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501A -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501A
KR20140098501A KR1020130011253A KR20130011253A KR20140098501A KR 20140098501 A KR20140098501 A KR 20140098501A KR 1020130011253 A KR1020130011253 A KR 1020130011253A KR 20130011253 A KR20130011253 A KR 20130011253A KR 20140098501 A KR20140098501 A KR 2014009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anel
bolt
installation
wind pressur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011B1 (ko
Inventor
박춘종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1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0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5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the end coils of the spring engage an axial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앙부를 따라 상호 연결하는 제2지주프레임을 갖고,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음패널, 및 상기 방음패널을 인접한 두 개의 지주에 지주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이 이동될 경우, 방음패널의 이동속도와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위치시키는 풍압조절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된 방음패널의 면 중 어느 방향에서든 바람에 의한 풍압이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어 방음패널의 파손 방지는 물론 방음 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유지 관비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패널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for soundproof pannel}
본 발명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패널의 양 면방향으로 발생되는 풍압을 용이하게 완충시키고, 풍압이 제거된 후, 원위치시킬 수 있게하여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방음효과를 유지시키며,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로 및 일반 산업현장 주변에는 소음을 해소하기 위해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변이나 철로변 또는 거주단지의 전면에 H 빔으로 이루어진 지주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지주 사이에 방음 및 흡음 소재로 이루어진 방음판을 높이방향으로 적층 설치하게 된다.
최근에 이러한 방음벽에 사용되는 방음판으로 채광 및 조망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틀에 투명한 방음판을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시 예로, 등록특허 10-1150436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투명한 방음패널이 완충부재와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 본체에 설치됨에 따라 방음패널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보강에 따른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패널은 전체적인 강도는 보강할 수 있지만, 강풍 또는 돌풍에 의해 가해지는 풍압이 발생될 경우, 용이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방음패널이 갖는 강도 이상의 풍압이 가해질 경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방음패널이 파손되면, 방음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됨에 따라 소음에 의한 피해가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방음은 물론, 풍압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방음패널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키며, 채광 및 조망권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과 이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앙부를 따라 상호 연결하는 제2지주프레임을 갖고,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인접한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패널 및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이 이동될 경우, 방음패널의 이동속도와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위치시키는 풍압조절설치수단을 구비하여 풍압이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어 방음패널의 파손 방지는 물론 방음 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유지 관비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앙부를 따라 상호 연결하는 제2지주프레임을 갖고,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음패널, 및 상기 방음패널을 인접한 두 개의 지주에 지주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이 이동될 경우, 방음패널의 이동속도와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위치시키는 풍압조절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풍압조절설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제1지주프레임에 통공되는 제1설치공, 상기 제1설치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방음패널에 통공되는 제2설치공, 볼트헤드를 갖고, 상기 제1설치공과 제2설치공에 관통 설치되는 볼트, 상기 제1설치공과 제2설치공에 관통 설치된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주와 방음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 상기 볼트와 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풍압조절설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제1지주프레임에 각각 통공되는 제1설치공, 상기 지주를 기준으로 각 제1지주프레임에 인접한 두 개의 방음패널에 각각 통공되는 제2설치공, 상기 각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되며, 양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각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지주에 위치된 각 볼트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볼트를 지주에 위치시키는 너트, 상기 각 제2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제3설치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방음패널의 면에 면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일직선상에 위치된 각 제2설치공와 제3설치공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각 방음패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각 볼트의 타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볼트에 구비되어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풍압조절설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제1지주프레임에 통공되는 제1설치공, 상기 제1지주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방음패널의 후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프레임, 상기 각 설치프레임과 방음패널의 양측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각 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치브래킷,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되는 볼트, 상기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된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볼트가 상기 지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트의 이동 가능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너트, 상기 볼트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상기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과 방음패널 사이에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방음패널을 설치브래킷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방음패널의 설치위치가 변동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설치프레임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수평프레임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각 수평프레임은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볼트의 볼트헤드와 상기 제1지주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지주의 외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지주프레임과 방음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지주의 내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볼트에 제2너트가 더 설치되되, 이 제2너트는 상기 볼트의 볼트헤드 또는 너트와 함께 상기 방음패널을 볼트에 고정시켜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이 이동될 경우, 볼트와 너트 및 제2너트가 동시에 이동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는, 탄성스프링이나 탄성클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판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되, 중앙부가 절곡된 탄성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풍압에 의해 상기 방음패널의 이동 시, 상기 탄성판의 절곡된 중앙부를 힌지축으로 한 쌍의 지지판이 상호방향으로 탄성 회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며, 풍압이 제거된 후, 상기 탄성판의 탄발력에 의해 한 쌍의 지지판이 원상복귀됨에 따라 방음패널 역시, 원상복귀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양단부에 캡이 더 구비되어 방음패널이나 지주 또는 볼트에 단부가 직접 닿아 파손됨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설치된 방음패널의 면 중 어느 방향에서든 바람에 의한 풍압이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어 방음패널의 파손 방지는 물론 방음 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유지 관비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일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타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일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타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풍압조절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풍압조절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일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타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일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의 타방향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풍압조절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풍압조절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패널의 설치구조는 지주(100)와 방음패널(200) 및 풍압조절설치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지주(100)는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110)과 이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110) 중앙부를 따라 상호 연결하는 제2지주프레임(12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110)은 110a와 110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110) 중 도로 쪽으로 위치된 제1지주프레임은 110b이고, 그 반대에 위치된 제1지주프레임은 110a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방음패널(200)은 인접한 지주(100) 사이에 배치되되,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이동되는 자동차의 소음이 반대편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 및 방지하게 된다.
풍압조절설치수단(300)은 방음패널(200)을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0)에 지주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200)이 이동될 경우, 방음패널(200)의 이동속도와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방음패널(200)을 향하여 풍압이 발생되더라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방음패널(200)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방음효과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풍압조절설치수단(300)은 제1설치공(310)과 제2설치공(320), 볼트(330), 너트(340) 및 탄성부(350)로 구성된다.
제1설치공(310)은 지주(100)의 제1지주프레임(110)에 통공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측에 위치된 제1지주프레임(110b)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설치공(320)은 제1설치공(310)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방음패널(200)에 통공된다.
볼트(330)는 볼트헤드(332)를 갖고, 제1설치공(310)과 제2설치공(320)에 관통 설치되며, 너트(340)는 제1설치공(310)과 제2설치공(320)에 관통 설치된 볼트(330)의 단부에 체결되어 지주(100)와 방음패널(20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탄성부(350)는 볼트(330)와 너트(340)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고, 방음패널(200)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350)는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로 구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에서 전달되는 풍압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먼저, 제1탄성부(352)는 볼트(330)의 볼트헤드(332)와 제1지주프레임(110b)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지주(100)의 외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탄성부(354)는 볼트(330)에 끼워지되, 제1지주프레임(110b)과 방음패널(200)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지주(100)의 내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는 탄성스프링이나 탄성클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는 탄성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풍압조절설치수단(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3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패널(200)은 도로 측에 위치된 제1지주프레임(110b)에 위치되고, 풍압조절설치수단(300)은 이 지주(100)와 방음패널(200) 사이에 구비된다.
먼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 측으로 풍압이 발생될 경우, 제2탄성부(354)가 압축되면서 방음패널(200)은 지주(10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동시에 충격이 완화된 후, 풍압이 제거되면, 탄발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방음패널(200) 역시, 원상복귀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측으로 풍압이 발생될 경우, 제1탄성부(352)가 압축되면서 방음패널(200)은 지주(10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동시에 충격이 완화된 후, 풍압이 제거되면, 탄발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방음패널(200) 역시, 원상복귀된다.
이때, 방음패널(200)을 설치한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는 일정량 만큼 압축된 상태이며, 제1탄성부(352)가 압축되며 방음패널(200)과 볼트(330)가 이동될 경우, 제2탄성부(354)는 기본 탄발력에 의해 인장되어 제2탄성부(354)와 방음패널(200) 및 지주(100) 사이에 간격이 발생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제2탄성부(354)가 압축될 경우, 제1탄성부(352)도 동일하게 작동됨이 당연하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탄성클립으로 형성되어 설치되며, 일 실시 예로, 제1탄성부(352')가 탄성클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풍압조절설치수단(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6 내지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패널(200)은 도로 측에 위치된 제1지주프레임(110b)에 위치되고, 풍압조절설치수단(300)은 이 지주(100)와 방음패널(200) 사이에 구비된다.
먼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 측으로 풍압이 발생될 경우, 제1탄성부(352)가 압축되면서 방음패널(200)은 지주(10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동시에 충격이 완화된 후, 풍압이 제거되면, 탄발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방음패널(200) 역시, 원상복귀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측으로 풍압이 발생될 경우, 제2탄성부(354)가 압축되면서 방음패널(200)은 지주(10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동시에 충격이 완화된 후, 풍압이 제거되면, 탄발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방음패널(200) 역시, 원상복귀된다.
이를 위한 탄성클립(352')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352a')과 탄성판(352b')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판(352a')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으로, 각각 볼트(33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353a')이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판(352b')은 한 쌍의 지지판(352a')을 연결하되, 중앙부가 절곡되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판(352a')과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된 중앙부를 힌지축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판(352b')은 중앙부가 절곡되어 상호 일정 각을 이루는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거나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클립(352')은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200)의 이동 시, 탄성판(352b')의 절곡된 중앙부를 힌지축으로 한 쌍의 지지판(352a')이 상호방향으로 탄성 회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며, 풍압이 제거된 후, 탄성판(352b')의 탄발력에 의해 한 쌍의 지지판(352a')이 원상복귀됨에 따라 방음패널(200) 역시,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각 실시 예의 방음패널(200)은 제2너트(342)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제2너트(342)는 볼트(330)에 설치되되, 볼트(330)의 볼트헤드(332) 또는 너트(340)와 함께 방음패널(200)을 볼트(330)에 고정시켜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200)이 이동될 경우, 볼트(330)와 너트(340) 및 제2너트(342)가 방음패널(200)과 함께 동시에 이동된다.
일 실시 예로, 볼트(330)는 제2탄성부(354)와 제1설치공(310), 제1탄성부(352), 제2설치공(320) 순으로 관통되어 너트(340)가 체결되어 방음패널(200)을 고정시키되, 제1탄성부(352)와 방음패널(200) 사이에 제2너트(342)가 구비되어 너트(340)와 함께 방음패널(200)을 볼트(33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음패널(200)을 볼트(330)에 고정시킴에 따라 급변하는 돌풍이 발생될 경우, 어느 방향으로 풍압이 발생되어 이동되더라도 방음패널(200)은 볼트(330)와 고정됨에 따라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의 완충작용 없이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352, 354)은 양단부에 캡(353)이 더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이나 지주(100) 또는 볼트(330)에 단부가 직접 닿아 파손됨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캡(353)은 수지나 고무 등으로 이용하여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음패널(2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채광 및 조망권을 보호할 수 있고, LED를 이용한 발광체를 더 구비하여 방음의 기능 뿐 아니라 조명 및 아웃테리어의 기능도 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풍압조절설치수단(500)은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설치공(510)과 제2설치공(520), 볼트(530), 너트(540) 지지플레이트(550), 고정부재(560), 연결관(570) 및 탄성부(580)로 구성된다.
제1설치공(510)은 지주(100)의 제1지주프레임(110)에 각각 통공되고, 제2설치공(520)은 지주(100)를 기준으로 각 제1지주프레임(110)에 인접한 두 개의 방음패널(200)에 각각 통공된다.
그리고 볼트(530)는 각 제1설치공(510)에 관통 설치되며, 양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540)는 각 제1설치공(510)에 관통 설치되어 지주(100)에 위치된 각 볼트(53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볼트(530)를 지주(100)에 위치시키게 된다.
지지플레이트(550)는 각 제2설치공(520)에 대응되도록 제3설치공(552)이 각각 형성되고, 두 개의 방음패널(200)의 면에 면접촉된다.
또한 고정부재(560)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각 제2설치공(520)와 제3설치공(552)에 관통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550)를 각 방음패널(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연결관(570)은 지지플레이트(550)에 고정되어 내부에 각 볼트(530)의 타단부가 나사결합되며, 탄성부(580)는 볼트(530)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580)는 제1탄성부(582)와 제2탄성부(584)로 구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에서 전달되는 풍압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먼저, 제1탄성부(582)는 제1지주프레임(110)과 너트(540) 사이에 위치되도록 볼트(530)에 설치되어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지주(100)의 외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탄성부(584)는 볼트(530)에 끼워지되, 제1지주프레임(110)과 방음패널(200)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지주(100)의 내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탄성부(352)와 제2탄성부(354)는 탄성스프링이나 탄성클립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 내지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풍압조절설치수단(400)은 제1설치공(410)과 설치프레임(420), 설치브래킷(430), 볼트(440), 너트(450) 및 탄성부(460)로 구성된다.
먼저, 제1설치공(410)은 지주(100)의 제1지주프레임(110)에 통공되고, 설치프레임(420)은 제1지주프레임(110)에 인접한 방음패널(200)의 후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브래킷(430)은 각 설치프레임(420)과 방음패널(200)의 양측단부를 감싸도록 각 설치프레임(4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설치되기 위한 방음패널(200)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볼트(440)는 제1설치공(410)에 대응되도록 설치프레임(420)에 구비되어 제1설치공(410)에 관통 설치되고, 너트(450)는 제1설치공(410)에 관통 설치된 볼트(440)의 단부에 체결되어 볼트(440)가 지주(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트(440)의 이동 가능거리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탄성부(460)는 볼트(440)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방음패널(200)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고, 방음패널(200)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460)는 상기에서 명시한 탄성부(350)과 동일함에 따라 일 실시 예의 탄성부(350)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치프레임(410)과 방음패널(200) 사이에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470)가 더 구비되며, 완충부재(470)는 방음패널(200)을 설치브래킷(430)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방음패널(200)의 설치위치가 변동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설치프레임(420)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수평프레임(480)이 더 구비되되, 각 수평프레임(480)은 방음패널(200)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프레임(480)은 한 쌍의 설치프레임(420)과 함께 방음패널(200)을 더욱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100 : 지주 110 : 제1지주프레임
120 : 제2지주프레임 200 : 방음패널
300, 400, 500 : 풍압조절설치수단 310, 410 : 제1설치공
320 : 제2설치공 330, 440 : 볼트
340, 450 : 너트 350, 460 : 탄성부
352 : 제1탄성부 354 : 제2탄성부
420 : 설치프레임 430 : 설치브래킷
470 : 완충부재 480 : 수평프레임

Claims (11)

  1.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앙부를 따라 상호 연결하는 제2지주프레임을 갖고,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 개의 제1지주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음패널; 및
    상기 방음패널을 인접한 두 개의 지주에 지주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이 이동될 경우, 방음패널의 이동속도와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원위치시키는 풍압조절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조절설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제1지주프레임에 통공되는 제1설치공;
    상기 제1설치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방음패널에 통공되는 제2설치공;
    볼트헤드를 갖고, 상기 제1설치공과 제2설치공에 관통 설치되는 볼트;
    상기 제1설치공과 제2설치공에 관통 설치된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주와 방음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볼트와 너트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조절설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제1지주프레임에 각각 통공되는 제1설치공;
    상기 지주를 기준으로 각 제1지주프레임에 인접한 두 개의 방음패널에 각각 통공되는 제2설치공;
    상기 각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되며, 양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각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지주에 위치된 각 볼트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볼트를 지주에 위치시키는 너트;
    상기 각 제2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제3설치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방음패널의 면에 면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일직선상에 위치된 각 제2설치공와 제3설치공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각 방음패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각 볼트의 타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볼트에 구비되어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조절설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제1지주프레임에 통공되는 제1설치공;
    상기 제1지주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방음패널의 후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프레임;
    상기 각 설치프레임과 방음패널의 양측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각 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치브래킷;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되는 볼트;
    상기 제1설치공에 관통 설치된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볼트가 상기 지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트의 이동 가능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볼트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상기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과 방음패널 사이에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방음패널을 설치브래킷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방음패널의 설치위치가 변동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설치프레임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수평프레임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각 수평프레임은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볼트의 볼트헤드와 상기 제1지주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지주의 외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지주프레임과 방음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방음패널이 풍압에 의해 지주의 내측으로 이동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며 원위치시키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 제2너트가 더 설치되되, 이 제2너트는 상기 볼트의 볼트헤드 또는 너트와 함께 상기 방음패널을 볼트에 고정시켜 풍압에 의해 방음패널이 이동될 경우, 볼트와 너트 및 제2너트가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는,
    탄성스프링이나 탄성클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판;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되, 중앙부가 절곡된 탄성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풍압에 의해 상기 방음패널의 이동 시, 상기 탄성판의 절곡된 중앙부를 힌지축으로 한 쌍의 지지판이 상호방향으로 탄성 회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며,
    풍압이 제거된 후, 상기 탄성판의 탄발력에 의해 한 쌍의 지지판이 원상복귀됨에 따라 방음패널 역시, 원상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양단부에 캡이 더 구비되어 방음패널이나 지주 또는 볼트에 단부가 직접 닿아 파손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20130011253A 2013-01-31 2013-01-31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10149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253A KR101490011B1 (ko) 2013-01-31 2013-01-31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253A KR101490011B1 (ko) 2013-01-31 2013-01-31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501A true KR20140098501A (ko) 2014-08-08
KR101490011B1 KR101490011B1 (ko) 2015-02-04

Family

ID=5174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1253A KR101490011B1 (ko) 2013-01-31 2013-01-31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0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4867A (zh) * 2014-11-28 2015-03-11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高速铁路分片式槽形梁挡风结构
KR101670378B1 (ko) * 2016-02-18 2016-10-28 (주)현명산업 안전방음벽
KR20190026200A (ko) * 2017-09-04 2019-03-13 김대성 블라인드 설치 장치
KR20190089265A (ko) * 2018-01-22 2019-07-31 신영기술개발(주) 투명 방음판 고정장치
KR102090142B1 (ko) * 2019-08-07 2020-05-29 에스에이 주식회사 방수 및 내진 기능을 갖는 투명방음벽 고정장치를 포함한 방음터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68B1 (ko) 2021-05-04 2021-09-02 강민재 조립식 방음패널
KR102431362B1 (ko) 2021-06-09 2022-08-11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독립 구조형 프레임리스 투명방음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874A (ko) * 2006-07-14 2008-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부품 고정용 탄성클립부재
KR101014387B1 (ko) * 2008-06-26 2011-02-15 이선애 굴절형 차단벽을 위한 풍압력 완화장치
KR100981339B1 (ko) * 2009-10-28 2010-09-14 (주) 퓨어텍이엔씨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4867A (zh) * 2014-11-28 2015-03-11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高速铁路分片式槽形梁挡风结构
KR101670378B1 (ko) * 2016-02-18 2016-10-28 (주)현명산업 안전방음벽
KR20190026200A (ko) * 2017-09-04 2019-03-13 김대성 블라인드 설치 장치
KR20190089265A (ko) * 2018-01-22 2019-07-31 신영기술개발(주) 투명 방음판 고정장치
KR102090142B1 (ko) * 2019-08-07 2020-05-29 에스에이 주식회사 방수 및 내진 기능을 갖는 투명방음벽 고정장치를 포함한 방음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011B1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011B1 (ko)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101721362B1 (ko) 내진용 체인 챤넬시스템
KR20090084420A (ko) 가드레일
WO2013143318A1 (zh) 一种轻型吸声屏障
KR20160023209A (ko) 방음패널 고정구
KR20130073268A (ko) 완충과 캔트 기능이 구비된 강체 전차선용 지지장치
KR100763461B1 (ko) 가드레일
WO2009151193A1 (en) Vibration proof apparatus of floating track
KR100762223B1 (ko)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KR101809826B1 (ko) 복합형 완충시스템
KR101548161B1 (ko)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CN104421854A (zh) 减振结构及灯具
KR20130120756A (ko)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036122B1 (ko)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KR200473880Y1 (ko) 레일체결장치
KR101506327B1 (ko) 낙석방지망용 로프의 교차부 결속 및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CN206815166U (zh) 一种道路桥梁伸缩减震缓冲装置
KR20080094171A (ko)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KR20130013401A (ko) Led를 갖는 투명방음패널의 풍압조절가능한 h빔 체결 시스템
KR101687259B1 (ko) 건축단지용 아스팔트 침하방지시설
CN204915689U (zh) 牵引变压器的弹性悬挂安装结构
KR101398722B1 (ko) 철골구조물 고정용 장치
CN105220627A (zh) 高速公路声障
KR20170075542A (ko) 지지구조물의 충격완화장치
KR200462879Y1 (ko) 완충체가 구비된 도로표지판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