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065A -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065A
KR20140098065A KR1020147011726A KR20147011726A KR20140098065A KR 20140098065 A KR20140098065 A KR 20140098065A KR 1020147011726 A KR1020147011726 A KR 1020147011726A KR 20147011726 A KR20147011726 A KR 20147011726A KR 20140098065 A KR20140098065 A KR 2014009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utting
conduit
cable
longitudin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874B1 (ko
Inventor
제리 엘 알렌
Original Assignee
웨스코 이퀴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4255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9806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웨스코 이퀴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웨스코 이퀴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9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longitudinal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 B21K1/70Making machine elements nuts of special shape, e.g. self-locking nuts, wing nuts
    • B21K1/701Weld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1Cutting tube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83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36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lling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48Multipart cooperating fastener [e.g., bolt and n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48With subsequent handling [i.e., of product]
    • Y10T83/0467By separating products from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81Active delivery means mounted on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209Guide

Abstract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내부에 구비하는 도관에서 상기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것과 상기 케이블 주위로부터 상기 덕트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덕트는 상기 도관으로부터 블레이드를 지나서 견인되어 절단을 수행하거나, 블레이드는 상기 도관을 통해 견인되어 상기 도관에 있는 동안 상기 덕트를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CONDUIT SPACE RECOVERY SYSTEM}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11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562,03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도관 내 내부덕트 내에 통신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라이브 케이블로부터 내부덕트를 제거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을 도관 내에 확보하는(recovering)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나 이상의 통신 케이블을 지지하는 수 백만 마일(mile)의 도관이 지하에 매립되어 있을 것 같다. 일반적으로 이들 케이블은 도관에 위치된 플라스틱 내부덕트에 수용된다. 이들 내부덕트의 목적은 추가적인 케이블이 동일한 도관에 설치되는 경우에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추가적인 케이블들이 별개의 내부덕트 내에 있는 경우 이 추가적인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도관이 본질적으로 내부덕트로 채워져 있고 케이블이 내부에 더 이상 설치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관(10)은 라이브 또는 능동 케이블(12)을 지지하는 내부덕트(11)로 채워져 있다. 이들 내부덕트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지금까지 이 내부덕트를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방법이 케이블을 절단하는 것이어서, 능동 케이블인 경우 이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추가적인 통신 케이블이 이 지리적 영역에 필요한 경우, 새로운 도관이 지하에 매립되어야 하는데 이는 많은 노동력이 들고 시간이 소비되며 비용이 소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관 내에 하나 이상의 내부덕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추가적인 케이블이 기존의 도관에 설치될 수 있을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목적은 라이브 케이블을 수용하는 내부덕트를 절단하여 도관으로부터 제거하여 도관에 공간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목적은 내부덕트를 도관으로부터 제거하는 동안 이 내부덕트를 절단하는 전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의 목적은 내부덕트가 여전히 도관에 있는 동안 내부덕트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전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본 발명의 이들 및 기타 목적뿐만 아니라 기존의 종래 기술의 형태에 비해 유리한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고 청구된 개선점에 의해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도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상기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 주위로부터 상기 덕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도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상기 도관으로부터 덕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덕트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케이블 주위로부터 덕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서, 맨홀(manhole)에서 상기 덕트 및 상기 도관에 접근하는 단계 및 상기 맨홀 안으로 상기 덕트를 단거리 견인(pull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는 블레이드 조립체와 맞물려 이 블레이드 조립체 쪽으로 이동하며 이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덕트를 적어도 2개의 단편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이들 단편은 이후 상기 케이블로부터 제거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서 케이블을 둘러싸는 덕트를 절단하는 하나의 형태의 장치는 상기 덕트와 맞물려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덕트를 견인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조립체(drive assembly)를 포함한다. 절단 조립체는 각 암(arm)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다. 절단 조립체는 상기 덕트를 상기 드라이브 조립체에 의해 견인하는 동안 상기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시스템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여러 형태와 변형을 모두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첨부 도면에서 예로서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질 뿐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정해져서는 안 된다.
도 1a는 통신 케이블을 각각 수용하는 3개의 내부덕트로 채워져 있는 도관의 개략 단부도;
도 1b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내부덕트를 도시한 도 1의 개략도;
도 1c는 분할된 내부덕트를 제거한 후 도관 내에 공간을 확보한 것을 도시한 도 1 및 도 2의 개략도;
도 2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일반적인 맨홀의 개략 파단 단면도;
도 3은 맨홀의 단부 벽을 도시한 실질적으로 도 2의 라인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관으로부터 제거된 내부덕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 2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도관으로부터 내부덕트를 절단하고 제거하는 맨홀에 위치된 디바이스의 상부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대안적인 특징을 도시한 도 5와 유사한 개략도;
도 7은 도관으로부터 내부덕트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대안적인 시스템의 개략도;
도 8은 도 7의 디바이스의 단부도.
통신 케이블(12)을 지지하는 도관(10)은 일반적으로 최대 수 천 피트(feet)에 걸쳐 지하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케이블이 도관 내에 위치될 때, 다수의 케이블을 삽입하되 도시된 플라스틱 튜브의 내부덕트(11)와 같은 내부덕트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종의 덕트에 다수의 케이블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케이블을 손상시킴이 없이 또는 기존의 케이블과 꼬이는 일이 없이 이 다수의 케이블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내부덕트(11)는 추가적인 케이블(12)에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내부덕트(11)는 다수의 로케이션(location)에서 (13)에서와 같이 그 길이를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이후 내부덕트(11)의 단편은 케이블(12) 주위로부터 제거되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0) 내에 공간(14)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자유로운 케이블 또는 케이블들(12)을 직물 슬리브(fabric sleeve)로 감싸서 노출된 케이블과 마찰을 일으킴이 없이 및 잠재적으로 기존의 케이블을 손상시킴이 없이 추가적인 케이블을 도관(10)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미국 특허 제6,251,201호에 도시되고, 펜실바니아주의 피츠버그시에 소재하는 웨스코 디스트리뷰션사(Wesco Distribution, Inc.)에 의해 상표명 MAXCELL(등록상표)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직물 내부덕트(M)가 공간(14)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새로운 케이블이 직물 내부덕트의 구획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15)로 표시된 맨홀과 같은 종래의 케이블 인입 지점(service point)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맨홀(15)은, 물론, 통상적으로 덮혀있는 개방된 상부(16), 작업자가 서 있을 수 있는 하부면(17), 및 측벽(18)을 구비한다. 도관이 처음 지하(19)에 삽입될 때, 맨홀(15)은 케이블(12)에 접근하기 위해 수 백 피트마다 제공되는데 (편의상 도 2에는 하나만 도시) 이 케이블은 하나의 측벽(18)으로부터 다른 측벽(18)으로 맨홀(15)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케이블(12)은 파단되어 있어 케이블(12)이 하나의 측벽(18)으로부터 다른 측벽으로 맨홀(15)을 통과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오히려, 일반적으로, 케이블(12)의 코일이 맨홀(15)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0) 및 내부덕트(11)(편의상 도 3에는 하나만 도시)는 맨홀 측벽(18)에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은 맨홀(15)에서 발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될 내부덕트(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안으로 단거리 견인될 수 있다. 이후,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는,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덕트(11)를 제거하고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20)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21)로 표시된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프레임(21)은 맨홀 측벽(18)에 안착하는 에지를 구비하는 이격된 지지 암(support arm)(22)을 포함한다. 이들 암(22)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 암들 사이에 케이블(12)이 위치되어 있다. 각 암(22)은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23)로 표시된 드라이브 디바이스를 지지한다. 드라이브(23)는 회전 휠(24) 형태로 도시된 것이거나 종래의 트랙터 드라이브의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 휠(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내부덕트(11)의 대향하는 측면과 제일 먼저 클램핑(clamp)되고, 이후 휠(24)은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관(10)으로부터 내부덕트(11)를 견인하여 이를 도 5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휠(24)은 유압으로 구동될 수 있고 맞물림 기능과 견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널링면(knurled surface)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21)은 맨홀 측벽(18)에서 지지되므로, 견인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힘은 측벽(18)에 의해 지탱된다.
프레임(21)의 각 암(22)은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25)로 표시된 절단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단 디바이스(25)는 고정 블레이드(26) 형태인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대향하는 블레이드(26)는 각 암(22)으로부터 내부쪽으로 연장되되 내부덕트(11)와는 접촉하지만 능동 케이블(12)과는 터치하지 않아 이를 잠재적으로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만 연장된다. 따라서, 드라이브(23)가 절단 디바이스(25)를 지나서 내부덕트(11)를 이동시키면, 내부덕트는 2개의 외주 방향으로 이격된 로케이션에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되고 내부덕트(11)의 절단된 단편(27)은 케이블 주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로케이션에서 내부덕트(11)를 절단하기를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절단 디바이스(25)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단편(27)은 이후 지상으로 올려져 환경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방금 설명된 도 5의 실시예에 일부 대안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디바이스(23)는 종래의 트랙터 디바이스(28)의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고, 절단 디바이스(25)는 회전 커터 휠(29) 형태로 도시된다. 커터 휠(29)은 내부덕트(11)의 이동 방향과 대항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원하는 경우, 내부덕트(11)의 이동 방향으로 트랙터 디바이스(28)를 실제로 지원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원하는 경우, 도관(11)으로부터 내부덕터를 제거하는 동안 내부덕트(11)의 가이드가 요구되는 경우 분할된 금속 튜브(30)를 도관(10) 안으로 및 내부덕트(11) 주위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더 도시한다. 튜브(30)는 도관으로부터 맨홀(15) 안으로 연장되며, 드라이브 디바이스(23)들의 로케이션에 슬롯(31)을 구비하므로, 이들은 절단 디바이스(25)의 로케이션에서 내부덕트(11) 및 다른 슬롯(32)과 맞물려 내부덕트(11)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더욱이, 절단 디바이스(25)와 우연히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라이브 케이블(12)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분할된 금속 튜브(33)는 케이블(12) 주위 도관(10) 안으로 단거리 삽입될 수 있다. 튜브(33)는 맨홀(15) 안으로 연장되어 필요한 경우 케이블(12)을 50 보호한다.
도 7 및 도 8은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대안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40)로 표시된 절단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41)로 표시된 바디 부분을 포함한다. 바디 부분(41)은 케이블(12) 주위에 연장되어야 하지만, 라이브 케이블이 절단될 수 없어서, 바디 부분(41)은 2개의 부분(41A 및 41B)으로 분할된다. 바디 부분(41)은 케이블(12)이 노출되는 전술된 맨홀과 같은 인입 지점에서 케이블(12) 주위에 설치된다. 에지(42)를 구비하는 내부덕트는 맨홀 안으로 견인될 수 있고, 2개의 절반부는 케이블(12) 주위에 위치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절반부(41A, 41B)는 패스너를 수용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작은 애퍼처 형성된 플랜지(43)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 조립체(40)는 작업할 내부덕트(11)의 외부 외주에 위치된 복수의 외부 가이드(4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45)는 각 가이드(44)로부터 바디 부분(41)으로 연장된다. 블레이드는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이드(44) 및/또는 바디 부분(41)에 부착될 수 있다. 내부덕트(11)를 3개의 단편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는 3개의 블레이드(45)가 여기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5 및 도 6에 대한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45)가 요구된다. 더욱이, 3개를 초과하는 블레이드(45)가 원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절단 프로세스의 시작 시, 블레이드(45)는 내부덕트(11)의 단부(4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블레이드(45)는 절단 조립체(40) 및 내부덕트(11)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을 야기하는 것에 의해 내부덕트(11)를 길이방향으로 분할한다. 이것은 도 5 및 도 6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절단 조립체(40)를 고정시키고 내부덕트(11)를 (도 2에서 좌측으로) 블레이드(45)를 지나서 견인하는 것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또는 절단 조립체(40)는 도관(10)을 통해 이동하도록 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견인 테이프를 도관(10) 안으로 취입(blowing)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후, 테이프(들)는 절단 조립체(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부분(41A 및 41B)은 견인 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슬롯(46)을 구비할 수 있다. 이후 (그 다음 인접한 맨홀에서) 내부덕트의 단부(42)로부터 하류로 테이프를 견인하는 것에 의해, 절단 조립체(40)는 도관(10)을 통해 도 2의 우측으로 이동하며 내부덕트(11)을 절단할 수 있다. 슬롯(47)은 테이프를 부착하도록 절단 조립체(40)의 다른 단부에 더 제공되어 필요한 경우 역방향으로 절단 조립체(40)를 견인할 수 있다.
내부덕트(11)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경우, 그 단편은 도관(10)으로부터 용이하게 견인될 수 있다. 추가적인 내부덕트(11)가 도관(10)에 있는 경우 및 이들 모두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거나 필요한 경우, 이 프로세스는 모든 내부덕트들이 분할되고 제거되어 공간(14)을 확보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내부덕트의 단편은 지상으로 올려져 환경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거된 덕트의 공간이 확보된 경우, 미국 특허 제6,251,201호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직물 내부덕트(M)가 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새로운 케이블이 직물 내부덕트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된 바에 따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 기술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25)

  1. 도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 공간을 확보하는(recovering) 방법으로서, 상기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 주위로부터 상기 덕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블레이드를 지나서 상기 덕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덕트를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도관을 통해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2개의 외주 방향으로 이격된 로케이션(location)에서 상기 덕트를 절단하여 덕트의 단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확보된 공간에 내부덕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도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덕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덕트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덕트가 상기 케이블 주위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대향하는 휠로 상기 덕트를 파지하는 단계 및 상기 휠을 회전시켜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덕트를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덕트를 대향하는 트랙터 드라이브들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고정된 블레이드를 지나서 상기 덕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회전 블레이드를 지나서 상기 덕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가 상기 도관으로부터 이동되는 동안 상기 덕트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절단하는 동안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확보된 공간에 내부덕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도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에 의해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서, 맨홀에서 상기 도관 및 덕트에 접근하는 단계, 상기 맨홀 안으로 상기 덕트를 단거리 견인하는 단계, 상기 덕트와 맞물리는 단계, 상기 맞물린 덕트를 블레이드 조립체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덕트를 적어도 2개의 단편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 주위로부터 상기 단편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관에서 케이블을 둘러싸는 덕트를 절단하는 장치로서, 상기 덕트와 맞물려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덕트를 견인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조립체(drive assembly), 및 상기 덕트가 상기 드라이브 조립체에 의해 견인되는 동안 상기 덕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위치된 절단 조립체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절단 조립체 쪽으로 상기 덕트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덕트 주위에 위치된 튜브를 더 포함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상기 케이블 주위에 위치된 튜브를 더 포함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조립체는 상기 덕트와 맞물려서 회전하여 상기 덕트를 이동시키는 휠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조립체는 상기 덕트를 이동시키는 트랙터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조립체는 고정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조립체는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디바이스 및 상기 절단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장치.
  25. 위치 지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관형인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형 부재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블레이드 조립체를 이동시켜 상기 관형 부재를 복수의 단편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관형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지하로부터 상기 단편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11726A 2011-11-21 2012-11-19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 KR10203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2035P 2011-11-21 2011-11-21
US61/562,035 2011-11-21
US13/622,173 2012-09-18
US13/622,173 US9391433B2 (en) 2011-11-21 2012-09-18 Conduit space recovery system
PCT/US2012/065763 WO2013078104A2 (en) 2011-11-21 2012-11-19 Conduit space recover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065A true KR20140098065A (ko) 2014-08-07
KR102035874B1 KR102035874B1 (ko) 2019-10-23

Family

ID=4842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726A KR102035874B1 (ko) 2011-11-21 2012-11-19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4) US9391433B2 (ko)
EP (2) EP2748905B1 (ko)
JP (1) JP6121435B2 (ko)
KR (1) KR102035874B1 (ko)
CN (2) CN103918147B (ko)
AR (1) AR088947A1 (ko)
AU (1) AU2012340847B2 (ko)
BR (1) BR112014012287B1 (ko)
CA (1) CA2851864C (ko)
CL (1) CL2014001298A1 (ko)
CO (1) CO6950460A2 (ko)
CR (1) CR20140214A (ko)
DK (2) DK3240128T3 (ko)
ES (2) ES2645215T3 (ko)
IL (1) IL232104B (ko)
MX (1) MX355825B (ko)
MY (1) MY180123A (ko)
PE (1) PE20142024A1 (ko)
PH (1) PH12017500452B1 (ko)
RU (1) RU2628010C2 (ko)
SG (1) SG11201401660TA (ko)
TW (1) TWI562488B (ko)
WO (1) WO2013078104A2 (ko)
ZA (1) ZA2014036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8497A1 (en) * 2015-04-14 2016-10-20 Hubbell Incorporated Underground composite cable enclosure
US10494816B2 (en) * 2016-10-13 2019-12-03 Felix Sorkin Sheathing puller
EP3322053B1 (de) 2016-11-15 2022-03-16 Schleunig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umhüllung elektrischer leiter
CN107979029B (zh) * 2017-11-29 2019-07-30 宁波江北清纬环保科技有限公司 环保回收装置
GB2577517A (en) * 2018-09-26 2020-04-01 Jdr Cable Systems Ltd Cable breakaway device
CN111082358B (zh) * 2019-12-15 2020-12-29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荆门供电公司 一种电力线路周围杂物旋转式清除专用工具
CN111200257A (zh) * 2020-01-10 2020-05-26 北京蔚朗科技有限公司 一种线槽穿线机器人
CN113013789B (zh) * 2021-04-15 2023-03-14 汇源电气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施工工艺
CN113224690B (zh) * 2021-05-27 2021-11-30 阜阳三环电力器材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架线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04A (ja) * 1988-02-16 1990-01-09 Kabelmetal Electro Gmbh 束ね心線の光波導体を裸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276250B1 (en) * 1997-03-12 2001-08-21 United Utilities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pipe from a cable
JP2004096884A (ja) * 2002-08-30 2004-03-25 Ryosei Densetsu Kk Ofケーブル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方法
JP2005073331A (ja) * 2003-08-21 2005-03-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三相電力ケーブルの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1721A (en) * 1944-04-08 1945-12-25 Western Electric Co Insulation slitting tool
US2434640A (en) * 1945-10-31 1948-01-20 Howard A Burdwood Machine for stripping covered cables
US2882188A (en) * 1956-11-01 1959-04-14 Allan F Levin Method of reclaiming insulated wire
US3175430A (en) * 1962-06-18 1965-03-30 Martin Marietta Corp Cable stripping machine
US3339437A (en) * 1966-03-15 1967-09-05 Magnavox Co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shield from cable or the like material
US3817132A (en) * 1972-03-03 1974-06-18 M Emery Machines for stripping insulation from cables
US3951727A (en) * 1972-07-06 1976-04-20 Greenberg William B De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US4181047A (en) * 1978-01-25 1980-01-01 Ethyl Corporation Cable stripping apparatus
US4339967A (en) * 1979-09-12 1982-07-20 Greenberg William B Cable stripper with peeler
US4529171A (en) * 1982-09-07 1985-07-16 Champion Corporation Cable-guiding apparatus
SU1134982A1 (ru) * 1983-08-18 1985-01-15 Mats Iosif G Инструмент дл сн ти изол ции с кабелей
US4534254A (en) * 1983-08-29 1985-08-13 At&T Nassau Metals Corporation Cable stripping apparatus
US4688890A (en) * 1985-03-11 1987-08-25 Goodall Rubber Company Fiber optic cable inner duct
US4685831A (en) * 1985-09-30 1987-08-11 Pierre L. LaBarge, Jr.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ving underground cable
US5542327A (en) * 1994-01-18 1996-08-06 Schultz; Roger Wire stripping apparatus
US5587181A (en) * 1994-04-25 1996-12-24 Southwire Company Magnetic support system for cable insertion tube
FR2752065B1 (fr) 1996-07-31 1998-09-25 France Telecom Outil de decoupe de l'enveloppe tubulaire d'un cable a fibres optiques
CN2289327Y (zh) * 1997-01-10 1998-08-26 杨晓智 地下通信缆直埋管道
DE19720598A1 (de) * 1997-05-16 1998-11-19 Siemens Ag Verfahren zum Anschneiden von Lichtwellenleiterkabel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6262371B1 (en) 1999-06-23 2001-07-17 Marc Tal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conduit into compartments
US6571833B1 (en) * 2000-07-14 2003-06-03 Milliken & Company Optic cable conduit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572081B2 (en) * 2000-12-27 2003-06-03 Nkf Kabel B.V. Installation of guide tubes in a protective duct
US6541706B2 (en) * 2001-02-07 2003-04-0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Resheathable cable armor
EP1231692B1 (de) * 2001-02-13 2005-07-13 Komax Holding Ag Einrichtung zum Abisolieren eines mehradrigen Kabels
MEP26108A (en) * 2001-02-20 2010-06-10 Alois Pichler Method for removing a cable core from a cable sheath
US6845789B2 (en) 2001-11-30 2005-01-25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fiber optic cable inner ducts
CA2556853A1 (en) * 2004-02-20 2005-09-09 Federal-Mogul Powertrain, Inc. Low-friction pull tape
ATE498852T1 (de) * 2006-07-19 2011-03-15 Draka Comteq Bv Glasfaserkabel und verfahren zu dessen abänderung
US7987570B2 (en) * 2008-06-30 2011-08-02 Abel Alex Salazar Adjustable apparatus for removing wires from underground conduit
AT507239B1 (de) * 2008-09-08 2011-02-15 Pichler Aloi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xtrahieren von kabelelementen aus kabelrohren in kabelschächten
CN102349015A (zh) 2009-03-16 2012-02-08 普睿司曼股份公司 具有改进的可剥离性的光缆
US8839695B2 (en) * 2010-12-31 2014-09-23 Jerry Lee Newman Wire stripp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04A (ja) * 1988-02-16 1990-01-09 Kabelmetal Electro Gmbh 束ね心線の光波導体を裸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276250B1 (en) * 1997-03-12 2001-08-21 United Utilities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pipe from a cable
JP2004096884A (ja) * 2002-08-30 2004-03-25 Ryosei Densetsu Kk Ofケーブル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方法
JP2005073331A (ja) * 2003-08-21 2005-03-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三相電力ケーブルの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8905A2 (en) 2014-07-02
CN103918147B (zh) 2017-07-18
CA2851864C (en) 2019-10-29
RU2628010C2 (ru) 2017-08-14
PH12017500452A1 (en) 2018-06-25
US9391434B2 (en) 2016-07-12
US20150263493A1 (en) 2015-09-17
US10581229B2 (en) 2020-03-03
TW201340515A (zh) 2013-10-01
MX355825B (es) 2018-05-02
CN103918147A (zh) 2014-07-09
IL232104A0 (en) 2014-05-28
US9391433B2 (en) 2016-07-12
JP6121435B2 (ja) 2017-04-26
CR20140214A (es) 2014-06-18
CN107221886A (zh) 2017-09-29
SG11201401660TA (en) 2014-07-30
TWI562488B (en) 2016-12-11
WO2013078104A3 (en) 2013-10-31
US11362491B2 (en) 2022-06-14
EP3240128B1 (en) 2019-09-18
JP2015500617A (ja) 2015-01-05
PH12017500452B1 (en) 2018-06-25
CN107221886B (zh) 2019-02-26
BR112014012287B1 (pt) 2021-01-12
MX2014005963A (es) 2014-08-27
US20200158156A1 (en) 2020-05-21
ZA201403676B (en) 2015-07-29
AU2012340847B2 (en) 2017-05-11
CL2014001298A1 (es) 2014-09-26
AU2012340847A1 (en) 2014-06-05
ES2645215T3 (es) 2017-12-04
BR112014012287A2 (pt) 2017-05-23
CA2851864A1 (en) 2013-05-30
PE20142024A1 (es) 2014-12-16
US20160308337A1 (en) 2016-10-20
DK2748905T3 (da) 2017-11-06
RU2014125237A (ru) 2015-12-27
DK3240128T3 (da) 2020-01-02
EP2748905B1 (en) 2017-08-02
KR102035874B1 (ko) 2019-10-23
ES2899285T3 (es) 2022-03-10
IL232104B (en) 2018-06-28
EP3240128A1 (en) 2017-11-01
MY180123A (en) 2020-11-23
CO6950460A2 (es) 2014-05-20
NZ622875A (en) 2016-07-29
US20130125720A1 (en) 2013-05-23
WO2013078104A2 (en) 2013-05-30
AR088947A1 (es)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874B1 (ko) 도관 공간 확보 시스템
US20080111115A1 (en) Cable pulling machine for use in removing underground cables
US10788643B2 (en) Methods for the installa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s and devices thereof
US89921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the core of a sheathed electrical cable
NZ622875B2 (en) Conduit space recovery system
KR102085836B1 (ko)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EP2499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n item into a conduit
KR101482178B1 (ko) 동케이블 회수장치
GB2589009A (en) An apparatus for cutting a duct and a method of cutting a duct
JP2020162330A (ja) ケーブル敷設方法
PL229891B1 (pl) Urządzenie do modernizacji linii światłowodowej
JP2016039654A (ja) 複数ケーブル一括撤去工法及び該工法で使用されるケーブル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