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22A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22A
KR20140100322A KR1020130013486A KR20130013486A KR20140100322A KR 20140100322 A KR20140100322 A KR 20140100322A KR 1020130013486 A KR1020130013486 A KR 1020130013486A KR 20130013486 A KR20130013486 A KR 20130013486A KR 20140100322 A KR20140100322 A KR 20140100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housing
lens
guide por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935B1 (ko
Inventor
진종만
박문희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9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바디부와, 상기 하우징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Security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는 다양한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의 시설 또는 사람 등을 감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소자를 구비하여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촬상소자에서 감지함으로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상기와 같이 이미지를 얼마나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시 카메라의 촬상소자의 경우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고해상도를 갖는 촬상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촬상소자의 경우 렌즈와의 거리, 렌즈 수평 상태 등에 따라 이미지가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확하게 맞추면서 렌즈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0148호 "카메라용 촬상소자 구동 초점조절 장치"에서 초점조절 구동부를 제안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초점거리를 자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동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감시 카메라의 경우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사출 형태가 아닌 금속 가공 등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감시 카메라의 구동 시 이물질이 발생하거나 산화 등으로 인한 고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렌즈와 촬상소자의 거리를 조절함에 있어서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014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이 간편하고 렌즈 모듈을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렌즈 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바디부와, 상기 하우징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형성된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바디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바디부에서 분리된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렌즈 홀더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두께는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촬상소자가 설치되는 촬상소자안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모듈과, 상기 렌즈 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하우징을 회전운동하여 상기 렌즈 모듈을 선형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이 간편하고 렌즈 모듈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작 상 사출 성형을 통하여 간편하게 자작이 가능하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홀더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과 렌즈 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과 렌즈 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1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감시 카메라(100)는 렌즈 모듈(110)을 포함한다. 렌즈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미표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0)는 렌즈 모듈(110)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렌즈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 홀더(130)와 렌즈 모듈(110)은 서로 결합하는 부위가 나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렌즈 모듈(110)의 일부가 렌즈 홀더(130)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는 렌즈 홀더(13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 홀더(130)는 하우징(120)에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렌즈 홀더(130)는 하우징(120)을 회전 운동함으로써 렌즈 모듈(110)을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촬상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촬상소자(140)는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영상을 포착함으로써 이미지를 구현시킬 수 있다. 다만, 촬상소자(140)는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촬상소자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하우징(120)과 렌즈 홀더(1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20)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하우징(12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관은 감시 카메라(100)의 외관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단순히 하우징(120)의 외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하우징바디부(121) 내부에 형성되어 촬상소자(140)가 설치되는 촬상소자안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촬상소자안착부(122)에는 촬상소자(140)와 촬상소자(140)와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 등이 설치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은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렌즈 홀더(130)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결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23)는 하우징바디부(121)의 외면으로부터 렌즈 모듈(110)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부(126)의 일단이 형성된 결합부(123)의 일단은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23)는 일부가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다가 일단이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써 자유롭게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23)의 일단으로부터 후술할 렌즈 홀더(130)의 슬라이딩돌기(133)가 초기 조립 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결합부(123)의 일부분으로부터 렌즈 홀더(13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25)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123)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125)는 렌즈 홀더(130)의 슬라이딩돌기(133)가 초기 조립 후 후술할 가이드부(12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결합부(123) 및 촬상소자안착부(122)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렌즈 홀더(1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26)는 렌즈 홀더(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6)는 렌즈 홀더(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6)는 렌즈 홀더(130)의 전 방향을 따라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26)의 두께는 하우징바디부(121)로부터 분리된 결합부(123)의 일부분이 형성된 쪽이 다른 쪽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26)의 두께는 도 3의 C부분보다 D부분 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126)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가이드부(126)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부(126)는 렌즈 홀더(130)의 회전 방향으로 결합부(123) 및 촬상소자안착부(12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가이드부(126)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가이드부(126)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각 가이드부(126)는 제 1 가이드부(126a) 및 결합부(123)의 길이방향으로 제 1 가이드부(126a)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부(12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부(126a)는 촬상소자안착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는 각각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가이드부(126a)의 나선과 제 2 가이드부(126b)의 나선은 렌즈 홀더(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이드부(126a)의 나선과 제 2 가이드부(126b)의 나선은 도 3의 D부분으로부터 C부분으로 올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130)는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에 가이드되어 도 3의 D부분으로부터 C부분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3의 전방측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1 가이드부(126a)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도록 촬상소자안착부(12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가이드부(126b)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부(123)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은 결합부(12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렌즈 홀더(130)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27)는 결합부(123)의 내면에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27)는 가이드부(126)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27)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가이드부(126)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가이드부(126)를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접촉부(127)는 3개로 형성되어 3 지점에서 렌즈 홀더(13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27)는 렌즈 홀더(130)가 외력 등에 의하여 움직이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렌즈 홀더(1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홀더(130)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렌즈 홀더(130)는 렌즈 모듈(110)이 결합하는 렌즈모듈결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모듈결합부(131)는 렌즈 모듈(110)이 삽입되도록 삽입홀(미표기)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렌즈 모듈(110)의 일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렌즈 홀더(130)는 렌즈모듈결합부(1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곡부(132)는 렌즈모듈결합부(13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결합부(12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렌즈 홀더(130)는 렌즈모듈결합부(13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돌기(133)는 렌즈모듈결합부(131)로부터 결합부(123)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돌기(133)는 가이드부(126)에 안착하여 렌즈 홀더(130)의 회전 시 가이드부(126)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돌기(133)는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13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슬라이딩돌기(133)는 렌즈모듈결합부(131)의 외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돌기(133)는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렌즈 홀더(130)가 외력에 의하여 뒤틀리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하우징(120)과 렌즈 홀더(13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감시 카메라(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20)과 렌즈 홀더(13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20)과 렌즈 홀더(13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감시 카메라(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렌즈 모듈(110), 렌즈 홀더(130) 및 하우징(1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렌즈 홀더(130) 및 하우징(120)은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렌즈 모듈(110), 렌즈 홀더(130) 및 하우징(120)을 서로 결합하여 감시 카메라(100)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 모듈(110)을 렌즈 홀더(130)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30)의 렌즈모듈결합부(131)에 렌즈 모듈(11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렌즈모듈결합부(131)와 렌즈 모듈(110)의 일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형합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렌즈 홀더(130)를 렌즈 모듈(110)과 결합한 후 렌즈 홀더(130)를 하우징(12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렌즈모듈결합부(131)는 촬상소자안착부(122)의 일면에 안착할 수 있다. 특히, 렌즈모듈결합부(131)는 제 1 가이드부(126a)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촬상소자안착부(122)에 안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렌즈 홀더(130)와 하우징(120)이 결합하는 경우, 절곡부(132)는 결합부(123)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절곡부(132)의 일단은 결합부(123)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부(123)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렌즈 홀더(130)와 하우징(120)이 결합하는 경우, 슬라이딩돌기(133)는 제 2 가이드부(126b)가 형성된 결합부(123)의 일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돌기(133)는 상기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걸림돌기(125)를 누름으로써 결합부(123)의 일단을 가력하게 되고, 결합부(123)의 일단은 회동함으로써 슬라이딩돌기(133)가 상기와 같이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23)의 일단은 슬라이딩돌기(133)의 진입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였다가 다시 원상복귀됨으로써 결합부(123)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돌기(133)가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 사이로 진입하는 경우, 렌즈모듈결합부(131)의 외면은 접촉부(127)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27)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모듈결합부(131)의 외면을 지지함으로써 렌즈 홀더(13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감시 카메라(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렌즈 홀더(130)를 회전하여 렌즈 모듈(110)을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 홀더(130)를 회전하는 경우 슬라이딩돌기(133)는 제 1 가이드부(126a) 및 제 2 가이드부(126b)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돌기(133)는 제 1 가이드부(126a) 및 제 2 가이드부(126b)를 이동하면서 선형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돌기(133)가 선형운동하는 경우 렌즈 홀더(130) 자체가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중심 축 방향으로 선형운동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130)의 운동에 따라 렌즈 모듈(110)도 선형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렌즈 홀더(130)와 렌즈 모듈(110)이 선형 운동하는 경우, 렌즈 홀더(130)가 하우징(120)측으로 밀착하는 ?에는 슬라이딩돌기(133)가 결합부(123)의 개방된 공간과 인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렌즈 홀더(13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때에는 접촉부(127)와 인접한 곳에 슬라이딩돌기(133)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의 경사 방향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123)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접촉부(127)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슬라이딩돌기(133)가 상기와 같이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두께가 형성됨으로써 결합부(123)의 개방된 공간 쪽에 슬라이딩돌기(133)가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딩돌기(133)가 제 1 가이드부(126a)와 제 2 가이드부(126b)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00)는 조립이 간편하고 렌즈 모듈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는 제작 상 사출 성형을 통하여 간편하게 자작이 가능하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감시 카메라
110 : 렌즈 모듈
120 : 하우징
121 : 하우징바디부
122 : 촬상소자안착부
123 : 결합부
125 : 걸림돌기
126 : 가이드부
127 : 접촉부
130 : 렌즈 홀더
131 : 렌즈모듈결합부
132 : 절곡부
133 : 슬라이딩돌기
140 : 촬상소자

Claims (7)

  1. 렌즈 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바디부;
    상기 하우징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형성된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바디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바디부에서 분리된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렌즈 홀더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홀더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두께는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감시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촬상소자가 설치되는 촬상소자안착부;를 더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7.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하우징을 회전운동하여 상기 렌즈 모듈을 선형운동시키는 감시카메라.
KR1020130013486A 2013-02-06 2013-02-06 감시 카메라 KR10206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86A KR102066935B1 (ko) 2013-02-06 2013-02-06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86A KR102066935B1 (ko) 2013-02-06 2013-02-06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22A true KR20140100322A (ko) 2014-08-14
KR102066935B1 KR102066935B1 (ko) 2020-01-16

Family

ID=5174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486A KR102066935B1 (ko) 2013-02-06 2013-02-06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793A (zh) * 2017-10-20 2019-04-30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控制投影机的方法以及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555A (ko) * 2004-02-27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 촬상용 반도체 장치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렌즈홀더및 하우징
KR20070090148A (ko) 2004-09-29 2007-09-05 나노모션 리미티드 카메라 모듈
KR20110028049A (ko) * 2009-09-11 2011-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555A (ko) * 2004-02-27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 촬상용 반도체 장치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렌즈홀더및 하우징
KR20070090148A (ko) 2004-09-29 2007-09-05 나노모션 리미티드 카메라 모듈
KR20110028049A (ko) * 2009-09-11 2011-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793A (zh) * 2017-10-20 2019-04-30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控制投影机的方法以及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935B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3651B2 (ja) カメラ、カメラ用アクセサリ
JP2006258848A (ja) レンズ鏡筒
KR20160009866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0573576B1 (ko) 매크로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렌즈 조립체
KR101864319B1 (ko) 감시 카메라
KR20140100322A (ko) 감시 카메라
KR20160067617A (ko) 카메라 모듈
JP5401853B2 (ja)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5193741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JP2010032831A (ja) 光学フィルタ保持機構、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7974026B2 (en) Lens moving device and installation unit
KR101750796B1 (ko) 카메라 모듈
US20130026344A1 (en) Imaging unit
JP4980310B2 (ja) レンズ鏡胴
JP6540991B2 (ja) カム機構及び光学機器
JP2007298617A (ja) レンズバリアのスライド機構およびカメラ
JP4486428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6731280B2 (ja) 撮像装置
WO2010150453A1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の製造方法
KR101767926B1 (ko) 감시카메라용 렌즈 어셈블리
JP6313166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光学装置
JP2010020175A (ja) レンズ鏡胴
JP6050128B2 (ja) 撮像ユニット
JP2010091808A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JP2017083638A (ja) レンズ保持機構、レンズ鏡筒、及び、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