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644A - 강체전차선 장치 - Google Patents

강체전차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644A
KR20140103644A KR1020130017298A KR20130017298A KR20140103644A KR 20140103644 A KR20140103644 A KR 20140103644A KR 1020130017298 A KR1020130017298 A KR 1020130017298A KR 20130017298 A KR20130017298 A KR 20130017298A KR 20140103644 A KR20140103644 A KR 2014010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lectric wire
fastening
rigi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061B1 (ko
Inventor
이기환
이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Priority to KR2013001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06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의 장애발생시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대신하여 전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체전차선 장치의 특징은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10);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전차선(2)에 접촉된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체전차선 장치{RIGID-BAR APPARATUS FOR ELECTRIC TRAIN}
본 발명은 전차선의 장애발생시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대신하여 전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선은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차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차선고정금구에 의해 선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차는 팬터그래프를 통해 전차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선로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강풍이나 더운 여름날에 발생되는 고온 또는 전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서 전차선의 일부분이 이탈되는 장애가 발생된다. 즉, 전차선의 일부분이 전차선고정금구에서 이탈되어서 늘어지게 되는 경우, 고속으로 이동하는 전차에 연결된 팬터그래프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팬터그래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팬터그래프의 손상에 의해 전원공급이 중단되어서 전차가 운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작업자들이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교체하여 전차의 운행이 재계될 수 있으나,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전차선고정금구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전차선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교체시간이 요구되어 하나의 선로를 운행하는 전차들이 장시간동안 전체적으로 운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차선의 장애발생시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대신하여 전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장치는,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10);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전차선(2)에 접촉된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는 하부프레임(11); 하부프레임(11)의 양단에서 상부로 각기 연장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게 형성되는 측방프레임(13);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5); 및 고정프레임(15)의 양단을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결속부재(17)는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각기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5)의 양단을 각기 관통하는 결속스터드볼트(17a); 및 결속스터드볼트(17a)에 나사결합되는 결속너트(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강체전차선(30)은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수직상태로 면 접촉되는 장방형의 수직부재(31); 수직부재(31)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이 관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홀(33); 및 수직부재(31)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수평되게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하부면이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는 수평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직부재(31)는 일단이 수평부재(35)보다 연장되면서 일단의 하부가 수평부재(35)의 끝단까지 경사지게 경사면(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강체전차선(30)은 전차의 팬터그래프를 수직부재(31)에서 다른 수직부재(31)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2);을 더 포함하며, 가이드수단(32)은 수직부재(31)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다른 수직부재(31)의 일단에 타단이 면 접촉되는 플레이트(34); 및 플레이트(34)의 하부로 전차의 팬터그래프를 안내하도록, 플레이트(34)의 일단과 타단의 하부에 각각 라운드나 테이퍼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면(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체결수단(50)은 고정수단(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하는 체결스터드볼트(51); 및 체결스터드볼트(5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장치는,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10); 고정수단(10)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며,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좌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가 삽입되는 좌측삽입구(12a)가 형성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좌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b)에 걸려서 지지되는 좌측지지턱(12b)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우측방향을 향해 나사홀(12c)이 형성되는 좌측고정대(12); 좌측고정대(12)와 대응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우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상부돌출부(1c)가 삽입되는 우측삽입구(14a)가 형성되고,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대응되는 관통홀(14b)이 상부에서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우측고정대(14); 및 우측고정대(14)의 관통홀(14b)에 관통된 상태로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양단에 단자(21)가 설치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에 도통되는 전류를 우측고정대(14)에 인가하는 동선(20); 동선(20)을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고정판(40); 및 고정판(40)을 관통하여서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나사결합 되는 고정볼트(60);를 포함하고, 고정판(40)에는 고정볼트(60)가 관통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는 관통홀(41)을 관통한 고정볼트(60)가 나사결합 되는 나사탭(1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는 동선(20)의 하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오목홈(14d)이 형성되고, 상부오목홈(14d)과 대응되고 동선(20)의 상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하부오목홈(42)이 고정판(4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강체전차선(30)은 좌측고정대(12)의 외측에 수직상태로 면 접촉되는 장방형의 수직부재(31); 수직부재(31)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이 관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홀(33); 및 수직부재(31)의 하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삽입홈(39)이 형성되고,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접촉선(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체결수단(50)은 좌측고정대(12)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형성되는 나사탭(55); 및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탭(55)에 나사결합 되어서 강체전차선(30)을 좌측고정대(12)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볼트부재(56);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장치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핀(72)에 의해 가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부들이 좁혀지면 타단부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재(71); 가압부재(71)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서로 좁혀진 가압부재(71)들의 타단부들을 결속하는 결속부재(73); 가압부재(71)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상태로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가압부재(71)로 도통되는 전류를 팬터그래프에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가압부재(7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재(71)들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c)가 각기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되는 일단부들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돌기홈(74)이 형성되고, 돌기홈(74)들에서 각각 하방으로 이격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b)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되는 단부지지턱(75)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되는 타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76)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탭(7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결속부재(73)는 가압부재(71)들의 다단부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차선의 장애발생시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을 대신하여 전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장애가 발생된 전차선의 교체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차의 운행이 장시간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차들의 전체적인 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이 고정수단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이 고정수단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의 수평부재에 의해 절단된 전차선의 단부가 커버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강체전차선의 수직부재들이 가이드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와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이 고정수단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이 고정수단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에 설치된 상태와 동선이 강체전차선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다른 형상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3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강체전차선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0), 강체전차선(30) 및 체결수단(50)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하부프레임(11), 측방프레임(13), 고정프레임(15) 및 결속부재(17)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11)은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므로 전차선(2)에 도통되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측방프레임(13)은 하부프레임(11)의 양단에서 상부로 각기 연장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프레임(11)과 측방프레임(13)은 서로 연이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U'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프레임(11)과 측방프레임(13)은 서로 연이어진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상부로 편리하게 끼워질 수 있다.
고정프레임(15)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양단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5)은 판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17)는 고정프레임(15)의 양단을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속스터드볼트(17a) 및 결속너트(17b)를 포함한다.
결속스터드볼트(17a)는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각기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5)의 양단을 각기 관통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5)의 양단에는 결속스터드볼트(17a)들이 각기 관통되도록 관통홀(15a)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너트(17b)는 결속스터드볼트(17a)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결속부재(17)는 서로 나사결합 되므로 고정프레임(15)에 측방프레임(13)들을 최대한으로 밀착시켜서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수단(10)은 전차선(2)에 접촉된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되어, 전차선(2)의 하부를 받치는 상태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이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전차선(2)이 추가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강체전차선(30)은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전차선(2)에 접촉된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부재(31), 체결홀(33) 및 수평부재(35)를 포함한다.
수직부재(31)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수직상태로 면 접촉된다. 즉, 수직부재(31)는 고정수단(10)인 측방프레임(13)의 외측에 면 접촉되므로, 체결수단(50)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체결력이 증대될 수 있다.
체결홀(3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수직부재(31)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이 관통되어서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홀(33)은 체결수단(50)의 체결스터드볼트(51)가 삽입된다.
수평부재(35)는 수직부재(31)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수평되게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하부면이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된다. 이러한, 수평부재(35)는 고정수단(10)에 흐르는 전류를 팬터그래프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수평부재(35)는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이탈되어서 늘어진 전차선(2)의 하부를 받치게 되므로, 전차선(2)이 추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차선(2)에 접촉된 상태로 전차선(2)에 흐르는 전류를 팬터그래프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고정금구(1)에서 이탈되어서 늘어진 전차선(2)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부재(35)가 전차선(2)의 하부를 받치도록 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31)와 수평부재(35)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면의 형상이 'L'형태로 형성되므로, 측방프레임(13)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팬터그래프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접촉될 수 있다.
체결수단(50)은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스터드볼트(51) 및 체결너트(53)를 포함한다.
체결스터드볼트(51)는 고정수단(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한다. 즉, 체결스터드볼트(51)는 강체전차선(30)에 형성된 체결홀(33)을 관통한다. 체결너트(53)는 체결스터드볼트(51)에 나사결합 된다. 따라서, 체결수단(50)은 나사결합되어서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인 측방프레임(13)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고온이나 진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전차선(2)의 일부분이 이탈되어서 늘어지게 되는 경우, 전차선(2)의 늘어진 부분을 절단한다. 즉, 늘어진 전차선(2)을 절단하는 경우 전차선(2)의 추가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일단과 타단에 고정수단(10)을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체결수단(50)들을 이용하여 강체전차선(30)의 일단과 타단을 고정수단(10)들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전차선(2)의 절단된 각각의 단부는 강체전차선(30)의 수평부재(35)에 의해 하부가 커버된 상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차의 팬터그래프가 전차선(2)과 전차선(2)에 연결된 강체전차선(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31)는 일단이 수평부재(35)보다 연장되면서 일단의 하부가 수평부재(35)의 끝단까지 경사지게 경사면(3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면(37)은 팬터그래프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시키도록 최대한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팬터그래프가 수직부재(3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수직부재(31)의 양단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직부재(31)의 하부에 경사면(37)이 형성되는 경우 전차와 함께 이동하는 팬터그래프가 전차선(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경사면(37)을 따라 부드럽게 수직부재(31)의 하부로 이동하여서 수평부재(35)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경사면(37)은 수평부재(35)의 두께에 따른 단차를 보완하게 되므로, 팬터그래프가 전차선(2)의 하부에서 수평부재(35)의 하부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체전차선(30)은 전차의 팬터그래프를 수직부재(31)에서 다른 수직부재(31)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수단(32)은 플레이트(34) 및 안내면(36)을 포함한다.
플레이트(34)는 수직부재(31)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다른 수직부재(31)의 일단에 타단이 면 접촉된다. 여기서, 플레이트(34)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31)의 타단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34)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수직부재(31)와 다른 수직부재(31)의 사이(간격)를 연결하므로, 전차에 의해 고속으로 이동하는 팬터그래프가 수직부재(31)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직부재(31)들의 단부에 충돌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수직부재(31)들이 이격되는 경우 수직부재(31)들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재(35)도 이격되므로, 팬터그래프가 수평부재(35)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 중에 수평부재(35)들의 사이를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34)는 하부면이 수평부재(35)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수직부재(3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직부재(31)와 다른 수직부재(31)는 수평부재(35)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결되는 플레이트(34)에 의해 서로 이격된 간격이 보완되므로, 전차에 의해 고속으로 이동하는 팬터그래프가 더욱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안내면(36)은 플레이트(34)의 하부로 전차의 팬터그래프를 안내하도록, 플레이트(34)의 일단과 타단의 하부에 각각 라운드나 테이퍼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면(36)은 수직부재(31)를 따라 이동하는 팬터그래프가 플레이트(34)의 일단에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순간에 발생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팬터그래프가 플레이트(34)를 따라 이동하면서 플레이트(34)의 타단을 부드럽게 벗어나면서 다른 수직부재(31)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팬터그래프가 플레이트(34)를 벗어나면서 발생되는 충격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0), 강체전차선(30) 및 체결수단(50)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0)은 좌측고정대(12), 우측고정대(14) 및 체결볼트(16)를 포함한다.
좌측고정대(12)는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좌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가 삽입되는 좌측삽입구(12a)가 형성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좌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b)에 걸려서 지지되는 좌측지지턱(12b)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우측방향을 향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12c)이 형성된다.
우측고정대(14)는 좌측고정대(12)와 대응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우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상부돌출부(1c)가 삽입되는 우측삽입구(14a)가 형성되고,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대응되는 관통홀(14b)이 상부에서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체결볼트(16)는 우측고정대(14)의 관통홀(14b)에 관통된 상태로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나사결합 된다.
이때, 작업자는 고온이나 진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에서 전차선(2)의 일부분이 이탈되어서 늘어지게 되는 경우, 전차선(2)의 늘어진 부분을 절단한다.
따라서, 좌측고정대(12)의 좌측삽입구(12a)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상부돌출부(1a)에 삽입시켜서 좌측고정대(12)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우측고정대(14)의 우측삽입구(14a)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상부돌출부(1c)에 삽입시켜서 우측고정대(14)를 전차선고정금구(1)의 우측에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체결볼트(16)를 우측고정대(14)의 관통홀(14b)에 관통시킨 상태로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나사결합 시킨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16)의 체결에 의해 좌측고정대(12)와 우측고정대(14)가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체결볼트(16)를 이용하여 좌측고정대(12)와 우측고정대(14)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양단에 단자(21)가 설치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에 도통되는 전류를 우측고정대(14)에 인가하는 동선(20)과, 동선(20)을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고정판(40) 및 고정판(40)을 관통하여서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나사결합 되는 고정볼트(60)을 포함하고, 고정판(40)에는 고정볼트(60)가 관통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는 관통홀(41)을 관통한 고정볼트(60)가 나사결합 되는 나사탭(14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는 동선(20)의 하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오목홈(14d)이 형성되고, 상부오목홈(14d)과 대응되고 동선(20)의 상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하부오목홈(42)이 고정판(4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선(20)의 양단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일단과 타단에 단자(21)를 볼팅으로 고정한 후에 동선(20)의 외주면을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판(40)을 동선(20)의 상부외주면에 커버하는 상태로 고정볼트(60)를 관통홀(41)에 관통시키면서 나사탭(14c)에 나사결합 시킨다. 이때, 동선(20)은 외주면이 상부오목홈(14d)과 하부오목홈(42)에 밀착되어서 지지되므로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과 고정판(40)의 하부면의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동선(20)은 피복되지 않은 전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자(21)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일단과 타단에 고정된 상태로 동선(20)의 외주면이 우측고정대(14)에 접촉되는 경우, 전차선고정금구(1)에 연결된 동선(20)을 통해 전류가 우측고정대(14)로 전달되어서 우측고정대(14)에 고정된 강체전차선(30)에 인가될 수 있다. 즉, 동선(20)을 통해 전류가 강체전차선(30)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단자(21)는 집게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단자(21)가 집게형태로 구성되는 전차선고정금구(1)의 좌측상부돌출부(1a)나 좌측하부돌출부(1b) 또는 우측상부돌출부(1c)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강체전차선(30)은 좌측고정대(12)의 외측에 수직상태로 면 접촉되는 장방형의 수직부재(31)와, 수직부재(31)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이 관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홀(33) 및 수직부재(31)의 하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삽입홈(39)이 형성되고,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접촉선(3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촉선(38)은 팬터그래프에 선 접촉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강체전차선(30)은 수직부재(31)가 체결수단(50)에 의해 체결되어서 접촉선(38)이 팬터그래프에 선 접촉되므로 전류가 접촉선(38)으로부터 팬터그래프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선(38)은 절단된 전차선(2)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여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야야 한다. 즉, 팬터그래프가 전차선(2)선을 지나면서 접촉선(38)을 지날 때 부드럽게 지날 수 있다. 또한, 접촉선(38)은 팬터그래프가 끝단에 접촉될 때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끝단의 하부에 경사면이나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체전차선(30)은 일측면이 볼록하고 반대되는 타측면이 오목하도록 'ㄷ'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한 부분은 전차선(2)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신축장치(expansion equipment)가 수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강체전차선(30)가 전차선(2)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신축장치의 폭에 대응하면서 팬터그래프에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체결수단(50)은 좌측고정대(12)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형성되는 나사탭(55) 및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탭(55)에 나사결합 되어서 강체전차선(30)을 좌측고정대(12)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볼트부재(5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볼트부재(56)가 수직부재(31)에 형성된 체결홀(33)을 관통하는 상태로 좌측고정대(12)의 나사탭(55)에 나사결합 됨에 따라 수직부재(31)를 좌측고정대(12)의 측방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고정대(12)에 관통홀(12d)이 형성되고, 우측고정대(14)에 나사홀(14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볼트(16)가 관통홀(12d)을 관통하여서 나사홀(14e)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측이나 우측의 방향에 좌측고정대(12)와 우측고정대(14)를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시켜서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용 홀딩장치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71)와 결속부재(73)와 강체전차선(30) 및 체결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강체전차선(3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체결수단(50)은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한 상태로 가압부재(71)에 나사결합 되도록 볼트로 구성된다.
가압부재(71)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핀(72)에 의해 가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부들이 좁혀지면 타단부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재(71)들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c)가 각기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되는 일단부들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돌기홈(74)이 형성되고, 돌기홈(74)들에서 각각 하방으로 이격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b)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되는 단부지지턱(752)이 형성되며, 각각의 타단에는 관통홀(76)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되는 타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76)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탭(77)이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재(71)는 일단부들 중 어느 한쪽에 체결수단(50)인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탭(77)이 형성된다.
결속부재(73)는 가압부재(71)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서로 좁혀진 가압부재(71)들의 타단부들을 결속한다. 이러한, 결속부재(73)는 가압부재(71)들의 다단부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부재(71)들의 일단을 벌리면 회전핀(72)을 축으로 가위운동 되면서 타단이 벌려지게 한 상태에서 가압부재(71)들의 타단을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서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압부재(71)들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한다. 이때, 돌기홈(74)들이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b)가 각기 끼워지고, 단부지지턱(75)이 좌측하부돌출부(1c)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된다. 계속해서, 가압부재(71)들의 일단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관통홀(76)에 결속부재(73)인 볼트를 관통시키면서 나사탭(77)에 나사결합 시켜서 조인다.
따라서, 결속부재(73)인 볼트를 나사탭(77)에 조이면 가압부재(71)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므로, 전차선고정금구(1)가 전차선(2)을 가압하여 전차선(2)의 추가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위운동 가압부재(71)에 의해 전차선고정금구(1)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고, 결속부재(73)의 결합에 의해 가압부재(71)의 가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차선고정금구 1a : 좌측상부돌출부
1b : 좌측하부돌출부 1c : 우측상부돌출부
1d : 우측하부돌출부 2 : 전차선
10 : 고정수단 11 : 하부프레임
12 : 좌측고정대 12a : 좌측삽입구
12b : 좌측지지턱 12c : 나사홀
13 : 측방프레임 14 : 우측고정대
14a : 우측삽입구 14b : 관통홀
14c : 나사탭 14d : 상부오목홈
15 : 고정프레임 15a : 관통홀
16 : 체결볼트 17 : 결속부재
17a : 결속스터드볼트 17b : 결속너트
20 : 동선 21 : 단자
30 : 강체전차선 31 : 수직부재
33 : 체결홀 35 : 수평부재
32 : 가이드수단 34 : 플레이트
36 : 안내면 37 : 경사면
38 : 접촉선 39 : 삽입홈
40 : 고정판 41 : 관통홀
42 : 하부오목홈 50 : 체결수단
51 : 체결스터드볼트 53 : 체결너트
55 : 나사탭 56 : 볼트부재
60 : 고정볼트 71 : 가압부재
72 : 회전핀 73 : 결속부재
74 : 돌기홈 75 : 단부지지턱
76 : 관통홀 77 : 나사탭

Claims (15)

  1. 전차선고정금구(1)에 고정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10);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전차선(2)에 접촉된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전차선(2)의 하부에 접촉되는 하부프레임(11);
    하부프레임(11)의 양단에서 상부로 각기 연장되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에 각기 위치되게 형성되는 측방프레임(13);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5); 및
    고정프레임(15)의 양단을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결속부재(17)는
    측방프레임(13)들 각각의 끝단에 각기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5)의 양단을 각기 관통하는 결속스터드볼트(17a); 및
    결속스터드볼트(17a)에 나사결합되는 결속너트(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체전차선(30)은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수직상태로 면 접촉되는 장방형의 수직부재(31);
    수직부재(31)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이 관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홀(33); 및
    수직부재(31)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수평되게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하부면이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는 수평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수직부재(31)는
    일단이 수평부재(35)보다 연장되면서 일단의 하부가 수평부재(35)의 끝단까지 경사지게 경사면(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강체전차선(30)은
    전차의 팬터그래프를 수직부재(31)에서 다른 수직부재(31)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2);을 더 포함하며,
    가이드수단(32)은
    수직부재(31)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다른 수직부재(31)의 일단에 타단이 면 접촉되는 플레이트(34); 및
    플레이트(34)의 하부로 전차의 팬터그래프를 안내하도록, 플레이트(34)의 일단과 타단의 하부에 각각 라운드나 테이퍼형태로 형성되는 안내면(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체결수단(50)은
    고정수단(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하는 체결스터드볼트(51); 및
    체결스터드볼트(5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8. 전차선고정금구(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10);
    고정수단(10)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고정수단(10)으로 도통되는 전류를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고정수단(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며,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좌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가 삽입되는 좌측삽입구(12a)가 형성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좌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b)에 걸려서 지지되는 좌측지지턱(12b)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우측방향을 향해 나사홀(12c)이 형성되는 좌측고정대(12);
    좌측고정대(12)와 대응되도록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우측의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상부돌출부(1c)가 삽입되는 우측삽입구(14a)가 형성되고,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대응되는 관통홀(14b)이 상부에서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우측고정대(14); 및
    우측고정대(14)의 관통홀(14b)에 관통된 상태로 좌측고정대(12)의 나사홀(12c)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고정수단(10)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일측과 타측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양단에 단자(21)가 설치되고 전차선고정금구(1)에 도통되는 전류를 우측고정대(14)에 인가하는 동선(20);
    동선(20)을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고정판(40); 및
    고정판(40)을 관통하여서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 나사결합 되는 고정볼트(60);를 포함하고,
    고정판(40)에는 고정볼트(60)가 관통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는 관통홀(41)을 관통한 고정볼트(60)가 나사결합 되는 나사탭(1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우측고정대(14)의 상부면에는 동선(20)의 하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상부오목홈(14d)이 형성되고,
    상부오목홈(14d)과 대응되고 동선(20)의 상부 외주면이 지지되는 하부오목홈(42)이 고정판(4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강체전차선(30)은
    좌측고정대(12)의 외측에 수직상태로 면 접촉되는 장방형의 수직부재(31);
    수직부재(31)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이 관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홀(33); 및
    수직부재(31)의 하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삽입홈(39)이 형성되고,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접촉선(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체결수단(50)은
    좌측고정대(12)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형성되는 나사탭(55); 및
    강체전차선(30)을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탭(55)에 나사결합 되어서 강체전차선(30)을 좌측고정대(12)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볼트부재(56);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13.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핀(72)에 의해 가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부들이 좁혀지면 타단부들이 전차선고정금구(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재(71);
    가압부재(71)들이 전차선고정금구(1)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서로 좁혀진 가압부재(71)들의 타단부들을 결속하는 결속부재(73);
    가압부재(71)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상태로 전차의 팬터그래프에 접촉되어서 가압부재(71)로 도통되는 전류를 팬터그래프에 인가하는 강체전차선(30); 및
    강체전차선(30)을 가압부재(7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가압부재(71)들은
    전차선고정금구(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상부돌출부(1a)와 우측상부돌출부(1c)가 각기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되는 일단부들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되게 돌기홈(74)이 형성되고,
    돌기홈(74)들에서 각각 하방으로 이격되면서 전차선고정금구(1)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좌측하부돌출부(1b)와 우측하부돌출부(1d)에 각기 걸려서 지지되는 단부지지턱(75)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되는 타단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76)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나사탭(7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결속부재(73)는 가압부재(71)들의 다단부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장치.
KR20130017298A 2013-02-19 2013-02-19 강체전차선 장치 KR10148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298A KR101482061B1 (ko) 2013-02-19 2013-02-19 강체전차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298A KR101482061B1 (ko) 2013-02-19 2013-02-19 강체전차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4A true KR20140103644A (ko) 2014-08-27
KR101482061B1 KR101482061B1 (ko) 2015-01-13

Family

ID=5174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7298A KR101482061B1 (ko) 2013-02-19 2013-02-19 강체전차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36B1 (ko) * 2020-07-27 2021-08-19 대양롤랜트(주) 컨베이어 벨트용 리프팅 장치
KR20230138163A (ko) * 2022-03-23 2023-10-05 (주)재영테크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430A (ja) 2002-02-07 2003-08-19 Mitsubishi Cable Ind Ltd 電車線支持装置
JP4067458B2 (ja) 2003-06-19 2008-03-2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装置
JP4310492B2 (ja) 2003-08-20 2009-08-12 株式会社浅羽製作所 合成電車線用イヤー装置
JP2010168029A (ja) 2008-12-24 2010-08-05 Railway Technical Res Inst 剛体電車線支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36B1 (ko) * 2020-07-27 2021-08-19 대양롤랜트(주) 컨베이어 벨트용 리프팅 장치
KR20230138163A (ko) * 2022-03-23 2023-10-05 (주)재영테크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061B1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965B2 (en) Section insulator for a rigid catenary
KR101482061B1 (ko) 강체전차선 장치
CN106740277B (zh) 一种轨道交通接触网支撑装置
KR101490154B1 (ko) 전차선용 홀딩장치
KR102333248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856696B1 (ko)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철탑 연결용 어댑터
KR101494996B1 (ko)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101910230B1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20140144971A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200491262Y1 (ko)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KR20170136242A (ko) 분리공구
KR101482060B1 (ko) 전차선 운반기
KR101832215B1 (ko) 집전장치 및 이를 갖춘 크레인
CN217455738U (zh) 一种应用于柔性接触网轻型分段的调整工具
JP2010052682A (ja) 放熱電車線装置
CN217705551U (zh) 一种接触网断线接头快速接续线夹装置
KR101269230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CN104442914B (zh) 铁路钢轨与轨道板相对位移的监测系统
KR20190021824A (ko)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
KR200369577Y1 (ko) 전동차용 집전장치의 마찰판 고정장치
CN105428845A (zh) 用于钢轨的导线安装装置
KR101494295B1 (ko) 강체 전차선로용 접속금구
KR20160126689A (ko) 거더형 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