구비되며, 내측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관(116)이 설치된 탈출구 본체(110)와;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 상에 와이어(W)가 권취된 견인휠(121) 및 견인휠을 회전을 체인(C)으로서 감아 내리거나 올리는 타입으로 정,역회전 감속시키는 감속휠(122)을 구비한 완강기(123)가 부착되고, 완강기(123)가 설치된 일측에는 견인휠(121)로부터 와이어(W)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124)가 구비된 상부도어(120)와; 상기 탈출구 본체(110) 내부의 가이드관(116)에 일측이 안내되어 대피자를 탑승하기 위한 승강판(131)과, 승강판(131) 일측에 안내공(131a)이 형성되되, 안내공(131a)이 형성된 승강판(131) 상부에 상기 견인휠(121)의 와이어(W) 단부와 연결되어 승강판(131)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00)이 구비된 승강부(130)와;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114)에 의해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0)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다단 봉부재(300)가 복수개 부착 설치된 하부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탈출구 본체의 상부도어및 하부도를 개방한 상태에서 완강기를 통한 감속기능과 승강부의 가이드수단은 하부도어측에 마련되어 개방시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다단 봉부재에 맞추어 수직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다단 봉부재를 이루어 다단 인출되는 제2, 제3파이프에 가이드롤러가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밀착 구름동작을 구현하여 안정된 속도로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간 대피함으로써, 기존의 비상탈출장치에 비해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 하지가 불편한 장애자들도 조작이 쉬우면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 층간 이동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개선하여 일반인은 물론, 임산부, 어린이, 하지가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다층구조의 건축물에는 화재시 비상탈출을 위한 탈출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건물의 화재시 계단이 있는 비상탈출구를 이용하거나, 비상탈출구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는 건물의 내에 설치되어 비상시에는 건물의 외측으로 완강기장치를 안내하여 건물 외벽을 타고 내려올 수 있는 완강기가 그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완강기의 경우 몸이 불편하지 않은 사람들에 한하여 탈출할 수 있는 기구이지만 그 반대로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에는 탈출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완강기 타입과는 달리 건물의 발코니에 비상탈출장치를 층간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100호(발명의 명칭: 비상탈출장치)이 선원기술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탈출로를 형성하는 틀 형태의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도어와,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도어로 크게 나누어지며, 몸체 내에는 접철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도어에는 사다리를 손쉽게 하방향으로 펼쳐 일반인들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양측의 절첩부와 함께 높이조절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하강시 이들에 간섭되는 부상위험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조절부를 구성하는 레버는 몸체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있는 체인을 따라가면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하강 속도를 맞추기 어렵고, 하강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승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인들은 상기 하부도어에 마련된 사다리를 통해 신속한 탈출을 할 수 있지만, 상기 체인을 풀어주기 위한 레버의 위치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한 체인의 이동과정은 급작스런 상황에서 조작이 쉽지 않은 단점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재차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승의 어려움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의 연속과정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재와 같은 비상시 층간 이동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개선하여 일반인은 물론, 임산부, 어린이, 하지가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층간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매입되는 틀 형태를 갖고 내측에 와이어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부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90도 회동가능한 개폐레버가 구비되며, 내측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관이 설치된 탈출구 본체와; 상기 탈출구 본체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 상에 와이어가 권취된 견인휠 및 견인휠을 회전을 체인으로서 감아 내리거나 올리는 타입으로 정,역회전 감속시키는 감속휠을 구비한 완강기가 부착되고, 완강기가 설치된 일측에는 견인휠로부터 와이어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된 상부도어와; 상기 탈출구 본체 내부의 가이드관에 일측이 안내되어 대피자를 탑승하기 위한 승강판과, 승강판 일측에 안내공이 형성되되, 안내공이 형성된 승강판 상부에 상기 견인휠의 와이어 단부와 연결되어 승강판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승강부와; 상기 탈출구 본체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에 의해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수단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다단 봉부재가 복수개 부착 설치된 하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은,
승강판의 안내공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각각 하단이 부착되며 다단 봉부재의 외직경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롤러가 상하 구름가능하게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응되며 다단 봉부재의 외직경에 밀착 구름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가 상하 구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면에 가이드봉이 복수개 구비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브라켓과, 상기 승강판의 상면 양측에 하단이 부착 설치되어 이동브라켓의 가이드봉을 관통 안내하는 고정대와, 상기 이동브라켓의 가이드봉을 수용하여 고정대로부터 이동브라켓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승강판의 상면에 고정브라켓과 고정대를 용접 고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고정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고정브라켓 상부 일측에 부착 설치되어 견인휠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를 연결 고정하는 걸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단 봉부재는,
내경 하부에 걸림턱을 갖고, 일측에는 부착부가 마련된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 내에 안내되고, 상부측 단부는 제1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며, 하단에는 제1가이드롤러 및 제2가이드롤러에 걸려 제1파이프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받침턱이 구비되고, 내경 하부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 내에 안내되고, 상부측 단부는 제2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며, 하단에는 제1가이드롤러 및 제2가이드롤러에 걸려 제2파이프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받침턱이 구비된 제3파이프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절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출구 본체의 내측 벽면에는 연결고리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연결고리에는 절첩사다리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는 탈출구 본체의 상부도어및 하부도를 개방한 상태에서 완강기를 통한 감속기능과 승강부의 가이드수단은 하부도어측에 마련되어 개방시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다단 봉부재에 맞추어 수직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다단 봉부재를 이루어 다단 인출되는 제2, 제3파이프에 가이드롤러가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밀착 구름동작을 구현하여 안정된 속도로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간 대피함으로써, 기존의 비상탈출장치에 비해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 하지가 불편한 장애자들도 조작이 쉬우면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에 절첩사다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에 절첩사다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도시한 도면을 통해 구체적인 구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100)는,
상부에서부터 탈출구 본체(110), 상부도어(120), 승강부(130), 하부도어(140)의 조합 설치로서 구성된다.
상기 탈출구 본체(110)는, 건물의 층간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매입되는 틀 형태를 갖고 내측에 와이어(W)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112)가 부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90도 회동가능한 개폐레버(114)가 구비되며, 내측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관(116)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도어(120)는 탈출구 본체(110)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도어가 덮인 상태를 기준으로 그 저면 상에는 와이어(W)가 권취된 견인휠(121) 및 견인휠을 회전을 체인(C)으로서 감아 내리거나 올리는 타입으로 정,역회전 감속시키는 감속휠(122)을 구비한 완강기(123)가 부착되고, 완강기(123)가 설치된 일측에는 견인휠(121)로부터 와이어(W)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1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도어(120)는 탈출구 본체측으로부터 별도의 개폐지지수단에 의해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폐지지수단은 절첩고정식 링크를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지지구를 이용하여 개방상태를 고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130)는, 탈출구 본체(110) 내부의 가이드관(116)에 일측이 안내되어 대피자를 탑승하기 위한 승강판(131)과, 승강판(131) 일측에 안내공(131a)이 형성되되, 안내공(131a)이 형성된 승강판(131) 상부에 상기 견인휠(121)의 와이어(W) 단부와 연결되어 승강판(131)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도어(140)는, 탈출구 본체(110)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114)에 의해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0)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다단 봉부재(300)가 복수개 부착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130)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200)은,
승강판(131)의 안내공(131a)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각각 하단이 부착되며 다단 봉부재(300)의 외직경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롤러(212)가 상하 구름가능하게 구비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대응되며 다단 봉부재(300)의 외직경에 밀착 구름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222)가 상하 구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면에 가이드봉(224)이 복수개 구비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브라켓(220)과, 상기 승강판(131)의 상면 양측에 하단이 부착 설치되어 이동브라켓(220)의 가이드봉(224)을 관통 안내하는 고정대(230)와,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가이드봉(224)을 수용하여 고정대(230)로부터 이동브라켓(2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240)과, 상기 승강판(131)의 상면에 고정브라켓(210)과 고정대(230)를 용접 고정하는 지지대(250)와, 상기 고정브라켓(2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브라켓 상부 일측에 부착 설치되어 견인휠(121)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연결 고정하는 걸고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도어(140)에 부착 설치되는 다단 봉부재(300)는,
내경 하부에 걸림턱(311)을 갖고, 일측에는 부착부(312)가 마련된 제1파이프(310)와, 상기 제1파이프(310) 내에 안내되고, 상부측 단부는 제1파이프의 걸림턱(311)에 걸려 지지되며, 하단에는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에 걸려 제1파이프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받침턱(322)이 구비되고, 내경 하부측에 걸림턱(321)이 형성된 제2파이프(320)와, 상기 제2파이프(320) 내에 안내되고, 상부측 단부는 제2파이프의 걸림턱(321)에 걸려 지지되며, 하단에는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에 걸려 제2파이프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받침턱(332)이 구비된 제3파이프(330)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절첩되는 구조이다.
참고로 상기 하부도어(140)의 다단 봉부재(300)는 하부도어(140)의 개방시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가이드관(116)과 동일선상으로 위치되어 가이드수단(200)을 구성하는 제1가이드롤러(212)와 제2가이드롤러(222) 사이에 안내되어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100)는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는 연결고리(118)가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고리에는 절첩사다리(40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절첩사다리(400)는 양단에 링 형태의 고리를 각각 연결한 것으로 절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절첩은 탈출구 본체(110) 내에 수용되어 대피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은 층간을 나타내고, 부호 125는 상부도어의 상면에 구비된 손잡이를 가리키고, 부호 h는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탈출구 본체로부터 설치된 힌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비상탈출장치의 이용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층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100)는 하층으로 비상대피시 탈출구 본체(110)로부터 설치된 개폐레버(114)를 90도 회전시키고, 손잡이(125)를 잡고 상부도어(120)를 회동시켜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레버(114)의 작동은 그 단부가 탈출구 본체(110)로부터 관통되어 하부도어(140)의 저면을 걸어 지지한 상태에서 하부도어(140)의 자유단측이 자중에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 힌지(h)를 기점으로 개방된다.
상기 하부도어(140)의 개방에 따라 하부도어에 부착된 다단 봉부재(300)는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h)를 기점으로 상부도어(120)를 개방하면, 첨부된 도 4와 같은 형태가 되며, 상부도어(130)에 마련된 완강기(123)가 드러나게 되며, 이때 상부도어(120)는 도면에서 미도시한 개폐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대피자가 탑승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승강부(130)는 완강기(123)를 이루는 견인휠(121)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가 승강부(130)측 걸고리(260)와 연결되어 지탱하고 있는 상태이며, 가이드수단(200)을 구성하는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는 상기 하부도어(140)측 다단 봉부재(300)에 진입할 수 있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승강부(130)는 한 쌍의 다단 봉부재(300)와 상기 와이어(W)에 의해 하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완강기(123)의 감속휠(122)에 걸쳐진 체인(C)을 일방향으로 감아내리면, 견인휠(121)로부터 와이어(W)는 긴장력을 유지하면서 승강부(130)를 서서히 하강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승강부(130)를 이루는 승강판(131) 위에 올라타고, 상기 완강기(123)의 감속휠(122)을 체인(C)으로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견인휠(121)로부터 와이어(W)로서 연결된 승강부(120)를 점차 하강하게 하고, 이때 상기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는 승강판(131) 일측을 안내지지하는 탈출구 본체(110)측 가이드관(116)의 하부에 수직되게 위한 다단 봉부재(300)의 제1파이프(310)로 이동되어 수직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단 봉부재(300)를 이루는 제1파이프(310)를 따라 진입한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는 승강판(131)의 안내공(131a)을 통해 하강이 이루어지며, 이는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이프(310)의 단부에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의 내측이 간섭하면서 제2파이프(320)의 받침턱(322), 제3파이프의 받침턱(332)를 밀고 그대로 하강한다.
상기 제2파이프(320)의 받침턱(322)은 제1파이프(310)의 직경으로부터 크게 차이나지 않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브라켓(210) 또는 이동브라켓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 구름가능한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가 다음 제3파이프(330)측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이동브라켓(220)과 일체인 가이드봉(224)은 압축스프링(240)을 통해 탄력이 부여되어 승강판에 부착된 고정대(2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가이드롤러(222)는 제2파이프(320)측 받침턱(322)을 타고 넘어가 제3파이프에 안내되는 형태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제2파이프(320)의 상단이 제1파이프(310)의 내경측 걸림턱(311)에 위치되어 걸려질 때까지 하강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제2파이프가 완전히 인출되면 제3파이프(330)의 받침턱(332)를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가 밀어내면서 제3파이프(330)를 하층의 바닥 혹은 바닥과 근접한 위치가 되는 지점까지 인출시키면서 승강부(120)의 하강은 이루어진다.
즉, 수직으로 각각 인출되는 다단 봉부재(300)는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제2파이프(320), 제3파이프(330)가 인출되면서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가 안내되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가이드롤러(212)는 직접 파이프에 접촉 구름하지 않더라도, 제2가이드롤러(222)는 대응되게 인출된 파이프에 밀착 구름이 이루어지는 상태로서 흔들림이 적은 상태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각 파이프를 통해 구름 접촉되는 제2가이드롤러(222)는 고정브라켓(210)에 구비된 상기 제1가이드롤러(212)와는 달리 이동브라켓(220)에 구비되고, 이동브라켓(250)의 후방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봉(224)은 고정대(250)로부터 압축스프링(240)에 탄성이 부여되는 상태로서 상기와 같이 인출되는 파이프에 밀착이 이루어지면서 가이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강되는 승강부(130)의 승강판(131)에 탑승한 대피자는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들도 손쉽게 체인(C)을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당겨주는 정도만으로도 안전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단 봉부재(300)를 이루는 제1파이프(310)로부터 제2파이프(320), 제3파이프(330)가 모두 인출된 상태라면, 대피하는 건물 상층에서 체인(C)을 반대로 감아 들이는 동작으로서 승강부를 재차 승강시켜 다음 대피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100)에 절첩사다리(400)를 적용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승강부(130)를 하강시켜 놓은 상태에서 일반인들도 손쉽게 절첩사다리를 이용하여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으며, 이는 먼저 몸이 불편한 대피자부터 승강판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승강판을 하층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절첩사다리를 통해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비상탈출장치 110: 탈출구 본체
112,124: 안내롤러 114: 개폐레버
116: 가이드관 118: 연결고리
120: 상부도어 121: 견인휠
122: 감속휠 123: 완강기
130: 승강부 131: 승강판
131a: 안내공 140: 하부도어
200: 가이드수단 210: 고정브라켓
212: 제1가이드롤러 220: 이동브라켓
222: 제2가이드롤러 224: 가이드봉
230: 고정대 240: 압축스프링
250: 지지대 260: 걸고리
300: 다단 봉부재 310: 제1파이프
311,321: 걸림턱 320: 제2파이프
322,332: 받침턱 330: 제3파이프
400: 절첩사다리 C: 체인
W: 와이어
112,124: 안내롤러 114: 개폐레버
116: 가이드관 118: 연결고리
120: 상부도어 121: 견인휠
122: 감속휠 123: 완강기
130: 승강부 131: 승강판
131a: 안내공 140: 하부도어
200: 가이드수단 210: 고정브라켓
212: 제1가이드롤러 220: 이동브라켓
222: 제2가이드롤러 224: 가이드봉
230: 고정대 240: 압축스프링
250: 지지대 260: 걸고리
300: 다단 봉부재 310: 제1파이프
311,321: 걸림턱 320: 제2파이프
322,332: 받침턱 330: 제3파이프
400: 절첩사다리 C: 체인
W: 와이어
Claims (4)
-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장치(100)는,
층간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매입되는 틀 형태를 갖고 내측에 와이어(W)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112)가 부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90도 회동가능한 개폐레버(114)가 구비되고, 내측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관(116)이 설치된 탈출구 본체(110)와;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 상에 와이어(W)가 권취된 견인휠(121) 및 견인휠을 회전을 체인(C)으로서 감아 내리거나 올리는 타입으로 정,역회전 감속시키는 감속휠(122)을 구비한 완강기(123)가 부착되고, 완강기(123)가 설치된 일측에는 견인휠(121)로부터 와이어(W)를 걸어 안내하는 안내롤러(124)가 구비된 상부도어(120)와;
상기 탈출구 본체(110) 내부의 가이드관(116)에 일측이 안내되어 대피자를 탑승하기 위한 승강판(131)과, 승강판(131) 일측에 안내공(131a)이 형성되되, 안내공(131a)이 형성된 승강판(131) 상부에 상기 견인휠(121)의 와이어(W) 단부와 연결되어 승강판(131)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00)이 구비된 승강부(130)와;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114)에 의해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0)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다단 봉부재(300)가 복수개 부착 설치된 하부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200)은,
승강판(131)의 안내공(131a)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각각 하단이 부착되며 다단 봉부재(300)의 외직경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롤러(212)가 상하 구름가능하게 구비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대응되며 다단 봉부재(300)의 외직경에 밀착 구름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222)가 상하 구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면에 가이드봉(224)이 복수개 구비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브라켓(220)과,
상기 승강판(131)의 상면 양측에 하단이 부착 설치되어 이동브라켓(220)의 가이드봉(224)을 관통 안내하는 고정대(230)와,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가이드봉(224)을 수용하여 고정대(230)로부터 이동브라켓(2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240)과,
상기 승강판(131)의 상면에 고정브라켓(210)과 고정대(230)를 용접 고정하는 지지대(250)와,
상기 고정브라켓(2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브라켓 상부 일측에 부착 설치되어 견인휠(121)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연결 고정하는 걸고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봉부재(300)는,
내경 하부에 걸림턱(311)을 갖고, 일측에는 부착부(312)가 마련된 제1파이프(310)와,
상기 제1파이프(310) 내에 안내되고, 상부측 단부는 제1파이프의 걸림턱(311)에 걸려 지지되며, 하단에는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에 걸려 제1파이프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받침턱(322)이 구비되고, 내경 하부측에 걸림턱(321)이 형성된 제2파이프(320)와,
상기 제2파이프(320) 내에 안내되고, 상부측 단부는 제2파이프의 걸림턱(321)에 걸려 지지되며, 하단에는 제1가이드롤러(212) 및 제2가이드롤러(222)에 걸려 제2파이프로부터 인출되기 위한 받침턱(332)이 구비된 제3파이프(330)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절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는 연결고리(118)가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고리에는 절첩사다리(400)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023A KR20140107877A (ko) | 2013-02-28 | 2013-02-28 | 비상탈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023A KR20140107877A (ko) | 2013-02-28 | 2013-02-28 | 비상탈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877A true KR20140107877A (ko) | 2014-09-05 |
Family
ID=5175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023A KR20140107877A (ko) | 2013-02-28 | 2013-02-28 | 비상탈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0787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5781B1 (ko) * | 2020-02-19 | 2020-10-14 |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 장애인용 무동력 피난기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2023A patent/KR2014010787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5781B1 (ko) * | 2020-02-19 | 2020-10-14 |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 장애인용 무동력 피난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36511B2 (ja) | 避難装置 | |
KR101030286B1 (ko) |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 |
KR101065487B1 (ko) | 피난용 사다리 | |
JP4762650B2 (ja) | 入浴装置 | |
JP6868511B2 (ja) | 避難装置 | |
US20040118635A1 (en) |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 |
KR101131484B1 (ko) |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 |
KR20140107877A (ko) | 비상탈출장치 | |
JP2006510404A (ja) | 建築物用避難装置 | |
JP2019042158A (ja) | 避難装置 | |
JP2019042159A (ja) | 避難装置 | |
JP4972962B2 (ja) | エレベータの扉開閉装置 | |
KR20110090411A (ko)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
KR20070087319A (ko) | 비상 승강장치 | |
KR102360863B1 (ko) | 하향식 피난장치 | |
JP2530834Y2 (ja) | 建設用昇降機の搬器荷台装置 | |
JPH0885685A (ja) | ガイドレールに沿う昇降体の安全ロック装置 | |
KR102448734B1 (ko) |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 |
KR101070794B1 (ko) | 당김 와이어가 있는 구난 사다리 | |
JP2017137642A (ja) | 避難タワーの引き上げ装置 | |
JPH11115752A (ja) | 介護用昇降装置 | |
KR20220002720U (ko) |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 |
KR101771709B1 (ko) |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 |
JP2006192231A (ja) | 建物から、安全で簡単に避難出来る、避難装置。 | |
JP3082743U (ja) | 高所作業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