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895A -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895A
KR20140106895A KR1020130021142A KR20130021142A KR20140106895A KR 20140106895 A KR20140106895 A KR 20140106895A KR 1020130021142 A KR1020130021142 A KR 1020130021142A KR 20130021142 A KR20130021142 A KR 20130021142A KR 20140106895 A KR20140106895 A KR 2014010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pecific data
peer
probe request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349B1 (ko
Inventor
마진석
김도형
류철
윤석진
윤민홍
박충범
이재호
이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2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349B1/ko
Priority to US14/149,081 priority patent/US9313654B2/en
Publication of KR2014010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user plane, e.g. user'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하는 하는 단계 및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사용하는 장치는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사용지역, 사용환경, 대규모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정한 메시지를 다른 장치와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MMUNICATING OF MESSAGE BASED ON WIFI DIRECT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Wi-Fi 기술의 국제 산업 표준 단체인 Wi-Fi Alliance 그룹은 Wi-Fi Direct(이하, 와이파이 다이렉트라함)라는 새로운 Wi-Fi 규격을 완성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디바이스들의 인증을 수행하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은 기존의 Wi-Fi 기술에서 기술적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피투피(Peer to Peer, P2P) 기능을 보완한 것으로, Wi-Fi 칩을 탑재한 기기간 피투피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별도의 AP 없이도 자유롭게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종래에도 Wi-Fi 기술을 이용한 애드혹(AD-HOC) 기술을 사용하여 피어간 연결이 가능하였으나 서로 다른 기종이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피어가 서로간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에 실제적으로 연결이 불가능한 기술적인 제약이 있었다.
또한, 피어간의 전력 관리 표준이 지원되지 않아서 단말 기간의 대기 시간에도 피어 들은 최대의 전력 소모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 시간을 매우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i-Fi Alliance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 표준을 제정하게 되었다. 엄밀한 의미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Wi-Fi Alliance에서 만든 Wi-Fi P2P 기술의 상품명이다. 따라서 기술적인 의미를 지칭할 때는 Wi-Fi P2P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나 현재 Wi-Fi P2P 기술이 와이파이 다이렉트라는 용어로 더 널리 사용 및 인지되고 있으므로 본 명에서에서 Wi-Fi P2P 기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통칭하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 휴대 단말형 기기는 물론 프린터 차량의 네비게이션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IT 기기에 폭넓게 적용되어 확산될 전망이다.
한편 위치 기반 광고 메시지 전송 기술의 경우 크게 푸쉬(Push)형 서비스와 풀(Pull)형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CDMA, HSPA+와 같은 이동통신 망을 사용하는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단말기가 GPS 수신부를 내장하고 있다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서비스 사업자가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SMS나 MMS 서비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 SMS나 MMS 서비스 내용에 광고, 할인 정보 등을 담아서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푸쉬형 서비스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 페이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면 화면 하단이나 일정 부분에 팝업되는 광고 메시지 형태를 풀형 서비스라 한다.
위에서 분류한 푸쉬형 및 풀형 서비스로 다양한 광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 가능한데 푸쉬형이든지 풀형이든지 단말기 내부적으로는 광대역망(CDMA 또는 HSPA+) 혹은 Wi-Fi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및 통신 객체간 디바이스 결합 단계를 거쳐 광고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기술 사항이다.
광대역망이나 Wi-Fi 망에 접속하여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술은 대규모 통신 회사들에 의해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여 진행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망의 전환시에도 별다른 단말기 설정 변경 없이 만약 사용자가 이미 서비스 이용을 승인한 푸쉬형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무작위적인 풀형 서비스에 강제 노출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부지불식간에 통신사 또는 포털에 서비스 사용자의 위치 정보, 히스토리 정보를 자연스럽게 노출하여 광고 메시지 서비스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사항은 자칫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그대로 통신사의 서버에 축적하게 되어 사생활 참해의 소지가 다분하다. 또한, 이러한 광고 서비스 형태는 광대역 통신 사업자가 광고 권한을 획득하여 모든 권리를 행사하게 되는 구조로서 모바일 광고 시장의 자연스러운 진입 장벽을 만들고 독점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만일, 소규모 상점, 재래 시장이나 자영업자가 실시간으로 계속 변경되는 광고 메시지를 자유롭게 자신이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제한된 전송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위에서 기술한 서비스 형태가 광고주의 입장에서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광고주는 일정 금액의 광고료 및 수수료를 지불하여야 하는 금전적 장벽이 존재하고, 거대 통신사에 집중된 폐쇄적인 서비스 방법 자체가 모바일 또는 무선망을 사용하는 광고에 익숙하지 않은 대부분의 영세한 자영업자에게는 기술적, 심리적 장벽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 구조는 피투피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 구조는 피투피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 구조는 피투피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에 따르면, 출력부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내용을 출력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 구조는 피투피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신 방법에 따르면, 와아파이 다이렉트가 지원하는 반경 내에서 사용사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하여 다른 피투피 단말로 전송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 무선칩을 탑재한 메시지 수신 장치는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
따라서, 도심의 상점에서 각각의 상점이 판매하고 있는 세일즈 포인트 상품 정보를 상점 주변의 잠재적인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백화점과 대형 마트등에서 판매 시점마다 변경되는 상품 정보를 건물 내의 쇼핑객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택시나 버스 등의 공공 교통 수단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기존의 배너 스티커식 광고, 전단지 광고에 비하여 인쇄 비용이 들이 않으며, 도시 미관을 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폰 소지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보다 나은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서 제정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서는 칩 자체의 물리적인 전송 범위가 수십에서 수백미터 이내로 제한되어,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메시지 전송 지역 근처에 존재하는 단말에 신호가 전송되므로 셀룰러 망에서와 같은 복잡한 셀 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광고 메시지가 필요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메시지 전송이 물리적으로 제한되어 광고 메시지 사용자 입장에서 원하지 않는 광고 메시지의 수신 폭주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은 기존의 와이파이(Wi-Fi) 기술에서 메시지 전송시 필요한 결합(Association), 인증(Athentica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과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를 사용하므로 매우 빠르게 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준수하면서 메시지를 전송하여 국제 표준적인 신호 전송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전세계 공용의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을 사용하는 어떤 장치라 하더라도 만약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전 세계 어떤 나라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므로 광대역 망의 트래픽 부하를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도 4는 WSC IE의 규격을 나타낸다.
도 5는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추가되는 WSC IE 항목을 나타낸다.
도 6은 P2P 규격서에서 정의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추가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 속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구조 정의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2P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전송 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수신 장치의 수신된 메시지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통해 관련 모바일 페이지에 접속한 메시지 수신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메시지 전송 장치와 메시지 수신 장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UT),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장치 또는 메시지 수신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gaming) 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동작 환경은 정보처리 장치(100), 와이파이 다이렉트 액세스 포인트(200) 및 메시지 수신 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보처리 장치(100)는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액세스 포인트(200)는 메시지 설정 정보처리 장치(100)로부터 생성된 메시지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메시지를 주변에 있는 메시지 수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액세스 포인트(2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에 비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액세스 포인트이다.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310), 스마트패드(320) 및 노트북(3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다이렉트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동작 환경은 메시지 전송 장치(400)와 메시지 수신 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주변 메시지 수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광고 메시지, 긴급 구호 메시지, 판매 정보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메시지 전송 장치(4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고, 도 4는 WSC IE의 규격을 나타내며, 도 5는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추가되는 WSC IE 항목을 나타낸다. 도 6은 P2P 규격에서 정의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P2P 규격서에 따르면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은 WSC IE(Wi-Fi Simpl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이하 WSC IE)가 선행되고 이후 P2P IE가 추가되는 형태로 정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WSC IE의 규격은 버전(Version), 요청 형태(Request Type), 구성 방법(Configuration methods),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주요 디바이스 형태(Primary Device Type), 알에프 대역(RF Bands), 연결 상태(Association State), 구성 상태(Configuration State), 디바이스 패스워트 아이디(Device Passwork ID), 기타(other)를 속성(Attribute)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Required)로 표시된 속성은 WSC 인증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을 나타내며, O(Optional)는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P2P 규격서에서는 P2P 규격에 필요한 WSC IE를 추가적으로 정의하였고, 디바이스 명(Device Name)은 필수항목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Required Device Type) 항목은 선택적 항목으로 정의하고 있다.
도 5에 표시된 WSC IE 항목은 도 4에서의 기타(other) 항에 추가되는 것으로 디바이스 명(Device Name)은 P2P 디바이스 이름을 명시하는 것이다.
또한,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Required Device Type) 항목은 임의의 P2P 디바이스가 다른 P2P 디바이스를 찾는 경우 특정한 디바이스 타입을 지정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경우에 추가될 수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만일 주변의 P2P 규격을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해 모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요청된 디바이스 타입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 및 도 5에서 정의된 WSC IE 속성이 도 3의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모두 추가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2P IE 항목이 P2P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결합된다.
P2P IE 항목은 P2P Capability, P2P Device ID, Listern Channel, Extended Listen timing, Operating Channel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제 구현시에는 Extended Listen Timing은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Extended Listen Timing이 삭제되는 경우와 같이 삭제된 속성이 있는 경우라도,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파싱하는 과정에서 삭제된 속성을 인식하고 다음 속성을 계속 파싱하므로 일부 속성의 삭제로 인해 별다른 문제점을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추가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 속성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구조 정의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2P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P2P 규격서에 따르면 P2P IE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 정의형 IE 속성을 정하고 있다. 즉, P2P 규격서에는 사용자 정의형 IE에 대해 221번 속성 ID를 가지도록 하여 개발 사용자가 필요한 속성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업자 특정 데이터 구조는 속성 아이디(Attribute ID), 길이(Length),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 필드로 정의될 수 있고,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는 도 9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는 메시지(Message),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Name), AP 이름(AP name), 맥 어드레스(MAC addr), GPS 포지션(GPS Position), 이동성(mobility),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connection),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S(Invoking Softwar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구조는 P2P 표준 규격을 만족하도록 P2P 규격에서 정의한 방법대로 정의한다. 따라서, 사업자 특정 데이터 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다른 P2P 장치에서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서 1번 항목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커피 전문점에서 전송하는 메시지인 경우 아메리카노 핫 세일 30%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2번 항목은 피규어(Figure)로 1번 항목인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함께 화면에 표시될 그림을 나타낸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될 그림은 jpg, bmp, jpeg, png 또는 전자적인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이미지 포맷을 가질 수 있다.
3번 항목은 메시지 전송 장치(400) 이름(Name)에 대한 설명은 기술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서울에 있는 스타벅스임을 나타낼 수 있다.
4번 항목은 메시지 전송 장치(400)의 정식 이름이고, 5번 항목은 메시지 전송 장치(400)의 하드웨어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6번 항목은 GPS 포지션 항목으로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위치한 GPS 좌표를 나타낸다.
여기서, GPS 좌표는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상점인 경우 변하지 않으므로 일단 설정되면 고정되지만,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이동형 장치인 경우 GPS 좌표는 단말기의 위치 변화에 따라 변화하므로 GPS 센서를 통하여 GPS 좌표가 변경되는 상황을 계속 업데이트한다.
7번 항목은 이동성(Mobility)으로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가지는 이동성을 설명한다. 즉,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이동형 장치인 경우 Mobile로 나타낼 수 있고,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상점이나 건물 등의 고정된 장치일 경우 Fixe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택시, 버스 또는 개인 휴대 단말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Mobile로 나타낼 수 있다.
8번 항목은 베뉴(Venue)로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전송하는 장소의 특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전송하는 장소가 커피숍인 경우 Coffee shop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9번 항목은 802.11 규격에서 메시지 전송 장치(400)가 사용하는 규격 특성을 나타낸다. 즉, 802.11a, 802.11g, 802.11n 혹은 이후 사용될 표준 전송 규격을 나타낼 수 있다.
10번 항목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서 더 자세한 사항을 게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메시지 수신 장치(300)가 메시지 전송 장치(4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10번 항목에서 지시된 URL에 대한 터치가 입력된 경우 URL 페이지로 이동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1번 항목은 메시지 수신 장치(300)에 수신된 메시지가 단말 내부의 소프트웨어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IS(Invoking Software)항목을 나타낸다.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IS 정보를 사용하여 지정된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전송 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시지 전송 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한다(S1010).
여기서,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 P2P IE)에 추가될 수 있다. P2P 규격서에 따르면 P2P IE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 정의형 IE 속성을 정하고 있다. 즉, P2P 규격서에는 사용자 정의형 IE에 대해 221번 속성 ID를 가지도록 하여 개발 사용자가 필요한 속성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P2P 장치에서도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포함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구조는 P2P 표준 규격을 만족하도록 P2P 규격에서 정의한 방법대로 정의한다.
또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 구조는 속성 아이디(Attribute ID), 길이(Length),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 필드로 정의될 수 있고,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는 도 9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Message),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400) 이름(Name), AP 이름(AP name), 맥 어드레스(MAC addr), GPS 포지션(GPS Position), 이동성(mobility),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connection),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S(Invoking Software)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메시지 전송 장치(400)는 단계 1010을 통해 생성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2P IE)에 추가한다(S1020).
여기서,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LV) 구조는 피투피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 된다. 또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400)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S(Invoking Softwa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장치(400)는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추가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S103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에 따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사용하는 단말은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사용지역, 사용환경, 대규모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정한 메시지를 다른 단말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Wi-Fi 기술에서 메시지 전송시 필요한 결합(Association), 인증(Athentication) 단계를 거치지 않고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과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를 사용하므로 매우 빠르게 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 규격을 준수하면서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국제 표준적인 신호 전송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전세계 공용의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메시지 전송 장치(400)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S1110).
여기서, 메시지 수신 장치(300)와 메시지 전송 장치(400) 사이의 프로브 요청 프레임 송수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단계 1110을 통해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120).
여기서,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에 추가되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LV) 구조는 피투피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 된다. 또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400)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S(Invoking Softwa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단계 1120을 통해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한다(S1130).
구체적으로,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포함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에 따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사용하는 장치는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사용지역, 사용환경, 대규모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정한 메시지를 다른 장치와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Wi-Fi 기술에서 메시지 전송시 필요한 결합(Association), 인증(Athentication) 단계를 거치지 않고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와 프로브 응답 신호(Probe Response)를 사용하므로 매우 빠르게 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 규격을 준수하면서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국제 표준적인 신호 전송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전세계 공용의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는 통신부(1210), 생성부(1220) 및 프로세싱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210)는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고, 프로세싱부(1240)의 제어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생성부(122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세싱부(1230)로 제공한다.
프로세싱부(1230)는 생성부(1220)로부터 제공 받은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 P2P IE)에 추가하고,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추가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통신부(1210)를 통해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P2P 규격서에 따르면 피투피 정보 요소를 사용함에 있어 사업자 특정 IE 속성을 정하고 있다. 즉, P2P 규격서에는 사업자 특정 IE에 대해 221번 속성 ID를 가지도록 하여 개발 사용자가 필요한 속성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P2P 장치에서도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포함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구조는 P2P 표준 규격을 만족하도록 P2P 규격에서 정의한 방법대로 정의한다.
또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 구조는 속성 아이디(Attribute ID), 길이(Length),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 필드로 정의될 수 있고,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는 도 9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Message),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400) 이름(Name), AP 이름(AP name), 맥 어드레스(MAC addr), GPS 포지션(GPS Position), 이동성(mobility),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connection), URL(Uniform Resource Locator), IS(Invoking Software)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400)에 따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사용하는 단말은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사용지역, 사용환경, 대규모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정한 메시지를 다른 단말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통신부(1310), 출력부(1320) 및 프로세싱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310)는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320)는 프로세싱부(1330)의 제어에 기초하여 특정 내용을 출력한다.
프로세싱부(1330)는 통신부(1310)를 통해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에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부(132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 P2P IE)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TLV) 구조는 피투피(Peer to Peer, P2P)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1330)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출력부(13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수신 장치(300)에 따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사용하는 단말은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사용지역, 사용환경, 대규모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망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정한 메시지를 다른 단말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의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광고 메시지를 통해 관련 모바일 페이지에 접속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메시지 전송 장치(400)로부터 피투피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피투피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제1 광고 메시지(1400) 선택을 입력 받으면, 메시지 수신 장치(300)는 상술한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서 정의된 URL 페이지로 이동하여 제1 광고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에 도시된 광고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URL 페이지 연결 이후로 기존 다양한 웹페이지 구성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 또한 자명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정보처리 장치 200: 와이파이 다이렉트 액세스 포인트
300: 메시지 수신 장치 400: 메시지 전송 장치
1210: 통신부 1220: 생성부
1230: 프로세싱부 1310: 통신부
1320: 출력부 1330: 프로세싱부

Claims (16)

  1. 메시지 통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on Element, P2P IE)에 추가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TLV) 구조는 피투피(Peer to Peer, P2P)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전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전송 방법.
  4. 메시지 통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수신 방법에 있어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가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수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 P2P IE)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수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TLV) 구조는 피투피(Peer to Peer, P2P)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수신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수신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수신 방법.
  9.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 P2P IE)에 추가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른 메시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TLV) 구조는 피투피(Peer to Peer, P2P)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2. 출력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 사업자 특정 데이터(Vendor Specific Data)가 있는 경우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내용을 출력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중 피투피 정보 요소(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 P2P IE)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의 타입 길이 값(Type Length Value, TLV) 구조는 피투피(Peer to Peer, P2P) 규격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는,
    메시지, 피규어(Figure), 메시지 전송 장치 이름, AP 이름, 맥 어드레스, GPS 포지션, 이동성, 베뉴(venue), 표준 전송 규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IS(Invoking Software)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사업자 특정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장치.
KR1020130021142A 2013-02-27 2013-02-27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63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42A KR101638349B1 (ko) 2013-02-27 2013-02-27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US14/149,081 US9313654B2 (en) 2013-02-27 2014-01-07 WI-FI direct-based message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42A KR101638349B1 (ko) 2013-02-27 2013-02-27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95A true KR20140106895A (ko) 2014-09-04
KR101638349B1 KR101638349B1 (ko) 2016-07-11

Family

ID=5138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142A KR101638349B1 (ko) 2013-02-27 2013-02-27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13654B2 (ko)
KR (1) KR101638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113B1 (ko) * 2012-06-07 2015-10-16 주식회사 케이티 설정 정보 기반 능동적 스캐닝 및 연결 방법
TW201511503A (zh) * 2013-09-11 2015-03-16 Grand Mate Co Ltd 無線控制系統及其設定方法
KR102150659B1 (ko) * 2014-01-23 2020-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디바이스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2189653B1 (ko) * 2014-09-24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송수신 방법,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비 일시적 기록매체
WO2017197646A1 (zh) * 2016-05-20 2017-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08399726A (zh) * 2018-03-19 2018-08-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遥控器控制方法、装置、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03451A (zh) * 2018-05-18 2019-11-26 苏宁易购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位置的实体门店信息与商品促销信息推送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4661A1 (en) * 2006-02-09 2007-11-01 Kuntal Chowdhury Fast handoff support for wireless networks
US20110194489A1 (en) * 2010-02-09 2011-08-11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2060611A2 (ko) * 2010-11-03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탐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057B2 (en) * 2006-07-14 2014-06-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end user feedback
US8468054B1 (en) * 2009-08-21 2013-06-18 Cardstar, Inc. Identification related technology
US9306813B2 (en) 2009-12-23 2016-04-05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a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with cooperative advertisement
KR20120076639A (ko) 2010-12-08 2012-07-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고객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6861A (ko) 2011-06-14 2011-07-06 ㈜스파이카 Dlna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8743727B2 (en) * 2012-05-17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Driving hybrid location services from WLAN stations using access poi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4661A1 (en) * 2006-02-09 2007-11-01 Kuntal Chowdhury Fast handoff support for wireless networks
US20110194489A1 (en) * 2010-02-09 2011-08-11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2060611A2 (ko) * 2010-11-03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탐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1331A1 (en) 2014-08-28
US9313654B2 (en) 2016-04-12
KR101638349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349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메시지 통신 방법 및 장치
Barnes The mobile commerce value chain: analysis and future developments
KR100755018B1 (ko) 서비스 요구들에 대한 데이터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US96356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sign up provider selection
JP2009533954A (ja) メディアメッセージを提供するために無線ビーコンブロードキャスト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5410632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無線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5379312A (zh) 装置触发
CN101542514A (zh) 使用终端资源来消费和散播广告的系统和方法
CN102428488A (zh) 显示购买信息的方法和装置
CN103905981A (zh) 一种位置信息的分享方法及系统
JP200716362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方法、広告配信装置および広告受信端末
Hsieh Mobile commerce: Assess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CN105303408A (zh) 一种通过WiFi热点发布广告的方法及系统
JP2002261933A (ja) 通信方法、通信網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の分散制御方法、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
CN101547025A (zh) 一种通过蓝牙热点获得数据并进行管理的系统及方法
WO2011101852A2 (en) System and metho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in a commercial environment
KR101094063B1 (ko) 위치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1822457B1 (ko) 포스 게이트웨이 식별자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4797A (ko) 통합 무선 광고 운영 방법
KR101813609B1 (ko) 비콘 기반의 휴대용 결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D'Souza et al. A multimedia guidebook implementation using a bluetooth wireless information point network
US103732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enting tailored advertisement content for multiple platforms
KR20100107796A (ko) 개방형 모바일 콘텐츠 시장에서의 사용자 간 콘텐츠 배급 시스템 및 그 배급 방법
KR100877010B1 (ko) 모바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메시지전송 장치
KR20100083643A (ko) 포인트 적립 서버의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